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915A -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915A
KR20180089915A KR1020160180518A KR20160180518A KR20180089915A KR 20180089915 A KR20180089915 A KR 20180089915A KR 1020160180518 A KR1020160180518 A KR 1020160180518A KR 20160180518 A KR20160180518 A KR 20160180518A KR 20180089915 A KR20180089915 A KR 20180089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signal
monitoring terminal
reception controller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9981B1 (ko
Inventor
한정태
Original Assignee
(주)참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슬테크 filed Critical (주)참슬테크
Priority to KR102016018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9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를 개시한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는 종합수신 제어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들로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그리고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작업 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며,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 뷰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Apparatus of informing working position monitoring}
본 발명은 빌딩이나 공동주택과 같은 건물에서의 작업자 모니터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사중 건물에서 작업자의 위치 모니터링을 안내하는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공동주택과 같은 건물이 공사중일 때, 수많은 작업자들이 건물의 완공을 위해 공사중 건물의 내부에서 일을 한다. 수많은 작업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은 작업자들의 건물 내 위치를 알 필요가 있다. 관리자들은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 접근 금지지역이나 위험 지역을 작업자들에게 전달할 필요성도 있다. 또한 관리자들은 작업자들에게 작업 지시나 변경 사항을 전달할 필요성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사중 건물에서 작업자들의 위치를 맵상에 안내할 수 있는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사중 건물에서 작업자들의 위치를 맵상에 표시하고, 작업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는, 종합수신 제어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들로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작업 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며,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 뷰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는, 종합수신 제어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들로 송출한 후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작업자 단말기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는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작업 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는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며,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고유 ID를 포맷한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는,
작업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종합수신 제어기와,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들로 송출한 후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작업자 단말기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작업 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고유 ID를 포맷한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는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상기 설정된 ID와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의 고유 ID가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수신될 때, 스크린상에 표시된 작업공간의 맵 상에 작업자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들의 건물 내 위치가 작업공간 맵 상에 한꺼번에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작업장 내의 접근 금지지역이나 위험 지역이 작업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들에게 작업 지시나 변경 사항이 오디오 신호나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의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평면적 작업 공간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입체적 작업 공간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작업자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작업자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종합수신 제어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작업자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신호 수신 타이밍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작업자 단말기의 파워 세이빙 동작 모드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장치(또는 모듈), 웹서버, 및 NVR의 구체적 동작 및 기능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의 블록도이다.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는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들(10-1,10-2,10-n)로 이루어진 단말 그룹(10), 복수의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100-1,100-2,100-n)로 이루어진 작업 모니터링 단말 그룹(100), 복수의 NVR들(210,211,212)로 이루어진 NVR 그룹(200), 웹서버(300), 종합수신 제어기(400), 및 모니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들(10-1,10-2,10-n)은 각기 작업자에 의해 소지되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로서의 스마트 폰(예 10-1)은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진다. 또한, 스마트 폰(예 10-1)은 건물의 작업 공간에 대한 맵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1)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웹서버(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다운로딩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1)과 상기 웹서버(300) 간의 라인(L20)은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은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신이 이루어지는 채널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예 10-1)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 폰(예 10-1)은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스마트 폰(예 10-1)은 비콘 신호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만 하는 비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스마트 폰(예 10-1)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응답신호는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가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이다. 상기 응답신호에는 상기 스마트 폰(예 10-1)의 고유 ID(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단말 그룹(10)내의 복수의 스마트 폰들(10-1,10-2,10-n)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비콘 신호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라인(L10)을 통해 송출만 하는 송신 전용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블루투스 신호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한 후 스마트 폰(예 10-1)으로부터 제공되는 응답신호(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송신 전용 모드나 송수신 모드의 경우에 무선 통신이외에도 유선 통신도 가능하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라인(L40)을 통해 종합수신 제어기(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영상 라인(I10)을 통해 획득된 작업 뷰 이미지를 영상 라인(I20)을 통해 NVR 그룹(200)내의 NVR들(210,211,212)중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종합수신 제어기(400)의 요청에 의해 또는 요청 없이도, NVR(예 210)에 저장된 작업 뷰 이미지를 영상 라인(I30)을 통해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 뷰 이미지는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이미지이다. 작업 뷰 이미지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가 설치되는 위치에 의존하여 대개 결정된다.
