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746A -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746A
KR20180089746A KR1020170014466A KR20170014466A KR20180089746A KR 20180089746 A KR20180089746 A KR 20180089746A KR 1020170014466 A KR1020170014466 A KR 1020170014466A KR 20170014466 A KR20170014466 A KR 20170014466A KR 20180089746 A KR20180089746 A KR 20180089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magnet
mover
magnet coil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440B1 (ko
Inventor
김재범
정상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44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1446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2440B1/ko
Priority to EP18153908.1A priority patent/EP3358727B1/en
Priority to US15/884,457 priority patent/US10784734B2/en
Priority to CN201880009105.XA priority patent/CN110291704B/zh
Priority to PCT/KR2018/001358 priority patent/WO2018143677A1/en
Publication of KR20180089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1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C-shaped cores
    • H02K1/143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C-shaped cores of the horse-sho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alternate energisation of two coi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6Mobile combin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08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3Machines characterised by aspects of the air-gap between rotor and s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12Transversal flux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황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는, 내측고정자와, 상기 내측고정자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고정자를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권취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마그넷 코일, 상기 내측고정자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측고정자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넷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배열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내측고정자 또는 외측고정자 사이에 형성된 공극에 삽입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자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와 가동자 사이에서 자기적 저항이 낮은 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가동자를 고정자에 대해 공진운동 시키는 자기적 공진스프링을 구현하여,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가 소형화되고 경량화되며 보다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transvers flux type recyprocating motor and recy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모터(Motor)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력 또는 왕복동력을 얻는 장치로서, 이러한 모터는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서 교류모터와 직류모터로 구분될 수 있다.
모터는 고정자(Stator)와 가동자(Mover 또는 Rotor)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며, 고정자에 구비되는 권선(Coil)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자속(Flux)의 방향에 따라 마그네트(Margnet)가 구비된 가동자가 회전운동을 하거나 또는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모터는 가동자의 운동양태에 따라 회전 모터 또는 왕복동 모터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 모터는 마그넷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고정자에 자속이 형성되고 이 자속에 의해 가동자가 고정자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는 반면, 왕복동모터는 가동자가 고정자에 대해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방식이다.
왕복동 모터는 통상 입체적인 구조를 갖는 모터의 자속을 평판 형상으로 변형시킨 것으로서, 평면 형상의 가동자가 역시 평면 형상의 고정자 상측에 얹혀져 그 고정자의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모터의 한 종류이다.
최근에는 고정자가 내측 고정자(Inner stator)와 외측 고정자(Outer stator)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고정자와 외측 고정자중에서 어느 한쪽에 유도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넷 코일이 권취되며, 자극(Magnet pole)이 고정자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마그네트(Magnet)가 가동자에 구비되어 그 가동자가 내측 고정자와 외측 고정자 사이의 공극(Air gap)에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압축기용 왕복동 모터가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용 왕복동 모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2615호 (이하, 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9813호(이하, 선행기술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과 선행기술 2에는 모두 박판으로 타발 제작된 다수 개의 철심코어를 방사상으로 적층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선행기술 1에서는 내측 고정자와 외측 고정자가 모두 방사 적층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2에서는 선행기술 1을 개선하여 내측 고정자는 방사 적층을, 외측 고정자는 원호 적층된 코어블록을 방사 적층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 백장의 철심코어를 일일이 타발 제작한 후 방사상으로 적층하여 내측 고정자 또는 외측 고정자를 제작하는 것이나, 이는 수 백장의 철심코어를 타발하여 방사상으로 적층하기도 어렵고 이를 원통형으로 고정하기도 어려워 내측 고정자와 외측 고정자를 제작하는데 상당한 곤란함이 있었다.
