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533A - 명상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명상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533A
KR20180092533A KR1020170018334A KR20170018334A KR20180092533A KR 20180092533 A KR20180092533 A KR 20180092533A KR 1020170018334 A KR1020170018334 A KR 1020170018334A KR 20170018334 A KR20170018334 A KR 20170018334A KR 20180092533 A KR20180092533 A KR 20180092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tation
user
unit
walk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818B1 (ko
Inventor
이은주
이병철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8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상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보조하는 명상 보조 장치는 메인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걷기 명상 보조 요청을 입력 받을 경우, 화면 생성부를 통해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출력하는 명상 지원부; 위치 탐색부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수집한 위치 정보의 변화를 근거로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 속도 산출부; 및 설정된 하한 속도 및 상한 속도를 갖는 정상 속도 범위와 이동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걷기 명상에 대한 집중도를 판단하는 집중도 판단부를 포함하고, 이동 속도가 정상 속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집중도 판단부는 사용자가 걷기 명상을 올바르게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명상 지원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경고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명상 보조 시스템{MEDITAITON SUPPORTING SYSTEM}
본 발명은 명상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걷기 명상을 통한 정신 질환자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 명상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단전 호흡은 창의력, 집중력과 함께 신체건강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이러한 단전 호흡은 사람이 한 자세로 유지하면서 특정 호흡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전호흡을 도와주는 명상 호흡 장치는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제품으로 이미 인정을 받고 있으며,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비롯한 우울증 예방과 완화에 큰 효과가 있다.
다만 이러한 전통적인 단전 호흡은 상기 명상 호흡 장치의 도움에도 초보자가 하기에는 실제로 명상 등을 위한 집중이 쉽지 않고, 치료가 필요한 정신 질환자의 경우에도 단전 호흡을 통한 치료 효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통적인 단전 호흡 방식 외에 걷기 명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걷기 명상은 사용자가 길을 걸으며 이루어질 수 있어 그 방식이 어렵지 않고, 전통적인 기법에 비해 쉽게 집중할 수 있어서, 초보자, 특히 정신 질환자의 치료가 기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걷기 명상은 명상을 위해 걷기 등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특히 중요하다. 하지만, 사용자는 현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렵고, 자신이 올바르게 걷기 명상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판단이 어렵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32071호(명칭: 스마트 명상호흡기)
본 발명은 걷기 명상을 하는 사용자의 집중도를 체크함으로써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보조할 수 있고, 걷기 명상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명상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걷기 명상을 하는 사용자의 식사와 외부 활동 등을 고려하여, 걷기 명상에 따른 효과를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명상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보조하는 명상 보조 장치는 메인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걷기 명상 보조 요청을 입력 받을 경우, 화면 생성부를 통해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출력하는 명상 지원부; 위치 탐색부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수집한 위치 정보의 변화를 근거로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 속도 산출부; 및 설정된 하한 속도 및 상한 속도를 갖는 정상 속도 범위와 이동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걷기 명상에 대한 집중도를 판단하는 집중도 판단부를 포함하고, 이동 속도가 정상 속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집중도 판단부는 사용자가 걷기 명상을 올바르게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명상 지원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경고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화면 생성부를 통해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식사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식사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식사 정보 처리부는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하루 단위 칼로리를 총합하고, 명상 지원부는 하루 단위 칼로리의 변화량을 근거로 걷기 명상에 따른 사용자의 회복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화면 생성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식사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식사 정보 처리부; 및 화면 생성부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활동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외부 활동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외부 활동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식사 정보 처리부는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하루 단위 칼로리를 총합하고, 외부 활동 정보 처리부는 사용자의 외부 활동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하루 단위 외부 활동 시간을 총합하며, 명상 지원부는 하루 단위 칼로리의 변화량과 하루 단위 외부 활동 시간을 근거로 걷기 명상에 따른 사용자의 회복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속도 산출부는 사용자의 걸음수 및 이동 거리를 더 산출하고, 사용자의 걸음수,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명상 지원부는 사용자의 걸음수,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를 근거로 일간 결과 정보, 주간 결과 정보 및 월간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명상 지원부는 사용자로부터 걷기 명상 종료 요청을 수신할 경우, 감정 상태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감정 상태 아이콘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감정 상태 아이콘에 따라 정의된 감정 등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명상 지원부는 일간 결과 정보, 주간 결과 정보 및 월간 결과 정보를 생성할 때, 감정 등급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상 보조 장치는 걷기 명상을 보조하는 복수의 명상 보조 음원들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음원 재생 요청을 받을 경우, 명상 지원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명상 보조 음원들 중 하나의 명상 보조 음원을 선택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명상 보조 시스템은 복수의 명상 보조 장치들; 및 명상 보조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각 명상 보조 장치는 서버를 통해 