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780A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Google Patent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8780A KR20180088780A KR1020180089296A KR20180089296A KR20180088780A KR 20180088780 A KR20180088780 A KR 20180088780A KR 1020180089296 A KR1020180089296 A KR 1020180089296A KR 20180089296 A KR20180089296 A KR 20180089296A KR 20180088780 A KR20180088780 A KR 201800887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nkl
- bone
- tree
- disease
- ste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a)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개살구, 벚나무, 복사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섬개벚나무, 섬벚나무, 올벚나무, 및 왕벚나무로 이루어진 장미목(Rosale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b) 곰의말채, 말채나무, 층층나무, 흰말채나무, 산딸나무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c) 개모시풀 및 거북꼬리로 이루어진 모시풀속(Boehmeria)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및 (d) 개서어나무 및 서어나무로 이루어진 서어나무속(Carpi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or a pla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at least one plant selected from the Rosales plant group consisting of a rock horse chestnut, a plum horsetail, a mustache, a cherry tree, a radish tree, a mountain cherry tree, an apricot tree, Plant extracts; (b)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ar plants, dogwood trees, dogwood trees, white-tailed trees, cornus and corn plant; (c) one or more botanical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of Boehmeria plants consisting of anchovy and turtle tail; And (d)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pinus plants consisting of aphids and aphids, as an active ingredient. ≪ / RTI >
다핵 대형 세포인 파골세포(osteoclast)는 골(bone) 조직의 파괴 및 흡수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골 기질을 파괴하고 뼈의 미네랄을 분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파골세포는 세 개 이상의 핵을 가지고 있는데, 파골 전구세포(precursor cell)로부터 성숙한 다핵의 파골세포로 분화되기 위해서는 M-CSF(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와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와 같은 다양한 호르몬들과 인자들을 필요로 한다(Mojtaba A., et al., Cancer Biol Ther., 7:1,3-9;1 (2008)). 상기 파골세포는 골 내에서 조골세포(osteoblast)와의 불균형(imbalance)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골 조직의 파괴 및 흡수를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뼈(bone)의 질량 및 골밀도가 감소하는 골다공증(osteoporosis), 뼈에서 석회가 탈실되는 골연화증(osteomalacia), 골수가 섬유화되는 섬유성골염(fibrous ostitis), 치조골이 소실되는 치주염(periodontitis), 관절의 파괴 및 변형을 초래하는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osteoclast, which is a polynuclear large cell, has a function of destroying and absorbing bone tissue, and is said to be responsible for destroying the bone matrix and degrading the bone mineral. Activated osteoclasts have three or more nuclei. To differentiate into osteoclasts from mature osteoclast precursor cells, M-CSF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and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Mojtaba A., et al., Cancer Biol Ther., 7: 1,3-9; 1 (2008)). The osteoclasts cause abnormal bone tissue destruction and absorption due to imbalance with osteoblasts in the bone, resulting in osteoporosis in which bone mass and bone density are decreased, osteoporosis in bone, It is the cause of osteomalacia in which lime is removed, fibrous osteitis in which bone marrow is fibrous, periodontitis in which alveolar bone is lost, rheumatoid arthritis which causes joint destruction and deformation It is known.
상기 질병들의 원인 기작은 명확하게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와의 불균형은 암 세포의 골 전이, 내분비 장애,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다양한 질병들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파골세포에 의한 골 조직의 파괴 및 흡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약물들과 치료법들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현재 골다공증과 같은 파골세포에 의한 골 손상 치료에는 포사맥스(Fosamax, 성분명: aledronate), 악토넬(Actonel, 성분명: risedronate), 조메타(Zometa, 성분명: zoledronate) 등과 같은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계열의 치료제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 제제들은 대부분 파골세포의 사멸을 유도해 뼈의 손실을 지연시키거나 억제하는 작용을 하므로 턱뼈 괴사(osteonecrosis), 중증 심방 세동, 뼈 또는 관절의 무력화, 근골격의 통증 등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Coleman RE., Br J Cancer, 98:1736-1740 (2008)).Although the mechanism of the diseases is not clearly understood, the imbalance between osteoclasts and osteoblasts may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bone metastasis of cancer cells, endocrine disorders, hyperparathyroidism, A variety of drugs and treatments capable of effectively inhibiting osteoclast destruction and absorption by osteoclasts have been actively studied. Currently, bisphosphonate-based therapeutic agents such as Fosamax (aledronate), Actonel (ingredient name: risedronate), Zometa (ingredient name: zoledronate) and the like are widely used for treatment of bone damage by osteoclasts such as osteoporosis However, most of these agents induce the death of osteoclasts to delay or inhibit the loss of bones. Therefore, various kinds of side effects such as osteonecrosis, severe atrial fibrillation, inability to bones or joints, and pain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Coleman RE., Br J Cancer, 98: 1736-1740 (2008)).
한편, 유방암, 전립선암 등에서 뼈로 전이된 암세포에 의해서도 파골세포의 형성이 촉진되어 심각한 골질환들이 발생하는데 이를 치료하기 위한 약물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cancer cells that have metastasized to the bone from breast cancer and prostate cancer also promote osteoclast formation, resulting in serious bone diseases.
따라서, 기존의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약재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medicines which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bisphosphonate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의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장미목 식물 추출물, 층층나무속 식물 추출물, 모시풀속 식물 추출물 및 서어나무속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치료 부작용을 현저히 감소시킨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bisphosphonates by using one or more natural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osemary plant extracts, lamellar plant extracts, mulberry plant extracts and horseradish extracts, And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athy which is significantly reduced.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자들은 연구 결과, 장미목 식물 추출물, 층층나무속 식물 추출물, 모시풀속 식물 추출물 및 서어나무속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파골세포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골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the extract of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osemary plant extract, lamellar plant extract, mulberry plant extract and horseradish extract is used as an effective ingredi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상기 “파골세포”란, 골 기질을 파괴하고 뼈의 미네랄을 분해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조직의 파괴 및 흡수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상기 파골세포는 골 내에서 조골세포와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 골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형성 부전증, 골위축, 파제트병(paget's disease), 치주염(periodont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사성 골질환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유발되는 뼈의 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파골세포의 조직 파괴 및 골 흡수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The term " osteoclast " refers to a cell that performs a function of destroying a bone matrix and degrading minerals of a bone, thereby performing tissue destruction and absorp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osteoclast can cause osteopathy when imbalance with osteoblasts occurs in the bone.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e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steoporosis, osteomalacia, rickets, osteopenia, fibrotic bone disease,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bone atrophy, paget's disease, periodontitis, rheumatoid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metabolic bone disease, and bone damage caused by bone metastasis of cancer cell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any disease that can be induced by osteoclast tissue destruction and bone resorption No.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는 본 발명은 (a)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개살구, 벚나무, 복사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섬개벚나무, 섬벚나무, 올벚나무, 및 왕벚나무로 이루어진 장미목(Rosale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b) 곰의말채, 말채나무, 층층나무, 흰말채나무, 산딸나무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c) 개모시풀 및 거북꼬리로 이루어진 모시풀속(Boehmeria)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및 (d) 개서어나무 및 서어나무로 이루어진 서어나무속(Carpi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roses, comprising the steps of: (a) preparing a roses comprising rosemary spikelets, plum spikelets, anchovy, cherry, radish, cherry, apricot, cherry, cherry, At least one plant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of plants; (b)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ar plants, dogwood trees, dogwood trees, white-tailed trees, cornus and corn plant; (c) one or more botanical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of Boehmeria plants consisting of anchovy and turtle tail; And (d)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pinus plants consisting of aphids and aphids, as an active ingredient. Lt; / RTI >
여기서 상기 바위말발도리(나무)는 낙엽성 관목으로 종자 번식을 하는 식물 중 하나로, 산기슭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높이 1m 정도이고 작은 가지에 털이 있으며 묵은 가지는 회갈색이며, 마주나는 잎은 길이 3~6cm 정도의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4~5월에 개화하며, 꽃은 백색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밀원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위말발도리나무의 잎 또는 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위말발도리나무의 학명은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rock sparrow (tree) is a deciduous shrub that is one of the seed breeding plants, and is known to grow in rock crevices at the foot of a mountain. It is about 1m high, has small hairs on the hairs, and the old branch is grayish brown. The opposite hairs are 3 ~ 6cm long ovate and have serrate on the edge. It blooms in April to May, and flowers are white. It can be planted for ornamental purposes and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leaves or flowers of the rock spikelets. More preferably, the name of the rock spikelets is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 / RTI >