즉, 수 백장에 이르는 많은 철심코어를 타발하여 제작하여야 하므로 높은 제조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물론 낱장의 철심코어를 방사상으로 적층하여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난해하고, 조립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낱장의 철심코어를 일정 개씩 묶어 여러 개의 코어블록으로 적층한 후 이 코어블록을 방사상으로 적층하는 경우에도 수 백장의 철심코어를 타발하여 제작할 뿐만 아니라, 내측 고정자의 경우에는 낱장의 철심코어를 방사상으로 적층하여야 하므로 고정자를 조립하는 조립공정의 단점과 이에 소요되는 제조비용의 단점은 여전히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내측 고정자와 외측 고정자가 원통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링을 압입하는 것이나, 낱장의 철심코어를 적층할 때 각각의 철심코어에 구비된 고정홈의 위치를 일치시켜 적층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 백장의 철심코어에 구비된 고정홈에 고정링을 압입시켜 고정하기도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 다수 개의 철심코어를 묶어 코어블록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코킹 작업을 통해 이들 코어블록의 형태가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철심코어의 면적이 좁은 경우에는 코킹 작업 중에 일부 철심코어의 형상이 뒤틀려 변형될 수 있어 철심코어를 작게 형성할 수 없고 이로 인해 모터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가동자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된 기계적 공진스프링으로 지지되나, 압축코일스프링의 특성상 발생하는 자체 공진 때문에 일정구간의 운전주파수 안에서도 특정구간은 운전주파수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된 기계적 공진스프링이 설치됨에 따라, 그 압축코일스프링의 특성상 기계적 응력 한계 및 진동 거리 등의 제약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공진스프링은 일정한 선경과 길이 등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왕복동 모터의 횡방향 길이를 축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된 기계적 공진스프링이 설치됨에 따라, 그 압축코일스프링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재를 가동자와 고정자에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모터의 기구 구조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복수 개씩의 공진스프링을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 가동자의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조립공정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된 기계적 공진스프링이 설치됨에 따라, 압축코일스프링의 특성상 발생되는 측힘에 의해 가동자가 편심되면서 고정자와의 마찰손실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외측 고정자와 내측 고정자 사이에 마그네트를 포함한 가동자가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그 가동자를 기준으로 외측과 내측에 각각 공극이 형성되면서 전체 공극이 증가하여 모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마그네트 프레임의 두께가 커서 전체 가동자의 무게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전력소모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외측 고정자와 내측 고정자 사이의 공극이 더 증가하면서 모터 효율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왕복동 모터를 적용한 왕복동식 압축기는, 전술한 왕복동 모터에서의 문제를 여전히 가지게 되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해 왕복동식 압축기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운전주파수 내에서 모든 공진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축 방향으로의 모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가동자의 무게를 줄여 전력소모량을 낮춤으로써 모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가동자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자석의 크기만을 증가시켜 모터 출력을 높일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가동자의 길이가 줄어들어 공차에 의한 자기적 공극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줄어든 자기적 공극에 의해 모터 스프링 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고정자 및 가동자를 용이하게 제작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고정자 또는 가동자를 구성하는 블럭이 면접촉하면서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방사 적층에 비해 적층이 용이하고, 적층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한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마그넷 코일을 보빈에 감은 후, 외측 고정자를 보빈의 중공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된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또, 본 발명은, 왕복동 모터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되고 경량화된 왕복동식 압축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 모터는, 내측고정자와, 상기 내측고정자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고정자를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권취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마그넷 코일, 상기 내측고정자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측고정자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넷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배열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내측고정자 또는 외측고정자 사이에 형성된 공극에 삽입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자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자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이에 따르면, 가동자의 무게를 줄여 전력소모량을 낮춤으로써 모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가동코어가 공극으로 노출되어 가동코어와 마그네트 및 고정자의 자기적 공극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 및/또는 가동자는 복수 개의 코어블럭이 상기 가동자의 왕복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고정자 또는 가동자를 구성하는 블럭이 면접촉하면서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방사 적층에 비해 적층이 용이하고, 적층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외측고정자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 및 상기 요크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동자를 감싸는 티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티스부에 상기 마그넷 코일이 권취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는 상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짝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 티스부에 결합되는 마그넷 코일은 이웃하는 마그넷 코일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마그넷 코일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이웃하는 마그네트와 서로 반대의 자극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고정자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와, 상기 요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동자를 감싸는 티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부에 상기 마그넷 코일이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부와 티스부는 분리되고, 상기 마그넷 코일은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요크부가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된 후 상기 티스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티스부가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된 후 상기 요크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마그넷 코일을 보빈에 감은 후, 외측 고정자를 보빈의 중공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고정자는, 