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131A -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131A
KR20180090131A KR1020170015149A KR20170015149A KR20180090131A KR 20180090131 A KR20180090131 A KR 20180090131A KR 1020170015149 A KR1020170015149 A KR 1020170015149A KR 20170015149 A KR20170015149 A KR 20170015149A KR 20180090131 A KR20180090131 A KR 20180090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home appliance
unit
power suppl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586B1 (ko
Inventor
신효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5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업데이트 데이터를 교류 전원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장치에 접속되며,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구비하는 전력공급장치와, 데이터 통신장치, 및 전력공급장치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부가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 어플라이언스는, 세탁기, 냉장고, 공기조화기 등을 예시하는 기기로서, 가정 내에서 사용자를 위해, 모터 회전에 의한, 세탁물 처리, 음식물 냉장, 냉동, 실내 온도를 조정 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홈 어플라이언스의 기능이 복잡해짐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의 소프트웨어 또한 많은 오류를 가질 수 있고,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성능 향상, 기능 추가 등을 위해, 제어부의 내장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는 이와 같은 오류 개선, 성능 향상, 기능 추가 등을 위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를 할 수 있으며, 무선상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FOTA(Firmware Over Ther Air)이다.
그러나, 무선상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한 후, 펌웨어 업데이트가 수행되어야 하므로, 일정 개수의 홈 어플라이언스만,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공급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테은, 업데이트 데이터를 교류 전원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장치에 접속되며,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구비하는 전력공급장치와, 데이터 통신장치, 및 전력공급장치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부가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접속부와, 접속부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되어 통신부에서 출력되는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업데이트 데이터를 교류 전원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장치에 접속되며,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구비하는 전력공급장치와, 데이터 통신장치, 및 전력공급장치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부가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는,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수신 완료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데이터 통신장치는,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홈 어플라이언스가, 전력공급장치에 접속되더라도,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접속부와, 접속부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되어 통신부에서 출력되는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2a 또는 도 2b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의 동작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5)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장치(7), 무선 네트워크를 공급하는 AP 장치(40), 및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15a~15n)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5) 내의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15a~15n)에 대해, 펌웨어 업데이트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15a~15n), 및 데이터 통신장치(7)가, AP 장치(40)에 무선 접속이 되어야 한다.
한편, AP 장치(40)는,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 기기들에, 소정 통신 방식에 의한 무선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15a~15n), 및 데이터 통신장치(7)가, AP 장치(40)에 무선 접속된 경우, 데이터 통신장치(7)는, 무선으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AP 장치(40)로 전송하고, AP 장치(40)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15a~15n)에 무선으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15a~15n)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AP 장치(40)에서 할당 가능한 무선 채널에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공장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생산 후, 수많은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펌웨어 업데이트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또는, 상업용 세탁 서비스와 같이, 복수의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해, 동시에 펌웨어 업데이트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한 후, 펌웨어 업데이트가 수행되어야 하므로, 일정 개수의 홈 어플라이언스만,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 생산 후,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펌웨어 업데이트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또는, 상업용 세탁 서비스와 같이, 복수의 세탁물 처리기기에 대해, 동시에 펌웨어 업데이트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한 후, 펌웨어 업데이트가 수행되어야 하므로, 일정 개수의 홈 어플라이언스만,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방식 보다는 유선 방식으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교류 전원에 업데이트 데이터를 부가시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한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a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10)은, 데이터 통신장치(100), 전력공급장치(150), 및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a~200hn)를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교류 전원에 부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전력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데이터 통신장치(100)가, 업데이트 데이터가 부가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AC 접속부(101)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AC 접속부(101)는 플러그(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2a는, AC 접속부(101)의 플러그가, 전력공급장치(150)의 콘센터(151)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예시하며, 도 2b는 AC 접속부(101)의 플러그가, 전력공급장치(150)의 콘센터(151)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2b와 같이, 데이터 통신장치(100)가, 전력공급장치(150)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경우, 전력공급장치(150)에, 업데이트 데이터가 부가된 교류 전원이 공급게 된다.
한편, 전력공급장치(150)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 접속을 위한 접속부(161h1~161hn)와, 데이터 통신장치(100) 접속을 위한 접속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 접속을 위한 접속부(161h1~161hn)로서, 콘센트(161h1~161hn)를 예시하며, 데이터 통신장치(100) 접속을 위한 접속부(151)로서, 콘센터(151)를 예시한다.
