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412A -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412A
KR20180093412A KR1020170019445A KR20170019445A KR20180093412A KR 20180093412 A KR20180093412 A KR 20180093412A KR 1020170019445 A KR1020170019445 A KR 1020170019445A KR 20170019445 A KR20170019445 A KR 20170019445A KR 20180093412 A KR20180093412 A KR 20180093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mover
reciprocating
magne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412A/ko
Publication of KR2018009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6Mobile combin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6Structural details of the arm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구조의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는, 제1고정자와, 상기 제1고정자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1가동자와, 상기 제1고정자에 권취되는 마그넷 코일을 포함하는 메인자속모듈과, 상기 제1고정자와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2고정자와, 상기 제1가동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2고정자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2가동자를 포함하는 보조자속모듈과, 상기 제1가동자와 제2가동자의 마주보는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transvers flux type recyprocating motor and recy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 구조의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왕복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모터(Motor)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력 또는 왕복동력을 얻는 장치로서, 이러한 모터는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서 교류 모터와 직류 모터로 구분될 수 있다.
모터는 고정자(Stator)와 가동자(Mover 또는 Rotor)를 포함하며, 고정자에 구비되는 권선(Coil)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자속(Flux)의 방향에 따라 마그네트(Magnet)가 구비된 가동자가 회전 운동을 하거나 또는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모터는 가동자의 운동 양태에 따라 회전 모터 또는 왕복동 모터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 모터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고정자에 자속이 형성되고 이 자속에 의해 가동자가 고정자에 대해 회전운동을 한다. 반면, 왕복동 모터는 가동자가 고정자에 대해 직선으로 왕복 운동한다.
최근에는 고정자가 내측 고정자(Inner stator)와 외측 고정자(Outer stator)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고정자와 외측 고정자 중 어느 한쪽에 유도자기를 발생하기 위한 코일이 권취되는 압축기용 왕복동 모터가 소개되고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용 왕복동 모터의 경우, 자극(Magnet pole)이 고정자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마그네트(Magnet)가 가동자에 구비되어 그 가동자가 내측 고정자와 외측고정자 사이의 공극(Air gap)에서 왕복운동을 한다.
이러한 압축기용 왕복동 모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2612호(이하, 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9813호(이하, 선행기술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과 선행기술 2에는 모두 박판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철심 코어를 환형으로 형성된 코일에 방사상으로 적층하여 원통형으로 된 외측 고정자 또는 내측 고정자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왕복동 모터가 압축기에 적용된 경우, 압축실에 부하가 작용하였을 때 가동자가 하사점(BDC)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자가 뒤로 밀린 상태에서 운전하게 되면, 설계치 만큼의 모터 출력을 낼 수 없고, 스트로크가 부족하여 냉력이 부족해지면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동자의 밀림양을 보상하기 위해 가동자를 상사점(TDC) 방향으로 밀어주는 물리적인 스프링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 왕복동 모터는 가동자가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그 가동자의 왕복방향 양쪽에 각각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된 기계적 공진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동자가 코일에 인가된 전원의 자속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할 때 그 가동자가 이동하는 방향에 구비된 기계적 공진스프링은 압축되면서 반발력을 축적한다. 이어서 가동자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반발력을 축적했던 기계적 공진스프링은 가동자를 밀어내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가동자가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나, 압축코일 스프링은 특성상 발생하는 자체 공진 때문에 일정 구간의 운전주파수 안에서도 특정 구간은 운전주파수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압축코일 스프링이 가동자를 지지함에 따라서, 그 압축코일스프링의 특성상 기계적 응력 한계 및 진동 거리 등의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공진 스프링은 일정한 선경과 길이 등을 확보해야 하므로 왕복동 모터의 횡방향 길이를 축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기계적 공진 스프링을 생략하면서, 가동자의 공진운동을 유도할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고정자와 가동자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을 증가시켜, 자기적 스프링의 스프링 강성을 키울 수 있어, 향상된 성능을 갖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운전주파수 내에서 모든 공진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축 방향으로의 모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가동자의 무게를 줄여 전력소모량을 낮춤으로써 모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가동자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자석의 크기만을 증가시켜 모터 출력을 높일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가동자의 길이가 줄어들어 공차에 의한 자기적 공극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줄어든 자기적 공극에 의해 모터 스프링 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고정자 및 가동자를 용이하게 제작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고정자 또는 가동자를 구성하는 블럭이 면접촉하면서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방사 적층에 비해 적층이 용이하고, 적층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한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마그넷 코일을 보빈에 감은 후, 외측 고정자를 보빈의 중공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된 왕복동 모터를 제안한다.
