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147A -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147A
KR20180089147A KR1020170013873A KR20170013873A KR20180089147A KR 20180089147 A KR20180089147 A KR 20180089147A KR 1020170013873 A KR1020170013873 A KR 1020170013873A KR 20170013873 A KR20170013873 A KR 20170013873A KR 20180089147 A KR20180089147 A KR 20180089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unit
sensing
gun
sim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현
백승석
안우영
김수본
Original Assignee
(주)지에프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프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지에프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01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147A/ko
Publication of KR2018008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07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의 사격간에 복수의 사수를 식별하도록 격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격 결과 값을 식별된 사수와 매칭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내 또는 실외의 모의 스크린 사격장에서 총기의 격발과 동시에 레이저가 발사되는 레이저 발사 장치에 있어서, 총기의 격발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총기의 격발에 대응하는 레이저를 생성 및 조사하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모의 총기의 총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Laser shoo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의 사격간에 복수의 사수를 식별하도록 격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격 결과 값을 식별된 사수와 매칭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특허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94023에는 빔프로젝터, 레이저 사격장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레이저 광 사격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선행특허문헌에는 레이저에서 발사되는 레이저 도트의 형상이나 색상을 변경하도록함으로써 사수를 식별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수 식별 시스템은 레이저 도트의 형상이나 색상이 동일한 경우에는 사수를 식별할 수 없으며, 더군다나 선행특허문에는 모의 총기에서 격발이 된 경우 격발여부와 격발 시간을 상위단으로 전송함에 있어서 어떤 방법으로 이를 전송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940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40214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총기에서 격발시 각각의 총기에 구비되는 모듈을 통해 격발정보인 총기 식별ID(기 저장되어 있음) 및 격발시간을 생성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격발정보를 상위단으로 전송함으로써 사격간에 다수의 사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또는 실외의 모의 스크린 사격장에서 총기의 격발과 동시에 레이저가 발사되는 레이저 발사 장치에 있어서, 총기의 격발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총기의 격발에 대응하는 레이저를 생성 및 조사하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모의 총기의 총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격발소리 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의 경우에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 및 격발음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과 제1 수용홈과 서로 격리되어 전원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부, 및 제1 하우징부와 나사산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제2 하우징의 몸체에 대해 돌출 형성되며, 모의 총기의 총열이 삽입 고정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하우징부의 나사산 단부에 형성된 전원단자가 제1 하우징부와 제2 수용홈부에서 나사산 결합시에 제1 하우징부에 구비된 전원부와 서로 맞닿아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가스압 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의 경우에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과 제1 수용홈과 서로 격리되어 전원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부, 및 제1 하우징부와 나사산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제2 하우징의 몸체에 대해 돌출 형성되며, 모의 총기의 총열이 삽입 고정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모의 총기에서 토출되는 가스압에 의해 제2 하우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스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가스압에 따라 이동하는 감지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감지부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는 거리 제한부, 및 전방 거리 제한부와 감지부 사이에 게재되어 감지부의 이동에 따라 탄성 압축되어 가스압이 소멸된 경우 원위치로 감지부가 되돌아가도록 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감지부의 단부에는 전원단자가 형성되며, 감지부의 최대점 이동에 따라 감지부의 단부에 형성된 전원단자가 전원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총기에 삽입되는 탄창을 더 포함하며, 탄창은 격발시 노리쇠 뭉치의 이동에 따라 격발을 인식하도록 하는 스위치, 스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총기의 격발시 격발시간을 생성하고, 격발시간 및 총기 식별 ID를 전송하는 통신부, 통신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원부, 및 통신부 및 전원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훈련 영상을 출력하는 빔 프로젝터부, 훈련 영상이 조사되고, 훈련자가 모의탄 또는 실탄을 발사하도록 표적이 형성되는 스크린부, 모의탄 또는 실탄을 표적에 발사하는 총기부, 총기부로부터 격발 정보를 수신하는 컨트롤 박스부, 총기부와 연동되어 표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컨트롤 박스부로부터 격발 정보를 수신하고, 카메라부로부터 표적 영상을 전송받으며, 격발 정보와 표적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훈련자를 식별하고 사격 결과값을 각각의 훈련자에 대응시키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용 스크린 사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격발 정보는 각 훈련자에게 할당된 총기부의 ID 및 격발 시간이고, 표적 정보는 탄착점 형성 시간 및 탄착점 형성 위치이다.
또한, 총기부는 모의탄이 발사됨에 따라 이와 연동되어 레이저가 표적에 발사되는 레이저 발사모듈을 포함하는 모의 총기 또는 실탄이 발사되는 실탄 총기이다.
또한, 서버는 격발 정보에 포함된 총기부의 격발 시간과 표적 정보에 포함된 탄착점 형성 시간을 서로 비교하여 훈련자를 식별하고, 표적 정보에 포함된 탄착점 형성 위치를 인식하여 사격 결과값을 각 훈련자에게 매칭시킨다.
