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990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990A
KR20180089990A KR1020170014836A KR20170014836A KR20180089990A KR 20180089990 A KR20180089990 A KR 20180089990A KR 1020170014836 A KR1020170014836 A KR 1020170014836A KR 20170014836 A KR20170014836 A KR 20170014836A KR 20180089990 A KR20180089990 A KR 20180089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frame
hole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672B1 (ko
Inventor
이종성
명수정
서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4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6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과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세탁행정과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진동을 감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며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 수용부, 의류 수용부를 구성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도어는 캐비닛의 일면의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여 전체적인 심미관 및 통일성에 큰 영향을 주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에서 전방 또는 상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시선이 집중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도어의 특성을 이용하여, 근자에는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의류수용부가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이 상기 도어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제작되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심미감을 강조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뿐 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고 인식하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는 내부에 컨트롤패널이 삽입되어 설치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구성이 결합되어 구성될 필요가 있었다.
즉,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이너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에 결합하여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컨트롤패널을 수용하여 설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이 도어의 외관을 구분하여 형성하므로 도어의 일체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아우터프레임과 이너 프레임이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부재 등으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 및 체결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외관을 사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분에 웰드라인(weld line)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통일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웰드라인(weld line)을 상기 도어에 크랙(crack)이 발생한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의류수용부의 진동이 상기 도어에 전달되면 상기 도어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 컨트롤패널은 진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패널이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의 진동폭이 작아도 그 진동이 더욱 강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컨트롤패널이 진동하면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된 컨트롤패널의 진동을 감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된 컨트롤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컨트롤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컨트롤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부가 구비되어도 weld line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과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세탁행정과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진동을 감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어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패널 배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배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의 배면은 상기 접촉부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노출되는 노출부과, 상기 노출면에서 상기 도어의 배면 두께만큼 이격되어 상기 도어의 배면에 접촉되는 지지부와, 상기 노출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관통홀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노출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보다 직경이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접촉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이 투입되는 패널투입홀과, 상기 패널투입홀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패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패널커버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는 상기 패널투입홀의 일면에 상기 패널커버의 일면이 지지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투입홀의 타면이 구비된 상기 도어 내부에 상기 패널커버의 타면이 결합되는 패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커버는 상기 패널커버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패널결합부에 결합되는 패널후크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투입홀은 상기 타면을 일정길이 절개하여 구비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과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세탁행정과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패널,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진동을 감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도어의 배면에 상기 고정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관통홀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관통홀에 상기 고정부를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관통홀을 생성하는 단계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된 컨트롤패널의 진동을 감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된 컨트롤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컨트롤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컨트롤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부가 구비되어도 weld line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도어가 개구부를 개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도어와 힌지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도어의 배면 및 힌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도어의 조립순서 및 조립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도어의 배면과 컨트롤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패널커버가 패널투입홀을 폐쇄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시된 도어가 회전되어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 및 도어(8)를 포함한다.
캐비닛(1)는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13)를 구비한다. 도1,2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캐비닛(1)의 전방에 개구부(13)가 구비된 것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기 개구부(13)가 상기 캐비닛(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캐비닛(1)은 전방에 상기 개구부(13)를 구비한 전면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의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부(13)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의류수용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캐비닛(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되는 터브(21)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21)의 일면 또는 캐비닛(1) 내부에는 드럼(22)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드럼(22)을 회전시키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미도시)는 상기 터브(21)의 배면에 구비되어 회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상기 로터에 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상기 드럼(22)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캐비닛(1)에는 세제공급부(미도시)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 버튼(16)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8)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3)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8)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이목이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8)는 사용자가 의류를 상기 개구부(13)로 투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파지해야 하는 부분이므로 사용자의 접근이 가장 용이한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8)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의류수용부(2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작동명령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컨트롤패널(86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상기 의류수용부(20)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패널(8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패널(861)는 의류처리장치에서 구동되는 행정(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의류수용부(20)에서 세탁행정과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어패널(8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862)은 PCB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wifi와 같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원격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패널로 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862)은 상기 입력받은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신호로 전환하여 의류수용부(20)에서 세탁행정 또는 건조행정을 수행시키는 제어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패널(862)은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 급수부, 배수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만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지 않아도 상기 컨트롤패널(860)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 및 제어패널(862)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패널(862)은 도어(8)에 구비된 구성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대기전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은 터치패널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전원버튼(16)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어(8)는 상기 개구부(13)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8)의 중심은 상기 개구부(13)의 중심보다 상측 또는 전방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8) 내부에 컨트롤패널(86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860)을 인식하고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3)를 구비한 전면패널(10)은 상기 도어(8)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단차면(14)과, 상기 단차면에서 상기 개구부(13)까지 연장되어 상기 도어(8)의 배면과 접촉하는 수용면(1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면(14)은 상기 전면패널(10)에서 내부로 절곡되어 구비되어 상기 수용면(15)과 함께 상기 도어(8)를 수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8)는 일정부분 상기 전면패널(10)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직경이 크게 구비되어 컨트롤패널(860)을 사용자에게 쉽게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0)은 상기 개구부(13)가 구비되는 평면부(11)와, 상기 평면부(11)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12)는 하단에 상기 개구부(13)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평면부(11)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경사부(12)는 상기 평면부(11)의 상부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전면패널(10)의 배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8)는 상부에 상기 경사부(12)와 대응되는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8)는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비되는 경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상기 도어(8)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캐비닛(1) 보다 키가 큰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컨트롤패널(860)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8)는 내부에 상기 개구부(13)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홀(811,8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시홀(811,821)은 투명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3)를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20)의 내부가 투시될 수 있다.
