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711A -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mbrane / 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mbrane / 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711A
KR20180088711A KR1020187018458A KR20187018458A KR20180088711A KR 20180088711 A KR20180088711 A KR 20180088711A KR 1020187018458 A KR1020187018458 A KR 1020187018458A KR 20187018458 A KR20187018458 A KR 20187018458A KR 20180088711 A KR20180088711 A KR 20180088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electrolyte membrane
roller
catalyst particles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4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6624B1 (en
Inventor
요시노리 다카기
마사후미 오모리
가쓰야 다케가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18008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7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6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Electrolytic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이 막·촉매 접합체의 제조 장치(1)는, 이면에 제1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전극층(9a)이 형성된 장척 띠형상의 전해질막(92)을, 그 길이 방향인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러와, 그 외주면의 일부에서 전해질막(92)의 이면을 흡착 유지함과 더불어, 그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흡착 롤러(10)와, 흡착 롤러(10)에 흡착 유지되면서 이동하는 전해질막(92)의 표면에, 제2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재료를 공급하여, 제2 전극층(9b)을 형성하는 재료 공급부와, 전해질막(92)이 흡착 롤러(10)로부터 이격한 후에, 적어도 제1 전극층(9a)을 검사하는 검사부를 구비한다.The apparatus 1 for producing a membrane-catalyst-bonded body is configured to transport an elongate strip-shaped electrolyte membrane 92 having a first electrode layer 9a including first catalyst particles on its back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nd an adsorption roller 10 for attracting and holding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rotating around the axis thereof; A material supplying portion for supplying the electrode material including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to form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and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electrolyte membrane 92 from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an inspection unit for inspec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Figure P1020187018458
Figure P1020187018458

Description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mbrane / 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본 발명은, 장척 띠형상의 전해질막을 반송하면서, 전해질막의 표면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which forms an electrode layer on the surface of an electrolyte membrane while conveying an electrolyte membrane in the form of a long strip.

최근, 자동차나 휴대 전화 등의 구동 전원으로서, 연료 전지가 주목되고 있다. 연료 전지는, 연료에 포함되는 수소(H2)와 공기 중의 산소(O2)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서 전력을 만들어 내는 발전 시스템이다. 연료 전지는, 다른 전지에 비해, 발전 효율이 높고 환경에 대한 부하가 작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ttention has been paid to fuel cells as driving power sources for automobiles and mobile phones. A fuel cell is a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generates electric power by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hydrogen (H2) contained in fuel and oxygen (O2) in the air. The fuel cell has a feature tha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higher and the load on the environmen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cells.

연료 전지에는, 사용하는 전해질에 의해서 몇 개의 종류가 존재한다. 그 중의 하나가, 전해질로서 이온 교환막(전해질막)을 이용한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PEFC:Polymer Electrolyte Fuel Cell)이다.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는, 상온에서의 동작 및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나 휴대 기기로의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Several types of fuel cells exist depending on the electrolyte used. One of them is a solid polymer fuel cell (PEFC) using an i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te membrane) as an electrolyte. The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can be operated at room temperature and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and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automobiles and portable equipment.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는,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셀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하나의 셀은, 막·전극층 접합체(MEA:Membrane-Electrode-Assembly)의 양측을 한 쌍의 세퍼레이터에 끼워넣음으로써 구성된다. 막·전극층 접합체는, 전해질막과, 전해질막의 양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극층을 갖는다. 한 쌍의 전극층의 한쪽은 애노드 전극이며, 다른쪽이 캐소드 전극이 된다. 애노드 전극에 수소를 포함하는 연료 가스가 접촉함과 더불어, 캐소드 전극에 공기가 접촉하면,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서 전력이 발생한다.Solid polymer fuel cells generall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stacked. One cell is formed by sandwiching both sides of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MEA) with a pair of separators.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has an electrolyte membrane and a pair of electrode layers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One of the pair of electrode layers is an anode electrode and the other is a cathode electrode. When a fuel gas containing hydroge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and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thode electrode, electric power is generated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상기의 막·전극층 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전해질막의 표면에, 백금(Pt)을 포함하는 촉매 입자를 알코올 등의 용매 중에 분산시킨 촉매 잉크(전극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그 촉매 잉크를 건조시킴으로써 작성된다. 종래의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The membrane-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is typically formed by applying catalyst ink (electrode paste) in which catalyst particles containing platinum (Pt) are dispersed in a solvent such as alcohol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drying the catalyst ink . A conventional technique of manufacturing a membrane / 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is disclosed i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의 제조 장치에서는, 흡착 롤러의 외주면에, 전해질막이 유지된다. 그리고, 흡착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전해질막을 반송하면서, 도공 노즐로부터 전극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전해질막의 표면에 전극 잉크를 도포한다.In the production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1, the electrolyte membrane is hel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Then, by rotating the attraction roller, electrode ink is discharged from the coating nozzle while conveying the electrolyte membrane, thereby coating the electrode ink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일본국 특허 공개 2015-15258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5-15258

전해질막에 형성된 전극층은, 연료 가스 및 공기를 효율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 다공질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극층은,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손상되기 쉽고, 또, 전해질막으로부터 벗겨지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시에, 전해질막에 형성된 전극층을 검사하여 불량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이, 막·전극층 접합체의 품질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특히, 전해질막의 이면은 흡착 롤러에 흡착 유지된다. 이로 인해,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전해질막의 이면에 형성된 전극층에 불량이 발생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 막·전극층 접합체의 품질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보다 중요해진다.The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electrolyte membrane is porous in order to efficiently diffuse the fuel gas and the air. As a result, it is known that the electrode layer tends to be damaged by pressure from the outside and easily peeled off from the electrolyte membrane. Therefore, in manufacturing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it is important to inspect the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electrolyte membran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in managing the quality of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Particularly,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s adsorbed and held on the adsorption roller.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check whether the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has a defect after separation from the adsorption rollers in managing the quality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전해질막의 이면에 형성된 전극층에 불량이 발생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막·촉매 접합체를 효과적으로 품질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membrane- 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in which it is inspected whether or not a defect is generated in an electrode layer formed on a back surface of an electrolyte membrane after separation from a adsorption roller, And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effectively managing qualit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의 제1 발명은, 전해질막의 이면에 제1 전극층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에 제2 전극층을 갖는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장치로서, 이면에 제1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장척 띠형상의 상기 전해질막을, 그 길이 방향인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러와, 상기 복수의 반송 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을, 그 외주면의 일부에서 흡착 유지함과 더불어, 그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흡착 롤러와, 상기 흡착 롤러에 흡착 유지되면서 이동하는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에, 제2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재료를 공급하여,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재료 공급부와, 상기 전해질막이 상기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상기 제1 전극층을 검사하는, 하나 이상의 검사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having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an electrolyte membrane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for conveying the electrolyte membrane in the form of a long strip formed with the first electrode layer including the particles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conveyed by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nd an electrode material containing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is suppli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which moves while being adsorbed and held by the adsorption rollers so that 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t least one inspection unit for inspec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The rain.

본원의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전극층의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 검사부를 갖는다.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first invention, wherein the inspection section has an appearance inspection section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본원의 제3 발명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전해질막이 상기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담지량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검사하는 합계 담지량 검사부와, 상기 합계 담지량 검사부에 의해 얻어진 합계 담지량으로부터, 미리 취득한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제1 담지량을 뺌으로써,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구하는 연산부를 갖는다.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or the second invention, wherein the inspection section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ha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A total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total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calculating an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to be carried.

본원의 제4 발명은, 제3 발명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전해질막이 상기 흡착 롤러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의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상기 제1 담지량을 검사하는, 제1 담지량 검사부를 더 갖는다.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hecking sec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lectrolyte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adsorbing rollers before the adsorbing rollers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1 < / RTI >

본원의 제5 발명은, 제3 발명 또는 제4 발명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합계 담지량 및 상기 제1 담지량으로부터,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제2 담지량을 구하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2 담지량이 이상값인지 아닌지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을 검사한다.The fif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production apparatus of the third invention or the fourth invention, wherein the calculating section obtains the second carrying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from the total carrying amount and the first carrying amount,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inspect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econd supported amount is an abnormal value.

본원의 제6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 장치로서, 장척 띠형상의 다공질 기재를, 상기 흡착 롤러와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개재시키면서 반송하는 다공질 기재 반송부를 더 구비한다.The six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inventions further comprising a porous substrate conveying section for conveying the long porous belt-like porous substrate while sandwiching the porous belt between the adsorption roller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

본원의 제7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반송 롤러 중, 상기 검사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반송 롤러는,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측에 배치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hrough six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the conveying roller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an the inspection unit is dispo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본원의 제8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검사부의 검사 결과에 의거하여 불량이라고 판단된 상기 제1 전극층 부근에 마킹하는 마킹부를 더 갖는다.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inventions, further comprising a marking unit for marking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which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inspection unit.

본원의 제9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과 상기 제1 전극층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흡착 롤러에 흡착 유지된다.The ni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apparatus of any of the first to eighth inventions, wherein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are adsorbed and held on the adsorption roller in an exposed state.

본원의 제10 발명은, 전해질막의 이면에 제1 전극층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에 제2 전극층을 갖는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제1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장척 띠형상의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을, 흡착 롤러의 외주면의 일부에서 흡착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흡착 롤러를 그 축심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전해질막을 반송하는 반송 공정과, b) 상기 흡착 롤러에 흡착 유지되면서 이동하는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에, 제2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재료를 공급하여, 상기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 상기 전해질막이 상기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상기 제1 전극층을 검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The t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membrane electrode layer assembly having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an electrolyte membrane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A step of conveying the electrolyte membrane while rotating the adsorption roller around the axis of the adsorption roller while adsorbing and holding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n the shape of a long strip formed on the adsorption roller a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Supplying an electrode material containing second catalyst particles to a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moving while being adsorbed and held to form the second electrode layer; c)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And inspecting the electrode layer.

본원의 제11 발명은, 제10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c)는, d) 상기 제1 전극층의 외관을 검사하는 공정을 갖는다.The elev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enth invention, wherein the step c) comprises: d)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본원의 제12 발명은, 제10 발명 또는 제11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c)는, e)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담지량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검사하는 공정과, f) 상기 공정 e)에 의해 얻어진 합계 담지량으로부터, 미리 취득한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제2 담지량을 뺌으로써,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구하는 공정을 갖는다.The twelf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enth invention or the eleventh invention, wherein the step c) comprises the steps of: e) depositing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f) by subtracting a second holding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previously obtained from the total holding amount obtained by the step e) And a step of obtaining the loading amount of the catalyst particles.

본원의 제13 발명은, 제12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전해질막이 상기 흡착 롤러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의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제1 담지량을 검사하는 공정을 더 갖고, 상기 공정 f)에서는, 상기 합계 담지량으로부터 상기 제1 담지량을 뺌으로써,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상기 제2 담지량을 구한다.The thirte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welfth invention, wherein the first carrying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s checked before the electrolyte membrane reaches the adsorption roller Wherein the second carrying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carrying amount from the total carrying amount in the step f).

