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054A - 입체 영상 제공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제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054A
KR20180092054A KR1020170017350A KR20170017350A KR20180092054A KR 20180092054 A KR20180092054 A KR 20180092054A KR 1020170017350 A KR1020170017350 A KR 1020170017350A KR 20170017350 A KR20170017350 A KR 20170017350A KR 20180092054 A KR20180092054 A KR 20180092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polarized light
prism
light
liqui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유 킴 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킴 훙 filed Critical 유 킴 훙
Priority to KR1020170017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054A/ko
Priority to PCT/KR2018/001709 priority patent/WO2018147657A1/ko
Publication of KR20180092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arrays of controllable light sources; using moving apertures or moving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6Image reproducers using prisms or semi-transparent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입사되는 광 중에서 제1 편광은 반사시키고, 제2 편광은 스크린으로 통과시키는 광 분할기; 상기 제1 편광을 스크린으로 반사시키는 미러; 상기 미러 및 상기 광 분할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키는 미러 프리즘; 및 상기 미러 및 상기 광 분할기 사이에서 상기 제1 편광의 광로에 해당하는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키는 액체 계층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제공{PROVIDING 3-DIMENSIONAL IMAGE}
본 명세서는 입체 영상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사되는 광은 입체 영상 장치를 통과하여 편광될 수 있다. 편광된 광은 스크린에 교번적으로 직교 편광의 이미지들을 생성한다.
편광 선택성 안경은 한 편광의 이미지들을 좌측 눈에 보내고, 직교 편광의 이미지들을 우측 눈에 보낸다.
따라서, 사용자의 각 눈에 상이한 이미지들을 제공함으로써, 3D 화상이 합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크린에 투영되는 입체 영상의 화질과 밝기를 개선하기 위한 입체 영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입체 영상 장치는 입사되는 광 중에서 제1 편광은 반사시키고, 제2 편광은 스크린으로 통과시키는 광 분할기; 상기 제1 편광을 스크린으로 반사시키는 미러; 상기 미러 및 상기 광 분할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키는 미러 프리즘; 및 상기 미러 및 상기 광 분할기 사이에서 상기 제1 편광의 광로에 해당하는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키는 액체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 및 상기 미러 프리즘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액체 계층의 투과율은 상기 미러 프리즘의 투과율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 프리즘은 미러 프리즘 경사면 및 미러 프리즘 수용면을 포함하고, 상기 미러 프리즘 경사면은 상기 광 분할기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미러 프리즘을 통과하는 상기 제1 편광을 방출하고, 상기 미러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미러 프리즘으로 입사되는 상기 제1 편광을 수용하고, 상기 미러 프리즘 수용면은 상기 광 분할기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편광을 수용하고, 상기 미러 프리즘 경사면은 상기 미러 프리즘 수용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분할기는 상기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편광 분할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분할기는, 상기 입사되는 광 및 상기 편광 분할막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키는 반사 프리즘; 및 상기 편광 분할막으로부터 통과된 상기 제2 편광을 통과시키는 통과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계층은 상기 미러 및 상기 미러 프리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계층은 상기 미러 및 상기 미러 프리즘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계층은 상기 미러 프리즘 및 상기 광 분할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계층은 상기 미러 프리즘 및 상기 광 분할기와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입체 영상 장치는 상기 제1 편광을 상기 제2 편광으로 변환하는 반파장 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영상 장치는 상기 제2 편광을, 이미지 프레임에 동기되고, 좌영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1 출력 편광 또는 우영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2 출력 편광으로 변조하는 변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스크린에 투영되는 입체 영상의 화질과 최종 밝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입체 영상 장치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입체 영상 장치의 조립 시 생기는 오차를 줄여 스크린에 투영되는 입체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두 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공기 계층과 액체 계층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인 미러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하나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두 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하나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두 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하나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두 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 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하나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체 영상 장치는 광 분할기(110), 미러(120), 미러 프리즘(130), 액체 계층(140), 반파장 리타더(150), 및 변조기(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분할기(110)는 입사되는 광(제1 편광 및 제2 편광을 포함) 중에서 제1 편광은 반사시키고, 제2 편광은 스크린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제1 편광은 미러(120)로 향하는 방향으로 반사되고, 제2 편광은 스크린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다.