또한, 여기서 상기 매화말발도리(나무)는 댕강목이라고도 하며, 산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로,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불규칙하게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거나 넓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양면에 길이는 4~6cm인 4∼6개로 갈라진 성모(星毛)가 난다. 꽃은 5월에 피고 흰색이며 묵은 가지에 1∼3개씩 달리는데, 꽃 밑에 1∼2개의 잎이 달리기도 한다. 꽃받침통은 씨방과 붙어 있고 작은꽃자루와 더불어 성모가 빽빽이 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화말발도리 잎 또는 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화말발도리나무의 학명은 Deutzia uniflora Shira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plum blossom (tree) is also called dangganggok, and it grows in a rock gap in the mountain. About 1m high, the bark is ash-colored and irregularly peeled off. Leaves are opposite, oval or wide, with serrate on the edge, 4 ~ 6cm in length on both sides. Flowers bloom in May, white and 1 ~ 3 on old branches. One or two leaves under the flowers may also be running. The calyx tube is attached to the ovary and the Virgin Mary is closely packed with the small peduncle.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plum blossom foliage or flowers, and more preferably, the scientific name of the plum blossom foliage may be Deutzia uniflora Shirai,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여기서 상기 개살구(나무)는 산기슭의 양지쪽이나 마을 부근에서 자라며 높이는 5∼10m이다. 나무껍질은 코르크가 발달하였으며 작은 가지는 밤색을 띠고,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다. 길이는 5∼12cm이며 잎 뒷면은 녹색이고 잎자루는 길이 2∼3cm이다. 꽃은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4∼5월에 잎보다 먼저 1개씩 피며, 작은 꽃대는 길이 8mm 정도이고 꽃받침조각은 타원형이며 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잎은 둥근 모양이고 길이 10∼12mm이다. 암술은 길이 15mm 정도로서 수술과 비슷하고 암술머리는 술잔 모양이다. 씨방에는 털이 난다. 열매는 핵과로서 달걀 모양이며 떫은 맛이 나고 7~8월에 노란색으로 익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살구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살구의 학명은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etiole (tree) grows on both sides of the foot of the mountain and around the village, and the height is 5 to 10 meters. The bark is cork developed, the small branch is brown, the leaves are slanting, wide ovate, pointed end, and irregular double sawtooth. The length is 5 ~ 12cm, the back side of the leaf is green, and the petiole is 2 ~ 3cm long. Flower is pale red or white and blooms one by one in April-May before leaf, small peduncle is 8mm long, calyx is oval, and has serrate-like sawtooth. Petal is round and length is 10 ~ 12mm. The pistil is about 15mm long, similar to surgery, and the stigma has a cup shape. Ovaries are hairy. The fruit is egg-shaped as a nucleus and it has a sweet taste and ripens yellow in July-August. Preferably,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leaves, stalks, bark, fruits, and roots of the auricula, more preferably,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 < / RTI >
또한, 여기서 상기 벚나무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원산지는 한국이고 일본, 중국에 분포하고 산지에서 서식한다. 높이는 10~20m이고 짙은 갈색으로 옆으로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6~12cm의 달걀모양 또는 달걀형 바소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작은 거치가 있으며 잎 뒷면은 회색빛을 띤 녹색이다. 꽃은 4~5월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산방 또는 산형화서로 피며 꽃자루에 포가 있고 꽃받침통과 암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 6~7월에 익으며 둥근 모양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벚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axim.) E.H.Wilso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herry tree is a deciduous broad-leaved arboreous tree, and its origin is Korea, and it is distributed in Japan and China and inhabits in mountainous regions. Its height is 10 ~ 20m and it is peeled sideways with dark brown. Leaves are alternate phyllotaxis, egg-shaped or egg-shaped, 6 ~ 12cm long, with small mounts on the edge. The back side of the leaf is grayish green. Flowers bloom in April or May in pink or white with arthropods or phloem phloem, with flower stalks, with no calyx hairs. Fruit is a nucleus and ripens in June to July, and is round. Preferably,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leaves, stems, barks, fruits and roots of the cherry tree, more preferably the name of the cherry tree is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axim.) E.H. Wils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여기서 상기 복사나무(복숭아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과수로, 높이는 6m 정도이고 작은 가지에 털이 없으며 동아(冬芽)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 도피침형,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8~15㎝, 너비 1.5~3.5㎝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둔한 잔 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홍색으로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단단한 껍질이 씨앗을 감싸고 있는 열매)로서 난상 원형인데 8~9월에 익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사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사나무의 학명은 Prunus persica (L.) BATSCH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here, the radiant tree (peach tree) belongs to Rosaceae, which is arboreal deciduous and watery, about 6 m in height, has no hairs on small branches, and has hair on winter buds. Leaves are alternate, lanceolate, obovate, and lanceolate, 8 ~ 15㎝ long, 1.5 ~ 3.5㎝ wide, with no hairs on both sides and with dull serrated edges. Flower is pale red, blooms earlier than leaves in April to May, and fruit is ovary, which is an ovate-like form, ripened in August-September.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using at least one of leaves, stalks, bark, fruits, and roots of the radiant tree, more preferably, the scientific name of the radiant tree may be Prunus persica (L.) BATSCH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여기서 상기 산벚나무는 전국의 높은 산 숲 속에 자라는 낙엽활엽 큰키나무로 줄기는 높이 20m에 달한다. 줄기껍질은 짙은 자갈색이며, 옆으로 벗겨지고 피목이 옆으로 길게 나타난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다. 잎자루는 털이 없고 적자색으로 위쪽에 1쌍의 꿀샘이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 또는 연홍색으로 피며, 2-3개가 모여 산형화서를 이룬다. 꽃잎은 둥글고 향기가 없다. 꽃자루, 수술대, 암술대, 씨방에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 5-6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세계적으로 일본, 러시아 사할린 지역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벚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sargentii Rehd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mountain cherry tree is a deciduous broad-leaved bark tree growing in mountain forests of the whole country, and its stem reaches 20m in height. The stem skin is dark brown, peeled sideways, and the lobes are long side. Leaves are alternate, oval or obovate. The petiole has no hairs and purplish red, and there is a pair of honey glands on the upper part. Flowers bloom in April to May in white or pale red, 2-3 or so to form phloem. The petals are round and have no fragrance. Peduncle, operating table, style, ovary hairless. The fruit is nuclear and ripens in black-purple in June-June. It is distributed worldwide in Japan, Russia Sakhalin region.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leaves, stems, bark, fruits, and roots of the above-mentioned cherry tree, more preferably the scientific name of the cherry tree is Prunus sargentii Rehder, It is not.
또한, 여기서 상기 살구나무는 집 근처에 심어 기르는 낙엽 작은키나무로, 높이는 5m 정도이며 수피는 붉은빛을 띠며 햇 가지는 적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다. 꽃은 4월에 연한 홍색으로 핀다. 꽃받침잎은 5장이며 홍자색이고 뒤로 젖혀진다. 꽃잎은 5장이고 둥근 모양이다. 열매는 둥근 핵과이고 지름 3cm쯤이며, 7월에 노란색 또는 붉은빛을 띠는 노란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 지역에 식재한다. 중국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식용 또는 약용, 목재는 기구재로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구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구나무의 학명은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apricot tree is a deciduous tall tree planted near the house, about 5 m in height, and the bark is reddish brown, and the hawk branch is reddish brown. Leaves are alternate wide oval or broad ovate. Flowers bloom in April with a light red color. Calyx leaves are 5, reddish purple and tilted backward. There are 5 petals and a round shape. The fruit is a round nucleus, about 3cm in diameter, and ripens in yellow or reddish yellow in July. They plant in the southern central region of Korea. It is planted as ornament for Chinese origin, the fruit is edible or medicinal, and the wood is used as an appliance material. Preferably,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leaves, stalks, bark, fruit, and roots of the apricot tree, more preferably the apricot tree is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여기서 상기 섬개벚나무는 숲속에서 자라며, 높이는 10m 정도이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으로 양 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뒷면 맥액(脈腋)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8~12cm이다.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묵은가지에서 자란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짧고 끝이 둔하며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잎은 5장, 타원형이고 수술보다 짧으며 씨방에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7월에 흑자색으로 익으며 꽃받침과 수술이 그대로 남아 있다. 한국(제주),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개벚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개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buergeriana Miq.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here, the above-mentioned cherry tree grows in the forest, its height is about 10m, and the bark is gray-brown. Leaves are alternate phyllotaxis, long oval, narrowed at both ends, with small sawtooth on the edge and hairs on the vein axillary. Petiole is 8 ~ 12cm. The flower blooms in May and is white, and runs on a gun inflorescence grown from an old branch. Calyx is short, dull end, teeth-like sawtooth. The petals are 5, oval, shorter than the surgery, and have no hairs in the ovary. Fruits are round with nucleus and ripen in black purple in July, and calyx and stamen remain intact. It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Jeju) and Japan.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using at least one of the leaves, stems, barks, fruits, and roots of the senberry cherry tree. More preferably, the scientific name of the senberry cherry tree may be Prunus buergeriana Miq. It is not.
또한, 여기서 상기 섬벚나무는 울릉도 특산식물의 하나이며, 높이는 20m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작은 나뭇가지는 회갈색 또는 회자색이며 털이 없다. 겨울눈은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아심장저(亞心臟底) 또는 원저(圓底)이고 길이 8~15㎝, 너비 4~9㎝로서 양면에 털이 없다.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록색이며 톱니는 털같이 뾰족하다. 잎자루는 길이 2.5~3㎝로서 털이 없고 황록색이며 끝에 밀선(蜜腺)이 있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늦게 피고 지름 2.5㎝로서 처음에는 희지만 떨어질 무렵에는 홍색으로 되고 향기가 있다. 꽃자루가 없고 꽃은 2~5개가 산형(傘形)으로 나열한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15~18㎜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뒤로 젖혀지고 톱니가 없으며 길이 5㎜ 정도로서 피침상(披針狀) 3각형이다. 꽃받침통은 길이 6~7㎜이다. 꽃잎은 도란형(倒卵形)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12~13㎜로서 끝이 파졌다. 수술은 30~40개이고 길이 5~10㎜이며 암술은 털이 없고 길이 1㎝ 정도이다. 열매는 둥글거나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거나 둥글고 길이 1~2㎝, 너비 7㎜로서 6월에 자적색으로 익는다. 소과경은 튼튼하고 길이 2㎝, 지름 2㎜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벚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takesimensis NAKA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island cherry tree is one of the Ulleungdo-specific plants and its height reaches 20m. The bark is gray-brown and the small branches are grayish brown or gray-purple and have no hairs. The winter snow is long oval and has no hairs. Leaves are alternate phyllotaxis, ovate or ovate, long pointed end, lower heart or base, 8 ~ 15㎝ long, 4 ~ 9㎝ wide, no hairs on both sides. The surface is green, the back side is gray green, and the sawtooth is pointed like hair. The petiole is 2.5 ~ 3㎝ long with no hairs, yellowish green and has a nectar at the end. Flowers bloom later than leaves in April and have a diameter of 2.5㎝. There are no peduncle and 2 ~ 5 flowers are arranged in umbrella shape. Small peduncle is 15 ~ 18㎜ long and has no hair. The calyx leaf is backward tilted, has no sawtooth, and has a length of about 5mm and has a triangular shape. The calyx tube is 6 ~ 7㎜ in length. The petals are obovate or wide elliptical, 12 ~ 13㎜ long, and the ends are pierced. Surgery is 30 ~ 40, length is 5 ~ 10㎜, pistil is hairless and length is about 1㎝. The fruit is round or ovate, pointed or rounded, 1 ~ 2㎝ in length, 7㎜ in width, and rips in red in June. The bovine suture is durable, 2㎝ in length, and 2mm in diameter. Preferably, the extract can be obtained using at least one of the leaves, stems, barks, fruits and roots of the island cherry tree, more preferably the scientific name of the island cherry tree is Prunus takesimensis NAKAI. It is not.
