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920A - Method for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920A
KR20180089920A KR1020170014297A KR20170014297A KR20180089920A KR 20180089920 A KR20180089920 A KR 20180089920A KR 1020170014297 A KR1020170014297 A KR 1020170014297A KR 20170014297 A KR20170014297 A KR 20170014297A KR 20180089920 A KR20180089920 A KR 2018008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logistics
vehicle
candidate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2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용희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920A/en
Publication of KR2018008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9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for logistics using a route vehicle and a system thereof. The method capable of generating additional profits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receives information on a destination where an object is transported.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determines a logistics route among routes based on the destination.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determines a logistics rou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logistics route.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determines at least one candidate carrier in one or more passengers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determines a carrier, who will carry the object, among the candidate carriers.

Description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vehicle,

본 발명은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차량(예컨대, 통학용 스쿨버스, 직장 출퇴근 버스 등)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물류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method using a route vehicle and a system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s (for example, school buses for schools, buses for commuting buses, etc.) ≪ / RTI >

종래에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물류에 이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0002]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utilize public transportation for logistics in the past.

하지만 특정 목적지를 제한된 탑승자를 위해 운행하는 노선차량(예컨대, 스쿨버스, 출퇴근 버스 등)은 제한된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므로, 주로 그 목적에 부합하는 용도(예컨대, 등교, 출퇴근 등)만으로 제한되어 이용되고 있다. However, since a route vehicle (for example, a school bus, a commuting bus, etc.) that travels to a specific destination for a limited number of passengers is provided for the convenience of a limited number of passengers, it is limited mainly to the purpose .

. 하지만 특정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 등)를 위해 반복적으로 운행되는 노선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또는 지역)으로 노선차량들이 주기적으로 운행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노선차량들을 효과적으로 물류에 활용하는 경우 에너지의 절감 및 새로운 수익의 창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가 있다.. However, there may be a plurality of routes repeatedly operated for a specific destination (for example, a school or a workplace), and in such a case, it means that the line vehicles are operated in a relatively wide range . Therefore, when these route vehicles are utilized effectively for logistics,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and create new profit.

한국등록특허 10-2000-0024234 "인터넷과 노선 버스를 이용한 물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000-0024234 "Logistics System Using Internet and Route Bus and Logistics Method Using the System" 한국공개특허 10-2014-0077988 " 노선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예약 좌석변경 알림서비스 제공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77988 "Route Bus Reservation System and Reservation Seat Change Notif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특정 목적지(예컨대, 학교, 직장 등)에 관련된 탑승자를 위해 운행되는 노선 차량을 이용하여 해당 탑승자가 물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a passenger to carry out logistics using a route vehicle that is operated for a passenger related to a specific destination (for example, school, workplace, etc.).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복수의 노선들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복수의 노선들 각각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은 물류정보 시스템이 운송될 물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결정된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는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명의 탑승자 중에서 후보 운송자를 적어도 한 명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후보 운송자 중에서 상기 물건을 운송할 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logistics method using route vehicles in which a plurality of railway stations are set up in each of a plurality of routes, the route being op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oute to achieve the technical object, Determining a logistics route among the routes based on the destination, determining a logistics rou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for which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s determined, Determining at least one candidate carrier among at least one passenger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and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determining the carrier from which the object is to be transported among the candidate carriers.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목적지에 상응하는 노선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노선들 각각의 정차장들 중 상기 목적지와의 거리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정차장을 포함하는 노선을 상기 물류노선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a rout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by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a route including the candidate railway station whose distance from the destination to the destin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among the railway stations of the routes, As shown in FIG.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결정된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는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며 출발시간이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노선차량 중에서, 상기 출발시간과 상기 물건의 배송희망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희망 시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물류 노선차량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gistics rou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for which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has been determined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parture time and the time of the departure time of the goods among the at least one route vehicles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And specifying at least one logistics rou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delivery time based on the desired delivery time.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명의 탑승자 중에서 후보 운송자를 적어도 한 명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 노선차량에 상응하는 후보차량을 탑승할 탑승자 각각의 하차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탑승자를 상기 후보 운송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determining at least one candidate carrier among at least one passenger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determines the logistics route based on the charge information of each passenger boarding the candida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vehicle, And determining the passenger whose destin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as the candidate carrier.