다른 명상 보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각 명상 보조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집중도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각 명상 보조 장치에 포함된 고유 식별 번호를 근거로 각 명상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상 보조 시스템에 따르면, 걷기 명상을 하는 사용자의 집중도를 체크함으로써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보조할 수 있고, 걷기 명상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상 보조 시스템에 따르면 걷기 명상을 하는 사용자의 식사와 외부 활동 등을 고려하여, 걷기 명상에 따른 효과를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들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명상 보조 장치(100)와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명상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명상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따라 사용자의 걷기 명상에 대한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집중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걷기 명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주기적으로 산출하고,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따라 경고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각 명상 보조 장치(100)는 서버(400)와의 통신을 통해 각 사용자의 명상 결과 정보를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고, 서버(400)를 통해 서로 다른 사용자들간 명상 결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는 도 1을 참조로 언급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화면 생성부(110), 명상 지원부(120), 제어부(130), 이동 속도 산출부(140) 및 집중도 판단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능별로 구분된 것이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는 CPU, MPU, GPU와 같은 하나의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화면 생성부(110)는 화면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화면 생성부(110)는 사용자가 걷기 명상을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를 작동시킬 때,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의 실행을 위한 준비 시간에 출력되는 로딩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생성부(110)를 통해 생성되는 로딩 화면의 예시는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 생성부(110)를 통해 생성되는 로딩 화면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 수행까지의 시간 확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거처럼 로딩 화면에는 로딩 화면 캐릭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여기서 로딩 화면 캐릭터는 심리적 부담이 없고, 걷기 명상의 동기 부여가 가능한 친근한 형태의 캐릭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로딩 화면 캐릭터는 걷기와 관련된 캐릭터 모양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해당 캐릭터가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의 형태를 갖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로딩 화면 캐릭터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12)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1024x1024 픽셀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면 생성부(110)는 도 6에 접속된 것처럼 로그인 화면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는 서버(400)와의 통신을 통해 다른 명상 보조 장치와 정보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명상 보조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화면 생성부(110)는 로그인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의 계정과 비밀번호를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할 수 있고, 서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과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입이 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로그인 화면에는 회원 가입을 위한 회원 가입 영역이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상기 회원 가입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회원 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 가입 영역을 선택할 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회원 가입 화면에 대한 예시는 도 7에 도시된다.
이렇게 인증이 완료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명상 지원을 위해 상기 화면 생성부(110)를 통해 메인 화면을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메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사용자의 식별을 위해 로그인 방식 외에 다양한 인증 방식이 더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증 방식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에 대한 고유 번호가 자동으로 서버(400)로 전달됨으로써 인증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명상 지원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메인 화면 내에서 걷기 명상 보조를 위한 영역이 입력될 때 즉, 사용자로부터 걷기 명상 보조 요청을 입력 받을 때, 화면 생성부(110)를 통해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걷기 명상 지원 화면에 대한 예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걷기 명상 지원 화면에는 이모티콘 영역, 사용자 정보 영역, 리뷰 영역, 식사 정보 영역 및 프로필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이모티콘 영역에는 사용자의 운동 또는 기분 상태에 따라 이모티콘이 출력될 수 있고, 여기서, 해당 이모티콘은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리뷰 영역, 식사 영역 및 프로필 영역은 화면 전환에 이용될 수 있고, 리뷰 영역은 도 8에 도시된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의 선택에 이용되고, 식사 정보 영역 및 프로필 영역은 각각 식사 정보 입력 화면 및 프로필 화면의 선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걷기 명상 지원 화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영역에는 이하에서 다시 언급되는 것과 같이 해당 날짜에 사용자가 섭취한 총 칼로리량, 스텝, 이동 거리 및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정보 영역에는 아래에서 다시 언급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일간 결과 정보, 주간 결과 정보 또는 월간 결과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은 걷기 명상의 시작 또는 종료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영역이 포함될 수 있고, 단말기 연결을 위한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걷기 명상은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하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상 지원 장치(100)는 이동 속도 산출부(140) 및 집중도 판단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한 집중도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속도 산출부(140)는 위치 탐색부(14)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수집한 위치 정보의 변화를 근거로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집중도 판단부(150)는 설정된 정상 속도 범위와 이동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걷기 명상에 대한 집중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즉, 집중도 