또, 본 발명은, 왕복동 모터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되고 경량화된 왕복동식 압축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자기적 스프링의 스프링 강성을 증가시켜, 고속운전이 가능하고, 냉력이 증가된 왕복동식 압축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는 제1고정자와, 상기 제1고정자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1가동자와, 상기 제1고정자에 권취되는 마그넷 코일을 포함하는 메인자속모듈과, 상기 제1고정자와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2고정자와, 상기 제1가동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2고정자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2가동자를 포함하는 보조자속모듈 및 상기 제1가동자와 제2가동자의 마주보는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기계적 공진 스프링을 생략하면서, 가동자의 공진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와 가동자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을 증가시켜, 자기적 스프링의 스프링 강성을 키울 수 있어, 모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자 및/또는 제2고정자는, 내측고정자와, 상기 내측고정자의 반경방향 외측에 공극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외측 고정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동자 및/또는 제2가동자는, 상기 공극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동자 및/또는 제2가동자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고정자의 외주면 및/또는 외측고정자의 내주면에는 마그네트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동자 및/또는 제2가동자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동자 및/또는 제2가동자는, 가동코어와, 상기 가동코어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자 및/또는 제2고정자는, 상기 가동코어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내측고정자이거나, 상기 가동코어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 고정자일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 및/또는 가동자는, 복수 개의 코어블럭을 가동자의 왕복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자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 및 상기 요크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가동자를 감싸는 티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코일은, 상기 요크부 또는 티스부에 권취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는, 상기 제1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짝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 티스부에 결합되는 마그넷 코일은 이웃하는 마그넷 코일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부와 티스부는 분리되고, 상기 마그넷 코일은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요크부가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된 후 상기 티스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티스부가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된 후 상기 요크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가동자의 왕복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는, 축방향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주방향으로 복수 구비되며, 각각 이웃하는 마그네트와 서로 반대의 자극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가동자가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동모터와, 상기 왕복동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을 개폐하는 흡입밸브 및 상기 압축공간의 토출측을 개폐하는 토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동 모터는 앞서 설명한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자기적 스프링의 스프링 강성을 증가시켜, 압축기의 고속운전이 가능하고, 압축기의 냉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공진 스프링을 생략하면서, 가동자의 공진운동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와 가동자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을 증가시켜, 자기적 스프링의 스프링 강성을 키우고, 모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자를 자기적 공진스프링으로 공진시킴에 따라 일정구간의 운전주파수 내에서 사용 주파수가 제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모터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자를 자기적 공진스프링으로 공진시킴에 따라, 가동자를 공진시키기 위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모터의 횡방향 길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자를 자기적 공진스프링으로 공진시킴에 따라, 가동자가 공진스프링의 측힘에 의해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손실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트를 고정자의 단부에 결합시켜 가동자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력 소모량을 낮춰 모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 및 가동자를 용이하게 제작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 또는 가동자를 구성하는 블럭이 면접촉하면서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방사 적층에 비해 적층이 용이하고, 적층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넷 코일을 보빈에 감은 후, 외측 고정자를 보빈의 중공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왕복동 모터를 구비함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가 소형화되고, 경량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적 스프링의 스프링 강성을 증가시켜, 압축기의 고속운전이 가능하고, 압축기의 냉력이 증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소형화, 모터의 효율향상, 모터의 경량화, 모터의 소음 저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제시되는 각각의 구성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메인자속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메인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Ⅴ-Ⅴ선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보조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조자속모듈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메인자속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메인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9의 Ⅴ-Ⅴ선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보조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조자속모듈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메인자속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16 내지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메인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15의 Ⅴ-Ⅴ선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보조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조자속모듈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메인자속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모터는, 메인자속모듈(100)과 보조자석모듈(200) 및 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
상세히, 메인자속모듈(100)은 제1고정자(110)와, 상기 제1고정자(11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1가동자(120)를 포함하고, 보조자속모듈(200)은 상기 제1고정자(110)와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2고정자(210)와, 상기 제2고정자(2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제2가동자(220)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재(300)는 상기 제1가동자(120)와 제2가동자(220)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자(110,210)는, 축방향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고정자(110,210)는,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자(110,210)는, 호(arc) 형상의 단면을 갖고, 복수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110,210)는 자성체 또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마그넷 코일(130)에 의한 자속(flux)이 흐르거나, 마그네트(122,140,222,240)에 의한 자속이 흐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고정자(110)는, 제1내측고정자(111)와, 상기 제1내측고정자(1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1공극(113)을 두고 배치되는 제1외측고정자(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자(210)는, 상기 제1내측고정자(111)와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2내측고정자(211)와, 상기 제2내측고정자(2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2공극(213)을 두고 배치되는 제2외측고정자(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상기 제1가동자(120)는 상기 제1공극(113)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동자(220)는 상기 제2공극(21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자(110,210)가 내측고정자(111,211)와 외측고정자(112,212)로 구성되는 경우, 내측고정자(111,211)와 외측고정자(112,212) 사이에 가동자(120,220)가 배치되는 공극(113,213)을 형성하도록 내측고정자(111,211)의 외경은 외측고정자(112,212)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고정자(111,211)는 중공부(114,214)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부(114,214)는 추후, 피스톤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스페이서(410,420)로 연결될 수 있다.