또한, 카메라부는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며, 총기부에서 실탄이 발사되는 경우에는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표적에 형성된 탄착점을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 박스부는 모의 총기의 경우에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모의 총기는 컨트롤 박스부의 가스 주입부로부터 가스를 주입 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사수를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 총기를 포함한 멀티플레이용 스크린 사격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탄 총기를 포함한 멀티플레이용 스크린 사격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발 시점과 카메라에 의해 탄착점을 인식한 시점을 이용하여 사수를 구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과 다른예로서 격발 시점과 카메라에 의해 탄착점을 인식한 시점을 이용하여 사수를 구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 총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압 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창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발사 모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피탄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피탄벽의 탄환 회수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멀티플레이용 스크린 사격 장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용 스크린 사격 장치는 실탄 총기 또는 모의 총기를 사용하여 표적을 향해 격발하는 경우 표적에 형성된 탄착점을 인식하고, 각 탄착점을 식별하여 모의 훈련자와 매칭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모의 훈련자를 식별하고 사격 결과 값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탄착점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실탄 사격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모의 총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 도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모두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용 스크린 사격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00)는 훈련자와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크기 및 폭은 훈련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스크린부(100) 에는 빔 프로젝터부(130)에 의해 출력되는 시뮬레이션 훈련 영상이 조사된다. 시뮬레이션 훈련 영상(110)에는 훈련을 위한 배경 영상과 표적 영상이 포함된다. 빔 프로젝터부(130)는 스크린부(10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한다. 카메라부(500)와 빔 프로젝터부(130)는 상호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평면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스크린부(100)에는 모의 총기에 의해 발사되는 레이저 도트(120) 또는 실탄 사격에 의한 탄착점(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탄착점(120)으로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탄 사격에 의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부(100) 후면에 총알을 받는 피탄벽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부(100)에 형성되는 탄착점(120)은 복수의 훈련자의 모의 사격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복수 훈련 모드), 단일 훈련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단일 훈련 모드). 이때, 복수 훈련 모드의 경우에는 형성된 탄착점(120)과 복수의 사수를 식별하여 매칭함으로써 사격 결과 값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부(100)에 실탄 사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스크린부(100)가 짧은 시간 내에 훼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린부(100)에 실탄이 관통되면 복원이 가능하도록 합성 고무재질로 스크린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에는 벽면 피탄벽(600)이 도시되어 있으며, 벽면 피탄벽(600)은 실탄 사격시 스크린부(100) 후측에 설치되어 탄피를 회수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는 약간 경사를 주어 탄환이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벽면 피탄벽(600)은 훈련 건물의 뼈대를 이루는 콘크리트 벽(610)에 설치한다. 전방 영역에는 흡음 고무패널(620), 고무패널(630)이 설치되며, 고무패널(630)은 상측부에 흡음 고무패널(620)은 하측부에 설치된다. 흡음 고무패널(620)은 전체적으로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흡음 고무패널(620) 및 고무패널(630)의 하부에는 방탄 철판(640)이 구비되며, 흡음 고무패널(620) 및 고무패널(630)과 방탄 철판(640) 사이에는 고정핀(660)이 구비되어 상호 간을 지지하도록 한다. 고정핀(660)이 고정된 영역은 방탄 철판(640)을 맞고 튕겨져나온 탄환(또는 총알)이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공간이다. 맨 하부에는 탄환을 회수하는 탄환 회수함(650)이 도 13과 같이 구비된다. 방탄 철판(640)의 하부(또는 뒷면)에는 방탄 철판(640)을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용 각관(670)이 일정간격을 두고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구조용 각관(670)의 크기는 설치 환경에 따라 서로 달리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다.
사수가 모의 사선에서 모의 총기 또는 실제 총기를 사용하여 사격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사수가 자리하는 모의 사선 영역에는 차량 또는 러닝머신 등의 모션 플랫폼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모션 플랫폼은 스크린에 비치는 훈련 영상과 서로 연동되어 실재감 있는 영상 사격 훈련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400)는 모션 플랫폼과 모의 훈련 영상을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모의 훈련 영상에 따라 모션 플랫폼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모션 플랫폼에 탑승한 모의 훈련자는 모의 훈련 영상과 모션 플랫폼의 구동에 따라 실감나는 모의 사격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모션 플랫폼에 탑승한 모의 훈련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션 인식부(도면 미도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모션 플랫폼은 모의 훈련 영상과 서로 연동되며, 모션 플랫폼은 스크린에 조사되는 모의 훈련 영상에 맞도록 서버(400)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서버(400)는 전장묘사부(도면 미도시)를 구동시킴으로써 훈련 영상에 맞는 연막(스모그), 효과음(전장 소음), 조명 등이 연출되도록 하여 생동감 있는 전장상황이 묘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장묘사부는 멀티플레이용 스크린 사격 장치가 구비된 영역에 효과음 또는 조명이 잘 묘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효과음을 출력하는 음향장비는 스크린부(100)의 양옆에 3차원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 1에서는 스크린부(100)가 1개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스크린부가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모의 훈련자를 기준으로 둘레방향으로 스크린부를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이때에는 복수의 스크린부에 조사되는 훈련 영상은 서로 연관되고 연속된 훈련 영상일 수 있다. 