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28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284A
KR20180096284A KR1020170022800A KR20170022800A KR20180096284A KR 20180096284 A KR20180096284 A KR 20180096284A KR 1020170022800 A KR1020170022800 A KR 1020170022800A KR 20170022800 A KR20170022800 A KR 20170022800A KR 20180096284 A KR20180096284 A KR 20180096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frame
fixing protrus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675B1 (ko
Inventor
이종성
박영배
김수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675B1/ko
Priority to EP18157360.1A priority patent/EP3363945B1/en
Priority to US15/901,134 priority patent/US10865512B2/en
Publication of KR20180096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 가능한 상태를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잠금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에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상기 잠금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제2프레임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며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 수용부, 의류 수용부를 구성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캐비닛의 일면의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여 전체적인 심미감 및 통일성에 큰 영향을 주는 구성이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에서 전방 또는 상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시선이 집중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도어의 특성을 이용하여, 근자에는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의류수용부가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이 상기 도어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제작되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심미감을 강조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뿐 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고 인식하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는 내부에 컨트롤패널이 삽입되어 설치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구성이 결합되어 구성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하여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컨트롤패널을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외관의 통일성 및 심미감을 위해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아닌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었다.
한편, 전술한 도어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때 푸쉬버튼 타입으로 구비된 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상태를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었다.
상기 잠금부는 외력이 입력될때마다 형상이 변하거나, 일정각도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부 외주면에 구비된 잠금부결합장치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도어에 외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도어를 개구부에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었다.
상기 잠금부가 일정각도 회전하거나 형상이 변하더라도 다시 위치를 복원하기 위해 상기 잠금부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포함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동시에 지지되어 상기 잠금부가 일정각도 회전하더라도 상기 잠금부에 복원력을 전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를 가진 종래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잠금부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작용반작용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서로 밀어내어 분리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결합될 때 상기 잠금부의 탄성부재 등이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밀어내어 상기 도어 조립을 난해하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류처리장치를 운송하는 과정에 있어서,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가 상기 도어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이용하여 도어와 개구부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잠금부가 하나의 프레임에만 고정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잠금부가 상기 도어를 조립할 때 불필요한 외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를 접착제로만 결합시키더라도 상기 도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에 진동 이나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잠금부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구부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 가능한 상태를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잠금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에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상기 잠금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제2프레임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에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일정각도 회전하고 복원되어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반복하는 걸쇠부, 상기 걸쇠부가 일정각도 회전하더라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걸쇠스프링,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걸쇠스프링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걸쇠부는 상기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걸쇠바디와, 상기 걸쇠바디의 말단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걸쇠스프링은 상기 걸쇠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핀의 외주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싸는 제1탄성부와, 상기 걸쇠바디의 타측에서 상기 핀의 외주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싸는 제2탄성부와, 상기 걸쇠바디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걸쇠바디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를 연결하는 걸쇠지지부와, 상기 제1탄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2탄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프레임과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핀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돌기, 상기 고정바디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에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핀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 사이에서 상기 걸쇠바디가 상기 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걸쇠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는 중공과, 상기 중공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면들은 같은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고정돌기는 상기 제1연장부가 고정되는 제1스프링고정돌기와,상기 제1스프링고정돌기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핀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핀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돌기는 상기 제2연장부가 고정되는 제2스프링고정돌기와, 상기 제2스프링고정돌기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핀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핀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스프링고정돌기는 상기 걸쇠관통홀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링고정돌기는 상기 걸쇠관통홀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2연장부가 고정되는 제2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제2고정리브는 각각 말단에 상기 고정바디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핀고정돌기는 상기 걸쇠관통홀을 향하여 절개되어 상기 핀의 일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핀고정돌기는 상기 걸쇠관통홀을 향하여 절개되어 상기 핀의 타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폭은 상기 핀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깊이는 상기 핀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핀고정돌기는 상기 제1절개부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1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핀의 일단과 접촉할 수 있는 제1내부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핀고정돌기는 상기 제2절개부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2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핀의 타단과 접촉할 수 있는 제2내부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핀고정돌기는 상기 제1절개부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1핀고정돌기 외부로 돌출되는 제1방지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핀고정돌기는 상기 제2절개부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2핀고정돌기 외부로 돌출되는 제2방지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방지리브, 상기 제1절개부, 상기 제2절개부 및 상기 제2방지리브는 직선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제2고정리브의 일면에서 각각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제2고정리브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는 외주면에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구비되는 