상기 후보차량은 상기 물류 노선차량 및 상기 물류 노선차량과의 운행시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인 노선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ndidate vehicle may include a route vehicle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vel times of the logistics route vehicle and the logistics route vehicle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상기 물류 노선은 상기 노선의 공통된 목적지에 상응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 이외의 제2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물건의 탑재지 정차장은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영역 정차장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후보 운송자는 승차지가 상기 탑재지 정차장이 아니더라도 상기 제1영역 정차장에 포함된 타 정차장으로 설정된 탑승자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istribution route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corresponding to a common destination of the route and a second area other than the first area, and the loading station of the object includes at least one first area railway station , And the candidate carrier may include a passenger who is set to another railw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railway station even if the boarding vehicle is not the loading station.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후보 운송자 중에서 상기 물건을 운송할 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후보 운송자 각각의 단말기로 상기 물건의 운송에 대한 물류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송신된 상기 물류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the transport information system determining the transport carrier to transport the object among the candidate transporters comprises the steps of the transport information system transmitting the transport request information for transporting the object to the terminal of each of the candidate transporters, And determining the carrier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based on the request information.

상기의 방법은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 method can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복수의 노선들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복수의 노선들 각각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위한 물류정보 시스템은 운송될 물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물류요청모듈, 상기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노선결정모듈, 결정된 상기 물류노선에서 상기 물류를 수행할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하고,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명의 탑승자를 조회하고, 조회된 적어도 한 명의 탑승자 중에서 후보 운송자를 적어도 한 명 결정하며, 상기 후보 운송자 중에서 상기 물건을 운송할 운송자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for a logistics method using route vehicles in which a plurality of stopovers are set up in each of a plurality of routes and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outes to achieve the technical object, A route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distribution route among the routes on the basis of the destination, a distribution route vehicle for carrying out the distribution in the determined distribution route, And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candidate carrier among the at least one occupant inquired and determining a carrier to which the object is to be transported among the candidate carrier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특정 목적지와 관련된 탑승자들을 위해 운행하는 노선차량의 경우 탑승자가 제한되어 있고 탑승자가 주기적으로 상기 노선차량을 탑승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 및 탑승자의 목적지 또는 승차지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탑승자가 물류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는 자신의 목적지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물류의 수행에 따른 이득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route vehicle traveling for a passenger related to a specific destination, the passenger is limited and the passenger can periodically ride the route vehicle, so that it is easy to manage the destination or riding place of the passenger and the passenger Since the occupant performs the logistics us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occupant can obtain the benefits of the logistic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largely from his / her destination.

또한 노선차량의 운행주체(예컨대, 학교, 직장 등) 역시 저렴하거나 낮은 비용으로 물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추가적인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entity of the route vehicle (for example, school, workplace, etc.) also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logistics at a low cost or a low cost, and has an effect of generating additional profit.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노선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위한 노선 및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정보 시스템의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물류노선을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중 물류노선 차량을 특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운송자를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1 is a view for explaining routes and areas for a logistics method using a route vehicl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using a rout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ogistics method using a rout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cept for determining a logistics route among a plurality of rou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for specifying a logistics route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route vehicles that operate a logistics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cept for determining a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transmit the data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And may transmit the data to the other component. Conversely, when one element 'directly transmits' data to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other element without passing through another element in the ele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노선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위한 노선 및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routes and areas for a logistics method using a route vehicl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노선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탑승자를 특정할 수 있는 노선차량 즉, 소정의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 등)를 운행하는 차량(예컨대, 버스, 승합차, 자가용 등)이면서 해당 목적지의 운영주체가 제한된 탑승자에게 탑승을 허용하는 차량일 수 있다. 노선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노선(예컨대, 제10. 20)을 따라 운행할 수 있다.1,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route vehicle. Particularl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route vehicle capable of specifying a passenger, that is, a vehicle (for example, a bus, a van, a car, etc.) that runs on a predetermined destination And may be a vehicle that allows a passenger to board the vehicle. The route vehicle may travel along at least one route (e.g., No. 10.20).

각각의 노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정차장들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rou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tation stops as shown in Fig.

또한 각각의 노선은 서로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노선은 상기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차량의 목적지(예컨대, 학교, 직장 등)인 목적지 영역(30)과 그 외의 영역(이하, 기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Also, each route may include different areas. Each route may be divided into a destination area 30, which is a destination (for example, a school, a workplace, etc.) of a route vehicle that operates the route, and other areas (hereinafter, other areas).

예컨대, 제1노선(10)은 목적지 영역(30) 및 기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line 10 may be divided into a destination area 30 and other areas.

목적지 영역(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차장(30, 31, 32, 3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지 영역(30)에는 목적지의 사정이나 크기에 따라 하나의 정차장만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영역(30)에 복수의 정차장들이 포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t least one railway station 30, 31, 32, 33 may be included in the destination area 30. In the destination area 30, only one parking area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destin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case where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are included in the destination area 30.

기타영역에도 역시 적어도 하나의 정차장(11, 12, 13, 14)이 포함될 수 있다. At least one station (11, 12, 13, 14) may also be included in the other area.

또한, 제2노선(20) 역시 목적지 영역(30) 및 기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Also, the second line 20 may be divided into a destination area 30 and other areas.