본원의 제14 발명은, 제12 발명 또는 제13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c)에서는, 상기 제2 담지량이 이상값인지 아닌지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을 검사한다.The fourte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welfth invention or the thirteenth invention, wherein in the step c),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inspected whether or not the second carrying amount is an abnormal value.

본원의 제15 발명은, 제10 발명 내지 제1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a)에서는, 장척 띠형상의 다공질 기재를, 상기 흡착 롤러와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개재시키면서 반송한다.The fifte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y one of the tenth to fourteenth inventions, wherein the step (a) transports the porous substrate in the form of a long strip-shaped porous substrate interposed between the adsorption roller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본원의 제16 발명은, 제10 발명 내지 제1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c) 후에,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 롤러에 의해, 상기 전해질막을 반송한다.The sixte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ny one of the tenth to fifteenth inventions, wherein after the step c), the electrolyte membrane is transported by a plurality of transport rollers dispo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본원의 제17 발명은, 제10 발명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으로서, g) 상기 공정 c)의 검사 결과에 의거하여, 불량이라고 판단된 상기 제1 전극층 부근에 마킹하는 공정을 더 갖는다.The sevente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process of any one of the tenth invention to the sixteenth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 marking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judged to be defective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step c) .

본원의 제18 발명은, 제10 발명 내지 제1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a)에서는,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과 상기 제1 전극층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흡착 롤러에 흡착 유지된다.The eighte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y one of the tenth invention through the seventeenth invention, wherein in the step a),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are adsorbed and held on the adsorption roller in an exposed state .

본원의 제1 발명~제18 발명에 의하면, 전해질막이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전해질막에 형성된 제1 전극층의, 손상 또는 이물의 부착 등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막·전극층 접합체를 효과적으로 품질 관리할 수 있으며, 막·전극층 접합체의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검사 결과에 의거하여, 다음 공정에서의 처리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막·전극층 접합체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to eighteenth inven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defects such as damage or adherence of foreign matter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electrolyte membrane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quality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and to reduce the defective ratio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Further, it is possible to judge the necessity and necessity of the process in the next process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As a result,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can be improved.

특히, 본원의 제2 발명 및 제11 발명에 의하면, 전해질막에 형성된 제1 전극층의 형상 또는 위치 정밀도 등의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막·전극층 접합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품질 관리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second and eleventh inven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fects such as the shape or positional accuracy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electrolyte membrane can be inspec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ntrol the quality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특히, 본원의 제3 발명 및 제12 발명에 의하면, 제2 전극층에 포함되는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검사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and the twelf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can be checked.

특히, 본원의 제4 발명 및 제13 발명에 의하면, 전해질막이 흡착 롤러에 흡착 지지되기 전에,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제1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검사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fourth and thirteenth inven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can be checked before the electrolyte membrane is adsorbed and supported on the adsorption roller.

특히, 본원의 제5 발명 및 제14 발명에 의하면,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의 검사 결과에 의거하여 제1 전극층을 검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전극층의 결함을 보다 다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fifth and fourteenth inven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can be inspected based on the result of inspection of the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carried. As a result, defects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can be more variously inspected.

특히, 본원의 제6 발명 및 제15 발명에 의하면, 전해질막은, 다공질 기재를 개재하여 흡착 롤러에 의해 흡착 지지된다. 이로 인해, 흡착 롤러에 부착된 이물 등이, 전해질막으로 전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sixth and fifteenth inven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lectrolyte membrane is adsorbed and supported by the adsorption rollers via the porous substrate.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adsorption roller from being electrodeposited to the electrolyte membrane.

특히, 본원의 제7 발명 및 제16 발명에 의하면, 전해질막이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는, 전해질막의 이면은 반송 롤러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제1 전극층에 손상 또는 이물의 전착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사부에 의한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seventh invention and the sixte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does not contact the conveying roller.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damage or electrodeposition of foreign matter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by the inspection unit can be improved.

특히, 본원의 제8 발명 및 제17 발명에 의하면, 검사부의 검사 결과에 의거하여, 전해질막을 마킹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막·전극층 접합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품질 관리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eighth invention and the sevente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lectrolyte membrane can be marked on the basis of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inspection s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ntrol the quality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특히, 본원의 제9 발명 및 제18 발명에 의하면, 흡착 롤러에 흡착 유지된, 전해질막의 이면에 노출된 제1 전극층을, 전해질막이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검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막·전극층 접합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품질 관리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ninth and eighteenth inven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ex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dsorbed and held on the adsorption roller can be inspected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ntrol the quality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도 1은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흡착 롤러의 하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제어부와 각 부의 접속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담지량 검사부에 의한 촉매 입자의 검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담지량 검사부에 의한 촉매 입자의 검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embrane-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lower part of the adsorption roller.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each unit.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inspection of catalyst particles by the loading amount inspection unit.
5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atalyst particles carried by the controller.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inspection of catalyst particles by the loading amount checking unit.
7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atalyst particles carried by the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제조 장치의 구성><1. Construction of Manufactu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는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제조 장치(1)는, 장척 띠형상의 기재인 전해질막을, 복수의 반송 롤러에 의해 길이 방향(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전해질막의 표면에 전극층을 형성하고,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막·전극층 접합체를 제조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장치(1)는, 흡착 롤러(10), 다공질 기재 반송부(20), 전해질막 공급부(30), 재료 공급부(40), 건조로(50), 접합체 회수부(60), 검사부(70), 마킹부(79) 및 제어부(80)를 구비하고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1 for manufacturing a membrane-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configured to form an electrod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while conveying the electrolyte membrane as a base materi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by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Electrode layer bonded body. 1,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 for manufacturing a membrane-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ction roller 10, a porous substrate conveyance section 20, an electrolyte membrane supply section 30, a material supply section 40, A drying furnace 50, a bonded body collecting unit 60, an inspection unit 70, a marking unit 79, and a control unit 80. [

흡착 롤러(10)는, 다공질 기재(91) 및 복수의 반송 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전해질막(92)을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롤러이다. 흡착 롤러(10)는, 복수의 흡착 구멍을 갖는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다. 흡착 롤러(10)의 직경은, 예를 들어, 200mm~1600mm가 된다. 도 2는, 흡착 롤러(10)의 하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2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롤러(10)에는, 모터 등의 구동원을 갖는 회전 구동부(11)가 접속된다. 회전 구동부(11)를 동작시키면, 흡착 롤러(10)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축심 둘레로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1)에서는, 복수의 반송 롤러는, 후술하는, 복수의 적층 기재 반입 롤러(32) 및 복수의 접합체 반출 롤러(64)에 의해 구성된다.The adsorption roller 10 is a roller that rotates while adsorbing and holding the porous base material 91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92 conveyed by the plurality of conveyance rollers. The suction roller 10 has a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The diameter of the adsorption roller 10 is, for example, 200 mm to 1600 mm.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dsorption roller 10. Fig. As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2, the suction roller 10 is connected to a rotation drive unit 11 having a drive source such as a motor. When the rotation drive section 11 is operated, the absorption roller 10 rotates about the axis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r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laminated-substrate carrying-in rollers 32 and a plurality of bonded-body carrying-out rollers 6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흡착 롤러(10)의 재료에는, 예를 들어, 다공질 카본 또는 다공질 세라믹스 등의 다공질 재료가 이용된다. 다공질 세라믹스의 구체예로는, 알루미나(Al2O3) 또는 탄화규소(SiC)의 소결체를 들 수 있다. 다공질의 흡착 롤러(10)에 있어서의 기공 지름은, 예를 들어 5μm 이하가 되고, 기공률은, 예를 들어 15%~50%가 된다.As the material of the adsorption roller 10, for example, a porous material such as porous carbon or porous ceramics is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porous ceramics include sintered bodies of alumina (Al 2 O 3) or silicon carbide (SiC). The pore diameter of the porous adsorption roller 10 is, for example, 5 m or less, and the porosity is, for example, 15% to 50%.

또한, 흡착 롤러(10)의 재료에, 다공질 재료를 대신하여, 금속을 이용해도 된다. 금속의 구체예로는, SUS 등의 스테인리스 또는 철을 들 수 있다. 흡착 롤러(10)의 재료에 금속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에, 미소한 흡착 구멍을, 가공에 의해 형성하면 된다. 흡착 구멍의 직경은, 흡착흔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2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lace of the porous material, a metal may be used for the material of the adsorption roller 10. Specific examples of the metal include stainless steel such as SUS or iron. When a metal is used for the material of the adsorption roller 10, minute suction hol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by machining. The diameter of the adsorption holes is preferably 2 mm or less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dsorption shakes.

흡착 롤러(10)의 단면에는, 흡인구(12)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구(12)는, 도면 외의 흡인 기구(예를 들어, 배기 펌프)에 접속된다. 흡인 기구를 동작시키면, 흡착 롤러(10)의 흡인구(12)에 음압이 발생한다. 그리고, 흡착 롤러(10) 내의 기공을 개재하여,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흡착 구멍에도, 음압이 발생한다. 다공질 기재(91) 및 전해질막(92)은, 당해 음압에 의해서,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에 흡착 유지되면서, 흡착 롤러(10)의 회전에 의해서 원호형으로 반송된다.A suction port (12) is provided on the end surface of the suction roller (10). The suction port 12 is connected to a suction mechanism (for example, an exhaust pump) other than the drawing. When the suction mechanism is operated,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suction port 12 of the suction roller 10. A negative pressure is also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ction roller 10 via the pores in the suction roller 10. [ The porous substrate 91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re conveyed in an arc shape by the rotation of the adsorption roller 10 while being adsorbed and hel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by the negative pressure.

또, 도 2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롤러(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수냉관(13)이 설치되어 있다. 수냉관(13)에는, 도면 외의 급수 기구로부터, 소정 온도로 온도 조절된 냉각수가 공급된다. 제조 장치(1)의 동작시에는, 흡착 롤러(10)의 열이, 열 매체인 냉각수에 흡수된다. 이것에 의해, 흡착 롤러(10)가 냉각된다. 열을 흡수한 냉각수는, 도면 외의 배액 기구로 배출된다.2, a plurality of water-cooling tubes 13 are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adsorption roller 10, as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Cooling water whose temperature has been adjus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water-cooling tube 13 from a water supply mechanism other than the draw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 the heat of the adsorption roller 10 is absorbed by the cooling water which is a heat medium. Thereby, the adsorption roller 10 is cooled. The cooling water that has absorbed heat is discharged through a drain mechanism not shown.