상기 요크부와 티스부를 가지는 복수의 고정자코어블럭을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요크부 또는 상기 티스부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멍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고정자코어블럭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고정자는, 상기 티스부의 양측에 상기 마그넷 코일이 배치되게 요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고정자는, 상기 티스부의 일측에 상기 마그넷 코일이 배치되게 요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 코일이 결합되는 요크부는 복수 개로 분리되고, 상기 마그넷 코일은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요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마그넷 코일을 보빈에 감은 후, 외측 고정자를 보빈의 중공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내측고정자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측고정자의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결합되되, 이웃하는 마그네트와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 코일은 중공을 갖는 보빈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된 복수의 요크부는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된 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가동자가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동모터, 상기 왕복동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을 개폐하는 흡입밸브 및 상기 압축공간의 토출측을 개폐하는 토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동 모터는 앞서 설명한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에 따르면 소형화, 경량화된 왕복동 모터를 구비함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가 소형화되고, 경량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자를 자기적 공진스프링으로 공진시킴에 따라 일정구간의 운전주파수 내에서 사용 주파수가 제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모터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자를 자기적 공진스프링으로 공진시킴에 따라, 가동자를 공진시키기 위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모터의 횡방향 길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자를 자기적 공진스프링으로 공진시킴에 따라, 가동자가 공진스프링의 측힘에 의해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손실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트를 고정자의 단부에 결합시켜 가동자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력 소모량을 낮춰 모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 및 가동자를 용이하게 제작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 또는 가동자를 구성하는 블럭이 면접촉하면서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방사 적층에 비해 적층이 용이하고, 적층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넷 코일을 보빈에 감은 후, 외측 고정자를 보빈의 중공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왕복동 모터를 구비함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가 소형화되고, 경량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소형화, 모터의 효율향상, 모터의 경량화, 모터의 소음 저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제시되는 각각의 구성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자속형 왕복동 모터를 개략적으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서의 Ⅳ-Ⅳ선 및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횡자속 왕복동 모터를 보인 정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Ⅴ-Ⅴ선단면을 보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왕복동 모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의 Ⅵ-Ⅵ선단면을 보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 모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횡자속 왕복동 모터를 보인 정면도,
도 13은 도 11에 따른 횡자속 왕복동 모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11의 Ⅶ-Ⅶ선단면을 보인 개략도,
도 1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 모터가 적용된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자속형 왕복동 모터를 개략적으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이하, 왕복동 모터로 약칭함)는, 고정자(100), 마그넷 코일(210), 마그네트(300), 가동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자(100)는 내측고정자(110)와, 상기 내측고정자(110)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고정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자(100)는 내측고정자(110)로만 구성되거나, 외측고정자(120)로만 구성될 수 있고, 내측고정자(110)와 외측고정자(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고정자(100)가 내측고정자(110)와 외측고정자(120)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자(100)는 내측고정자(110)로만 구성되거나, 외측고정자(120)로만 구성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다만, 고정자(100)가 내측고정자(110)로만 구성되는 경우, 가동자(400)는 고정자(100)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고, 고정자(100)의 외주면에 마그네트(30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자(100)가 외측고정자(120)로만 구성되는 경우, 가동자(400)는 고정자(100)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고, 고정자(100)의 내주면에 마그네트(300)가 부착될 수 있다.
고정자(100)가 내측고정자(110)와 외측고정자(120)로 구성되는 경우, 내측고정자(110)의 외경은 외측고정자(120)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내측고정자(110)와 외측고정자(120) 사이에는 공극(1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자(100)를 구성하는 내측고정자(110)와 외측고정자(120)는 자성체 또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고정자(110)는 중공부(111)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부(111)는 추후, 피스톤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내측고정자(110) 및 외측고정자(120)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블럭을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에서의 Ⅳ-Ⅳ선 및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고정자(110) 및 외측고정자(120)는 각각 내측코어블럭(110a)과 외측코어블럭(120a)을 축 방향(가동자의 왕복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내측고정자(110) 및 외측 고정자(120)가 내측코어블럭(110a)과 외측코어블럭(120a)을 각각 축 방향으로 적층하기 때문에, 종래 방사상으로 적층하는 경우 대비, 적층이 쉽다. 또한, 방사 적층에 비해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기에도 유리하다.
마그넷 코일(210)은 상기 외측 고정자(120)에 권취된다.
일 예로, 상기 마그넷코일(210)은 상기 외측 고정자(120)에 직접 권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마그넷 코일(210)은 미리 권취된 후,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고정자(1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마그넷코일(210)은 별도의 권선장치 등을 통해 보빈에 권취된 후, 상기 보빈의 중공에 외측고정자(12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마그넷코일(210)이 외측고정자(120)와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상기 내측고정자(1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측고정자(12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이때, 마그네트(300)의 상기 마그넷 코일(210)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을 갖도록 배열된다.
