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709A - 친환경 유골함 - Google Patents

친환경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709A
KR20180089709A KR1020170014381A KR20170014381A KR20180089709A KR 20180089709 A KR20180089709 A KR 20180089709A KR 1020170014381 A KR1020170014381 A KR 1020170014381A KR 20170014381 A KR20170014381 A KR 20170014381A KR 20180089709 A KR20180089709 A KR 20180089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drain
pollen
tower
osseointeg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245B1 (ko
Inventor
심명규
심상엽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심명규
김태호
심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명규, 김태호, 심상엽 filed Critical 심명규
Priority to KR102017001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2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유골함은, 상방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구조물로서 화장된 유골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유골함부; 및 상기 유골함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골함부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며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화분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분부의 바닥면에는 배수공이 구비되며, 상기 유골함부의 바닥면 중앙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공에 연결되는 굴뚝 형태의 배수탑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유골함{Eco-friendly cinerary urn}
본 발명은 동물 사체의 유골 또는 인간의 시신 유골을 보관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 기능과 유골 보관 기능을 겸비한 친환경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에 의한 시신 처리 방식은 매장이나 납골 방식과 다른 장례 방식이다. 최근 화장은 매우 일반화된 장례 방식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화장에 의한 시신 처리 방법은 봉안시설에 화장된 유골을 보관한다. 화장에 의한 유골의 보관 용기로서 유골함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유골함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12160호에 개시된다.
그런데 유골함은 대부분 목재로 제조되기도 하며, 상기 공개특허와 같이 도자기 형태로 제조되기도 한다. 종래의 유골함은 유골 보관만을 목적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일정한 기간이 경과 하여 유골을 매장하거나 수목장을 하는 경우에 별도로 유골을 처리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 있다.
특히 수목장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나무 주변에 뿌리거나 묻는 친환경 장례 방식이다. 수목장은 인구 증가에 따른 묘지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현재 수목장용으로 이용되는 유골함은 유골 보관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수목장시 식재되는 수목의 씨앗이 발아되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진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골함은 식물 생육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조치할 수 있는 대안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이 증가함에 따라 동물의 사체를 화장하여 유골을 실내나 집 근처에 보관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동물 유골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골함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식물을 기를 수 있는 화분 기능과 유골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이 겸비된 친환경 유골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유골함은, 상방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구조물로서 화장된 유골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유골함부; 및
상기 유골함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골함부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며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화분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분부의 바닥면에는 배수공이 구비되며,
상기 유골함부의 바닥면 중앙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공에 연결되는 굴뚝 형태의 배수탑을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화분부의 하면은 상기 배수공이 구비된 부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탑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 슬리브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탑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탑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배수탑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배수탑의 내주를 따라 연장된 잠금 돌출턱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 돌출턱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잠금 돌출턱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된 조립 슬롯부; 및
상기 연결 슬리브의 외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조립 슬롯부를 통과한 후 상기 화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돌출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화분부가 상기 유골함부의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후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골함부 및 상기 화분부는 자연분해 되는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탑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유골함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수탑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탑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보강 기둥이 구비되며,
상기 화분부는 상기 유골함부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상기 화분부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걸림턱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유골함은, 유골을 보관할 수 있는 유골함부와, 그 유골함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화분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분부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배수 통로를 상기 유골함부의 내부 중앙에 굴뚝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화분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유골함부가 효과적으로 지지할 뿐 아니라 상기 화분부의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상기 유골함부에 수용된 유골에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골을 밀폐된 환경으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유골함을 자연 분해되는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제조한 경우에는 상기 화분부에 식재된 식물이 발아하여 안정적인 성장기에 도달한 경우 유골함부에 수용된 유골 성분이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친환경적 시신처리 효과를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골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골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 - 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분부의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5는 화분부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유골함부의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7은 유골함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화분부와 유골함부의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 방지 후크가 잠금 돌출턱에 걸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유골함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골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골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 - 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분부의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5는 화분부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유골함부의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7은 유골함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화분부와 유골함부의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 방지 후크가 잠금 돌출턱에 걸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유골함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유골함(10)은 유골함부(20)와, 화분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유골함부(20)는 상방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유골함부(20)는 화장된 유골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유골함부(20)는, 예컨대 하단부 보다 상단부의 단면적이 큰 테이퍼 구조의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골함부(20)의 중심에는 배수탑(22)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탑(22)은 상기 유골함부(20)의 바닥면 중앙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배수탑(22)은 굴뚝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배수탑(22)의 상단은 상기 유골함부(20)의 상단 테두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배수탑(22)은 후술하는 화분부(30)의 배수공(32)에 연결된다.