또한, 후술하는 건조로(50)를 대신하여, 흡착 롤러(10)의 내부에, 온수 순환 기구 또는 히터 등의 가열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흡착 롤러(10)의 내부에 수냉관을 설치하지 않고, 흡착 롤러(10)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의 온도를 제어해도 된다.Instead of the drying furnace 50 to be described later, a heating mechanism such as a hot water circulation mechanism or a heat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adsorption roller 10.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a heating mechanism provided inside the adsorption roller 10 without providing a water-cooled tube inside the adsorption roller 10. [

다공질 기재 반송부(20)는, 장척 띠형상의 다공질 기재(91)를 흡착 롤러(10)를 향해 공급함과 더불어, 사용 후의 다공질 기재(91)를 회수하는 부위이다. 다공질 기재(91)는, 다수의 미세한 기공을 갖는 환기 가능한 기재이다. 다공질 기재(91)는, 이물이 발생하기 어려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질 기재 반송부(20)는, 다공질 기재 공급 롤러(21), 복수의 다공질 기재 반입 롤러(22), 복수의 다공질 기재 반출 롤러(23) 및 다공질 기재 회수 롤러(24)를 갖는다. 다공질 기재 공급 롤러(21), 복수의 다공질 기재 반입 롤러(22), 복수의 다공질 기재 반출 롤러(23) 및 다공질 기재 회수 롤러(24)는, 모두, 흡착 롤러(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porous substrate carrying section 20 is a part for supplying the porous base material 91 in the shape of a long belt toward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recovering the porous base material 91 after use. The porous substrate 91 is a ventilated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fine pores.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ous substrate 91 is formed of a material hardly causing foreign matter. 1, the porous substrate conveying section 20 includes a porous substrate feed roller 21, a plurality of porous substrate take-in rollers 22, a plurality of porous substrate take-out rollers 23, and a porous substrate take- 24). The porous substrate feed roller 21, the plurality of porous substrate take-in rollers 22, the plurality of porous substrate take-out rollers 23 and the porous substrate collecting roller 24 are all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adsorption roller 10.

공급 전의 다공질 기재(91)는, 다공질 기재 공급 롤러(21)에 감겨져 있다. 다공질 기재 공급 롤러(21)는, 도시를 생략한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다공질 기재 공급 롤러(21)가 회전하면, 다공질 기재(91)는, 다공질 기재 공급 롤러(21)로부터 계속 내보내진다. 계속 내보내진 다공질 기재(91)는, 복수의 다공질 기재 반입 롤러(22)에 의해 안내되면서, 소정의 반입 경로를 따라서, 흡착 롤러(10)의 외주면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다공질 기재(91)는,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에 흡착 유지되면서, 흡착 롤러(10)의 회전에 의해서, 원호형으로 반송된다. 또한, 도 2에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흡착 롤러(10)와, 흡착 롤러(10)에 유지되는 다공질 기재(91)가, 간격을 두고 도시되어 있다.The porous substrate 91 before the supply is wound on the porous substrate supply roller 21. [ The porous substrate feed roller 21 is rotated by the power of a motor (not shown). When the porous substrate feed roller 21 is rotated, the porous substrate 91 is continuously fed out from the porous substrate feed roller 21. [ The continuously discharged porous substrate 91 is convey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along the predetermined loading path while being guided by the plurality of porous substrate loading rollers 22. The porous substrate 91 is conveyed in the form of an arc by the rotation of the adsorption roller 10 while being adsorbed and hel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2,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porous substrate 91 held by the adsorption roller 10 are shown at interval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다공질 기재(91)는, 흡착 롤러(10)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180° 이상, 바람직하게는 270° 이상 반송된다. 그 후, 다공질 기재(91)는,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진다. 흡착 롤러(10)로부터 멀어진 다공질 기재(91)는, 복수의 다공질 기재 반출 롤러(23)에 의해 안내되면서, 소정의 반출 경로를 따라서, 다공질 기재 회수 롤러(24)까지 반송된다. 다공질 기재 회수 롤러(24)는, 도시를 생략한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 후의 다공질 기재(91)가, 다공질 기재 회수 롤러(24)에 권취된다.The porous substrate 91 is conveyed at an angle of 180 DEG or more, preferably 270 DEG or more, about the axis of the adsorption roller 10. Thereafter, the porous substrate 91 is awa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The porous substrate 91 away from the adsorption roller 10 is conveyed to the porous substrate collecting roller 24 along a predetermined carry-out path while being guided by the plurality of porous substrate take-out rollers 23. The porous substrate collecting roller 24 is rotated by the power of a motor (not shown). Thereby, the porous substrate 91 after use is wound around the porous substrate collecting roller 24.

전해질막 공급부(30)는, 전해질막(92) 및 제1 지지 필름(93)의 2층으로 구성되는 적층 기재(94)를, 흡착 롤러(10)의 주위로 공급함과 더불어, 전해질막(92)으로부터 제1 지지 필름(93)을 박리하는 부위이다.The electrolyte membrane supplying section 30 supplies the laminated base material 94 composed of the two layer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nd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to the periphery of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92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is peeled off from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

전해질막(92)에는, 예를 들어, 불소계 또는 탄화수소계의 고분자 전해질막이 이용된다. 전해질막(92)의 구체예로는, 퍼플루오로카본설폰산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예를 들어, 미국 DuPont사 제조의 Nafion(등록상표), 아사히가라스(주) 제조의 Flemion(등록상표), 아사히카세이(주) 제조의 Aciplex(등록상표), 고어(Gore)사 제조의 Goreselect(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전해질막(92)의 막두께는, 예를 들어, 5μm~30μm가 된다. 전해질막(92)은, 대기 중의 습기에 의해서 팽윤하는 한편, 습도가 낮아지면 수축한다. 즉, 전해질막(92)은, 대기 중의 습도에 따라 변형하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As the electrolyte membrane 92, for example, a fluorine-based or hydrocarbon-bas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nclude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ntaining perfluorocarbonsulfonic acid (for example, Nafion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DuPont USA, Flemion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Asahi Glass Co., Aciplex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Asahi Kasei Corporation, and Goreselect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Gore Corporation). The film thicknes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for example, 5 mu m to 30 mu m.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swelled by moisture in the air, and shrinks when the humidity is low. That is, the electrolyte membrane 92 has a property of being easily deformed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humidity.

제1 지지 필름(93)은, 전해질막(92)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필름이다. 제1 지지 필름(93)의 재료에는, 전해질막(92)보다 기계적 강도가 높고, 형상 유지 기능이 뛰어난 수지가 이용된다. 제1 지지 필름(93)의 구체예로는,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나 PET(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의 필름을 들 수 있다. 제1 지지 필름(93)의 막두께는, 예를 들어 25μm~100μm가 된다.The first supporting film 93 is a film for suppressing the deformation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a resin having a mechanical strength higher than that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nd having a superior shape-retaining function is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first support film 93 include films of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 film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film 93 is, for example, 25 mu m to 100 mu m.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질막 공급부(30)는, 적층 기재 공급 롤러(31)(전해질막 공급 롤러), 복수의 적층 기재 반입 롤러(32), 박리 롤러(33), 복수의 제1 지지 필름 반출 롤러(34) 및 제1 지지 필름 회수 롤러(35)를 갖는다. 적층 기재 공급 롤러(31), 복수의 적층 기재 반입 롤러(32), 박리 롤러(33), 복수의 제1 지지 필름 반출 롤러(34) 및 제1 지지 필름 회수 롤러(35)는, 모두, 흡착 롤러(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1, the electrolyte membrane feeder 30 includes a laminated substrate feed roller 31 (electrolyte membrane feed roller), a plurality of laminated substrate feed rollers 32, a peeling roller 33, a plurality of first A support film take-out roller 34 and a first support film collection roller 35. [ The laminated substrate feed roller 31, the plurality of laminated substrate feed rollers 32, the peeling roller 33,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film take-out rollers 34, and the first support film take-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oller (10).

공급 전의 적층 기재(94)는, 제1 지지 필름(93)이 외측이 되도록, 적층 기재 공급 롤러(31)에 감겨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질막(92)의, 제1 지지 필름(93)과는 반대측의 면(이하 「이면」이라고 칭한다)에, 미리 제1 전극층(9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극층(9a)에는, 제1 촉매 입자가 포함되어 있다. 제1 전극층(9a)은, 이 제조 장치(1)와는 다른 장치에 있어서, 제1 지지 필름(93) 및 전해질막(92)의 2층으로 구성되는 적층 기재(94)를, 그대로 롤·투·롤 방식으로 반송하면서, 전해질막(92)의 이면에 전극 재료를 간헐 도포하고, 도포된 전극 재료를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The laminated base material 94 before supply is wound around the laminated base material supply roller 31 such that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is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is formed in advance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film 93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back surface &quot;).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contains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is formed by laminating the laminated base material 94 composed of the two layers of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and the electrolyte film 92 in the apparatus different from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 By intermittently applying an electrode material to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while conveying in a roll manner, and drying the coated electrode material.

적층 기재 공급 롤러(31)는, 도시를 생략한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적층 기재 공급 롤러(31)가 회전하면, 적층 기재(94)는, 적층 기재 공급 롤러(31)로부터 계속 내보내진다. 계속 내보내진 적층 기재(94)는, 반송 롤러인 복수의 적층 기재 반입 롤러(32)에 의해 안내되면서, 소정의 반입 경로를 따라서, 박리 롤러(33)까지 반송된다. 전해질막(92)의 이면과 제1 전극층(9a)은, 지지 필름에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The laminated substrate feed roller 31 is rotated by the power of a motor (not shown). When the laminated substrate supply roller 31 is rotated, the laminated substrate 94 is continuously discharged from the laminated substrate supply roller 31. [ The laminated substrate 94 which has been continuously ejected is conveyed to the peeling roller 33 along a predetermined conveying path while being guided by a plurality of laminated substrate carrying rollers 32 which are conveying rollers.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re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with the support film.