상기 투시홀(811,821)은 상기 컨트롤패널(86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3은 상기 도어(8)를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9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힌지부(900)는 상기 도어(8)와 상기 캐비닛(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도어(8)를 회전시키는 베이스(910)와, 상기 베이스(910)를 상기 도어(8) 또는 상기 캐비닛(1)에 결합시켜 고정하는 힌지홀더(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홀더(9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하나는 상기 도어(8)에 상기 베이스(910)와 함께 결합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캐비닛(1)의 개구부(13)의 일측에 구비된 개구관통홀(13')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910)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홀더(920)는 상기 베이스(910)를 상기 도어(8) 또는 상기 캐비닛(1)에 결합하는 것을 보조하고, 상기 베이스(9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4는 상기 도어(8)의 구성 및 이를 조합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어(8)는 개구부(13)를 개폐하는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1프레임(8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82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의 전방에 결합되어 도어(8)의 전방을 형성하는 도어커버(8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8)가 하나의 바디가 아닌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컨트롤패널(860)이나 제어선, 힌지부(900)등의 구성을 설치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도어(8)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8)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810)은 상기 제1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의류수용부(20) 내부를 투영하도록 구비되는 제1투시홀(811)과,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패널투입홀(814), 상기 패널투입홀(814)을 개폐하여 상기 제1프레임(810)의 배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면 패널커버(8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투시홀(811)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구부(13)를 실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스켓(8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817)은 상기 도어(8)가 상기 개구부(13)를 폐쇄하면, 상기 개구부(13)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13)를 실링하고, 상기 의류수용부(20)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13)로 이동하는 의류나 물을 다시 상기 의류수용부(2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817)은 투명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20) 내부가 개구부(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제1투시홀(811)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제2프레임(82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2투시홀(821)과,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패널표시홀(8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840)는 상기 제2프레임(820)의 전방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표시홀(823)과 상기 제2투시홀(821)에 대응되는 부분은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나머지부분은 내부 구성을 차폐하여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선팅 등에 의해 검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은 체결부재(8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830)는 상기 제1프레임(810)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프레임(8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커버(840)가 상기 제2프레임(820)에 접착되어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어커버(840)와 상기 체결부재(83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프레임(810)은 내주면에 상기 제1프레임(810)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83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81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프레임(820)은 배면에 상기 체결부재(830)와 결합하는 결합부(8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830)는 상기 결합홀(818)를 관통하여 상기 제2프레임(820)에 구비된 결합부(미도시)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820)과 상기 제1프레임(81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도어(8)는 체결부재(830)를 적용하지 않아도 상기 제1프레임(810)고 상기 제2프레임(820)이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된 후, 제2프레임(820)과 상기 도어커버(840)가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는 시간이 있으므로 상기 도어(8)를 제작하는 공정이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830)를 통해 즉각적으로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5(a)는 상기 도어(8)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5(b),(c),(d)는 도어(8)가 힌지부(900)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프레임(820)의 배면에 상기 힌지부(900)가 안착되고, 상기 제1프레임(810)이 상기 제2프레임(820)의 배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부(900)가 상기 도어(8)에 고정될 수 있다.