또한, 여기서 상기 올벚나무는 높이 10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작은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바소 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처음에는 잎자루와 더불어 털이 있다. 잎의 뒷면 맥상에도 털이 있고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홍색이며 산형꽃차례에 2~5개의 꽃이 핀다. 작은꽃줄기에 털이 있다. 꽃받침통은 밑부분이 둥글게 부풀어 있다. 꽃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오목하며 길이 10~12mm이고 암술의 아랫쪽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둥글며 6~7월에 검게 익는다. 한국(장산곶, 위봉산, 지리산, 보길도, 제주), 일본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올벚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pendula for. ascenden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here, the above-mentioned cherry tree reaches a height of 10 m, the bark is grayish brown, and the small branches have hairs. Leaves are alternate phyllotaxis or oval, with sawtooth on edge, hairs with petiole at first. There is hair on the back side of leaf, and sawtooth. Flowers bloom earlier than leaves in April, light pink and 2 ~ 5 flowers bloom in mountain-shaped inflorescence. Small flower stalks are hairy. The bottom of the calyx tub is round and swollen. The petal is elliptical, concave at the end, 10 ~ 12mm in length, and the hair is denser at the bottom of the pistil. The fruit is round and ripens black from June to July. It is distributed in Korea (Jangsan-goat, Wibongsan, Jiri-san, Bogil-do, Jeju) and Japan.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leaves, stems, bark, fruits and roots of the above-mentioned cherry tree, more preferably, Prunus pendula for. but are not limited to, ascendens.
또한, 여기서 상기 왕벚나무는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L.)에 속하는 식물로 대부분이 북반구 온대 지역에서 자라며, 그 열매나 수피를 식용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왕벚나무의 잎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왕벚나무는 Prunus yedoensis Mats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Yoshino cherry tree is a plant belonging to the genus Rosaceae (Prunus L.). It grows in the temperate zone of the northern hemisphere and is known to be able to eat its fruit or bark. Preferably, the extract is obtained by using the leaves of the Prunus yedoensis Mats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여기서 상기 산딸나무는 중부 이남지방의 산기슭에서 자라며, 잎이 지는 낙엽교목이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잘 들어오고, 토양의 부엽질이 많은 곳에서 자라며, 높이는 3~8m이고, 잎은 달걀 또는 둥근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의 굴곡으로 되어 있다. 꽃은 꽃자루가 없으며, 작은 가지 끝에 20~30개가 하늘을 향해 피고, 길이는 3~8㎝, 나비는 2~3㎝로 백색 혹은 백녹색이며 꽃잎의 형상과 유사하다. 상기 산딸나무 열매는 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둥글고,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은 육질이 달고 식용이 가능하다.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및 갈릭산(gallic acid)을 함유할 수 있으며, 관상용 및 공업용으로 쓰이며, 열매는 식용, 약용으로 쓰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딸나무의 잎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딸나무의 학명은 Cornus kousa F.Buerger ex Mique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alder tree is a deciduous arboreous tree that grows in the foothills of the southern central region and leaves. The growth environment is sunny, grows in a lot of low-tillage soil, height is 3 ~ 8m, the leaves are egg or round, and the edges are wavy. The flower has no peduncle, 20 ~ 30 branches at the end of small branch, heading toward the sky, 3 ~ 8㎝ in length, 2 ~ 3㎝ in butterfly, white or white green, similar to petal shape. The nuts are rounded in red in October, and the shell surrounding the seeds is meaty and edible. It may contain isoquercitrin and gallic acid. It is used for ornamental and industrial purposes. The fruit is used for edible and medicinal purposes. Preferably,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leaves of the above-mentioned cornstalks, more preferably the cornstarch can be Cornus kousa F.Buerger ex Miqu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여기서 상기 곰의말채는 웅수목이라고도 한다. 산기슭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며 높이는 15m 이상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길이 8~18cm로 녹색이며 마주나고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다. 잎 앞면에는 누운 잔털이 나고 뒷면에는 희고 억센 털이 많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1~3cm로 털이 없다. 6~8월에 잔가지 끝에서 흰색의 네갈래꽃이 취산꽃차례로 빽빽이 모여 핀다. 꽃차례는 지름 8~14cm이며 1개의 암술과 4개의 수술이 있다. 꽃자루는 길이 3~4cm이며 털이 없다. 꽃잎은 넓은 바소꼴이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6mm 정도이며 10월에 푸른빛이 도는 검은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둥글며 오목한 점이 많다. 정원수로 가꾸기도 하고 목재는 공예재료로 쓴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곰의말채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곰의말채의 학명은 Cornus macrophyll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here, the bear's name is also referred to as a ' It grows at the foot of a mountain or at the edge of a forest and is more than 15 meters high. The bark is grayish brown and cracks vertically irregularly. Leaves are 8 ~ 18cm long, green, facing, oval or wide ovate. There are small hairs on the front side of the leaves and a lot of white hairs on the back side. The petiole is 1 ~ 3cm long and has no hairs. From June to August, the four-branch flower from the tip of the twig is gathered closely to the flower of the saccharide. Inflorescence is 8 ~ 14cm in diameter and has 1 pistil and 4 stamens. The peduncle is 3 ~ 4cm long and has no hairs. The petals are wide and narrow. The fruit is round and about 6mm in diameter, ripened in October with a bluish black color. Seeds are round and have many concave spots. It is also used as a gardening tool, and wood is used as a craft material. It is distributed in Korea, Japan, Taiwan and China. Preferably,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leaf, stem, bark, fruit, and root of the bear, more preferably the scientific name of the bear is Cornus macrophylla. However, It is not.
또한, 여기서 상기 말채나무는 계곡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10m이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으로 그물같이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형으로 양면에 복모(伏毛)가 약간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측맥은 4~5쌍이다. 길이 5~8cm, 나비 3~5cm이며 뒷면은 흰빛을 띤다. 잎자루는 길이 1~3cm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1.5~2.5cm이고 꽃잎은 바소꼴이다. 암술은 수술보다 짧고 수술대는 꽃잎의 길이와 비슷하다.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고 지름 6~7mm로 9~10월에 검게 익는다. 정원수로 심으며 목재는 건축재나 기구재로 쓴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말채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말채나무의 학명은 Cornus walter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dogwood grows in the valley, and the height is about 10 m. The bark is blackish brown and cracks like a net. Leaves are opposite, broad ovate or elliptical, with slightly wavy hair on both sides, plain edges and 4-5 pairs of side veins.
또한, 여기서 상기 층층나무는 산지의 계곡 숲 속에서 자란다. 높이 20m에 달하며, 가지가 층층으로 달려서 수평으로 퍼진다. 작은 가지는 겨울에 짙은 홍자색으로 물들고, 봄에 가지를 자르면 물이 흐른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측맥이 5~8줄이고 잎자루가 붉으며 잎 뒷면은 흰색이다. 잎의 양면에 미세한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넓은 바소꼴로 꽃받침통과 더불어 겉에 털이 있다. 수술은 4개이고 꽃밥이 T형으로 달리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둥글며 자흑색으로 익는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층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층나무의 학명은 Cornus controvers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stratum corneum is grown in the valley forest of the mountain. It reaches a height of 20m, and the branches spread horizontally running to the stratum. Small branches are colored with deep reddish purple in winter, and water is flowing when branches are cut in spring. Leaves are alternate, wide oval, pointed end. Leaf edges are flat, side veins are 5 to 8 in number, petiole is red, and leaf back is white. There are fine hairs on both sides of leaf. Flowers bloom from May to June, white, and form a flower bed. The petals are wide and bloom with calyxes and hairs on the outside. There are 4 stamens, anthers are T-shaped, and one pistil. The fruit is round and round in black color. It is distributed in Korea, Japan and China.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using at least one of leaves, stalks, bark, fruits, diseases and roots of the stratum, and more preferably, the stratum may be a Cornus controversa, It is not.
또한, 여기서 상기 흰말채나무는 홍서목(紅瑞木)이라고도 한다. 산지 물가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3m이다. 나무껍질은 붉은색이고 골속은 흰색이며 어린 가지에는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 모양이거나 달걀꼴 타원 모양으로서 길이 5~10cm, 나비 3~4cm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겉면은 녹색이고 누운 털이 나며 뒷면은 흰색으로서 잔털이 난다. 곁맥은 6쌍이고 잎자루는 길이 1~2.5cm이며 털이 없다. 꽃은 5~6월에 노랑빛을 띤 흰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 우산 모양으로 퍼진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지름 4~5cm, 작은 꽃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뾰족하고 짧다. 꽃잎은 4장이고 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약 3mm이다. 수술은 4개로서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암술은 수술보다 짧으며 씨방은 아랫부분에 있다. 열매는 타원 모양의 핵과(核果)로서 흰색 또는 파랑빛을 띤 흰색이며 8~9월에 익는다. 종자는 양쪽 끝이 좁고 납작하다. 종자와 꺾꽂이로 번식한다. 관상적 가치가 뛰어나 정원수로 심고, 나무껍질과 잎에 소염, 지혈 작용이 있어서 한약재로도 쓴다. 한국(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중국, 사할린섬, 몽골, 시베리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흰말채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층나무의 학명은 Cornus alb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white wood is also called red mulberry tree. It grows in mountainous waters, and its height is about 3m. The bark is red, the bone is white and the young branches have no hair. Leaves are opposite, oval or oval, 5 ~ 10cm long and 3 ~ 4cm wide. The tip is pointed, the bottom is round or wide wedge shape, and the edge is flat. The surface is green, with loose hairs and white on the back. The petiole is 6 pairs and petiole is 1 ~ 2.5cm long and has no hairs. Flowers bloom in May to June with yellowish-white color, hanging in the form of an umbrella flower. The inflorescence is 4 ~ 5cm in diameter and the peduncle is 5 ~ 10mm in length. The calyx is divided into 4 branches, and the branches are pointed and short. Petals are 4, egg-shaped, with a length of about 3mm. Four stamens are similar in length to petals, pistils are shorter than stomachs, and ovaries are in the lower part. Fruit is elliptical nucleus and white or blueish white, ripened from August to September. The seeds are narrow and flat at both ends. They breed with seeds and bones. It is planted in a garden with excellent ornamental value. It also has anti-inflammatory and hemostatic effects on the bark and leaves, so it is also used as medicinal herb. It is distributed in Korea (South Pyongan, Pyeongan, North Hamgyong, North Hamgyong), China, Sakhalin, Mongolia, Siberia and Europe.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leaves, stalks, bark, fruit, diseases and roots of the above-mentioned P. lanceolata. More preferably, the name of the stratum may be Cornus alba, It is not.