여기서 작업 뷰 이미지는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영상 및 정지 영상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에 대하여 고유하게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 뷰 이미지를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스마트 폰들 10-1,10-2,10-n)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웹서버(300)는 이동 통신망과 같은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작업자 단말기인 스마트 폰(예 10-1)과 통신할 수 있다. 웹서버(3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스마트 폰(예 10-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웹서버(300)는 라인(L30)을 통해 종합수신 제어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라인(L30)은 TCP/IP 통신이 수행되는 라인일 수 있다. 웹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작업 모니터링을 위해 고유하게 설정된 ID와 스마트 폰들의 고유 ID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웹서버(300)와 통신한다.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라인(L50)을 통해 모니터(500)와 연결된다.
모니터(500)는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의 상기 설정된 ID와 상기 스마트 폰들의 고유 ID가 상기 웹서버(300)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에 수신될 때, 모니터(500)는 스크린상에 표시된 작업공간의 맵 상에 상기 스마트 폰(예 10-1)에 대응되는 작업자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사중 건물에서의 관리자는 모니터(500)를 통해 작업자들의 건물 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가 종합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직접적으로 출력 또는 표시하거나,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스마트 폰들 10-1,10-2,10-n)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함에 의해, 관리자는 접근 금지지역이나 위험 지역을 작업자들에게 경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작업자들에게 작업 지시나 변경 사항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비상 벨 및/또는 화재감지 센서와 더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가 비상 벨을 누를 경우에 관리자는 비상 벨을 누른 작업자의 작업 공간에 비상 상황이 발생됨을 모니터(500)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간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도 관리자는 화재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도 2는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의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제1,2 통신부(102,103), 블루투스 모듈(106), 카메라 모듈(110), 및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1)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버튼 입력부(105)와 마이크/스피커(1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102)는 라인(L21)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1)과 연결된다. 상기 제1 통신부(102)는 종합수신 제어기(4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통신부(102)는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와 TCP/IP 통신이나 무선 랜(LA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102)는 "W3150A+"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103)는 라인(L21)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1)과 연결된다. 상기 제2 통신부(103)는 근방의 무선 기기나 억세스 포인트(AP)와 근거리 무선통신 예컨대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06)은 라인(L11)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1)과 연결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06)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들로 송출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06)은 비콘 신호를 송신만하는 송신 전용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송신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모듈(106)로부터 최대 50m 이내에 위치된 수신 장치들(예컨대 스마트 폰 10-1)로 제공될 수 있다. 비콘 신호에 의한 위치 구별은 5~10㎝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콘 신호를 이용한 통신의 경우에 소량 데이터의 패킷 전송이 가능하고 두 기기를 연결시키는 페어링(pairing)이 불필요하다. 또한 저전력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위치 인식이 저비용이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106)은 블루투스 신호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 송신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스마트 폰(예 10-1)으로부터 제공되는 응답신호(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 블루투스 모듈(106)은 블루투스 이외의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 모듈로 대치될 수 있다. WPAN 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또는 밀리미터파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06)은 32-bit ARM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06)은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4.0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06)은 또한 가속도 센서나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06)은 예컨대 "HBT2X3N" 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라인(L41)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1)과 연결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작업 뷰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제1,2 카메라(110-1,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카메라(110-1,110-2)는 스마트 폰에 탑재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렌즈를 갖는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상기 제1,2 카메라(110-1,110-2)로부터 획득된 제1,2 작업 뷰 이미지들을 동시에 혹은 교번적으로 변환 처리하여 채널별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예를 들어, 고 해상도 보안 처리 카메라용 프로세서인 "ASC885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스틸 컷 즉 정지 영상을 상기 제1,2 작업 뷰 이미지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정지 영상은 복수의 채널들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2 작업 뷰 이미지들 및 상기 정지 영상은 단일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1)은 상기 제1,2 통신부(102,103),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서의 상기 블루투스 모듈(106), 및 상기 카메라 모듈(110)과 연결된다. 상기 MCU(101)는 "ATmega128L"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로서의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1)은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 뷰 이미지를 상기 제1 통신부(102)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1)은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예를 들어 음성 신호, 메시지 신호, 또는 경보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스마트 폰 10-1)로 전달한다.
