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173A -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173A
KR20180090173A KR1020170076378A KR20170076378A KR20180090173A KR 20180090173 A KR20180090173 A KR 20180090173A KR 1020170076378 A KR1020170076378 A KR 1020170076378A KR 20170076378 A KR20170076378 A KR 20170076378A KR 20180090173 A KR20180090173 A KR 20180090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direction
pair
pcb
guid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576B1 (ko
Inventor
홍대운
박상태
윤동진
최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662,21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23435B2/en
Priority to EP18154641.7A priority patent/EP3358558B1/en
Priority to CN201810106476.1A priority patent/CN108389513B/zh
Publication of KR2018009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173A/ko
Priority to US16/151,237 priority patent/US1074342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결합부와, 상기 외부 결합부의 양 측단을 형성시키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서 상기 외부 결합부의 반대측에 결합되고,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결합부와, 상기 외부 결합부의 X축 방향 양 측단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X축 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에 각각의 측단이 접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의 +Y축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control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일 예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듈이 있다. 또한, 화상을 구현하는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알려져 있다. 투명하고 플렉서블(flexible)한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조되는 모델과, 공장에서 모듈 단위로 제조되고 현장에서 최종 조립 시공되는 모델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장 시공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이 분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유리 창 등의 표면에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부착시켜 설치하는 현장 시공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현장 설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열 맞춤이 편리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현장 설치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전체가 출력하는 화상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상 출력시, 외관상 불필요한 부분이 부각되거나 화상의 인지성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필름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현장 설치에 있어서, 현장 설치 후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의 표면에 더욱 강력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과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설치 후, 디스플레이 모듈과 PCB의 연결 부분이나 PCB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XYZ 직교 좌표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Y축 방향으로 상기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에 +Y축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PCB의 X축 방향 양측에서 각각 연결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 부재는,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결합부, 및 상기 외부 결합부의 X축 방향으로 양 측단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에 각각의 측단이 접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상기 X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 사이의 X축 방향 길이는 상기 소정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 및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와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제 1길이, 상기 제 2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와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제 2길이, 및 상기 X축 방향 길이를 합한 값이 상기 소정 간격이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외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가이드 부의 +Y축 방향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되는 베이스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틈을 채우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실링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는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X축 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 부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재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상기 가이드 면에 접촉하는 상기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연결 대응부가 통과하는 연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X축 방향 양 측에서 각각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가 삽입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사이드 부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부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상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XYZ 직교 좌표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외부 결합부와, 상기 외부 결합부의 X축 방향 양 측단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가진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Y축 방향에 결합하고,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각각 연결되게 기설정된 한 쌍의 연결 단자가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은 서로 평행하게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하는 PCB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X축 방향의 두께가 Y축 방향의 폭보다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하나의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 단자는 상기 보드의 X축 방향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외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가이드 부의 +Y축 방향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되는 베이스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는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X축 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 부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를 중심으로 X축 방향 양 측에서 각각 Y축 방향으로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는, 상기 커버부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면과 이격된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Y축 "?? 측면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의 +Y축 방향 말단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와 상기 베이스 부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의 표면에 현장 설치하는 과정에서 편의성이 향상되고, 시공 오차를 현저히 줄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가이드 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외부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어,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에 대한 기설정된 상대적 위치가 정확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 배치를 위한 가이드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
서로 평행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현장 설치할 때,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마주보는 두 측단을 평행하게 배치하기 용이해진다. 이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현장에서 열을 맞추어 설치하기 편리해진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 사이의 X축 방향 길이(D3)를 상기 복수의 LED의 X축 방향 소정 간격(Dx)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제 1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으로 최근접 LED와 상기 제 2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으로 최근접 LED 사이의 X축 방향 거리가 지나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 1 및 2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화상이 사용자에게 서로 분리되어 인식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1길이(D1), 상기 제 2길이(D2) 및 상기 X축 방향 길이(D3)를 합한 값(Do)이 상기 소정 간격(Dx)이 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2 디스플레이 모듈 전체에서 출력하는 화상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와 상기 베이스 부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서로 체결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설치시,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 부,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베이스 부를 설치할 수 있어, 사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베이스부의 간섭없이 상기 가이드 부에 접촉시키기 편리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가이드 부에 접촉된 측단을 상기 베이스 부로 덮어주기 편리해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의 X축 방향의 두께가 Y축 방향의 폭보다 작도록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을 볼 때 PCB(330)가 눈에 잘 띄지 않게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의 X축 방향 폭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X축 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 부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Y축 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바라볼 때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계 영역이 덜 두드러지게 하면서도, 상기 PCB가 배치되는 상기 지지 부재의 +Y축 방향 측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홀을 통해, 상기 연결 대응부를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시키는 시공 과정에서 편의성이 향상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시공 후 화상 출력시 시각적으로 불필요한 상기 연결 대응부를 감출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 단자가 상기 PCB의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PCB를 연결하는 시공 과정이 편리해지고, 상기 연결 대응부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구조가 간편해진다.