상세히, 상기 마그네트(300)는 축 방향(가동자의 왕복방향)을 따라 다른 자극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300)는 곡면으로 형성된 내측고정자(1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측고정자(120)의 내주면에 면접촉 하도록 그 단면이 원(circle)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호(ar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그네트(3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축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호(arc) 형상의 단면을 갖고, 복수 구비되어 내측고정자(110)의 외주면이나, 외측고정자(12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300)는 N극과 S극이 양측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2-폴(2-pole) 마그네트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300)는 공극(130)으로 노출된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그네트(300)는 마그네트(300)는 외측고정자(1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그네트(300)는 내측고정자(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마그네트(300)는 내측고정자(110)와 외측고정자(120) 양측 모두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300)는, 상기 내측고정자(1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측고정자(120)의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된다. 이때, 마그네트(30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마그네트(300)는 이웃하는 마그네트(300)와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마그네트(300)가 4개 구비되는 경우, 도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마그네트(310)는 도면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3마그네트(330) 및 우측에 위치하는 제4마그네트(340)와 다른 자극을 가지지만, 도 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마그네트(320)와는 동일한 자극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마그네트(300)가 2개 구비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마그네트와 하부에 위치하는 마그네트는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질 수 있다.
가동자(400)는 상기 내측고정자(110) 또는 외측고정자(120) 사이에 형성된 공극(130)에 삽입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자(10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자(400)는 축방향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동자(400)는 단일체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내측고정자(110)와 외측고정자(120) 사이에 형성된 원통형의 공극(130)에 삽입되게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자(400)는 축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복수 구비되어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자(400)들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간격에는 비자성체인 이음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음부의 구성으로 복수의 가동자(400)는 하나의 몸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자(400)는 연결부를 통해 피스톤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70)는 원통 형상의 가동자(40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 등에 연결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호(arc)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가동자(400)가 상기 연결부(7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 연결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가동자(400)는 공극(130)으로 노출된 내측고정자(110) 또는 외측고정자(120)의 외측 표면 및 마그네트(300)와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야 하므로, 가동자(400)의 크기는 공극(130)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즉, 가동자(400)의 내주면은 내측고정자(110)의 외주면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가동자(400)의 외주면은 외측고정자(120)의 내주면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자(400)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블럭을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 개의 가동자코어블럭(미도시)을 상기 가동자(400)의 왕복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고정자(120)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121) 및 상기 요크부(121)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동자(400)를 감싸는 티스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티스부(122)에 상기 마그넷 코일(210)이 권취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요크부(121)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요크부(121)의 내주면에는 마그넷 코일(210)이 권취되는 티스부(122)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티스부(122) 사이에는 공간부(124)를 형성하여, 마그넷 코일(210)이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티스부(122)와 공간부(124)는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티스부(122)는 상기 고정자(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짝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 티스부(122)에 결합되는 마그넷 코일(210)은 이웃하는 마그넷 코일(210)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속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마그넷 코일(210)은 원주방향을 따라 감긴 방향이 번갈아 가며 반대가 되도록 권취될 수 있다. 이로써, 티스부(122)의 자속방향 역시 원주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티스부의 자속 방향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마그넷 코일(210)에 4개 구비될 경우, 도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마그넷코일(211)은 도면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3마그넷코일(213) 및 우측에 위치하는 제4마그넷코일(214)과 각각 반대 방향으로 감기지만, 도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마그넷코일(212)과는 동일한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네트(300)는 상기 마그넷 코일(210)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300)는 이웃하는 마그네트(300)와 서로 반대의 자극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횡자속 왕복동 모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티스부(122)는 요크부(121)의 내측 상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티스부(122a)와, 요크부(121)의 내측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티스부(122b)와, 요크부(121)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3티스부(122c)와, 요크부(121)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4티스부(122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티스부(122)의 내측 단부에는 내주면에 마그네트(300)가 고정되는 고정자 폴부(125)가 양쪽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자 폴부(125)의 원주길이가 마그네트(300)의 