상기 음성 신호 혹은 상기 경보 신호는 마이크/스피커(107)의 스피커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마이크/스피커(107)의 마이크는 작업자의 음성 또는 작업 공간의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버튼 입력부(105)는 라인(L32)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1)에 연결된다. 버튼 입력부(105)는 작업자 혹은 관리자의 조작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텐키 및 기능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작업자 혹은 관리자의 조작 입력이 발생 시에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1)은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기능 블록들을 동작 목적에 맞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의 플로우는 스마트 폰(예 10-1)을 통해 획득된 정보가 웹서버(300)를 통해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제공되는 실시 예이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블루투스 모듈(106)을 통해 동작 S201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신호 예컨대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이에 따른 작업자 단말기들인 스마트 폰들에는 비콘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동작 S202에서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이미지를 획득한 후 NVR(예 210)로 전송한다. 상기 획득된 이미지는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작업 뷰 이미지이다. 작업 뷰 이미지는 카메라 모듈(110)이 설치된 위치와 화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NVR(예 210)은 동작 S203에서 상기 작업 뷰 이미지를 저장한다. 상기 작업 뷰 이미지의 저장 시에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의 설정 ID가 이미지 식별번호로 저장될 수 있다.
NVR(예 210)은 동작 S204에서 이미지 요청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NVR(예 210)은 이미지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에, 동작 S213에서 상기 작업 뷰 이미지를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한다.
한편, 스마트 폰(예 10-1)은 동작 S205에서 비콘 신호의 수신 대기상태로 있다가, 동작 S206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폰(예 10-1)은 동작 S207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이동 무선통신망(예 3G, LTE 등)이나 무선 랜 통신망을 통해 웹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예 10-1)은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의 상기 설정된 ID와 상기 스마트 폰(예10-1)의 고유 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웹서버(300)는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의 설정된 ID와 상기 스마트 폰(예10-1)의 고유 ID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ID들을 그대로 혹은 미리 설정된 송신 형태로 포맷한 후 동작 S208에서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한다. 결국, 스마트 폰(예10-1)을 통해 수신된 상기 ID들을 포함하는 위치정보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예 10-1)은 복수의 비콘 신호들이 수신되는 경우에 또 다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2)의 설정된 ID와 상기 스마트 폰(예 10-1)의 고유 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동작 S209에서 위치정보의 수신을 대기하고 있다가, 동작 S210에서 위치정보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복수의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동작 S211에서 작업자의 위치 계산을 수행한다. 위치 계산은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위치 계산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존재하는 건물의 층과 평면적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작업자의 위치 계산이 완료되면 작업 공간이 표시되어 있는 맵 상에 작업자의 위치를 모니터(500)에 표시한다.
종합수신제어기(400)는 작업자의 이미지를 가장 잘 확보할 수 있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를 선택한다.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동작 S212에서 맵 상에 표시된 작업자의 이미지를 선택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로 요청할 수 있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NVR(210)에 저장된 작업 뷰 이미지가 라인(I30)을 통해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400)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는 이미지의 실시간 전송인 경우에 설정된 ID 및 작업 뷰 이미지를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400)할 수 있다.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동작 S214에서 작업자의 이미지가 NVR(예 210)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이미지가 수신되면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동작 S215에서 작업자의 이미지를 모니터(500) 상에 출력한다.
한편, 스마트 폰(예 10-2)도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의 상기 설정된 ID와 상기 스마트 폰(예 10-2)의 고유 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맵 상에 상기 스마트 폰(예 10-2)에 대응되는 또 다른 작업자의 위치가 모니터(5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평면적 작업 공간의 예시도이다.
공사중 건물의 임의의 층은 복수 개의 호들(1701-1705)로 나뉘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복수개의 호들(1701-1705)각각에 대응하여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U0101-U0104)이 설치된 경우라고 가정한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U0101-U0104)은 도 1의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그룹(100)에 속해 있다.