제2노선(20)의 목적지 영역(30)은 제1노선(10)의 목적지 영역(30)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노선(10)의 목적지 영역(30)의 정차장과 제2노선(20)의 목적지 영역(30)의 정차장은 도 1에서는 동일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 각 노선의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들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The destination area 30 of the second line 20 may be the same as the destination area 30 of the first line 10. Although the station stops of the destination area 30 of the first route 10 and the stop areas of the destination area 30 of the second route 20 are the same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ation stops in the vehicle 3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2노선(20)의 기타영역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정차장(21, 22, 23, 24, 25)이 존재할 수 있다.At least one railway station 21, 22, 23, 24, 25 may be present in the other area of the second route 20 as shown in FIG.

목적지에 따라 더 다양한 노선들이 존재할 수 있고, 정차장들의 숫자 및 위치는 다양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number of stations and the number of sta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tin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물류 요청자는 물류 요청정보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정보 시스템, 이하, 물류정보 시스템(100))에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istics requestor can input the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into a system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using route vehi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물류요청 정보는 물류의 목적지(40)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배송희망시간, 물류가 수행될 물건의 특성(크기, 무게, 취급주의 사항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information on the destination 40 of the logis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esired delivery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size, weight, handling precautions, etc.) of the goods to be performed may be further included.

그러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복수의 노선들(10, 20) 중 상기 물류를 수행하기 위한 노선 즉, 물류노선을 결정할 수 있다. Then,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a route, that is, a logistics route, among the plurality of routes 10, 20 for performing the logistics.

물류노선이 결정되면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상기 물류노선을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중 상기 물류를 수행할 차량 즉,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logistics route is determined,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can determine a vehicle, that is, a logistics route vehicle, to perform the logistics among the plurality of route vehicles that operate the logistics route.

물류노선 차량이 결정되면,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해당 물류정보를 수행할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운송자는 상기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일 수 있다. 상기 탑승자는 상기 물류노선 차량을 탑승하기로 예약한 사람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물류 건의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탑승예정자들에게 물류 요청정보를 공지하고, 공지된 물류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가 물류노선 차량을 탑승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물류노선은 시간 순으로 제1노선차량, 제2노선차량, 제3노선차량이 운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정의 탑승자는 통상 제3노선차량을 탑승하는 자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탑승자는 상기 제2노선차량이 물류노선 차량으로 결정된 물류건이 존재하고 물류의 목적지가 자신의 행선지 인근일 경우, 제2노선차량을 탑승하고자 할 수도 있다. When the logistics route vehicle is determined,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can determine the carrier to perform the logistics information. The carrier may be a passenger of the logistics route vehicle. The passenger may be a person reserved for boarding the logistics rout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request for the logistics is requested, the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plurality of boarding passengers, and the passenger may decide to board the logistics route vehicle based on the known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irst route vehicle, the second route vehicle, and the third route vehicle can be operated by the logistics route in time sequence.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occupant may be the person who normally rides the third route vehicle. However, the passenger may wish to board the second route vehicle when the second route vehicle is determined as a logistics route vehicle and the destination of the logistics is near his / her destination.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노선차량의 탑승자 또는 탑승예정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노선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거나, 탑승자 명단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소정의 차량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주요한 특징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ny case, in order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may need to know in advance information about the occupant or the boarding passenger of the route vehicle. To this end,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may communicate with an occupa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making a reservation for a passenger of a route vehicle or for maintaining / managing a list of passengers. The technical idea for making a reservation for a predetermined vehicle is well known and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main feature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노선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물류정보 시스템(100)의 구현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for implementing the logistics method using the rout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 shown i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정보 시스템의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using a rout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ogistics method using a rout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물류정보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2 and 3,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may be provid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목적지를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들을 이용하여 물류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can perform a series of processes for performing the logistics using a plurality of routes operating at predetermined destinations as described above.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정의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미도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may communicate with a predetermined passeng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ot shown).

또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적어도 한 명의 탑승자의 단말기(200, 2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탑승자의 단말기(200, 2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특정 물류 건을 수행할 운송자가 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passenger's terminal 200, 210. A carrier who finally performs a specific logistics event may be determined by communicating with the passenger 200 or 210 of the passenger.

또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물류요청자의 단말기(2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물류요청자의 단말기(220)와 통신을 수행하여 물류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lso,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220 of the logistics requestor.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220 of the logistics requestor to receive the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110), 물류요청 모듈(120), 및 노선결정 모듈(130)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DB(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includes a control module 110, a logistics request module 120, and a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as shown in FIG.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DB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논리적인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물류요청 모듈(120), 노선결정 모듈(130), 및/또는 상기 DB(140) 각각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제어모듈(110), 상기 물류요청 모듈(120), 노선결정 모듈(130), 및/또는 상기 DB(140) 각각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결합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구성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may refer to a logical configuration having hardware resources and / or software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apparatus " That is,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may mean a logical combination of hardware and / or software provid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a set of logical structures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may mean a set of configurations separately implemented for each function or rol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each of the control module 110, the logistics request module 120, the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and / or the DB 140 may be located in different physical devices, It is possible. Also,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combination of the software and / or hardware constituting each of the control module 110, the logistics request module 120, the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and / or the DB 140 may be different Configurations located in physical devices and located in different physical devices may be organically coupled to one another to implement each of the above configura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carrying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refer to a logical unit of a predetermined code and a hardware resource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a kind of hardware. Can be easily deduced to the average expert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컨대, 물류요청 모듈(120), 노선결정 모듈(130), 및/또는 상기 DB(140)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10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100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logistics request module 120, the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and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unctions and / or resources of the DB 140.