도5(b),(c),(d)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부(900)는 상기 개구부 측면에 결합되는 베이스(910)와, 상기 베이스(9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프레임(8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912,913)과, 상기 제2프레임(820)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912,9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홀더(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홀더(920)는 상기 돌출부(912,913)이 반복하여 회전하더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프레임(820)이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힌지홀더(920)는 상기 제2프레임(8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힌지홀더(920)와 상기 돌출부(912,913)는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에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5(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1프레임(810)는 상기 체결부재(830)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820)과 견고하게 결합되었으나 상기 결합홀(818)의 존재로 인해 Weld line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프레임(810)을 사출성형으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홀(818)을 생성할 때 사출되는 속도, 방향의 차이에 따라 Weld lin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weld line은 상기 도어(8)의 미감을 손상시키고 전체적인 통일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도어(8)에 크랙(crack)이 형성된 것으로 착각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품질을 오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이 상기 도어(8)의 외관을 모두 형성하는 경우 상기 도어(8)의 통일성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820)의 전방에 부착된 도어커버(840)가 상기 의류수용부(2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820)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의 결합된 부분이 서로 벌어져 내부에 위치한 컨트롤패널(860)이나 힌지부(900) 등의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의 결합력을 강화하되, 상기 결합홀(818)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필요가 있다.
도6는 도어(8)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외관의 통일성 및 심미성을 유지 강화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8)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1프레임(810)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제2프레임(8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프레임(820)은 외주면이 상기 제1프레임(810) 내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도어의 전방에 노출될 뿐 상기 도어(8)의 측면, 배면은 모두 상기 제1프레임(810)이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프레임(810,820)은 하나의 바디로 형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어 통일성과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820)이 상기 제1프레임(810)에 수용되어 결합되므로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8) 내부에 결합되거나 위치한 힌지부(900)와 컨트롤패널(860)의 설치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820)은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구비되는 결합후크(8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810)은 내주면에 상기 결합후크(822)와 결합하는 후크결합부(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822)와 상기 후크결합부(813)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은 견고히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제1프레임(810)에 완전히 수용되어 결합되므로 상기 제1프레임(810)이 도어(8)의 전면을 제외한 외관을 형성하도록 하여 일체성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830)를 생략할 수 있어 제작공정을 간편화 할 수 있고, 결합홀(818)이 생략되어 상기 도어(8)에 weld line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810)은 내주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결합리브(8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820)은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리브(812)와 접촉하는 접촉부(8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812)는 상기 제1프레임(810)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프레임(820)이 상기 제1프레임(810) 내주면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리브(812)는 상기 제1프레임(810)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프레임(810)의 두께만큼 또는 그 이상 상기 제1프레임(810) 내부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결합리브(812)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프레임(820)의 외주면이 상기 도어(8)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812)와 상기 접촉부(826)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결합리브(812)와 상기 접촉부(826)는 접착제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830)를 생략할 수 있어 제작공정을 간편화 할 수 있고, 결합홀(818)이 생략되어 weld line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리브(812)는 상기 제1프레임(810)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프레임(820)의 접촉부(826)는 상기 결합리브(812)의 내측과 외측에 모두 접촉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리브(812)는 상기 접촉부(826)에 구비된 리브의 두께만큼 상기 제1프레임(810)의 내주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826)는 상기 결합리브(812)의 외측과 접촉하는 상기 제1접촉리브(826a)와 상기 결합리브(812)의 내측과 접촉하는 제2접촉리브(826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접촉리브(826a)와 상기 제2접촉리브(826b)는 상기 결합리브(812)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홈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접촉리브(826a)와 상기 제2접촉리브(826b)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면 상기 결합리부(812)와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촉리브(826a)와 상기 제2접촉리브(826b)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접촉리브(826a)와 상기 제2접촉리브(826b)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후크(822)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리브(812)에는 상기 결합후크와 결합되는 후크결합부(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결합부(813)는 상기 결합리브(812)의 일부를 관통하는 홀로 구비되거나, 상기 결합리브(812)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후크(822)를 수용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은 접착제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 후크 결합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접착제의 사용은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제1프레임(810)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상기 전면패널(10)은 일측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패널(10)에 상기 경사부(12)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2프레임(820)의 상부는 상기 경사부(12)에 대응하는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프레임(820)의 상부는 상기 제1프레임(810)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제1프레임(810)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프레임바디(820a)와, 상기 프레임바디의 상부에 상기 