또한, 여기서 상기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이다. 타원형의 핵과(核果)로서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는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약간의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난다. 10월 중순의 상강(霜降) 이후에 수확하는데, 육질과 씨앗을 분리하여 육질은 술과 차 및 한약의 재료로 사용한다. 과육(果肉)에는 코르닌(cornin),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타닌(tannin), 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밖에 비타민 A와 다량의 당(糖)도 포함되어 있다. 종자에는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성분 중 코르닌은 부교감신경의 흥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과육을 약용하였다. 산수유나무는 한국, 중국 등이 원산으로, 한국의 중부 이남에서 심는다. 국내에서는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일원, 경상북도 의성군 등에서 특산품으로 매년 출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수유의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층나무의 학명은 Cornus officinali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orn oil is the fruit of the cornstalks which is a deciduous tree with the stratum corneum. Elliptical nuclei are green at first, but ripen reddish from October to October. Seeds are long oval and have ridges. It has a bitter sweetness and strong acidity. It is harvested after the frost fall in mid-October. The flesh is separated from the seeds and the meat is used as a material for sake, tea and Chinese medicine. The pulp contains the glycosides such as cornin, morroniside, loganin, tannin and saponin and organic acids such as wine, malic and tartaric acid. In addition, it contains vitamin A and a large amount of sugars. Seeds include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the like. Among the components, cornin is known to have an excitatory action of parasympathetic nerves. From the past, the pulp was weakened in one batch. Sansui is native to Korea and China, and is planted in the middle of South Korea. In Korea, Shandong, Gyeonggi Province, Gyeonggi Province, Gyeonggi Province, and Gyeongsangbukdo, Yusung Gun, and other local products are shipped every year.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leaves, stalks, bark, fruit, diseases and roots of the above-mentioned corn oil, more preferably the corn tree may be Cornus officinalis, no.
또한, 여기서 상기 개모시풀은 여러해살이풀로 바닷가 근처에서 주로 자라며 높이는 1미터 정도이다. 줄기는 모여 나고 잎은 마주 나며, 상기 잎은 난원형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꽃은 7-10월에 암수 한 포기로 피며, 연한 녹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열매는 수과이며, 도란형, 위쪽에 흰 털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모시풀의 전초,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모시풀의 학명은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et Sa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dogs are perennial plants, growing mainly in the vicinity of the sea, and about 1 meter in height. The stem is gathered and the leaf is opposite, the leaf is ovoid, with regular sawtooth on the edge. Flowers bloom in July-October with a matured abandon, light green, and bloom on the axilla. Fruit is achene, obovate, white hairs on the upper part. Preferably,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outpox, leaf, stem, bark, fruit, disease, and root of the canola, more preferably,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et Sav,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여기서 상기 거북꼬리(좀깨잎나무)는 높이는 50~100cm이고 줄기는 붉은 빛을 띠는 갈색이지만 녹색을 띠는 갈색인 경우도 있으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지가 가늘다. 잎은 마주나고 마름모형 달걀 모양이며 길이 4~8cm, 너비 2.5~4cm로서 끝이 꼬리처럼 길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5~6개 있다. 앞면에는 누운 털이 있고 뒷면에는 맥 위에만 털이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 1~3cm로서 붉은빛을 띤다. 꽃은 암수한그루이지만 가끔 암수딴그루도 있으며 7~8월에 피고 수상화서로 수꽃화서는 줄기의 밑부분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암꽃화서는 줄기의 윗부분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수꽃은 4개의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이 있고 암꽃은 여러 개가 모여서 달리며 통모양의 화피 안에 1개의 씨방이 있고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는 수과로 10월에 익으며 긴 달걀모양이지만 여러 개가 모여 달려 여러 개로 보이고 열매의 끝에 털이 있다. 한국이 원산지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분포하고 산골짜기 시내 근처나 숲가장자리에서 서식하며 월동하면서 끝부분이 말라 죽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북꼬리의 전초,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북꼬리의 학명은 oehmeria spicata (Thunb.) Thunb.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tortoise tail is 50-100 cm high, and the stem is reddish brown but sometimes it is greenish brown. It has hair but gradually disappears and branches are thin. Leav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are egg-shaped, 4 ~ 8cm long, 2.5 ~ 4cm wide, with long tail like tail and 5 ~ 6 large sawtooth on edge. There are hairs on the front, hairs on the veins on the back, and petiole length is 1 ~ 3cm, and it is reddish. The flower is one male and one female, but sometimes there is a dandelion, and it blooms from July to August. The female flower is running on the axilla of the lower part of the stem. The female flower stamens are on the axilla of the upper part of the stem. Male flower has four foliage pieces and surgery. Several female flowers run together. There is one ovary in the tubular flower shape, and one style. Fruit is aquatic, ripened in October, and is a long egg shape, but several are gathered together and appear as several, with hair at the end of the fruit. Korea is native to Korea, China, and Japan. It lives near the valley of the valley and at the edge of the forest. Preferably, the extract can be obtained using at least one of outposts, leaves, stems, bark, fruits, diseases and roots of the turtle tail, more preferably, the oecheria spicata (Thunb.) Thunb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여기서 상기 개서어나무는 산허리 이하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는 약 15m, 지름은 약 70c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울퉁불퉁하지만 터지지는 않으며 흰색 피목이 흩어져 있다. 잎은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2줄로 어긋나며, 끝이 뾰족하고 가는 겹톱니가 있으며 길이 4~8cm이다. 곁맥은 12~15쌍으로 앞 뒷면 맥 위에 털이 나고 잎자루는 길이 4~12mm이며 털이 난다. 꽃은 양성화로서 4~5월에 미상꽃차례로 핀다. 수꽃이삭은 대가 없고 다닥다닥 달려서 늘어지고, 암꽃이삭은 대가 있으며 드문드문 붙는다. 열매는 견과로서 화피 안에 들어 있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목재는 촘촘하고 굳으며 탄성이 있다. 기구재, 곡목(曲木), 세공, 활자, 표고버섯 재배용 목재 등으로 쓰고 수형이 깔끔하여 공원수로 심는다. 한국(전남, 전북, 경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서어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서어나무의 학명은 Carpinus tschonoski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here, the above-mentioned trees grow in the forest below the hillside. Height is about 15m and diameter is about 70cm. The bark is ash-colored and rugged but does not burst, and white lobes are scattered. Leaves are elliptical or long egg-shaped, with 2 rows of phyllotaxis, with pointed ends, thin sawtooth, 4 ~ 8cm long. The vein is 12 ~ 15 pairs in length and has hair on the front and back veins. The petiole is 4 ~ 12mm long and hairy. Flowers bloom in May to May as a bloom. The male flower ear does not have a base, it runs on the back, and the female flower ear has a base and is attached sparsely. The fruit is nuts, which are contained in the perianths and have a broad egg shape and ripen in October. The wood is dense, hard and elastic. It is used for equipment, wood, woodwork, letterpress, wood for mushroom cultivation, etc. It is distributed in Korea (Jeonnam, Jeonbuk, Gyeongnam), Japan, and China. Preferably,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leaves, stalks, bark, fruits, diseases and roots of the above-mentioned cervical spine, more preferably the carpinus tschonoskii is the scientific name of the cervical spine But is not limited to.
또한, 여기서 상기 서어나무는 서나무라고도 하며 나무이름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서쪽에 있는 나무라는 뜻으로 추측된다.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흔하게 발견된다. 서어나무는 표고버섯 재배용 골목으로 사용하지만 참나무에 비해 생산량이 적으며 땔감용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모양새가 비슷한 나무의 종류는 개서어나무, 까치박달, 소사나무 등이 있다. 높이는 15m, 지름은 1m에 달한다. 나무 껍질은 회색이고 근육처럼 울퉁불퉁하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5~7.5cm의 타원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5월에 피며 미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이삭은 작은 가지에 달리고 밑으로 처지며, 수꽃은 각 포에 1개씩 달리고 8개의 수술이 있으며 수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암꽃이삭은 자루가 있으며, 암꽃은 각 포에 2개씩 들어 있고 암술머리는 2개이다. 열매이삭은 긴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가 4~8cm이며 밑으로 처지고, 포는 4~8개이고 한쪽에 깊이 패어 들어간 톱니가 있으며 반대쪽 밑에 1개의 돌기가 있다. 열매는 소견과이고 길이 3mm의 넓은 달걀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한국(황해 이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어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어나무의 학명은 Carpinus laxiflor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here, the cedar tree is also called a standing tree, and the origin of the tree name is not certain, but it is assumed to be a tree in the west. It grows mainly in mountainous areas and is commonly found. Seedwood is used as an alley for cultivation of shiitake mushroom, but its production is less than that of oak and it is widely used for firewood. The types of trees that are similar in appearance are dogwood, magpie, and sosa. The height is 15m and the diameter is 1m. The bark is gray and bumpy like muscles. Leaves are alternate phyllotaxis, 5.5 ~ 7.5cm long elliptical or long ovate, pointed end with double sawtooth on edge, hairs on back vein. The flower is a male and female, blooming in May and running in unspecified inflorescence. The male flower sprout hangs on the small branches and sags downward. The male flower rides one by one in each bubble, has 8 operations, and the operating table is divided into 2 pieces. There is a canopy of female flower ear, two female flowers in each flower, and two pistils. Females have long cylindrical shape, 4 ~ 8cm in length, with sagging downward, 4 ~ 8 pods, with deeply pitted teeth on one side and one protrusion on the opposite side. Fruit is egg yolk with 3mm long egg shape and ripen in October. It is distributed in Korea (south of the Yellow Sea), Japan, and China.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obtained using at least one of the leaves, stems, bark, fruits, diseases and roots of the cirrus trees. More preferably, the name of the cirrus can be Carpinus laxiflora, It is not.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hibit the differentiation into osteoclast.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파골전구세포의 분화를 위해 필요한 M-CSF(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및/또는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인자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통하여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여 골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 가능하다면 제한이 없다.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hibits the activity of a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and / or a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RANKL) required for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 precursor cells To inhibit osteoclast differentiation. However, there is no limit as long as it can be us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athy by inhibit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상기 “M-CSF(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란, 조골세포와 골수 기질 세포(stromal cell)가 발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파골세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로 세포의 증식, 생존, 세포골격형성(cytoskeletal organization) 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SY., et al., J Korean Orthop Assoc., 44:151-158 (2009)).The above-mentioned "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 is a cytokine that expresses osteoblasts and bone marrow stromal cells, plays an important role in osteoclast formation and mainly plays a role in cell proliferation, survival, cytoskeletal organization (Kim SY, et al., J Korean Orthop Assoc., 44: 151-158 (2009)).