설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는 상기 설치홈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주면에 상기 핀의 외주면을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쇠관통홀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바디보다 더 두께가 두껍게 구비되는 홀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이용하여 도어와 개구부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잠금부가 하나의 프레임에만 고정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잠금부가 상기 도어를 조립할 때 불필요한 외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를 접착제로만 결합시키더라도 상기 도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에 진동 이나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잠금부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도어가 개구부를 개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도어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멈춤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멈춤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고정부에 핀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절개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시된 도어가 회전되어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13)를 구비한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부(13)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의류수용부(20)와,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3)를 개폐하는 도어(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3)는 의류가 상기 의류수용부(20)에 투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캐비닛(1) 전방에 구비된 전면패널(1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캐비닛(1)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패널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세탁 또는 헹굼등이 가능한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20)는 물을 저장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미도시), 상기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의류수용부(20)에 수용된 의류 또는 수분은 상기 개구부(13)로 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8)는 상기 개구부(13)를 폐쇄하여 실링할 수 있는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어(8)는 상기 캐비닛(1)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이목이 가장 집중되는 부분일 수 있고, 상기 캐비닛(1)에서 전방 또는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가장 접근하기 용이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8)는 사용자가 의류를 상기 개구부(13)로 투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파지하는 부분이므로 사용자와 가장 접촉성이 높은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8)에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의류수용부(2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작동명령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컨트롤패널(86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상기 의류수용부(20)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861)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을 제어하는 제어패널(8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패널(861)는 의류처리장치에서 구동되는 행정(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은 터치패널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어 작동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전원버튼(16)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862)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에 상기 의류수용부(20)의 상태를 표시하거는 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상기 캐비닛(1) 내부 구성에 전달하는 PCB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862)은 wifi와 같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원격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862)은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 급수부, 배수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만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지 않아도 상기 컨트롤패널(860)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861) 및 제어패널(862)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패널(862)은 도어(8)에 구비된 구성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의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하여 대기전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860)은 상기 개구부(13)가 전면패널(10)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도어(8)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13)가 상부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8)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컨트롤패널(860)에 접근하기 위해서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개구부(13)가 상기 캐비닛(1)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상기 개구부(13)가 상기 캐비닛(1)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도 같은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8)는 상기 개구부(13)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8)의 중심은 상기 개구부(13)의 중심보다 상측 또는 전방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8) 내부에 컨트롤패널(86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860)을 인식하고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3)를 구비한 전면패널(10)은 상기 개구부(13)보다 큰 상기 도어(8)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면패널(10)은 상기 도어(8)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단차면(14)과, 상기 단차면에서 상기 개구부(13)까지 연장되어 상기 도어(8)의 배면과 접촉하는 수용면(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면(14)은 상기 전면패널(10)에서 내부로 절곡되어 구비되어 상기 수용면(15)과 함께 상기 도어(8)를 수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8)는 일정부분 상기 전면패널(10)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직경이 크게 구비되어 컨트롤패널(860)을 사용자에게 쉽게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0)은 상기 개구부(13)가 구비되는 평면부(11)와, 상기 평면부(11)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2)는 하단에 상기 개구부(13)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평면부(11)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경사부(12)는 상기 평면부(11)의 상부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전면패널(10)의 배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8)는 상부 또는 상단에 상기 경사부(12)와 대응되는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8)는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비되는 경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상기 도어(8)의 상부에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상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캐비닛(1) 보다 키가 큰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컨트롤패널(860)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8)는 내부에 상기 개구부(13)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홀(811,8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시홀(811,821)은 상기 컨트롤패널(86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그 직경이 개구부(13)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투시홀(811,821)은 투명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3)를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20)의 내부를 상기 캐비닛(1)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8)는 배면에 상기 개구부(13)를 실링하는 가스켓(8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817)은 일정길이 상기 개구부(13)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수용부(20)의 의류가 상기 도어(8)를 향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과 상기 의류수용부(20) 사이에 수분이나 의류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817)은 투명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8)를 상기 캐비닛(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900)와, 상기 도어(8)를 상기 캐비닛(1)에 결합시켜 상기 개구부(13)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900)는 상기 개구부(13)의 외주면과 상기 도어(8)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도어(8)가 상기 개구부(13)를 회전하며 개폐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힌지부(900)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공급부, 의류수용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의 신호를 상기 도어(8)에 구비된 컨트롤패널(860)에 전달할 수 있는 하네스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1000)는 상기 도어(8)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잠금부(1000)는 상기 힌지부(900)의 맞은편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8)의 회전모멘트가 가장 큰 부분이기 때문이다.