상기 물류요청 모듈(120)은 상기 물류요청 단말기(220)로부터 물류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The logistics request module 120 may receive the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request terminal 220 (S100).

물류요청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류요청자가 요청한 물류 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배송희망시간, 물건의 특성 등에 대한 정보가 상기 물류요청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The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the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of the logistics case requested by the logistics request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desired delivery time, property of the goods, and the like can be included in the distribution request inform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물류요청자는 목적지(예컨대, 학교, 직장 등)와는 무관한 일반인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물류요청자 역시 상기 목적지와 연관된 특정 자격이 있는 자만이 되도록 제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물류요청 모듈(120)은 물류요청자를 소정의 방식(예컨대, 학번, 사원번호 등을 이용한 인증)으로 인증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istic requestor may be a general person irrelevant to the destination (for example, school, workplace, etc.).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ogistic requestor may also be limited to only those with a particular qualification associated with the destination. In this case, the logistics request module 120 may authenticate the logistics requestor in a predetermined manner (for example, authentication using a student number, employee number, etc.).

상기 물류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물류노선을 결정할 수 있다(S110). When the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the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may determine a logistics route (S110).

물류노선은 상기 목적지를 위해 설정되는 복수의 노선들(10, 20 등) 중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노선을 의미할 수 있다. The logistics route may mean a route to perform the logistics among a plurality of routes (10, 20, etc.) set for the destination.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반드시 어느 하나의 노선만을 물류노선으로 결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노선들이 물류노선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determine only one route as the logistics route.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lurality of routes can be determined as a logistics route.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목적지(40)와 복수의 노선들(10, 20)에 포함된 정차장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물류노선을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can determine a distribution route based on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station 4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routes 10 and 20 with the destination 40. [

이러한 일 예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Such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cept for determining a logistics route among a plurality of rou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물류요청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4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복수의 노선들(10, 20) 각각에 포함된 정차장들(예컨대, 12, 13, 14, 21, 22, 23)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may specify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40 included in the distribution request information. Also, the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can specify the positions of the railway stations (for example, 12, 13, 14, 21, 22, and 23)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es 10 and 20.

그러면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상기 목적지와 각각의 정차장들(예컨대, 12, 13, 14, 21, 22, 23)의 거리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정차장을 특정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후보 정차장은 목적지(40)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정차장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목적지(40)와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 거리(예컨대, 5km) 이내이기만 하면 해당 정차장은 모두 후보 정차장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목적지(40)와의 이동시간이 기준 시간(예컨대, 30분) 이내인 정차장이 후보 정차장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후보 정차장을 특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준이 이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Then, the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can specify a candidate sta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destination and each of the stations (for example, 12, 13, 14, 21, 22, and 23)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According to an example, the candidate railway station may be a railway station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destination 40.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f the distance from the destination 40 is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distance (for example, 5 km), all of the relevant station stops may be specified as candidate station stops. Alternatively, a railway station whose traveling time with the destination 40 is within a reference time (e.g., 30 minutes) may be specified as a candidate railway sta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riteria for specifying a candidate railway station may be used.

그러면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특정된 후보 정차장을 포함하는 노선을 물류노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정차장(12) 하나만이 후보 정차장으로 특정된 경우, 상기 제1정차장(12)을 포함하는 노선 즉, 제1노선(10)이 물류노선으로 결정될 수 있다. Then, the route determination module 130 can determine the route including the specified candidate station, as the logistics route. For example, when only one first railway station 12 is specified as a candidate railway station, the route including the first railway station 12, that is, the first route 10 may be determined as a logistics rout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물류노선이 결정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물류노선 차량을 특정할 수 있다(S120). 그리고 물류노선 차량이 특정되면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S130).Referring again to FIG. 3, when the logistics route is determined, the control module 110 can specify the logistics route vehicle (S120). And, if the logistics route vehicle is specified, the carrier can be determined (S130).

상기 물류노선 차량은 물류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차량 중에서 실제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노선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노선(10)을 운행하는 노선차량은 미리 정해진 시간 스케줄에 따라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The logistics route vehicle may mean a route vehicle that actually performs the logistics route among the route vehicles that operate the logistics route. For example, a plurality of route vehicles traveling on the first route 10 may exis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schedule.

