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205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205A
KR20180089205A KR1020170014032A KR20170014032A KR20180089205A KR 20180089205 A KR20180089205 A KR 20180089205A KR 1020170014032 A KR1020170014032 A KR 1020170014032A KR 20170014032 A KR20170014032 A KR 20170014032A KR 20180089205 A KR20180089205 A KR 20180089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coustic
acoustic signal
areas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205A/ko
Publication of KR20180089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5/00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of pressure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두드림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음향 신호 감지부와, 상기 도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영역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감지된 음향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음향 신호의 특성과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상기 두드림이 인가된 도어의 일 영역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기 인가된 두드림들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들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음향 신호 특성 및, 상기 복수의 음향 신호 특성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도어는 불투명하게 제작되어 본체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즉, 도어 또한 냉장실이나 냉동실을 정의하는 하나의 단열벽으로서 구비된다. 다만, 도어는 사용자가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접근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열벽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열기 전에는 저장실 내부에 있는 저장물의 종류와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처럼 냉장고의 도어가 불투명하게 제작되는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서는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고내의 음식물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냉장고가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처럼 투명하게 형성되는 도어를 이용하여 고내에 저장된 식품과 관련된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들이 활발하게 연구 중인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요즈음에는 냉장고의 도어를 강화 유리 등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어의 적어도 일부를, 완전 불투명 상태에서 완전 투명 상태까지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형성하는 방안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도어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상기 도어의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해 도어를 일정 두께 이하로 형성한다. 그런데 이처럼 냉장고 도어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도어을 통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들이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의 두께 제한에 의해 도어에 구비될 수 있는 부품들의 수나 크기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상기 도어를 강화 유리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강화 유리는 상기 도어의 두께 제한을 만족하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강화 유리 재질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상기 도어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인가받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키들과 같은 입력부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 등이 상기 강화 유리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처럼 터치 패널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의 두께 만큼 상기 도어의 두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도어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형성되는 경우 역시, 상기 도어를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강화 유리와 마찬가지로 터치 패널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을 더 필요로 하거나 또는 별도의 입력부를 더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도어가 일정 두께 이하로 얇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부 없이도, 상기 도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두드림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음향 신호 감지부와, 상기 도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영역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감지된 음향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음향 신호의 특성과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상기 두드림이 인가된 도어의 일 영역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기 인가된 두드림들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들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음향 신호 특성 및, 상기 복수의 음향 신호 특성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드림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음향 신호의 고유 주파수 또는 고유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향 신호의 음향 신호 특성으로 분석하며, 기 저장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분석된 고유 주파수 또는 고유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음향 신호 특성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향 신호 특성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상기 두드림이 인가된 영역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실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 각각에 구비된 각 음향 신호 감지부들 중 적어도 두 개가, 상기 복수의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된 두드림에 의해 발생한 음향 신호를 감지하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음향 신호를 감지한 복수의 음향 신호 감지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및, 선택된 음향 신호 감지부가 구비된 도어에 대응되는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두드림이 인가된 일 영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신호를 감지한 음향 신호 감지부가 복수인 경우, 상기 음향 신호가 감지된 크기 또는 상기 음향 신호를 감지한 순서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음향 신호 감지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별 특성 정보는, 상기 냉장고의 제조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해 수행된 충격음 시험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도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영역에 인가되는 두드림들로부터 발생한 음향 신호들을 감지 및, 감지된 음향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각 음향 신호에 대한 음향 신호 특성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음향 신호 특성들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도록 매칭하여 상기 영역별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사이의 경계에 해당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들이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개로 구분된 도어의 각 영역에 매칭되는 상기 냉장고의 서로 다른 기능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드림에 의해 상기 복수개로 구분된 도어의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식별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영역별 기능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냉장고의 서로 다른 기능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 중, 상기 두드림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로부터 분석된 음향 신호 특성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냉장고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된 음향 신호 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두드림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음향 신호의 고유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영역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음향 신호의 특성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상기 도어의 일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기 인가된 두드림들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들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음향 신호 특성 및, 상기 복수의 음향 신호 특성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음향 신호 특성은, 음향 신호의 고유 주파수 또는 음향 신호의 고유 파형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인가되는 두드림들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들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음향 신호들로부터 각 음향 신호들의 고유 주파수 또는 고유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음향 신호의 특성 정보로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각 음향 신호의 특성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매칭하여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일정 두께 이하로 얇게 형성되는 투명성 재질의 도어의 일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로 인해 상기 도어로부터 발생되는 음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상기 터치가 인가된 도어의 영역을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없이도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도어 상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터치 입력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없이도 터치 입력이 인가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한 두께 또는 공간으로 인해 상기 터치 입력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기 어려운 부분도,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예를 보이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냉장고에서, 터치 입력이 인가된 도어의 일 영역을 식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터치 입력이 인가된 도어의 일 영역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에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의 각 영역 별로 분석 및 저장되는 음향 신호 특성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터치 입력이 인가된 도어의 일 