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170A - 향 첨가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향 첨가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170A
KR20180092170A KR1020170017598A KR20170017598A KR20180092170A KR 20180092170 A KR20180092170 A KR 20180092170A KR 1020170017598 A KR1020170017598 A KR 1020170017598A KR 20170017598 A KR20170017598 A KR 20170017598A KR 20180092170 A KR20180092170 A KR 2018009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water
gas
tank
micro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0535B1 (ko
Inventor
강경석
박현종
이호일
송재강
Original Assignee
(주) 시온텍
유한회사 도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온텍, 유한회사 도담 filed Critical (주) 시온텍
Priority to KR1020170017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5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3/04099
    • B01F15/00435
    • B01F15/00954
    • B01F15/0243
    • B01F15/026
    • B01F15/02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for mixing more than two compone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foam
    • B01F25/311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foam, e.g. air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81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or dirt; Sieves;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5/0406
    • B01F5/041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수와 고농도살균수를 혼합하여 원하는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살균수에 향기가 담긴 마이크로버블이 형성되게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향이 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Microbubble sterilization water preparation device}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살균기능이 있는 살균수에 마이크로버블 상태의 향이 내재된 마이크로버블 살균수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균수는 집안의 주방기구와 같은 제품들을 살균 및 소독을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손발과 같이 개인의 신체를 소독을 위해 가정이나 기업 등에 많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살균수는 소독수나 살균소독수 등으로 불리며,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병원균을 없애주면서 미생물들을 박멸하기에 위생용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기존의 살균수는 생산 후 지속시간이 짧은 경우가 많으며, 살균수의 생산량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595405호("살균수 발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 버블 노즐 모듈(2) 및 수산화기 발생 모듈(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보충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펌프(1)는 장치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버블 노즐 모듈(2)은 상기 펌프(1)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나노 버블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산화기 발생 모듈(3)은 상기 버블 노즐 모듈(2)을 경유하여 상기 나노 버블이 생성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나노 버블 및 수산화기가 포함된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장치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수산화기를 생성하여 살균수를 제조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는 전기분해장치가 포함되어야 하므로 전력이 과다하게 사용되어 유지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95405호("살균수 발생장치", 2016.02.12)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소독제가 함유된 물에 향기를 첨가하며, 상기 향기를 마이크로 버블화 하여 살균수 내 향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는,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100); 고농도살균수가 내부에 저장된 고농도살균수탱크(200); 외부에서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며, 액체상태의 향료(P)가 내부에 저장되되, 상기 기체 및 향료(P)를 혼합하여 기체향료(A)를 생성하는 향료탱크(300); 상기 원수공급부(100) 및 고농도살균수탱크(200)에서 각각 공급하는 원수 및 고농도살균수가 혼합된 살균수가 일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향료탱크(300)에서 기체향료(A)가 공급되어 상기 살균수 내에 마이크로버블 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하는 향료혼합기(400); 및 상기 향료혼합기(400)와 연결되어 기체향료(A) 및 살균수가 혼합된 마이크로버블 살균수를 배출하는 배출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는 상기 향료탱크(300)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체공급부(500)는 에어필터(510) 및 에어펌프(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향료탱크(300)는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에어필터(310),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에어체크밸브(320) 및 향료(P) 내에 형성되되 상기 에어필터(310)를 거쳐 공급된 기체를 향료(P)에 분사하는 분사노즐(331)이 구비된 분사기(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혼합기(400)는 상기 살균수에 기체향료(A)를 투입하는 향료흡입부(410) 및 상기 살균수에 투입된 기체향료(A)를 혼합하는 선회분산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향료흡입부(4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되되 중앙의 직경이 일측 및 타측보다 작게 형성된 벤츄리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살균수가 일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기체향료(A)가 중앙으로 유입되고, 상기 살균수 및 기체향료(A)가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회분산부(420)는 원통(421) 및 상기 원통(4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4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423)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원수공급부(100)는 상기 향료혼합기로(400)로 이송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110) 및 유량조절밸브(120)를 포함하며, 상기 고농도살균수탱크(200)는 상기 원수공급부(100) 및 향료탱크(400)를 연결하는 관 사이로 고농도살균수를 투입하되, 상기 고농도살균수를 투입하는 펌프(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는, 살균수에 향기를 첨가하여 사용자가 향취에 청량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살균물질 및 물의 농도를 조절하여 수용액으로 사용되는데, 특히 수용액 내의 살균물질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많은 냄새가 나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살균수는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향기가 첨가되면 빠른 시간에 산화가 될 수 있기에, 본 발명은 향을 마이크로버블 상태로 살균수 내에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기체를 마이크로버블화 하여 서서히 살균수 내에 축소 및 소멸되어 그 내부에 향을 머금고 있음으로써, 살균수의 살균력 