상기 잠금부(1000)는 상기 도어(8)에 상기 개구부(13)를 향한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상기 도어(8)가 상기 개구부(13)를 폐쇄한 상태 및 상기 도어(8)가 상기 개구부(13)를 개방 가능한 상태를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위해, 상기 잠금부(1000)의 일부는 상기 도어(8)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1)은 상기 개구부(13)의 외주면에 상기 잠금부(100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체결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8)는 내부에 컨트롤패널(860)을 수용해야 하므로 하나의 바디로 제작되거나 가공되는 것보다 두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3(a)는 도어(8)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구성과 그 결합을 도시한 것이며, 도(b)는 상기 도어프레임과 도어 커버의 구성과 그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기 도어(8)는 개구부(13)를 개폐하는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1프레임(8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82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의 전방에 결합되어 도어(8)의 전방을 형성하는 도어커버(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8)가 하나의 바디가 아닌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컨트롤패널(860), 힌지부(900), 잠금부(1000)의 구성을 설치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도어(8)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8)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810)은 상기 제1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의류수용부(20) 내부를 투영하도록 구비되는 제1투시홀(811)과,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패널투입홀(814), 상기 패널투입홀(814)을 개폐하여 상기 제1프레임(810)의 배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면 패널커버(8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투시홀(811)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구부(13)를 실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기 가스켓(8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제1투시홀(811)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제2프레임(82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2투시홀(821)과, 상기 컨트롤패널(86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패널표시홀(82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전면패널(10)은 일측 또는 상부가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0)에 상기 경사부(12)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2프레임(820)의 상부는 상기 경사부(12)에 대응하는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프레임(820)의 상부는 상기 제1프레임(810)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제1프레임(810)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프레임바디(820a)와, 상기 프레임바디의 상부에 상기 제1프레임(810)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바디경사부(8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8)의 외관 및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은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제1프레임(8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820)을 사출할 때 웰드라인(weld line)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공간을 따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에 접착제가 도포된 뒤 부착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생략할 수 있고, 외관의 통일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830)는 상기 제2프레임(820)의 노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830)는 전체적으로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커버(830) 는 상기 패널표시홀(823)과 상기 제2투시홀(821)에 대응되는 부분은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나머지부분은 내부 구성을 차폐하여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농도가 짙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이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 사이에 상기 잠금부(10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부(1000)가 상기 제1프레임(810) 및 상기 제2프레임(820)에 위치가 고정된 후,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이 결합이 완료되면서 상기 잠금부(1000)가 상기 도어(8)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4는 상기 잠금부(10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a)는 상기 잠금부(10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4(b)는 상기 잠금부(1000)가 상기 도어(8) 내부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4(c)는 상기 잠금부(1000)가 상기 제1프레임(810)을 관통하여 돌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잠금부(1000)는 상기 제1프레임(810)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8)에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일정각도 회전하고 복원되어 상기 체결부(17)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반복하는 걸쇠부(1100)와, 상기 걸쇠부가(1100)가 일정각되 회전하더라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걸쇠스프링(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부(1100)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되는 걸쇠바디(1110)와, 상기 걸쇠바디(1110)의 일단에 구비되는 헤드관통홀(1111)과, 상기 걸쇠바디(1110)의 말단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핀(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관통홀(1111)은 상기 걸쇠바디(1110)보다 직경이나 두께가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7)는 상기 헤드관통홀(11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2참조)
상기 걸쇠바디(1110)는 상기 도어(8)에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일정각도 회전하고, 상기 걸쇠스프링(1200)에 의해 위치가 복원되면서 상기 헤드관통홀(1111)이 상기 체결부(17)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헤드관통홀(1111)이 상기 체결부(17)에 이탈할 수 있다.