만약, 고정자(110,210)가 내측고정자(111,211)와 외측고정자(112,212)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스페이서(410,420)는 내측스페이서(410)와, 외측스페이서(4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가 스페이서(410,420)로 연결되면,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가 단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자(120,220)는 각각 고정자(110,21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자(110,210)가 내측고정자(111,211)와 외측고정자(112,212)로 이루어진 경우, 가동자(120,220)는 내측고정자(111,211)와 외측고정자(112,212) 사이에 마련된 공극(113,213)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자(120,220)는 축방향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동자(120,220)는 단일체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내측고정자(111,211)와 외측고정자(112,212) 사이에 형성된 원통형의 공극(113,213)에 삽입되게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자(120,220)는 축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복수 구비되어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자(120,220)들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간격에는 비자성체인 연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의 구성으로 복수의 가동자(120,220)는 하나의 몸체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가동자(120) 및/또는 제2가동자(220)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동자(120) 및/또는 제2가동자(220)가 마그네트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제1가동자(120) 및/또는 제2가동자(220)가 마그네트로만 구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동자(120) 및/또는 제2가동자(220)를 구성하는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가동자(120,220)의 왕복방향(축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배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그네트는 N극과 S극이 양측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2-폴(2-pole) 마그네트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가 호(arc) 형상으로 이루어져,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경우, 상기 마그네트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그네트와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자(110)에는 마그넷 코일(130)이 권취된다.
일 예로, 상기 제1고정자(110)가 제1외측고정자(11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마그넷 코일(130)은 외측고정자(112)에 권취될 수 있고, 상기 제1고정자(110)가 제1내측고정자(11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마그넷 코일(130)은 제1내측고정자(111)에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넷 코일(130)은 상기 제1내측고정자(111) 또는 제1외측고정자(112)에 직접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 코일(130)은 미리 권취된 후,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고정자(111) 또는 제1외측고정자(112)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그넷 코일(130)은 별도의 권선장치 등을 통해 보빈 등에 권취된 후, 상기 보빈의 중공에 상기 제1내측고정자(111) 또는 제1외측고정자(11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마그넷 코일(130)이 제1내측고정자(111) 또는 제1외측고정자(112)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자(110,210) 및/또는 가동자(120,220)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블럭을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자(110,210) 및/또는 가동자(120,220)는 복수의 고정자 블럭 및/또는 가동자 블록을 축방향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자(110,210) 및/또는 가동자(120,220)가 복수의 고정자 블럭 및/또는 가동자 블럭을 축방향 적층하여 구성되는 경우, 종래 방사상으로 적층하는 경우 대비, 적층이 쉽다. 또한, 방사 적층에 비해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기에도 유리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자(110)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110a) 및 상기 요크부(110a)의 내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티스부(111b,112b,113b,114b)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코일(130)은 상기 요크부(110a) 또는 티스부(111b,112b,113b,114b)에 권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요크부(110a)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요크부(110a)의 내주면에는 티스부(111b,112b,113b,114b)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티스부(111b,112b,113b,114b) 사이에는 공간부(110c)를 형성하여, 마그넷 코일(130)이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티스부(111b,112b,113b,114b)와 공간부(110c)는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가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111b,112b,113b,114b)는 상기 고정자(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짝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 티스부(111b,112b,113b,114b)에 결합되는 마그넷 코일(130)은 이웃하는 마그넷 코일(130’)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속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마그넷 코일(130,130’)은 원주방향을 따라 감긴 방향이 번갈아 가며 반대가 되도록 권취될 수 있다. 이로써, 티스부(111b,112b,113b,114b)의 자속방향 역시 원주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티스부 티스부(111b,112b,113b,114b)의 자속 방향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부(110a) 및/또는 티스부(111b,112b,113b,114b)는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넷 코일(130)은 중공을 형성하도록 미리 권취된 상태에서 고정자(110,2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요크부(110a)가 상기 마그넷 코일(130)의 중공에 삽입된 후 상기 티스부(111b,112b,113b,114b)와 연결되거나, 상기 티스부(111b,112b,113b,114b)가 상기 마그넷 코일(130)의 중공에 삽입된 후 상기 요크부(110a)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요크부(110a)와 티스부(111b,112b,113b,114b)는 따로 분리된 후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요크부(110a)는 복수 개로 분리된 후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티스부(111b,112b,113b,114b)는 복수 개로 분리된 후,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분리된 복수의 요크부(110a) 및/또는 티스부(111b,112b,113b,114b)는 상기 마그넷 코일(130)의 중공에 삽입된 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요크부(110a) 및/또는 티스부(111b,112b,113b,114b)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몸체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요크부(110a) 및/또는 티스부(111b,112b,113b,114b)가 복수 개로 분리되면, 요크부(110a) 및/또는 티스부(111b,112b,113b,114b)에 권선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마그넷 코일(130)을 권선하는 방식이 아니라, 복수 개의 마그넷 코일(130)을 환형으로 제작한 후 마그넷 코일(130)의 중공에 요크부(110a) 및/또는 티스부(111b,112b,113b,114b)를 삽입하여, 마그넷 코일(130)을 