및 세정력을 유지하면서 향의 직접적인 산화도 억제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살균수 발생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료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료혼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회분산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회분산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회분산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회분산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료혼합기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2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는, 원수공급부(100), 고농도살균수탱크(200), 향료탱크(300), 향료혼합기(400) 및 배출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수공급부(100)는 장치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원수를 공급하는 방법은 호스를 이용하여 수도나 물탱크 등과 연결할 수도 있으며, 협잡물이나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한 상태의 유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원수공급부(100)는 상기 향료혼합기(400)로 원수를 배출하며, 배출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솔레노이드밸브(110) 및 유량조절밸브(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10)는 원수의 공급을 On/Off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량조절밸브(120)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농도살균수탱크(200)는 고농도살균수가 내부에 저장된 형태의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농도살균수로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 또는 차아염소산수 등과 같이 살균세척을 할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손세척기나 주방청소, 치과용수 등과 같이 용도에 따라 물질이 선택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고농도살균수탱크(200)는 내부에 저장된 고농도살균수를 상기 향료혼합기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농도살균수탱크(200)에서 배출된 고농도살균수는 상기 원수공급부(100) 및 향료혼합기(400) 사이에 형성된 관에 투입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10) 및 유량조절밸브(120) 이후에 투입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농도살균수탱크(200)는 펌프(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원수공급부(100)의 유량조절밸브(120)와 고농도살균수탱크(200)의 펌프(210)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원수 및 고농도살균수의 양을 조절하기 때문에, 생성되는 살균수의 농도를 사용자가 설정 또는 조작하는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향료탱크(300)는 외부에서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며, 액체상태의 향료가 내부에 저장되되, 상기 기체 및 향료를 혼합하여 기체향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향료탱크(300)에 주입되는 기체는 주로 공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는 상기 향료탱크(300)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체공급부(500)는 에어필터(510) 및 에어펌프(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에어펌프(520)를 통해 상기 향료탱크(300) 내부로 기체가 이송되는 유동을 형성하면서 유량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510)를 통해 기체에 포함된 분진 등을 제거하여 최종생산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향료혼합기(400)는 상기 원수공급부(100) 및 고농도살균수탱크(200)에서 각각 공급하는 원수 및 고농도살균수가 혼합된 살균수가 일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향료탱크(300)에서 기체향료가 공급되어 상기 살균수 내에 마이크로버블 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살균수 및 기체향료를 서로 혼합하여 향기가 나는 살균수를 제조하되, 상기 기체향료가 마이크로버블 상태로 살균수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 향이 더 오래도록 지속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600)는 상기 향료혼합기(400)와 연결되어 기체향료 및 살균수가 혼합된 마이크로버블 살균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부(600)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손을 소독하기 위해 마이크로버블 살균수를 제조한다면 상기 배출부(6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향료탱크(300) 및 향료혼합기(400)는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3은 향료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향료탱크(300)는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에어필터(310),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에어체크밸브(320) 및 향료(P) 내에 형성되되 상기 에어필터(310)를 거쳐 공급된 기체를 향료(P)에 분사하는 분사노즐(331)이 구비된 분사기(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310)는 공급되는 기체의 분진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최종 생산물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살균수 내에 기체가 마이크로버블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기체에 이물질이 형성되면 마이크로버블이 형성되기 어려우며, 이물질이 살균수를 만나 산화되는 과정에서 최종 생산물의 살균력이 하락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에어필터(310)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에어체크밸브(320)는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수공급부(100)의 유량조절밸브(120) 및 상기 고농도살균수탱크(200)의 펌프(210)에서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형성하였다면, 상기 에어체크밸브(320)는 그러한 살균수에 일정한 양의 기체를 투입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기(330)는 상기 향료탱크(300)의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하되 기체를 이송하는 관 또는 호스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관 또는 호스 상에 상기 에어필터(310) 및 에어체크밸브(3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기(330)는 상기 향료탱크(300) 내부에 액체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향료(P)에 담겨져,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향료(P)의 하측에서 기체를 여러 방향으로 분사하여, 상기 기체가 상기 향료(P) 내에서 기포상태로 상승할 때, 상기 향료(P)에 포함된 향이 나는 성분들이 기포 내에 함유되어 기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향료탱크(330)은 상부에 기체향료(A)가 배출될 수 있는 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관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향료혼합기(400)와 연결되어 기체향료(A)를 공급하는 기능도 수반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4는 향료혼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향료혼합기(400)는 상기 살균수에 기체향료(A)를 투입하는 향료흡입부(410) 및 상기 살균수에 투입된 기체향료(A)를 혼합하는 선회분산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살균수(F_in)는 원수와 고농도살균수가 혼합된 상태이되 상기 향료흡입부(410)에 유입되기 전 상태를, 상기 기체향료살균수(F_out)는 상기 향료흡입부(410)를 지나 기체향료(A)가 포함된 살균수를, 마이크로버블 살균수(F)는 선회분산부(420)를 지나 상기 기체향료(A)가 마이크로버블 상태가 된 상태로 각각 표현한다.