상기 도어(8)에 가해지는 외력은 상기 개구부(13)를 향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의류수용부(20) 내부에 물이나 의류가 상기 도어(8)를 밀어낼 때 상기 걸쇠바디(1110)가 회전하여 상기 체결부(17)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도어(8)가 상기 개구부(13)를 향해 가해지는 외력이 존재할 때만, 상기 도어(8)는 상기 개구부(13)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부(1000)는 푸쉬버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걸쇠스프링(1200)은 상기 걸쇠바디(1110)의 일측에서 상기 핀(1120)의 외주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싸는 제1탄성부(1210)와, 상기 걸쇠바디의 타측에서 상기 핀의 외주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싸는 제2탄성부(1220)와, 상기 걸쇠바디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걸쇠바디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를 연결하는 걸쇠지지부(1230)와, 상기 제1탄성부(1210)에서 연장되어 제1프레임(8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820) 중 어느하나에 지지되는 제1연장부(1211)와, 상기 제2탄성부(1220)에서 연장되어 제1프레임(8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820) 중 나머지 하나에 지지되는 제2연장부(1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지지부(1230)는 상기 걸쇠바디(1110) 중 상기 핀(1120)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일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1211)와 상기 제2연장부(1221)가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상기 걸쇠바디(1110)가 상기 걸쇠지지부(1230)향해 회전하여 상기 걸쇠지지부(1230)를 밀어내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1210)와 상기 제2탄성부(12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쇠지지부(1230)는 상기 걸쇠바디(1110)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1211)과 상기 제2연장부(1221)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연장부(1211)와 상기 제2연장부(1221)가 서로 다른 프레임에 지지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연장부(1211)의 말단과 상기 제2연장부(1221)의 말단에는 절곡되어 구비된 제1절곡부(1212)와 제2절곡부(1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절곡부(1212,1222)는 상기 제1,2연장부(1211,1221)이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의 지지 및 고정수단에 결합되는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장부(1211)은 상기 제1프레임(8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연장부(1221)은 상기 제2프레임(820)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쇠바디(1110)에 외력이 작용하여 A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연장부(1211)와 상기 제2연장부(1311)가 상기 제1프레임(810) 및 상기 제2프레임(820)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탄성부(1210)와 상기 제2탄성부(12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쇠지지부(1230)은 B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걸쇠바디(1110)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걸쇠지지부(1230)에 의해 상기 걸쇠바디(1120)은 B방향으로 회전하여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걸쇠부(1100)는 상기 걸쇠스프링(1200)에 의해 상기 체결부(17)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도4(c)를 참조하면, 상기 걸쇠바디(1110)의 일부와 상기 헤드관통홀(1111)이 상기 제1프레임(810)에서 상기 개구부(13)를 향하여 노출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체결부(17)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4(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걸쇠바디(1110)가 회전하거나, 상기 걸쇠바디(1110)을 복원시킬 때 상기 걸쇠바디(1110)는 작용 반작용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이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걸쇠스프링(1200)에서 발생시키는 힘은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의 적어도 일부가 벌어지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이 서로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쇠스프링(1200)이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을 일정길이 밀어내거나,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접착시 오조립 될 수 있고,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에 틈이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패널(860)에 수분이나 습기가 접촉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걸쇠스프링(1200)이 상기 도어(8)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해 원위치를 이탈하면 상기 잠금부(1000)가 원할하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5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잠금부(10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잠금부(1000)는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1000)는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 중 다른 하나에는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1000)는 상기 제1프레임(8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체결부(17)에 체결되므로 상기 제1프레임(8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820)에는 접촉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820)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잠금부(1000)는 모든 구성이 상기 제1프레임(81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1000)의 어떤 구성도 상기 제2프레임(820)에 외력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이 서로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프레임(820)과 상기 제1프레임(810)의 접착된 부분이 상기 잠금부(1000)에 의해 이격되거나 틀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1000)가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이 결합되는 위치를 전혀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상기 제1프레임(810)과 상기 제2프레임(820)의 결합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1000)에 어떠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2프레임(820)과 