원주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다른 마그네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마그네트의 원주 길이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고정자 폴부(125)의 원주 길이는 후술할 마그네트(300)의 원주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 폴부(125)는 제1티스부(122a)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1고정자 폴부(125a), 제2티스부(122b)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2고정자 폴부(125b), 제3티스부(122c)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3고정자 폴부(125c) 및 제4티스부(122d)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4고정자 폴부(125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고정자 폴부(125a,125b,125c,125d)에는 마그네트(310,320,330,34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티스부(122)는 적어도 2개 이상 짝수 개로 형성되고, 티스부(122)에 권취되는 마그넷 코일(210) 역시 짝수 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외측고정자(120)가 외측코어블럭(120a)을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각각의 외측코어블럭(120a)에는 체결구멍(123)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멍(123)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외측코어블럭(120a)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멍(123)은 상기 요크부(121) 또는 상기 티스부(122) 또는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고정자(110)가 내측코어블럭(110a)을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각각의 내측코어블럭(110a)에도 체결구멍(113)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내측코어블럭(110a)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자(400)가 가동자코어블럭(미도시)을 축방향으로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가동자코어블럭(미도시)에도 체결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멍(미도시)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가동자코어블럭(미도시)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부(121)와 티스부(122)는 분리되고, 상기 마그넷 코일(210)은 중공(201)을 형성하여, 상기 요크부(121)가 상기 마그넷 코일(210)의 중공(201)에 삽입된 후 상기 티스부(122)와 연결되거나, 상기 티스부(122)가 상기 마그넷 코일(210)의 중공(201)에 삽입된 후 상기 요크부(12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요크부(121)와 티스부(122)는 따로 분리된 후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요크부(121)는 복수 개로 분리된 후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티스부(122)는 복수 개로 분리된 후,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분리된 복수의 요크부(121) 및/또는 티스부(122)는 상기 마그넷 코일(210)의 중공(201)에 삽입된 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요크부(121) 또는 티스부(122)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몸체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요크부(121) 또는 티스부(122)가 복수 개로 분리되면, 요크부(121) 또는 티스부(122)에 권선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마그넷 코일(210)을 권선하는 방식이 아니라, 복수 개의 마그넷 코일(210)을 환형으로 제작한 후 마그넷 코일(210)의 중공(201)에 요크부(121) 또는 티스부(122)를 삽입하여, 마그넷 코일(210)을 외측고정자(120)에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티스부(122)의 폭(t2)는 요크부(121)의 폭(t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티스부(122)에서의 자로 면적이 확보되어 모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전술한 체결구멍(123)에 볼트 체결할 때 요크부(121) 또는 티스부(122)가 비틀림 모멘트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모터는 마그넷 코일(210)이 구비된 고정자(100)와, 마그네트(300), 가동자(4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왕복방향 중심력(centering force)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왕복방향 중심력이란 가동자(400)가 자기장 안에서 이동을 할 때 자기적 에너지(자기적 위치 에너지, 자기저항)가 낮은 쪽으로 저장하는 힘을 말하며, 이 힘은 자기적 스프링(magnetic spring)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자(400)가 마그넷 코일(210) 및 마그네트(300)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왕복운동을 할 때, 그 가동자(400)는 자기적 스프링에 의해 중심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힘을 축적하고, 이 자기적 스프링에 축적된 힘으로 인해 가동자(400)가 공진하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황자속형 왕복동 모터의 동작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Ⅴ-Ⅴ선단면을 보인 개략도이다.
먼저, 왕복동 모터의 마그넷코일(211,213)에 교번전류가 인가되면, 고정자(100)에는 교번자속이 형성된다. 이 경우 가동자(400)는 자속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왕복동 모터의 내부에는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00) 사이에는 자기적 스프링(Magnetic Resonance Spring)이 형성되어, 가동자(400)의 공진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마그네트(310,330)가 외측 고정자(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마그넷코일(211)과 제3마그넷코일(213)에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티스부(122a,122c)에서는 양쪽 자속이 합쳐져 동일한 방향으로 흘러 양쪽 티스부(122a,122c)가 서로 다른 자극을 띄게 된다. 이때, 자성체인 가동자(400)는 마그넷코일(211,213)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310,330)의 자속이 증자되는 도면의 좌측 방향(화살표 M1참조)으로 가동자(40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10,33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제1마그넷코일(211)과 제3마그넷코일(213)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양쪽 티스부(122a,122c)가 이전과 반대 자극을 띄게 되고, 제1마그넷코일(211)과 제3마그넷코일(213)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310,330)의 자속 역시 이전과 반대 방향, 즉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증자된다.
이때, 상기 축적된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1)과, 마그넷코일(211,213) 및 마그네트(310,330)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화살표 M2 참조)으로 가동자(400)가 이동하게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동자(40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310,330)의 중심을 지나 도면의 우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10,33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쪽인 마그네트(310,330)의 중심방향 즉,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2)이 축적된다.
다시, 도 6과 같이 제1마그넷코일(211)과 제3마그넷코일(213)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양쪽 티스부(122a,122c)가 이전과 반대 자극을 띄게 되고, 상기 축적된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2)과, 제1마그넷코일(211)과 제3마그넷코일(213) 및 마그네트(310,330)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310,330)의 중심방향으로 가동자(400)가 이동하게 하게 된다.
