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380A - 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380A
KR20180092380A KR1020170017946A KR20170017946A KR20180092380A KR 20180092380 A KR20180092380 A KR 20180092380A KR 1020170017946 A KR1020170017946 A KR 1020170017946A KR 20170017946 A KR20170017946 A KR 20170017946A KR 20180092380 A KR20180092380 A KR 20180092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und source
server
speaker
qu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희
조치헌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1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380A/ko
Publication of KR2018009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제공 방법은, 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처리 가능한 쿼리(query)로 변환하는 단계,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쿼리에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음원을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음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 정보, 또는 테마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테마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 동작 상태 또는 날씨 중 하나와 관련된 정보이고, 상기 스피커는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피커에 포함된 메모리에는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가 기록된다.

Description

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SIC FILE}
사용자의 음성 정보와 대응되는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텍스트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로부터 대응되는 음원을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는 방법은, 음성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에 비해 긴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기존의 음성 정보 입력을 통한 음원 제공 방법은 메타 정보 위주로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 또는 동작 상태에 부합하는 음원을 제공하기 어렵다.
수신된 음성 정보를 통해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의 심리 상태, 동작 상태 또는 날씨와 관련된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제공 방법은, 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처리 가능한 쿼리(query)로 변환하는 단계,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쿼리에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음원을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음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 정보, 또는 테마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테마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 동작 상태 또는 날씨 중 하나와 관련된 정보이고, 상기 스피커는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피커에 포함된 메모리에는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가 기록된다.
상기 메타 정보는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진 연도 정보, 장르 정보, 앨범 정보, 가수 정보 또는 제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테마 정보는 상기 메타 정보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테마 정보 및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쿼리가 상기 메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쿼리에 대응되는 상기 음원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원을 포함하는 음원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음원 그룹에 포함된 음원을 조회수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스피커로 음원을 제공하는 서버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중앙 처리부, 메타 정보 및 음원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스피커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처리 가능한 쿼리(query)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쿼리에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음원을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음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 정보, 또는 테마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테마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 동작 상태 또는 날씨 중 하나와 관련된 정보이고, 상기 스피커는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피커에 포함된 메모리에는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가 기록된다.
상기 메타 정보는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진 연도 정보, 장르 정보, 앨범 정보, 가수 정보 또는 제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테마 정보는 상기 메타 정보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테마 정보 및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쿼리가 상기 메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쿼리에 대응되는 상기 음원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원을 포함하는 음원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음원 그룹에 포함된 음원을 조회수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수신된 음성 정보를 통해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심리 상태, 동작 상태 또는 날씨와 관련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스피커로 음원을 제공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스피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와 대응되는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와 스피커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음원 그룹 정보 및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다.
도 5는 서버가 수행하는 음원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스피커로 음원을 제공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서버(100)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메모리(110),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중앙 처리부(120), 메타 정보 및 음원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30) 및 스피커(2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한다.