박리 롤러(33)는, 전해질막(92)으로부터 제1 지지 필름(93)을 박리하기 위한 롤러이다. 박리 롤러(33)는, 흡착 롤러(10)보다 지름이 작은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다. 박리 롤러(33)의 적어도 외주면은, 탄성체에 의해 형성된다. 박리 롤러(33)는, 흡착 롤러(10)에 대한 다공질 기재(91)의 도입 위치보다도, 흡착 롤러(10)의 회전 방향의 약간 하류측에 있어서, 흡착 롤러(10)에 인접 배치되어 있다. 또, 박리 롤러(33)는, 도시를 생략한 에어 실린더에 의해서, 흡착 롤러(10)측으로 가압되어 있다.The peeling roller 33 is a roller for peeling off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from the electrolyte film 92. The peeling roller 33 has a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adsorption roller 10. At lea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eling roller 33 is formed by an elastic body. The peeling roller 3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adsorption roller 10 on the slightly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dsorption roller 10 than the introduction position of the porous substrate 91 to the adsorption roller 10. [ The peeling roller 33 is pressed toward the adsorption roller 10 by an air cylinder (not show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적층 기재 반입 롤러(32)에 의해 반입되는 적층 기재(94)는, 흡착 롤러(10)와 박리 롤러(33)의 사이로 도입된다. 이때, 전해질막(92)의 이면은, 제1 전극층(9a)과 더불어, 흡착 롤러(10)에 유지된 다공질 기재(91)의 표면에 접촉하고, 제1 지지 필름(93)은, 박리 롤러(33)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또, 적층 기재(94)는, 박리 롤러(33)로부터 받은 압력으로, 흡착 롤러(10)에 눌려진다. 흡착 롤러(10)에 유지된 다공질 기재(91)의 표면에는, 흡착 롤러(10)로부터의 흡인력에 의해서, 음압이 발생한다. 전해질막(92)은, 당해 음압에 의해서, 다공질 기재(91)의 표면에 흡착된다. 그리고, 전해질막(92)은, 다공질 기재(91)와 더불어 흡착 롤러(10)에 유지되면서, 흡착 롤러(10)의 회전에 의해서, 원호형으로 반송된다. 또한, 도 2에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흡착 롤러(10)에 유지되는 다공질 기재(91)와 전해질막(92)이, 간격을 두고 도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aminated substrate 94 carried by the plurality of laminated substrate carrying-in rollers 32 is introduced between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peeling roller 33. Fig. At this time,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contacts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91 held by the adsorption roller 10 together with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nd the first support film 93 contacts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91, (33). The laminated substrate 94 is pressed against the adsorption roller 10 by the pressure received from the peeling roller 33.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91 held by the adsorption roller 10 by the suction force from the adsorption roller 10. [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91 by the negative pressure.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conveyed in an arc shape by the rotation of the adsorption roller 10 while being held on the adsorption roller 10 together with the porous substrate 91. 2, the porous substrate 91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92 held by the adsorption roller 10 are shown at interval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착 롤러(10)의 외주면과 전해질막(92)의 사이에, 다공질 기재(91)를 개재시킨다. 이로 인해, 흡착 롤러(10)의 외주면과 전해질막(92)의 이면에 형성된 제1 전극층(9a)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전극층(9a)의 일부가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에 부착하거나,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으로부터 전해질막(92)으로 이물이 전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ous substrate 91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92. Thu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re not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Par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dhere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or deposition of foreign matter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to the electrolyte membrane 92 can be suppressed.

한편, 흡착 롤러(10)와 박리 롤러(33)의 사이를 통과한 제1 지지 필름(93)은, 흡착 롤러(10)로부터 멀어지고, 복수의 제1 지지 필름 반출 롤러(34)측으로 반송된다. 이것에 의해, 전해질막(92)으로부터 제1 지지 필름(93)이 박리된다. 그 결과, 전해질막(92)의 이면과는 반대측의 면(이하 「표면」이라고 칭한다)이 노출된다. 박리된 제1 지지 필름(93)은, 복수의 제1 지지 필름 반출 롤러(34)에 의해 안내되면서, 소정의 반출 경로를 따라서, 제1 지지 필름 회수 롤러(35)까지 반송된다. 제1 지지 필름 회수 롤러(35)는, 도시를 생략한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지지 필름(93)이, 제1 지지 필름 회수 롤러(35)에 권취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upport film 93 that has passed between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peeling roller 33 is moved away from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ransported toward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film take-out rollers 34 . As a result,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is peeled off from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s a result, a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surface &quot;) opposite to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exposed. The peeled first support film 93 is conveyed to the first support film collection roller 35 along a predetermined take-out path while being guided by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film take-out rollers 34. [ The first support film recovery roller 35 is rotated by the power of a motor (not shown). As a result, the first support film 93 is wound around the first support film recovery roller 35.

재료 공급부(40)는, 흡착 롤러(10)의 주위에 있어서, 전해질막(92)의 표면에 전극 재료를 도포하는 기구이다. 전극 재료에는, 예를 들어, 백금(Pt)을 포함하는 제2 촉매 입자를 알코올 등의 용매 중에 분산시킨 촉매 잉크(전극 페이스트)가 이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료 공급부(40)는 노즐(41)을 갖는다. 노즐(41)은, 흡착 롤러(10)에 의한 전해질막(92)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박리 롤러(33)보다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41)은,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토출구(411)를 갖는다. 토출구(411)는,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슬릿형의 개구이다.The material supply unit 40 is a mechanism for applying the electrode material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round the adsorption roller 10. [ As the electrode material, for example, a catalyst ink (electrode paste) in which a second catalyst particle containing platinum (Pt) is dispersed in a solvent such as alcohol is used. As shown in Fig. 1, the material supply portion 40 has a nozzle 41. Fig. The nozzle 41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peeling roller 33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by the adsorption roller 10. The nozzle 41 has a discharge port 411 oppos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The discharge port 411 is a slit-shaped opening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노즐(41)은, 도시를 생략한 전극 재료 공급원과 접속되어 있다. 재료 공급부(40)를 구동시키면, 전극 재료 공급원으로부터 배관을 지나 노즐(41)에, 전극 재료가 공급된다. 그리고, 노즐(41)의 토출구(411)로부터 전해질막(92)의 표면을 향해서, 전극 재료가 토출된다. 이것에 의해, 전해질막(92)의 표면에, 전극 재료가 도포된다.The nozzle 41 is connected to an electrode material supply source (not shown). When the material supply part 40 is driven, the electrode material is supplied to the nozzle 41 from the electrode material supply source through the pipe. The electrode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411 of the nozzle 41 toward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s a result, the electrod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41)에 유로 접속되는 공급용 배관에 개설된 밸브를 일정한 주기로 개폐함으로써, 노즐(41)의 토출구(411)로부터, 전극 재료를 단속적으로 토출한다. 이것에 의해, 전해질막(92)의 표면에, 전극 재료를 반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간헐 도포한다. 단, 밸브를 연속적으로 개방하여, 전해질막(92)의 표면에, 반송 방향으로 끊어진 부분 없이 전극 재료를 도포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material is intermittently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411 of the nozzle 41 by opening / closing the valve provided in the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nozzle 41 at a constant cycle. As a result, the electrode material is intermittent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t regular intervals in the transport direction. However, the valve may be continuously opened to coat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with the electrode material without any break in the carrying direction.

또한, 전극 재료 중의 촉매 입자에는, 고분자형 연료 전지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에 있어서 연료 전지 반응을 일으키는 재료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백금(Pt), 백금 합금, 백금 화합물 등의 입자를, 촉매 입자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백금 합금의 예로는, 예를 들어, 루테늄(Ru), 파라듐(Pd), 니켈(Ni), 몰리브덴(Mo), 이리듐(Ir), 철(Fe)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과 백금의 합금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캐소드용의 전극 재료에는 백금이 이용되고, 애노드용의 전극 재료에는 백금 합금이 이용된다. 노즐(41)로부터 토출되는 전극 재료는, 캐소드용이어도 애노드용이어도 된다. 단, 전해질막(92)의 표리에 형성되는 전극층(9a, 9b)에는, 서로 역극성의 전극 재료가 이용된다.As the catalyst particles in the electrode material, a material that causes the fuel cell reaction in the anode or the cathode of the polymer type fuel cell is used. Specifically, particles such as platinum (Pt), a platinum alloy, and a platinum compound can be used as catalyst particles. Examples of the platinum alloy include at least one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uthenium (Ru), palladium (Pd), nickel (Ni), molybdenum (Mo), iridium (Ir) Of an alloy of a metal and platinum. Generally, platinum is used for the electrode material for the cathode, and platinum alloy is used for the electrode material for the anode. The electrod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nozzle 41 may be either for a cathode or for an anode. However, electrode materials of opposite polarities are used for the electrode layers 9a and 9b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

재료 공급부(40)의 노즐(41) 및 배관은, 정기적으로 분해 세정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이 제조 장치(1)는, 재료 공급부(40)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스페이스(2)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료 공급부(40)와 제1 지지 필름 회수 롤러(35)의 사이에, 메인터넌스 스페이스(2)가 배치되어 있다. 재료 공급부(40)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에는, 메인터넌스 스페이스(2)에 설치된 발판(201) 위에 작업자(3)가 서서, 재료 공급부(40)를 구성하는 부품의 세정 등을 행한다.It is necessary that the nozzle 41 and the pipe of the material supply section 40 perform maintenance such as disassembly cleaning periodically. Thu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 has a maintenance space 2 for performing maintenance of the material supply unit 40. [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aintenance space 2 is disposed between the material supply portion 40 and the first support film recovery roller 35. [ The worker 3 stood on the foot plate 201 provided in the maintenance space 2 to perform cleaning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aterial supply unit 40. [

건조로(50)는, 전해질막(92)의 표면에 도포된 전극 재료를 건조시키는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건조로(50)는, 흡착 롤러(10)에 의한 전해질막(92)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재료 공급부(40)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건조로(50)는, 흡착 롤러(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원호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건조로(50)는, 흡착 롤러(10)의 주위에 있어서, 전해질막(92)의 표면에, 가열된 기체(열풍)를 내뿜는다. 그러면, 전해질막(92)의 표면에 도포된 전극 재료가 가열되어, 전극 재료 중의 용제가 기화한다. 이것에 의해, 전극 재료가 건조되어, 전해질막(92)의 표면에 전극층(이하, 「제2 전극층(9b)」이라고 칭한다)이 형성된다. 그 결과, 전해질막(92), 제1 전극층(9a) 및 제2 전극층(9b)으로 구성되는 막·전극층 접합체(95)가 얻어진다.The drying furnace 50 is a portion for drying the electrode material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The drying furnace 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aterial supply portion 40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by the adsorption roller 10. [ The drying furnace 50 is provided in an arc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The drying furnace 50 emits a heated gas (hot air)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round the adsorption roller 10. Then, the electrode material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heated, and the solvent in the electrode material vaporizes. As a result, the electrode material is dried to form an electrode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second electrode layer 9b &quot;)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s a result, a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composed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is obtained.

접합체 회수부(60)는, 막·전극층 접합체(95)에 제2 지지 필름(96)을 붙이고, 막·전극층 접합체(95)를 회수하는 부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체 회수부(60)는, 제2 지지 필름 공급 롤러(61), 복수의 제2 지지 필름 반입 롤러(62), 라미네이트 롤러(63), 반송 롤러인 복수의 접합체 반출 롤러(64) 및 접합체 회수 롤러(65)를 갖는다. 제2 지지 필름 공급 롤러(61), 복수의 제2 지지 필름 반입 롤러(62), 라미네이트 롤러(63), 복수의 접합체 반출 롤러(64) 및 접합체 회수 롤러(65)는, 모두, 흡착 롤러(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bonded body recovery section 60 is a portion where the second support film 96 is attached to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and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is recovered. 1, the bonded body collecting section 60 includes a second support film feed roller 61,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ilm feed rollers 62, a lamination roller 63, A take-out roller 64 and a bonded body collection roller 65. [ All of the second support film feed roller 61,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ilm feed rollers 62, the laminate roller 63, the plurality of assembly body take-out rollers 64 and the assembly body take- 10).