판단부(150)는 미리 설정된 하한 속도와 상한 속도를 갖는 정상 속도 범위와 이동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걷기 명상에 대한 집중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집중도 판단부(150)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정상 속도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사용자가 올바르게 집중하여 걷기 명상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집중도 판단부(150)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정상 속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사용자가 걷기 명상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즉, 사용자가 걷기 명상을 올바르게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걷기 명상은 사용자가 저속으로 움직이면서, 자신의 움직임에 집중해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걷기 명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걷기 명상에 최적화된 속도 범위(즉, 정상 속도 범위)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정상 속도 범위 내에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명상 지원부(120)는 집중도 판단부(150)를 통한 판단 결과 사용자가 걷기 명상을 올바르게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명상 지원부(120)는 경고 화면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경고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배경 기술에서 언급한 것처럼 걷기 명상에 숙달되지 않은 초심자 또는 정신 질환자는 자신이 걷기 명상을 하더라도 올바르게 명상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는 이동 속도 산출부(140) 및 집중도 판단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근거로 사용자의 집중도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집중도가 떨어진 경우(즉, 사용자가 걷기 명상을 올바르게 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경고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경고 화면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걷기 명상을 올바르게 하는 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는 걷기 명상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지원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 시, 사용자에게 명상 보조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지원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 시, 저장부(13)에 저장된 복수의 명상 보조 음원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또는 무작위로 하나의 명상 보조 음원을 명상 보조 장치(100)에 포함된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명상 보조 음원은 자연의 소리와 닮은 물리적 파동을 지닌 음악(예:비발디의 사계, 베토벤의 전원교향곡)인 것이 바람직하다. 숲속의 바람소리, 시냇물 흐르는 소리, 파도소리, 눈을 밟는 소리, 새소리와 같은 자연의 소리는 정신을 맑고 쾌적하게 만들어 알파파 상태를 만들어 준다. 이는 정신이 복잡할 때 산 위에 오르거나, 시원한 폭포수 근처나 파도소리가 들리는 바닷가에 갈 때 즐거운 기분을 느끼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이다. 또한, 이러한 명상 보조 음원은 상기의 종류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음원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는 걷기 명상을 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통계 분석을 위해 복수의 정보들을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속도 산출부(140)는 사용자의 걸음수 및 이동 거리를 더 산출하고, 사용자의 걸음수,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계 분석 등을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별도의 정보 입력 화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생년월일, 키 및 몸무게 등을 더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렇게 입력 및 산출된 정보들은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서버(400)로 전달되어, 각종 통계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명상 지원부(120)는 사용자의 걸음수,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를 근거로 일간 결과 정보, 주간 결과 정보 및 월간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요청 시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명상 지원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걷기 명상 종료 요청을 수신할 경우, 감정 상태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감정 상태 아이콘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감정 상태 아이콘에 따라 정의된 감정 등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명상 지원부는 일간 결과 정보, 주간 결과 정보 및 월간 결과 정보를 생성할 때, 감정 등급을 반영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걷기 명상에 따른 사용자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걷기 명상에 따른 사용자의 회복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리기 위해 사용자의 식사 정보, 그리고 외부 활동 정보를 더 입력 받고, 걷기 명상에 따른 식사량과 외부 활동 시간의 변화량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식사량을 고려한 명상 보조 장치에 대한 예시는 도 3에 도시되고, 식사량과 외부 활동 시간을 고려한 명상 보조 장치에 대한 예시는 도 4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2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200)는 화면 생성부(210), 명상 지원부(220), 제어부(230), 이동 속도 산출부(240), 집중도 판단부(250) 및 식사 정보 처리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능별로 구분된 것이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200)는 CPU, MPU, GPU와 같은 하나의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200)는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더 고려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식사 정보 처리부(260)를 중심으로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식사 정보 처리부(260)는 화면 생성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식사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식사 정보 처리부(260)를 통해 생성된 식사 정보 입력 화면에 대한 예시는 도 10에 도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식사 정보 입력 화면은 사용자가 먹은 음식의 이미지가 포함되는 이미지 영역과, 칼로리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의 정보를 입력할 때 식사 등록을 위한 화면의 예시는 도 11에 도시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200)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음식 이미지와 해당 음식의 칼로리를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음식의 칼로리는 사용자로부터 음식의 종류 등을 입력할 경우, 식사 정보 처리부(260)를 통해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함으로써 또는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계산되어 입력되는 방식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식사 정보 처리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식사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식사 정보가 입력될 경우, 다른 사람들에게 공유될 수 있도록 타임라인의 형태로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식사 정보 처리부(260)는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하루 단위 칼로리를 총합할 수 있다.