상기 한 쌍의 연결 단자가 상기 하나의 보드의 X축 방향 양측면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나의 보드만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시키면 되는 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케이스를 통해, 상기 PCB 및 상기 연결 대응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및/또는 상기 실링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설치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외부의 표면 방향(-Y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연결 대응부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장 설치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을 상기 가이드 면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을 외부의 표면과 상기 경사부 사이의 틈으로 삽입시키는 공정이 편리해 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장에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도시하고, 도 1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현장에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하나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과 이에 연결된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 및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 모듈(5)을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 및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을 라인 S2-S2'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에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이 도시되고, 도 5b에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이 도시되며, 도 5c에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이 도시되고, 도 5d에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이 도시되며, 도 5e에는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이 도시된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의 가이드 부(310), 베이스 부(320) 및 케이스(3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b)의 가이드 부(310), 베이스 부(320) 및 케이스(3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본 설명에서는, X, Y 및 Z축 방향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X축 방향은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이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가 외부의 표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하여, XYZ 직교 좌표계를 정의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외부의 표면이 평면이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X, Y 및 Z축 방향이 동일하나, 다른 예로서 외부의 표면이 곡면인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X, Y 및 Z축 방향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외부의 표면 상의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X축 방향이 되게 디스플레이 장치(1)가 상기 외부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X축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고 Z축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며 Y축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X축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고 Z축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며 Y축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X축 방향이 반드시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하/좌/우/전/후' 방향의 개념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기준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공장에서 부품 생산 후 현장에서 조립 및 시공되는 방식으로 응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되는 외부의 표면은 건물의 유리창이나 벽체, 자동차 등 교통수단의 유리 창, 또는 기타 물건의 외표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되는 외부의 표면은 평면인 경우 뿐만 아니라 곡면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의 표면이 어느 한 방향으로 곡률을 가진 경우에,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은 곡률이 형성된 방향으로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모듈(5)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외부의 표면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화상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외부의 표면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외부의 표면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 부재(30)와, 상기 지지 부재(3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PCB(Printed Circuit Board)(3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상기 PCB(330)를 수용하는 케이스(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Y축 방향(전방 방향)으로 화상을 출력한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모듈(5)은 엘이디(LED)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5)은 액정 표시(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모듈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5)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FED: Field Emission Display) 모듈, 유기 발광 소자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5)은 엘이디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으로 보고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X축 방향으로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필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Y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필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의 화상은 전방(-Y축 방향)뿐만 아니라 후방(+Y축 방향)으로도 출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이 투명하게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LED(53)의 빛이 양 방향(전방 및 후방)으로 조사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의 다른 물체(예를 들어, 윈도우 등)의 표면(이하, '외부의 표면'이라 지칭함)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의 표면은 유리판(GL)의 표면으로 보고 설명하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될 수 있는 표면을 가진 물체는 유리판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부착용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착용 표면은 디스플레이 모듈(5)의 -Y축 방향 측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상기 부착용 표면에 보호용 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공장에서 제작될 수 있다. 현장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치할 때, 상기 보호용 필름을 상기 부착용 표면으로부터 떼어내고 상기 부착용 표면을 상기 외부의 표면에 접촉시켜, 디스플레이 모듈(5)과 상기 외부의 표면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은, 지지 부재(30)의 X축 방향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은 각각 PCB(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X축 방향 양 측에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이 배치되어 PCB(330)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만, 현장 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시공시 지지 부재(30)의 X축 방향 양 측 중 어느 한 방향(+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에만 디스플레이 모듈(5)을 배치 및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b의 최하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X축 방향 양 측 중 +X축 방향에만 디스플레이 모듈(5)이 설치된 예시가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후술할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을 포함한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은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에 각각의 측단이 접촉하게 구비된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은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과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을 포함한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을 기준으로,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 -X축 방향에 배치되고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은 +X축 방향에 배치된다.