고정자(110,2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111b,112b,113b,114b)의 폭은 요크부(110a)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티스부(111b,112b,113b,114b)에서의 자로 면적이 확보되어 모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티스부(111b,112b,113b,114b)는 요크부(110a)의 내측 상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티스부(111b)와, 요크부(110a)의 내측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티스부(112b)와, 요크부(110a)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3티스부(113b)와, 요크부(110a)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4티스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티스부(111b,112b,113b,114b)의 내측 단부에는 내주면에 가동자(120,220)와 대면하면서 가동자(120,220)를 감싸는 고정자 폴부(110d,210d)가 양쪽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자 폴부(110d,210d)의 원주 길이는 가동자(120,220)의 원주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모터는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왕복방향 중심력(centering force)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왕복방향 중심력이란 가동자(120,220)가 자기장 안에서 이동을 할 때 자기적 에너지(자기적 위치 에너지, 자기저항)가 낮은 쪽으로 저장하는 힘을 말하며, 이 힘은 자기적 스프링(magnetic spring)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자(120,220)가 마그넷 코일(130)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왕복운동을 할 때, 그 가동자(120,220)는 자기적 스프링에 의해 중심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힘을 축적하고, 이 자기적 스프링에 축적된 힘으로 인해 가동자(120,220)가 공진하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황자속형 왕복동 모터의 동작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메인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Ⅴ-Ⅴ선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보조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조자속모듈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먼저, 마그넷코일(130)에 교번전류가 인가되면, 제1고정자(110)에는 교번자속이 형성된다. 이 경우 마그네트로 구성된 제1가동자(120)는 자속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사이에는 자기적 스프링(Magnetic Resonance Spring)이 형성되어, 제1가동자(120)의 공진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제1가동자(120)가 마그네트로 구성된 상태에서, 제1티스부(111b)와, 제3티스부(113b)에 권취된 마그넷코일(130,130’)에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티스부(111b,113b)에서는 양쪽 자속이 합쳐져 동일한 방향으로 흘러 양쪽 티스부(111b,113b)가 서로 다른 자극을 띄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로 구성된 제1가동자(120)는 마그넷코일(130)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에 의한 자속이 증자되는 도면의 좌측 방향(화살표 M1참조)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가동자(120)와 연결부재(300)로 연결된 제2가동자(220)는, 제1가동자(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제1가동자(120)가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2가동자(220)도 도면의 좌측으로 움직인다.
이때,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제2가동자(220)와 제2고정자(210)사이에도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마그넷코일(1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양쪽 티스부(111b,113b)가 이전과 반대 자극을 띄게 되고, 마그넷코일(130)에 의한 자속과 제1가동부(120)를 구성하는 마그네트에 의한 자속 역시 이전과 반대 방향, 즉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증자된다.
이때, 상기 축적된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1)과, 마그넷코일(130) 및 마그네트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화살표 M2 참조)으로 제1가동자(120)가 이동하게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가동자(12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우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쪽인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2)이 축적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1가동자(120)와 연결부재(300)로 연결된 제2가동자(220)는 제1가동자(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제1가동자(120)가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2가동자(220)도 도면의 우측으로 움직인다.
이때,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제2가동자(220)와 제2고정자(210)사이에도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2참조)이 축적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도 4와 같이 마그넷코일(1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양쪽 티스부(111b,113b)가 이전과 반대 자극을 띄게 되고, 마그네트로 구성된 제1가동자(120)는 마그넷코일(130)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에 의한 자속 역시 이전과 반대 방향, 즉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증자되고, 제1가동자(12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제1가동자(120) 및 제1가동자(120)와 연결된 제2가동자(220)는 기계적 공진 스프링이 구비된 것과 같이 도면의 우측과 좌측을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는 왕복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과 제2가동자(220)와 제2고정자(210) 사이에 형성된 왕복중심력에 의해,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사이에는 더 큰 왕복중심력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이 커지면, 자기적 스프링 강성(K)이 커지면서, 모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기적 스프링이 구현되면, 기계적 스프링과 달리 자체 공진이 없어 주파수 가변 운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메인자속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자속모듈(100)은 제1고정자(110), 상기 제1고정자(11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1가동자(120), 상기 제1가동자(110)에 권취된 마그넷 코일(130) 및 상기 제1고정자(110)에 부착된 마그네트(140)를 포함한다.
또한, 보조자속모듈(200)은 제2고정자(210)와, 상기 제2고정자(21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2가동자(220), 상기 제2고정자(210)에 부착된 마그네트(24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고정자(110,210)는 내측고정자(111,211)와 외측고정자(112,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고정자(111,211)는 중공부(114,214)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부(114,214)는 추후, 피스톤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가동자(120,220)는 상기 내측고정자(111,211)와 외측고정자(112,212) 사이의 공극(113,213)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가동자(120,220)는 각각 고정자(110,21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고정자(110,210) 및 가동자(120,220)는 자성체 또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마그넷 코일(130)에 의한 자속(flux)이 흐르거나, 마그네트(140,240)에 의한 자속이 흐를 수도 있다.
상기 고정자(110,210) 및 가동자(120,2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마그넷 코일(130)은 외측고정자(112,212)에 권취된다.