제1 편광은 S-편광이고, 제2 편광은 P-편광일 수 있다. 또한, 제1 편광은 P-편광이고, 제2 편광은 S-편광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편광은 S-편광이고, 제2 편광은 P-편광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광 분할기(110)는 복수의 광 분할기 프리즘(112, 116) 및 편광 분할막(11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미러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의 경우, 광 분할기(110)는 반사 프리즘(112) 및 통과 프리즘(116)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프리즘(112)은 상기 입사되는 광(제1 편광 및 제2 편광) 및 상기 편광 분할막(117)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통과 프리즘(116)은 상기 편광 분할막(117)으로부터 통과된 상기 제2 편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편광 분할막(117)은 상기 반사 프리즘(112) 및 상기 통과 프리즘(11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 프리즘(112)은 상기 편광 분할막(117)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편광을 방출하는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을 포함할 수 있다.
미러(120)는 상기 제1 편광을 스크린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120)는 빛을 전반사시키는 거울일 수 있다. 또한, 미러(120)는 빛을 전반사시키는 유리 및/또는 반사 소자일 수 있다.
미러(120)는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120)는 y축 방향(광 분할기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이 미러로 향하는 방향) 또는 x축 방향(미러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이 스크린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미러(120)는 미러(120) 상의 임의의 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미러 프리즘(130)은 상기 미러(120) 및 상기 광 분할기(1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 프리즘(130)은 광 분할기(110)로부터 반사되는 제1 편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 프리즘(130)은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 미러 프리즘 경사면(134), 및 미러 프리즘 방출면(136)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은 상기 광 분할기(110)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편광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은 상기 광 분할기(110)에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은 상기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체 영상 장치의 조립 시 생기는 오차를 줄여 스크린에 투영되는 입체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미러 프리즘 경사면(134)은 상기 광 분할기(110)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미러 프리즘(130)을 통과하는 상기 제1 편광을 방출하고, 상기 미러(120)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액체 계층(140)을 통과하는 상기 제1 편광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 프리즘 경사면(134)은 상기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미러 프리즘 방출면(136)은 상기 미러(120)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액체 계층(140) 및 상기 미러 프리즘(130)을 통과하는 상기 제1 편광을 방출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상기 미러(120) 및 상기 광 분할기(110) 사이의 상기 제1 편광의 광로에 해당하는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계층(140)은 상기 미러(120) 및 상기 미러 프리즘(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러(120) 및 상기 미러 프리즘(130)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액체 계층은 상기 제1 편광의 발산 각도를 감소시켜 제1 편광의 경로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편광 분할막(117)과 미러(12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편광이 공기층을 지나는 경우, 제1 편광은 공기층에서 발산하고 에너지를 잃는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술은 편광 분할막(117)과 미러(120) 사이의 공간에 공기층을 제거함으로써, 광의 발산 각도를 감소시키고, 광의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분할막(117)과 미러(120) 사이에, 미러 프리즘(130) 및 반사 프리즘(112)이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 사이에, 액체 계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이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 사이의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 사이를 통과하는 제1 편광은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다.
미러(120)가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경우, 액체 계층(140)은 유동적으로 모양을 변경하여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 사이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유동성을 지닌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의 투과율은 상기 미러 프리즘(130)의 투과율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 프리즘(130)의 구성 성분은 유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계층(140)은 유동적인 액체 및 액체를 둘러싸는 투명한 막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한 막은 미러(120) 및 미러 프리즘(130)에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액체 계층(140)은 점성이 있는 유동적인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적인 액체는 점성으로 인하여 미러(120) 및 미러 프리즘(130) 사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미러(120) 및 미러 프리즘(130)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의 투과율이 미러 프리즘(130)의 투과율과 동일하므로, 제1 편광은 액체 계층(140)을 통과하면서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계층(140)의 굴절율은 미러 프리즘(130)의 굴절율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반파장 리타더(150)는 광을 다른 편광성분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파장 리타더(150)는 제1 편광(S-편광)을 제2 편광(P-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반대로, 반파장 리타더(150)는 제2 편광(P-편광)을 제1 편광(S-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반파장 리타더(150)는 수색성 반파 판일 수 있다. 반파 판은 폴리머 막들, 석영 판들, 또는 기하학적 편광 변동을 없애기 위해(account for) 광학적으로 패터닝된 정적 액정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반파장 리타더(150)는 미러(120)에 의해서 반사된 제1 편광과 광 분할기(110)에 의해서 통과된 제2 편광이 반파장 리타더(150)에서 중첩하지 않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반파장 리타더(150)는 미러 프리즘 방출면(136)을 통과한 제1 편광의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 분할기(110)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은 반파장 리타더(150)에 의하여 제2 편광으로 변환된 후에 스크린으로 향하고,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은 그대로 스크린으로 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반파장 리타더(150)는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의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 분할기(110)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은 미러(120)에 의해 반사되어 스크린으로 향하고,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은 반파장 리타더(150)에 의하여 제1 편광으로 변환된 후에 그대로 스크린으로 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반파장 리타더(150)가 미러 프리즘 방출면(136)을 통과한 제1 편광의 경로에 배치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변조기(160)는 상기 제2 편광을, 이미지 프레임에 동기되고, 좌영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1 출력 편광 또는 우영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2 출력 편광으로 선택적으로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기(16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광의 편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변조기(160)는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변조할 수 있다.
