KR20180092575A -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575A
KR20180092575A KR1020170018441A KR20170018441A KR20180092575A KR 20180092575 A KR20180092575 A KR 20180092575A KR 1020170018441 A KR1020170018441 A KR 1020170018441A KR 20170018441 A KR20170018441 A KR 20170018441A KR 20180092575 A KR20180092575 A KR 20180092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hape
thin plates
thin plate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180B1 (ko
Inventor
박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Priority to KR102017001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1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61Winding flat conductive wire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77Deforming the cross section or shape of the winding material while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발전기, 모터, 변압기, 변류기, 변성기, 스피커, 충전기, 인덕션 등에 사용되는 코일을 임의의 형상의 평판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여 다수의 박판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본체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어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적층된 다수의 박판의 중앙 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박판은 코일로서 기능하도록 일부분이 절단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임의의 형상을 갖는 코일을 고효율로 마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Plate coi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전기, 모터, 변압기, 변류기, 변성기, 스피커, 충전기, 인덕션 등에 사용되는 코일을 임의의 형상의 평판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및 전자기계에서 인덕턴스를 목적으로 도선을 감은 것을 일반적으로 코일이라고 하며, 이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속이 발생하고 전자유도나 전자력의 작용을 촉진한다. 이러한 코일의 성질을 이용하여 발전기, 모터, 변압기, 변류기, 계기, 또는 고조파의 동조회로나 필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 코일을 발전기에 사용할 때는 전기자코일과 계자 코일로 구분하기도 하며, 계자 코일은 철심과 더불어 자속을 유기하고 그 자속을 끊는 역할을 하는 전기자 코일에서 전기가 발생한다. 이 코일을 모터에 사용할 때는 발전기와 구조는 유사하나, 역할은 발전기와는 반대로 전기적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데, 직류형과 교류형, 유도형과 동기형에 따라 코일의 구성과 배치가 달라진다.
이 코일을 변압기에 사용할 때는 변압기의 내부구조에서 철심, 탭 절환기, 절연재 등과 함께 1차 코일, 2차 코일 형태로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전기동이 사용되는데, 소전류의 경우에는 원형동선을 사용하고 그 이상의 전류값에서는 단면이 판 모양의 평각동선이 사용되기도 한다. 변압기에서의 코일의 배치는 저압코일과 고압코일이 철심을 통하여 결합된다.
이 코일을 변류기에 사용할 때는 변류기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배수차에 따라 2차 전류의 크기가 다르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전류치나 전력량 등을 계측한다.
코일을 제작하는 기존의 과정은 원형전선 또는 평각동선 등의 전선을 용도에 맞는 크기와 권수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모양으로 수 회 이상 감아서 제작하며, 코일 내에서 전선 간의 혼촉을 막기 위해 선간 혹은 코일 층간에 절연피복 또는 절연층을 마련한다.
이와 같은 발전기, 모터, 변압기, 변류기, 스피커, 인덕션 등에서 자속을 발생시키거나, 유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코일을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할 시, 에나멜 등 절연재로 피복된 전선을 소정의 횟수만큼 감아서 코일을 제작하며, 이런 방법은 전선의 제작과 권선을 감는 과정이 수반되어 복잡한 제작과정과 많은 제작비가 소요되었다. 또 소형으로 제작하는 경우, 정교한 작업으로 인해 충분한 권선수를 확보하지 못해 변압기류, 변류기 등의 변성기에서는 정밀도가 낮고 오차율이 높았으며, 발전기나 모터에서는 충분한 자속을 발생시킬 수 없으므로 에너지의 변환효율이 저조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평면 스파이럴 패턴의 금속 라인 및 상기 금속 라인의 측면 사이에 연결되는 브리지를 포함하는 판형 코일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판형 코일을 1차 사출 금형 내에 고정시켜, 상기 브리지가 노출되도록 1차 사출 성형물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1차 사출 성형물에서 상기 브리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브리지가 제거된 1차 사출 성형물을 2차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2차 사출 성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제조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제1 관통공을 가지는 제1 측부, 제2 관통공을 가지는 제2 측부, 및 제3 관통공을 가지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보빈을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편평한 루프로 형성된 2개의 나선형 판상 권선 각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2개의 나선형 판상 권선을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의 일단 각각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편평한 루프들이 촘촘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의 일단을 서로 연통되어 있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관통공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판의 양측에 각각 결합하는 단계, 상기 분리판의 양측은 상기 2개 의 나선형 판상 권선의 일단에 각각 인접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관통공을 관통하는 철심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압기 조립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가지고, 동일한 패턴으로서, 'S'형 또는 'U'형의 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판형재(200)를 준비하고, 준비된 띠 형상의 판형재(200)를 그 절곡 방향을 이전 절곡 방향과 반대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안쪽 방향 절곡점(210) 및 바깥쪽 방향 절곡점(220)에서 안쪽 방향 절곡선(211) 및 바깥쪽 방향 절곡선(221)을 따라 절곡되며, 이 절곡은 어느 정도의 R과 절곡각을 갖고서 절곡되는 평판 접이식 철심 스프링 제조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1590호(2016.09.2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6886호(2011.05.1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6506호(2012.01.10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코일 부품 제조 방법에서는 금속 라인과 이 금속 라인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고,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절연하는 구조로서, 특정 형상의 