마그네트(140,240)는 공극(113,213)에 배치된 가동자(120,220)와 대면하도록 상기 내측고정자(111,211)의 외주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외측고정자(112,212)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40,240)는 상기 가동자(120,220)의 왕복방향(축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배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그네트(140,240)는 N극과 S극이 양측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2-폴(2-pole) 마그네트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40,240)는 곡면으로 형성된 고정자(110,210)의 표면에 면접촉 하도록 그 단면이 원(circle)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호(ar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그네트(140,24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축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호(arc) 형상의 단면을 갖고, 복수 구비되어 고정자(110,210)의 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마그네트(140,24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마그네트(140,240)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그네트(140’,240’)와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스페이서(410,420)로 연결될 수 있다.
만약, 고정자(110,210)가 내측고정자(111,211)와 외측고정자(112,212)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스페이서(410,420)는 내측스페이서(410)와, 외측스페이서(4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가 스페이서(410,420)로 연결되면,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가 단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자(110,210) 및/또는 가동자(120,220)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블럭을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자(110,210) 및/또는 가동자(120,220)는 복수의 고정자 블럭 및/또는 가동자 블록을 축방향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자(110,210) 및/또는 가동자(120,220)가 복수의 고정자 블럭 및/또는 가동자 블럭을 축방향 적층하여 구성되는 경우, 종래 방사상으로 적층하는 경우 대비, 적층이 쉽다. 또한, 방사 적층에 비해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기에도 유리하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자(110)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110a) 및 상기 요크부(110a)의 내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티스부(111b,112b,113b,114b)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코일(130)은 상기 요크부(110a) 또는 티스부(111b,112b,113b,114b)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111b,112b,113b,114b)의 내측 단부에는 내주면에 마그네트(140,240)가 고정되는 고정자 폴부(110d,210d)가 양쪽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자 폴부(110d,210d)의 원주길이가 마그네트(140,240)의 원주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주변의 다른 마그네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마그네트의 원주 길이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고정자 폴부(110d,210d)의 원주 길이는 마그네트(140,240)의 원주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111b,112b,113b,114b)는 요크부(110a)의 내측 상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티스부(111b)와, 요크부(110a)의 내측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티스부(112b)와, 요크부(110a)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3티스부(113b)와, 요크부(110a)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4티스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넷 코일(130,130’)은 원주방향을 따라 감긴 방향이 번갈아 가며 반대가 되도록 각 티스부(111b,112b,113b,114b)에 권취될 수 있다. 이로써, 티스부(111b,112b,113b,114b)의 자속방향 역시 원주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티스부 티스부(111b,112b,113b,114b)의 자속 방향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크부(110a) 및 티스부(111b,112b,113b,114b)에 대해서는 상기된 도 3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모터는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마그네트(140,240) 사이에서 발생하는 왕복방향 중심력(centering force)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왕복방향 중심력이란 가동자(120,220)가 자기장 안에서 이동을 할 때 자기적 에너지(자기적 위치 에너지, 자기저항)가 낮은 쪽으로 저장하는 힘을 말하며, 이 힘은 자기적 스프링(magnetic spring)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자(120,220)가 마그넷 코일(130)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왕복운동을 할 때, 그 가동자(120,220)는 자기적 스프링에 의해 중심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힘을 축적하고, 이 자기적 스프링에 축적된 힘으로 인해 가동자(120,220)가 공진하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황자속형 왕복동 모터의 동작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메인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9의 Ⅴ-Ⅴ선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보조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조자속모듈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먼저, 마그넷코일(130)에 교번전류가 인가되면, 제1고정자(110)에는 교번자속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1가동자(120)는 자속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사이에는 자기적 스프링(Magnetic Resonance Spring)이 형성되어, 제1가동자(120)의 공진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마그네트(140)가 제1고정자(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티스부(111b)와, 제3티스부(113b)에 권취된 마그넷코일(130,130’)에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티스부(111b,113b)에서는 양쪽 자속이 합쳐져 동일한 방향으로 흘러 양쪽 티스부(111b,113b)가 서로 다른 자극을 띄게 된다. 이때,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1가동자(120)는 마그넷코일(130)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140)에 의한 자속이 증자되는 도면의 좌측 방향(화살표 M1참조)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및 마그네트(14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된다.
한편,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1가동자(120)와 연결부재(300)로 연결된 제2가동자(220)는 제1가동자(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제1가동자(120)가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2가동자(220)도 도면의 좌측으로 움직인다.
이때, 제2가동자(220)와 제2고정자(210) 및 마그네트(240) 사이에도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마그넷코일(1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양쪽 티스부(111b,113b)가 이전과 반대 자극을 띄게 되고, 마그넷코일(130)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140)에 의한 자속 역시 이전과 반대 방향, 즉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증자된다.
이때, 상기 축적된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1)과, 마그넷코일(130) 및 마그네트(140)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화살표 M2 참조)으로 제1가동자(120)가 이동하게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가동자(12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우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및 마그네트(14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쪽인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2)이 축적된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제1가동자(120)와 연결부재(300)로 연결된 제2가동자(220)는 제1가동자(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제1가동자(120)가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2가동자(220)도 도면의 우측으로 움직인다.