상기 제1프레임(810)이 결합된 어떤 부분도 분리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8)의 조립성 및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1000)는 전술한 잠금부의 구성 외에, 상기 제1프레임(810)에 구비되어 상기 걸쇠스프링(1200)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결과적으로 상기 걸쇠스프링(1200)의 제1연장부(1211)와 상기 제2연장부(1221)는 같은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0)는 상기 제1프레임(810)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프레임(810)과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바디(1310)와, 상기 고정바디(13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1211)와 상기 핀(1120)의 일단(1121)이 고정되는 제1고정돌기(1320)과, 상기 고정바디(1310)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1320)에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2연장부(1211)와 상기 핀(1120)의 타단(1122)이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1330)과,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 사이에서 상기 걸쇠바디(1110)가 상기 고정바디(131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걸쇠관통홀(1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1310)은 상기 제1프레임(810)과 동시에 사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프레임(810)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81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바디(1310)는 양측에 상기 제1프레임(810)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1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1310)는 상기 제1프레임(810)의 배면 또는 내면에서 상기 개구부(13)를 향하여 오목하게 구비되는 설치홈(13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홈(1313)은 상기 제1프레임(810)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설치홈(1313)은 상기 잠금부(10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잠금부(1000)가 상기 제2프레임(820)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가 상기 설치홈(1313)의 내주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잠금부(1000)의 내구성,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는 상기 걸쇠관통홀(131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은 상기 걸쇠스프링(1200)의 양단을 고정하여 상기 걸쇠스프링(1200)에 어떠한 외력이 발생하여도 상기 걸쇠스프링(1200)이 이탈하거나, 상기 제2프레임(82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는 상기 핀(1120)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걸쇠부(110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는 상기 핀(1120)의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핀(1120)에 외부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핀(1120)이 상기 고정부(1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는 상기 고정바디(1300)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쇠부(1100)와 상기 걸쇠스프링(1200)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는 직육면체 또는 여러 직육면체가 조합된 형상으로 돌출되는 기둥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는 내부에 공간이 비어있는 중공(S)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공(S)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면(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S)은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의 하중을 표면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가 사출 성형될 때 같은 금형으로 사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의 개방면(C)는 같은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6은 상기 잠금부(1000)에서 고정부(1300)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고정돌기(1320)은 상기 제1연장부(1211)가 고정되는 제1스프링고정돌기(1321)와, 상기 제1스프링고정돌기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핀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핀고정돌기(13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돌기(1330)는 상기 제2연장부(1221)가 고정되는 제2스프링고정돌기(1331)와, 상기 제2스프링고정돌기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핀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핀고정돌기(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고정돌기(1321)와 상기 제1핀고정돌기(1322) 및 상기 제2스프링고정돌기(1331)과 상기 제2핀고정돌기(1332)는 서로 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서로 접촉되어 구비되는 것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보다 내구성 및 제작편의성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고정돌기(1321) 및 상기 제2스프링고정돌기(1331)는 상기 제1핀고정돌기(1322) 및 상기 제2핀고정돌기(1332)보다 크고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잠금부(1300)에서 가장 큰 부하를 발생시키는 걸쇠스프링(1200)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고 상기 핀이 충분한 길이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스프링고정돌기(1321)는 상기 걸쇠관통홀(1311)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1211)가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리브(132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링고정돌기(1331)는 상기 걸쇠관통홀(1311)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2연장부(1221)가 고정되는 제2고정리브(133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쇠스프링(1200)의 제1,2연장부는 상기 핀(1120)과 나란하게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2연장부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쇠지지부(1230)이 상기 제1,2고정리브(1321a,1331a)의 상부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2연장부(1211,1221)은 상기 제1,2고정리브(1321a,1331a)하부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리브(1321a)와 상기 제2고정리브(1331a)의 일면에서 