따라서 모의 훈련자는 둘레방향에 배치된 스크린부를 향해 연속된 훈련 영상을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방향을 전환하며 모의 사격 훈련을 할 수 있다. 즉, 스크린부에 조사되는 훈련 영상이 둘레방향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다음 스크린부로 훈련 영상이 이어지는 경우 모의 훈련자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몸을 전환하면서 앉아 쏴 또는 서서 쏴 자세 등 다양한 자세를 취하며 모의 사격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다방향 사격 훈련은 도 1과 같은 일방향(전방) 사격 훈련에 비해 입체적인 모의 사격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크린부에 모의 훈련 영상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빔 프로젝터부 및 카메라부 등이 스크린부의 구비 개수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빔 프로젝터부는 서버(400)와 서로 연동되어 각자가 조사할 모의 훈련 영상을 서버(400)로부터 전송받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총기부(200)는 실탄 사격에 의한 실탄 총기와 모의 탄을 발사하는 모의 총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실탄 총기는 권총, 소총, 또는 기관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모의 총기는 비비탄 총, 페인트 총, 또는 가스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탄 총기의 경우에는 실탄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격발만 하는 경우에도 모의 총기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총기의 종류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하였을 뿐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의 총기의 경우에는 도 1과 같은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고, 실탄 총기의 경우에는 도 2와 같은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총기부(200)의 구성은 후술하는 사수 식별이 가능한 레이저 발사 장치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의 총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 레이저 발사 모듈부,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제어부는 각 훈련자에게 할당된 모의 총기의 격발시마다 격발 정보를 송신부를 통해 컨트롤 박스부(300)로 전송한다. 이때, 격발 정보는 모의 총기의 식별ID 및 격발 시간이다. 모의 총기의 총기 식별ID는 각 모의 총기마다 할당된 고유의 식별코드로서 각 모의 총기에 할당되어 저장된다. 모의 총기의 격발 시간은 모의 총기가 격발된 시간으로서 하나의 총기에서 여러 발이 격발된 경우 시간순으로 격발 시간이 생성되어 전송된다. 이때, 격발 정보는 생성시마다 지속적으로 컨트롤 박스부(300)에 전송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격발이 끝난 경우에 격발 시간을 타임스탬프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일괄적으로 한 번에 컨트롤 박스부(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모의 총기의 송신부 및 컨트롤 박스부의 수신부는 각각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모의 총기 및 컨트롤 박스부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모의 총기의 격발과 동시에 제어부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를 제어하여 표적에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한다. 레이저 발사 모듈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의 총기의 격발시마다 레이저가 발사된다. 모의 총기 및 실제 총기(또는 실탄 총기)는 후술하는 훈련자 또는 사수 식별이 가능한 레이저 발사 장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의 총기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컨트롤 박스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 제어부, 및 가스 주입부로 구성된다. 수신부는 모의 총기(200)로부터 총기 식별ID와 격발 시간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거나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격발이 완료된 경우 한 번에 전송받는다. 제어부는 서버(400)로 격발 정보를 전송하고, 각각의 총기에 할당된 탄알 수 등을 제어한다. 즉, 어느 한 모의 총기에 할당된 레이저 발사 수가 10발인 경우 레이저가 10발 이상 발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각 모의 총기에 할당된 레이저 발사 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제어한다. 한편으로 제어부는 필요에 따라 모의 총기에서 발사된 격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모의 총기에서 격발된 시간은 모의 총기에서 타임스탬프를 붙여 기록 저장할 수도 있고, 또는 모의 총기에서 격발이 되면 총기 식별ID와 격발 여부를 컨트롤 박스부(300)로 전송하고 컨트롤 박스부(300)에서 각각의 격발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부여하여 격발 시간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모의 총기에서 타임스탬프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모의 총기(200)에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RTC부(리얼 타임 클럭부)가 포함되거나 또는 컨트롤 박스부(30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현재 시각을 지속적으로 전송받아 모의 총기에서 현재 시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어떤 경우에든 모의 총기의 시간은 서버(400) 또는 컨트롤 박스부(300)의 시간과 시간 동기되는 것이 필요하며, 일정 시간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해 서로 간의 시간을 맞추는 시간 동기 제어가 필요하다(실탄 총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됨).