영상 프로젝터는 이미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이미지 프레임은 좌영상 프레임 및 우영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프로젝터는 좌영상 프레임 및 우영상 프레임을 시간적으로 번갈아서 방출할 수 있다. 즉, 입체 영상 장치에 입사되는 광은 좌영상 프레임 또는 우영상 프레임을 시간적으로 번갈아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영상 프레임 및 우영상 프레임은 미리 정해진 프레임률에 따라서 시간적으로 교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영상 프레임 또는 우영상 프레임의 프레임률은 각각 24-프레임/초일 수 있다.
제1 출력 편광은 좌영상 프레임에 대응하고, 제2 출력 편광은 우영상 프레임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 편광은 1 편광에 대응하고, 제2 출력 편광은 제2 편광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 편광 및/또는 제2 출력 편광은 제1 편광 및/또는 제2 편광과는 다른 편광일 수도 있다.
입력되는 이미지 프레임이 좌영상 프레임과 우영상 프레임으로 교번되므로, 변조기(160)는 입력되는 이미지 프레임과 동기된 제1 출력 편광 및 제2 출력 편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좌영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출력 편광을 좌안으로 보며, 우영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출력 편광을 우안으로 볼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좌영상 프레임 및 우영상 프레임의 시차로 인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변조기(160)는 일체형일 수도 있고, 분할된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변조기(160)는 반파장 리타더(150)에 의하여 변환된 제2 편광을변조하는 반사 변조기(미도시) 및 광 분할기(110)에 의하여 통과된 제2 편광을 변조하는 통과 변조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확대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는 광 분할기(110) 및 변조기(16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변조기(160) 및 스크린(미도시)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편광을 통과시키는 렌즈는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에 의한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미러 프리즘(130)은 미러(120)에 의해서 반사된 제1 편광에 의한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미러(120)에 의해서 반사되고, 미러 프리즘(130)을 통과한 제1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축소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편광을 통과시키는 렌즈는 미러 프리즘(130)을 통과한 제1 편광에 의한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도 2는 두 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체 영상 장치는 광 분할기(110), 제1 미러(120a), 제2 미러(120b), 제1 미러 프리즘(130a), 제2 미러 프리즘(130b), 제1 액체 계층(140a), 제2 액체 계층(140b), 제1 반파장 리타더(150a), 제2 반파장 리타더(150b), 및 변조기(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분할기(110)는 입사되는 광(제1 편광 및 제2 편광) 중에서 제1 편광은 반사시키고, 제2 편광은 스크린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광 분할기(110)는 제1 편광 중에서 일부는 제1 미러(120a)로 반사시키고, 나머지는 제2 미러(120b)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분할기(110)는 입사되는 광의 연직 방향 단면에 대하여, 절반의 제1 편광은 제1 미러(120a)로 반사시키고, 나머지 절반의 제1 편광은 제2 미러(120b)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광 분할기(110)는 제2 편광을 모두 스크린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광 분할기(110)는 제1 반사 프리즘(112a), 제2 반사 프리즘(112b), 통과 프리즘(116), 제1 편광 분할막(117a), 및 제2 편광 분할막(117b)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 프리즘(112a)은 제1 편광 분할막(117a)으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광을 수용하고, 제1 편광 분할막(117a)로부터 반사되는 제1 편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반사 프리즘(112b)은 제2 편광 분할막(117b)으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광을 수용하고, 제2 편광 분할막(117b)로부터 반사되는 제1 편광을 방출할 수 있다.
통과 프리즘(116)은 제1 편광 분할막(117a) 및 제2 편광 분할막(117b)으로부터 통과되는 제2 편광의 경로에 배치되며, 제2 편광을 수용하고, 제2 편광을 스크린으로 방출할 수 있다.