각각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제2고정리브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되는 보강부(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리브(1321a)와 상기 제2고정리브(1331a)가 상기 스프링고정돌기(1321,1322)의 상부면 또는 그 인근에서 연장되므로 내구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고정돌기(1320)와 상기 제2고정돌기(1330)는 외주면에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13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걸쇠관통홀(1311)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바디(131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구비되는 홀보강부(13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쇠관통홀(1311)은 상기 걸쇠바디(1310)가 회전할 때 상기 걸쇠바디(1310)와 접촉하거나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300)는 상기 홀보강부(1311a)가 구비되어 상기 걸쇠관통홀(1311)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상기 걸쇠관통홀(1311)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리브(1321a)와 상기 제2고정리브(1331a)는 각각 말단에 상기 고정바디(1310)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1211)와 상기 제2연장부(12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E)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이탈방지턱(E)은 상기 걸쇠스프링(1200)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과정에서상기 제1연장부(1211)와 상기 제2연장부(1221)가 서로 가까워져 상기 고정리브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핀고정돌기는 상기 걸쇠관통홀을 향하여 절개되어 상기 핀의 일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절개부(1322a)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핀고정돌기는 상기 걸쇠관통홀을 향하여 절개되어 상기 핀의 타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절개부(133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절개부(1322a,1332a)는 상기 핀(112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2절개부(1322a,1332a)의 폭 또는 너비는 상기 핀(1120)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2절개부(1322a,1332a)의 깊이도 상기 핀(1120)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2절개부(1322a,1332a)는 상기 핀(1120)과 면접촉하여 상기 핀(1120)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핀(1120)이 상기 제1,2핀고정돌기(1322,1332)에 결합은 상기 제1,2절개부(1322a,1332a) 중 어느하나에 먼저 안착된 뒤, 상기 제1,2절개부(1322a,1332a)에 먼저 안착된 상기 제1,2핀고정돌기(1322,1332)에 결합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2절개부(1322a,1332a) 중 나머지 하나에 안착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2핀고정돌기(1322,1332)는 내부에 중공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1120)의 일부가 상기 제1,2핀고정돌기(1322,1332)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절개부(1322a)와 상기 제2절개부(1332a)는 폭과 깊이뿐만 아니라, 상기 제1,2핀고정돌기(1322,1332)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핀(112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핀(1120)은 상기 제1,2절개부(1322a,1332a)에 삽입되어 양단이 제1,2핀고정돌기(1322,1332) 내부에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도어(8)가 진동하거나,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운송 중 낙하, 전도 등의 충격에 의해 상기 핀(1120)이 상기 제1,2절개부(1322a,1332a)에서 유동하여 상기 제1,2핀고정돌기(1322,1332)에서 이탈할 수 있다.
도7은 상기 핀(1120) 상기 고정부(1300)에 결합된 것을 개구부(B)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핀고정돌기(1322)는 상기 제1절개부(1322a)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1절개부(1322a)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핀의 일단(1121)과 접촉할 수 있는 제1내부돌출부(1322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핀고정돌기(1332)는 상기 제2절개부(1332a)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2절개부(1332a)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핀의 타단(1122)과 접촉할 수 있는 제2내부돌출부(13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돌출부(1322a)와 상기 제2내부돌출부(1332b)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핀(1120)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핀(1120)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부돌출부(1322a)와 상기 제2내부돌출부(1332b)는 상기 핀(1120)이 상기 절개부들에 안착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곳에 상기 핀(1120)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핀(1120)의 양단과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핀(1120)이 상기 제1,2핀고정돌기(1322,1332)에 완전히 지지되어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여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에 강한 충격이 발생하여 상기 제1내부돌출부(1322a)와 상기 제2내부돌출부(1332b)가 연장된 제1,2핀고정돌기들의 일면들의 형상이 순간적으로 변형되거나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핀고정돌기(1322)는 상기 제1절개부(1322a)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1핀고정돌기(1322) 외부로 돌출되는 제1방지리브(1322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핀고정돌기(1332)는 상기 제2절개부(1332a)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2핀고정돌기 외부로 돌출되는 제2방지리브(133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방지리브(1322c,1332c)는 상기 핀고정돌기가 순간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형되더라도 그 변화량을 축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지리브(1322c), 상기 제1절개부(1322a), 상기 제2절개부(1332a) 및 상기 제2방지리브(1332c)는 나란한 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핀(1120)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핀(1120)이 상기 고정부(13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8은 상기 걸쇠관통홀(1311)에서 상기 