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477A -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1477A KR20180091477A KR1020170016724A KR20170016724A KR20180091477A KR 20180091477 A KR20180091477 A KR 20180091477A KR 1020170016724 A KR1020170016724 A KR 1020170016724A KR 20170016724 A KR20170016724 A KR 20170016724A KR 20180091477 A KR20180091477 A KR 201800914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n
- pen tip
- external device
- inductors
- input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다양한 색상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통공을 구비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필체와, 필체 내부에 포함되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의 펜심과, 상기 복수의 펜심 각각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결된 펜심의 이동을 통해 펜심의 펜촉을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시키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과, 상기 필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조작되는 펜촉 돌출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공진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장과 반응하여 상기 공진 회로부를 통해 공진되어 상기 펜촉 돌출 수단을 통해 이동된 펜심의 색상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예컨대 타블렛(tablet) PC의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될 수 있는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의 전자펜은, 전용펜과 전용 센싱 보드를 통해서 동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용 센싱 보드의 표면에서 생성된 자기장이 전자펜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진 회로에 미세한 에너지를 유도하고, 전자펜의 공진 회로가 이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기 신호를 전용 센싱 보드에 다시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전용 센싱 보드는 전자펜의 위치와 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전용 센싱 보드는 일반적인 정보, 입력 속도 및 전자펜에 의해 가해진 압력 등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으로 일반적인 필기뿐만 아니라 전자기기 상에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는 외부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과 반응하는 입력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공을 구비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필체와, 필체 내부에 포함되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의 펜심과, 상기 복수의 펜심 각각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결된 펜심의 이동을 통해 펜심의 펜촉을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시키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과, 상기 필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조작되는 펜촉 돌출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공진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장과 반응하여 상기 공진 회로부를 통해 공진되어 상기 펜촉 돌출 수단을 통해 이동된 펜심의 색상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 회로부는 상기 통공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펜심 일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인덕터와,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에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캐패시터와, 상기 복수의 인덕터와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외부의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어느 하나의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끊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와,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또는 상기 복수의 펜심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 중 어느 하나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자기장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공진하여 상기 이동되는 펜심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 회로부는 상기 통공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펜심 일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인덕터와, 상기 복수의 인덕터와 연결되는 가변 캐패시터와,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또는 상기 복수의 펜심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터 값을 변경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자기장에 따라 상기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펜심에 연결된 인덕터 및 가변 캐패시터를 통해 공진하여 상기 이동되는 펜심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 회로부는 캐패시터와, 상기 통공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펜심 일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갖는 복수의 인덕터와, 외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덕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캐패시터를 연결시키는 연결 소자와,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또는 상기 복수의 펜심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 소자에 상기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자기장에 따라 상기 연결 소자를 통해 연결된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공진하여 상기 이동되는 펜심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 회로부는 상기 통공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펜심 일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인덕터와, 적어도 둘 이상이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들간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인덕터와 연결되는 회로와,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또는 상기 복수의 펜심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자기장에 따라 상기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펜심에 연결된 인덕터 및 상기 회로를 통해 통해 공진하여 상기 이동되는 펜심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 상에서 제어하지 않고 일반적인 필기가 가능한 