또한, 상기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란, 조골세포가 발현하는 인자로 파골전구세포에 있는 RANKL 수용기에 부착하여 파골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유도한다(Mojtaba A., Cancer biology & Therapy, 7:1,3-9;1 (2008)). RANKL은 c-fos, NFATc1(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 cytoplasmic, calcineurin-dependent 1) 및 NF-kB(nuclear factor kappa B) 등과 같은 전사인자를 활성화하여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고, PI3K(phosphatidylinositol 3-kinase) 및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와 같은 신호전달을 활성화 하여, 파골세포의 생존 및 기능을 촉진하는 역할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ZH.,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05:211-213 (2003)).In addition, the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is a factor expressing osteoblast cells, which adhere to RANKL receptors in osteoclast precursor cells to induce osteoclast growth and differentiation (Mojtaba A., Cancer biology & Therapy, 7: 1,3-9; 1 (2008)). RANKL promotes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c-fos, NFATc1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 cytoplasmic, calcineurin-dependent 1) and NF-kB (nuclear factor kappa B) (LEE ZH., et al., Biochem Biophys. (2002)).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activation of signal transduction such as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lays a role in promoting osteoclast survival and function Res Commun., 305: 211-213 (2003)).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A. a)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개살구, 벚나무, 복사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섬개벚나무, 섬벚나무, 올벚나무, 및 왕벚나무로 이루어진 장미목(Rosales) 식물군; (b) 곰의말채, 말채나무, 층층나무, 흰말채나무, 산딸나무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 (c) 개모시풀 및 거북꼬리로 이루어진 모시풀속(Boehmeria) 식물군; 및 (d) 개서어나무 및 서어나무로 이루어진 서어나무속(Carpinus) 식물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수득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 B. 상기 분말을 용매추출장치 또는 가속용매추출장치(Accelerated Solution Extractor)에서 유기용매로 추출한 뒤,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 Rosales plant group consisting of a rock horse chestnut, a plum horsetail, an apricot, a cherry tree, a radiant tree, a mountain cherry tree, an apricot tree, a cherry tree, a cherry tree, ; (b) Cornus flora, consisting of the bear's words, dogwood, dogwood, white-tailed wood, cornus and corn oil; (c) Plants of the Boehmeria family, consisting of the dogs and turtle tail; And (d) a Carpinus plant group consisting of an open-top tree and a perennial tree, and pulverizing the same; B. Extraction of the powder with an organic solvent in a solvent extraction device or an Accelerated Solution Extractor followed by filtra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는 상기 용매추출장치의 온도는 30°C내지 60°C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C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가 30°C이하인 경우에는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지 아니하여 유효성분이 유기용매에 충분히 녹아들 수 없고, 온도가 60°C이상인 경우에는 추출물의 성분이 변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solvent extraction apparatus may be 30 ° C to 60 ° C, preferably 5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30 ° C, the temperature is not sufficiently raised and the active ingredient can not sufficiently dissolve in the organic solvent.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60 ° C, the components of the extract may be denatured.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용매추출장치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solvent used in the solvent extraction apparatus may be ethanol or methanol, preferably eth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case of using ethano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yield of the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the extract can be further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methanol.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여과된 여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는 진공농축기 또는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추출된 성분을 농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oncentrating the filtered filtrate. The step of concentrating the filtrate may be a step of concentrating using a vacuum concentrator or a vacuum concentra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o long as the extracted components can be concentrated.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추가로 다른 항암제와 병용투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일반적인 암세포 증식 및 암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암으로 인한 뼈 손상 치료와 동시에 암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icancer drugs, thereby effectively inhibiting general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cancer metastasis, thereby treating bone damage caused by cancer and treating cancer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항암제로는 나이트로젠머스타드, 이마티닙, 옥살리플라틴, 리툭시맙, 엘로티닙, 네라티닙, 라파티닙, 제피티닙, 반데타닙, 니로티닙, 세마사닙, 보수티닙, 악시티닙, 세디라닙, 레스타우르티닙, 트라스투주맙, 게피티니브, 보르테조밉, 수니티닙, 카보플라틴, 소라페닙, 베바시주맙, 시스플라틴, 세툭시맙, 비스쿰알붐, 아스파라기나제, 트레티노인, 하이드록시카바마이드, 다사티닙, 에스트라머스틴, 겜투주맵오조가마이신, 이브리투모맙튜세탄, 헵타플라틴, 메칠아미노레불린산, 암사크린, 알렘투주맙, 프로카르바진, 알프로스타딜, 질산홀뮴키토산, 젬시타빈, 독시플루리딘, 페메트렉세드, 테가푸르, 카페시타빈, 기메라신, 오테라실, 아자시티딘, 메토트렉세이트, 우라실, 시타라빈, 플루오로우라실, 플루다가빈, 에노시타빈, 플루타미드, 카페시타빈, 데시타빈, 머캅토푸린, 티오구아닌, 클라드리빈, 카르모퍼, 랄티트렉세드,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이리노테칸, 벨로테칸, 토포테칸, 비노렐빈, 에토포시드, 빈블라스틴, 이다루비신, 미토마이신, 블레로마이신, 닥티노마이신, 피라루비신, 아클라루비신, 페프로마이신, 템시롤리무스, 테모졸로마이드, 부설판, 이포스파미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멜파란, 알트레트민, 다카바진, 치오테파, 니무스틴, 클로람부실, 미토락톨, 레우코보린, 트레토닌, 엑스메스탄, 아미노글루테시미드, 아나그렐리드, 올라파립, 나벨빈, 파드라졸, 타목시펜, 토레미펜, 테스토락톤,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보로졸, 비칼루타미드, 로무스틴, 5FU, 보리노스텟, 엔티노스텟 및 카르무스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anticancer agent include nitrogene mustard, imatinib, oxaliplatin, rituximab, elotinib, neratinib, lapatinib, zetitib, bandetanib, nilotinib, semathanib, conservinib, acitinib, , Corticosteroids, cisplatin, cetuximab, bismuth alum, asparaginase, tretinoin, hydroxycarbamate, terephthalic acid, tretinoin, Amlodipine, amlodipine, amlodipine, amlodipine, amlodipine, amide, amlodipine, amlodipine, amlodipine, amlodipine, But are not limited to, chitosan, gemcitabine, doxifluridine, femetrexed, tegafur, capecitabine, gimeracin, oteracil, azacytidine, methotrexate, uracil, cytarabine, fluorouracil, Tabin, flutamide, But are not limited to, paclitavine, decitabine, mercaptopurine, thioguanine, cladribine, calmophor, ralitriptycde, docetaxel, paclitaxel, irinotecan, velotecan, topotecan, vinorelbine, , Mitomycin, bromomycin, dactinomycin, pyra rubicin, aclarubicin, pepromycin, temsirolimus, temozolomide, epidermal, iopospermide, cyclophosphamide, melphalan, altret But are not limited to, corticosteroids, corticosteroids, corticosteroids, corticosteroids, corticosteroids, corticosteroids, corticosteroids, corticosteroid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moxifen, toremifene, testolactone, anastrozole, letrozole, borozol, bicalutamide, rosmutin, 5FU, borinostat, entinostate and carmustine may be used However,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capsules, tablets, granules, injections, ointments, powders or beverages,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 human.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현탁액 등의 경구형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투약앰플 또는 다수회투약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제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n oral preparation, an external preparation, a suppository, and a sterile injection solution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capsules, tablets, aqueous suspensions, etc., hav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be a binder, a lubricant, a disintegrant, an excipient, a solubilizing agent, a dispersing agent, a stabilizer, a suspending agent, a coloring matter, a perfume or the like in the case of oral administration. A solubilizing agent, an isotonic agent, a stabilizer and the like may be mixed and used. In the case of topical administration, a base, an excipient, a lubricant, a preservative and the like may be used. Formulation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 variety of ways by mixing with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oral administration may be in the form of tablets, troches, capsules, elixirs, suspensions, syrups, wafers, etc. In the case of injections, they may be formulated in unit dosage ampoules or in multiple dosage forms have. Other, solutions, suspensions, tablets, capsules,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 and the like.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Examples of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for formula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od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or mineral oil.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an anticoagulant,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flavor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n antiseptic,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또한 직장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oral,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erial, intramedullary, intrathecal, intracardiac, transdermal,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tranasal, Sublingual or rectal.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s preferred. The term "parenteral" as used herein includes subcutaneous, intradermal,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icular, intrasynovial, intrasternal, intrathecal, intralesional and intracranial injection or infusion technique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suppositories for rectal administration.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mg/kg 또는 0.001 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activity of the specific compound used, age, weight, general health, sex, diet,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drug combination and the severity of the particular disease to be prevented or treated. And the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body weight, the degree of disease, the type of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period of time, and may be 0.0001 to 50 mg / kg or 0.001 to 50 mg / kg. The administration may be carried out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The dos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into pills, dragees, capsules, solutions, gels, syrups, slurries and suspensions.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 예에서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이용한 골질환의 치료 방법 등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bone diseases us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 예에서는 (a)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개살구, 벚나무, 복사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섬개벚나무, 섬벚나무, 올벚나무, 및 왕벚나무로 이루어진 장미목(Rosale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b) 곰의말채, 말채나무, 층층나무, 흰말채나무, 산딸나무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c) 개모시풀 및 거북꼬리로 이루어진 모시풀속(Boehmeria)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및 (d) 개서어나무 및 서어나무로 이루어진 서어나무속(Carpi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nt of Rosales plant consisting of (a) Rosaceae, Plum Horseradish, Anchovy, Cherry, Radish, Mountain Prunus, Apricot Tree, Prunus Prunus, At least one plant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ar plants, dogwood trees, dogwood trees, white-tailed trees, cornus and corn plant; (c) one or more botanical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of Boehmeria plants consisting of anchovy and turtle tail; And (d)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pinus plants consisting of aphids and hemlines, as an active ingredient, for improving or alleviating bone diseases, ≪ / RTI >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이란, 골 질환 개선 및 예방을 위해 다양하게 이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기존의 식품용 섭취물로부터 개량되어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10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풍미제 및 천연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1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 "food composition" is used variously for improving and preventing bone diseases. The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various foods such as beverages, gums, tea, vitamins Granules, tablets, capsules, confections, rice cakes, breads, and the like. Since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and prepared from an existing food-grade food having little toxicity and side effects, it can be safely used for prolonged use for preventive purpose.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ained in the food composition, the amount thereof may be added in a proportion of 0.1 to 100% of the total weight. Here, when the food composition is prepared in a beverage form, there are no particular limitations other than those containing the food composition at the indicated ratios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such as ordinary beverages as an additional ingredient. That is,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disaccharides such as fruc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can do. Examples of the flavors include natural flavors (such as tau mar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and glycyrrhizin), and synthetic flavors (for example, saccharin and aspartame).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Stabilizers, antiseptics, glycerin, alcohols,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etc.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ratio of such additives is usually in the range of 10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o, 0.1 to 100 parts by weight.