제1프레임(810)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바디경사부(8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바디(820a)와 상기 바디경사부(820b)가 연결된 지점에 구비된 결합후크(822)의 개수는 상기 프레임바디(820a) 또는 상기 바디 경사부(820)에 구비된 결합후크(822)의 개수보다 더 많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2프레임(820)에서 경사가 달라지는 부분이 상기 제1프레임(810)과 결합되는 것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지점에 결합후크(822)를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이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820)의 경사각도가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리브(812)는 상기 제1프레임(8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프레임(810) 내부로 상기 제2프레임(820)과 상기 도어커버(840)의 두께를 합한 길이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커버(840)도 상기 제1프레임(810)에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함이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프레임(820)의 외주면과 상기 도어커버(840)의 외주면은 상기 제1프레임(810)의 내주면에 모두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840)가 상기 제2프레임(82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810)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8)에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도어커버(840)가 상기 제1프레임(81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커버(840)의 외주면이 상기 제1프레임(810)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도어(8)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840)는 상기 제2프레임(820)의 내주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것처럼, 상기 제2프레임(820)이 상기 제1프레임(810)에 수용되어 구비되면 상기 제1프레임(810)이 도어(8)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900)의 돌출부(912,913)는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 사이에 구비되는 데 제한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810)은 일측 또는 배면에 상기 힌지부(900)가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는 힌지투입홀(8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6 (a)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투입홀(815)은 상기 힌지부(900)의 돌출부(912,913)가 노출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900)는 상기 힌지투입홀(815)을 차폐하는 힌지커버(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7은 패널투입홀(814)과, 컨트롤패널(860) 및 패널커버(816)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어(8)가 상기 캐비닛(1)의 전면패널(10)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상기 도어(8)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투입홀(814)은 상기 제1프레임(810)의 배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8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상기 패널투입홀(814)에 투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1프레임(810)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상기 패널투입홀(814)에 투입된 후 상기 제2프레임(82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전면에 디스플레이패널(861)을 구비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의 영역이 차단되지 않도록 상기 제1프레임(810)에 결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패널투입홀(814)은 상기 제1프레임(810) 배면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지만, 외주면이 단차지게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결합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810)은 외주면이 절곡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820) 및 상기 도어커버(840)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recess)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패널투입홀(814)도 단순한 평면이 아닌 일정 부피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상기 패널투입홀(814)에 삽입되고, 상기 패널투입홀(814)이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외주면에 상기 패널투입홀(814)의 내주면과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패널결합부(8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864)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제어패널(862)과 디스플레이패널(861)이 외부 충격에 민감할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결합부(864)는 상기 컨트롤패널(860)에서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결합부(864)는 상기 제2프레임(820)의 배면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패널결합부(864)가 상기 컨트롤패널(860)의 최외곽보다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상기 패널투입홀(814)에 투입되어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패널커버(816)가 상기 패널투입홀(814)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패널커버(816)는 상기 컨트롤패널(860)에 수분이나 의류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패널커버(816)는 상기 패널투입홀(814)을 폐쇄하여 상기 제1프레임(810)의 모든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커버(816)는 상기 제1프레임(810)과 하나의 바디를 이룬 것처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커버(816)는 외주면에 패널후크(816b)가 구비되어 상기 패널투입홀(814)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후크(816b)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커버(816)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후크(816b)는 상기 패널투입홀(814)에 슬라이드 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8은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상기 도어(8)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커버(816)가 상기 패널투입홀(814)을 폐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8(a)는 상기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8(b)는 상기 도어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패널투입홀(814)은 일면에 상기 패널커버(816)의 일면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대(8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814a)는 상기 패널투입홀(814)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커버(816)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814a)는 상기 패널투입홀(814)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투입홀(814)은 상기 지지대(814a)를 마주하는 타면 또는 하부면에 상기 패널후크(816b)와 결합되는 패널결합부(8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814b)는 상기 제1프레임(810)의 배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814b)는 상기 제1프레임(810) 배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패널후크(816b)는 상기 패널결합부(814b)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810)의 배면 외부를 향하도록 돌출되어 구비되 ㄹ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패널커버(814)는 상기 패널투입홀(814)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슬라이드 되고, 상기 패널후크(816b)가 상기 패널결합부(814b)에 체결되면서 상기 패널투입홀(814)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패널커버(814)가 상기 패널투입홀(814)에 결합되면, 상기 패널후크(816b)가 상기 패널결합부(814b) 및 상기 제1프레임(810)의 배면과 접촉하고, 상기 패널커버(814)가 상기 지지대(814b)에 지지된다.