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과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은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과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은 서로 동일하게 양산된 부품일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5)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X축 방향으로 한 쌍의 측단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Z축 방향으로 한 쌍의 측단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의 상기 X축 방향의 한 쌍의 측단 및 상기 Z축 방향의 한 쌍의 측단은 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Y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후술할 가이드 부(310)에 접촉하는 측단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의 가이드 부(310)에 접촉하는 측단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은 가이드 부(310)에 접촉하게 구비된다.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은 가이드 부(310)에 접촉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복수의 LED(5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LED(53)는 적어도 -Y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복수의 LED(53)는 필름(51)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LED(53)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Dx)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LED(53)는 Z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배열 간격(Dz)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LED(53)는 필름(51) 상에 격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LED(53)로 이루어진 LED 배열군(53G)을 포함할 수 있다. LED 배열군(53G)의 복수의 LED(53)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Dx)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LED 배열군(53G)은 16개의 LED(53)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Z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LED 배열군(53G)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LED 배열군(53G)은 Z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배열 간격(Dz) 이격되어 배치된다. LED 배열군(53G)은 n개의 LED(53)로 구성되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5)의 복수의 LED(53)는 상기 n개의 LED 배열군(53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간격(Dx) 및 상기 소정 배열 간격(Dz)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임.)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5)의 복수의 LED(53)는 16개의 LED 배열군(53G)으로 구성된다.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LED(53) 중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는 LED를 최근접 LED(53a)로 정의할 수 있다. LED 배열군(53G)은 상기 최근접 LED(53a)를 포함한다. 복수의 LED 배열군(53G) 각각은 상기 최근접 LED(53a)를 포함한다. 최근접 LED(53a)는, LED 배열군(53G)의 복수의 LED(53) 중 연결 대응부(57)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최근접 LED(53a)는 디스플레이 모듈(5)에서 연결 대응부(57)가 구비된 방향으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최근접 LED(53a)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부분에 배치되고,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최근접 LED(53a)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부분에 배치된다.
도 4 내지 도 5e를 참고하여, 제 1길이(D1)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53a)와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길이이다. 제 2길이(D2)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53a)와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길이이다.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복수의 LED 배열군(53G)의 각각의 최근접 LED(53a)는, 제 1길이(D1)를 형성하며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으로부터 이격된다.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복수의 LED 배열군(53G)의 각각의 최근접 LED(53a)는, 제 2길이(D2)를 형성하며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고하여, X축 방향 길이(D3)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 사이의 길이이다. X축 방향 길이(D3)는 상기 소정 간격(Dx)보다 작다. 이를 통해,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최근접 LED(53a)와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최근접 LED(53a) 사이의 X축 방향 거리가 지나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및 2 디스플레이 모듈(5a, 5b)에서 출력되는 화상이 사용자에게 서로 분리되어 인식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1길이(D1), 제 2길이(D2) 및 X축 방향 길이(D3)를 합한 값(Do)이 상기 소정 간격(Dx)이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길이(D1), 제 2길이(D2) 및 X축 방향 길이(D3)를 합한 값이 상기 소정 간격(Dx)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최근접 LED(53a)와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최근접 LED(53a) 사이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화상의 이질감을 줄일 수 있고, 제 1 및 2 디스플레이 모듈(5) 전체에서 출력하는 화상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복수의 LED(53)가 배치되는 필름(51)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51)은 Y축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한다. 필름(51)은 얇은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51)은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름(51)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51)은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필름(51)의 복수의 층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필름(51)은,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층(51a)과,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층(51b)을 포함한다. 제 1층(51a)과 제 2층(51b)은 서로 결합된다. 제 1층(51a)과 제 2층(51b)의 사이에 배선(55)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층(51a)에 복수의 LED(53)가 고정될 수 있다. 제 2층(51b)은 복수의 LED(53)를 수용할 수 있다.
제 1층(51a)의 -Y축 방향 측면에 제 2층(51b)이 결합된다. 제 1층(51a)의 -Y축 방향 측면에 복수의 LED(53)가 결합된다. 제 2층(51b)의 -Y축 방향 측면에 상기 부착용 표면이 구비된다. 제 1층(51a)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층(51b)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복수의 LED(53)에 전기를 안내해주는 배선(55)을 포함한다. 배선(55)은 연결 대응부(57)와 LED(5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배선(55)은 하나의 LED 배열군(53G) 내의 각각의 LED(53)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도선과, 하나의 LED 배열군(53G) 내의 각각의 LED(53)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음극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LED 배열군(53G)이 16개의 LED(53)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LED 배열군(53G) 마다 1개의 양극 도선(+극선)과 16개의 음극 도선(-극선)이 구비된다. 하나의 LED 배열군(53G)에 전기를 연결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양극 도선 및 적어도 하나의 음극 도선을 '도선군'으로 지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후술할 PCB(330)의 연결 단자(331)와 연결되는 연결 대응부(57)를 포함한다. 연결 대응부(57)는 가이드 면(310a, 310b)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상기 측단에 배치된다.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에 연결 대응부(57)가 배치된다.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에 연결 대응부(57)가 배치된다.