본 발명은 장미목 식물 추출물, 층층나무속 식물 추출물, 모시풀속 식물 추출물 및 서어나무속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통해 낮은 부작용으로 골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hibit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us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natural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osemary plant extracts, lamellar plant extracts, mulberry plant extracts and horseradish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treat bone diseases effectively with low sid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위말발도리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딸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모시풀과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사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벚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위말발도리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위말발도리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딸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딸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모시풀과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모시풀과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사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사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벚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벚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of confirming toxicity of a rock horse chestnut and its plant extracts on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of confirming toxicity of a cornus and its herbal extracts on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oxicity of the extract of the canola and its plant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oxicity of Sosa tree and its plant extracts on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toxicity of Wang cherry tree and its plant extracts to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of the rock horse chestnut and its inborn plant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of the rock horse chestnut and its inborn plant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ion effect of the extract of the nursery tree and the herbaceous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of a nursery tree and its plant extra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of canola and its plant extra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of canola and its plant extra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of Sosa tree and its inborn plant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of Sosa tree and its inborn plant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of the Yoshino cherry tree and its plant extra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of the Yoshino cherry tree and its in vivo plant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only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Example]
[제조예] [Manufacturing Example] 추출에 사용된 재료 및 추출 조건Materials used for extraction and extraction conditions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33가지 종류의 식물에 대하여 추출 조건 1 또는 2로 추출하였다. 식물의 종류 및 추출조건은 하기 표 1 및 2와 같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33 kinds of plants were extracted under
조건Condition
[비교예] [Comparative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식물과 동속에 속하는 비교를 위한 식물 리스트Plants for comparison belonging to the plant and the c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효능이 동속에 속하는 식물에 비하여 효능이 우수함을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 추출물은행(http://extract.kribb.re.kr)에서 바위말발도리, 산딸나무, 개모시풀, 소사나무 및 왕벚나무의 동속에 속하는 식물을 구입하였다. 상기 식물의 속명은 하기 표 3과 같다.In order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at of the plants belonging to the genus Dongkuk, We purchased plants belonging to the family of the Yoshino cherry tree. The genera of the plan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Deutzia prunifoliaRock spruce tree
Deutzia prunifolia
Cornus kousaA mountain tree
Cornus kousa
Boehmeria platanifoliaDog wrestling
Boehmeria platanifolia
Carpinus laxifloraSosa tree
Carpinus laxiflora
Prunus yedoensisYoshino cherry tree
Prunus yedoensis
[실시예 1] 생[Example 1] 쥐의 골수 대식세포 분리 및 배양Isolation and culture of mouse bone marrow macrophages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를 통해 얻은 추출물에 대하여,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생쥐 골수 대식세포를 하기의 과정으로 분리 및 배양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the mouse bone marrow macrophage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the following manner for the extracts obtained in the above Preparatio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3주령의 수컷 ICR 생쥐(㈜ 나리바이오텍, 대한민국)를 경추 탈골을 통해 죽인 뒤, 겸좌를 이용하여 상기 쥐의 뒷다리 외피를 벗기고, 수술용 가위로 외피가 벗겨진 뒷다리를 절단하여 무혈청 α-MEM(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 Gibco, USA)에 보관하였다. 또한, 핀셋을 이용하여 근육 속의 뼈를 분리한 뒤, 새로운 α-MEM에 옮긴 뒤 주사기(syringe)에 600μl의 α-MEM을 담아 분리된 다리뼈의 중앙 척수 부분에 삽입하고 2 내지 3회 분사하여 골수 세포를 적출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적출된 골수세포는 원심분리(centrifuge)를 통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뒤, 새로운 α-MEM을 넣고 골수세포로부터 골수 대식세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 배지인 히스토파크(histopaque; Sigma-Aldrich, USA)를 사용하여 골수 대식세포를 최종적으로 분리하였다.Three-week-old male ICR mice (Nari Biotech, Korea) were sacrificed by cervical dislocation, and then the hindlimb outer skin of the rat was removed using a saddle seat. 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 Gibco, USA). In addition, the bones in the muscles were separated using tweezers, transferred to a new α-MEM, 600 μl of α-MEM was placed in a syringe and inserted into the central spinal part of the separated leg bone and injected 2 to 3 times Bone marrow cells were harvested. The extracted bone marrow cells were centrifuged to remove the supernatant, and then a fresh α-MEM was added thereto to separate the bone marrow macrophages from the bone marrow cells. A histopaque (Sigma -Aldrich, USA) was used to finally isolate the bone marrow macrophages.
상기 과정을 통해 분리된 골수 대식세포는 1%의 항생-항균 용액(antibiotic-antimycotic; Gibco, USA),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USA) 및 M-CSF(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R&D system Inc., USA) 30ng/ml이 포함되어 있는 α-MEM 영양 배지로 37℃, 5% CO2 배양기 내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The bone marrow macrophages isolated from the above procedure were treated with 1% antibiotic-antimycotic (Gibco, USA),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USA) and M-CSF culture medium containing 30 ng / ml of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R & D system Inc., USA) at 37 ° C in a 5% CO 2 incubator.
[실시예 2] [Example 2] 추출물의 세포 독성 여부 확인Determine whether the extract is cytotoxic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 배양 배지는 1%의 항생-항균 용액 및 10% FBS(fetal bovine serum)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X104개의 생쥐 대식세포를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생쥐 대식세포가 분주된 96-웰 플레이트에 각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5mg/ml MTT(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각 웰당 20μl씩 첨가하고 37,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리고 배지를 제거한 후에 DMSO를 100μl씩 첨가하고 쉐이커에서 20분간 용해시키고, ELISA 리더기를 이용해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 및 시료의 독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배지만 처리한 웰)의 생존율에 대한 실험군(각 추출물을 처리한 각각의 웰)의 생존율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상기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의 생존률을 기준으로 하여 백분율로 계산하여 도 1 내지 도 5 및 하기 표 4 내지 표 8 나타내었다. In order to confirm the toxicity of the extracts of the preparation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ells, a cytotoxicity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cell culture medium used was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pplemented with 1% antibiotic-antimicrobial solution and 10% FBS (fetal bovine serum). To each well of a 96-well plate, 1 x 10 4 mouse macrophages were dispensed and cultured for 24 hours at 37, 5% CO 2 . Then, each extract was added to 96-well plates in which mouse macrophages were dispensed, and further cultured for 24 hours. A 5mg / ml MTT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solution was added in each 20μl per well. After 24 hours,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37, 5% CO 2 cell incubator for 4 hours. After removing the medium, 100 μl of DMSO was added, dissolved in a shaker for 20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70 nm using an ELISA reader to confirm cell viability and toxicity of the sample. Cell viability was calculated as a percentage of the survival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each well treated with each extract) versus the survival rate of the control (well treated with well).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 to 5 and Tables 4 to 8 as percentages based on the survival rate of the control group.
도 1, 표 4 및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위말발도리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매화말발도리나무 줄기 추출물만이 고농도에서 낮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었고, 다른 동속 식물 추출물에서는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1, Table 4 and Table 5, it was found that only the plum blossom tree trunk extract showed low cell viability at the high concentration and the other plant extracts did not have cytotoxicity .
빈도리
잎, 꽃A diver
Frequently
Leaves, flowers
빈도리
줄기A diver
Frequently
stem
발도리
줄기Plum
Valdor
stem
발도리
잎Plum
Valdor
leaf
꽃, 잎Water bounty
petal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줄기
Water bounty
stem
발도리
잎
Rock horse
Valdor
leaf
발도리
줄기
Rock horse
Valdor
stem
잎,줄기
Geography
Leaves, stem
도 2, 표 6 및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딸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말채나무의 잎 및 줄기 추출물과 층층나무의 과병 추출물, 흰말채나무의 잎 및 줄기 추출물 그리고 산수유 열매 추출물에서 고농도 처리 시 낮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2, Table 6, and Table 7, among the nursery tree and its plants, a high concentration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leaf and stem extracts of the seedlings, the leafy and stem extracts of the woody trees, Cell survival rate.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잎
Bear
leaf
줄기-수피
Bear
Stem-bark
잎,줄기
Dogwood
Leaves, stem
줄기-수피
Dogwood
Stem-bark
잎,줄기
Dogwood
Leaves, stem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과병
Dogwood
Disease
열매
Dogwood
Fruit
잎,줄기
White wood
Leaves, stem
줄기
A mountain tree
stem
열매
A mountain tree
Fruit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잎
A mountain tree
leaf
줄기-수피
A mountain tree
Stem-bark
잎,줄기
Corn oil
Leaves, stem
열매
Corn oil
Fruit
도 3 및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모시풀과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개모시풀 전초 추출물과 거북꼬리 전초 추출물의 고농도 처리 시 낮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왕모시풀은 다른 동속 식물 추출물보다 낮은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3 and Table 8, it was confirmed that low cell survival rate was observed in the high concentration treatment of the outbred extract of T. ganoderma and the T. tail outpost extract in the outbreak of T. mori. It was confirmed that Wang Mousypole exhibited cytotoxicity at lower concentrations than other plant extracts.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전초
Moschino
outpost
전초
Wang Moche
outpost
지상부
Island Moschip
Above ground
전초
Dog wrestling
outpost
나무
전초
Little bitch
tree
outpost
전초
Turtle tail
outpost
전초
Turtle tail
outpost
도 4, 표 9 및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사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까치박달 잎 추출물과 서어나무 잎 추출물에서는 세포 독성이 없으며, 다른 추출물의 경우에는 고농도 처리 시 일부 세포 독성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4, Table 9 and Table 10, there was no cytotoxicity in the extracts of black currant leaf and cercus leaf and in the other extracts, some cytotoxicity was observed in the high concentration treatment Respectively.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줄기-수피
Dogwood tree
Stem-bark
잎,줄기
Dogwood tree
Leaves, stem
가지
Magpie
Branch
잎
Magpie
leaf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꽃
Heaven tree
Flower
잎
Heaven tree
leaf
줄기-수피
Heaven tree
Stem-bark
잎,줄기
Sosa tree
Leaves, stem
도 5, 및 표 11 내지 표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왕벚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은 모두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5 and Tables 11 to 15,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Yoshino cherry and its plants were not cytotoxic.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줄기-수피
Dog cherry tree
Stem-bark
잎
Seahorse
leaf
줄기
Seahorse
stem
줄기-수피
Seahorse
Stem-bark
잎,줄기,꽃
Dugong tree
Leaf, stem, flower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잎
cherry
leaf
줄기-수피
cherry
Stem-bark
꽃
Copy tree
Flower
줄기-수피
Copy tree
Stem-bark
잎,줄기
Copy tree
Leaves, stem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잎
Mountain cherry tree
leaf
줄기
Mountain cherry tree
stem
잎
Apricot tree
leaf
줄기
Apricot tree
stem
줄기-수피
Apricot tree
Stem-bark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잎
Cherry tree
leaf
줄기-수피
Cherry tree
Stem-bark
잎
Island cherry tree
leaf
줄기-수피
Island cherry tree
Stem-bark
잎,줄기
Anchors
Leaves, stem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잎,줄기
A lady's neck
Leaves, stem
줄기-수피
All cherry trees
Stem-bark
잎,줄기
All cherry trees
Leaves, stem
잎,꽃
Yoshino cherry tree
Leaves, flowers
줄기
Yoshino cherry tree
stem
줄기
Plum tree
stem
[실시예 3] [Example 3] 파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율 확인Identification of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to osteoclasts
골수 대식세포에서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로의 분화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에 의해 억제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 확인 실험을 수행하였다("Park EK.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5 (4):1472-1480 (2004)" 참고).In order to confirm that the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macrophages into osteoclasts induced by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is inhibited by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hibi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was examined "Park EK.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5 (4): 1472-1480 (2004)).