공급 전의 제2 지지 필름(96)은, 제2 지지 필름 공급 롤러(61)에 감겨져 있다. 제2 지지 필름 공급 롤러(61)는, 도시를 생략한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제2 지지 필름 공급 롤러(61)가 회전하면, 제2 지지 필름(96)은, 제2 지지 필름 공급 롤러(61)로부터 계속 내보내진다. 계속 내보내진 제2 지지 필름(96)은, 복수의 제2 지지 필름 반입 롤러(62)에 의해 안내되면서, 소정의 반입 경로를 따라서, 라미네이트 롤러(63)까지 반송된다.The second support film 96 before supply is wound on the second support film supply roller 61. [ The second support film supply roller 61 is rotated by the power of a motor (not shown). When the second support film feed roller 61 rotates, the second support film 96 is continuously fed out from the second support film feed roller 61. The second support film 96 continuously fed is conveyed to the lamination roller 63 along a predetermined loading path while being guid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ilm loading rollers 62. [

제2 지지 필름(96)의 재료에는, 전해질막(92)보다 기계적 강도가 높고, 형상 유지 기능이 뛰어난 수지가 이용된다. 제2 지지 필름(96)의 구체예로는,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PET(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의 필름을 들 수 있다. 제2 지지 필름(96)의 막두께는, 예를 들어 25μm~100μm가 된다. 제2 지지 필름(96)은, 제1 지지 필름(93)과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또, 제1 지지 필름 회수 롤러(35)에 권취된 제1 지지 필름(93)을, 제2 지지 필름(96)으로서 제2 지지 필름 공급 롤러(61)로부터 계속 내보내도록 해도 된다.As the material of the second supporting film 96, a resin having mechanical strength higher than that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nd excellent in shape-retaining function is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second support film 96 include films of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or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 film thickness of the second support film 96 is, for example, 25 mu m to 100 mu m. The second support film 96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support film 93. The first support film 93 wound around the first support film recovery roller 35 may be continuously fed from the second support film feed roller 61 as the second support film 96.

라미네이트 롤러(63)는, 막·전극층 접합체(95)에 제2 지지 필름(96)을 붙이기 위한 롤러이다. 라미네이트 롤러(63)의 재료에는, 예를 들어, 내열성이 높은 고무가 이용된다. 라미네이트 롤러(63)는, 흡착 롤러(10)보다 지름이 작은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다. 라미네이트 롤러(63)는, 흡착 롤러(1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건조로(50)보다 하류측, 또한, 흡착 롤러(10)로부터 다공질 기재(91)가 멀어지는 위치보다 상류측에 있어서, 흡착 롤러(10)에 인접 배치되어 있다. 또, 라미네이트 롤러(63)는, 도시를 생략한 에어 실린더에 의해서, 흡착 롤러(10)측으로 가압되어 있다.The laminate roller 63 is a roller for sticking the second support film 96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ssembly 95. As the material of the lamination roller 63, for example, a rubber having high heat resistance is used. The lamination roller (63) has a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adsorption roller (10). The lamination roller 63 is adsorb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rying furnace 50 and upstream from the position where the porous substrate 91 is moved away from the adsorption roller 10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adsorption roller 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oller (10). The laminate roller 63 is pressed toward the suction roller 10 by an air cylinder (not show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롤러(63)의 내부에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631)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631)에는, 예를 들어, 시즈 히터가 이용된다. 히터(631)에 통전하면, 히터(631)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라미네이트 롤러(63)의 외주면이, 환경 온도보다 높은 소정의 온도로 온도 조절된다. 또한, 라미네이트 롤러(63)의 외주면의 온도를 방사 온도계 등의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라미네이트 롤러(63)의 외주면이 일정한 온도가 되도록, 히터(631)의 출력을 제어해도 된다.As shown in Fig. 2, inside the lamination roller 63, there is provided a heater 631 which generates heat by energization. As the heater 631, for example, a sheathed heater is used. When the heater 631 is energiz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minate roller 63 is temperature-adjus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631.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minate roller 63 is measured using a temperature sensor such as a radiation thermometer and the output of the heater 631 is controll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minate roller 63 becomes a constant temperature, .

복수의 제2 지지 필름 반입 롤러(62)에 의해 반입되는 제2 지지 필름(9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 롤러(10)의 주위에 있어서 반송되는 막·전극층 접합체(95)와 라미네이트 롤러(63)의 사이로 도입된다. 이때, 제2 지지 필름(96)은, 라미네이트 롤러(63)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막·전극층 접합체(95)에 눌려짐과 더불어, 라미네이트 롤러(63)의 열에 의해 가열된다. 그 결과, 전해질막(92)의 표면에, 제2 지지 필름(96)이 붙여진다. 전해질막(92)의 표면에 형성된 제2 전극층(9b)은, 전해질막(92)과 제2 지지 필름(96)의 사이에 끼워진다.2, the second support film 96 carri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ilm carrier rollers 62 has a film-electrode layer assembly 95 transported around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lamination roller 63,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film 96 is pressed by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by the pressure from the lamination roller 63, and is heated by the heat of the lamination roller 63. As a result, the second support film 96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sandwiched between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nd the second support film 96.

흡착 롤러(10)와 라미네이트 롤러(63)의 사이를 통과한 제2 지지 필름(96)을 갖는 막·전극층 접합체(95)는, 흡착 롤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것에 의해, 다공질 기재(91)로부터 막·전극층 접합체(95)가 박리된다.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ssembly 95 having the second support film 96 passed between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lamination roller 63 is transpor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dsorption roller 10. [ Thus,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is peeled from the porous substrate 91.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라미네이트 롤러(63)의 근방에, 압압(押壓) 롤러(66)가 배치되어 있다. 압압 롤러(66)는, 흡착 롤러(10)와 라미네이트 롤러(63) 사이의 간극보다도, 막·전극층 접합체(95)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롤러(63)에 인접 배치되어 있다. 또, 압압 롤러(66)는, 도시를 생략한 에어 실린더에 의해서, 라미네이트 롤러(63)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다공질 기재(91)로부터 멀어진 제2 지지 필름(96)을 갖는 막·전극층 접합체(95)는, 계속해서, 라미네이트 롤러(63)와 압압 롤러(66) 사이를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전해질막(92)의 표면에 대한 제2 지지 필름(96)의 밀착성이 향상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ressing roller 66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lamination roller 63. [ The pressing roller 66 is arranged adjacent to the lamination roller 63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than the gap between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lamination roller 63. The pressing roller 66 is pressed toward the laminate roller 63 by an air cylinder (not show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ssembly 95 having the second support film 96 away from the porous substrate 91 then passes between the lamination roller 63 and the pressure roller 66. As a result, the adhesion of the second support film 96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improved.

그 후, 제2 지지 필름(96)을 갖는 막·전극층 접합체(95)는, 후술하는 검사부(70)에 의해 검사되면서, 복수의 접합체 반출 롤러(64)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제2 지지 필름(96)을 갖는 막·전극층 접합체(95)는, 소정의 반출 경로를 따라서, 접합체 회수 롤러(65)까지 반송된다. 접합체 회수 롤러(65)는, 도시를 생략 한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지지 필름(96)을 갖는 막·전극층 접합체(95)가, 제2 지지 필름(96)이 외측이 되도록, 접합체 회수 롤러(65)에 권취된다.Thereafter,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assembly 95 having the second support film 96 is guided by the plurality of assembly-unit take-out rollers 64 while being inspected by the inspecting section 70 to be described later.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ssembly 95 having the second support film 96 is conveyed to the bonded body collection roller 65 along a predetermined take-out path. The joint member recovery roller 65 is rotated by the power of a motor (not shown). Thereby,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ssembly 95 having the second support film 96 is wound on the assembly body collection roller 65 so that the second support film 96 is outsid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조 장치(1)에서는, 적층 기재 공급 롤러(31)로부터의 적층 기재(94)의 투입, 전해질막(92)으로부터의 제1 지지 필름(93)의 박리, 전해질막(92)으로의 전극 재료의 도포, 건조로(50)에 의한 건조, 전해질막(92)으로의 제2 지지 필름(96)의 붙임, 검사부(70)에 의한 검사, 접합체 회수 롤러(65)로의 막·전극층 접합체(95)의 권취의 각 공정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의 전극에 이용되는 막·전극층 접합체(95)가 제조된다. 전해질막(92)은, 제1 지지 필름(93), 흡착 롤러(10), 또는 제2 지지 필름(96)에, 항상 유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장치(1)에 있어서의 전해질막(92)의 팽윤·수축 등의 변형이 억제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duc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minated base material 94 is fed from the laminated base material supply roller 31, the separa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from the electrolyte film 92, The second supporting film 96 is attached to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nd the inspection by the inspection unit 70 and the bonding material collecting roller 65 are carried out, And the step of winding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on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95 are sequentially performed. Thereby,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used for the electrode of the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is produced.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always held in the first support film 93, the adsorption roller 10, or the second support film 96. Thus, deformation such as swelling and shrinkag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n the production apparatus 1 is suppressed.

제어부(80)는, 제조 장치(1) 내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3은, 제어부(80)와, 제조 장치(1) 내의 각 부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중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CPU 등의 연산부(81), RAM 등의 메모리(82)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부(83)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83) 내에는,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P)이 인스톨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80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 [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 unit 80 and the respective units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80 is constituted by a computer having an operation unit 81 such as a CPU, a memory 82 such as a RAM, and a storage unit 83 such as a hard disk drive. In the memory unit 83, a computer program P for execu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is installed.

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상기 서술한 흡착 롤러(10)의 회전 구동부(11), 흡착 롤러(10)의 흡인 기구, 다공질 기재 공급 롤러(21)의 모터, 다공질 기재 회수 롤러(24)의 모터, 적층 기재 공급 롤러(31)의 모터, 박리 롤러(33)의 에어 실린더, 제1 지지 필름 회수 롤러(35)의 모터, 재료 공급부(40), 건조로(50), 제2 지지 필름 공급 롤러(61)의 모터, 라미네이트 롤러(63)의 에어 실린더, 라미네이트 롤러(63)의 히터(631), 압압 롤러(66)의 에어 실린더, 접합체 회수 롤러(65)의 모터, 후술하는 검사부(70) 및 마킹부(79)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3,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rotation drive unit 11 of the above-described suction roller 10, the suction mechanism of the suction roller 10, the motor of the porous substrate supply roller 21, The motor of the laminated substrate feeding roller 31, the air cylinder of the peeling roller 33, the motor of the first supporting film collecting roller 35, the material feeding portion 40, the drying furnace (not shown) The air cylinder of the lamination roller 63, the heater 631 of the lamination roller 63, the air cylinder of the pressing roller 66, the bonding material collecting roller 65, The inspection unit 70 and the marking unit 7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80)는, 기억부(83)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P) 및 데이터를 메모리(82)에 일시적으로 읽어내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P)에 의거하여, 연산부(81)가 연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제조 장치(1)에 있어서의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처리가 진행된다.The control unit 80 temporarily reads the computer program P and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83 into the memory 82 and causes the arithmetic unit 81 to perform arithmetic processing based on the computer program P There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above units.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in the production apparatus 1 proceeds.