제1고정돌기(1320)를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절개부(1322a)는 내부 또는 내주면에 상기 핀(1120)의 외주면을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지지돌기(132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1322d)는 상기 절개부(1322a)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돌출면은 상기 절개부(1322a)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1322d)의 돌출면과 상기 제1절개부(1322a)사이의 간격은 상기 핀(1120)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1322d)와 상기 제1절개부(1322a) 사이에 상기 핀(1120)이 억지끼움 되면, 상기 지지돌기(1322d)에 의해 상기 핀(1120)이 상기 제1절개부(1322a)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1322d) 외주면과 상기 제1절개부(1322a)의 내주면은 상기 핀의 직경(1120)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상기 지지돌기(1322d)는 상기 핀(1120)이 상기 절개부(1322a)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절개부(1332a)도 상기 제1절개부(1321a)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0전면패널 11 평면부
12 경사부 13 개구부 14 단차면
15 수용면 16 전원버튼 20 의류수용부
21터브 22드럼 4 구동부
6 급수부 7 배수부 8 도어
810 제1프레임 811 제1투시홀
812 결합리브 813 후크결합부
14 패널투입홀 814a 지지대 814c 패널결합부
815 힌지투입홀 816 패널커버 816a 패널후크 816b 고정관통홀
817 가스켓 818 결합관통홀 820 제2프레임
830 도어커버 860 컨트롤패널
900 힌지부 1000 잠금부
1100 걸쇠부 1110 걸쇠바디 1111 헤드관통홀 1112 헤드경사면
1120 핀 1121 일단 1122 타단
1200 걸쇠스프링 1210 제1탄성부 1211 제1연장부 1212 제1절곡부
1220 제2탄성부 1221 제2연장부 1222 제2절곡부
1230 걸쇠지지부 1331 제2연장부
1300 고정부 1310 고정바디 1311 걸쇠관통홀 1311a 1311b
1320 제1고정돌기 1321 제1스프링고정돌기 1321a 제1고정리브
E 이탈방지턱 1322 제1핀고정돌기 1322a 제1절개부
1322b 제1내부돌출부 1322c 제1방지리브 1322d 지지돌기 F보강부
1330 제2고정돌기 1331 제2스프링고정돌기 1331a 제2고정리브
1332 제2핀고정돌기 1332a 제2절개부 1332b제2내부돌출부
1332c 제2방지리브

Claims (19)

  1. 개구부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 가능한 상태를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잠금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에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상기 잠금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제2프레임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에 외력이 입력될 때 마다 일정각도 회전하고 복원되어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반복하는 걸쇠부;
    상기 걸쇠부가 일정각도 회전하더라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걸쇠스프링;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걸쇠스프링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는
    상기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걸쇠바디와, 상기 걸쇠바디의 말단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걸쇠스프링은
    상기 걸쇠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핀의 외주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싸는 제1탄성부와,
    상기 걸쇠바디의 타측에서 상기 핀의 외주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싸는 제2탄성부와,
    상기 걸쇠바디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걸쇠바디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를 연결하는 걸쇠지지부와,
    상기 제1탄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2탄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프레임과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핀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돌기;
    상기 고정바디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에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핀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 사이에서 상기 걸쇠바디가 상기 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걸쇠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는
    중공과,
    상기 중공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면들은 같은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제1고정돌기는
    상기 제1연장부가 고정되는 제1스프링고정돌기와,
    상기 제1스프링고정돌기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핀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핀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돌기는
    상기 제2연장부가 고정되는 제2스프링고정돌기와,
    상기 제2스프링고정돌기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핀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핀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고정돌기는 상기 걸쇠관통홀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링고정돌기는 상기 걸쇠관통홀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2연장부가 고정되는 제2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제2고정리브는 각각 말단에 상기 고정바디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고정돌기는 상기 걸쇠관통홀을 향하여 절개되어 상기 핀의 일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핀고정돌기는 상기 걸쇠관통홀을 향하여 절개되어 상기 핀의 타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2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폭은 상기 핀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깊이는 상기 핀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고정돌기는 상기 제1절개부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1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핀의 일단과 접촉할 수 있는 제1내부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핀고정돌기는 상기 제2절개부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2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핀의 타단과 접촉할 수 있는 제2내부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고정돌기는
    상기 제1절개부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1핀고정돌기 외부로 돌출되는 제1방지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핀고정돌기는