코일에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금속 라인과 브리지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스 가공의 정밀도가 높아야 하고, 인서트 사출에 의한 절연 구조를 마련해야 하므로, 제조 과정이 번잡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변압기 조립 방법에서는 구리 박판으로 나선형 판상 권선을 마련하므로, 특정 형상의 권선 밖에 형성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권선을 사출에 의해 제조하므로, 권선의 형상, 크기 등이 변경되는 경우, 사출기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코일을 제조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평판 접이식 철심 스프링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형상의 금속 판형재에 따라 스프링을 형성하므로, 임의의 형상으로 변경을 하려면 금속 판형재를 신규로 제작을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발전기, 모터, 변압기, 변류기, 변성기, 스피커, 충전기, 인덕션 등에 사용되는 코일로 적용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효율 및 임의의 형상으로 평판형 코일을 제조할 수 있는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기, 모터, 변압기, 변류기, 변성기, 스피커, 충전기, 인덕션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평판형 코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 방법은 임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으로서, (a)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여 다수의 박판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본체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어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적층된 다수의 박판의 중앙 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박판은 코일로서 기능하도록 일부분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 방법은 임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으로서, (a)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박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다수의 박판의 각각의 중앙 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다수의 박판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어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박판은 코일로서 기능하도록 일부분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에서, (d) 상기 본체를 전개하는 단계, (e) 상기 본체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된 다수의 박판의 각각에서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에서 영역의 일부가 절단된 각각의 박판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다수의 박판의 각각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다수의 박판의 각각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N-1(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번째 박판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N(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번째 박판은 상기 2N-1 번째에 연속하여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윈도우는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다수의 박판은 N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박판은 사각형상으로서 상기 윈도우를 따라 제1 내지 제8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1번째 박판은 제8 영역이 제거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2번째 박판은 제1 영역 및 제5 내지 제8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3번째 박판은 제3 내지 제7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4번째 박판 내지 N-1번째 박판은 각각 상기 2번째 박판 및 상기 3번째 박판의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N번째 박판은 상기 1번째 박판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다수의 박판의 각각에 마련된 제1 내지 제8 영역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이 절단되며, 상기 1번째 박판의 제1 영역이 제1 단자로 사용되고, 상기 N번째 박판의 제7 영역이 제2 단자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은 상술한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박판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어 적층하여 코일을 형성하므로 고효율로 평판형 코일을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평판의 형상과 윈도우의 형상에 따라 코일의 구조가 변경되므로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 임의의 평판형 코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 임의의 평판형 코일을 미리 마련하므로, 발전기, 모터, 변압기, 변류기, 변성기, 스피커, 충전기, 인덕션 등에 적용되는 권선 과정을 생략하므로 장비의 조립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권선 수가 미리 설정된 코일을 마련하므로 권선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평판 접이식 철심 스프링에 사용되기 위한 띠 형상의 판형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각 형상의 본체의 일 예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다수의 박판의 중앙 부분에 윈도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라 윈도우를 형성한 후 전개된 본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박판을 각각의 영역으로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체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박판의 각각에서 영역의 일부가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삼각 형상의 본체의 일 예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형의 본체의 일 예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으로서, 먼저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본체를 마련한다(S10).
상기 본체는 예를 들어 구리 박판으로 마련되며, 이 본체의 일면에는 절연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다음에,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여 동일 크기의 다수의 박판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단계 S10에서 마련된 본체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어 적층한다(S20).
이어서, 상기 단계 S20에서 적층된 다수의 박판의 중앙 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한다(S30). 이 윈도우는 상용의 펀칭기 등에 의해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이 장착될 철심 등에 대응하여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 S30에서 윈도우의 형성 후 본체를 전개한다(S40).