연결 대응부(57)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에서 돌출되어 연장된다. 연결 대응부(57)는 플렉서블하게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현장 설치될 때, 연결 대응부(57)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에서 +Y축 방향으로 벤딩되어 PCB(330)와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모듈(5)은 복수의 연결 대응부(57)를 포함한다. 복수의 연결 대응부(57)는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대응부(57)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을 따라 배열된다.
하나의 연결 대응부(57)는 적어도 하나의 도선군의 단자를 형성한다. 연결 대응부(57)가 PCB(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연결 대응부(57)에 단자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선군은 PCB(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연결 대응부(57)는 2개의 도선군의 단자를 형성한다. 즉, 하나의 연결 대응부(57)를 통해 2개의 배열군(53G)에 화상 신호가 인가된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사이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상기 외부의 표면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상기 외부의 표면에 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 부재(3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0)의 -Y축 방향 측면은 상기 외부의 표면에 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지지 부재(30)의 Z축 방향 길이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Z축 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는 적어도 하나의 PCB(330)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3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3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지지 부재(3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배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31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0)는 적어도 하나의 PCB(330)가 고정되는 베이스 부(320)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31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배치를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가이드 부(310)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X축 방향 일 측단이 접촉하는 기준 선을 제공한다. 가이드 부(310)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이 접촉하는 기준 선을 제공한다. 가이드 부(310)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이 접촉하는 기준 선을 제공한다.
현장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 설치시, 상기 외부의 표면에 먼저 가이드 부(310)가 부착된 후,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이 가이드 부(310)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외부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에 대한 기설정된 상대적 위치가 정확해지게 된다.
가이드 부(31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폭은 Z축 방향 길이에 비해 작다. 가이드 부(310)는 Y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부(310)는 바(bar)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 부(310)의 Z축 방향 길이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Z축 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의 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양 측면 중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과 연결되는 부분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고,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고하여, 가이드 부(310)는 외부의 표면에 부착 가능하게 구비된 부착 부재(3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착 부재(312)는 양면 접착 시트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부착 부재(312)의 -Y축 방향 측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부착 부재(312)는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된다. 부착 부재(312)는 가이드 바디(311)의 -Y축 방향 측면에 결합된다. 부착 부재(312)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부(310)는 부착 부재(312)와 결합된 가이드 바디(311)를 포함한다. 가이드 바디(311)는 부착 부재(312)의 +Y축 방향 측면에 결합된다. 가이드 바디(31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이다. 가이드 바디(311)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311)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311)의 X축 방향 양 측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311)는 베이스 부(320)와 결합된다. 가이드 바디(311)의 +Y축 방향 측면에 베이스 부(320)가 결합된다.
가이드 부(310)는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결합부(310c)를 포함한다. 외부 결합부(310c)는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해 구비된다. 외부 결합부(310c)는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에 배치된다. 외부 결합부(310c)는 부착 부재(312)의 -Y축 방향에 배치된다. 외부 결합부(310c)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부(310)는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양 측면에 배치된다.
가이드 면(310a, 310b)은 디스플레이 모듈(5)의 일 측단에 접촉되게 구비된다. 가이드 면(310a, 310b)은 디스플레이 모듈(5)의 일 측단의 위치를 안내한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1가이드 면(310a)과,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2가이드 면(310b)을 포함한다. 제 1가이드 면(310a)과 제 2가이드 면(310b)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외부 결합부(310c)의 양 측단을 형성시킨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의 -Y축 방향 말단은 외부 결합부(310c)의 측단과 연결된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외부 결합부(310c)의 측단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이드 면(310a, 310b)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면(310a, 310b)은 외부 결합부(310c)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은 X축 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를 현장 설치할 때,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마주보는 두 측단을 평행하게 배치하기 용이해진다.
베이스 부(3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330)와 결합된다. 베이스 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PCB(330)의 지지단을 제공한다. 베이스 부(320)의 +Y축 방향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PCB(330)가 결합된다.
베이스 부(320)는 가이드 부(310)와 연결된다. 베이스 부(320)는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에 연결된다. 베이스 부(320)의 Z축 방향 길이는 가이드 부(310)의 Z축 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5e를 참고한 제 1 내지 3 및 5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320)와 가이드 부(310)는 서로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체결 부재(390)에 의해 베이스 부(320) 및 가이드 부(310)가 서로 조립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390)가 베이스 부(320) 및 가이드 부(31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시, 순차적으로 가이드 부(310),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 및 베이스 부(320)를 설치할 수 있어,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을 가이드 부(310)에 접촉하여 설치시키기 편리해지고, 디스플레이 모듈(5)의 가이드 부(310)에 접촉된 측단을 베이스 부(320)로 덮어주며 연결 대응부(57)가 연결 홀(320h)에 통과되게 하는 공정이 편리해진다.