제1 편광 분할막(117a)은 입사되는 광의 일부 영역에 포함된 제1 편광을 제1 미러(120a)로 반사시키고, 제2 편광을 스크린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제1 편광 분할막(117a)은 제1 반사 프리즘(112a) 및 통과 프리즘(116)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반사 프리즘(112a) 및 통과 프리즘(116)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 편광 분할막(117b)은 입사되는 광의 나머지 영역에 포함된 제1 편광을 제2 미러(120b)로 반사시키고, 제2 편광을 스크린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제2 편광 분할막(117b)은 제2 반사 프리즘(112b) 및 통과 프리즘(116)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반사 프리즘(112b) 및 통과 프리즘(116)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편광 분할막(117a)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은 제1 미러 프리즘(130a), 제1 액체 계층(140a), 및 제1 미러(120a)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 미러(120a)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은 제1 반파장 리타더(150a)를 통과하면서 제2 편광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나서, 제2 편광은 변조기(160)에 의해서 제1 출력 편광 또는 제2 출력 편광으로 변조된다. 구제적인 내용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제2 편광 분할막(117b)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은 제2 미러 프리즘(130b), 제2 액체 계층(140b), 및 제2 미러(120b)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2 미러(120b)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은 제2 반파장 리타더(150b)를 통과하면서 제2 편광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나서, 제2 편광은 변조기(160)에 의해서 제1 출력 편광 또는 제2 출력 편광으로 변조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로, 반파장 리타더(150a, 150b)는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의 경로에 하나의 반파장 리타더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 분할기(110)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은 제1 미러(120a) 및 제2 미러(120b)에 의해 반사되어 스크린으로 향하고,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은 하나의 반파장 리타더에 의하여 제1 편광으로 변환된 후에 스크린으로 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변조기(160)는 일체형일 수도 있고, 분할된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변조기(160)는 반파장 리타더(150a, 150b)에 의하여 변환된 제2 편광을 변조하는 반사 변조기(미도시) 및 광 분할기(110)에 의하여 통과된 제2 편광을 변조하는 통과 변조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변조기는 제1 반파장 리타더(150a)에 의하여 변환된 제2 편광을 변조하는 제1 반사 변조기(미도시) 및 제2 반파장 리타더(150b)에 의하여 변환된 제2 편광을 변조하는 제2 반사 변조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확대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미러(120a) 및/또는 제2 미러(120b)에 의해서 반사되고, 제1 미러 프리즘(130a) 및/또는 제2 미러 프리즘(130b)을 통과한 제1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축소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공기 계층과 액체 계층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a)를 참조하면, 미러(120a)와 미러 프리즘(130a) 사이에는 공기 계층(140a)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계층(140a)에는 입자(141a)들이 존재할 수 있다. 공기 계층(140a)에 존재하는 입자(141a)로 인하여, 공기 계층(140a)의 투과율과 미러 프리즘(130a)의 투과율은 차이가 발생한다. 즉, 공기 계층(140a)의 투과율은 미러 프리즘(130a)의 투과율보다 낮을 수 있다.
미러 프리즘(130a)를 통과한 제1 편광은 공기 계층(140a)을 통과하여 미러(120a)로 진행한다. 또한, 미러(120a)로부터 반사된 제1 편광은 다시 공기 계층(140a)를 통과하여 미러 프리즘(130a)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제1 편광은 공기 계층(140a)를 두 번 통과하게 된다. 제1 편광이 공기 계층(140a)를 통과하면, 공기 계층(140a)에 존재하는 입자(141a)에 제1 편광이 부딪칠 수 있다. 제1 편광은 공기 계층(140a)에 존재하는 입자(141a)에 흡수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편광의 에너지는 공기 계층(140a)에 의해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편광의 에너지의 감소는 광의 산란, 난반사, 굴절, 소멸 등과 같은 예지치 못한 광의 진행 경로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b)를 참조하면, 미러(120b)와 미러 프리즘(130b) 사이에는 액체 계층(140b)이 형성되어 있다. 액체 계층(140b)은 미러(120b) 및 미러 프리즘(130b)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액체 계층(140b)의 투과율은 미러 프리즘(130b)의 투과율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계층(140b)의 투과율은 공기 계층(140a)의 투과율보다는 높을 수 있다.
액체 계층(140b)은 투명한 유동성의 액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액체 계층(140b)의 액체는 투명한 막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또한, 액체 계층은 투명한 막이 없이 점성이 있는 액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이 투명 매질(유리 또는 물)을 통과할 때, 투명 매질은 광의 에너지를 흡수하지 않는다.