따라서 상기 제1노선(10)을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중에서 상기 물류를 수행할 노선차량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determine a route vehicle to perform the logistics among the plurality of route vehicles that run on the first route 10.

일반적으로 동일한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차량들은 운행시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물류노선이 결정된 후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류 건의 배송희망시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Generally, route vehicles operating on the same route may have different operating times.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logistics route vehicle after the logistics route is determined, the delivery time of the logistics case may be affected.

이러한 일 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Such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물류노선을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중 물류노선 차량을 특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for specifying a logistics route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route vehicles that operate a logistics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선(10)을 운행하는 노선차량(제1차량, 제2차량, 제3차량) 각각의 운행시간에 대한 정보가 상기 DB(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nformation on the running times of the route vehicles (the first vehicle, the second vehicle, and the third vehicle) running on the first route 10 is previously stored in the DB 140 .

운행시간에 대한 정보에는 각각의 정차장별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on the travel tim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rrival time of each stop.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건의 물류요청 정보에 배송희망 시간이 포함된 경우, 상기 운행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배송희망시간이 6:00이고 후보 정차장이 제3정차장인 경우에는 제1차량 및 제2차량이 물류노선 차량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차량은 물류노선 차량으로 선택될 수 없다.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후보 정차장과 목적지 사이의 거리 및/또는 소요시간이 더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제3정차장과 목적지(40)간의 거리 또는 소요시간이 40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술한 예에서 물류노선 차량은 제1차량만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거리 또는 소요시간이 20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차량 및 제2차량이 모두 물류노선 차량으로 선택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esired delivery time is included in the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of the logistics case, the control module 110 can determine the logistics rout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running time. For example, if the desired delivery time is 6:00 and the candidate railway station is the third railway station,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may be the logistics route vehicle. And the third vehicle can not be selected as the logistics route vehicle. In order to determine the logistics route vehicle, the distance between the candidat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and / or the time taken may be further considered.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or the time required between the third railway station and the destination 40 is 40 minutes, only the first vehicle may be selected as the logistics route vehicle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If the distance or the required time is 20 minutes, both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may be selected as the logistics route vehicle.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모듈(110)은 물류노선을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중에서 물류노선 차량을 적어도 하나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10 may select at least one logistics route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route vehicles that operate the logistics route in various other ways.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결정된 물류노선 차량을 이용하여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module 110 can determine the carrier using the determined logistics route vehicle.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module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occupa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determine the carrier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occupant of each vehicle.

이러한 일 예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Such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운송자를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cept for determining a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선차량별 탑승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module 110 may determine the carrier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occupant of each route vehicle as shown in FIG.

노선차량별 탑승자에 대한 정보는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해 유지 관리될 수 있다. 탑승자들은 상기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해 자신이 탑승할 노선차량을 예약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은 탑승자별로 승차지, 하차지 등을 유지/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구분(또는 신분, 예컨대, 학생, 교직원 등)에 대한 정보가 더 유지/관리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occupant of each route vehicle can be maintained by the occupa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 passengers can reserve the route vehicle to be boarded on the passeng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n, the occupa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n maintain / manage the riding ground, the bottom charge, etc. according to the occupant. Further, as shown in FIG. 6,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or identity, for example, student, staff, etc.) of the passenger can be further maintained / managed.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 노선차량에 상응하는 후보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후보차량에 탑승할 탑승자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 운송자 중에서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10 may determine a candida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vehicle. At least a part of the passengers to be boarded in the candidate vehicle can be determined as the candidate carrier. Then, the control module 110 can determine the carrier among the candidate carriers.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들 중에서만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물류노선 차량만이 후보차량이 될 수도 있다.The control module 110 can determine the carrier only among the passengers of the logistics route vehicle. That is, only the logistics route vehicle may become a candidate vehicle.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가 아니더라도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타 노선차량의 탑승자 중에서 상기 운송자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물류노선 차량과 운행시간의 간격이 일정 시간 내를 만족하는 노선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노선차량을 이용해서 물류를 수행하여도 물류 시간에는 큰 영향이 없으면서도 후보 운송자의 범위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해당 노선차량 역시 후보차량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assenger may be determined not to be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but to the passenger of another route vehicle that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route vehicl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route route vehicle and the travel time satisfies a predetermined time, the range of the candidate carrier is widened even if the route vehicle is used, This is because there are advantages. In this case, the route vehicle may also be included in the candidate vehicle.

후보차량 역시 배송희망시간에 따라 그 선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Candidate vehicles may also be affected by the time of delivery.