도 5d를 참고한 제 4실시예에서, 베이스 부(320''')와 가이드 부(310''')는 일체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체결 부재(390) 없이 베이스 부(320''') 및 가이드 부(310''')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시, 가이드 부(310) 및 베이스 부(320)의 조립 공정이 줄어들어 작업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부(310)에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을 접촉시키고 연결 대응부(57)를 연결 홀(320h)로 통과시키는 공정이 상기 제 1 내지 3 및 5 실시예에 비해 어려워질 수 있는데, 이러한 공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후술할 경사부(A)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부(3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330)와 결합하는 PCB 결합부(321)를 포함한다. PCB 결합부(321)는 +Y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PCB 결합부(321)는 지지 부재(30)의 +Y축 방향 부분에 배치된다. PCB 결합부(321)의 일측면과 PCB(330)의 일측면이 서로 접촉하며,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39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부(320)는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커버부(323)를 포함한다. 커버부(323)는 Y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23)는 단면 상 X축 방향 두께보다 Y축 방향 폭이 길게 형성된다. 커버부(323)는 Z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커버부(323)의 X축 방향 폭은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된다. 커버부(323)의 -Y축 방향 측면 중 가이드 부(310)와 연결되지 않은 부분은 디스플레이 모듈(5)을 마주본다. 이를 통해,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폭을 최소화하여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계 영역이 덜 두드러지게 하면서도, PCB(330)가 배치되는 지지 부재(30)의 +Y축 방향 측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부(323)는 가이드 부(310)와 연결되는 중앙부(323c)를 포함한다. 커버부(323)는 중앙부(323c)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부(323a)를 포함한다. 커버부(323)는 중앙부(323c)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부(323b)를 포함한다. 중앙부(323c), 일측부(323a) 및 타측부(323b)는 하나의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부(320)는 케이스(360)와 결합되는 케이스 가이드(32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 가이드(324)는 X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는 각각 베이스 부(320)의 X축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360)가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베이스 부(3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비대칭한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는 X축 방향 양 측에서 각각 돌출된다.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는 각각 +Y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는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1케이스 가이드(324a)와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2케이스 가이드(324b)를 포함한다.
복수의 케이스 가이드(324)가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지지 부재(30)의 Z축 방향 말단에 배치된 케이스 가이드(324)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에는, 연결 대응부(57)가 통과하는 연결 홀(320h)이 형성된다. 연결 홀(320h)은 베이스 부(320)에 형성된다. 연결 홀(320h)은 커버부(323)에 형성된다. 연결 홀(320h)은 일측부(323a) 및 타측부(323b)에 형성된다. 연결 홀(320h)을 이용하여, 연결 대응부(57)를 연결 단자(331)와 결합시키는 시공 과정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시공 후 화상 출력시 시각적으로 불필요한 연결 대응부(57)를 감출 수 있다.
연결 홀(320h)은 베이스 부(320)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된다. 복수의 연결 홀(320h)이 베이스 부(320) 연장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대응부(57)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연결 홀(320h)이 배치된다. 연결 대응부(57)와 대응되는 개수의 연결 홀(320h)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310)를 중심으로 X축 방향 양 측에서 한 쌍의 연결 홀(320h1, 320h2)이 형성된다. 한 쌍의 연결 홀(320h1, 320h2)은 각각 Y축 방향으로 커버부(323)를 관통한다. 한 쌍의 연결 홀(320h1, 320h2)은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1연결 홀(320h1) 및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2연결 홀(320h2)을 포함한다. 제 1연결 홀(320h1)을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연결 대응부(57)가 통과한다. 제 2연결 홀(320h2)을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연결 대응부(57)가 통과한다.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화상 출력을 제어한다. PCB(33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한다.
PCB(330)는 지지 부재(30)에 고정된다. PCB(330)는 베이스 부(320)에 고정된다. PCB(330)는 PCB 결합부(321)에 고정된다. PCB(330)는 지지 부재(30)의 +Y축 방향으로 결합한다. PCB(330)는 지지 부재(30)에서 외부 결합부(310c)의 반대측에 결합된다. PCB(330)는 베이스 부(320)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된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고한 제 1 내지 4실시예에서, PCB 결합부(321)는 X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된다. PCB 결합부(321)는 X축 방향보다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PCB 결합부(321)는 판형의 PCB(330)가 X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 1 내지 4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X축 방향의 두께가 Y축 방향의 폭보다 작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화상을 볼 때 PCB(330)가 눈에 잘 띄지 않고,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X축 방향 폭을 상대적으로 작게하여, 출력되는 화상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e를 참고한 제 5실시예에서, PCB 결합부(321'''')는 Y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PCB 결합부(321)는 Y축 방향보다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판형의 PCB(330)가 Y축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 5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X축 방향의 폭이 Y축 방향의 두께보다 길게 배치된다. 이를 통해, PCB(330)를 베이스 부(320)에 체결할 때 체결 부재를 통과시키는 방향이 외부의 표면에 대한 수직 방향이 될 수 있어, PCB(330)의 체결 공정이 편리해질 수 있다.