<2. 검사부 및 마킹부에 대해><2. Inspection section and marking section>

계속해서, 상기 서술한 제조 장치(1)에 있어서의, 검사부(70) 및 마킹부(79)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inspection unit 70 and the marking unit 79 in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검사부(70)는, 전해질막(92)에 형성된 전극층(9a, 9b)을 검사하는 기구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검사부(70)는, 제1 검사부(71) 및 제2 검사부(72)를 갖는다. 제1 검사부(71)는, 라미네이트 롤러(63)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고, 전해질막(92)이 흡착 롤러(10)로부터 이격한 후에, 전해질막(92)에 형성된 전극층(9a, 9b)을 검사한다.The inspection unit 70 is a mechanism for inspecting the electrode layers 9a and 9b formed on the electrolyte membrane 92. [ The inspection section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irst inspection section 71 and a second inspection section 72. The first inspection portion 71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lamination roller 63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electrode layers 9a and 9b formed on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10 ).

제1 검사부(71)는, 외관 검사부(73) 및 합계 담지량 검사부(74a)를 갖는다. 외관 검사부(73)는, 전해질막(92)에 형성된 전극층(9a, 9b)의, 형상 또는 형성 위치 등의 외관을 검사하는 기구이다. 외관 검사부(73)는, 예를 들어, 렌즈 등의 광학계와, CCD 또는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라인 센서에 의해 실현된다. 단, 외관 검사부(73)는, 다른 수단에 의해서 실현되는 것이어도 된다. 외관 검사부(73)에 의해 취득된 화상은, 제어부(80)로 입력되어 화상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80)는, 화상 처리된 화상으로부터, 전극층(9a, 9b)에 대한, 형성 위치 이상, 이물의 부착 및 손상 등의 불량의 유무를 판단한다.The first inspection unit 71 has an appearance inspection unit 73 and a total carrying amount inspection unit 74a. The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 is a mechanism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de layers 9a and 9b formed on the electrolyte membrane 92 such as the shape or the forming position. The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 is realized by, for example, an optical system such as a lens and a line sensor having an image pickup element such as a CCD or CMOS. However, the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 may be realized by other means. The image acquired by the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 is input to the control section 80 and subjected to image processing. Then, the control unit 80 judg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such as adherence and damage of the foreign matter to the electrode layers 9a, 9b from the image-processed imag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외관 검사부(73)는, 제1 전극층(9a)을 검사하는 외관 검사부(73a) 및 제2 전극층(9b)을 검사하는 외관 검사부(73b)를 갖는다. 외관 검사부(73b)는, 라미네이트 롤러(63)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또한, 막·전극층 접합체(95)의 표면측에 배치되고, 제2 지지 필름(96)을 개재하여 제2 전극층(9b)의 외관을 검사한다. 또, 외관 검사부(73a)는, 외관 검사부(73b)보다 더욱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또한, 막·전극층 접합체(95)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제1 전극층(9a)의 외관을 검사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전극층(9a) 및 제2 전극층(9b)의 각각에 대해, 외관 불량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전해질막(92)이 흡착 롤러(10)에 의해 흡착 지지됨으로써, 제1 전극층(9a)에 발생한 불량의 유무도 판단할 수 있다.1, the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a for inspec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nd an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b for inspect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 The external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b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lamination roller 63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on the surface sid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ssembly 95 and the second electrode film 9b ). The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a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further downstream of the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b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examines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is defective. Also, since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adsorbed and supported by the adsorption roller 10,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can be determined.

본 실시 형태의 외관 검사부(73a)는, 반송 롤러인 접합체 반출 롤러(64)와 맞닿는 전해질막(92)의 이면측으로부터, 제1 전극층(9a)의 외관을 검사한다. 반송 중의 전해질막(92)은, 접합체 반출 롤러(64)와 맞닿는 개소에서 휘어짐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외관 검사부(73b)는, 당해 개소를 이면으로부터 검사함으로써, 보다 정밀도 좋게 제1 전극층(9a)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다.The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a of the present embodiment inspects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from the back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which abuts the junction body discharging roller 64 which is the conveying roller. The electrolyte membrane 92 during conveyance is suppressed from being warped at a position where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buts against the bonded body dispensing roller 64. [ As a result, the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 73b can inspect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with higher accuracy by inspecting the portion from the back side.

합계 담지량 검사부(74a)는, 전극층(9a, 9b) 중의 제1 촉매 입자 및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검사한다. 도 4는, 합계 담지량 검사부(74a)에 의한 전극층(9a, 9b) 중의 제1 촉매 입자 및 제2 촉매 입자의 검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어부(80)에 의해 산출된, 전해질막(92)의 반송 거리에 대한 전극층(9a, 9b) 중의 제1 촉매 입자 및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The total loading amount inspecting section 74a inspects the loading amounts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and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in the electrode layers 9a and 9b. Fig. 4 is a diagram showing states of inspection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and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in the electrode layers 9a and 9b by the total loading amount inspecting portion 74a. 5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s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and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carried in the electrode layers 9a and 9b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stan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80. [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합계 담지량 검사부(74a)는, X선 조사부(75a) 및 X선 검출부(76a)를 갖는다. X선 조사부(75a)는, 전해질막(92)의 표면측에 배치된다. X선 검출부(76a)는, 전해질막(92)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단, X선 조사부(75a)는, 전해질막(92)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X선 검출부(76a)는, 전해질막(92)의 표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X선 조사부(75a)에 의해 조사된 X선은, 제2 지지 필름(96), 제2 전극층(9b), 전해질막(92) 및 제1 전극층(9a)을 통과하여, 이면측으로부터 취출된다. 그리고, 전해질막(92)의 이면측으로부터 취출된 X선은, X선 검출부(76a)에 의해 검출된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total carrying amount checking section 74a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X-ray irradiating section 75a and an X-ray detecting section 76a. The X-ray irradiating portion 75a is dispo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 The X-ray detecting portion 76a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electrolyte film 92. [ It should be noted that the X-ray irradiating portion 75a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nd the X-ray detecting portion 76a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 The X-ray irradiated by the X-ray irradiating portion 75a passes through the second supporting film 96,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the electrolyte film 92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nd is taken out from the back side . The X-ray extracted from the back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detected by the X-ray detecting section 76a.

X선 조사부(75a)로부터 조사된 X선의 일부는, 제1 전극층(9a) 중의 제1 촉매 입자 및 제2 전극층(9b) 중의 제2 촉매 입자에 의해 흡수된다. 이로 인해, X선 검출부(76a)에 의해 검출되는 X선의 강도는, X선 조사부(75a)로부터 조사된 X선의 강도보다 낮아진다. X선 검출부(76a)는, 검출한 X선의 강도를 제어부(80)에 입력한다. 제어부(80)는, X선 조사부(75a)로부터 조사된 X선의 강도와, X선 검출부(76a)에 의해 검출된 X선의 강도의 차분으로부터, X선 투과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산출된 X선 투과율, 미리 기억된 데이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부터, 제1 전극층(9a) 중의 제1 촉매 입자 및 제2 전극층(9b) 중의 제2 촉매 입자의 합계의 담지량인 합계 담지량(D0)을 산출한다.A part of the X-rays irradiated from the X-ray irradiating portion 75a is absorbed by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nd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Thus, the intensity of the X-ray detected by the X-ray detecting section 76a becomes lower than the intensity of the X-ray irradiated from the X-ray irradiating section 75a. The X-ray detecting unit 76a inputs the intensity of the detected X-rays to the control unit 80. [ The control unit 80 calculates the X-ray transmittance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nsity of the X-ray irradiated from the X-ray irradiating unit 75a and the intensity of the X-ray detected by the X-ray detecting unit 76a. The control unit 80 then calculates the total amount of the first catalytic particles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nd the total amount of the second catalytic particles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from the calculated X-ray transmittance, Phosphorus loading amount D0.

제2 검사부(72)는, 흡착 롤러(10)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고, 전해질막(92)의 이면에 형성된 제1 전극층(9a)을 검사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검사부(72)는, 제1 담지량 검사부(74b)를 갖는다. 도 6은, 제1 담지량 검사부(74b)에 의한 제1 전극층(9a) 중의 제1 촉매 입자의 검사의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제어부(80)에 의해 산출된, 전해질막(92)의 반송 거리에 대한 제1 전극층(9a) 중의 제1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The second inspecting section 72 inspects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which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dsorption roller 10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second inspection section 72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irst carrying amount checking section 74b.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inspection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by the first loading amount checking section 74b. 7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arri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stan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80. As shown in Fig.

제1 담지량 검사부(74b)는, 합계 담지량 검사부(74a)와 마찬가지로, X선 조사부(75b) 및 X선 검출부(76b)를 갖는다. X선 조사부(75b)는, 전해질막(92)의 표면측에 배치된다. X선 검출부(76b)는, 전해질막(92)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X선 조사부(75b)에 의해 조사된 X선은, 전해질막(92), 제1 전극층(9a) 및 제1 지지 필름(93)을 통과하여, 이면측으로부터 취출된다. 그리고, 전해질막(92)의 이면측으로부터 취출된 X선은, X선 검출부(76b)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부(80)는, X선 조사부(75b)로부터 조사된 X선의 강도와, X선 검출부(76b)에 의해 검출된 X선의 강도의 차분으로부터, X선 투과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산출된 X선 투과율 및 미리 기억된 데이터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부터, 제1 전극층(9a) 중의 제1 촉매 입자의 담지량인 제1 담지량(D1)을 산출한다.The first carrying amount inspecting section 74b has an X-ray irradiating section 75b and an X-ray detecting section 76b similarly to the total carrying amount inspecting section 74a. The X-ray irradiating portion 75b is dispo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 The X-ray detecting portion 76b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electrolyte film 92. [ The X-ray irradiated by the X-ray irradiating portion 75b passes through the electrolyte film 92,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nd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and is taken out from the back side. The X-ray extracted from the back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detected by the X-ray detecting section 76b. The control unit 80 calculates the X-ray transmittance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nsity of the X-ray irradiated from the X-ray irradiating unit 75b and the intensity of the X-ray detected by the X-ray detecting unit 76b. Then, the control unit 80 calculates the first carrying amount D1, which is the carrying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from the calculated X-ray transmittance and previously stored data or computer program.