모의 총기가 가스총인 경우에는 가스총은 컨트롤 박스부의 가스 주입부로부터 가스를 주입받는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콤프레셔에 의해 가스를 모의 총기에 주입한다. 이때, 가스총에는 가스 주입부로부터 가스를 주입받아 보관할 수 있는 가스통(도면 미도시)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가스를 보관할 수 있는 가스통이 없는 경우에는 가스 주입부로부터 가스를 지속적으로 주입받아 모의 훈련 사격을 가스총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500)는 스크린부(100)를 촬영하고 촬영된 스크린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카메라부(500)는 모의 총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 도트(120)를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탄 총기의 경우에는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탄착점(120)을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탄이 스크린부(100)를 관통하면 스크린부의 다른 영역의 온도에 비해 탄착점 영역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열화상카메라는 이를 인식하여 탄착점의 좌표를 생성한다. 카메라부(500)는 스크린부(100)를 지속적으로 촬영하며, 모의 총기(200)에서 격발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와 연동되어 표적 영역을 중점적으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부(100)에 조사되는 훈련 영상에 관한 정보 중 표적이 출현하는 시간을 서버(400)는 알 수 있으며, 서버(40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부(500)는 스크린부(100)에 투사된 훈련 영상(110)을 전체적으로 촬영하다가 표적이 생성되는 시점에 표적 영역만을 확대하여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2대의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즉, 1대의 카메라는 전체 훈련 영상을 촬영하고, 나머지 1대의 카메라는 표적 영역만을 집중적으로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부(500)가 스크린부(10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표적에 조사되는 레이저 도트를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표적이 출현하는 시간에 표적 영역을 집중적으로 포커싱하여 촬영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부가 모의 훈련자를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스크린부에 대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되어 탄착점 좌표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일 시간에 스크린상에 출현되는 표적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서버(400)로부터 표적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복수의 표적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1대의 카메라의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표적이 서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에는(일예로서 어느 하나의 표적이 좌측 상단에 위치하고, 다른 표적이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2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각의 표적 영역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이 동일 시간대에 복수로 출현하는 경우에는 표적 출현 개수에 대응하는 수로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한대의 카메라가 표적에 형성된 탄착점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영역 범위를 도출하고 스크린 크기에 맞도록 미리 카메라의 수 및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술한 카메라의 방향 및 각도는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표적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된다. 카메라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 카메라가 서버(400)와 시간 동기가 정확히 이루어져야 한다.
실탄 총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송신부 및 제어부의 구성 및 기능은 상술한 모의 총기(200)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기로 한다. 실탄 총기는 실탄을 발사하기 때문에 레이저 발사 모듈부를 포함하지 않고 실제 실탄을 표적에 사격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탄 총기(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화상 카메라(5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탄이 스크린부의 표적을 관통한 경우에 일반 카메라로는 탄착점의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한다. 실탄이 통과한 탄착점(120) 영역에는 주변 영역과 대비해서 더 높은 열이 발생되며 열화상 카메라는 이러한 열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열화상 카메라의 추가적인 기능은 상술한 카메라부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400)는 컨트롤 박스부(300)로부터 격발 정보를 전송받으며, 카메라부 또는 열화상 카메라(이하에서는 카메라부로 통칭함)로부터 훈련 영상 또는 표적 영상을 전송받는다. 또한, 빔 프로젝터부(130)에 훈련 영상을 전송함으로써 스크린부(100)에 모의 훈련 영상이 조사되도록 한다. 서버(400)는 카메라부에서 전송된 스크린 영상 및 표적 영상을 분석하여 레이저 도트 인식 시간 또는 탄착점 인식 시간(이하 탄착점 인식 시간으로 통칭함)을 추출하고, 레이저 도트 또는 탄착점의 위치(이하 탄착점 위치로 통칭함)를 식별하거나 판별한다.
서버(400)는 카메라부(500)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스크린 영상 및 표적 영상을 분석하여 스크린부의 표적에 형성된 탄착점의 생성 시간 및 생성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 분석한다. 카메라부가 복수인 경우에도 각각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탄착점의 생성 시간 및 위치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다. 즉, 스크린부의 표적에는 격발시마다 탄착점이 형성되며, 서버(400)는 카메라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모의 총기의 격발시 마다의 탄착점의 형성 시간을 타임스탬프에 의해 기록 및 저장한다. 또한, 격발시마다 탄착점의 위치를 분석함으로써 훈련자가 표적을 맞혔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거나 또는 점수별 환산이 가능한 표적인 경우(예로서 사격 훈련시의 점수별 표적지)에는 탄착점의 위치를 인식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복수 훈련 모드로 운영중인 경우에는 훈련자가 복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수의 훈련자가 동시에 모의 사격을 실시하기 때문에 스크린부(100)에 형성된 다수의 탄착점과 모의 사격 훈련자의 매칭이 중요하다. 