전력공급장치(150)는, 데이터 통신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업데이트 데이터가 부가된 교류 전원을, 내부에 공급하며, 특히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 접속을 위한 접속부(161h1~161hn)를 통해,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로, 업데이트 데이터가 부가된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각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는, 접속부(201h1~201hn)를 통해, 업데이트 데이터가 부가된 교류 전원을 수신하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업데이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는, 도 1에 비해, 무선 접속 등이 필요 없으므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는, 접속부(201h1~201hn)를 통해, 전력공급장치(150)에 접속되는 경우,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는, 전력공급장치(150)를 통해, 데이터 통신장치(100)로 전달도리 수 있다.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에 대한,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각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종류 정보, 업데이트 버젼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에 대한,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 수신시,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수신 완료 메세지를, 데이터 통신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는, 데이터 통신장치(100)를 통해, 수신 완료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 완료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업데이트 준비를 수행하도록, 구동부의 동작 등을 제한함으로써,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 수신 이후, 파악된 제품 종류 정보, 업데이트 버젼 정보 등에 기초하여, 전송할 업데이트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결정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교류 전원에 부가하여,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력공급장치(15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업데이트 데이터는, 최신 펌 웨어, 애플리케이션, 최신 운전 코스, 기타 프로그램 관련, 업데이트 데이터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냉장고(200a)를 예시하며, 도 3b는, 세탁기(200b)를 예시하며, 도 3c는, 에어컨(200c)를 예시하며, 도 3d는, 조리기기(200d)를 예시하며, 도 3e는 로봇 청소기(200e)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2a 또는 도 2b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접속부(201), 통신부(210), 디스플레이(280), 제어부(270), 입력부(220), 구동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
접속부(201)는, 교류 전원을 수신하며, 특히, 전력공급장치(150)에 접속되는 경우, 전력공급장치(150)로부터 교류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선(PL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전력공급장치(150)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으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28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접속부(201)를 통해, 전력공급장치(150)에 접속되는 경우,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전력공급장치(150)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전력공급장치(15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전력공급장치(150)에 전송한 이후, 데이터 통신장치(100)로부터의 수신 완료 메세지를, 전력공급장치(150)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수신 완료 메세지를, 디스플레이(280)를 통해, 제어부(270)로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80)는, 제어부(270)와 별도의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280)는, 통신부(210)와 동일한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0)는, 입력부의 기능도 수행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28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식 혹은 정전식)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한편, 입력부(220)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부의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구동부(260)를 제어하며, 전력공급장치(150)로부터 수신되어 통신부(210)에서 출력되는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통신부(210)에서 출력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8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전력공급장치(150)로부터,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수신 완료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26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200a)인 경우, 구동부(260)는, 냉장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실 팬을 동작시키는 냉장실 구동부, 냉동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실 팬을 동작시키는 냉동실 구동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동작시키는 압축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세탁기(200b)인 경우, 구동부(260)는, 드럼 또는 터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에어컨(200c)인 경우, 구동부(260)는, 실외기 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 구동부, 열교환을 위한 실외기 팬을 동작시키는 실외기 팬 구동부, 열교환을 위한 실내기팬을 동작시키는 실내기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조리기기(200d)인 경우, 구동부(260)는, 캐비티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청소기(200e)인 경우, 구동부(260)는, 공기 흡입을 위한 팬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4b는 도 4a의 홈 어플라이언스(400)와 유사하나, 도 4a와 같이, 통신부(210)와 디스플레이(2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부(210)와 제어부(2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즉, 도 4a와 같이, 통신부(210)와 디스플레이(280)가 제1 기판 상에 배치되고, 제어부(270)가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이 아닌, 통신부(210)와 디스플레이(280)와 제어부(270)가 모두 한 기핀 상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4b에 의하면, 통신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는, 디스플레이(280)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제어부(270)에 입력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의 동작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2b와 같이, 데이터 통신장치(100)의 접속부(101)가, 전력공급장치(150)의 콘센트(151)에 접속한다(S505).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접속부201)가, 전력공급장치(150)의 콘센트(161)에 접속한다(S507).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접속부201)가, 전력공급장치(150)의 콘센트(161)에 접속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전력공급장치(15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10).
이에 따라,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전력공급장치(150)를 경유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다(S512).
도 6a는, 전력공급장치(150)에 모두 동일한 종류의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가, 전력공급장치(150)에 접속한 상태에서,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로부터의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가, 전력공급장치(150)를 경유하여, 데이터 통신장치(1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 수신 이후, 수신 완료 메세지를 전송한다(S515).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전력공급장치(150)를 통해, 데이터 통신장치(100)로부터의 수신 완료 메세지가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517), 해당하는 경우, 업데이트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520).
업데이트 모드 진입시,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구동부(260)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소정 시간 이내에 동작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통신장치(100)로부터의 수신 완료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22).
한편,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업데이트 데이터 전송 입력이 있는 경우(S525),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버젼 정보를 고려한, 업데이트 데이터를 준비하고(S530), 전력선 통신을 통해, 준비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535).
특히, 교류 전원에 업데이트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데이터 통신장치(100)로부터의 업데이트 데이터가 부가된 교류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S537).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10)는, 접속부(201)를 통해, 교류 전원을 수신하며, 교류 전원에 부가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즉,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b는, 업데이트 데이터(Suda)가, 전력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장치(100), 전력공급장치(150)를 통해,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로 수신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동일한 업데이트 데이터(Suda)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전력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수십대의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 전송이 신속하게 가능하게 된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로부터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펌 웨어 업데이트 등을 수행할 수 있다(S540).