제어부(80) 내의 연산부(81)는, 합계 담지량(D0)과, 제1 담지량(D1)의 차분으로부터,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인 제2 담지량을 산출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전극층(9b)의 불량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제2 전극층(9b)에 결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고,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대략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으면, 합계 담지량(D0)으로부터, 대략 일정하다고 가정한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뺌으로써, 흡착 롤러(10)로부터 이격한 후의 제1 전극층(9a) 중의 제1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연산부(81)는, 전해질막(92)이 흡착 롤러(10)에 흡착 지지되기 전의 제1 촉매 입자의 제1 담지량(D1)과, 전해질막(92)이 흡착 롤러(10)로부터 이격한 후의 제1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비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전극층(9a)의 불량의 유무를 보다 다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section 81 in the control section 80 calculates the second carrying amount which is the carrying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carrying amount D0 and the first carrying amount D1.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is defective. If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has a low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defect and the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to be carried is substantially constant, the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to be carri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10. [ In this case, the calculating section 81 calculates the first carrying amount D1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before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adsorbed and supported on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first carrying amount D1 of the catalyst particles before the adsorption roller 10 The loading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after the separation can be compared. Thu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can be judged more diversely.

또, 제어부(80)는, 산출된 제2 담지량이 극단적으로 변화하는 등의 이상값이 된 경우, 제1 전극층(9a)에 탈락 등의 불량이 발생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검사부(70)는, 제2 담지량이 이상값인지 아닌지에 의해, 제1 전극층(9a)을 검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전극층(9a)의 결함을 보다 다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lculated second holding amount becomes an abnormal value such as extreme change, the control unit 80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is defective such as dropout. As described above, the inspection unit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inspect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econd supported amount is an abnormal value. As a result, defects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can be more variously inspected.

마킹부(79)는, 전해질막(92) 또는 제2 지지 필름(96)에 마킹하는 기구이다. 마킹부(79)에 의한 마킹은, 예를 들어, 마킹용의 잉크를 잉크젯 토출 기구에 의해 토출함으로써 실현된다. 마킹부(79)는, 검사부(70)에 의한 검사의 결과, 불량이라고 판단된 전극층(9a, 9b) 부근의, 전해질막(92) 또는 제2 지지 필름(96)에 마킹을 행한다.The marking portion 79 is a mechanism for marking the electrolyte membrane 92 or the second support film 96. The marking by the marking portion 79 is realized, for example, by ejecting ink for marking by an inkjet ejection mechanism. The marking unit 79 performs marking on the electrolyte membrane 92 or the second support film 96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ode layers 9a and 9b determined to be defective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inspection unit 70. [

제조 장치(1)에 의해 제조된 막·전극층 접합체(95)는, 그 후, 절단되고, 전해질막(92)의 표리면에 형성된 전극층(9a, 9b)에 가스 확산막이 붙여진다. 여기서, 가스 확산막의 붙임 공정의 전에, 불량이라고 판단된 전극층(9a, 9b)은, 마킹을 표적으로 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불량인 전극층(9a, 9b)을 갖는 막·전극층 접합체(95)가, 최종 제품에 이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제조 장치(1)에 의해 제조된 막·전극층 접합체(95)를 효과적으로 품질 관리할 수 있다.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ssembly 95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then cut and a gas diffusion film is attached to the electrode layers 9a and 9b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 Here, before the process of adhering the gas diffusion film, the electrode layers 9a and 9b determined to be defective can be easily removed by marking as a target. This can prevent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having defective electrode layers 9a and 9b from being used for the final produc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quality of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assembly 95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 [

특히, 이 제조 장치(1)에서는, 막·전극층 접합체(95)가 흡착 롤러(10)로부터 이격한 후에, 미리 전해질막(92)에 형성되어 있던 제1 전극층(9a)에, 손상 또는 이물의 부착 등의 불량이 발생되어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착 롤러(10)로의 흡착에 기인하는 제1 전극층(9a)의 품질 저하를, 제조 장치(1) 내에 있어서 발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막·전극층 접합체(95)를 효과적으로 품질 관리할 수 있어, 막·전극층 접합체(95)의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검사부(70)의 검사 결과에 의거하여, 다음 공정에서의 처리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막·전극층 접합체(95)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in this manufacturing apparatus 1, after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95 separates from the adsorption roller 10,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previously formed in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defects such as adhesion are occurring. Therefor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due to adsorption to the adsorption roller 10 can be found in the production apparatus 1. [ Thu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quality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and to reduce the defective ratio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judge the necessity and necessity of the processing in the next step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inspection section 70. [ As a result,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can be improved.

또, 검사부(70)에 의한 검사 결과에 의거하여, 흡착 롤러(10), 복수의 반송 롤러 및 노즐(41)의 클리닝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또, 도공 잉크(촉매 잉크)의 교환을 할 수 있으며, 도공 잉크의 조제 레시피의 확인을 행할 수도 있다. 그 결과, 막·전극층 접합체(95)의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of the suction roller 10,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nd the nozzles 41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by the inspection unit 70.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change the coating ink (catalyst ink), and to confirm the preparation recipe of the coating ink. As a result, the defective ratio of the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95 can be reduced, and the yield can be improved.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송 롤러 중, 라미네이트 롤러(63)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복수의 접합체 반출 롤러(64)는, 모두 전해질막(92)의 표면측에 배치된다. 즉, 제1 검사부(71)에 의해 검사된 후에는, 전해질막(92)의 이면과 접합체 반출 롤러(64)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검사부(71)에 의해 검사된 후에, 제1 전극층(9a)이 반송 롤러와 접촉함으로써, 제1 전극층(9a)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라미네이트 롤러(63)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접합체 반출 롤러(64)는, 전해질막(92)의 표면과, 제2 지지 필름(96)을 개재하여 접촉한다. 이로 인해, 제2 전극층(9b)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사부(70)에 의한 검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mong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 plurality of the jumping body take-out rollers 64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an the lamination roller 63 are all dispo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That is, after the inspection by the first inspection portion 71,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nd the bonded body dispensing roller 64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due to the contac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with the conveying roller after the inspection by the first inspection portion 71. [ The bonding material take-out roller 64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laminate roller 63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film 92 via the second support film 96.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inspection by the inspection unit 70 can be enhanced.

<3. 변형예><3. Modifications>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검사부(72)는, 제1 담지량 검사부(74b)만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제2 검사부(72)는, 제1 전극층(9a)의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 검사부를 더 갖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전해질막(92)이 흡착 롤러(10)에 흡착 지지되기 전의 제1 전극층(9a)의 외관과, 전해질막(92)이 흡착 롤러(10)로부터 이격한 후의 제1 전극층(9a)의 외관을 비교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전해질막(92)이 흡착 롤러(10)에 의해서 흡착 지지됨으로써 발생한, 제1 전극층(9a)의 불량의 유무를, 보다 정밀도 좋게 판단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cond checking unit 72 has only the first carrying amount checking unit 74b. However, the second inspection section 72 may further include an appearance inspection section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before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adsorbed and supported on the adsorption roller 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92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10 The appearance may be compared.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precis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is defective, which is caused by the adsorption and support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by the adsorption roller 10.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검사부(71)는, 제1 전극층(9a)을 검사하는 하나의 외관 검사부(73a) 및 제2 전극층(9b)을 검사하는 하나의 외관 검사부(73b)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제1 검사부(71)는, 외관 검사부(73a, 73b)를, 각각 복수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외관 검사부(73a, 73b) 중, 어느 한쪽에 의해, 제1 전극층(9a) 및 제2 전극층(9b)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다면, 다른쪽을 생략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inspection unit 71 includes one appearance inspection unit 73a for inspec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nd one appearance inspection unit 73b for inspect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I have. However, the first inspection section 71 may have a plurality of appearance inspection sections 73a and 73b, respectively. If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9a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9b can be inspected by either one of the appearance inspecting sections 73a and 73b, the other may be omitted.

또, 상기의 실시 형태의 복수의 반송 롤러 중, 일부는 점착 롤러여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송 롤러는, 전해질막(92)을 반송하면서, 전해질막(92)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Of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ome of them may be adhesion rollers. By doing so, the conveying roller can remove foreign matters adhering to the electrolyte membrane 92 while conveying the electrolyte membrane 92.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질막 공급 롤러로서의 적층 기재 공급 롤러(31)로부터, 전해질막(92) 및 제1 지지 필름(93)의 2층으로 구성되는 적층 기재(94)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전해질막 공급 롤러는, 제1 지지 필름(93)이 붙여져 있지 않은 전해질막(92)을 계속 내보내는 것이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laminated base material 94 composed of two layer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92 and the first support film 93 is supplied from the laminated base material supply roller 31 as the electrolyte membrane feed roller . However, the electrolyte membrane feed roller may be such that the electrolyte membrane 92 to which the first supporting film 93 is not adhered is continuously fed.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접합체 회수 롤러(65)가, 제2 지지 필름(96)을 갖는 전해질막(92)을 권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접합체 회수 롤러(65)는, 제2 지지 필름(96)이 붙여져 있지 않은 전해질막(92)을 권취하는 것이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bonded body collection roller 65 winds up the electrolyte film 92 having the second support film 96 is described. However, the bonded body collection roller 65 may be formed by winding the electrolyte membrane 92 to which the second supporting film 96 is not attached.

또, 제조 장치(1)의 세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원의 각 도면과 상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조합해도 된다.The details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respective elements appearing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within a range in which no contradiction occurs.

1, 1a 제조 장치
2 메인터넌스 스페이스
3 작업자
9a 제1 전극층
9b 제2 전극층
10 흡착 롤러
20 다공질 기재 반송부
30 전해질막 공급부
40 재료 공급부
63 라미네이트 롤러
64 접합체 반출 롤러
65 접합체 회수 롤러
70 검사부
71 제1 검사부
72 제2 검사부
73, 73a, 73b 외관 검사부
74a 합계 담지량 검사부
74b 제1 담지량 검사부
79 마킹부
80 제어부
91 다공질 기재
92 전해질막
93 제1 지지 필름
94 적층 기재
95 막·전극층 접합체
96 제2 지지 필름
1, 1a Manufacturing apparatus
2 Maintenance space
3 workers
9a First electrode layer
9b Second electrode layer
10 adsorption roller
20 Porous substrate conveying section
30 electrolyte membrane supply part
40 Material supply part
63 Laminate Roller
64 Assembly body take-out roller
65 Conjugate collecting roller
70 Inspector
71 First Inspection Section
72 Second Inspection Section
73, 73a, 73b Appearance inspection section
74a total loading amount inspection part
74b First loading amount inspection section
79 Marking portion
80 control unit
91 Porous substrate
92 electrolyte membrane
93 First support film
94 laminated substrate
95 membrane-electrode layer junction body
96 second support film

Claims (18)