즉, 표적에 형성된 탄착점이 다수인 경우 탄착점과 훈련자를 서로 매칭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착점의 식별을 위해 도 3과 같이 3명의 훈련자가 각각 한발씩 격발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2,3 훈련자가 시간차를 두고 각각 격발한 시점이 0.1[s], 0.2[s], 0.3[s]인 경우에 각각의 격발 시점에 대응되는 탄착점 형성시간이 각각 0.12[s], 0.22[s], 0.32[s]이다. 이때, 총기부에서는 각각의 총기 식별ID와 함께 각각의 격발 시점(또는 시간)이 컨트롤 박스부를 거쳐 서버(400)로 전송된다. 즉, 제1 훈련자의 정보는 총기 식별ID와 함께 0.1[s]의 격발 시간이 상위단(서버)으로 전송되며, 제2 훈련자의 정보는 총기 식별ID와 함께 0.2[s]의 격발 시간이 상위단(서버)으로 전송되며, 제3 훈련자의 정보는 총기 식별ID와 함께 0.3[s]의 격발 시간이 각각 상위단(서버)으로 전송된다. 한편, 카메라부에서는 훈련 영상 및 표적 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400)는 영상을 분석하여 탄착점 형성 시간을 각각 산출한다. 도 3의 예에서 서버(400)는 카메라부(500)로부터 각각의 탄착점의 좌표 및 생성 시간을 전송받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탄착점 형성 시간을 0.12[s], 0.22[s], 0.32[s]로 인식한다. 따라서 서버(400)는 총기 식별ID와 함께 전송된 격발 시간과 탄착점 형성 시간을 상호 비교하여 각각을 서로 매칭하게 된다. 즉, 제1 훈련자의 0.1[s]의 격발 시간은 0.12[s]의 탄착점 형성 시간과 서로 매칭되며, 제2 훈련자의 0.2[s]의 격발 시간은 0.22[s]의 탄착점 형성 시간과 서로 매칭되며, 제3 훈련자의 0.3[s]의 격발 시간은 0.32[s]의 탄착점 형성 시간과 서로 매칭된다. 결과적으로 서버(400)는 각 총기부의 격발 시간 및 탄착점 형성 시간을 시간순으로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순차적인 시간순에 따라 격발 시간과 탄착점 형성 시간을 서로 매칭할 수 있다. 각 총기부의 격발 시간 및 탄착점 형성 시간이 서로 매칭되면 각각의 훈련자의 사격 결과 값을 서버(400)는 도출할 수 있다. 도 3과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의 훈련자가 연속하여 차례대로 0.10[s], 0.11[s], 0.12[s]에 사격한 경우 카메라부(500)는 이에 대응하는 탄착점을 각각 0.15[s], 0.16[s], 0.17[s]에 생성한다. 따라서 제1 훈련자의 0.10[s]의 격발 시간은 0.15[s]의 탄착점 형성 시간과 서로 매칭되며, 제2 훈련자의 0.11[s]의 격발 시간은 0.16[s]의 탄착점 형성 시간과 서로 매칭되며, 제3 훈련자의 0.12[s]의 격발 시간은 0.17[s]의 탄착점 형성 시간과 서로 매칭된다. 물론 상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시간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를 든 것에 불과하다.
서버(400)는 컨트롤 박스부(300)에서 전송된 총기의 탄알 수, 잔여 탄 수, 탄알 사용량 등을 각 모의 훈련자별로 모니터링 및 기록 저장한다. 또한, 모의 훈련자가 사격 훈련을 실시하는 경우 컨트롤 박스부(300)를 통해 총기 사용 허가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모의 총기 또는 실제 총기에서 격발이 되도록 한다. 즉, 서버(400)는 총기 사용 허가 명령을 모의 총기 또는 실제 총기로 전송함으로써 총기의 격발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훈련자 또는 사수 식별이 가능한 레이저 발사 장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발사 장치는 상술한 멀티플레이용 스크린 사격 장치에 사용되는 모의 총기 또는 실탄 총기로서 모의 훈련시 격발에 의해 자신의 총기의 식별ID와 격발 시간(격발 정보)을 상위단인 컨트롤 박스부(300)로 전송한다. 실탄 총기의 경우에는 실탄이 발사되고 모의 총기의 경우에는 격발시 레이저가 조사(또는 발사)된다. 이하에서는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나 실탄 총기의 경우에는 모의 총기와 달리 레이저가 발사되지 않고 실탄이 발사되는 것 이외에는 모의 총기와 동일한 격발 정보 전송 원리가 적용된다. 후술하는 레이저 발사기는 모의 총기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모의 총기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이저 발사 장치는 탈부착형으로서 고정된 사대에서 사격하는 유선방식과 모의 총기 또는 실탄 총기를 휴대하여 이동하면서 사격할 수 있는 무선방식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의 총기(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부, 탄창부, 레이저 모듈부(또는 레이저 발사기)로 대략 구성된다. 총기부 및 탄창부는 모의 총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레이저 모듈부는 총기부의 총열에 고정되어 사수의 격발시 레이저가 발사되도록 한다. 레이저 모듈부는 대략적으로 감지부, 전원부, 송신부, 레이저 다이오드, 캡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의 총기는 대략적으로 2가지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진동(또는 소리)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와 가스압 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진동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가스압 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210)는 제1,2 하우징부(211,212)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213), 송신부(214), 감지부(215) 및 전원부(216)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레이저 발사 모듈부(213)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수 격발시 감지부(215)의 센싱에 의해 레이저를 생성하여 스크린부(100)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한다. 감지부(215)는 사수의 격발시 격발에 의해 발생되는 격발 소리나 소리 압력을 인식한다. 즉, 사수가 모의 총기의 방아쇠를 당기는 경우 실탄이 없는 경우에도 "탕"하는 일정 소리가 발생되며 이러한 소리를 인식한다. 감지부(215)가 격발 소리를 인식하면 감지신호를 레이저 발사 모듈부(213)로 전송하고, 레이저 발사 모듈부(213)는 감지신호에 따라 레이저를 생성 및 조사한다. 또한, 레이저 발사 모듈부(213)는 송신부(214, 또는 통신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총기 자신의 식별ID 및 격발시간을 상위단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송신부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상위단에 격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격발시간을 전송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얼타임 클럭부가 추가 구성되거나 또는 상위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시간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총열은 제2 하우징부(212)의 총열 안착홈(218)에 삽입 고정되며, 서로 나사산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212)는 제1 하우징부(211)의 내측으로 나사산(217)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며, 나사산(217)은 제2 하우징부(212)의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나사산(217)의 단부에는 단자부(216a)가 형성되어 전원부(216)와 서로 접촉된다. 따라서 총열이 제2 하우징부에 결합되고,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결합되면 전원부(216)의 단자부(216a,216b,216c)가 서로 +/- 단자를 형성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일예로서 단자부(216a)는 (-) 단자이고, 단자부(216b,216c)는 (+) 단자일 수 있다. 