도 6c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에, 각각 업데이트가 진행되어, 제3 홈 어플라이언스(200h3)를 제외한, 각 홈 어플라이언스에서, 업데이트 완료 메세지(610h1,610h2,610h4~610hn)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6d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에, 각각 업데이트가 진행되어, 제3 홈 어플라이언스(200h3)에서도, 업데이트가 완료되어, 업데이트 완료 메세지(610h3)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a는 도 4a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블록도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데이터(Suda)의 전송 경로를 예시한다.
즉, 데이터 통신장치(100), 전력공급장치(150)를 통해, 수신되는 업데이트 데이터(Suda)는, 접속부(201), 통신부(210), 디스플레이(280)를 경유하여, 제어부(27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 도 7b는 도 4b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블록도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데이터(Suda)의 전송 경로를 예시한다.
즉, 데이터 통신장치(100), 전력공급장치(150)를 통해, 수신되는 업데이트 데이터(Suda)는, 접속부(201), 통신부(210)를 경유하여, 제어부(27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a와 달리, , 디스플레이(280)를 경유하지 않으므로, 업데이트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d는, 도 6a 내지 도 6d와 유사하나,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가 동일한 종류의 제품이 아닌, 이종의 제품이 혼합되어 있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 중 제3 홈 어플라이언스(200h3)는 냉장고이며, 그 외의 홈 어플라이언스(210h1,210h2,210h4~210hn)는 세탁기인 것을 예시한다.
도 8a는, 전력공급장치(150)에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가, 전력공급장치(150)에 접속한 상태에서,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로부터의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가, 전력공급장치(150)를 경유하여, 데이터 통신장치(1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세탁기인 홈 어플라이언스(210h1,210h2,210h4~210hn)의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며, 또한, 냉장고인 제3 홈 어플라이언스(200h3)의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통신장치(100)는, 각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의 업데이트 버젼 정보를 고려하여, 각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의 업데이트에 적합한, 업데이트 데이터(Sudm,Sudr)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b는, 2 종류의 업데이트 데이터(Sudm,Sudr)가, 전력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장치(100), 전력공급장치(150)를 통해,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로 수신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전력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수십대의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 전송이 신속하게 가능하게 된다.
도 8c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에, 각각 업데이트가 진행되어, 제3 홈 어플라이언스(200h3)를 제외한, 각 홈 어플라이언스에서, 업데이트 완료 메세지(610h1,610h2,610h4~610hn)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8d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200h1~200hn)에, 각각 업데이트가 진행되어, 제3 홈 어플라이언스(200h3)에서도, 업데이트가 완료되어, 업데이트 완료 메세지(610h3)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펌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홈 어플라이언스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업데이트 데이터를 교류 전원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장치;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에 접속되며,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구비하는 전력공급장치;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 및 상기 전력공급장치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부가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로부터의 상기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통신부에서 출력되는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거쳐,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접속부가 전력공급장치에 접속되는 경우,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전력공급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수신 완료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6. 구동부;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로부터의 상기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통신부에서 출력되는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거쳐,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접속부가 전력공급장치에 접속되는 경우,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전력공급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제품 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수신 완료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170015149A 2017-02-02 2017-02-02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KR10264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49A KR102643586B1 (ko) 2017-02-02 2017-02-02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49A KR102643586B1 (ko) 2017-02-02 2017-02-02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131A true KR20180090131A (ko) 2018-08-10
KR102643586B1 KR102643586B1 (ko) 2024-03-04

Family

ID=6322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149A KR102643586B1 (ko) 2017-02-02 2017-02-02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5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3988A (ko) * 2007-10-30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17163A (ko) * 2007-05-21 2010-02-16 소니 주식회사 광대역 전력선 통신을 통한 브로드캐스트 다운로드 시스템
KR20160111220A (ko) * 2015-03-16 201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 전기제품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7163A (ko) * 2007-05-21 2010-02-16 소니 주식회사 광대역 전력선 통신을 통한 브로드캐스트 다운로드 시스템
KR20090043988A (ko) * 2007-10-30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1220A (ko) * 2015-03-16 201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 전기제품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586B1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211B1 (ko)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CN108700323B (zh) 空调系统
KR101208212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5700365B (zh) 移动终端的家电控制界面的生成方法和装置
JP2019537142A (ja) 着脱可能なハードウェアモジュールを用いた適応性IoTサービスシステム
TWI559690B (zh) 控制系統及控制被動裝置之方法
US20140253301A1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03513579A (zh) 家用电器的控制装置、控制方法和空调器
JP2017163221A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CN103854457A (zh) 一种主从遥控器系统、控制方法及空调器
US2022007076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reof
JP2012129916A (ja) 通信装置
KR20020045057A (ko) 냉장고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43586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EP3038072B1 (en) Electric product
JP2023091045A (ja) 家電システム及び家電機器
JP2006129150A (ja) 機器制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遠隔制御システム
US20140372619A1 (en) Network system
KR20170081461A (ko) 에어컨의 원격 제어 방법
JP2005352812A (ja)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機器制御装置
CN105157075A (zh) 微波炉、家电设备及微波炉控制方法
KR101892757B1 (ko) 전기제품
KR20140009739A (ko)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의 조명 등록 장치 및 방법
JP2017163220A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40045658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