PCB(330)는 디스플레이 모듈(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 단자(33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단자(331a, 331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연결 단자(331a, 331b)는 적어도 하나의 PCB(330)의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한 쌍의 연결 단자(331a, 331b)는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1연결 단자(331a)와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2연결 단자(331b)를 포함한다. 제 1연결 단자(331a)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연결 대응부(5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연결 단자(331b)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연결 대응부(5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양측의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과 PCB(330)를 연결하는 시공 과정이 편리해지고, 연결 대응부(57)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 구조가 간편해진다.
PCB(330)는 연결 단자(331)가 배치되는 보드(332)를 포함한다. 보드(332) 상에 회로가 배치된다. 보드(332)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당해 디스플레이 장치(1)와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과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로 이루어진 단위체를 의미한다. m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최대 2*m개의 디스플레이 모듈(5)의 화상이 함께 제어될 수 있다. 당해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과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당해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PCB(330)(이하, '당해 PCB')는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의 PCB(330)(이하 '인접 PCB')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당해 PCB(330)와 인접 PCB(330)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화상 출력 신호가 전달될 수 있고,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화상 출력을 위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PCB(330)는 다른 PCB(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커넥터(33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36)를 통해, 당해 PCB(330)와 인접 PCB(330)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화상 출력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커텍터(336)를 통해, 당해 PCB(330)와 인접 PCB(330)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화상 출력을 위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커텍터(336)는 PCB(330)의 Z축 방향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넥터(336)가 PCB(330)의 Z축 방향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당해 PCB(330)와 인접 PCB(330)는 Z축 방향으로 배열되며 연결될 수 있다.
도 5a, 도 5b, 도 5d 및 도 5e를 참고한 제 1, 2, 4 및 5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하나의 보드(33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연결 단자(331a, 331b)는 보드(332)의 X축 방향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보드(332)만 지지 부재(30)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현장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5c의 제 3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PCB(330'')는 2개의 PCB(330a'', 330b'')를 포함한다.
케이스(360)는 PCB(330)를 수용한다. 케이스(360)와 베이스 부(320)는 PCB(33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36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360)는 플레이트를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360)는 -Y축 방향 측면이 +Y축 방향으로 함몰된다.
케이스(360)는,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가 삽입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사이드부(36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는 케이스(360)의 X축 방향 양측면을 형성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는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의 바깥 측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의 내측면은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324)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한 쌍의 사이드부(363)는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1사이드 부(363a)와 +X축 방향에 배치된 제 2사이드 부(363b)를 포함한다.
케이스(360)는 한 쌍의 사이드부(363)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상면부(361)를 포함한다. 상면부(361)는 케이스(360)의 +Y축 방향 측면을 형성한다. 상면부(361)는 한 쌍의 사이드부(363)의 +Y축 방향 말단에 연결된다. 상면부(361)는 베이스 부(320)와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360)를 통해 PCB(330) 및 연결 대응부(57)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제 1 내지 3 및 5 실시예(도 5a 내지 도 5c 및 도 5e)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의 표면에 가이드 부(310)를 결합시킨다. 이 때, 가이드 부(310)의 외부 결합부(310c)가 외부의 표면에 부착된다.
그 후,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의 각각 한 쌍의 가이드 면(310a, 310b)에 밀착시킨 상태로,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5a, 5b)을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의 +X축 방향 측단을 제 1가이드 면(310a, 310b)에 밀착시킨 상태로, 제 1디스플레이 모듈(5a)을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또한,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의 -X축 방향 측단을 제 2가이드 면(310a, 310b)에 밀착시킨 상태로, 제 2디스플레이 모듈(5b)을 외부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디스플레이 모듈(5)을 가이드 면(310a, 310b)에 밀착시킬 때, 연결 대응부(57)는 +Y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꺾는다.
그 후, 체결 부재(390)를 이용하여 가이드 부(310)에 베이스 부(320)를 고정시킨다. 베이스 부(320)를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체결 부재(390)가 베이스 부(320)를 관통하여 가이드 부(31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베이스 부(320)를 가이드 부(310)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시킬 때, 복수의 연결 대응부(57)가 대응되는 연결 홀(320h)을 통과하게 한다.