전원부(216)는 휴대용의 수은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리튬이온 등의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레이저 발사 모듈부(213)는 건전지의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사수의 격발시에만 레이저가 생성 및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압 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는 제1,2 하우징부(221,222)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 송신부(224), 및 전원부(226)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수 격발시 감지부(225)의 센싱에 의해 레이저를 생성하여 스크린부(100)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한다. 감지부(225)는 사수의 격발시 격발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압을 인식한다. 즉, 사수가 모의 총기(가스총)의 방아쇠를 당기는 경우에는 가스가 총열 측에서 제2 하우징부(222) 측 방향으로 토출되며 이러한 가스압력을 인식한다. 이때, 토출된 가스압력에 의해 제2 하우징부(222)의 내측에 구비된 감지부(225)가 가스의 토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감지부(225)의 단부에는 단자부(226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스 토출에 의해 최대 이동점까지 감지부(225)가 이동하면 감지부의 단부에 형성된 단자부(226a)가 제2 하우징부(222)에 형성된 다른 단자부(226a)와 서로 접점이 닿게 된다. 스프링(229)은 제2 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감지부(225)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제2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거리 제한부(229a)가 각각 구비된다. 거리 제한부(229a)는 감지부(225)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제2 하우징부의 내측에 감지부(225)의 앞쪽과 뒤쪽에 단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감지부(225)의 앞쪽 단부의 직경이 뒤쪽 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직경이 작은 측(앞쪽)은 단턱을 통과하게 되나 직경이 큰 측(뒤쪽)은 단턱에 걸리도록 하여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앞쪽 단턱에 의해 최대 이동점까지 이동한 감지부(225)는 압축된 스프링(229)에 의해 뒤쪽 단턱이 형성된 위치까지 다시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감지부(225)가 가스압력을 인식하면 감지신호를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로 전송하고,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는 감지신호에 따라 레이저를 생성 및 조사한다. 또한,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는 송신부(224, 또는 통신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총기 자신의 식별ID 및 격발시간을 상위단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송신부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상위단에 격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격발시간을 전송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얼타임 클럭부가 추가 구성되거나 또는 상위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시간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총열은 제2 하우징부(222)의 총열 안착홈(228)에 삽입 고정되며, 서로 나사산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222)는 제1 하우징부(221)의 내측으로 나사산(227)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며, 나사산(227)은 제2 하우징부(222)의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돌출 형성 영역(일측 단부영역, 일측 하단영역, 중앙영역)에는 단자부(216a)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영역의 단자부(216a)는 전원부(226)와 서로 접촉된다. 따라서 가스압이 도출되어 감지부(225)가 제1 하우징부 방향으로 최대 이동점까지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 하우징부에 구비된 각 단자부(216a)가 서로 동일 전위를 형성한다. 일예로서 전원부(226)와 맞닿는 단자의 전위가 (-)인 경우에는 (-) 단자로 되고, 전원부(226)와 맞닿는 단자의 전위가 (+)인 경우에는 (+) 단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총열이 제2 하우징부에 결합되고,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결합되면 전원부(216)의 단자부(226a,226b,226c)가 서로 +/- 단자를 형성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일예로서 단자부(226a)는 (-) 단자이고, 단자부(226b,226c)는 (+) 단자일 수 있다. 전원부(226)는 휴대용의 수은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리튬이온 등의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는 건전지의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사수의 격발시에만 레이저가 생성 및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225)가 최대 이동점까지 이동하여 단자부(226a)가 서로 접점이 맞닿는 경우에 감지신호를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로 전송한다. 이때,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는 전원부(226)로부터 상시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감지부(225)가 맞닿는 순간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감지부(225)가 맞닿는 순간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에 전원이 공급된 후에 감지신호를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감지부(225)가 맞닿는 순간에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이 자체로 감지신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감지신호의 전송이 필요치 않고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자동으로 레이저 발사 모듈부(223)는 가스총이 발사되었음을 인식하고 레이저를 생성 및 발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모의 총기 또는 실탄 총기에 삽입 장착되는 탄창(230)으로서 실탄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실탄 탄창의 일부 영역에 도 8 및 도 9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탄창(230)에는 송신부(231)가 구비되어 있으며, 레이저 모듈부(210,220)의 송신부(214,224)와 별개의 송신부(231)를 구비하여 상위단으로 이중으로 격발 정보(식별 ID, 격발시간)를 전송하도록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한곳의 송신부를 이용하여 격발 정보를 상위단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탄창(230) 내부에는 순차적으로 탄성부(233), 전원부(232), 송신부(231), 스위치(234)가 구비된다. 