이러한 식사 정보 처리부(260)의 기능을 통해, 명상 지원부(220)는 하루 단위 칼로리의 변화량을 근거로 걷기 명상에 따른 사용자의 회복도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상 지원부(220)는 하루 단위의 사용자가 섭취한 칼로리의 변화량을 근거로 주간 칼로리 변화, 또는 월간 칼로리 변화를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걷기 명상에 따른 효과를 수치적으로, 그리고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200)에 따르면, 하루 단위로 식사에 따른 칼로리량을 산출할 수 있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운동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의 칼로리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3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300)는 화면 생성부(310), 명상 지원부(320), 제어부(330), 이동 속도 산출부(340), 집중도 판단부(350), 식사 정보 처리부(360) 및 외부 활동 정보 처리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능별로 구분된 것이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300)는 CPU, MPU, GPU와 같은 하나의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300)는 사용자의 외부 활동 정보를 더 고려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외부 활동 정보 처리부(370)를 중심으로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외부 활동 정보 처리부(370)는 화면 생성부(310)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활동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외부 활동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외부 활동 정보 입력 화면은 외부 활동에 대한 이미지가 입력될 수 있는 영역과, 해당 외부 활동에 대한 시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로부터 외부 활동 정보가 입력되면, 외부 활동 정보 처리부(370)는 사용자의 외부 활동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하루 단위 외부 활동 시간을 총합할 수 있다.
이러한 식사 정보 처리부(360) 및 외부 활동 정보 처리부(370)의 기능을 통해, 명상 지원부(320)는 하루 단위 칼로리의 변화량과 하루 단위 외부 활동 시간을 근거로 걷기 명상에 따른 사용자의 회복도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상 지원부(320)는 하루 단위의 사용자가 섭취한 칼로리와 외부 활동 시간의 변화량을 근거로 주간 또는 월간 칼로리 변화 및 외부 활동 시간 변화를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걷기 명상에 따른 효과를 수치적으로, 그리고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300)에 따르면, 하루 단위로 식사에 따른 칼로리량과 및 외부 활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운동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의 칼로리 및 외부 시간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보조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시간과 달성률을 축으로 하는 그래프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걷기 명상에 대한 달성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그래프는 편안함과 부드러운 느낌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도록 막대 그래프보다는 유선형 그래프의 형태로 결과를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로딩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로딩 화면에는 마음을 표현하는 Mieli을 컬러감 있게 전면 표시할 수 있고, 심리적 부담이 없고 걷기 명상의 동기 부여가 가능하도록 로딩 화면 캐릭터를 로딩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로딩 화면 캐릭터는 걷기와 관련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해당 캐릭터가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로그인 화면 및 회원 가입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 가입 화면에는 통계 분석에 활용될 가능성을 염두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영역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위치 탐색부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걷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결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도 16 참조). 또한, 걷기 명상에 따른 사용자의 회복도를 직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일상 활동 및 식사 관련 요소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에 따른 직관적 인식이 가능하도록 측정 파라미터와 데이터를 아이콘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도 17 참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프로필 수정을 위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도 18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다른 사용자들 간 정보 공유 등을 위하여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함께 걷기 명상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제공할 수 있는, 걷기명상과 관련된 공동훈련자 추가 기능을 가지며, 친구 및 동료, 공동훈련자 등을 등록하여 서로의 상태와 성취도를 파악함으로써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명상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걷기 명상, 식사 정보, 그리고 외부 활동에 대한 정보를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유선형의 그래프로 제공할 수 있고, 걷기 명상 후 평가를 위한 감정 성태에 대한 아이콘적인 평가 툴을 위해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아이콘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리들의 교시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에서 실재로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임의의 적절한 아키텍처를 포함하는 머신에 업로드되고 머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머신은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들(CPU), 컴퓨터 프로세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입/출력(I/O) 인터페이스들과 같은 하드웨어를 갖는 컴퓨터 플랫폼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플랫폼은 운영 체제 및 마이크로 명령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기능들은 마이크로 명령 코드의 일부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고, 이들은 CPU를 포함하는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로, 추가 데이터 저장부 및 프린터와 같은 다양한 다른 주변 장치들이 컴퓨터 플랫폼에 접속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에서 도시된 구성 시스템 컴포넌트들 및 방법들의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므로, 시스템 컴포넌트들 또는 프로세스 기능 블록들 사이의 실제 접속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프로그래밍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의 교시들이 주어지면,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이들 및 유사한 구현예들 또는 구성들을 참작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여기서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이 이들 정확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발명의 원리들의 범위 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이러한 변경들 및 수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명상 보조 장치 110 : 화면 생성부