영역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냉장고(100)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120), 센싱부(130), 입력부(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냉장고(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냉장고(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냉장고(100)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는 현재 냉장고(100)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현재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른 냉장고(100) 각 영역 내의 환경 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의 도어가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도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아니라 강화 유리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도어가 아닌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센싱부(130)는 냉장고(100) 내 정보, 냉장고(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냉장고(100) 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센싱부(130)는 상기 냉장고(100)의 기 설정된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100)에 구비된 각 도어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신호 감지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는 상기 기 설정된 도어 또는 대응되는 도어의 주변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도어 또는 대응되는 도어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는 상기 기 설정된 도어 또는 어느 하나의 도어를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도어를 터치할 때에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냉장고(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50)는 냉장고(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냉장고(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냉장고(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각 저장 영역 별 온도 관리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냉장고(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냉장고(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서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냉장고(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는 사용자가 도어를 터치할 때에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생되는 음향 신호는, 상기 도어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비록 상기 도어가 동일한 재질(예 : 강화 유리)로 형성되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도어의 생성 과정에서 각 영역의 두께가 미세한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또는 각 위치와 상기 도어의 상하좌우 가장자리까지의 서로 다른 거리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터치 대상체(예 : 사용자의 손가락)와 도어 표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특성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음향 신호의 특성이라 함은, 진폭 및 주파수, 그리고 음향 신호의 파형(파동의 모양)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중, '진폭'은 음향 신호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터치를 강하게 하였는지 또는 약하게 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폭'은 상기 터치 대상체와 도어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식별할 수 있는 특성이 되기 어렵다.
그러나 상기 음향 신호의 주파수 또는 파형은 음향 신호의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주파수 또는 파형은 상기 터치 입력의 세기에 따라 큰 음압의 음향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작은 음압의 음향 신호가 발생하였는지에 상관없이, 상기 터치 대상체와 접촉된 도어의 특정 영역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고유한 특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가 상기 터치 대상체가 특정 도어의 일 지점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면, 감지된 음향 신호로부터 이러한 고유한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음향 신호의 고유한 특성을 음향 신호의 주파수 또는 파형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에서 감지된 음향 신호로부터 주파수 또는 파형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도어의 각 영역별로 미리 분석된 음향 신호의 특성들과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에서 감지된 음향 신호를 분석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모리(150)는 각 도어 별로 또는 특정 도어에서 각 영역별로 미리 분석된 음향 신호의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에서 감지된 음향 신호의 특성에 매칭되는 냉장고(100) 도어의 일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일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이 있는 경우, 해당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이 형성되지 않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강화 유리로 도어가 형성되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도어의 특정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위치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터치 패널등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하드웨어 키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도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냉장고(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은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냉장고(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100)의 도어가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냉장고(100)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고 내에 저장된 음식물들이 사용자가 식별가능하게 보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경우, 상기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냉장고(100)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고 내에 저장된 음식물들이 사용자가 식별가능하게 보여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이처럼 냉장고(100) 도어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 형성되는 경우에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내부에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200)와,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210)는 투명도 조절을 통해 완전 불투명 상태에서 투명 상태까지 투명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어(210)는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 다양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상기 도어(210)의 전면 전부 또는 상기 도어(210)의 전면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상기 도어(210)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도어(210)의 전면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개로 구획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2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도어를 포함하여 냉장고(100)가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도어에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각 도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대해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2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대응되는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음식물이 식별가능하게 투명한 상태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도어(21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도 2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된 음식물의 식별이 불가능하게 불투명해지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불투명하게 표시되는 상태라면, 상기 도어(210)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도 2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투명한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어(21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상기 냉장고(100)의 다른 도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도어들 모두가 각각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른 도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다른 도어들 각각에 대해, 이하의 도어(210)의 설명과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도어(21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도어(210)가 디스플레이 패널이 아니라 다른 재질, 즉 강화 유리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투명 상태와 불투명 상태가 전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하의 도어(210)의 설명과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냉장고(100)에서, 터치 입력이 인가된 도어(210)의 일 영역을 식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에서, 터치 입력이 인가된 도어(210)의 일 영역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를 통해 음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S300). 여기서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100)에 구비된 각 도어 별로, 상기 각 도어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는 대응되는 도어의 주변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대응되는 도어로부터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는 상기 도어(210)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a)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의 (a)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포함하여 형성된 도어(210)의 예를 보이고 있으며, 상기 도어(210)의 일 지점(410)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도어(210)의 일 지점(410)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두드리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과 도어(210) 표면의 접촉에 의해 충격음(420)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음향 신호 감지부(400)는 도 4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충격음(420)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충격음(420)은 상기 도어(210)의 일 지점(410)에 대한 사용자의 두드림, 즉 터치 입력에 따른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S300 단계에서 터치 입력에 따른 음향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감지된 음향 신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S302).