스위치(234)는 노리쇠 뭉치(235)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탄창(230) 밖으로 돌출(일예로서 비비탄 모의 총기의 경우에는 비비탄이 토출되는 출구에서 돌출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사수가 방아쇠를 당기기 전에는 도 8과 같이 스위치가 탄성 압축되어 있으며, 사수가 방아쇠를 당기면 노리쇠 뭉치(235)가 총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9와 같이 스위치가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노리쇠 뭉치(235)의 이동을 스위치(234)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사수의 격발을 인식하고, 감지와 동시에 송신부(231)를 통해 상위단으로 격발 정보를 전송한다. 송신부(231)의 하단에는 전원부(232)가 구비되며, 전원부(232)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단자부(232a,232b)가 구비된다. 송신부(231)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233)는 스프링으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노리쇠 뭉치(235)가 스위치(234)를 누르는 경우에는 탄성 압축된다. 스위치(234)는 도 8과 같이 노리쇠 뭉치(235)가 누르는 경우 뿐만 아니라 노리쇠 뭉치(235)와 스위치의 단부가 서로 접점이 맞닿는 경우에도 송신부(231)의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여 격발 정보를 상위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치(234)의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리쇠 뭉치(235)가 쉽게 스위치를 밀고 진입하도록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부가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레이저 발사 모듈부(213,22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부(241), 거리 조절부(242), 및 캡부(243)로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부(241)는 모의 총기의 격발과 동시에 레이저가 생성 및 조사되도록 한다. 거리 조절부(242)는 조사되는 레이저 도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오목렌즈와 볼록렌즈로 구성된다.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도수 및 배치 거리 조절에 따라 조사되는 레이저 도트의 크기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캡부(243)는 레이저 도트의 모양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도 10과 같이 레이저 도트가 "+"로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도트 모양을 스크린부(100)에 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레이저 도트의 크기 및 모양을 각 사수별(또는 각 총기별)로 달리함으로써 사수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일예로서 제1 사수의 총기는 "+" 레이저 도트가 스크린에 조사되도록 하고, 제2 사수의 총기는 "-" 레이저 도트가 스크린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서버(400)는 레이저 도트의 모양을 토대로 각 사수를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레이저 도트의 크기를 각 사수별로 다르게 하여 사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레이저 발사 장치는 모의 총기의 총열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한편, 실탄 총기의 경우에는 실탄이 발사되기 때문에 상술한 레이저 발사 장치가 실탄 총기의 총열에 장착되지 않는다. 또한, 실탄 탄창에는 상술한 탄창(230)의 송신부(231), 전원부(232), 스프링(233), 스위치(234) 등을 구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탄 총기의 경우에 격발시 총기 자신의 식별ID 및 격발시간을 상위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격발정보 전송모듈인 송신부, 전원부, 감지부, 및 제어부가 실탄 총기의 일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일예로서 총기의 덥개영역, 총열의 하단영역 또는 개머리판 영역 등). 이때에는 감지부가 실탄 사격의 "탕" 소리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기 저장된 총기 자신의 식별ID와 격발 시간을 송신부를 통해 상위단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격발 시간은 리얼타임 클럭부를 구비하여 획득하거나 또는 상위단과의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현재시간을 전송 받아 동기화시킴으로써 격발시간을 총기에서 자체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총기에 부착되는 격발정보 전송모듈부는 리얼타임 클럭부를 추가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오실레이터 등 클럭을 생성할 수 있는 클럭 생성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클럭 생성부는 클럭을 생성하며, 생성된 클럭을 기초로 상위단에서 제공받은 현재 시간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실탄 총기의 탄창에 송신부(231), 전원부(232), 스프링(233), 스위치(234) 등이 구비될 수 있는 경우에는 총열에 탈부착되는 레이저 발사 장치가 제거되고, 탄창에 구비된 송신부에서 노리쇠 뭉치의 이동에 따라 총기 식별ID 및 격발시점이 상위단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탄창에는 리얼타임 클럭부가 추가 구비되거나 또는 클럭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위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현재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스크린부
110 : 훈련 영상
120 : 탄착점 또는 레이저 도트
130 : 빔 프로젝터부
200 : 총기부
210 : 제1 레이저 모듈부
211 : 제1 하우징부
212 : 제2 하우징부
213 : 레이저 발사 모듈부(제어부 포함)
214 : 송신부
215 : 감지부(진동감지센서 또는 음압센서)
216 : 전원부
216a,216b,216c : 단자부
217 : 나사산
218 : 총열 안착홈
220 : 제2 레이저 모듈부
221 : 제1 하우징부
222 : 제2 하우징부
223 : 레이저 발사 모듈부(제어부 포함)
224 : 송신부
225 : 감지부(공압센서 또는 가스압센서)
226 : 전원부
226a,226b,226c,226d,226e : 단자부
227 : 나사산
228 : 총열 안착홈
229 : 스프링
229a : 거리 제한부
230 : 탄창
231 : 송신부
232 : 전원부
232a,232b : 단자부
233 : 스프링
234 : 스위치
235 : 노리쇠뭉치
241 : 레이저 다이오드부
242 : 거리 조절부(또는 크기 조절부)
243 : 캡부(또는 모양 조절부)
300 : 컨트롤 박스부
400 : 서버
500 : 카메라부
600 : 벽면 피탄벽
610 : 벽(콩크리트 옹벽)
620 : 흡음 고무패널
630 : 고무패널
640 : 방탄 철판
650 : 탄환 회수함
660 : 고정핀
670 : 구조용 각관
680 : 바닥

Claims (7)

  1. 실내 또는 실외의 모의 스크린 사격장에서 총기의 격발과 동시에 레이저가 발사되는 레이저 발사 장치에 있어서,