미러 프리즘(130b)를 통과한 제1 편광은 액체 계층(140b)을 통과하여 미러(120b)로 진행한다. 또한, 미러(120b)로부터 반사된 제1 편광은 다시 액체 계층(140b)를 통과하여 미러 프리즘(130b)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제1 편광은 액체 계층(140b)를 두 번 통과하게 된다. 하지만, 제1 편광이 액체 계층(140b)를 통과하더라도, 액체 계층(140b)이 제1 편광을 흡수 및/또는 반사하지 않으므로 제1 편광의 에너지는 그대로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스크린에 투영되는 입체 영상의 화질과 최종 밝기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미러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a)를 참조하면, 미러 모듈은 미러(120), 미러 프리즘(130), 및 액체 계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미러(120)는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120)는 x축 방향(스크린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y축 방향(x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미러(120)는 미러(120) 상의 임의의 z축(123)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광 분할기에 의하여 반사된 제1 편광은 미러(120)에 의하여 스크린 방향으로 반사된다. 반사된 제1 편광은 반파장 리타더에 의해서 제2 편광으로 변환된다. 반파장 리타더에 의해서 변환된 제2 편광 및 광 분할기를 통과한 제2 편광은 스크린에서 서로 중첩되어 더욱 밝은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미러(120)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제2 편광으로부터 생성된 이미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미러(12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 사이에 배치되고, 미러(120)과 미러 프리즘(130)에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유동성을 가지므로, 미러(120)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z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미러(1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계층(140)은, 미러(120)가 이동된 상태에서, 광 분할기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의 광로에 해당하는,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 사이의 공간에 공기 계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광 분할기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은 액체 계층(140)을 통과하면서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다.
도 (b) 및 (c)를 참조하면, 미러(120)가 회전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미러(120)는 광 분할기로부터 반사된 제1 편광(5)을 스크린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미러(120)는 회전 또는 이동하면서 제1 편광(5)이 스크린에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미러(120)는 반사된 제1 편광(5)(이후 반파장 리타더에 의해서 제2 편광으로 변환된다)이 광 분할기를 통과한 제2 편광과 스크린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반사된 제1 편광(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미러(12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액체 계층(140)은, 미러(120)가 이동한 상태에서도, 제1 편광의 광로에 해당하는,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영상 프로젝터(101)는 이미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미지 프레임은 좌영상 프레임 및 우영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프로젝터(101)는 좌영상 프레임 및 우영상 프레임을 시간적으로 번갈아서 방출할 수 있다. 즉, 입체 영상 장치에 입사되는 광은 좌영상 프레임 또는 우영상 프레임을 시간적으로 번갈아서 포함할 수 있다.
광은 제1 편광 및 제2 편광을 포함할 수 있다. 좌영상 프레임이 광에 포함된 경우, 광은 좌영상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1 편광 및 제2 편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영상 프레임이 광에 포함된 경우, 광은 우영상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1 편광 및 제2 편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편광은 광 분할기(110)에 의하여 반사되고, 미러(120)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 편광은 광 분할기(110)을 통과하고, 스크린(190)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광 분할기(110)는 제1 편광을 하나의 미러(120)로 모두 반사할 수 있다.
광 분할기(110)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은 미러(120)에 의해서 다시 반사되어 스크린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의 투과율과 미러 프리즘(130)의 투과율이 동일하고, 액체 계층(140) 및 미러 프리즘(130)에 의하여 미러(120)와 광 분할기(110) 사이의 공기 계층이 제거되므로, 제1 편광은 액체 계층(140) 및 미러 프리즘(130)을 통과하더라도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다.
미러(120)는, 반파장 리타더(150)에 의해서 제1 편광으로부터 변환된 제2 편광과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이 스크린(190)에 중첩될 수 있도록, 광 분할기(110)로부터 반사된 제1 편광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미러(120)에 의하여 반사된 제1 편광은 반파장 리타더(150)에 의하여 제2 편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변조기(160)는 반파장 리타더(150)에 의하여 변환된 제2 편광 및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을 이미지 프레임에 동기된 제1 출력 편광 또는 제2 출력 프레임으로 변조할 수 있다.