예를 들어 상기 음향 신호의 특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된 음향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또는 파형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S302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충격음(420)을 분석하여 상기 충격음(420)이 가지는 주파수 또는 파형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된 음향 신호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파장과 진폭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0)는 도 4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된 충격음(420)을 시간에 따른 진폭의 변화에 근거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충격음(420)이 가지는 주파수(f) 또는 파형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의 S302 단계에서 감지된 충격음(420)의 주파수 또는 파형이 분석되면, 제어부(110)는 분석된 주파수 또는 파형을 기 저장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도어(210) 상의 일 지점(410)을 포함하는 일 영역(430)을 식별할 수 있다(S304).
여기서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는, 상기 도어(210)의 각 영역에 대응되는 음향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는,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도어(210)의 각 영역들에 대한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분된 도어(210)의 각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각 영역 별로, 터치 대상체의 터치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음의 음향 특성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는, 냉장고(100)가 출시되기 전에, 상기 냉장고(100)의 제조업체에서 상기 구분된 도어(210)의 각 영역별로 미리 수행된 영역별 충격음 시험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구분된 도어(210)의 각 영역별로 임의로 수행된 영역별 충격음 시험 결과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가 생성 및 저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10)의 영역을 임의의 복수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임의의 복수 영역으로 구분된 각 영역별로 음향 특성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가 생성 및 저장되는 동작 과정의 예를 하기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이러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는, 각 도어 별로 생성 및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충격음을 감지한 음향 신호 감지부(135)에 근거하여 상기 충격음이 발생된 도어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도어별려 생성 및 저장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들 중, 상기 식별된 도어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충격음에 대응되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도 4의 (c)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도어(210)의 영역들 중,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된 지점(410)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영역(430)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135)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 도어에 강하게 터치 입력을 인가하면, 상기 특정 도어 표면에 가해지는 충격에 비례하여 큰 크기의 충격음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각 도어 별로 구비된 음향 신호 감지부들 중 복수 개가 충격음을 감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충격음을 감지한 복수 개의 음향 신호 감지부 중 기 설정된 조건에 따른 어느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충격음을 감지한 음향 신호 감지부가 복수 개인 경우, 감지된 충격음의 소리 크기가 가장 큰 어느 하나의 음향 신호 감지부 만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충격음을 감지한 음향 신호 감지부들 중, 가장 먼저 충격음을 감지한 어느 하나의 음향 신호 감지부 만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실제 인가된 도어 주변에 구비된 음향 신호 감지부가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우므로, 그 음향 신호 감지부가 감지하는 충격음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실제 인가된 도어 주변에 구비된 음향 신호 감지부가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우므로, 그 음향 신호 감지부가 상기 충격음을 가장 먼저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음향 신호 감지부가 충격음을 감지하더라도, 실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된 도어를 식별할 수 있으며, 그 도어에 대응되는 영역별 음향 신호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 대응되는 일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도 3의 S304 단계에서, 상기 기 저장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분석된 음향 신호의 특성에 대응되는 도어(210)의 일 영역이 식별되면,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306).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강화 유리 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지 않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이, 도어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도어 상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냉장고(100)의 특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또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부가 도어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도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이 시작되면, 각 음향 신호 감지부(135)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의 생성을 선택하고, 어느 하나의 도어에 대해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인가된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음을,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도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 감지부(135)가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음향 신호를 감지한 음향 신호 감지부(135)가 복수인 경우, 감지된 음향 신호의 크기 또는 음향 신호가 감지된 순서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음향 신호 감지부 만을 선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음향 신호가 인가된 도어가, 현재 선택된 음향 신호 감지부에 대응되는 도어라고 식별할 수 있다.