상기 패털커버(814)는 별도의 볼트 등의 체결부재(830)가 없어도 상기 패널투입홀(814)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패널커버(814)를 사용자가 분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패널투입홀(814)은 상기 타면 또는 하부면을 일정길이 및 일정두께 절개하여 구비되는 절개부(81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814c)는 십자드라이버 등과 같은 얇고 강성이 큰 물체가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십자드라이버 같은 도구가 상기 절개부(814c)에 투입되면 상기 패널후크(816b)와 상기 패널결합부(814b)가 분리되어 상기 패널커버(814)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용부(20)에서 건조행정이나 세탁행정, 탈수행정 등이 수행되면 상당한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용부(20)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힌지부(900)를 통해 상기 도어(8)에 전달되고, 상기 도어(8) 내부에 수용된 컨트롤패널(86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제어패널(861)을 구비하므로, 진동 등에 의해 노이즈 등이 발생되어 잘못된 제어신호를 전달하거나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디스플레이패널(861)을 구비하므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이 흔들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은 발광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므로, 조금만 진동하여도 사용자가 진동을 감지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이 진동하면, 사용자가 표시된 정보를 가독하지 못할 수 있고, 어지러움 등을 느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진동이 감쇄되고, 진동하여도 위치가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컨트롤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진동을 감쇄하는 고정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9는 고정부(96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960)는 상기 도어(8)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패널(860) 배면에 접촉하는 접촉부(961)와, 상기 접촉부(961)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배면에 결합되는 결합부(9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860)의 배면에 상기 패널커버(816)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어(8)의 배면은 상기 패널커버(816)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961)는 쐐기 형상 또는 기둥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도어(8)를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패널(860)의 배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961)는 상기 컨트롤패널(860)의 배면을 가압하여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며, 상기 컨트롤패널(860)의 배면과의 마찰력을 통해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961)의 길이는 상기 컨트롤패널(860)의 배면과 상기 도어(8)의 배면의 간격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962)는 상기 접촉부(961)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접촉부(961)가 지속적으로 상기 컨트롤패널(86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8)의 배면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는 상기 접촉부(961)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관통홀(81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관통홀(816b)은 상기 패널커버(816)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8)의 배면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에 상기 고정부(960)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부(816c)를 포함할 수 있다. (도9 (b) 참조)
상기 결합부(962)는 상기 도어(8)의 배면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에 노출되는 노출부(962a)와, 상기 노출부(962a)에서 상기 도어(8)의 배면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상기 도어의 배면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에 접촉되는 지지부(962b)와, 상기 노출부(962a)와 상기 지지부(962b)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관통홀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구비되는 연결부(962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노출부(962a)는 상기 도어(8)의 배면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의 외면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부(962b)는 상기 패널커버(816)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962c)는 상기 고정관통홀(816b)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노출부(962a)와 상기 지지부(962b)는 상기 연결부(962c)보다 직경이 크게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962) 전체를 상기 도어(8)의 배면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62b)는 상기 접촉부(96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62b)는 상기 연결부(962c)에서 상기 접촉부(961)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접촉부(961)와 상기 지지부(962b)가 상기 고정관통홀(816b)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게 하되, 상기 접촉부(961)와 상기 지지부(962b)가 상기 고정관통홀(816)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부(960)는 전체가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관통홀(816b)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패널(860)의 진동을 감쇄하고 흡수할 수 있다.