또한,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확대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미러(120)에 의해서 반사되고, 미러 프리즘(130)을 통과한 제1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축소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출력 편광은 좌영상 프레임에 대응되고, 제2 출력 편광은 우영상 프레임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출력 편광 및 제2 출력 편광은, 이미지 프레임에 동기되어, 교번적으로 스크린(190)에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두 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체 영상 장치는 광 분할기(110), 제1 미러(120a), 제2 미러(120b), 제1 미러 프리즘(130a), 제2 미러 프리즘(130b), 제1 반파장 리타더(150a), 제2 반파장 리타더(150b), 및 변조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분할기(110)는 입사되는 광 중에서 제1 편광의 절반은 제1 미러(120a)로 반사하고, 나머지 절반은 제2 미러(120b)로 반사할 수 있다. 또한, 광 분할기(110)는 입사되는 광 중에서 제2 편광은 모두 통과시킬 수 있다.
제1 미러(120a)는 광 분할기로부터 반사된 제1 편광을 스크린(19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반파장 리타더(150a)는 반사된 제1 편광을 제2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미러(120b)는 광 분할기로부터 반사된 나머지 제1 편광을 스크린(19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 반파장 리타더(150b)는 반사된 제1 편광을 제2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변조기(160)는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 제1 반파장 리타더(150a)에 의해서 변환된 제2 편광, 제2 반파장 리타더(150b)에 의해서 변환된 제2 편광을 변조할 수 있다.
변조기(160)는 제2 편광을, 이미지 프레임에 동기되고, 좌영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1 출력 편광 또는 우영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2 출력 편광으로 변조할 수 있다.
또한,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확대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또한, 제1 미러(120a) 및/또는 제2 미러(120b)에 의해서 반사되고, 제1 미러 프리즘(130a) 및/또는 제2 미러 프리즘(130b)을 통과한 제1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축소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스크린(190)에는 좌영상 이미지 또는 우영상 이미지가 교번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하나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체 영상 장치는 광 분할기(110), 미러(120), 미러 프리즘(130), 액체 계층(140), 반파장 리타더(150), 및 변조기(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은 서로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의 미러 프리즘 경사면(134)는 서로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된 미러(120) 및 미러 프리즘(130)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된 미러(120) 및 미러 프리즘(130)은 y축 방향(광 분할기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이 미러로 향하는 방향) 또는 x축 방향(미러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이 스크린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미러(120) 및 미러 프리즘은 미러(120) 또는 미러 프리즘(130) 상의 임의의 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미러 프리즘(130) 및 광 분할기(110) 사이에 배치되고, 미러 프리즘(130) 및 광 분할기(110)와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계층(140)은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 및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 사이에 배치되고,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 및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광 분할기(110)로부터 반사된 제1 편광은 액체 계층(140) 및 미러 프리즘(1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미러(120)로 진행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미러 프리즘(130) 및 광 분할기(11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제1 편광의 발산 각도를 감소시켜 제1 편광의 경로를 보정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이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 사이의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미러(120)와 미러 프리즘(130) 사이를 통과하는 제1 편광은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계층(140)은 결합된 미러(120) 및 미러 프리즘(13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결합된 미러(120) 및 미러 프리즘(13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제2 편광으로부터 생성된 이미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확대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미러(120)에 의해서 반사되고, 미러 프리즘(130)을 통과한 제1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축소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두 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체 영상 장치는 광 분할기(110), 제1 미러(120a), 제2 미러(120b), 제1 미러 프리즘(130a), 제2 미러 프리즘(130b), 제1 액체 계층(140a), 제2 액체 계층(140b), 제1 반파장 리타더(150a), 제2 반파장 리타더(150b), 및 변조기(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미러(120a)와 제1 미러 프리즘(130a)은 서로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미러(120a)와 제1 미러 프리즘(130a)의 제1 미러 프리즘 경사면(134a)는 서로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된 제1 미러(120a) 및 제1 미러 프리즘(130a)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결합된 미러 및 미러 프리즘에 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2 미러(120b)와 제2 미러 프리즘(130b)은 서로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b 미러(120b)와 제b 미러 프리즘(130b)의 제b 미러 프리즘 경사면(134b)는 서로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된 제2 미러(120b) 및 제2 미러 프리즘(130b)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결합된 미러 및 미러 프리즘에 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체 계층(140a)은 제1 미러 프리즘(130a) 및 광 분할기(11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미러 프리즘(130a) 및 광 분할기(110)와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액체 계층(140a)은 제1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a) 및 