이때, 제2가동자(220)와 제2고정자(210) 및 마그네트(240) 사이에도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2참조)이 축적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도 10과 같이 마그넷코일(1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양쪽 티스부(111b,113b)가 이전과 반대 자극을 띄게 되고, 상기 축적된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2)과, 마그넷코일(130) 및 마그네트(140)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140)의 중심방향으로 제1가동자(120)가 이동하게 하게 된다.
이때도 역시, 제1가동자(12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140)의 중심을 지나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고,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및 마그네트(14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쪽인 마그네트(140)의 중심방향 즉,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1)이 축적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제1가동자(120)는 기계적 공진 스프링이 구비된 것과 같이 도면의 우측과 좌측을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는 왕복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및 마그네트(140)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과, 제2가동자(220)와 제2고정자(210) 및 마그네트(240) 사이에 형성된 왕복중심력에 의해,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사이에는 더 큰 왕복중심력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이 커지면, 자기적 스프링 강성(K)이 커지면서, 모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기적 스프링이 구현되면, 기계적 스프링과 달리 자체 공진이 없어 주파수 가변 운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모터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에서 메인자속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자속모듈(100)은 제1고정자(110), 상기 제1고정자(11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1가동자(120), 상기 제1가동자(110)에 권취된 마그넷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자속모듈(200)은 제2고정자(210)와, 상기 제2고정자(21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2가동자(2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110,210)는 상기 가동자(120,220)의 외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고정자(110,210)는 상기 가동자(120,220)의 내측이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자(110)에는 마그넷 코일(130)이 권취된다.
상기 제1가동자(120) 및/또는 제2가동자(220)는 각각 고정자(110,21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제1가동자(120) 및/또는 제2가동자(220)는 가동코어(121,221) 및, 상기 가동코어(121,22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부착된 마그네트(122,222)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코어(121,221)는 중공부(114,214)를 형성한다. 상기 중공부(114,214)는 추후, 피스톤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상기 고정자(110,210) 및 가동코어(121,221)는 자성체 또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마그넷 코일(130)에 의한 자속(flux)이 흐르거나, 마그네트(122,222)에 의한 자속이 흐를 수도 있다.
상기 고정자(110,210) 및 가동자(120,2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마그네트(122,222)는 상기 고정자(110,210)과 마주보는 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22,222)는 상기 가동자(120,220)의 왕복방향(축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배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그네트(122,222)는 N극과 S극이 양측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2-폴(2-pole) 마그네트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22,222)는 곡면으로 형성된 가동코어(121,221)의 표면에 면접촉 하도록 그 단면이 원(circle)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호(ar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그네트(122,22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축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호(arc) 형상의 단면을 갖고, 복수 구비되어 가동코어(121,221)의 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마그네트(122,222)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마그네트(122,222)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그네트(122’, 222’)와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스페이서(420)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가 스페이서(420)로 연결되면,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자(110)와 제2고정자(210)가 단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자(110,210) 및/또는 가동자(120,220)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블럭을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자(110,210) 및/또는 가동자(120,220)는 복수의 고정자 블럭 및/또는 가동자 블록을 축방향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자(110,210) 및/또는 가동자(120,220)가 복수의 고정자 블럭 및/또는 가동자 블럭을 축방향 적층하여 구성되는 경우, 종래 방사상으로 적층하는 경우 대비, 적층이 쉽다. 또한, 방사 적층에 비해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기에도 유리하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자(110)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110a) 및 상기 요크부(110a)의 내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티스부(111b,112b,113b,114b)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코일(130)은 상기 요크부(110a) 또는 티스부(111b,112b,113b,114b)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티스부(111b,112b,113b,114b)의 내측 단부에는 내주면에 가동자(120,220)의 마그네트(122,222)와 대면하면서 마그네트(122,222)를 감싸는 고정자 폴부(110d,210d)가 양쪽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자 폴부(110d,210d)의 원주 길이는 마그네트(122,222)의 원주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111b,112b,113b,114b)는 요크부(110a)의 내측 상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티스부(111b)와, 요크부(110a)의 내측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티스부(112b)와, 요크부(110a)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3티스부(113b)와, 요크부(110a)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4티스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넷 코일(130,130’)은 원주방향을 따라 감긴 방향이 번갈아 가며 반대가 되도록 각 티스부(111b,112b,113b,114b)에 권취될 수 있다. 이로써, 티스부(111b,112b,113b,114b)의 자속방향 역시 원주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티스부 티스부(111b,112b,113b,114b)의 자속 방향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요크부(110a) 및 티스부(111b,112b,113b,114b)에 대해서는 상기된 도 3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모터는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사이에서 발생하는 왕복방향 중심력(centering force)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왕복방향 중심력이란 가동자(120,220)가 자기장 안에서 이동을 할 때 자기적 에너지(자기적 위치 에너지, 자기저항)가 낮은 쪽으로 저장하는 힘을 말하며, 이 힘은 자기적 스프링(magnetic spring)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자(120,220)가 마그넷 코일(130)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왕복운동을 할 때, 그 가동자(120,220)는 자기적 스프링에 의해 중심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힘을 축적하고, 이 자기적 스프링에 축적된 힘으로 인해 가동자(120,220)가 공진하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황자속형 왕복동 모터의 동작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메인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15의 Ⅴ-Ⅴ선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보조자속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조자속모듈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먼저, 마그넷코일(130)에 교번전류가 인가되면, 제1고정자(110)에는 교번자속이 형성된다. 이 경우 마그네트(122)가 부착된 제1가동자(120)는 자속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사이에는 자기적 스프링(Magnetic Resonance Spring)이 형성되어, 제1가동자(120)의 공진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이, 제1가동자(120)에 마그네트(122)가 부착된 상태에서, 제1티스부(111b)와, 제3티스부(113b)에 권취된 마그넷코일(130,130’)에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티스부(111b,113b)에서는 양쪽 자속이 합쳐져 동일한 방향으로 흘러 양쪽 티스부(111b,113b)가 서로 다른 자극을 띄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122)가 부착된 제1가동자(120)는 마그넷코일(130)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122)에 의한 자속이 증자되는 도면의 좌측 방향(화살표 M1참조)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122)가 부착된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된다.