제1 작업자(P11)에 의해 소지된 스마트 폰(예 10-1)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101)의 블루투스 영역(Z0101)에만 속해 있다. 따라서 제1 작업자(P11)의 현재 위치는 1701호로 인식되어, 제1 작업자(P11)의 현재 위치가 모니터(500)의 맵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의 요청 시에 1701호에 대응 설치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101)로부터 획득된 작업 뷰 이미지가 모니터(5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업자(P11)에게 전달될 메시지(음성 신호 포함)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101)의 스피커나 스마트 폰(예 10-1)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 작업자(P12)의 스마트 폰(예 10-2)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102)의 블루투스 영역(Z0102)과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103)의 블루투스 영역(Z0103)에 모두 속해 있다. 따라서 제2 작업자(P12)의 현재 위치는 삼각 측량 알고리즘에 의하여 1703호로 인식되고, 제2 작업자(P12)의 현재 위치가 모니터(500)의 맵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의 요청 시에 1703호에 대응 설치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103)로부터 획득된 작업 뷰 이미지가 모니터(5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작업자(P12)에게 전달될 메시지(음성 신호 포함)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103)의 스피커나 스마트 폰(예 10-1)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입체적 작업 공간의 예시도이다. 공사중 건물의 층들은 6 개의 층들(1F-6F)로 나뉘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층들(3F-6F)의 각각에 대응하여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U0301-U0601)이 설치된 경우라고 가정한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U0301-U0601)은 도 1의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그룹(100)에 속해 있다.
제1 작업자(11)가 스마트 폰(예 10-1)을 소지하고 임의의 층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작업자(11)의 스마트 폰(10-1)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601)의 블루투스 영역(Z0601)과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501)의 블루투스 영역(Z0501)에 모두 속해 있게 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601)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501)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보다 강하다. 따라서, 삼각 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제1 작업자(11)의 현재 위치는 6층으로 인식되어, 제1 작업자(11)의 현재 위치가 모니터(500)의 맵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의 요청 시에 6층에 대응 설치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601)로부터 획득된 작업 뷰 이미지가 모니터(5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업자(11)에게 전달될 메시지(음성 신호 포함)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601)의 스피커나 스마트 폰(예 10-1)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 작업자(12)의 스마트 폰(예 10-2)도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401)의 블루투스 영역(Z0401)과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301)의 블루투스 영역(Z0301)에 모두 속해 있다. 이 경우에 제2 작업자(12)의 현재 위치는 삼각 측량 알고리즘의 운영에 의하여 3층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U0301)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는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들(10-1,10-2,10-n)로 이루어진 단말 그룹(10), 복수의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100-1,100-2,100-n)로 이루어진 작업 모니터링 단말 그룹(100), 복수의 NVR들(210,211,212)로 이루어진 NVR 그룹(200), 종합수신 제어기(400), 및 모니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구성은 도 1의 구성과는 달리 웹서버(300)를 갖지 않는다. 결국, 웹서버(300)를 통한 중계가 생략되고, 스마트 폰(예 10-1)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는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블루투스 모듈(106)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서 기능한다. 블루투스 모듈(106)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들(예 10-1,10-2,...,10-n))로 송출한 후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10-1,10-2,...,10-n)로부터 제공되는 작업자 단말기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MCU(101)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MCU(101)는 통신부(102,103), 블루투스 모듈(106), 및 카메라 모듈(110)과 연결된다. MCU(101)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에 대하여 고유하게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예 10-1)의 고유 ID를 포맷한 위치 정보를 제1 통신부(102)를 통해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한다. 또한, MCU(101)는 종합수신 제어기로(400)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예 10-1)로 전달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작업자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웹서버(300)가 있는 경우에 작업자 단말기인 스마트 폰(예 10-1)은 동작 S110에서 제1 통신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1 통신모드에서는 제2 통신모드와는 다르게 스마트 폰(10-1)이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와 단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제1 통신모드에서 스마트 폰(10-1)은 송출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만 한다.