120 : 명상 지원부 130 : 제어부
140 : 이동 속도 산출부 150 : 집중도 판단부
260 : 식사 정보 처리부 370 : 외부 활동 정보 처리부
400 : 서버

Claims (8)

  1.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보조하는 명상 보조 장치로서,
    메인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걷기 명상 보조 요청을 입력 받을 경우, 상기 화면 생성부를 통해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출력하는 명상 지원부;
    위치 탐색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수집한 위치 정보의 변화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 속도 산출부; 및
    설정된 하한 속도 및 상한 속도를 갖는 정상 속도 범위와 상기 이동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걷기 명상에 대한 집중도를 판단하는 집중도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정상 속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집중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가 걷기 명상을 올바르게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명상 지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경고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상 보조 장치.
  2.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보조하는 명상 보조 장치로서,
    메인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걷기 명상 보조 요청을 입력 받을 경우, 상기 화면 생성부를 통해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출력하는 명상 지원부;
    위치 탐색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수집한 위치 정보의 변화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 속도 산출부; 및
    설정된 하한 속도 및 상한 속도를 갖는 정상 속도 범위와 상기 이동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걷기 명상에 대한 집중도를 판단하는 집중도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정상 속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집중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가 걷기 명상을 올바르게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명상 지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경고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화면 생성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식사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식사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사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하루 단위 칼로리를 총합하고,
    상기 명상 지원부는 하루 단위 칼로리의 변화량을 근거로 걷기 명상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회복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상 보조 장치.
  3.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걷기 명상을 보조하는 명상 보조 장치로서,
    메인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걷기 명상 보조 요청을 입력 받을 경우, 상기 화면 생성부를 통해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걷기 명상 지원 화면을 출력하는 명상 지원부;
    위치 탐색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수집한 위치 정보의 변화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이동 속도 산출부; 및
    설정된 하한 속도 및 상한 속도를 갖는 정상 속도 범위와 상기 이동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걷기 명상에 대한 집중도를 판단하는 집중도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정상 속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집중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가 걷기 명상을 올바르게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명상 지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경고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화면 생성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식사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식사 정보 처리부; 및
    상기 화면 생성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외부 활동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외부 활동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는 외부 활동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사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하루 단위 칼로리를 총합하고, 상기 외부 활동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외부 활동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하루 단위 외부 활동 시간을 총합하며,
    상기 명상 지원부는 하루 단위 칼로리의 변화량과 상기 하루 단위 외부 활동 시간을 근거로 걷기 명상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회복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상 보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속도 산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걸음수 및 이동 거리를 더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걸음수, 이동 거리 및 상기 이동 속도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명상 지원부는 상기 사용자의 걸음수,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를 근거로 일간 결과 정보, 주간 결과 정보 및 월간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상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명상 지원부는 사용자로부터 걷기 명상 종료 요청을 수신할 경우, 감정 상태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감정 상태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감정 상태 아이콘에 따라 정의된 감정 등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명상 지원부는 일간 결과 정보, 주간 결과 정보 및 월간 결과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감정 등급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상 보조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걷기 명상을 보조하는 복수의 명상 보조 음원들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원 재생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명상 지원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명상 보조 음원들 중 하나의 명상 보조 음원을 선택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상 보조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명상 보조 장치들; 및
    상기 명상 보조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각 명상 보조 장치는 상기 서버를 통해 다른 명상 보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각 명상 보조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집중도를 서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상 보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 명상 보조 장치에 포함된 고유 식별 번호를 근거로 각 명상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상 보조 시스템.