그 후, PCB(330)를 베이스 부(320)의 PCB 결합부(321)에 고정시킨다. 또한, 연결 대응부(57)와 대응되는 연결 단자(331)를 서로 연결시킨다.
그 후, 케이스 가이드(324)에 맞추어 케이스(360)를 지지 부재(30)에 결합시킨다.
제 4 실시예(도 5d)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 과정에서는, 가이드 부(310)와 베이스 부(320)가 일체의 부품이므로, 상술한 '체결 부재(390)를 이용하여 가이드 부(310)에 베이스 부(320)를 고정시키는 공정'이 없이 현장 설치가 진행된다. 나머지 과정의 진행은 상술한 제 1 내지 3 및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 과정과 같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e를 참고하여, 도 5a의 제 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 2 내지 5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b를 참고한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실링재(340') 및 서포터(3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30')는 서포터(32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320')는, 커버부(323)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서포터(32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서포터(325')가 가이드 부(310)를 기준으로 X축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터(325')가 가이드 부(310)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25')는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325')는 가이드 면(310a, 310b)과 이격된다. 서포터(325')는 가이드 면과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서포터(325')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Y축 방향 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베이스 부(320')와 디스플레이 모듈(5) 사이의 틈을 채우는 실링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재(340')는 베이스 부(320')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된다. 실링재(340')는 디스플레이 모듈(5)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된다. 실링재(340')는 커버부(323)와 디스플레이 모듈(5) 사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실링재(340')가 가이드 부(310)를 기준으로 X축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실링재(340')가 가이드 부(310)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링재(340')는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325')는 가이드 면(310a, 310b)과 이격될 수 있다. 실링재(340')는 가이드 면과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25') 및/또는 실링재(3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3')의 현장 설치 후, 디스플레이 모듈(5)을 외부의 표면 방향(-Y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5)의 위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연결 대응부(57)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커버부(323)의 -Y축 방향 측면이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5)의 +Y축 방향 표면에 접촉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커버부(323)의 -Y축 방향 측면이 디스플레이 모듈(5)의 +Y축 방향 표면과 이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서포터(325') 및 실링재(340')를 모두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의 경우, 실링재(340')가 서포터(325')의 바깥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실링재(340')는 한 쌍의 서포터(325')의 바깥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재(340')는 서포터(325')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서포터(325') 및/또는 실링재(340')가 구현되기 위해서, 커버부(323)의 X축 방향 폭은 가이드 부(310))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를 참고한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한 쌍의 PCB(330'')를 포함한다. 제 1PCB(330a'')는 -X축 방향에 배치되고, 제 2PCB(330b'')는 +X축 방향에 배치된다. 제 1PCB(330a'') 및 제 2PCB(330b'')는 모두 PCB 결합부(321'')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단자(332a'', 332b'')는 각각 한 쌍의 PCB(330a'', 330b'')에 배치된다. 제 1PCB(330a'')는 제 1보드(332a'')와 제 1연결 단자(331a'')를 포함한다. 제 2PCB(330b'')는 제 2보드(332b'')와 제 2연결 단자(331b'')를 포함한다.
도 5d를 참고한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가이드 부(310''')와 베이스 부(3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가이드 부(310''')와 베이스 부(320''')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가 불필요하다.
도 5e를 참고한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은 Y축 방향의 두께에 비해 X축 방향의 폭이 더 크게 배치된 PCB(33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320'''')는 Y축 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PCB 결합부가 불요하다. 대신, 베이스 부(320'''')는 Y축 방향의 두께에 비해 X축 방향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 PCB 결합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단자(331a, 331b)는 수평으로 배치된 PCB(330'''')의 X축 방향 양 측에 배치된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의 가이드 부(310), 베이스 부(320) 및 케이스(3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b)의 가이드 부(310), 베이스 부(320) 및 케이스(36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은 상술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과 동일하다.
이하, 도 6b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b)은 가이드 부(310)와 베이스 부(3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커버부(323)의 -Y축 "?? 측면은, 한 쌍의 가이드 면의 +Y축 방향 말단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경사지게 연장된 상기 커버부(323)의 -Y축 "?? 측면을 '경사부(A)'로 지칭할 수 있다.
한 쌍의 경사부(A)가 가이드 부(310)를 중심으로 X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A)의 -Y축 방향 측면은, 가이드 부(310)에서 멀어질수록 디스플레이 모듈(5)과 Y축 방향 이격 거리가 커진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의 일측부(323a)는 중앙부(323c)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a)의 타측부(323b)는 중앙부(323c)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경사진 일측부(323a) 및 경사진 타측부(323b)를 한 쌍의 경사부(A)를 형성한다.