이때도 역시, 가동자(40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310,330)의 중심을 지나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고,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10,33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쪽인 마그네트(300)의 중심방향 즉,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1)이 축적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자(400)는 기계적 공진 스프링이 구비된 것과 같이 도면의 우측과 좌측을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는 왕복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고정자(120)는 상기 티스부(122)의 양측에 상기 마그넷 코일(210)이 배치되게 요크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외측고정자(120)는 요크부(121)가 사각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요크부(121)의 내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내측면에는 티스부(122)가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주보는 티스부(122)들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된다.
또한, 요크부(121)는 티스부(122)의 양쪽 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횡방향요크부(121a)와, 각 횡방향 요크부(121a)의 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직각방향으로 연정되는 종방향 요크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122)는 상기 종방향 요크부(121b)와 슬롯부(121c)를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며, 상기 티스부(122)에는 마그네트(300)가 부착되는 마그네트 부착면이 아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종방향 요크부(121b)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넷코일(210)을 종방향 요크부(121b)에 권취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왕복동 모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방형 요크부(121b)는 중심부에 공극을 형성하여,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일 수도 있다. 즉, 마주보는 티스부(122)들 사이에 공극이 형성된 것과 같이, 요크부(121) 사이에도 공극이 형성된다.
이 경우, 외측고정자(120)는 두 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측고정자(120)가 두 개로 분리되면, 마주보게 배치된 종방향 요크부(121b)의 단부는 마그넷 코일(210)의 중공(201)에 삽입된다. 따라서, 자속이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측고정자(120)가 분리되는 경우, 마그넷 코일(210)을 중공의 보빈(220)에 감은 후, 종방향 요크부(121b)의 단부를 중공(201)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마그넷 코일(210)을 직접 종방향 요크부(121b)에 감을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의 Ⅵ-Ⅵ선단면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양측의 요크부(121)에 결합된 마그넷코일(215,216)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취된 상태이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티스부(122)에는 각각 별도의 마그네트(350,360)가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350,360)는 서로 반대의 자극을 형성하며, 마그네트(350,36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마그넷 코일(215,216)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속은 각각의 요크부(121)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되지만, 티스부(122)에서는 양쪽 자속이 합쳐져 동일한 방향으로 흘러 양쪽 티스부(122)가 서로 다른 자극을 띄게 된다.
이때, 자성체인 가동자(400)는 마그넷코일(215,216)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310,330)의 자속이 증자되는 도면의 좌측 방향(화살표 M1참조)으로 가동자(40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50,36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그넷코일(215,216)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마그넷코일(215,216)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350,360)의 자속은 이전과 반대 방향, 즉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증자된다.
이때, 상기 축적된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1)과, 마그넷코일(마그넷코일(215,216) 및 마그네트(350,360)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가동자(400)가 이동하게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동자(40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350,360)의 중심을 지나 도면의 우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50,36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쪽인 마그네트(350,360)의 중심방향 즉,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이 축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자(400)는 기계적 공진 스프링이 구비된 것과 같이 도면의 우측과 좌측을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는 왕복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 모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횡자속 왕복동 모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고정자(120)는 상기 티스부(122)의 일측에 상기 마그넷 코일(210)이 배치되게 요크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요크부(121)는 티스부(122)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횡방향 요크부(121a)와, 상기 횡방향 요크부(121a)의 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요크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122)는 상기 종방향 요크부(121b)와 슬롯부(121c)를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며, 상기 티스부(122)에는 마그네트(300)가 부착되는 마그네트 부착면이 아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주보는 티스부(122)들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된다.
여기서, 종방향 요크부(121b)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넷코일(210)을 종방향 요크부(121b)에 권취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횡자속 왕복동 모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종방형 요크부(121b)는 중심부에 공극을 형성하여,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일 수도 있다. 즉, 마주보는 티스부(122)들 사이에 공극이 형성된 것과 같이, 요크부(121) 사이에도 공극이 형성된다.