KR1020170018334A 2017-02-09 2017-02-09 명상 보조 시스템 KR10209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34A KR102098818B1 (ko) 2017-02-09 2017-02-09 명상 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34A KR102098818B1 (ko) 2017-02-09 2017-02-09 명상 보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533A true KR20180092533A (ko) 2018-08-20
KR102098818B1 KR102098818B1 (ko) 2020-04-08

Family

ID=6344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334A KR102098818B1 (ko) 2017-02-09 2017-02-09 명상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81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775A (ko) * 2004-12-18 2005-02-07 주식회사 에이치앤디네트워크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형 개별 운동서비스방법
KR20080021513A (ko) * 2006-08-29 2008-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이용한 식이 요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3543156A (ja) * 2010-08-09 2013-11-28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モバイルデバイスを用いる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の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媒体、及びシステム
KR20130132071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리디자인 스마트 명상호흡기
KR20140092961A (ko) * 2013-01-04 2014-07-25 홍윤경 런닝 머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그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60001836A (ko) * 2014-06-27 2016-01-07 강민창 개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이어트 관리 방법
KR20160036709A (ko) * 2014-09-25 2016-04-05 (주)플라잉마운틴 걷기 운동 활성화를 위한 걷기 운동 보조시스템
KR20160138682A (ko) * 2015-05-26 2016-12-0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생체신호를 이용한 능동형 스피닝 트레이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775A (ko) * 2004-12-18 2005-02-07 주식회사 에이치앤디네트워크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형 개별 운동서비스방법
KR20080021513A (ko) * 2006-08-29 2008-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이용한 식이 요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3543156A (ja) * 2010-08-09 2013-11-28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モバイルデバイスを用いる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の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媒体、及びシステム
KR20130132071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리디자인 스마트 명상호흡기
KR20140092961A (ko) * 2013-01-04 2014-07-25 홍윤경 런닝 머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그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60001836A (ko) * 2014-06-27 2016-01-07 강민창 개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이어트 관리 방법
KR20160036709A (ko) * 2014-09-25 2016-04-05 (주)플라잉마운틴 걷기 운동 활성화를 위한 걷기 운동 보조시스템
KR20160138682A (ko) * 2015-05-26 2016-12-0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생체신호를 이용한 능동형 스피닝 트레이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818B1 (ko)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6739B2 (en) Balance testing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9364714B2 (en) Fuzzy logic-based evaluation and feedback of exercise performance
US20200114207A1 (en) Chatbot exercise machine
KR20200029180A (ko) Ai 기반의 스마트 코칭 방법
US9198622B2 (en) Virtual avatar using biometric feedback
US9199122B2 (en) Personalized avatar responsive to user physical state and context
US9269119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health track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health
JP202102791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機械学習装置
CN110292378A (zh) 基于脑波闭环监测的抑郁症远程康复系统
EP3821795A1 (en) Visualization of activity points
US20090309891A1 (en) Avatar individualized by physical characteristic
CN109599161A (zh) 身体活动和健身监视器
US202301166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isted fitness
Geurts et al. Back on bike: the BoB mobile cycling app for secondary prevention in cardiac patients
Lowe et al. The age of the virtual trainer
Slawson et al. Characterizing the swimming tumble turn using acceleration data
JP6884306B1 (ja) システム、方法、情報処理装置
KR20180092533A (ko) 명상 보조 시스템
JP6811349B1 (ja)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
US11107568B2 (en) Versatile data structure for workout session templates and workout sessions
CN114582467A (zh) 一种基于互联网的个人教育信息管理平台
KR20240062048A (ko) 명상 보조 시스템
JP2022187952A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CA3071629A1 (en) A system and method to make visual representations of virtual accomplishments completed while operating a workspace fitness device
Hong et al. The quantified se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