한편,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제1가동자(120)와 연결부재(300)로 연결된 제2가동자(220)는, 제1가동자(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제1가동자(120)가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2가동자(220)도 도면의 좌측으로 움직인다.
이때, 마그네트(222)가 부착된 제2가동자(220)와 제2고정자(210)사이에도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7과 같이 마그넷코일(1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양쪽 티스부(111b,113b)가 이전과 반대 자극을 띄게 되고, 마그넷코일(130)에 의한 자속과 제1가동부(120)에 부착된 마그네트(122)에 의한 자속 역시 이전과 반대 방향, 즉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증자된다.
이때, 상기 축적된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1)과, 마그넷코일(130) 및 마그네트(122)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화살표 M2 참조)으로 제1가동자(120)가 이동하게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가동자(12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우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마그네트(122)가 부착된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쪽인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F2)이 축적된다.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제1가동자(120)와 연결부재(300)로 연결된 제2가동자(220)는 제1가동자(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제1가동자(120)가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2가동자(220)도 도면의 우측으로 움직인다.
이때, 마그네트(222)가 부착된 제2가동자(220)와 제2고정자(210)사이에도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2참조)이 축적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도 16과 같이 마그넷코일(1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양쪽 티스부(111b,113b)가 이전과 반대 자극을 띄게 되고, 마그네트(122)가 부착된 제1가동자(120)는 마그넷코일(130)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122)에 의한 자속 역시 이전과 반대 방향, 즉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증자되고, 제1가동자(12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122)가 부착된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중심력(Centering force)(화살표 F1참조)이 축적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제1가동자(120) 및 제1가동자(120)와 연결된 제2가동자(220)는 기계적 공진 스프링이 구비된 것과 같이 도면의 우측과 좌측을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는 왕복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트(122)가 부착된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과 마그네트(222)가 부착된 제2가동자(220)와 제2고정자(210) 사이에 형성된 왕복중심력에 의해,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사이에는 더 큰 왕복중심력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이 커지면, 자기적 스프링 강성(K)이 커지면서, 모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기적 스프링이 구현되면, 기계적 스프링과 달리 자체 공진이 없어 주파수 가변 운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1)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가동자(120,220)가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동모터(20)와, 상기 왕복동모터(20)의 가동자(120,220)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0)과, 상기 피스톤(30)이 삽입되어 압축공간(42)을 형성하는 실린더(40)와, 상기 압축공간(42)의 흡입측을 개폐하는 흡입밸브(31)와 및 상기 압축공간(42)의 토출측을 개폐하는 토출밸브(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폐된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흡입관(11)이 연결되고, 흡입관(11)의 일측에는 후술할 실린더(40)의 압축공간(42)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동사이클로 안내하는 토출관(12)이 연결된다. 이로써,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은 흡입되는 냉매가 채워져 흡입압을 형성하고, 압축공간(42)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토출관(12)을 통해 응축기를 향해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는 프레임(50)이 설치되고, 프레임(50)의 일측면에는 왕복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후술할 피스톤(30)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왕복동 모터(20)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왕복동 모터(20)의 안쪽에는 압축공간(42)이 구비되어 프레임(50)에 삽입되는 실린더(40)가 결합되고, 실린더(40)에는 그 실린더(40)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어 압축공간(42)의 체적을 가변시켜 냉매를 압축하는 피스톤(30)이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30)의 선단면에는 그 피스톤(30)의 흡입유로를 개폐하는 흡입밸브(31)가 결합되고, 실린더(40)의 선단면에는 그 실린더(40)의 압축공간(42)을 개폐하는 토출밸브(41)가 토출커버(60)에 수용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토출커버(60)는 토출공간(61)이 구비되어 실린더(40)에 고정 결합된다. 토출커버(60)의 토출공간(61)에는 토출밸브(41) 및 그 토출밸브(41)를 지지하는 밸브스프링(43)이 수용되고, 실린더(40)와 피스톤(30) 사이를 윤활하기 위한 가스베어링의 입구가 수용될 수 있다.