예컨대, 제1차량이 물류노선 차량으로 선택되고, 제1차량과 제2차량은 운행시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짧지만, 제2차량으로 물류를 수행할 경우 배송희망시간에 부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제2차량은 후보차량으로 선택되지 못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first vehicle is selected as a logistics route vehicle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ehicles are relatively short, the second vehicle may not meet the desired delivery time. In this case, the second vehicle may not be selected as the candidate vehicle.

따라서 후보차량의 선정에는 물류노선 차량과의 시간간격 및/또는 배송희망시간에 대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Therefore, information on the time interval and / or the desired delivery time with the logistics route vehicle can be used for the selection of the candidate vehicle.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차량의 탑승자를 이용하여 적응적이고 효과적인 운송자 결정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10 may use an adaptive and effective carrier determination method using the passenger of the candidate vehicle.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차량 중 물류노선 차량과 그 외의 노선차량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후보차량의 탑승자 중에서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ntrol module 110 may set priorities between the logistics route vehicle and the other route vehicles among the candidate vehicles, and determine the carrier among the passengers of the candidate vehicle using the set priorities.

그리고 만약 상기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 중에서 운송자를 결정하지 못하거나 운송자를 결정하는데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후보차량의 탑승자를 후보 운송자의 범위에 포함시킬 수 있다. If the passenger of the logistics route vehicle can not be determined from the passenger or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determine the passenger, the passenger of the candidate vehicle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candidate carrier.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 인원수에 따라 물류노선 차량 이외의 후보차량의 탑승자를 후보 운송자로 포함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10 may determine whether to include a passenger of a candidate vehicle other than the logistics route vehicle as a candidate carri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of the logistics route vehicle.

예컨대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가 소정의 숫자 이상이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노선 차량만을 우선 후보차량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가 일정 숫자 이하이면, 상기 물류노선 차량 및 시간간격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노선차량이 후보차량으로 선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occupants of the logistics rout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the control module 110 can select only the logistics route vehicle as a candidate vehicle.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passengers of the logistics route vehicle is less than a certain number, the route route vehicle and the route vehicle satisfying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ay be selected as the candidate vehicle.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후보차량이 선정될 수 있다. The candidate vehicle can be selected in various other ways.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차량의 탑승자 전체가 후보 운송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탑승자들 간에 불필요한 경쟁을 가져올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특정 목적지를 운행하는 노선차량들을 그 목적에 비해 지나치게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module 110 may determine that the entire passenger of the candidate vehicle is the candidate carrier. However, in such a case, unnecessary competition may occur between the passengers, which may lead to a problem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an overly different purpose than the purpose of the route vehicles operating at a specific destination.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차량의 탑승자 중에서 탑승자의 하차지와 물류 건의 목적지(40)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탑승자를 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rol module 110 can determine the occupant of the passenger who is the passenger of the candidate vehicle and the destination 40 of the logistics case as the candidate passenger satisfying a certain condition.

상기 일정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하차지가 목적지(40)에 상응하는 후보 정차장을 지나가는 탑승자를 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후보 정차장이 하차지인 탑승자가 후보 운송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ntrol module 110 may determine a passenger passing through a candidate railway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40 as a candidate carrier. Or a passenger whose departure place is a candidate railway station may be determined as a candidate carrier.

다양한 방식으로 후보 운송자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 또는 규칙이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탑승자들은 자신의 탑승계획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물류 건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류건을 수행할 운송자가 되기 위해 과도한 경쟁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Conditions or rules for determining candidate carriers in various ways can be set, and in this case, it is effective that the passengers can carry out the logistics issue within a range not largely deviating from their boarding plan. I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excessive competition from becoming a carrier to carry out the logistics issue.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일 예에서 탑승자 1은 승차지가 a이고, 하차지가 e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차량이 후보차량에 포함되고, 탑승자 1은 후보 정차장이 e이거나 a 에서 e 사이인 경우의 물류 건에 대해서만 후보 운송자로 결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occupant 1 can ride the vehicle a and the getting off point e. In this case, the first vehicle is included in the candidate vehicle, and the passenger 1 can be determined as the candidate carrier only for the logistics case where the candidate station is e or between a and e.

예컨대, 후보 정차장이 a와 e 사이의 소정의 정차장인 d라면, 상기 탑승자 1은 자신의 하차지 e 전의 정차장인 d에서 물건을 하역할 수 있다. 하역된 물건은 후보 정차장에서 목적지까지 타인에 의해 운송될 수도 있다. 즉, 후보 정차장과 목적지까지의 물류가 타인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후보 운송자는 후보 정차장을 지나가는 하차지를 갖는 탑승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candidate railway station is d, which is a predetermined railway station between a and e, the passenger 1 can unload the goods from the station d before the own cargo e. Goods unloaded may be carried by another person from the candidate station to the destination. In other words, when the logistics to the candidate station and the destination is performed by another person, the candidate carrier may be determined as a passenger having a landing route passing through the candidate station.