분화 억제율 확인 실험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준비된 골수 대식세포를 96-웰에 5X104 cells/well개씩 분주하였다. 그 뒤, 각각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α-MEM(1%의 항생-항균 용액, 10% FBS, 30ng/ml의 M-CSF, 50ng/ml의 RANKL 첨가) 배지에 혼합하여 최종 볼륨이 200μl가 되도록 준비한 다음, 상기 분주된 골수 대식세포에 처리하고 37, 5% CO2 조건인 세포 배양기에서 2일마다 신선한(fresh) 배지로 교체하며 최종적으로 5일간 배양하여 실험군을 준비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1%의 항생-항균 용액, 10% FBS, 및 30ng/ml의 M-CSF가 첨가된 α-MEM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하여 준비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1%의 항생-항균 용액, 10% FBS, 30ng/ml의 M-CSF, 및 50ng/ml의 RANKL이 첨가된 α-MEM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군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양된 세포의 측정은 TRAP assay kit(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 assay kit; Sigma-Aldrich, USA)를 통하여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핵이 3개 이상에 해당하는 파골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 내지 도 15 및 표 16 내지 표 21에 나타내었다.For confirmation of differentiation inhibition rate, the bone marrow macrophages prepa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were dispensed into 96-wells at 5 × 10 4 cells / well. Each extract was then mixed with α-MEM per concentration (1% antibiotic-antimicrobial solution, 10% FBS, 30 ng / ml M-CSF and 50 ng / ml RANKL) to a final volume of 200 μl After the preparatio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the above-mentioned mixed bone marrow macrophages and replaced with fresh medium every 2 days in a cell incubator under 37, 5% CO 2 condition, and finally, the cells were cultured for 5 days to prepare an experimental group. As a negative control, cells were prepared using α-MEM supplemented with 1% antibiotic-antimicrobial solution, 10% FBS, and 30 ng / ml of M-CSF. As a positive control, 1% antibiotic- Solution, 10% FBS, 30 ng / ml M-CSF, and α-MEM supplemented with 50 ng / ml RANKL. The number of osteoclasts with three or more nuclei was measured by light microscope after TRAP assay (Sigma-Aldrich, USA) with TRAP assay kit (Sigma-Aldrich, USA) 6 to 15 and Table 16 to Table 21.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분화 억제율(%)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ion rate (%)
잎, 꽃
A lot of chaos
Leaves, flowers
줄기
A lot of chaos
stem
줄기
Plum blossoms
stem
잎
Plum blossoms
leaf
꽃, 잎
Water bounty
petal
줄기
Water bounty
stem
잎
Rock spade
leaf
줄기
Rock spade
stem
잎,줄기
Geography
Leaves, stem
도 8, 도 9 및 표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딸나무 및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곰의말채의 경우에는 잎 추출물과 줄기(수피)의 추출물에서 모두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말채나무의 잎 및 줄기의 추출물, 층층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과 잎 및 줄기 추출물, 그리고 과병 추출물에서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층층나무의 열매에서는 약간 낮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흰말채나무의 잎 및 줄기 추출물과 산딸나무의 잎 추출물, 줄기 추출물과 줄기(수피) 추출물에서도 현저히 높은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반면, 산딸나무의 열매 추출물에서는 낮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같은 식물이라도 잎, 줄기 등의 조직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산수유의 잎 및 줄기 추출물과 열매 추출물에서도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S. 8, 9 and 17, in the case of bear plants, the extracts of leaves and stems (bark) showed high inhibition rates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Leaf and stem extracts of leaves and stem, and stem and bark extracts of leaves and stem extracts of the stratum corneum showed high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ion rat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e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was slightly lower in the fruit of the stratu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s of stem and stem extracts, stem extracts, stem extracts and stem (bark) extracts of white mulberry trees exhibited a significantly high inhibition rate of differentiation, while those of the fruit extracts of mulberry trees showed a low inhibition rate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even the same plants exhibit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issues such as leaves and stem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ion rates were also high in leaves and stem extracts and fruit extracts of corn oil.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잎
Bear
leaf
줄기-수피
Bear
Stem-bark
잎,줄기
Dogwood
Leaves, stem
줄기-수피
Dogwood
Stem-bark
잎,줄기
Dogwood
Leaves, stem
과병
Dogwood
Disease
열매
Dogwood
Fruit
잎,줄기
White wood
Leaves, stem
줄기
A mountain tree
stem
열매
A mountain tree
Fruit
잎
A mountain tree
leaf
줄기-수피
A mountain tree
Stem-bark
잎,줄기
Corn oil
Leaves, stem
열매
Corn oil
Fruit
도 10, 도 11 및 표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모시풀 및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개모시풀 전초 추출물과 거북꼬리 전초 추출물에서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S. 10, 11 and 18, it was confirmed that the outgrowth of the extracts of T. ganoderma and T. turtle tail outbreak extracts showed a high inhibitory rate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mong the germinated ginseng and its plants.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Number of RANKL-induced osteoclasts
분화 억제율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ion rate (%)
전초
Moschino
outpost
전초
Wang Moche
outpost
지상부
Island Moschip
Above ground
전초
Dog wrestling
outpost
전초
Mulberry leaves
outpost
전초
Turtle tail
outpost
전초
Turtle tail
outpost
도 12, 도 13 및 표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사나무 및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개서어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과 잎 및 줄기 추출물, 그리고 서어나무의 꽃 추출물과 서어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에서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S. 12, 13, and 19, among the Sosa tree and its plants, the stem (bark) extract, leaf and stem extracts, and the flower extracts of Cervus sp. And the inhibition rate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was high in the extracts.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파골세포의 수RANKL-induced
Number of osteoclasts
줄기-수피
Dogwood tree
Stem-bark
잎,줄기
Dogwood tree
Leaves, stem
가지
Magpie
Branch
잎
Magpie
leaf
꽃
Heaven tree
Flower
잎
Heaven tree
leaf
줄기-수피
Heaven tree
Stem-bark
잎,줄기
Sosa tree
Leaves, stem
도 14, 도 15, 표 20 및 표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왕벚나무 및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개살구의 잎 추출물과 줄기 추출물, 줄기(수피) 추출물과 벚나무의 잎 추출물, 복사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 산벚나무의 잎 추출물과 줄기 추출물, 살구나무의 잎 추출물, 섬개벚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 섬벚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 올벚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 왕벚나무의 줄기 추출물에서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s. 14, 15, 20, and 21, among the Yoshino cherry tree and its plants, leaf extract and stem extract, stem (bark) extract and cherry leaf extract, Extracts, Leaf Extracts and Stem Extracts from Mountain Cherry Blossoms, Apricot Tree Leaf Extracts, Stem Extracts from Chrysanthemum cherry Extract, Stem Extracts from Ishihara Cherry Blossom, Stem Extracts from Oryzant Indicating that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ion rate is high.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파골세포의 수RANKL-induced
Number of osteoclasts
줄기-수피
Dog cherry tree
Stem-bark
잎
Seahorse
leaf
줄기
Seahorse
stem
줄기-수피
Seahorse
Stem-bark
잎,줄기,꽃
Dugong tree
Leaf, stem, flower
잎
cherry
leaf
줄기-수피
cherry
Stem-bark
꽃
Copy tree
Flower
줄기-수피
Copy tree
Stem-bark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복사나무
잎,줄기
-
Copy tree
Leaves, stem
잎
Mountain cherry tree
leaf
줄기
Mountain cherry tree
stem
잎
Apricot tree
leaf
줄기
Apricot tree
stem
줄기-수피
Apricot tree
Stem-bark
잎
Cherry tree
leaf
줄기-수피
Cherry tree
Stem-bark
잎
Island cherry tree
leaf
(㎍/㎖)Extract concentration
(占 퐂 / ml)
파골세포의 수RANKL-induced
Number of osteoclasts
분화 억제율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ion rate (%)
줄기-수피Island cherry tree
Stem-bark
잎,줄기Anchors
Leaves, stem
잎,줄기A lady's neck
Leaves, stem
줄기-수피All cherry trees
Stem-bark
잎,줄기All cherry trees
Leaves, stem
잎,꽃Yoshino cherry tree
Leaves, flowers
줄기Yoshino cherry tree
stem
줄기Plum tree
stem
또한, 표 22 및 표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0에 해당하는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파골세포 분화 억제 정도 및 추출물의 농도의 차이는 일부 존재하였지만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추출물들은 세포 독성이 없거나 크지 않는 농도에서 산딸나무 잎, 굴피나무 잎, 바위말발도리나무 잎 및 꽃, 담쟁이 덩굴 잎 및 줄기, 왕벚나무 잎, 소사나무 잎, 가죽나무 잎 및 개모시풀 잎은 특히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22 and Table 23, although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uppress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extract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corresponding to 0, it was confirmed that osteoclast differentiation was suppressed in most experimental groups. In addition, each of the extracts was found to have no or less cytotoxic concentrations, such as the leaves of Corolla, Eucalyptus, Leucophora and Blossom, Ivyvine and Stem, Yoshino cherry, Sosa, Leaf and Leaf Especially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to osteoclasts.
(μg/ml)Concentration of extract
(μg / ml)
파골세포의 수Differentiated into RANKL
Number of osteoclasts
잎 및 꽃Rock spade
Leaves and flowers
(μg/ml)Extract concentration
(μg / ml)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들을 이용하면 낮은 부작용으로 대식세포에서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들을 효과적으로 골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nhibit the differentiation from macrophages to osteoclasts with low side effects. Thus, the extra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one disease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상기 결과를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above resul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s (13)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which comprises a Boehmeria plan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추출물은 잎, 꽃, 줄기, 수피, 과병, 열매,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ract is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aves, flowers, stems, bark, disease, fruit, and outpost.