디바이스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필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기반의 다색 필기용 입력 디바이스와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기반의 다색 필기용 입력 디바이스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 내 공진 회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기반의 다색 필기용 입력 디바이스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 내 공진 회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기반의 다색 필기용 입력 디바이스와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외부의 자기 에너지를 통해 자기적 신호, 예컨대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전송하는 입력 디바이스(100) 및 자기장을 기반으로 유도된 자기 에너지를 입력 디바이스(100)에 제공하는 전자기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100)는 기록 가능한 용지에 일반적인 필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 예컨대 디스플레이(126)를 구비하는 전자기기(120)와 연동하여 전자 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100)는 EMR 방식에 의하여 동작하여, 이를 위하여 공진 회로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입력 디바이스(100)는 다수의 색상 필기를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펜심(도 2의 200)을 구비할 수 있으며, 펜심(200)별로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자기기(120)에 송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120)는 EMR 방식에 의해 동작하는 입력 디바이스(100)에 자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자기장 발생부(122) 및 입력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색상으로 입력 디바이스(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26)에 표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1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124)은 전자기기(120) 내 메모리(미도시됨) 상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프로세서(미도시됨)에 실행되어 입력 디바이스(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26)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기반의 다색 필기용 입력 디바이스(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디바이스(10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필기가 가능한 복수의 펜심(200)이 내재되어 있는 필체(210), 필체(2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복수의 펜심(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펜심(200)의 펜촉(210a)이 돌출될 수 있는 통공(220), 복수의 펜심(200) 각각에 연결되고 필체(2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예컨대, 누름 조작)에 따라 복수의 펜심(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펜심(200)을 통공(220) 방향으로 이동시켜 펜촉(210a)을 통공(220) 외부로 돌출시키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및 도 1의 공진 회로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진 회로부(110)는 복수의 펜심(200) 각각의 일측 부분, 예컨대 통공(220) 및 펜촉(210a)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동일한 인덕터 값(인덕턴스)을 갖는 복수의 인덕터(200a) 및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과 연동되는 회로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진 회로부(110)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의 조작 상태 또는 복수의 펜심(200)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전자기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자기기(1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로부(240)는 전자기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따라 복수의 인덕터(200a)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공진하기 위한 공진용 소자(232) 및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의 사용자 조작 상태 또는 복수의 펜심(200)의 이동 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기반으로 캐패시터 값(캐패시턴스)을 결정하여 공진용 소자(232)를 제어하는 감지부(23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부(240)는 감지부(234)를 통해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중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230) 또는 이동되는 펜심(200)을 감지한 후 이를 기반으로 캐패시터 값을 결정하며, 결정된 캐패시터 값에 따라 공진용 소자(232)를 제어하여 전자기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제어된 공진용 소자(232)와 인덕터(2)에 의해 공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진 회로부(110)는 공진용 소자(232)와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230)에 연결된 펜심(200)의 인덕터(200a)에 의해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자기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감지부(234)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과 연결되어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의 누름 상태를 감지하거나 복수의 펜심(200)에 연결되어 펜심(200)의 이동 상태(예컨대 상하 방향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중 어느 하나의 펜촉 돌출 수단(23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회로부(24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24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덕터(200a) 각각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캐패시터 값을 갖는 복수의 캐패시터(300) 및 복수의 인덕터(200a)와 복수의 캐패시터(300)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스위칭 소자(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310)는 감지부(234)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스위칭 소자(310)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칭 소자(310), 즉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230)의해 통공(220)을 통해 펜촉(210a)이 돌출된 펜심(200) 상에 형성된 인덕터(200a)와 연결된 스위칭 소자(310)가 온됨에 따라 스위칭 소자(310) 사이에 형성된 인덕터(200a)와 캐패시터(30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234)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조작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230)의해 통공(220)을 통해 펜촉(210a)이 돌출된 펜심(200) 상에 형성된 인덕터(200a)와 연결된 스위칭 소자(310)에 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칭 소자(310)를 온시킬 수 있다.