만약 운송자가 후보 정차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 직접 물류를 수행하여야 할 경우에는, 후보 정차장과 하차지가 동일한 탑승자만이 후보 운송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If the carrier has to carry out the logistics directly from the candidate station to the destination, only the passenger with the same station and departure ground may be determined as the candidate carrier.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 운송자가 결정되면, 후보 운송자 중에서 적어도 한 명을 운송자로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candidate transporter is determined, the control module 110 may determine at least one candidate transporter as a transporter.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후보 운송자 각각의 단말기로 상기 물건의 운송에 대한 물류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 방법은 SMS 또는 MMS가 이용될 수도 있고, 이메일, 후보 운송자의 단말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푸시 메시지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ntrol module 110 may transmit the distribution request information for the transportation of the object to each terminal of the candidate carrier. The transmission method may be SMS or MMS, and when an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of the e-mail or candidate carrier, a push message or the lik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10)은 송신된 상기 물류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가장 먼저 물류를 수행하겠다고 응답을 한 후보 운송자가 운송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후보 운송자가 대가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경우, 가장 낮은 가격으로 물류를 수행할 후보 운송자가 운송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후보 운송자 중에서 운송자가 결정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And the control module 110 may determine the carrier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based on the transmitted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a candidate carrier who has responded to perform the first logistics may be determined as a carrier. Alternatively, if the candidate carrier is implemented to set the price, the candidate carrier to perform the logistics at the lowest price may be determined to be the carri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carrier can be chosen among the candidate carriers in a variety of ways.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물류 건의 탑재지와 탑승자의 승차지에 따라 후보 운송자를 결정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andidate carri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ading place of the logistics issue and the riding position of the occupant.

예컨대, 노선차량들이 공통으로 운행하는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의 목적지 영역(30)에 포함된 정차장 중 어느 하나가 물건의 탑재지일 수 있다. 이러한 탑재지에 대한 정보는 물류요청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or example, any one of the railway stations included in the destination area 30 of the destination (for example, a school or a workplace) to which the route vehicles are commonly operated may be the place where the object is load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loading place can be included in the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예컨대, 도 1에서 목적지 영역(30)에 포함된 특정 정차장(예컨대, 31)이 물건의 탑재지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ecific railway station (for example, 31) included in the destination area 30 in FIG. 1 may be the place where the object is mounted.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탑승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탑재지가 승차지와 동일한 탑승자만을 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10 may determine only the same passenger as the boarding pass as the candidate passenger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assenger.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30,31, 32, 33) 중 어느 하나(31)가 탑재지일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상기 목적지 영역(30) 내의 타 정차장(30, 32, 33)이 승차지인 탑승자도 후보 운송자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목적지 영역(30)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탑승자가 승차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제로도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목적지 영역(30) 내에서는 승차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any one of the railway stations 30, 31, 32, and 33 in the destination area 30 is loaded, exceptionally, the other railway cars 30, 32, 33) can also be determined as the candidate carrier.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by allowing the passenger to change the boarding area relatively in the destination area 30 and to actually select the boarding area in the destination area 30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situation .

물론, 목적지 영역(30)이외의 기타영역이 물건의 탑재지인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승차지가 상기 탑재지와 동일한 탑승자만을 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도 있다. Of course, when the other area other than the destination area 30 is the place where the object is carried, the control module 110 may determine that the boarding pass is the same passenger as the place where the boarding place is the candidate place.

결국, 상기 제어모듈(110)은 물건의 탑재지와 탑승자의 승차지(승차 정차장)에 따라 후보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목적지와 탑승자의 하차지(하차 정차장)에 따라 후보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trol module 110 can determine the candidate carrier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object is placed and the boarding passenger's boarding vehicle (a railway st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10 may determine a candidate carrier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and the occupant of the passenger.

그러면 후보 운송자 중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방식으로 운송자가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운송자는 물건의 물류를 수행하고, 미리 정해진 소정의 대가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물류요청자가 지불해야할 지불금액 중 일부는 운송자에게 지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목적지의 운영주체(예컨대, 학교측, 또는 직장측))에게 지급될 수 있다. Then, the carrier may be determined in a predetermined manner among the candidate carriers as described above. The determined transporter can perform the logistics of the goods and obtain the predetermined price predetermined. Of course, some of the payments to be made by the logistics requester may be paid to the carrier, and some of the payments may be made to the operating entity of the destination (e.g., school, or work si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은 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method of logistics using a rout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9)