제1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a)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a) 및 제1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a)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 액체 계층(140b)은 제2 미러 프리즘(130b) 및 광 분할기(11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미러 프리즘(130b) 및 광 분할기(110)와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액체 계층(140b)은 제2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b) 및 제2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b)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b) 및 제2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b)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액체 계층(140a) 및 제2 액체 계층(140b)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액체 계층에 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확대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미러(120a) 및/또는 제2 미러(120b)에 의해서 반사되고, 제1 미러 프리즘(130a) 및/또는 제2 미러 프리즘(130b)을 통과한 제1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축소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하나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체 영상 장치는 광 분할기(110), 미러(120), 미러 프리즘(130), 액체 계층(140), 반파장 리타더(150), 및 변조기(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각각의 미러(120) 및/또는 미러 프리즘(130)은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미러(120) 및/또는 미러 프리즘(130)은 y축 방향(광 분할기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이 미러로 향하는 방향) 또는 x축 방향(미러에서 반사된 제1 편광이 스크린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미러(120) 및/또는 미러 프리즘(130)은 미러(120) 및/또는 미러 프리즘(130) 상의 임의의 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액체 계층(140)은 하부 액체 계층(141) 및 상부 액체 계층(14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액체 계층(141)은 미러 프리즘(130) 및 광 분할기(110) 사이에 배치되고, 미러 프리즘(130) 및 광 분할기(110)와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액체 계층(143)은 미러(120) 및 미러 프리즘(130) 사이에 배치되고, 미러(120) 및 미러 프리즘(130)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액체 계층(141) 및/또는 상부 액체 계층(143)은 미러(120) 및 광 분할기(11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제거하고, 제1 편광의 발산 각도를 감소시켜 제1 편광의 경로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액체 계층(141) 및/또는 상부 액체 계층(143)은 각각의 미러(120) 및/또는 미러 프리즘(13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확대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미러(120)에 의해서 반사되고, 미러 프리즘(130)을 통과한 제1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축소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두 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체 영상 장치는 광 분할기(110), 제1 미러(120a), 제2 미러(120b), 제1 미러 프리즘(130a), 제2 미러 프리즘(130b), 제1 액체 계층(140a), 제2 액체 계층(140b), 제1 반파장 리타더(150a), 제2 반파장 리타더(150b), 및 변조기(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액체 계층(140a)은 제1 하부 액체 계층(141a) 및 제1 상부 액체 계층(14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액체 계층(141a)은 제1 미러 프리즘(130a) 및 광 분할기(11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미러 프리즘(130a) 및 광 분할기(110)와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부 액체 계층(141a)은 제1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a) 및 제1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a)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a) 및 제1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a)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 액체 계층(143a)은 제1 미러(120a) 및 제1 미러 프리즘(130a)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미러(120a) 및 제1 미러 프리즘(130a)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부 액체 계층(143a)은 제1 미러(120a) 및 제1 미러 프리즘 경사면(134a)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미러(120a) 및 제1 미러 프리즘 경사면(134a)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 액체 계층(140b)은 제2 하부 액체 계층(141b) 및 제2 상부 액체 계층(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액체 계층(141b)은 제2 미러 프리즘(130b) 및 광 분할기(11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미러 프리즘(130b) 및 광 분할기(110)와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부 액체 계층(141b)은 제2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b) 및 제2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b)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미러 프리즘 수용면(132b) 및 제2 반사 프리즘 방출면(111b)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부 액체 계층(143b)은 제2 미러(120b) 및 제2 미러 프리즘(130b)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미러(120b) 및 제2 미러 프리즘(130b)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상부 액체 계층(143b)은 제2 미러(120b) 및 제2 미러 프리즘 경사면(134b)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미러(120b) 및 제2 미러 프리즘 경사면(134b)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액체 계층(140a) 및/또는 제2 액체 계층(140b)은 미러 및 광 분할기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제거하고, 제1 편광의 발산 각도를 감소시켜 제1 편광의 경로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체 계층(140a) 및/또는 제2 액체 계층(140b)은 각각의 미러 및/또는 미러 프리즘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 분할기(110)를 통과한 제2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확대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미러(120a) 및/또는 제2 미러(120b)에 의해서 반사되고, 제1 미러 프리즘(130a) 및/또는 제2 미러 프리즘(130b)을 통과한 제1 편광의 경로에 이미지의 축소를 위한 렌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액체 계층(140a) 및 제2 액체 계층(140b)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액체 계층에 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의 기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기술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기술은 본 기술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110 : 광 분할기 120 : 미러