상기 배수탑(22)의 상부에는 잠금 돌출턱(24)과 조립 슬롯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 돌출턱(24)은 상기 배수탑(22)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처마(canopy) 형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잠금 돌출턱(24)은 상기 배수탑(22)의 가상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잠금 돌출턱(24)은 상기 배수탑(22)의 내주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조립 슬롯부(26)는 상기 잠금 돌출턱(24)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절개된 홈부이다. 상기 조립 슬롯부(26)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립 슬롯부(26)는 상기 잠금 돌출턱(24)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조립 슬롯부(26)는 후술하는 화분부(30)가 상기 유골함부(20)에 결합 되는 과정에서 이탈 방지 후크(36)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유골함부(20)는 보강 기둥(28)을 구비한다. 상기 보강 기둥(28)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기둥(28)은 상기 배수탑(22)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유골함부(20)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다. 상기 보강 기둥(28)은 상기 배수탑(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보강 기둥(28)의 하단부는 상기 유골함부(20)의 바닥에 결합 된다. 상기 보강 기둥(28)은 하단에서 넓은 단면적을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좁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기둥(28)은 예컨대 직각 삼각형 형태의 종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 기둥(28)은 상기 배수탑(22)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기둥(28)은 후술하는 화분부(30)에 식재된 식물(100) 및 그 화분부(30)에 수용된 흙의 하중에 의해 상기 배수탑(22)이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상기 배수탑(22)이 손상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분부(30)는 상기 유골함부(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화분부(30)는 상기 유골함부(2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화분부(30)는 식물(100)이 식재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화분부(30)의 하부는 상기 유골함부(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화분부(30)의 바닥면에는 배수공(32)이 구비된다. 상기 배수공(32)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32)은 상기 화분부(30)의 바닥면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32) 주변은 상기 배수공(32)을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공(32)에는 상기 화분부(30)에 수용된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망(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분부(30)의 바닥면 하면에는 연결 슬리브(3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슬리브(34)는 상기 배수공(32)이 구비된 부위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 슬리브(34)는 상기 배수탑(22)의 상부에 결합 또는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슬리브(34)는 예컨대 원통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슬리브(34)에는 이탈 방지 후크(36)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 방지 후크(36)는 상기 연결 슬리브(34)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 후크(36)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 후크(36)의 하단부는 상기 잠금 돌출턱(2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이탈 방지 후크(36)의 하단부는 상기 잠금 돌출턱(24)의 하면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탈 방지 후크(36)는 상기 화분부(30)가 상기 유골함부(20)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조립 슬롯부(26)를 통과한다. 상기 이탈 방지 후크(36)는 상기 조립 슬롯부(26)를 통과한 후 상기 화분부(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돌출턱(24)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탈 방지 후크(36)는 상기 화분부(30)가 상기 유골함부(20)의 상방으로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화분부(30)는 상부 걸림턱(38)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걸림턱(38)은 상기 유골함부(20)의 상기 유골함부(20)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 지지되는 어깨(shoulder) 형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상부 걸림턱(38)은 상기 화분부(30)가 상기 유골함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화분부(30)는 상기 상부 걸림턱(38)을 기준으로 상부는 상기 유골함부(20)의 상단으로 돌출된다. 상기 화분부(30)는 상기 상부 걸림턱(38)을 기준으로 하부는 상기 유골함부(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유골함부(20) 및 상기 화분부(30)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 분해되는 바이오 플라스틱(bio-polymer, bio-plastic)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오 플라스틱은 예컨대 옥수수에서 추출된 탄소 성분의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유골함(10)의 작용 효과를 상기 유골함(10)의 사용 방법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골함(10)은 유골을 보관하는 기능과 함께 식물(100)이 식재될 수 있는 화분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유골함(10)의 내부 공간에는 화장된 유골 가루가 보관된다. 