상기 향료흡입부(41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되되 중앙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벤츄리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수(F_in)은 상기 향료흡입부(410)의 일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기체향료(A)는 벤츄리관의 목 부분인 중앙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중앙이란 표현은 좌우 양단의 정중앙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벤츄리관을 지나는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며 압력이 낮아지는 구간을 말한다. 이때 일측과 중앙에서 각각 유입된 살균수(F_in) 및 기체향료(A)는 서로 혼재된 기체향료살균수(F_out)상태로 타측으로 배출이 되며, 상기 선회분산부(420)를 지나 상기 기체향료(A)를 통해 만들어진 기포가 더욱 세밀하게 형성된 마이크로버블 살균수(F)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도 5는 선회분산부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6은 선회분산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선회분산부(420)는 원통(421) 및 상기 원통(4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4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421)의 전면(424) 또는 후면(42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통(421)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이가 형성되되, 전면(424) 및 후면(425)을 포함한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가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서로 다른 보조원통(422)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상기 블레이드(423)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상기 선회분산부의 측면도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423)는 상기 원통(4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되, 각각의 블레이드(423)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원통(42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선회분산부(420)는 회전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423)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살균수 내에 형성된 기포를 보다 잘게 쪼개어 마이크로버블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423)는 로터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원통(421)의 길이방향에 사선방향으로 부착되어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423)는 상기 원통(421)에 형성되되 보조원통(422)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2>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은 선회분산부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8은 선회분산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선회분산부(420)의 블레이드(423)는 선회유도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이 되어 상기 블레이드(423)가 회전 시에 상기 원통(421)의 중심을 기점으로 유입되는 살균수가 선회류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원통(422)에는 관통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원통(422)의 관통홈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421)의 중심으로 회전하는 큰 선회류가 만들어지는 것과 동시에 상기 보조원통(422)의 관통홈을 중심으로 작은 선회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회류는 기포를 더 잘게 쪼개어주는 효과와 함께, 원수와 고농도살균수가 서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인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는 향료혼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선회분산부(42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회분산부(420)에 형성된 블레이드 수를 달리하거나, 직경이나 나선형태를 서로 달리하여, 기체향료를 원하는 크기의 기포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원수공급부
110 : 솔레노이드밸브 120 : 유량조절밸브
200 : 고농도살균수탱크 210 : 펌프
300 : 항료탱크
310 : 에어필터 320 : 에어체크밸브
330 : 분사기 331 : 분사노즐
400 : 향료혼합기 410 : 향료흡입부
420 : 선회분산부
421 : 원통 423 : 블레이드
500 : 기체공급부
510 : 에어필터 520 : 에어펌프
600 : 배출부

Claims (7)

  1.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100);
    고농도살균수가 내부에 저장된 고농도살균수탱크(200);
    외부에서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며, 액체상태의 향료(P)가 내부에 저장되되, 상기 기체 및 향료(P)를 혼합하여 기체향료(A)를 생성하는 향료탱크(300);
    상기 원수공급부(100) 및 고농도살균수탱크(200)에서 각각 공급하는 원수 및 고농도살균수가 혼합된 살균수가 일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향료탱크(300)에서 기체향료(A)가 공급되어 상기 살균수 내에 마이크로버블 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하는 향료혼합기(400); 및
    상기 향료혼합기(400)와 연결되어 기체향료(A) 및 살균수가 혼합된 마이크로버블 살균수를 배출하는 배출부(600);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는
    상기 향료탱크(300)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50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체공급부(500)는 에어필터(510) 및 에어펌프(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탱크(300)는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에어필터(310),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에어체크밸브(320) 및 향료(P) 내에 형성되되 상기 에어필터(310)를 거쳐 공급된 기체를 향료(P)에 분사하는 분사노즐(331)이 구비된 분사기(330)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혼합기(400)는