계속해서, 상기 다수의 박판이 나선형의 코일로서 기능하도록 서로 연결된 다수의 박판의 각각에서 영역의 일부를 절단한다(S50). 영역의 절단은 펀칭기 등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용도에 따라 상기 단계 S50에서 영역의 일부가 절단된 각각의 박판을 상기 단계 S20와 동일 형상으로 적층하는(S60)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박판은 코일로서 기능하도록 일부분이 절단평판형 코일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 과정을 도 3 내지 도 8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각 형상의 본체의 일 예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5는 다수의 박판의 중앙 부분에 윈도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6은 도 5에 따라 윈도우를 형성한 후 전개된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제조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박판을 각각의 영역으로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체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박판의 각각에서 영역의 일부가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S10에서 본체(100)는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도전성이 있는 재료로 마련된다. 또 본체(100)의 길이, 두께 폭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이 적용될 전기기기 또는 전자기기에 대응하여 가감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체(100)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는 적층 시 절연 효과를 갖기 위해 절연 물질이 도포된다.
한편, 본체(100)의 표면에는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여 다수의 박판(110)으로 접기를 용이하게 실현하기 위해 절곡선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쪽 방향으로의 절곡 부분에는 점선(101)으로 표시하고, 바깥쪽 방향으로의 절곡 부분에는 이점 쇄선(102)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단계 S2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가 도 3에 도시된 절곡선에 따라 접혀져 다수의 박판(110)으로 형성되도록 적층 한다. 본체(100)의 절곡은 통상의 절곡기(bending machine)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계 S3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펀칭기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박판(110)의 중앙 부분에 윈도우(120)를 형성한다. 도 5에서는 윈도우(120)를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 형상, 육각 형상 또는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윈도우(120)를 형성하기 위한 펀칭기도 통상의 펀칭기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윈도우(120)의 크기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적용될 전기 기기 또는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철심의 크기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상기 단계 S40에서는 윈도우(120)가 형성된 본체(1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하고, 상기 단계 S50에서는 다수의 박판이 연속된 나선형의 코일로서 기능하도록 박판 영역의 일부분을 절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박판(110)의 각각은 윈도우(120)의 둘레를 따라 제1 영역(111), 제2 영역(112), 제3 영역(113), 제4 영역(114), 제5 영역(115), 제6 영역(116), 제7 영역(117), 제8 영역(118)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S50에서 1번째 박판은 제8 영역(118)을 제거하며, 제1 영역(111)이 제1 단자로서 기능 한다.
또 2번째 박판은 제1 영역 및 제5 내지 제8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3번째 박판은 제3 내지 제7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4번째 박판 내지 N-1번째 박판은 각각 상기 2번째 박판 및 상기 3번째 박판의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N번째 박판은 1번째 박판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박판의 각각에서 영역의 일부를 절단한다. N번째 박판에서는 제7 영역(117)이 제2 단자로서 기능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박판(110)의 각각에 마련된 제1 내지 제8 영역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이 절단되어 연속된 나선형 코일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8에서는 박판(110)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나타내었지만, 제1 내지 제8 영역의 폭을 동일하게 하는 구조로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 도 8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1번째 박판과 N번째 박판이 'ㄷ'자 형성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수의 박판(110)의 각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N-1(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번째 박판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N(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번째 박판은 상기 2N-1 번째에 연속하여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코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박판(120)의 제1 내지 제8 영역(111~118)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을 절단하는 과정에 대해 단계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내지 제8의 영역(111~118)에서 절단된 영역을 미리 설정하고, 절단기에 의해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절단되도록 실현할 수도 있다. 또 다수의 절단기를 마련하여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일괄로 영역의 일부를 절단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의 다른 구조에 대해 도 9 및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삼각 형상의 본체의 일 예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형의 본체의 일 예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에서는 각각의 박판의 모서리 부분이 대략 직각인 형태로 마련되었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박판의 모서리 부분을 곡면으로 처리하여 평판형 코일의 전체에 걸쳐 동일한 폭(a)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 도 5에 도시된 평판형 코일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제조된 평판형 코일을 나타내었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삼각형과 역삼각형이 교대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지그재그로 접는 것에 의해 삼각형 형상의 평판형 코일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도 10에서의 평판형 코일(100')은 삼각형 형상의 박판(110')에 삼각형 형상의 윈도우(120')를 마련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식으로 다수의 박판의 일부 영역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삼각형 형상의 평판형 코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박판(110")을 연속하여 마련하고 원형의 윈도우(12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원형의 평판형 코일(100")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는 윈도우의 형성 후, 제1 영역 내지 제8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윈도우의 형성과 제1 영역 내지 제8 영역의 일부의 절단을 동시에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본체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은 후 전개하여 제1 영역 내지 제8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영역 내지 제8 영역의 일부를 절단한 후, 영역의 일부가 절단된 각각의 박판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어 코일을 형성하는 구조로 실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형상을 갖는 코일을 고효율로 마련할 수 있다.