메타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관리를 위해 이용되는 일종의 식별자로서 대량의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 일정 규칙에 따라 콘텐츠에 부여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속성 정보로도 지칭된다. 메타 정보는 콘텐츠의 위치, 위치에 따른 내용, 작성자에 관한 정보, 이용 기록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원에 대한 메타 정보는 연도 정보, 장르 정보, 앨범 정보, 가수 정보, 제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르 정보는, 발라드, 댄스, 랩, 클래식, 재즈,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 힙합, 컨트리 음원, 팝 등 다양한 장르를 포함할 수 있다. 앨범 정보는, 앨범의 타이틀곡(주제곡)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앨범이 몇 번째 앨범인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A가수 3집)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수 정보는, 해당 음원을 녹음한 가수의 이름(예를 들어, 2AM, 2PM, 김동률, MC the Max, HOT, Maroon 5 등)일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음원 그룹 정보는 그룹 정보 및 테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포함하는 그룹의 명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명칭은 A 또는 B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음원 그룹은 서로 다른 테마 정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하위 음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원 그룹 A는 "비 올 때"라는 테마 정보를 가진 음원 그룹 및 "운전할 때"라는 테마 정보를 가진 음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음원 그룹이라도 동일한 테마 정보를 가진 하위 음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원 그룹 A 및 B는 모두 "운전할 때"라는 테마 정보를 가진 하위 음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테마 정보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심리 상태 정보는, 슬픔, 기쁨, 즐거움, 신남, 흥분됨, 행복함, 따분함, 우울함, 지루함, 놀람, 걱정됨, 기대됨, 분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은 사용자의 심리 상태 정보와 관련된 음원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음원 그룹은 동일 또는 유사한 심리 상태 정보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심리 상태 정보에 따라 음원을 분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부합하는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루하다고 느끼는 사용자가 스피커(200)를 통해 서버(100)로 "지루할 때 듣는 음악"을 요청할 경우, 서버(100)는 스피커(200)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지루할 때"로 분류된 경쾌하거나, 박자가 빠른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 상태 정보는, 운전, 공부, 체조, 댄스, 수면, 식사, 등산, 낚시, 여행 또는 업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은 테마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 상태 정보와 관련된 음원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음원 그룹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 상태 정보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음원을 분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사용자의 동작 상태에 부합하는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피커(200)를 통해 "체조할 때 듣는 음악"을 서버(100)로 요청한 경우, 서버(100)는 스피커(200)를 통해 "체조할 때"로 분류된 우아한 분위기의 음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스피커(200)를 통해 "여행할 때 듣는 음악"을 서버(100)로 요청한 경우, 서버(100)는 스피커(200)를 통해 "여행할 때"로 분류된 발랄하고 활기찬 분위기의 음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날씨 정보는, 비, 눈, 맑음, 흐림, 추움, 더움, 건조함 또는 습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은 날씨 정보에 따라 현재 날씨와 관련된 음원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음원 그룹은 동일 또는 유사한 날씨 상태 정보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날씨 정보에 따라 음원을 분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날씨와 부합하는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피커(200)를 통해 "비 올 때 듣는 음악"을 서버(100)로 요청한 경우, 서버(100)는 스피커(200)를 통해 "비 올 때"로 분류된 차분한 분위기 또는 쓸쓸한 분위기의 음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원은 음원의 가사 정보에 기초하여 음원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의 가사 정보에 "외로움", "슬픔", "아픔", "실연", "이별" 또는 "헤어짐"이라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원은 "슬플 때 듣는 음악" 또는 "우울할 때 듣는 음악"이라는 음원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음원의 가사 정보에 "행복", "고백", "희망" 또는 "사랑"이라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원은 "행복할 때" 또는 "기쁠 때"라는 음원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원은 음원의 장조(Major) 또는 단조(Minor)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조 음원은 "기쁠 때", "즐거울 때", "춤 출 때", "행복할 때", "고백할 때" 또는 "식사할 때"라는 음원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고, 단조 음원은 "비관적일 때", "낙담할 때", "실망할 때", "우울할 때", "걱정될 때" 또는 "슬플 때"라는 음원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스피커의 블록도이다.
스피커(200)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일측에 구비하고,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100)의 네트워크 주소가 기록된 메모리(210)를 포함한다. 스피커(200)는 서버(100)와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20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200)는 서버(100)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전송하기 전, 사용자 인증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200)는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메모리(210)에 기록된 음성 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단계는 설정된 암호 또는 등록된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200)는 메모리(210)에 기록된 음성 정보가 "접속"인 경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접속"이면,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 음성 정보가 "접속"이 아니면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21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음성 정보와 대응되는 주파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스피커(200)는 메모리(210)의 주파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에 기록된 음성 정보의 주파수 정보와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 주파수 정보의 차이를 비교하고, 상기 주파수 정보 차이의 비교 결과가 임계치(Threshold) 이내인 경우,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주파수 정보 차이의 비교 결과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즉, 음성 발화자가 등록된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와 대응되는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와 스피커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스피커(200)는 서버(100)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전송한다(S100).
스피커(200)는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스피커(200)는 서버(100)의 네트워크 주소가 기록된 메모리(210)를 참조하여 녹음된 음성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녹음 없이 실시간으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 올 때 듣기 좋은 노래"라는 음성을 발화한 경우, 스피커(200)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상기 음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녹음한 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스피커(200)로부터 수신한 음성 정보를 서버(100)에서 처리 가능한 쿼리(query)로 변환한다(S110).