    상기 살균수에 기체향료(A)를 투입하는 향료흡입부(410) 및 상기 살균수에 투입된 기체향료(A)를 혼합하는 선회분산부(420)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흡입부(4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되되 중앙의 직경이 일측 및 타측보다 작게 형성된 벤츄리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살균수가 일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기체향료(A)가 중앙으로 유입되고, 상기 살균수 및 기체향료(A)가 타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분산부(420)는
    원통(421) 및 상기 원통(4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4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423)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부(100)는 상기 향료혼합기로(400)로 이송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110) 및 유량조절밸브(120)를 포함하며,
    상기 고농도살균수탱크(200)는 상기 원수공급부(100) 및 향료탱크(400)를 연결하는 관 사이로 고농도살균수를 투입하되, 상기 고농도살균수를 투입하는 펌프(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KR1020170017598A 2017-02-08 2017-02-08 향 첨가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KR10198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598A KR101980535B1 (ko) 2017-02-08 2017-02-08 향 첨가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598A KR101980535B1 (ko) 2017-02-08 2017-02-08 향 첨가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170A true KR20180092170A (ko) 2018-08-17
KR101980535B1 KR101980535B1 (ko) 2019-05-21

Family

ID=6340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598A KR101980535B1 (ko) 2017-02-08 2017-02-08 향 첨가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5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050B1 (ko) * 2018-11-19 2019-04-30 (주)유림산업기계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질개선장치
KR20220117819A (ko) 2021-02-15 2022-08-24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유기막 형성용 재료, 반도체 장치 제조용 기판, 유기막의 형성 방법, 패턴 형성 방법 및 유기막 형성용 화합물
WO2023026627A1 (ja) * 2021-08-25 2023-03-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気泡発生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492B1 (ko) * 2000-03-21 2003-01-14 이진우 발향장치
JP2013017963A (ja) * 2011-07-12 2013-01-31 Bisansei Denkaisui Kenkyusho:Kk 殺菌水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3154342A (ja) * 2012-01-05 2013-08-15 Idec Corp 香り付与液生成装置、香り付与液生成方法、香り付与液、アルコール飲料および物質付与液生成装置
KR20150040134A (ko) * 2013-10-04 2015-04-14 (주)범용테크놀러지 미세버블 생성장치
KR101595405B1 (ko) 2014-02-28 2016-02-18 주식회사 엘럽스 살균수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492B1 (ko) * 2000-03-21 2003-01-14 이진우 발향장치
JP2013017963A (ja) * 2011-07-12 2013-01-31 Bisansei Denkaisui Kenkyusho:Kk 殺菌水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3154342A (ja) * 2012-01-05 2013-08-15 Idec Corp 香り付与液生成装置、香り付与液生成方法、香り付与液、アルコール飲料および物質付与液生成装置
KR20150040134A (ko) * 2013-10-04 2015-04-14 (주)범용테크놀러지 미세버블 생성장치
KR101595405B1 (ko) 2014-02-28 2016-02-18 주식회사 엘럽스 살균수 발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050B1 (ko) * 2018-11-19 2019-04-30 (주)유림산업기계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질개선장치
KR20220117819A (ko) 2021-02-15 2022-08-24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유기막 형성용 재료, 반도체 장치 제조용 기판, 유기막의 형성 방법, 패턴 형성 방법 및 유기막 형성용 화합물
WO2023026627A1 (ja) * 2021-08-25 2023-03-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気泡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535B1 (ko)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6715B1 (en) Sanitizing and cleaning process and method
KR101518864B1 (ko) 살균수 분사 장치를 구비한 변좌
KR101980535B1 (ko) 향 첨가 마이크로버블 살균수 제조장치
JP6331034B2 (ja) 除菌ミストシャワー装置
JP2015213569A (ja) 多目的入浴兼治療装置
US20100010422A1 (en) Nanofluid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EA019694B1 (ru) Озоновая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KR100799663B1 (ko) 오존을 이용한 살균수 제조장치
CA2378821A1 (en) Feed device having a function of sustained release for a mixing solution
US20150101113A1 (en) Toilet Cleaning Apparatus Having Bubble Supply Mechanism and Cleaning Method of Toilet Cleaning Apparatus
KR20120029259A (ko) 극미세 버블수 발생장치
CN201108612Y (zh) 一种二氧化氯消毒液雾化消毒装置
JP2011087905A (ja) 空気除菌装置
JP4360501B1 (ja) オゾン水生成装置及びオゾン水生成方法
JP2007089702A (ja) シャワー装置
JP4360502B1 (ja)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04337846A (ja) 炭酸水生成方法及び装置
KR20150083972A (ko) 액체 분사 장치
KR100791860B1 (ko) 오존수 제조장치
JP2022160379A (ja) オゾン水噴霧装置
CN114288451A (zh) 一种增强氧化消毒气雾产生的装置及方法
CN209809097U (zh) 真空设备灭菌系统
KR101518863B1 (ko) 살균수 분사 장치를 구비한 변좌
KR20140046877A (ko) 살균 및 세척수 제조 분사기
CN209985226U (zh) 一种臭氧水的即时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