    상기 제2절개부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2핀고정돌기 외부로 돌출되는 제2방지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방지리브, 상기 제1절개부, 상기 제2절개부 및 상기 제2방지리브는 직선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제2고정리브의 일면에서 각각 상기 제1고정리브와 상기 제2고정리브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는 외주면에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구비되는 설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는 상기 설치홈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주면에 상기 핀의 외주면을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쇠관통홀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바디 보다 더 두께가 두껍게 구비되는 홀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22800A 2017-02-21 2017-02-21 의류처리장치 KR102568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800A KR102568675B1 (ko) 2017-02-21 2017-02-21 의류처리장치
EP18157360.1A EP3363945B1 (en) 2017-02-21 2018-02-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5/901,134 US10865512B2 (en) 2017-02-21 2018-02-2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800A KR102568675B1 (ko) 2017-02-21 2017-02-2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84A true KR20180096284A (ko) 2018-08-29
KR102568675B1 KR102568675B1 (ko) 2023-08-22

Family

ID=6124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800A KR102568675B1 (ko) 2017-02-21 2017-02-2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65512B2 (ko)
EP (1) EP3363945B1 (ko)
KR (1) KR102568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379B1 (ko) 2019-02-01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1519407B (zh) 2019-02-01 2022-10-2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06A (zh) 2019-02-01 2020-08-1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0B (zh) 2019-02-01 2022-09-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6B (zh) 2019-02-01 2023-05-30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2B (zh) 2019-02-01 2023-01-0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1B (zh) 2019-02-01 2022-09-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DE102020100945B4 (de) 2019-02-01 2022-12-08 Lg Electronics Inc.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CN111519409B (zh) 2019-02-01 2022-09-0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1935A (ko) * 2008-11-10 201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와 그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1520A (en) * 1974-12-16 1976-11-16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door opening device
KR100924589B1 (ko) * 2002-11-28 2009-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 후크 어셈블리
KR100970631B1 (ko) * 2003-08-26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후크 지지구조
KR101054404B1 (ko) * 2004-02-13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KR101125402B1 (ko) * 2004-07-19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구조
CN101298735A (zh) * 2008-01-17 2008-11-05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
US7997105B2 (en) * 2008-06-30 2011-08-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Push-position indicator for appliance door
EP2147996B1 (en) * 2008-07-23 2014-04-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eversible door assembly for a front loading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360050B1 (ko) * 2015-02-10 2022-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102271280B1 (ko) * 2016-05-26 202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1935A (ko) * 2008-11-10 201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와 그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65512B2 (en) 2020-12-15
US20180237979A1 (en) 2018-08-23
EP3363945A1 (en) 2018-08-22
EP3363945B1 (en) 2020-04-29
KR102568675B1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6284A (ko) 의류처리장치
JP5080493B2 (ja) 洗濯装置
RU2294995C2 (ru) Запорный узел и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с таким запорным узлом
CN113355853A (zh) 衣物处理装置
US20220259906A1 (en) Washing machine
KR101208499B1 (ko) 드럼식 세탁 장치
CN110191986B (zh) 衣物处理装置的门构造
KR101890260B1 (ko) 세탁기
US20070209403A1 (en) Washing machine
KR20040047008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후크 어셈블리
KR20100051935A (ko) 세탁기의 도어와 그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20110013007A (ko) 도어 어셈블리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20050114362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KR20040046919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조립구조
US20220290358A1 (en) Washing machine
JP2021029724A (ja) 洗濯機
KR100465714B1 (ko) 드럼세탁기의 탑 플레이트 조립구조
KR20210065048A (ko) 세탁기
KR101486374B1 (ko) 공용 컨트롤패널 및 이를 구비한 세탁장치
KR200232024Y1 (ko) 세탁기
CN110130051B (zh) 一种衣物处理装置及其装配方法
KR980008237U (ko) 세탁기
KR101222858B1 (ko) 드럼 세탁기
KR19990005908U (ko) 세탁기의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케이스
KR20070096612A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