동작 S110에서 스마트 폰(10-1)은 BLE 신호 예컨대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스마트 폰(10-1)은 동작 S130을 수행한다. 동작 S130에서 스마트 폰(10-1)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설정된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ID와 스마트 폰(10-1)의 고유 ID를 함께 웹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의 설정된 ID는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스마트 폰(10-1)이 복수의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100-1,100-2,..,100-n)로부터 송출되는 비콘신호들을 수신하는 경우에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100-1,100-2,..,100-n)에 대한 복수의 설정된 IDs들이 각기 스마트 폰(10-1)의 고유 ID와 함께 웹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복수의 설정된 IDs들이 스마트 폰(10-1)의 고유 ID와 함께 전송될 때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에 관련된 정보도 전송된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전계강도)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2)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보다 센 경우라고 가정할 때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에 작업자가 위치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100-1,100-2)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의 세기는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대안적으로, 스마트 폰(10-1)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100-1,100-2,..,100-n)의 IDs 중에서 가장 근접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의 ID를 삼각 측량 알고리즘에 따라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의 ID와 스마트 폰의 고유 ID를 함께 웹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10-1)은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의 ID는 UUID(Unique Universal Identifier)일 수 있다.
동작 S140에서 스마트 폰(10-1)은 종합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통신망은 이동통신망 혹은 근거리 통신망일 수 있다.
통신망을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S150에서 스마트 폰(10-1)은 음성통신 신호 혹은 전송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작업자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웹서버(300)가 없는 경우에 작업자 단말기인 스마트 폰(예 10-1)은 동작 S220에서 제2 통신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2 통신모드에서는 제1 통신모드와는 다르게 스마트 폰(10-1)이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제2 통신모드에서 스마트 폰(10-1)은 송출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스마트 폰(10-1)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로 송신한다.
동작 S230에서 스마트 폰(10-1)은 BLE 신호 예컨대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스마트 폰(10-1)은 동작 S240을 수행한다. 동작 S240에서 스마트 폰(10-1)은 스마트 폰(10-1)의 고유 ID를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로 전송한다. 스마트 폰(10-1)은 복수의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100-1,100-2,..,100-n)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10-1)으로부터 송출되는 고유 ID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는 복수의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100-1,100-2,..,100-n)로 송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마트 폰(10-1)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100-1,100-2,..,100-n)의 IDs 중에서 가장 근접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의 ID를 삼각 측량 알고리즘에 따라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100-1)의 ID와 스마트 폰의 고유 ID를 함께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100-1,100-2,..,100-n)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250에서 스마트 폰(10-1)은 종합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통신망은 이동통신망 혹은 근거리 통신망일 수 있다.
통신망을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S260에서 스마트 폰(10-1)은 음성통신 신호 혹은 전송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동작 S310에서, BLE 신호 예컨대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동작 S320에서, 이미지 저장이 필요한 지를 체크한다. 이미지 저장의 필요는 종합제어 수신기(400)의 명령에 의존할 수 있다.
동작 S330에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작업 뷰 이미지를 처리하여 NVR로 전송한다. 처리된 작업 뷰 이미지에는 식별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동작 S340에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의 ID 및 작업 뷰 이미지를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350에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종합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360에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마이크를 통해 작업자 혹은 단말기 주변으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작업자의 스마트 폰(예 10-1)으로 음성통화 연결이나 전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종합수신 제어기(4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작업 뷰 이미지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동작 S410에서, BLE 신호 예컨대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동작 S420에서,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430에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작업 공간 내 위치된 스마트 폰의 고유 ID를 수신한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작업 뷰 이미지를 처리하여 NVR로 전송한다. 처리된 작업 뷰 이미지에는 식별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동작 S440에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스마트 폰(10-1)의 고유 ID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의 ID를 설정된 포맷팅 룰에 따라 포맷하여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450에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종합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460에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마이크를 통해 작업자 혹은 단말기 주변으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작업자의 스마트 폰(예 10-1)으로 음성통화 연결이나 전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는 종합수신 제어기(4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작업 뷰 이미지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종합수신 제어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동작 S510에서,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제1 통신모드 혹은 제2 통신모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진입한다.