상기 골질환은 파골세포의 골 흡수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bone disease is caused by bone resorption of osteoclasts.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형성 부전증, 골위축, 파제트(paget's disease), 치주염(periodont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사성 골질환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유발되는 뼈의 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ne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steoporosis, osteogenesis, rickets, osteopenia, fibrotic bone disease, intractable bone disease, osteoarthritis, bone atrophy, paget's disease, periodontitis, rheumatoid arthritis, And bone damage caused by bone metastasis of cancer cells. ≪ RTI ID = 0.0 > 21. < / RTI >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and alleviating bone diseases comprising an extract of Boehmeria plant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추출물은 잎, 꽃, 줄기, 수피, 과병, 열매,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식품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xtract is any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aves, flowers, stems, bark, disease, fruit, and whole plants.
상기 골질환은 파골세포의 골 흡수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aid bone disease is caused by bone resorption of osteoclasts.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형성 부전증, 골위축, 파제트(paget's disease), 치주염(periodont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사성 골질환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유발되는 뼈의 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식품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one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steoporosis, osteogenesis, rickets, osteopenia, fibrotic bone disease, intractable bone disease, osteoarthritis, bone atrophy, paget's disease, periodontitis, rheumatoid arthritis, And bone damage caused by bone turnover of cancer cells.
(b) 상기 분말을 용매추출장치에서 유기용매로 추출한 뒤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a) obtaining a Boehmeria plant and pulverizing it; And
(b) extracting the powder with an organic solvent in a solvent extraction apparatus, followed by filtration.
상기 용매추출장치의 온도는 30°C 내지 60°C인,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solvent extraction apparatus is 30 ° C to 60 ° C.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는 것인,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xtracting step is carried out with ethanol or methanol.
상기 제조방법은 (b) 단계 이후에 여과된 여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centrating the filtered filtrate after step (b).
상기 골질환은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형성 부전증, 골위축, 파제트(paget's disease), 치주염(periodont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사성 골질환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유발되는 뼈의 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bove-mentioned bone diseases include bone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osteomalacia, rickets, osteopenia, fibrotic bone disease,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bone atrophy, paget's disease, periodontitis, rheumatoid arthritis, Metabolic bone disease, and bone damage caused by bone metastasis of cancer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114855 | 2016-09-07 | ||
KR1020160114855 | 2016-09-07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0780A Division KR101954696B1 (en) | 2016-09-07 | 2017-08-31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8780A true KR20180088780A (en) | 2018-08-07 |
KR101954190B1 KR101954190B1 (en) | 2019-03-05 |
Family
ID=61561524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0779A KR101954695B1 (en) | 2016-09-07 | 2017-08-31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KR1020170110780A KR101954696B1 (en) | 2016-09-07 | 2017-08-31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KR1020170110781A KR101924532B1 (en) | 2016-09-07 | 2017-08-31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KR1020180089296A KR101954190B1 (en) | 2016-09-07 | 2018-07-31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KR1020180135075A KR101957422B1 (en) | 2016-09-07 | 2018-11-06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KR1020180135066A KR101968534B1 (en) | 2016-09-07 | 2018-11-06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0779A KR101954695B1 (en) | 2016-09-07 | 2017-08-31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KR1020170110780A KR101954696B1 (en) | 2016-09-07 | 2017-08-31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KR1020170110781A KR101924532B1 (en) | 2016-09-07 | 2017-08-31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5075A KR101957422B1 (en) | 2016-09-07 | 2018-11-06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KR1020180135066A KR101968534B1 (en) | 2016-09-07 | 2018-11-06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6) | KR101954695B1 (en) |
WO (1) | WO201804814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1571B1 (en) | 2018-04-11 | 2020-11-2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comprising ciclopirox |
KR102186886B1 (en) * | 2018-07-11 | 2020-12-04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containing Prunus jamasakur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
KR20200064776A (en) * | 2018-11-29 | 2020-06-0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Composiotion for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fracture including prunus davidiana franchet |
KR20200099357A (en) | 2019-02-14 | 2020-08-2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 Containing Extract from Bark of Prunus serrulata |
KR102415187B1 (en) * | 2019-06-25 | 2022-07-01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 comprising a extract mixture of ulmus bark and cornus officinalis |
US20220274935A1 (en) * | 2019-07-15 | 2022-09-01 |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
KR102481063B1 (en) | 2020-06-30 | 2022-12-27 | 한국콜마주식회사 | 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prunus armeniaca flower |
KR102640518B1 (en) * | 2020-12-11 | 2024-02-27 |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 Composition for anti-coronavirus containing extract of Prunus genus |
KR102672417B1 (en) * | 2021-12-16 | 2024-06-07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vascular calcification containing extracts of cornus controversa |
CN117243121B (en) * | 2023-10-09 | 2024-07-16 | 西北农林科技大学 | Method for regenerating urine-dredging blade organs of hook teeth |
CN118415341B (en) * | 2024-06-27 | 2024-09-17 | 朗姿赛尔生物科技(广州)有限公司 | Composition for increasing bone mineral dens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1303A (en) * | 2001-09-17 | 2003-06-20 | Suzuka Univ Of Medical Science |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plant, and medicine and food for health use comprising the same composition as active ingredient |
JP2005281221A (en) * | 2004-03-30 | 2005-10-13 | Taisho Pharmaceut Co Ltd | Bone absorption inhibitor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08628A (en) * | 1998-05-01 | 1999-06-01 | Hou; Liping | Compositions with analgesic, antipyretic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
US6350476B1 (en) * | 2000-05-22 | 2002-02-26 | Shanxi Zhengzhon Pharmaceutical Co., Ltd. | Herbal chinese joint complex |
WO2002069992A1 (en) * | 2001-03-02 | 2002-09-12 | Biopharmacopae Design International Inc. | Plant extract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ellular protease inhibitors |
EP1407777B8 (en) * | 2001-06-15 | 2009-08-05 | Kyowa Hakko Bio Co., Ltd. | Hydrangea(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
EP1325681A1 (en) * | 2001-12-11 | 2003-07-09 |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 Composition for promotion of bone growth and maintenance of bone health |
JP2007137775A (en) * | 2005-11-15 | 2007-06-07 | Kaneka Corp | Osteoprotegerin (opg,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y factor) production-accelerating composition |
KR100823354B1 (en) * | 2006-07-14 | 2008-04-1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runus persica L. Batsch for treating and preventing bone disease |
KR101256925B1 (en) * | 2010-11-02 | 2013-04-1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 |
JP2016108301A (en) * | 2014-12-10 | 2016-06-20 | サンスター株式会社 | Osteoblast differentiation promoter |
-
2017
- 2017-08-31 KR KR1020170110779A patent/KR101954695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7-08-31 KR KR1020170110780A patent/KR10195469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7-08-31 KR KR1020170110781A patent/KR10192453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7-08-31 WO PCT/KR2017/009535 patent/WO201804814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
- 2018-07-31 KR KR1020180089296A patent/KR10195419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8-11-06 KR KR1020180135075A patent/KR10195742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8-11-06 KR KR1020180135066A patent/KR10196853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1303A (en) * | 2001-09-17 | 2003-06-20 | Suzuka Univ Of Medical Science |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plant, and medicine and food for health use comprising the same composition as active ingredient |
JP2005281221A (en) * | 2004-03-30 | 2005-10-13 | Taisho Pharmaceut Co Ltd | Bone absorption inhibito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4, 43(1), pp. 118-127*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4532B1 (en) | 2018-12-03 |
KR20180028017A (en) | 2018-03-15 |
KR101954695B1 (en) | 2019-03-07 |
KR20180028018A (en) | 2018-03-15 |
WO2018048140A1 (en) | 2018-03-15 |
KR101968534B1 (en) | 2019-04-12 |
KR20180028019A (en) | 2018-03-15 |
KR20180122983A (en) | 2018-11-14 |
KR101954696B1 (en) | 2019-03-07 |
KR101957422B1 (en) | 2019-03-12 |
KR101954190B1 (en) | 2019-03-05 |
KR20180123210A (en) | 2018-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7422B1 (e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 |
Hossain et al. | Cultivation and uses of stevia (Stevia rebaudiana Bertoni): A review | |
KR101163555B1 (en) | Method for cultivating ginseng with enhanced specific saponin content and ginseng cultivated by the same method | |
EP3603422B1 (en) | Complex of moringa for use in treating a periodontal disease | |
KR101828584B1 (en) |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extracts including Veratrum nigrum var. ussuriense, Juglans mandshurica, Rodgersia podophylla and Chaenomeles sinensis with antioxidant activity or whitening | |
KR101947786B1 (en) | Food Composition for Stress Relaxation, Fatigue Recovery 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Comprising Extract of herb | |
JP2012214414A (en) | β-SECRETASE INHIBITOR, AND FOOD AND DRINK INCLUDING β-SECRETASE INHIBITOR, AND INHIBITION RATE MEASURING METHOD TO MEASURE INHIBITION RATE THEREOF | |
Vyas et al. | An update review on Annona Squamosa | |
KR20110092673A (en) | Dietary composition for lowering blood press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Ahlawat et al. | Black mulberry (Morus nigra) | |
KR20170115873A (en) | Fruit and tuber ju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20120000250A (en) | Composition for anticancer drugs comprising an extract of boehmeria spicata thunb | |
KR20220043660A (en) | New soybean variety comprising high content of epicatechin | |
KR102410704B1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bone disease comprising Euonymus sp. plant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 |
KR102525930B1 (en) |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containing extracts of Jeoktanshim group of Hibiscus syriacus as an active ingredient | |
Nair et al. | Biochemical and phytochemical variations during the growth phase of Withania somnifera (L.) Dunal | |
KR101665875B1 (en) | Composition for treating prostate disease comprising korean native plants | |
Meena et al. | Underutilized fruit crops of Indian arid and semi-arid regions: importanc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Horticulturae 2022, 8, 171 | |
KR102623978B1 (en) | Method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sprout ginseng increasing ginsenoside content and promoting plant growth, and sprout ginseng prepared thereby | |
Basile et al. | Underutilized Fruit Crops of Indian Arid and Semi-Arid Regions: Importanc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 |
KR102612089B1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steoporosis containing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
KR101104269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from Iris nertschinskia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 |
KR102061622B1 (en) | Composition including mori folium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ation and anti-inflammatory | |
Meena et al. | P.; Rouphael, Y.; Basile, B.; Kumar, P. Underutilized Fruit Crops of Indian Arid and Semi-Arid Regions: Importanc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 |
Ramírez et al. | UNDERUTILIZED FRUITS OF THE AND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