이 경우, 외측고정자(120)는 두 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측고정자(120)가 두 개로 분리되면, 마주보게 배치된 종방향 요크부(121b)의 단부는 마그넷 코일(210)의 중공(201)에 삽입된다. 따라서, 자속이 폐루프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측고정자(120)가 분리되는 경우, 마그넷 코일(210)을 중공의 보빈(220)에 감은 후, 종방향 요크부(121b)의 단부를 중공(201)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마그넷 코일(210)을 직접 종방향 요크부(121b)에 감을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11의 Ⅶ-Ⅶ선단면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로 마주보는 티스부(122)에는 각각 별도의 마그네트(370,380)가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370,380)는 서로 반대의 자극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요크부(121)에 결합된 마그넷 코일(217)에 전류가 인가되면, 양쪽 티스부(122)는 서로 다른 자극을 띄게 된다.
이때, 자성체인 가동자(400)는 마그넷코일(217)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370,380)의 자속이 증자되는 도면의 좌측 방향(화살표 M1참조)으로 가동자(400)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70,38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그넷코일(217)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마그넷코일(217)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370,380)의 자속은 이전과 반대 방향, 즉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증자된다.
이때, 상기 축적된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1)과, 마그넷코일(마그넷코일(217) 및 마그네트(370,380)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가동자(400)가 이동하게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동자(40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370,380)의 중심을 지나 도면의 우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70,38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쪽인 마그네트(370,380)의 중심방향 즉,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이 축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자(400)는 기계적 공진 스프링이 구비된 것과 같이 도면의 우측과 좌측을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는 왕복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 모터가 적용된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1)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가동자(400)가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동모터(20)와, 상기 왕복동모터(20)의 가동자(400)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0)과, 상기 피스톤(30)이 삽입되어 압축공간(42)을 형성하는 실린더(40)와, 상기 압축공간(42)의 흡입측을 개폐하는 흡입밸브(31)와 및 상기 압축공간(42)의 토출측을 개폐하는 토출밸브(4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밀폐된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흡입관(11)이 연결되고, 흡입관(11)의 일측에는 후술할 실린더(40)의 압축공간(42)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동사이클로 안내하는 토출관(12)이 연결된다. 이로써,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은 흡입되는 냉매가 채워져 흡입압을 형성하고, 압축공간(42)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토출관(12)을 통해 응축기를 향해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는 프레임(50)이 설치되고, 프레임(50)의 일측면에는 왕복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후술할 피스톤(30)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왕복동 모터(20)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왕복동 모터(20)의 안쪽에는 압축공간(42)이 구비되어 프레임(50)에 삽입되는 실린더(40)가 결합되고, 실린더(40)에는 그 실린더(40)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어 압축공간(42)의 체적을 가변시켜 냉매를 압축하는 피스톤(30)이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30)의 선단면에는 그 피스톤(30)의 흡입유로를 개폐하는 흡입밸브(31)가 결합되고, 실린더(40)의 선단면에는 그 실린더(40)의 압축공간(42)을 개폐하는 토출밸브(41)가 토출커버(60)에 수용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토출커버(60)는 토출공간(61)이 구비되어 실린더(40)에 고정 결합된다. 토출커버(60)의 토출공간(61)에는 토출밸브(41) 및 그 토출밸브(41)를 지지하는 밸브스프링(43)이 수용되고, 실린더(40)와 피스톤(30) 사이를 윤활하기 위한 가스베어링의 입구가 수용될 수 있다.
가스베어링(미도시)은 프레임(50)의 내주면과 실린더(4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연통로와, 가스연통로의 중간에서 실린더(40)의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미세 가스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왕복동 모터(20)는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14와 같은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왕복동 모터를 참조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내측고정자(110)와 외측고정자(120)는 프레임(50)에 고정되고, 가동자(400)는 피스톤(30)과 연결된다. 따라서, 가동자(400)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0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실린더(40)에 삽입된 피스톤(30)이 가동자(400)와 함께 양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1)는, 왕복동 모터(20)의 마그넷코일(210)에 교번전류가 인가되면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00)와 가동자(400) 사이에 교번자속이 형성되고, 마그넷코일(310)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300)의 자속이 증자되는 방향으로 가동자(400) 및 이와 연결된 피스톤(30)이 움직이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왕복동 모터의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0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이 축적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그넷코일(2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상기 축적된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과, 마그넷코일(210) 및 마그네트(300)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가동자(400) 및 이와 연결된 피스톤(30)이 이전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게 되고, 이때에도, 왕복동 모터의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0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이 축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자(400) 및 피스톤(30)은 기계적 공진 스프링이 구비된 것과 같이 도면의 우측과 좌측을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는 왕복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이때, 왕복동 모터의 내부에서는 가동자(400)가 왕복운동을 하면서 가동자(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00) 사이에 자기적 공진스프링이 형성되어 가동자(400)와 피스톤(30)의 공진운동을 유도함으로써, 피스톤(30)이 압축공간(42)에서 발생되는 가스력을 이기면서 냉매를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는 앞서 설명한 도 1내지 도 14의 왕복동 모터에 따른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왕복동 모터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의 왕복동식 압축기는 소형화되고 경량화된 왕복동 모터를 구비하여, 마찬가지로 소형화되고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압축기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 또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적 강성이 향상된 왕복동 모터를 구비하여, 마찬가지로, 압축기의 제작이 용이하고, 압축기의 구조적인 강성이 향상될 수 밖에 없다.