동작 S520에서,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위치정보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제1 통신모드에서 위치 정보는 웹서버(300)로부터 수신되고, 제2 통신모드에서 위치 정보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그룹(100)으로부터 수신된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스마트 폰의 ID,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ID, 및 수신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S530에서,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작업 공간의 맵 상에 작업자의 위치를 곧바로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작업자의 위치를 삼각 측량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한 후 작업 공간의 맵 상에 작업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관리자는 모니터(50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작업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삼각 측량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수신 전계강도(RSSI)의 측정을 통해 구현된다. 여기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수신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단위는 dBm 이다. 수신 전계강도(RSSI)의 측정 시에 비콘 신호의 PDU(Protocol Data Unit)에 들어있는 데이터가 참조될 수 있다. 상기 PDU에 들어 있는 데이터 내에는 TX(송신) 파워에 대한 파워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송신 파워 데이터는 약 2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그룹(100)내의 각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송신 파워 데이터가 동일하다고 하면, 스마트 폰은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그룹(100)내의 각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예 100-1)의 비콘 신호를 다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들의 비콘 신호들에 비해 가장 센 수신 전계강도로 받게 된다. 결국, 스마트 폰 혹은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수신된 3개 이상의 수신 세기 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큰 수신 세기 정보를 찾는다. 그리고 찾은 수신 세기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를 작업자의 위치로서 인식한다.
동작 S540에서,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관리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작업 공간의 맵 상에 별도의 해제 요청이 있을 때까지 위험 구역이나 접근 금지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동작 S550에서,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작업자에게로 보낼 신호의 전송이 필요한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신호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동작 S560에서,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스피커로 송출될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이 경우에 작업자의 스마트 폰과의 음성통화 및/또는 전달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저장된 작업 뷰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작업자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신호 수신 타이밍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구간 ⓐ는 작업자 단말기인 스마트 폰(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의 수신 가능 구간을 나타내고, 구간 ⓑ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의 수신 OFF 구간을 나타낸다. 블루투스 모듈의 OFF 구간에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동작 오프 상태로 되므로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구간 ⓓ는 비콘 신호의 전송 구간을 나타내고, 구간 ⓔ는 비콘 신호의 전송 대기 구간을 나타낸다. 구간 ⓕ는 비콘 신호의 전송 주기를 가리킨다. 따라서, ㉠은 비콘신호의 수신이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은 비콘신호의 수신이 무효임을 나타낸다.
파형 ①은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수신 주기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다. ②는 수신 구간의 중간에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③은 수신 구간의 종료 시점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④는 수신 구간의 시작 초기에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파형 ⑤ 는 수신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②,③, 및 ④의 경우에 비콘 신호는 스마트 폰으로 유효하게 제공된다. 한편, ⑤ 의 경우에 수신 구간의 종료 시점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가 유효로 취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프로그램적인 설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작업자 단말기의 파워 세이빙 동작 모드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파워 세이빙 동작 모드들은 제1,2,3 모드들로 나뉠 수 있다. 제1 모드는 제2 모드에 비해 블루투스 모듈의 온 주기가 짧다. 예컨대 제1 모드의 온 주기는 1/10 초 이고, 제2 모드의 온 주기는 1/5 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의 전력 소모는 제2 모드에 비해 적다.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 비해 블루투스 모듈의 온 주기가 길다. 예컨대 제3 모드의 온 주기는 1/2초이다. 따라서, 제3 모드의 전력 소모는 제2 모드에 비해 많다. 제3 모드에서는 정보 개시가 이루어진다. 정보 개시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3의 경우에 파워 세이빙 동작 모드들이 3가지의 모드들로 나뉘어져 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를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통신 방식이나 통신기기들에 대한 세부적 제어기능이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말 그룹
100: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그룹
300: 웹서버
400: 종합수신 제어기

Claims (23)

  1. 종합수신 제어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들로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작업 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며,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 뷰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의 형태로 송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경보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발광신호의 형태로 송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신호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2.4 GHz 대역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 폰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6. 종합수신 제어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들로 송출한 후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작업자 단말기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작업 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상기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며,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고유 ID를 포맷한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의 형태로 송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LED 점멸신호의 형태로 송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비콘 신호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 이상의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폰인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뷰 이미지를 NVR에 저장하고,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의 요청 시에 저장된 작업 뷰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12. 