한편, 통공(220)을 통해 돌출된 펜촉(210a)이 필체(21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감지되면, 감지부(234)는 온 동작한 스위칭 소자(310)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여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234)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각각에 의해 이동되는 펜심(200)에 따라 이동되는 펜심(200) 상에 형성된 인덕터(200a)에 연결되는 캐패시터(300)를 변경시킴으로써, 전자기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공진 회로부(110)가 송신하는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120)의 디스플레이(126) 상에 필기되는 색상이 돌출되는 펜촉(210a)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덕터(200a)와 연결되는 하나의 가변 캐패시터(40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234)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조작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가변 캐패시터(400)의 캐패시터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서, 감지부(234)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각각에 대해 가변 캐패시터(400)의 캐패시터 값을 서로 다르게 변경시켜 전자기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공진 회로부(110)가 송신하는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120)의 디스플레이(126) 상에 필기되는 색상이 돌출되는 펜촉(210a)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가변 캐패시터(400)를 이용하여 회로부(240)를 구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복수개의 캐패시터와 다른 소자들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캐패시터와 캐패시터간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가변 캐패시터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234)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의 조작 상태 또는 복수의 펜심(200)의 이동 상태에 따라 복수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인덕터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값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100)는 전자기기(12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공진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인덕터 값을 갖는 복수의 인덕터(200a)를 이용하여 공진 회로부(110)를 구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서로 다른 인덕터 값을 갖는 복수의 인덕터를 이용하여 공진 회로부(110)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100) 내 공진 회로부(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회로부(110)는 서로 다른 인덕터 값을 가지며, 복수의 펜심(200)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에 연결되는 캐패시터(500),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 중 어느 하나의 인덕터와 캐패시터(500)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소자(510) 및 감지부(234)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소자(510)는 감지부(234)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캐패시터(500)와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 중 어느 하나의 인덕터를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소자(5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230)의해 통공(220)을 통해 펜촉(210a)이 돌출된 펜심(200) 상에 형성된 인덕터, 예컨대 L2 인덕터와 캐패시터(500)가 상호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234)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조작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230)의해 통공(220)을 통해 펜촉이 돌출된 펜심(200) 상에 형성된 인덕터가 캐패시터(500)에 연결되도록 연결 소자(5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통공(220)을 통해 돌출된 펜촉(210a)이 필체(21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감지되면, 감지부(234)는 연결 소자(510)를 원위치, 즉 복수의 인덕터(L1, L2, L3, L4)와 캐패시터(500)가 연결되지 않는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234)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각각에 의해 이동되는 펜심(200)에 따라 캐패시터(500)에 연결될 인덕터를 변화시킴으로써, 전자기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공진 회로부(110)가 송신하는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120)의 디스플레이(126) 상에 필기되는 색상이 돌출되는 펜촉(210a)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입력 디바이스(100)에서 돌출되는 펜촉(210a)에 따라 전자기기(120)의 디스플레이(126)에 입력 디바이스(100)의 입력 신호가 표시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전자기기(120)의 패널(미도시됨) 표면 상에 입력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전자기기(120)는 입력 디바이스(100)의 공진을 유도하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120)는 자기장 발생부(122)에 형성된 루프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한편, 입력 디바이스(100)의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230)을 감지하거나 펜촉 돌출 수단(230)에 의해 이동되는 펜심(200)을 감지한 공진 회로부(110)는 전자기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이동된 펜심(200)의 색상에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공진 회로부(110)는 자기장으로부터 자기 에너지를 입력받아 이를 캐패시터와 인덕터에 저장하며, 입력 디바이스(100)의 펜촉(210a)이 패널 표면 상의 특정 지점에 접촉되면 저장된 자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기적 신호, 즉 이동된 펜심(200)의 색상에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자기기(120)에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수없이 반복함으로써, 전자기기(120)는 입력 디바이스(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필기에 대응하는 신호가 인식될 경우, 전자기기(120)는 어플리케이션(124)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120)는 어플리케이션(124)을 이용하여 입력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기반으로 색상을 판단한 후 판단한 색상을 이용하여 필기에 대응되는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판단한 색상을 갖는 문자가 디스플레이(126)에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는 도중, 입력 디바이스(100)의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230) 중 다른 하나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다른 하나의 펜촉 돌출 수단(230)을 감지하거나 다른 하나의 펜촉 돌출 수단(230)에 의해 이동되는 다른 펜심(200)을 감지한 공진 회로부(110)는 전자기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이동된 펜심(200)의 색상에 대응하는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공진 회로부(110)는 다른 펜심(200) 상에 형성된 인덕터와 이에 연결될 캐패시터의 값을 변경시키거나 자기 에너지를 저장할 인덕터를 변경시키는 방법으로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120)는 어플리케이션(124)을 이용하여 입력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다른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기반으로 색상을 판단한 후 판단한 색상을 이용하여 필기에 대응되는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판단한 색상을 갖는 문자가 디스플레이(126)에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입력 디바이스
110 : 공진 회로부
120 : 전자기기
122 : 자기장 발생부
124 : 어플리케이션
126 : 디스플레이
200 : 펜심
210 : 필체
220 : 통공
230 : 펜촉 돌출 수단
240 : 회로부
110 : 공진 회로부
120 : 전자기기
122 : 자기장 발생부
124 : 어플리케이션
126 : 디스플레이
200 : 펜심
210 : 필체
220 : 통공
230 : 펜촉 돌출 수단
240 : 회로부
Claims (5)