가스베어링(미도시)은 프레임(50)의 내주면과 실린더(4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연통로와, 가스연통로의 중간에서 실린더(40)의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미세 가스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왕복동 모터(20)는 도 1 내지 도 18과 같은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왕복동 모터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고정자(110,210)는 프레임(50)에 고정되고, 가동자(120,220)는 피스톤(30)과 연결된다. 따라서, 가동자(120,220)가 고정자(110,210)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실린더(40)에 삽입된 피스톤(30)이 가동자(120,220)와 함께 양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1)는, 왕복동 모터(20)의 마그넷코일(130)에 교번전류가 인가되면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사이에 교번자속이 형성되고, 마그넷코일(130)에 의한 자속과 마그네트(122,140,222,240)의 자속이 증자되는 방향으로 가동자(120,220) 및 이와 연결된 피스톤(30)이 움직이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30)과 상기 왕복동모터의 가동자(120,220)는 이음부재(7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음부재(7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가동자(120,22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 등에 연결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호(arc)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가동자(120,220)가 상기 이음부재(7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 연결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가동자(120)와 제1고정자(110)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과 마그네트(222)가 부착된 제2가동자(220)와 제2고정자(210) 사이에 형성된 왕복중심력에 의해,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사이에는 더 큰 왕복중심력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자(110,210)와 가동자(120,220) 사이에 축적된 왕복중심력이 커지면, 자기적 스프링 강성(K)이 커지면서, 압축기의 고속운전이 가능하고, 나아가 압축기의 냉력을 키울 수 있다.
100 : 메인자속모듈 110 : 제1고정자
120 : 제1가동자 130 : 마그넷 코일
140 : 마그네트 200 : 보조자속모듈
210 : 제2고정자 220 : 제2가동자
300 : 연결부재 410,420 : 스페이서

Claims (16)

  1. 제1고정자와, 상기 제1고정자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1가동자와, 상기 제1고정자에 권취되는 마그넷 코일을 포함하는 메인자속모듈;
    상기 제1고정자와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제2고정자와, 상기 제1가동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2고정자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제2가동자를 포함하는 보조자속모듈;
    상기 제1가동자와 제2가동자의 마주보는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자 및/또는 제2고정자는,
    내측고정자와, 상기 내측고정자의 반경방향 외측에 공극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외측 고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자 및/또는 제2가동자는,
    상기 공극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자 및/또는 제2가동자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고정자의 외주면 및/또는 외측고정자의 내주면에는 마그네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자 및/또는 제2가동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자속형 왕복동 모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자 및/또는 제2가동자는,
    가동코어와, 상기 가동코어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자 및/또는 제2고정자는,
    상기 가동코어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내측고정자이거나, 상기 가동코어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 고정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및/또는 가동자는,
    복수 개의 코어블럭을 가동자의 왕복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자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 및 상기 요크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가동자를 감싸는 티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코일은, 상기 요크부 또는 티스부에 권취된 형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부는, 상기 제1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짝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 티스부에 결합되는 마그넷 코일은 이웃하는 마그넷 코일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와 티스부는 분리되고, 상기 마그넷 코일은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요크부가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된 후 상기 티스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티스부가 상기 마그넷 코일의 중공에 삽입된 후 상기 요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3. 제 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가동자의 왕복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4. 제 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축방향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주방향으로 복수 구비되며, 각각 이웃하는 마그네트와 서로 반대의 자극을 가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및/또는 가동자는,
    축방향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16.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가동자가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동모터;
    상기 왕복동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을 개폐하는 흡입밸브; 및
    상기 압축공간의 토출측을 개폐하는 토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동 모터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KR1020170019445A 2017-02-13 2017-02-13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KR20180093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45A KR20180093412A (ko) 2017-02-13 2017-02-13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45A KR20180093412A (ko) 2017-02-13 2017-02-13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412A true KR20180093412A (ko) 2018-08-22

Family

ID=6345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445A KR20180093412A (ko) 2017-02-13 2017-02-13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4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5483A (zh) * 2020-06-04 2020-08-18 南通大学 一种双层定子模块式调磁电机
KR20220028420A (ko) * 2020-08-28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와 이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5483A (zh) * 2020-06-04 2020-08-18 南通大学 一种双层定子模块式调磁电机
KR20220028420A (ko) * 2020-08-28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와 이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US12003157B2 (en) 2020-08-28 2024-06-04 Lg Electronics Inc.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and linear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1296B2 (en) Transverse flux type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transverse flux type reciprocating motor
CN107546948B (zh) 横向磁通型往复式电机及具备其的往复式压缩机
KR101386486B1 (ko) 왕복동식 압축기
US20180258921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EP3358727B1 (en)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US11050335B2 (en) Transverse flux type linear motor and linear compressor having the same
EP3349341B1 (en) Movable core-type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CN210246582U (zh) 可动铁芯型往复式电机和压缩机
KR101513611B1 (ko) 왕복동식 압축기
CN107546951B (zh) 往复式电机及具有其该往复式电机的往复式压缩机
KR20180093412A (ko)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EP3346584B1 (en) Movable core-type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102060469B1 (ko) 왕복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KR20180093411A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91450A (ko) 리니어 압축기
KR20040091360A (ko) 왕복동식 모터 및 이를 적용한 왕복동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