100 : 본체
110 : 박판
120 : 윈도우

Claims (8)

  1. 임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으로서,
    (a)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여 다수의 박판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본체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어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적층된 다수의 박판의 중앙 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박판은 코일로서 기능하도록 일부분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
  2. 임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으로서,
    (a)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권선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박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다수의 박판의 각각의 중앙 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다수의 박판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어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박판은 코일로서 기능하도록 일부분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d) 상기 본체를 전개하는 단계,
    (e) 상기 본체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된 다수의 박판의 각각에서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에서 영역의 일부가 절단된 각각의 박판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다수의 박판의 각각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다수의 박판의 각각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N-1(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번째 박판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N(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번째 박판은 상기 2N-1 번째에 연속하여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윈도우는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
  7. 제3항에서,
    상기 다수의 박판은 N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박판은 사각형상으로서 상기 윈도우를 따라 제1 내지 제8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1번째 박판은 제8 영역이 제거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2번째 박판은 제1 영역 및 제5 내지 제8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3번째 박판은 제3 내지 제7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4번째 박판 내지 N-1번째 박판은 각각 상기 2번째 박판 및 상기 3번째 박판의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N번째 박판은 상기 1번째 박판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다수의 박판의 각각에 마련된 제1 내지 제8 영역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이 절단되며,
    상기 1번째 박판의 제1 영역이 제1 단자로 사용되고, 상기 N번째 박판의 제7 영역이 제2 단자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제5항의 평판형 코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코일.
KR1020170018441A 2017-02-10 2017-02-10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5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441A KR102095180B1 (ko) 2017-02-10 2017-02-10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441A KR102095180B1 (ko) 2017-02-10 2017-02-10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575A true KR20180092575A (ko) 2018-08-20
KR102095180B1 KR102095180B1 (ko) 2020-03-31

Family

ID=6344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441A KR102095180B1 (ko) 2017-02-10 2017-02-10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1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275B1 (ko) * 2020-09-28 2021-03-12 지앤엠피 주식회사 절곡방식의 코일유닛 및 그 제작방법
WO2021119477A1 (en) * 2019-12-12 2021-06-17 Borgwarner Inc. Method of making electric machine windings with segmented conducto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6079A (ja) * 1995-05-23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薄板状打ち抜きコ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ランス
KR101036886B1 (ko) 2008-10-15 2011-05-25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변압기 조립 방법
KR101106506B1 (ko) 2008-08-07 2012-01-20 박상량 평판 접이식 코일스프링, 이를 이용한 포고핀 및 그 제조방법
JP2014120762A (ja) * 2012-12-14 2014-06-30 Ghing-Hsin Dien 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1590B1 (ko) 2016-07-04 2016-10-04 (주)에이프로 코일 부품용 판형 코일 및 코일 부품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6079A (ja) * 1995-05-23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薄板状打ち抜きコ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ランス
KR101106506B1 (ko) 2008-08-07 2012-01-20 박상량 평판 접이식 코일스프링, 이를 이용한 포고핀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886B1 (ko) 2008-10-15 2011-05-25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변압기 조립 방법
JP2014120762A (ja) * 2012-12-14 2014-06-30 Ghing-Hsin Dien 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1590B1 (ko) 2016-07-04 2016-10-04 (주)에이프로 코일 부품용 판형 코일 및 코일 부품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9477A1 (en) * 2019-12-12 2021-06-17 Borgwarner Inc. Method of making electric machine windings with segmented conductors
KR102227275B1 (ko) * 2020-09-28 2021-03-12 지앤엠피 주식회사 절곡방식의 코일유닛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180B1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7103B1 (en) Coil form
JP6063719B2 (ja) 無線電力伝送装置
WO2010042308A1 (en) High current amorphous powder core inductor
KR20150016995A (ko) 비선형 변압기를 위한 3-스텝 코어
WO2011158290A1 (ja) 静止電磁機器
JP4254152B2 (ja) Acモータの固定子
KR20180092575A (ko) 평판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US4547721A (en) Transformer structure
JP3489553B2 (ja) 薄形トランス
CN207719022U (zh) 用于电感元件的线圈和变压器
JP5929289B2 (ja) 四角形状コイルの製造方法
JPH08316054A (ja) 薄形トランス
JP2007035804A (ja) 電力変換トランス
JP5950706B2 (ja) 高周波トランス
US201502795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ng low loss in parallel conductors at high frequencies
JP3391596B2 (ja) 線輪及び変成器
Xu Kilowatt three-phase rotary transformer design for permanent magnet DC motor with on-rotor drive system
CN211016721U (zh) 一种电抗器用环形磁芯
CN104272407B (zh) 具有高填充系数的在电换能器中生成磁场的扁平铜绕组
JP2002064017A (ja) 薄形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270308A (en) Preformed magnetic core structure
RU2700279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агнитопровода
CN213752297U (zh) 平面变压器
JPS60213234A (ja) 磁気回路鉄心
US20230411062A1 (en) Choke c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