도9(c)를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961)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부(960)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96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노출부(962a)는 하나의 바디를 형성하되, 상기 노출부(962a)에서 상기 접촉부(961) 및 상기 연결부(962c), 상기 지지부(962b)가 복수개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출부(962a)는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961) 및 상기 연결부(962c), 상기 지지부(962b)가 복수개로 상기 노출부(962a)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촉부(961) 및 상기 연결부(962c), 상기 지지부(962b)의 분실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키고, 상기 고정부(96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관통홀(816b)을 상기 도어의 배면(8)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을 제작 또는 성형할 때 제작하면 전술한 weld line이 형성되어 심미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관통홀(816)은 상기 도어의 배면(8)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먼저 상기 도어(8)를 제작하는 단계(S1)를 통해 도어(8)의 제작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8)의 제작은, 상기 도어(8)를 사출성형하거나, 펄사출 하거나, 염색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8)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후, 상기 도어(8)의 외관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도어(8)의 배면에 상기 고정부(96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관통홀(816b)을 생성하는 단계(S2)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를 상기 도어(8)의 배면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에 조사하여 상기 고정관통홀(816b)를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초음파 공정은 상기 패널커버(816) 또는 상기 도어(8)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패널커버(816) 또는 상기 도어(8)의 일정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관통홀(816b)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형성된 상기 고정관통홀(816b)에 상기 고정부(960)를 삽입시키는 단계(S3)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8) 또는 상기 패널커버(816)에 weld line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960)를 안정적,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0전면패널 11 평면부
12 경사부 13 개구부 14 단차면
15 수용면 16 전원버튼 20 의류수용부
21터브 22드럼 4 구동부
6 급수부 7 배수부 8 도어
810 제1프레임 811 제1투시홀
812 결합리브 813 후크결합부
14 패널투입홀 814a 지지대 814c 패널결합부
815 힌지투입홀 816 패널커버 816a 패널후크 816b 고정관통홀
817 가스켓 818 결합관통홀 820 제2프레임
821 제2투시홀 822 결합후크 823 패널표시홀
824 힌지결합부 825 결합홀 826 접촉부
826a 제1접촉리브 826b 제2접촉리브 830 체결부재(프레임)
840 도어커버 841 경사부 860 컨트롤패널
861 디스플레이패널862 제어패널 863 자력발생부
900 힌지부 910 베이스 912 제1돌출부
912a 제1돌출리브 912b 제1수용리브 912c제1축
913 제2돌출부 913a 제2돌출리브 913b 제1수용리브 913c제2축
914 볼록부 920 힌지홀더 920a 홀더홀
921 홀더바디 921a 제1수용리브수용홈
921b 제1축수용홈 921c 하네스수용홈
922 제2돌출부수용홈 922a 제2수용리브수용홈 922b 제2축수용홈
923 보강홈 923a 제1연장홈 923b 중앙홈
923c 제2연장홈
924 보강플랜지 924a 상부플랜지
924b 하부플랜지 924c 중앙플랜지 924d 제1연장플랜지
924d 제2연장플랜지 925 멈춤부 925a 지지부 925b 강성절곡부
930 힌지커버 931 커버바디 932 홀더결합부
933 프레임결합부 934 간섭절개부
960 고정부 961 결합부 962 접촉부

Claims (12)

  1.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과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세탁행정과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진동을 감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어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패널 배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배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배면은 상기 접촉부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노출되는 노출부과,
    상기 노출부에서 상기 도어의 배면 두께만큼 이격되어 상기 도어의 배면에 접촉되는 지지부와,
    상기 노출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관통홀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 보다 직경이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접촉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이 투입되는 패널투입홀과,
    상기 패널투입홀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패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패널커버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패널투입홀의 일면에 상기 패널커버의 일면이 지지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투입홀의 타면이 구비된 상기 도어 내부에 상기 패널커버의 타면이 결합되는 패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커버는 상기 패널커버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패널결합부에 결합되는 패널후크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투입홀은 상기 타면을 일정길이 절개하여 구비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과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세탁행정과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패널,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고 진동을 감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도어의 배면에 상기 고정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관통홀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관통홀에 상기 고정부를 삽입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통홀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70014836A 2017-02-02 2017-02-02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KR102568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836A KR102568672B1 (ko) 2017-02-02 2017-02-02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836A KR102568672B1 (ko) 2017-02-02 2017-02-02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90A true KR20180089990A (ko) 2018-08-10
KR102568672B1 KR102568672B1 (ko) 2023-08-22

Family

ID=6322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836A KR102568672B1 (ko) 2017-02-02 2017-02-02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6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582A (ja) * 2001-03-27 2002-10-02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蓋ロック装置
KR20120073568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터브 고정장치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582A (ja) * 2001-03-27 2002-10-02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蓋ロック装置
KR20120073568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터브 고정장치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672B1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9992A (ko) 의류처리장치
US11060228B2 (en) Washing machine
KR101542376B1 (ko) 세탁기용 도어
RU2407835C2 (ru) Дверца бытового электроприбора, в частности стиральной, стиральной/сушильной или сушильной машины для одежды с фронтальной или в основном с фронтальной загрузкой
US11591743B2 (en) Washing machine
EP2824233A1 (en) Washing machine
US20220259906A1 (en) Washing machine
KR20100070707A (ko) 드럼세탁기
JP2008536538A (ja) 洗濯機
KR20180096284A (ko) 의류처리장치
KR100484830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조립구조
KR2018008999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CN107385763B (zh) 洗衣机
KR2018009000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11043A (ko) 세탁기
KR20180092372A (ko) 의류처리장치
KR20020048577A (ko) 스테인레스 외관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조립체
KR20080114245A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도어
KR20030060546A (ko) 드럼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