    총기의 격발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총기의 격발에 대응하는 레이저를 생성 및 조사하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모의 총기의 총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격발소리 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의 경우에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 및 격발음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과 제1 수용홈과 서로 격리되어 전원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부, 및
    제1 하우징부와 나사산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제2 하우징의 몸체에 대해 돌출 형성되며, 모의 총기의 총열이 삽입 고정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부의 나사산 단부에 형성된 전원단자가 제1 하우징부와 제2 수용홈부에서 나사산 결합시에 제1 하우징부에 구비된 전원부와 서로 맞닿아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압 센싱에 의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모의 총기의 경우에는,
    레이저 발사 모듈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과 제1 수용홈과 서로 격리되어 전원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부, 및
    제1 하우징부와 나사산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제2 하우징의 몸체에 대해 돌출 형성되며, 모의 총기의 총열이 삽입 고정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모의 총기에서 토출되는 가스압에 의해 제2 하우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스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가스압에 따라 이동하는 감지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감지부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는 거리 제한부, 및
    전방 거리 제한부와 감지부 사이에 게재되어 감지부의 이동에 따라 탄성 압축되어 가스압이 소멸된 경우 원위치로 감지부가 되돌아가도록 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감지부의 단부에는 전원단자가 형성되며,
    감지부의 최대점 이동에 따라 감지부의 단부에 형성된 전원단자가 전원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총기에 삽입되는 탄창을 더 포함하며,
    탄창은,
    격발시 노리쇠 뭉치의 이동에 따라 격발을 인식하도록 하는 스위치,
    스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총기의 격발시 격발시간을 생성하고, 격발시간 및 총기 식별 ID를 전송하는 통신부,
    통신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원부, 및
    통신부 및 전원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KR1020170013873A 2017-01-31 2017-01-31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KR20180089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73A KR20180089147A (ko) 2017-01-31 2017-01-31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73A KR20180089147A (ko) 2017-01-31 2017-01-31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147A true KR20180089147A (ko) 2018-08-08

Family

ID=6323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873A KR20180089147A (ko) 2017-01-31 2017-01-31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1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8001A (zh) * 2018-10-12 2019-01-18 西桥自动化(厦门)有限公司 一种枪支的激光射击装置以及模拟激光射击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14B1 (ko) 2012-10-04 2013-03-07 신명호 스크린 사격술 훈련시스템
KR101594023B1 (ko) 2015-09-02 2016-02-15 (주)벤포트 레이저 광 사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14B1 (ko) 2012-10-04 2013-03-07 신명호 스크린 사격술 훈련시스템
KR101594023B1 (ko) 2015-09-02 2016-02-15 (주)벤포트 레이저 광 사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8001A (zh) * 2018-10-12 2019-01-18 西桥自动化(厦门)有限公司 一种枪支的激光射击装置以及模拟激光射击系统
CN109238001B (zh) * 2018-10-12 2024-01-23 西桥自动化(厦门)有限公司 一种枪支的激光射击装置以及模拟激光射击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2300A (en) Retrofittable laser and recoil system for a firearm
EP1007896B1 (en)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US9759521B2 (en) Firearm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89154A (ko) 멀티플레이용 스크린 사격 장치
US20110252681A1 (en) Pulse Modulated Laser Sight for Firearms
KR101017144B1 (ko) 레이저 좌표추적에 의한 스크린 실탄 사격장치
US20070254266A1 (en) Marksmanship training device
KR101032124B1 (ko) 마일즈 기능을 갖는 사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WO2016085877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firearms training
KR101551698B1 (ko) 다수 총기 무선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470805B1 (ko)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89147A (ko) 탈부착형 레이저 발사 장치
US20070287132A1 (en) System and method of simulating firing of immobilization weapons
KR101343393B1 (ko) 모의사격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모의사격훈련시스템
EP1398595A1 (en)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KR101542926B1 (ko) 비비탄용 모의사격 시스템
CN213984765U (zh) 一种多激光枪模拟射击训练装置
KR101151853B1 (ko) 서바이벌 게임용 구조물
RU2530464C1 (ru) Стрелковый тренировочный комплекс
RU54422U1 (ru) Стрелковый тренажер (варианты)
RU2583018C1 (ru) Стрелковый видео тренажёр
KR20180123208A (ko) 실전적 훈련이 가능한 즉각조치 사격훈련장 표적제어장치.
KR100572006B1 (ko)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KR102352186B1 (ko) 리필 탄피, 모의 총기 및 이를 이용한 사격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80064163A (ko) 실전적 훈련이 가능한 즉각조치 사격훈련장 표적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