이처럼 어느 하나의 도어가 식별된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도어의 각 영역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들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들을 각각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된 결과들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각 영역에 대응되는 음향 특성 정보, 즉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에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부(110)는 현재 식별된 도어의 각 영역에 터치 입력이 인가될 때, 상기 식별된 도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 감지부(135)에서 감지되는 충격음을 음향 신호로서 감지할 수 있다(S500).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상기 도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상기 도어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구분된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가이드 라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가 강화 유리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구분된 영역들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구분된 영역들에 대한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와 함께 제공되는 매뉴얼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S500 단계에서 상기 구분된 도어의 각 영역에서 감지된 음향 신호들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S502).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는 감지된 음향 신호의 특성으로서, 각 음향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또는 파형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현재 식별된 도어의 각 영역 별로, 각 영역에 인가된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음을 분석하고, 분석된 주파수 또는 파형을 해당 영역의 음향 특성 정보로 매칭시킬 수 있다(S504).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도어의 각 영역에 매칭된 음향 특성 정보들을 현재 식별된 도어에 대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S506). 그리고 상기 도 5의 과정들은, 현재 감지된 음향 신호에 따라 식별되는 도어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도어에 대하여 다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에서, 도어(210)의 각 영역 별로 분석 및 저장되는 음향 신호 특성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냉장고(100)의 어느 하나의 도어(21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현재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상기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처럼 도어(210)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의 생성이 선택되면, 도 6의 (a)의 왼쪽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형성된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구분된 각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들(560)을, 가이드 라인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제어부(110)는 상기 각 영역의 경계들(650)에 해당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영역들의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경계들(650)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구분된 각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터치 대상체(사용자의 손가락)와 상기 도어(210)의 접촉(이하 제1 터치 입력 : 602)에 의해 발생하는 제1 음향 신호를, 상기 도어(210)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 감지부(135)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a) 오른쪽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감지된 제1 음향 신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분석된 제1 음향 신호의 특성, 즉 제1 음향 신호의 주파수(f1), 또는 상기 제1 음향 신호의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음향 특성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음향 특성 정보를 상기 제1 터치 입력(602)이 인가된 제1 영역(600)에 대응되는 음향 특성 정보로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도 6의 (b) 왼쪽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새로운 터치 입력(제2 터치 입력 : 612)을 인가하는 경우, 새로운 음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음향 신호로부터 음향 신호의 주파수(f2), 또는 상기 음향 신호의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된 결과가 상기 제1 음향 신호를 분석한 결과와 다른 경우, 상기 새로 감지된 음향 신호로부터 분석된 특성, 즉 주파수(f2), 또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음향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음향 특성 정보를 상기 제2 터치 입력(612)이 인가된 제1 영역(610)에 대응되는 음향 특성 정보로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들을 상기 구분된 도어(210)의 각 영역들에 대해 각각 수행하여, 각 영역에 대응되는 음향 특성 정보들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감지된 음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식별된 특정 영역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도 7은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에서, 터치 입력이 인가된 도어(210)의 일 영역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도어(210)는 일부 또는 전체의 투명도를 조절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어부(110)는, 도 7의 첫 번째 도면에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도어(210)의 일 지점(700)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인가한 터치 대상체(사용자의 손가락)와 도어(210) 표면의 접촉에 따른 음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음향 신호로부터, 음향 신호의 주파수(f) 또는 상기 음향 신호의 파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감지된 음향 신호로부터 주파수 정보 또는 파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분석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도어(210)에 대하여 기 저장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분석된 주파수 정보 또는 파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음향 특성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음향 특성 정보로부터, 도 7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대응되는 도어(210)의 특정 영역(710)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특정 영역(710)이 식별되면, 제어부(110)는 식별된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식별된 영역이, 상기 도어(210) 상에 구분된 영역들 중, 5번째에 해당되는 영역(710)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식별된 5번째 영역(710)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상기 5번째 영역(710)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투명도 조절에 관련된 기능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일 지점(700)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투명 디스플레이(201)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불투명 상태로 유지되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상기 일 지점(700)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투명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 요소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위치에 따라 지정된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3 및 도 7의 설명에서는, 도어의 전체 영역이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제어부(110)가 상기 터치 입력으로부터 발생하는 음향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식별하는 예를 설명하였고, 상기 식별된 영역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어부(110)는 도어의 특정 영역에 대해 인가된 터치 입력에 의해 특정 음향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도어의 특정 영역을 식별할 필요 없이, 상기 음향 신호의 특성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음향 신호의 특성이, 상기 도어에서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므로, 결과적으로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특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 역시, 음향 특성 정보와 도어의 일 영역을 매칭시킬 필요가 없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어부(110)는 특정 도어가 식별되는 경우, 식별된 도어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서로 다른 기능이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도어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에서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음향 신호의 서로 다른 특성에 따라 대응되는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특정 도어에서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냉장고(100)의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두드림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음향 신호 감지부;