상기 화분부(30)는 상기 유골함(10)의 상부 덮개 역할을 한다. 상기 화분부(30)에는 식물(100) 묘목을 식재할 수 있다. 상기 화분부(30)에는 식물(100) 씨앗이 발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분부(30)에는 발아된 식물(100)을 직접 식재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에 도시된 같이 상기 화분부(30)와 상기 유골함부(20)가 분리된 상태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부(30)와 상기 유골함부(20)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화분부(30)에 구비된 이탈 방지 후크(36)가 상기 조립 슬롯부(26)에 일치하도록 상기 화분부(30)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화분부(3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조립한다. 상기 이탈 방지 후크(36)가 상기 조립 슬롯부(26)를 통과한 후, 상기 화분부(30)를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상기 이탈 방지 후크(36)는 상기 조립 슬롯부(26) 하측에서 상기 조립 슬롯부(26) 위치를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화분부(30)가 상기 유골함부(20)의 상방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화분부(30)는 예기치 않게 상기 유골함부(2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화분부(30)의 상부 걸림턱(38)은 상기 유골함부(20)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된 상태로 안착 된다. 따라서 상기 화분부(30)는 상기 유골함부(20)의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는다. 상기 화분부(30)는 상기 유골함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유골함부(2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예기치 않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화분부(30)의 일정 부분이 상기 유골함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화분부(30)가 상기 유골함부(20)의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화분부(30)를 상기 유골함부(20)에 조립하기 전에 상기 유골함부(20) 내부에 유골 가루를 담는다. 그리고 상기 화분부(30)를 상술한 과정에 따라 상기 유골함부(20)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화분부(30)에 식물(100)을 식재한다. 도 9는 상기 화분부(30)에 식물(100)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유골함부(20)에 유골이 보관된다. 상기 식물(100)에 물을 공급하더라도 상기 화분부(30)의 바닥에 구비된 배수공(32)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상기 유골함부(20)에 보관된 유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상기 화분부(30)의 배수공(32)을 통해 배수된 물은 상기 배수탑(22)을 통해 지상 또는 지하로 배수된다. 상기 유골함(10)은 지상에 놓아둘 수도 있으며 지면에 매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골함(10)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 분해되는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식물(100)이 성장하여 안정적인 영양공급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유골함부(20)에 보관된 유골이 화분부(30)에 식재된 식물(100)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매우 친환경적인 유골의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유골함(10)은 화분부(30)와 유골함부(20)가 서로 나사 결합 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화분부(30)는 제1수나사부(37)와, 제2수나사부(39)를 구비한다. 상기 제1수나사부(37)는 상기 유골함부(2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암나사부(27)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 제2수나사부(39)는 상기 화분부(30)의 연결 슬리브(34)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나사부(37)는 상기 유골함부(20)의 배수탑(22)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암나사부(29)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 제1수나사부(37)와 상기 제2수나사부(39)는 각각 상기 제1암나사부(27) 및 상기 제2암나사부(29)에 동시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은, 유골을 보관할 수 있는 유골함부와, 그 유골함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화분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분부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배수 통로를 상기 유골함부의 내부 중앙에 굴뚝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화분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유골함부가 효과적으로 지지할 뿐 아니라 상기 화분부의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상기 유골함부에 수용된 유골에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골을 밀폐된 환경으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유골함을 자연 분해되는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제조한 경우에는 상기 화분부에 식재된 식물이 발아하여 안정적인 성장기에 도달한 경우 유골함부에 수용된 유골 성분이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친환경적 시신처리 효과를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유골함
20 : 유골함부
22 : 배수탑
24 : 잠금 돌출턱
26 : 조립 슬롯부
27 : 제1암나사부
28 : 보강 기둥
29 : 제2암나사부
30 : 화분부
32 : 배수공
34 : 연결 슬리브
36 : 이탈 방지 후크
37 : 제1수나사부
38 : 상부 걸림턱
39 : 제2수나사부
100 : 식물

Claims (5)

  1. 상방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구조물로서 화장된 유골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유골함부; 및