작업 모니터링을 위해 설정된 ID와 작업자 단말기들의 고유 ID를 수신하기 위해 웹서버와 통신하는 종합수신 제어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설정된 ID가 포함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작업 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 뷰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및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상기 설정된 ID와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의 고유 ID가 상기 웹서버를 통해 수신될 때, 스크린상에 표시된 작업공간의 맵 상에 작업자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를 포함하는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작업공간의 맵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부터 다운로딩하는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혹은 NFC 신호인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신호 혹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 폰인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설정된 ID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공간의 맵 상에 작업자의 위치를 곧바로 표시하거나, 상기 설정된 ID를 복수로 수신하여 삼각 측량 알고리즘에 따라 작업자의 위치를 결정한 후 작업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17. 작업 모니터링을 제어하는 종합수신 제어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들로 송출한 후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작업자 단말기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건물의 작업 공간에 할당된 작업 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설정된 ID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고유 ID를 포맷한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 및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의 상기 설정된 ID와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의 고유 ID가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수신될 때, 스크린상에 표시된 작업공간의 맵 상에 작업자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를 포함하는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작업공간의 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혹은 신호인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신호 혹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 폰인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음성안내나 비상 경보를 위한 신호인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는 화재 감지를 위한 화재감지 센서와 더 연결되는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건물의 작업 공간 내에서 비상 상황 발생 시에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비상벨과 더 연결되는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KR1020160180518A 2016-12-27 2016-12-27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KR101929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518A KR101929981B1 (ko) 2016-12-27 2016-12-27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518A KR101929981B1 (ko) 2016-12-27 2016-12-27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15A true KR20180089915A (ko) 2018-08-10
KR101929981B1 KR101929981B1 (ko) 2018-12-17

Family

ID=6322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518A KR101929981B1 (ko) 2016-12-27 2016-12-27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9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552B1 (ko) * 2021-04-08 2022-02-14 이정우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CN115002403A (zh) * 2022-04-28 2022-09-02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多媒体数据的发送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2442763B1 (ko) * 2021-10-20 2022-09-14 김춘상 지오펜스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42765B1 (ko) * 2021-10-20 2022-09-14 김춘상 건설현장 지오펜스 시스템
KR102455049B1 (ko) * 2022-06-24 2022-10-13 문철원 무선 통신 기반 작업자 상태 파악 시스템
KR102618854B1 (ko) * 2023-04-13 2023-12-29 엠넥스텍 주식회사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5498A1 (en) * 2022-05-16 2023-11-23 Verkada Inc. Establishing, documenting, and disclosing information pertinent to privacy in surveilled environmen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380B1 (ko) * 2013-02-28 2015-01-14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건설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정보 생성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552B1 (ko) * 2021-04-08 2022-02-14 이정우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102442763B1 (ko) * 2021-10-20 2022-09-14 김춘상 지오펜스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42765B1 (ko) * 2021-10-20 2022-09-14 김춘상 건설현장 지오펜스 시스템
CN115002403A (zh) * 2022-04-28 2022-09-02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多媒体数据的发送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2455049B1 (ko) * 2022-06-24 2022-10-13 문철원 무선 통신 기반 작업자 상태 파악 시스템
KR102618854B1 (ko) * 2023-04-13 2023-12-29 엠넥스텍 주식회사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981B1 (ko) 201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981B1 (ko) 공사중 건물에서의 작업자 위치 모니터링 안내 장치
KR102022666B1 (ko)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9479354B2 (en) Monitoring camera system
RU2625338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сете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20180070407A1 (en)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8513347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CN103838155A (zh) 家庭安防控制方法、家庭服务器及安防控制系统
US20170245314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5194943A (ja) 監視システム
JP5469268B1 (ja) Wi−Fi信号より低い通信周波数を有する遠隔制御システム
KR101930155B1 (ko)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JP596234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WO2016117241A1 (ja)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744076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선박 내 경보 출력 시스템
US9692870B2 (en) Monitoring camera system
CN205910801U (zh) 一种消防联动监控系统
EP3069333B1 (en) Mobile user interface for security panel
KR101276989B1 (ko)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태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시스템
KR102082711B1 (ko)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CN105744237A (zh) 一种智能安防系统
KR20180095957A (ko)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KR101508662B1 (ko) 사용자 단말기 기반 휴대용 센서와 연계한 소규모 공간 생활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67199A (ja) 停止状態の近距離通信デバイスと通信する方法、ipアドレスの取得方法および情報端末装置
WO2016139920A1 (en)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80121813A (ko)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통합게이트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