    상기 도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영역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감지된 음향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음향 신호의 특성과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상기 두드림이 인가된 도어의 일 영역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기 인가된 두드림들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들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음향 신호 특성 및, 상기 복수의 음향 신호 특성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드림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음향 신호의 고유 주파수 또는 고유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향 신호의 음향 신호 특성으로 분석하며,
    기 저장된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분석된 고유 주파수 또는 고유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음향 신호 특성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향 신호 특성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상기 두드림이 인가된 영역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실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음향 신호 감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 각각에 구비된 각 음향 신호 감지부들 중 적어도 두 개가, 상기 복수의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된 두드림에 의해 발생한 음향 신호를 감지하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음향 신호를 감지한 복수의 음향 신호 감지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및, 선택된 음향 신호 감지부가 구비된 도어에 대응되는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두드림이 인가된 일 영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신호를 감지한 음향 신호 감지부가 복수인 경우, 상기 음향 신호가 감지된 크기 또는 상기 음향 신호를 감지한 순서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음향 신호 감지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별 특성 정보는,
    상기 냉장고의 제조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해 수행된 충격음 시험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도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영역에 인가되는 두드림들로부터 발생한 음향 신호들을 감지 및, 감지된 음향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각 음향 신호에 대한 음향 신호 특성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음향 신호 특성들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도록 매칭하여 상기 영역별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사이의 경계에 해당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들이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개로 구분된 도어의 각 영역에 매칭되는 상기 냉장고의 서로 다른 기능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드림에 의해 상기 복수개로 구분된 도어의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식별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영역별 기능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냉장고의 서로 다른 기능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 중, 상기 두드림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로부터 분석된 음향 신호 특성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냉장고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된 음향 신호 감지부를 통해,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두드림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음향 신호의 고유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도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영역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로부터, 상기 음향 신호의 특성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상기 도어의 일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기 인가된 두드림들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들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음향 신호 특성 및, 상기 복수의 음향 신호 특성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음향 신호 특성은,
    음향 신호의 고유 주파수 또는 음향 신호의 고유 파형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인가되는 두드림들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들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음향 신호들로부터 각 음향 신호들의 고유 주파수 또는 고유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음향 신호의 특성 정보로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각 음향 신호의 특성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 매칭하여 상기 영역별 음향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170014032A 2017-01-31 2017-01-3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80089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32A KR20180089205A (ko) 2017-01-31 2017-01-3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32A KR20180089205A (ko) 2017-01-31 2017-01-3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205A true KR20180089205A (ko) 2018-08-08

Family

ID=6323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032A KR20180089205A (ko) 2017-01-31 2017-01-3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2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6869B2 (en) Refrigerator
KR10232784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음식 관리방법
US20190197993A1 (en)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250871B2 (en) Refrigerator
CN111860718B (zh) 冰箱及食材管理方法
KR102637119B1 (ko) 냉장고 안의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918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the same
KR10243486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EP3852038A2 (en) Food management system, server apparatus, and refrigerator
KR20090087146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1397046B2 (en) Home appliance having a main processor to control power to a sub-processor based on a door stat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089205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70017326A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내부 영상을 제공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14562845B (zh) 冷藏冷冻设备的控制方法与冷藏冷冻设备
US8572989B2 (en) Avatar Kimchi refrigerator
CN214746671U (zh) 冰箱
JP6051150B2 (ja) 冷蔵庫
KR20080057475A (ko) 냉장고의 식품보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의식품보관 관리방법
US11594019B2 (en) Refrigerator, server, and object recognition method of refrigerator
KR101980545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동작방법
KR20200059487A (ko) 패널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13915847B (zh) 冰箱及食材管理界面的显示方法
KR100734490B1 (ko) 운전모드별로 차등화된 에러 검지 방법
CN113915848B (zh) 冰箱及食材管理界面的显示方法
KR2016008718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