    상기 유골함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골함부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며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화분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분부의 바닥면에는 배수공이 구비되며,
    상기 유골함부의 바닥면 중앙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공에 연결되는 굴뚝 형태의 배수탑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유골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부의 하면은 상기 배수공이 구비된 부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탑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 슬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유골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탑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탑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배수탑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배수탑의 내주를 따라 연장된 잠금 돌출턱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 돌출턱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잠금 돌출턱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된 조립 슬롯부; 및
    상기 연결 슬리브의 외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조립 슬롯부를 통과한 후 상기 화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돌출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화분부가 상기 유골함부의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후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유골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부 및 상기 화분부는 자연분해 되는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유골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탑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유골함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수탑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탑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보강 기둥이 구비되며,
    상기 화분부는 상기 유골함부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상기 화분부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유골함.
KR1020170014381A 2017-02-01 2017-02-01 친환경 유골함 KR10195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381A KR101956245B1 (ko) 2017-02-01 2017-02-01 친환경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381A KR101956245B1 (ko) 2017-02-01 2017-02-01 친환경 유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09A true KR20180089709A (ko) 2018-08-09
KR101956245B1 KR101956245B1 (ko) 2019-03-08

Family

ID=6325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381A KR101956245B1 (ko) 2017-02-01 2017-02-01 친환경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2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28B1 (ko) * 2012-11-05 2014-10-06 최택진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
JP3193921U (ja) * 2014-06-10 2014-10-30 株式会社トーシンコーポレーション ペットメモリアルプラン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9368A1 (de) * 1994-03-18 1995-09-21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m Codieren mehrerer Audiosigna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28B1 (ko) * 2012-11-05 2014-10-06 최택진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
JP3193921U (ja) * 2014-06-10 2014-10-30 株式会社トーシンコーポレーション ペットメモリアルプラン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245B1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cological burial
US20150264869A1 (en) Urn and planter assembly
US76651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cological burial
KR20140068414A (ko) 스크류형 모종포트
KR101364725B1 (ko) 식생포트
WO2014102735A1 (zh) 植栽容器结构
US5339566A (en) Seedling container
KR101956245B1 (ko) 친환경 유골함
US8112937B1 (en) Natural growth terrarium planter
KR101829989B1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JP5263824B2 (ja) 骨壺
KR200393056Y1 (ko) 다용도 용기
NL1031166C2 (nl) Werkwijze van lijkbezorging.
US20090173003A1 (en) Plant care device
KR200427154Y1 (ko) 재배용기 및 그의 재배용 포트
JP2008178830A (ja) 遺骨処理方法
KR200399046Y1 (ko) 숯으로 만든 화분
RU220206U1 (ru) Биоразлагаемая погребальная урна
JP2000325199A (ja) 壁掛け型植物リース生育器具
RU226736U1 (ru) Биоразлагаемая ритуальная эко-урна
JP6210469B1 (ja) 樹木葬の形成方法
CN202376395U (zh) 骨灰坛
JP2557844Y2 (ja) 水耕栽培プランター
KR200364363Y1 (ko) 향발산 캔 화분
TWI384942B (zh) 穩固式花卉種植器皿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