서버(100)는 상기 음성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쿼리로 변환하기 전 토큰(token)화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토큰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쿼리를 생성하고, 음원 데이터베이스(130)의 음원 그룹 정보 또는 메타 정보와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200)로부터 "비 올 때 듣기 좋은 노래"라는 음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서버(100)는 상기 음성 정보를 파싱하여 "비", "올", "때", "듣기", "좋은" 및 "노래"로 토큰화한 후, "비", "올", "때", "듣기", "좋은" 및 "노래"라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200)로부터 "김동률 슬픈 발라드"라는 음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서버(100)는 상기 음성 정보를 파싱하여 "김동률", "슬픈" 및 "발라드"로 토큰화한 후, "김동률", "슬픈" 및 "발라드"라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200)로부터 "2AM 어떡하죠"이라는 음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서버(100)는 상기 음성 정보를 파싱하여 "2AM" 및 "어떡하죠"로 토큰화한 후, "백지영" 및 "5집"이라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쿼리에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한다(S120). 서버(100)는 검색된 음원을 스피커(200)로 전송한다(S130).
일실시예에 있어서, 쿼리가 "비", "올", "때", "듣기", "좋은" 및 "노래"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10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30)에 상기 정보들과 대응되는 음원 그룹 정보 또는 메타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도 4는 음원 그룹 정보 및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원 데이터베이스(130)에 "비", "올" 및 "때"와 대응되는 테마 정보 "비 올 때"가 존재하므로, 서버(100)는 그룹 A의 "비 올 때"로 분류된 음원 그룹을 검색 결과로 도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검색된 음원을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쿼리가 "김동률", "슬픈" 및 "발라드"라는 토큰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10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상기 정보들과 대응되는 음원 그룹 정보 또는 메타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쿼리에 포함된 정보 "김동률"은 메타 정보 중 가수 정보 "김동률"과 대응되고, 쿼리에 포함된 정보 "슬픈"은 테마 정보 "슬플 때"와 대응되며, 쿼리에 포함된 정보 "발라드"는 메타 정보 중 장르 정보 "발라드"와 대응된다. 이 경우, 서버(100)는 연도 정보가 "2001", 장르 정보가 "발라드", 가수 정보가 "김동률", 앨범 정보가 "귀향"이고, 제목 정보가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인 음원을 검색 결과로 도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검색된 음원을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쿼리가 "2AM" 및 "어떡하죠"라는 토큰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10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30)에 상기 토큰들과 대응되는 음원 그룹 정보 또는 메타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쿼리에 포함된 정보 "2AM"은 음원 데이터베이스(130)의 메타 정보 중 가수 정보 "2AM"과 대응되고, 쿼리에 포함된 정보 "어떡하죠"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30)의 메타 정보 중 제목 정보 "어떡하죠"와 대응된다. 이 경우, 서버(100)는 연도 정보가 "2008", 장르 정보가 "발라드", 가수 정보가 "2AM", 앨범 정보가 "이 노래"이고, 제목 정보가 "이 노래"인 음원을 검색 결과로 도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검색된 음원을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유사어를 처리하기 위해 하나의 음원 그룹이 복수 개의 대응되는 테마 정보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올 때", "비 오는 날", "비 내릴 때" 또는 "비 오는 데" 등은 모두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을 의미하므로, 모두 비가 올 때 듣는 음원으로 분류된 동일한 음원 그룹을 가리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슬픈 날", "슬픈 때", "슬플 때", "슬픈 노래", "슬픈 음악" 등은 모두 정서적, 감정적으로 슬플 때 듣는 음원으로 분류된 동일한 음원 그룹을 가리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서버가 수행하는 음원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서버(100)는 스피커(200)를 통해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S200).
스피커(200)는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스피커(200)는 서버(100)의 네트워크 주소가 기록된 메모리(210)를 참조하여 녹음된 음성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녹음 없이 실시간으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전할 때 듣기 좋은 노래"라는 음성을 발화한 경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상기 음성과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00)는 스피커(200)를 통해 "HOT의 빛"이라는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00)는 스피커(200)를 통해 "운전할 때 2AM"라는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스피커(2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서버(100)에서 처리 가능한 쿼리(query)로 변환한다(S210).
서버(100)는 상기 음성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쿼리로 변환하기 전 토큰(token)화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토큰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200)로부터 "HOT의 빛"이라는 음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서버(100)는 상기 음성 정보를 파싱하여 "HOT", "의" 및 "빛"으로 토큰화하고, 상기 토큰화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피커(200)로부터 "운전할 때 2AM"라는 음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서버(100)는 상기 음성 정보를 파싱하여 "운전", "할", "때" 및 "2AM"으로 토큰화하고, 상기 토큰화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쿼리가 음원 그룹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한다(S220).