- 외부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과 반응하는 입력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공을 구비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필체와,
필체 내부에 포함되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의 펜심과,
상기 복수의 펜심 각각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결된 펜심의 이동을 통해 펜심의 펜촉을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시키는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과,
상기 필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조작되는 펜촉 돌출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공진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자기장과 반응하여 상기 공진 회로부를 통해 공진되어 상기 펜촉 돌출 수단을 통해 이동된 펜심의 색상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부는,
상기 통공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펜심 일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인덕터와,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에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캐패시터와,
상기 복수의 인덕터와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외부의 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어느 하나의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끊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와,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또는 상기 복수의 펜심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 중 어느 하나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자기장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공진하여 상기 이동되는 펜심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부는,
상기 통공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펜심 일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인덕터와,
상기 복수의 인덕터와 연결되는 가변 캐패시터와,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또는 상기 복수의 펜심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터 값을 변경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자기장에 따라 상기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펜심에 연결된 인덕터 및 가변 캐패시터를 통해 공진하여 상기 이동되는 펜심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부는,
캐패시터와,
상기 통공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펜심 일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갖는 복수의 인덕터와,
외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덕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캐패시터를 연결시키는 연결 소자와,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또는 상기 복수의 펜심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 소자에 상기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자기장에 따라 상기 연결 소자를 통해 연결된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공진하여 상기 이동되는 펜심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부는,
상기 통공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펜심 일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인덕터와,
적어도 둘 이상이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들간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인덕터와 연결되는 회로와,
상기 복수의 펜촉 돌출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또는 상기 복수의 펜심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장치의 자기장에 따라 상기 조작된 펜촉 돌출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펜심에 연결된 인덕터 및 상기 회로를 통해 통해 공진하여 상기 이동되는 펜심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724A KR20180091477A (ko) | 2017-02-07 | 2017-02-07 |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724A KR20180091477A (ko) | 2017-02-07 | 2017-02-07 |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1477A true KR20180091477A (ko) | 2018-08-16 |
Family
ID=6344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6724A KR20180091477A (ko) | 2017-02-07 | 2017-02-07 |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91477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3101B1 (ko) | 2009-10-23 | 2016-03-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
2017
- 2017-02-07 KR KR1020170016724A patent/KR201800914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3101B1 (ko) | 2009-10-23 | 2016-03-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4200307B2 (en) | A touch pen,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the touch pe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 |
JP2730018B2 (ja) | ディジタイザおよび位置検出方法 | |
KR102256042B1 (ko) | 입력을 유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200036374A (ko) |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
WO200915681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 tactile cue | |
WO2013128816A1 (ja) |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情報更新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 |
WO2015079861A1 (ja) | 電子機器 | |
JP7567015B2 (ja) | 描画システム | |
KR20220102263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 |
KR20180091477A (ko) | 다양한 색상 입력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 |
US20230259222A1 (en) |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pen device, operation method in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
KR102503417B1 (ko) |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11392222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on basis of usage state of electronic device | |
WO2019220728A1 (ja) | 学習支援システム | |
US20210405780A1 (en) | Electronic pen | |
KR102348410B1 (ko) | 전자기 펜 | |
EP3313054B1 (en) | System with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uxiliary device | |
EP3137980B1 (en) | Method of detecting touch input, apparatus for sensing touch input,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ouch input | |
JP2016066154A (ja) | 情報読取システム、情報読取装置、情報読取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読取方法 | |
KR20220109254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스트로크 분석 기반 도형 인식 방법 | |
KR20220078449A (ko) |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220033262A (ko) | 멀티 윈도우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
KR20220086347A (ko) |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20074053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에어 포인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
US20240028144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