경사부(A)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현장 설치시, 일체형의 가이드 부(310) 및 베이스 부(320)를 구비한 지지 부재(30)를 외부의 표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을 가이드 면(310a, 310b)에 접촉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5)의 측단을 외부의 표면과 경사부(A) 사이의 틈으로 삽입시키는 공정이 편리해 진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5, 5a, 5b : 디스플레이 모듈
3, 3', 3'', 3''', 3'''', 3a, 3b :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30, 30', 30'', 30''', 30'''' : 지지 부재
310, 310''' : 가이드 부
320, 320', 320'', 320''', 320'''' : 베이스 부
325' : 서포터
330, 330'', 330'''' : PCB
340' : 실링재
360 : 케이스
A : 경사부

Claims (20)

  1. XYZ 직교 좌표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Y축 방향으로 상기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에 +Y축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PCB의 X축 방향 양측에서 각각 연결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결합부; 및
    상기 외부 결합부의 X축 방향으로 양 측단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에 각각의 측단이 접촉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상기 X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 사이의 X축 방향 길이는 상기 소정 간격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디스플레이 모듈; 및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와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제 1길이, 상기 제 2디스플레이 모듈의 -X축 방향의 최근접 LED와 -X축 방향 측단 사이의 제 2길이, 및 상기 X축 방향 길이를 합한 값이 상기 소정 간격이 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외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가이드 부의 +Y축 방향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되는 베이스 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틈을 채우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의 -Y축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실링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는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X축 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 부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되고,
    상기 실링재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상기 가이드 면에 접촉하는 상기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연결 대응부가 통과하는 연결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X축 방향 양 측에서 각각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케이스 가이드가 삽입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사이드 부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부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상면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XYZ 직교 좌표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외부의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외부 결합부와, 상기 외부 결합부의 X축 방향 양 측단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가진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Y축 방향에 결합하고, 한 쌍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각각 연결되게 기설정된 한 쌍의 연결 단자가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은 서로 평행하게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하는 PCB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X축 방향의 두께가 Y축 방향의 폭보다 작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는 하나의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단자는 상기 보드의 X축 방향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외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을 구비하는 가이드 부; 및
    상기 가이드 부의 +Y축 방향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와 결합되는 베이스 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는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X축 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 부의 X축 방향 폭보다 크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를 중심으로 X축 방향 양 측에서 각각 Y축 방향으로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는, 상기 커버부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면과 이격된 서포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Y축 "?? 측면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면의 +Y축 방향 말단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와 상기 베이스 부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서로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KR1020170076378A 2017-02-02 2017-06-16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2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62,217 US10123435B2 (en) 2017-02-02 2017-07-27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8154641.7A EP3358558B1 (en) 2017-02-02 2018-02-01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810106476.1A CN108389513B (zh) 2017-02-02 2018-02-02 显示装置
US16/151,237 US10743426B2 (en) 2017-02-02 2018-10-03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53535P 2017-02-02 2017-02-02
US62/453,535 2017-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173A true KR20180090173A (ko) 2018-08-10
KR102302576B1 KR102302576B1 (ko) 2021-09-14

Family

ID=6322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378A KR102302576B1 (ko) 2017-02-02 2017-06-16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64A1 (ko) * 2020-10-23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183A (ko) 2022-08-11 2024-02-20 타임도시디자인(주) 멀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738A (ko) * 2012-09-14 201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7599A (ko)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00575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또는 해체 방법
US20170017108A1 (en) * 2015-07-17 2017-01-1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738A (ko) * 2012-09-14 201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7599A (ko)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00575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또는 해체 방법
US20170017108A1 (en) * 2015-07-17 2017-01-1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64A1 (ko) * 2020-10-23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53903A (ko) * 2020-10-23 202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576B1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7196C (zh) 背光设备和液晶显示器
RU2444067C1 (ru) Электронный блок,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73691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elastic ground contact on first side and multiple ground contacts on second side of drive circuit board
US10304359B2 (en) Display device
EP2116758A1 (en) Led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279593A (ja) 液晶表示装置
US10712599B2 (en) Display device
CN102637386A (zh) 显示装置
KR102280525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접속 모듈
KR20180090173A (ko)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743426B2 (en)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36786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9864220B2 (en) Optical sensor attachment structure for image display device
KR20090054853A (ko) 터치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6592635B2 (ja) 照明装置、平板付コネクタ、照明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US11385679B2 (en) Display device
JP5226225B2 (ja) 配線基板の半田接合構造
KR102404360B1 (ko)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29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44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9696000U (zh) 弧形显示模组和显示屏
CN212208794U (zh) 箱体组件
CN219642462U (zh) 一种中框结构及显示装置
US20230247812A1 (en) Display device
KR20170072399A (ko)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