음원 그룹 정보는 테마 정보를 포함하고, 테마 정보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예를 들어, 슬픔, 기쁨, 즐거움, 신남, 흥분됨, 행복함, 따분함, 우울함, 지루함, 놀람, 걱정됨, 기대됨, 분노 등), 동작 상태(운전, 공부, 체조, 댄스, 수면, 식사, 등산, 낚시, 여행 또는 업무) 또는 날씨(비, 눈, 맑음, 흐림, 추움, 더움, 건조함 또는 습함) 중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쿼리가 음원 그룹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서버(100)는 쿼리에 대응되는 메타 정보를 참조하여 음원을 검색한다(S230). 서버(100)는 검색된 음원을 스피커(200)로 전송한다(S240).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데이터베이스(130)에 포함된 테마 정보 및 메타 정보는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고, 테마 정보의 우선순위는 메타 정보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테마 정보의 우선순위는 0(괄호 속 숫자), 제목 정보의 우선순위는 1, 가수 정보의 우선순위는 2, 앨범 정보의 우선순위는 3, 장르 정보의 우선순위는 4, 연도 정보의 우선순위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데이터베이스(130)에 포함된 테마 정보 및 메타 정보는 가중치를 가질 수 있고, 서버(100)는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중치가 큰 메타 정보 또는 테마 정보에 우선하여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쿼리가 "HOT" 및 "빛"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쿼리는 메타 정보만을 포함할 뿐, 음원 그룹 정보(특히 테마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버(10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130)에 상기 정보들과 대응되는 메타 정보를 참조하여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 음원 데이터베이스(130)가 도 4와 같은 경우, 서버(100)는 연도 정보가 "1998", 장르 정보가 "댄스", 가수 정보가 "HOT", 앨범 정보가 "Resurrection"이고, 제목 정보가 "빛"인 음원을 검색 결과로 도출하여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쿼리가 음원 그룹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100)는 쿼리에 대응되는 음원 그룹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음원을 포함하는 음원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S250).
즉, 쿼리에 테마 정보 및 메타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서버(100)는 우선순위가 높은 테마 정보를 이용하여 음원 그룹을 검색한 후, 메타 정보의 하위 정보들이 가진 우선순위에 따라 음원 그룹에서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쿼리가 "운전", "할", "때" 및 "2AM"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쿼리는 음원 그룹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테마 정보)를 포함하므로 서버(100)는 음원 그룹 정보를 참조하여 "운전할 때"라는 테마 정보를 가진 음원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
서버(100)는 쿼리가 메타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60).
쿼리는 음원 그룹 정보만 포함하거나, 메타 정보만 포함하거나, 음원 그룹 정보 및 메타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할 때"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쿼리는 음원 그룹 정보만을 포함한 것이고, "어떡하죠"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쿼리는 메타 정보만을 포함한 것이며, "슬플 때, 김동률"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쿼리는 음원 그룹 정보 및 메타 정보를 모두 포함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쿼리가 "운전할 때"라는 테마 정보만을 포함하는 경우, 도 4와 같은 음원 데이터베이스(130)를 가진 서버(100)는 그룹 A의 하위 그룹인, "운전할 때" 듣는 것으로 분류된 음원 그룹 및 그룹 B의 하위 그룹인, "운전할 때" 듣는 것으로 분류된 음원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음원 그룹이 둘 이상 검색될 경우, 조회수가 높은 음원 그룹을 검색 결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룹 A "운전할 때" 및 그룹 B "운전할 때"가 모두 검색되고, 각 그룹의 조회수가 200, 150인 경우, 서버(100)는 그룹 A "운전할 때"를 검색 결과로 선택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쿼리가 메타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서버(100)는 검색된 음원 그룹에 포함된 음원을 조회수가 높은 순서에 따라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S270).
예를 들어, 그룹 A의 하위 그룹인 운전할 때 듣는 음원 그룹에 음원 a1 및 b1이 존재하고, 음원 a1 및 b1의 조회수가 각각 100, 80인 경우, 서버(100)는 조회수가 높은 음원 a1을 우선적으로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쿼리가 메타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100)는 검색된 음원 그룹의 음원 중 메타 정보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S280). 서버(100)는 검색된 음원을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S290).