130 : 미러 프리즘 140 : 액체 계층
150 : 반파장 리타더 160 : 변조기

Claims (10)

  1. 입사되는 광 중에서 제1 편광은 반사시키고, 제2 편광은 스크린으로 통과시키는 광 분할기;
    상기 제1 편광을 스크린으로 반사시키는 미러;
    상기 미러 및 상기 광 분할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키는 미러 프리즘; 및
    상기 미러 및 상기 광 분할기 사이에서 상기 제1 편광의 광로에 해당하는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키는 액체 계층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및 상기 미러 프리즘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이동 가능한 입체 영상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계층의 투과율은 상기 미러 프리즘의 투과율과 동일한 입체 영상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프리즘은 미러 프리즘 경사면 및 미러 프리즘 수용면을 포함하고,
    상기 미러 프리즘 경사면은 상기 광 분할기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미러 프리즘을 통과하는 상기 제1 편광을 방출하고, 상기 미러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미러 프리즘으로 입사되는 상기 제1 편광을 수용하고,
    상기 미러 프리즘 수용면은 상기 광 분할기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편광을 수용하고,
    상기 미러 프리즘 경사면은 상기 미러 프리즘 수용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입체 영상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기는 상기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편광 분할막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할기는,
    상기 입사되는 광 및 상기 편광 분할막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편광을 통과시키는 반사 프리즘; 및
    상기 편광 분할막으로부터 통과된 상기 제2 편광을 통과시키는 통과 프리즘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계층은 상기 미러 및 상기 미러 프리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계층은 상기 미러 및 상기 미러 프리즘과 접촉하여 결합되는 입체 영상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계층은 상기 미러 프리즘 및 상기 광 분할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계층은 상기 미러 프리즘 및 상기 광 분할기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입체 영상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을 상기 제2 편광으로 변환하는 반파장 리타더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을, 이미지 프레임에 동기되고, 좌영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1 출력 편광 또는 우영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2 출력 편광으로 변조하는 변조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KR1020170017350A 2017-02-08 2017-02-08 입체 영상 제공 KR20180092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350A KR20180092054A (ko) 2017-02-08 2017-02-08 입체 영상 제공
PCT/KR2018/001709 WO2018147657A1 (ko) 2017-02-08 2018-02-08 입체 영상 제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350A KR20180092054A (ko) 2017-02-08 2017-02-08 입체 영상 제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054A true KR20180092054A (ko) 2018-08-17

Family

ID=6310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350A KR20180092054A (ko) 2017-02-08 2017-02-08 입체 영상 제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92054A (ko)
WO (1) WO20181476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1149A (ja) * 2005-07-01 2007-01-18 Sharp Corp 反射角可変プリズ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付き携帯機器
KR101681917B1 (ko) * 2006-09-29 2016-12-02 리얼디 인크. 입체 투사를 위한 편광 변환 시스템들
JP2008102312A (ja) * 2006-10-19 2008-05-01 Toppan Printing Co Ltd 光束分割素子および撮像装置
KR101702024B1 (ko) * 2015-04-06 2017-02-02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원격정렬형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상영방법
KR101641479B1 (ko) * 2016-03-24 2016-07-20 김상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657A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8926B2 (en) Stereo projection apparatus and stereo projection system with low throw ratio and high light efficiency
US8077196B2 (en) Stereo projection optical system
US10663852B2 (en) Polarization modulator for stereoscopic projection with high light efficiency and polarization beam splitting prism assembly thereof
CN107889552B (zh) 使用调制器不对称驱动器的高亮度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40218648A1 (en) Device for the polarization of a video sequence to be viewed in stereoscopy
CN101408675A (zh) 立体投影光学系统
CN103676423A (zh) 投影装置
US20090051878A1 (en) Stereo projection optical system
TWI357986B (en) Optical system for stereo projection
US10291906B2 (en) Stereoscopic image device having improved brightness and method for providing stereoscopic image
US7161740B2 (en) Projector
KR101960192B1 (ko) 중첩된 편광을 이용한 입체 영상 제공
JP2014002193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1159273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unit
JP3639388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20180092054A (ko) 입체 영상 제공
TWI476447B (zh) 立體投影顯示裝置
KR101970898B1 (ko) 복수의 편광 변환기를 이용한 영상 변환
CN207502841U (zh) 立体图像显示装置
JP6451793B2 (ja) スクリーンおよび投射システム
KR101685657B1 (ko) 향상된 밝기를 갖는 입체 영상 장치 및 입체 영상 제공방법
JP3960733B2 (ja) 画像投影装置
JP2006267869A (ja) 画像表示装置
JP4021267B2 (ja) 立体視画像投影用光学エレメント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プロジェクタ
JP2000275578A (ja) 3次元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プロジェ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