또한, 무엇보다 가동자의 무게를 줄이고, 가동자와 고정자 및 마그네트의 자기적 공극을 최소화하여, 모터의 고속운전이 가능하며, 모터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압축기의 효율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마그넷 코일이 권취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넷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배열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마그네트;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마그넷 코일에 의한 자속과 상기 마그네트에 의한 자속이 증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및/또는 가동자는 복수 개의 코어블럭이 상기 가동자의 왕복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내측고정자와, 상기 내측고정자의 반경방향 외측에 공극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외측 고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 및 상기 요크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동자를 감싸는 티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티스부에 상기 마그넷 코일이 권취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부는 상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짝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 티스부에 결합되는 마그넷 코일은 이웃하는 마그넷 코일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마그넷 코일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이웃하는 마그네트와 서로 반대의 자극을 가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와, 상기 요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동자를 감싸는 티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부에 상기 마그넷 코일이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8.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와 티스부는 분리되고, 상기 마그넷 코일은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요크부가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된 후 상기 티스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티스부가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된 후 상기 요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9.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요크부와 티스부를 가지는 복수의 고정자코어블럭을 적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요크부 또는 상기 티스부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멍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고정자코어블럭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티스부의 양측에 상기 마그넷 코일이 배치되게 요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티스부의 일측에 상기 마그넷 코일이 배치되게 요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고정자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결합되되, 이웃하는 마그네트와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3.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코일이 결합되는 요크부는 복수 개로 분리되고, 상기 마그넷 코일은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요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코일은 중공을 갖는 보빈에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복수의 요크부는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된 후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6.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가동자가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동모터;
    상기 왕복동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을 개폐하는 흡입밸브; 및
    상기 압축공간의 토출측을 개폐하는 토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동 모터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KR1020170014466A 2017-02-01 2017-02-01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KR10266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66A KR102662440B1 (ko) 2017-02-01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EP18153908.1A EP3358727B1 (en) 2017-02-01 2018-01-29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US15/884,457 US10784734B2 (en) 2017-02-01 2018-01-31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including a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CN201880009105.XA CN110291704B (zh) 2017-02-01 2018-01-31 横向磁通往复电机及包括该横向磁通往复电机的往复压缩机
PCT/KR2018/001358 WO2018143677A1 (en) 2017-02-01 2018-01-31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66A KR102662440B1 (ko) 2017-02-01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46A true KR20180089746A (ko) 2018-08-09
KR102662440B1 KR102662440B1 (ko) 2024-05-07

Family

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20A (ko) * 2020-08-28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와 이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KR20220065457A (ko) * 2020-11-13 2022-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420A (ko) * 2020-08-28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와 이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KR20220065457A (ko) * 2020-11-13 2022-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US11788520B2 (en) 2020-11-13 2023-10-17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91704B (zh) 2021-10-08
EP3358727A1 (en) 2018-08-08
WO2018143677A1 (en) 2018-08-09
US10784734B2 (en) 2020-09-22
CN110291704A (zh) 2019-09-27
US20180219444A1 (en) 2018-08-02
EP3358727B1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8727B1 (en)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CN107546948B (zh) 横向磁通型往复式电机及具备其的往复式压缩机
KR101386486B1 (ko) 왕복동식 압축기
US11131296B2 (en) Transverse flux type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transverse flux type reciprocating motor
US11050335B2 (en) Transverse flux type linear motor and linear compressor having the same
CN210246582U (zh) 可动铁芯型往复式电机和压缩机
EP3349341B1 (en) Movable core-type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101513611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2608386B1 (ko)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EP3346584B1 (en) Movable core-type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20180093412A (ko)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KR102662440B1 (ko)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US8203238B2 (en) Linear motor for linear compressor
KR20070075891A (ko) 리니어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고정구조
KR20080065095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KR20180093411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91450A (ko) 리니어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