전해질막의 이면에 제1 전극층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에 제2 전극층을 갖는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장치로서,
이면에 제1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장척 띠형상의 상기 전해질막을, 그 길이 방향인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러와,
상기 복수의 반송 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을, 그 외주면의 일부에서 흡착 유지함과 더불어, 그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흡착 롤러와,
상기 흡착 롤러에 흡착 유지되면서 이동하는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에, 제2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재료를 공급하여,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재료 공급부와,
상기 전해질막이 상기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상기 제1 전극층을 검사하는, 하나 이상의 검사부를 구비하는, 제조 장치.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membrane electrode layer assembly having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an electrolyte membrane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a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for conveying the electrolyte membrane in the form of a long strip hav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including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on its back surface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 adsorption roller which adsorbs and holds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conveyed by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on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rotates around the axis thereof,
A material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electrode material containing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which is adsorbed and held on the adsorption rollers and which forms a second electrode layer,
And inspec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전극층의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 검사부를 갖는,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pection section has an appearance inspection section for inspecting an appear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전해질막이 상기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담지량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검사하는 합계 담지량 검사부와,
상기 합계 담지량 검사부에 의해 얻어진 합계 담지량으로부터, 미리 취득한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제1 담지량을 뺌으로써,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구하는 연산부를 갖는,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total loading amount inspecting unit for inspecting a loading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loading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And an arithmetic unit operable to subtract a first carrying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that has been previously acquired from the total carrying amount obtained by the total carrying amount checking unit to obtain a carrying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전해질막이 상기 흡착 롤러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의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상기 제1 담지량을 검사하는, 제1 담지량 검사부를 더 갖는,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spection sec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loading amount checking section for checking the first loading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before the electrolyte membrane reaches the adsorption roller Device.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합계 담지량 및 상기 제1 담지량으로부터,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제2 담지량을 구하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2 담지량이 이상값인지 아닌지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을 검사하는,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calculating section obtains the second carrying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from the total carrying amount and the first carrying amount,
Wherein the inspection unit inspects the first electrode layer based on whether the second carrying amount is an abnormal value or no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척 띠형상의 다공질 기재를, 상기 흡착 롤러와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개재시키면서 반송하는 다공질 기재 반송부를 더 구비하는,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Further comprising a porous substrate conveying section for conveying the porous substrate in the form of a long belt between the adsorption roller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while interposing the porous substrate therebetwee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송 롤러 중, 상기 검사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반송 롤러는,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onveying roller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is arrang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의 검사 결과에 의거하여 불량이라고 판단된 상기 제1 전극층 부근에 마킹하는 마킹부를 더 갖는,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marking unit for marking the vicinity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which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inspection uni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과 상기 제1 전극층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흡착 롤러에 흡착 유지되는,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are adsorbed and held on the adsorption roller in an exposed state.
전해질막의 이면에 제1 전극층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에 제2 전극층을 갖는 막·전극층 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제1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장척 띠형상의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을, 흡착 롤러의 외주면의 일부에서 흡착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흡착 롤러를 그 축심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전해질막을 반송하는 반송 공정과,
b) 상기 흡착 롤러에 흡착 유지되면서 이동하는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에, 제2 촉매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재료를 공급하여, 상기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 상기 전해질막이 상기 흡착 롤러로부터 이격한 후에, 상기 제1 전극층을 검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membrane electrode layer assembly having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an electrolyte membrane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a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 a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n the shape of an elongated strip on which a first electrode layer including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is formed is adsorbed and held a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sorption roller, and while rotating the adsorption roller about its axis, A transporting step of transporting the substrate,
b) supplying the electrode material including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that is adsorbed and held on the adsorption rollers and moves to form the second electrode layer;
c) inspec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after the electrolyte membrane is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roll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d) 상기 제1 전극층의 외관을 검사하는 공정을 갖는,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c)
and d)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e)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담지량 및 상기 제2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검사하는 공정과,
f) 상기 공정 e)에 의해 얻어진 합계 담지량으로부터, 미리 취득한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담지량을 뺌으로써,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제2 담지량을 구하는 공정을 갖는,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The step c)
e) inspecting a loading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loading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f) a step of obtaining a second supported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by subtracting the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obtained previously from the total amount of support obtained by the step e)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이 상기 흡착 롤러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의 상기 제1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촉매 입자의 제1 담지량을 검사하는 공정을 더 갖고,
상기 공정 f)에서는, 상기 합계 담지량으로부터 상기 제1 담지량을 뺌으로써, 상기 제2 촉매 입자의 상기 제2 담지량을 구하는,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pecting a first amount of the first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before the electrolyte membrane reaches the adsorption roller,
Wherein in the step (f), the second supported amount of the second catalyst particles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supported amount from the total supported amount.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공정 c)에서는, 상기 제2 담지량이 이상값인지 아닌지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을 검사하는,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in the step c),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inspected whether or not the second supporting amount is an abnormal value.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에서는, 장척 띠형상의 다공질 기재를, 상기 흡착 롤러와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개재시키면서 반송하는,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4,
In the step a), a porous substrate in the form of a long strip is transported while interposed between the adsorption roller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 후에, 상기 전해질막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 롤러에 의해, 상기 전해질막을 반송하는,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5,
And after the step (c), the electrolyte membrane is transported by a plurality of transport rollers dispo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 상기 공정 c)의 검사 결과에 의거하여, 불량이라고 판단된 상기 제1 전극층 부근에 마킹하는 공정을 더 갖는,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6,
and g) marking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determined to be defective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step c).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에서는, 상기 전해질막의 이면과 상기 제1 전극층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흡착 롤러에 흡착 유지되는,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7,
In the step a),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are adsorbed and held on the adsorption roller in an exposed state.
KR1020187018458A 2016-03-11 2016-11-14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KR1021166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7880 2016-03-11
JP2016047880A JP6868962B2 (en) 2016-03-11 2016-03-11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embrane / electrode layer joints
PCT/JP2016/083653 WO2017154266A1 (en) 2016-03-11 2016-11-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embrane electrode laye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711A true KR20180088711A (en) 2018-08-06
KR102116624B1 KR102116624B1 (en) 2020-05-28

Family

ID=5979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458A KR102116624B1 (en) 2016-03-11 2016-11-14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68962B2 (en)
KR (1) KR102116624B1 (en)
CN (1) CN108432020B (en)
WO (1) WO201715426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6312B2 (en) * 2018-03-19 2022-07-26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SUPPORT FILM, APPLICATION METHOD, MEMBRANE-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JP2021177444A (en) * 2018-07-23 2021-11-11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Device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JP7258683B2 (en) * 2019-07-17 2023-04-17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ITH SUBGASK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SUBGASKET BASE MATERIAL
JP2021135125A (en) 2020-02-26 2021-09-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device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y
JP7299260B2 (en) 2021-03-15 2023-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for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156A (en) * 2007-09-21 2009-03-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rane for fuel cell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JP2015015258A (en) 2014-09-18 2015-01-2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Device for manufacturing film-electrode assembly
JP2015056295A (en) * 2013-09-12 201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uel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and fuel battery
JP2015185317A (en)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Catalyst layer formation method and catalyst layer form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900A (en) * 1994-08-05 1996-02-20 Toshiba Corp Battery manufacturing equipment with diagnostic function
US5763765A (en) * 1996-09-25 1998-06-09 Ballard Powe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locating perforations in membranes employed in electrochemical cells
JP4583722B2 (en) * 2003-04-25 2010-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Method for detecting pinhole and method for produc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JP2005038694A (en) * 2003-07-14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spection method of mea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JP4386705B2 (en) * 2003-10-29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Pinhole detection method and pinhole detection device
US20060045985A1 (en) * 2004-09-02 2006-03-02 Kozak Paul D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ically coating an ion-exchange membrane or fluid diffusion layer with a catalyst layer
JP2007237126A (en) * 2006-03-10 2007-09-20 Fujifilm Corp Application method and applicator
JP5023570B2 (en) * 2006-06-21 2012-09-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Reinforcing electrolyte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JP5150144B2 (en) * 2007-06-14 2013-02-20 株式会社アツミテック Ion conductive electrolyte membrane inspection method
JP2010176897A (en) * 2009-01-27 2010-08-12 Toyota Motor Corp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uel 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JP4794694B2 (en) * 2009-07-24 2011-10-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eposit amount measuring device, deposit amount measur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device
US20150357660A1 (en) * 2009-11-26 2015-12-10 Kia Motors Corporation Pinhole detection system of fuel cell
US20120003572A1 (en) * 2010-02-10 2012-01-05 Jun Matsumura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atalyst-coated membrane assembly
JP2012104405A (en) * 2010-11-11 2012-05-31 Toyota Motor Corp Device for producing catalyst coated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catalyst coated membrane
JP2012195052A (en) * 2011-03-14 2012-10-11 Toppan Printing Co Ltd Correction method of catalyst layer sheet
JP5897808B2 (en) * 2011-03-29 2016-03-30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Electrode plate manufacturing equipment
JP2013161557A (en) * 2012-02-02 2013-08-19 Panasonic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film-catalyst layer junctio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lm-catalyst layer junction
WO2014103963A1 (en) * 2012-12-27 2014-07-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abrication method
JP6178986B2 (en) * 2013-03-19 2017-08-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mbrane catalyst layer assembly
JP5935743B2 (en) * 2013-04-01 2016-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Fuel cell and fuel cell manufacturing method
JP5949645B2 (en) * 2013-04-10 2016-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Joining device
JP5939198B2 (en) * 2013-05-15 2016-06-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Membrane / electrode assembly inspection method, inspect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pparatus
JP2014229370A (en) * 2013-05-20 2014-12-08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Production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of composite membrane
JP2015069739A (en) *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mbrane-catalyst layer assembly
JP6090192B2 (en) * 2014-02-07 2017-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JP2015197947A (en) * 2014-03-31 2015-1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Method of manufacturing catalyst layer, method of manufacturing catalyst layer-electrolyte membrane laminat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mbrane-electrode assembly
KR101567708B1 (en) * 2014-07-09 2015-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defect of a fuel 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JP6528117B2 (en) * 2015-03-09 2019-06-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atalyst layer formation inspection device and its inspection method
CN105329007B (en) * 2015-12-01 2018-06-26 佛山市南海区三简包装有限公司 A kind of mould pressing method of coated on both sides fil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156A (en) * 2007-09-21 2009-03-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rane for fuel cell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JP2015056295A (en) * 2013-09-12 201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uel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and fuel battery
JP2015185317A (en)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Catalyst layer formation method and catalyst layer formation device
JP2015015258A (en) 2014-09-18 2015-01-2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Device for manufacturing film-electrod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4266A1 (en) 2017-09-14
CN108432020A (en) 2018-08-21
JP6868962B2 (en) 2021-05-12
KR102116624B1 (en) 2020-05-28
CN108432020B (en) 2022-05-31
JP2017162745A (en)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6151B (en) Coating film inspection device, coating film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membrane-catalyst layer bonded body
KR102116624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mbrane / electrode layer assembly
KR101904641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mbrane-electrode assembly
KR102129217B1 (en) Coating device and film recovery method
JP7258725B2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ith subgasket
KR102325722B1 (en)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KR20160092493A (en) Drying apparatus and drying method
CN108621533B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WO2018037670A1 (en)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KR102272864B1 (en) Support film, affixing method,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JP7258726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ith subgasket,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ith subgasket
KR20180106850A (en)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JP2020017374A (en) Backing material treatment device and backing material processing method
JP7330866B2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ith subg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