미리 정해진 복수의 노선들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복수의 노선들 각각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에 있어서,
물류정보 시스템이 운송될 물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결정된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는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명의 탑승자 중에서 후보 운송자를 적어도 한 명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후보 운송자 중에서 상기 물건을 운송할 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1. A method of using route vehicles that travels al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outes and in which a plurality of station stops are se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es,
Receiving information on a destina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by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Wherein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determines a logistics route among the routes based on the destination;
Determining a logistics rou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for which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s determined;
Determining at least one candidate carrier among the at least one passenger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by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Wherein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determines a carrier to which the object is to be transported among the candidate carri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목적지에 상응하는 노선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노선들 각각의 정차장들 중 상기 목적지와의 거리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정차장을 포함하는 노선을 상기 물류노선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ute information system determines a rout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And determining the route including the candidate railway station whose distance from the destination to the destin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among the railway stations of the rout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결정된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는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며 출발시간이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노선차량 중에서, 상기 출발시간과 상기 물건의 배송희망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배송희망 시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물류 노선차량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3.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a logistic rou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 rou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rou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delivery time on the basis of the departure time and the desired delivery time of the object is selected from at least one rou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rout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명의 탑승자 중에서 후보 운송자를 적어도 한 명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 노선차량에 상응하는 후보차량을 탑승할 탑승자 각각의 하차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탑승자를 상기 후보 운송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2.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candidate carrier among the at least one passenger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Wherein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comprises a step of determining, as the candidate carrier, the occupant who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the charge information of each of the passengers carrying the candidat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vehicle,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차량은,
상기 물류 노선차량 및 상기 물류 노선차량과의 운행시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인 노선차량을 포함하는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times of the route route vehicle and the route route vehicle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노선은,
상기 노선의 공통된 목적지에 상응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 이외의 제2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물건의 탑재지 정차장은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영역 정차장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후보 운송자는,
승차지가 상기 탑재지 정차장이 아니더라도 상기 제1영역 정차장에 포함된 타 정차장으로 설정된 탑승자를 포함하는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area corresponding to a common destination of the route and a second area other than the first area,
Wherein the loading station of the object is one of at least one first area railw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The candidate carrier,
And a passenger who is set as another railw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railway station even if the boarding pass is not the above-mentioned land railway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후보 운송자 중에서 상기 물건을 운송할 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후보 운송자 각각의 단말기로 상기 물건의 운송에 대한 물류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송신된 상기 물류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determines a carrier to which the object is to be transported among the candidate carriers,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transmitting distribution request information for transportation of the object to each terminal of the candidate carrier; And
And determining the carrier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based on the transmitted logistics request information.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a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미리 정해진 복수의 노선들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복수의 노선들 각각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위한 물류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운송될 물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물류요청모듈;
상기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노선결정모듈;
결정된 상기 물류노선에서 상기 물류를 수행할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하고, 상기 물류노선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명의 탑승자를 조회하고, 조회된 적어도 한 명의 탑승자 중에서 후보 운송자를 적어도 한 명 결정하며, 상기 후보 운송자 중에서 상기 물건을 운송할 운송자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정보 시스템.
1.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for a logistics method using route vehicles that travels al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outes and in which a plurality of station stops are se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es,
A logistics request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 destination of the goods to be shipped;
A route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distribution route among the routes based on the destination;
Determines at least one passenger corresponding to the logistics route, determines at least one candidate carrier among the inquired at least one passenger, determines the logistics route vehicle to perform the logistics route on the determined logistics route, And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a carrier to which the object is to be transported.
KR1020170014297A 2017-02-01 2017-02-01 Method for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KR201800899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97A KR20180089920A (en) 2017-02-01 2017-02-01 Method for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97A KR20180089920A (en) 2017-02-01 2017-02-01 Method for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20A true KR20180089920A (en) 2018-08-10

Family

ID=6322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297A KR20180089920A (en) 2017-02-01 2017-02-01 Method for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92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4072B2 (en) User vehicle dispatch support system
US20190303806A1 (en) Boarding management system, board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70377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programs
US111271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scheduling in a transportation system based upon a user criteria
KR1022526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utomatic allocation and automatic bus route using various information collecting fuction
CN111144684A (en) Vehicle scheduling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0782051A (en) Method and system for reminding service requester
CN113496346B (en) Operation management devic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traffic system
CN111695849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9523179B (en) Fleet management method, device,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196354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4981852A (en) Control device, mobile body, management server,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21144413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21033413A (en) Server, vehicle allocation method, and vehicle allocation program
JP7359083B2 (en) Vehicle allocation planning device, vehicle allocation planning system, and vehicle allocation planning program
CN113574579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ving bod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method
JP2019067248A (en) Vehicle allocation booking system, vehicle allocation booking server, vehicle allocation booking method and program
KR102023807B1 (en) Method for managing logistics using plural route vehicles and system thereof
KR20180089921A (en) Method for managing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KR20180089920A (en) Method for logistics using route vehicle and system thereof
JP7394729B2 (en) Traffic management device and traffic management method
CN109584538A (en) Vehicle dispatching method and device
JP2021128366A (en) Vehicle operation control device, vehicle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vehicle operation control method
CN11359763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ving object, program, and method
CN113614806B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oving bod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