예를 들어, 쿼리가 "운전", "할", "때" 및 "2AM"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100)는 쿼리가 메타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단하고, "운전할 때"로 분류된 음원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룹 A 및 그룹 B 모두 "운전할 때"로 분류된 음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서버(100)는 메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토큰화된 정보 "2AM"과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서버(100)는 그룹 A의 음원 중, 연도 정보가 "2008", 장르 정보가 "발라드", 가수 정보가 "2AM", 앨범 정보가 "잘못했어"이고, 제목 정보가 "어떡하죠"인 음원을 검색 결과로 도출하여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서버
110: 메모리
120: 중앙 처리부
130: 음원 데이터베이스
140: 통신 인터페이스
200: 스피커
210: 메모리
220: 마이크

Claims (10)

  1.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원 제공 방법에 있어서,
    스피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처리 가능한 쿼리(query)로 변환하는 단계;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쿼리에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음원을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음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 정보, 또는 테마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테마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 동작 상태 또는 날씨 중 하나와 관련된 정보이고,
    상기 스피커는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피커에 포함된 메모리에는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가 기록된,
    음원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진 연도 정보, 장르 정보, 앨범 정보, 가수 정보 또는 제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음원을 검색하는,
    음원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마 정보는 상기 메타 정보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테마 정보 및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하는 단계인,
    음원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가 상기 메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쿼리에 대응되는 상기 음원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원을 포함하는 음원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인
    음원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음원 그룹에 포함된 음원을 조회수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인,
    음원 제공 방법.
  6. 스피커로 음원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중앙 처리부;
    메타 정보 및 음원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스피커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처리 가능한 쿼리(query)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쿼리에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음원을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음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타 정보, 또는 테마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테마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 동작 상태 또는 날씨 중 하나와 관련된 정보이고,
    상기 스피커는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피커에 포함된 메모리에는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가 기록된,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진 연도 정보, 장르 정보, 앨범 정보, 가수 정보 또는 제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음원을 검색하는,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마 정보는 상기 메타 정보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테마 정보 및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을 검색하는 단계인,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가 상기 메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쿼리에 대응되는 상기 음원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원을 포함하는 음원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이고,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음원 그룹에 포함된 음원을 조회수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인,
    서버.
KR1020170017946A 2017-02-09 2017-02-09 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92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46A KR20180092380A (ko) 2017-02-09 2017-02-09 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46A KR20180092380A (ko) 2017-02-09 2017-02-09 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475A Division KR20180132019A (ko) 2018-12-03 2018-12-03 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380A true KR20180092380A (ko) 2018-08-20

Family

ID=6344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946A KR20180092380A (ko) 2017-02-09 2017-02-09 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3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403A (ko) * 2019-02-06 2021-09-14 구글 엘엘씨 클라이언트-컴퓨팅된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음성 질의 Qo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403A (ko) * 2019-02-06 2021-09-14 구글 엘엘씨 클라이언트-컴퓨팅된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음성 질의 QoS
KR20220058976A (ko) * 2019-02-06 2022-05-10 구글 엘엘씨 클라이언트-컴퓨팅된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음성 질의 QoS
KR20230141950A (ko) * 2019-02-06 2023-10-10 구글 엘엘씨 클라이언트-컴퓨팅된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음성 질의 Qo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122B1 (ko) 관련된 음악 및 스토리들이 있는 재생목록 생성 및 배포
US20150120286A1 (en) Apparatus, process, and program for combining speech and audio data
US95760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a playlist for an internet content provider
KR20160101979A (ko) 미디어 서비스
KR101942459B1 (ko) 음원 컨텐츠 및 메타 정보를 이용한 플레이리스트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01128880A (zh) 基于通用内容id检索用于播放列表的内容项目
US20150356176A1 (en) Content item usage based song recommendation
KR20180092380A (ko) 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03243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음악 선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132019A (ko) 음원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200293572A1 (en) Update method and update apparatus
KR102031282B1 (ko) 음원 컨텐츠 및 메타 정보를 이용한 플레이리스트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7332A (ko)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10077756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d playing back an audio recording
TWI808038B (zh) 媒體檔案選擇方法及服務系統與電腦程式產品
JP7061679B2 (ja) プレイリストの構成に基づいて曲の再生長さを予測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00118826A (ko)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한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및 시스템
JP2021518003A (ja) 成長グラフ基盤のプレイリスト推薦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