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219A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219A
KR20180088219A KR1020170013012A KR20170013012A KR20180088219A KR 20180088219 A KR20180088219 A KR 20180088219A KR 1020170013012 A KR1020170013012 A KR 1020170013012A KR 20170013012 A KR20170013012 A KR 20170013012A KR 20180088219 A KR20180088219 A KR 20180088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odule
cleaning module
holder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0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7702B1 (en
Inventor
선창화
김상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702B1/en
Priority to US15/598,781 priority patent/US10258212B2/en
Priority to EP17000864.3A priority patent/EP3245927B1/en
Priority to CN201710357980.4A priority patent/CN107397506B/en
Publication of KR2018008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7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A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eaner main body provided with a module mounting portion at the inside thereof; a rotation driving portion arranged at one sid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and a cleaning module detachably mounted 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through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wherein the cleaning module comprises: a holder linearly inserted in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or being drawn out from the module mounting portion along a side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a cleaning member supported by the holder so as to be inserted or drawn out with the holder when the holder is being inserted or drawn out, and rotated by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Description

청소기{CLEANER}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위생적으로 관리 가능한 청소 모듈을 구비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aving a hygienically manageable cleaning module.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와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진공 청소 기능 또는 걸레질을 통한 걸레 청소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a vacuum cleaning function for collecting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the sucked air, or a function for cleaning a rag through a mop.

청소기는 먼지와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며,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게 된다.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는 집진장치에 집진되고, 공기는 청소기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집진장치뿐만 아니라 청소기 내부의 곳곳에 먼지가 누적된다.The cleaner sucks in dust and air at the same time and separates the dust from the inhaled air.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Inevitably dust accumulates in the vacuum cleaner as well as in the dust collector.

따라서, 청소기를 깨끗하게 관리하고 청소 성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청소기의 관리가 필요하다. 청소기의 관리란 집진장치에 집진된 먼지의 주기적인 배출, 집진장치 외에 청소기의 곳곳에 누적된 먼지의 제거 등을 가리킨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cleaner in order to clean the cleaner and maintain the cleaning performance. The management of the cleaner refers to the periodic discharge of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removal of accumulated dust in various places of the vacuum cleaner.

청소기의 관리를 위해서는 청소기의 부품들을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불가피하게 청소기의 부품들을 손으로 만져야 하며, 청소기에 누적된 먼지까지 손으로 만지게 될 우려가 있다. 사용자가 먼지를 손으로 만지는 것은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To manage the cleaner, the parts of the cleaner must be removed from the cleaner body. However, in this process, the user must inevitably touch the parts of the cleaner by hand, and there is a fear that accumulated dust in the cleaner may be touched by hand. There is a sanitary problem when the user touches the dust with his or her hands.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8598호(2015.04.08.)에 개시된 청소기 헤드로부터 에지테이터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I자 형태의 도구를 이용하여 캡을 돌려 열고, 에지테이터를 손으로 잡아 꺼내야 한다. 이때 사용자가 에지테이터를 손으로 잡아야 하기 때문에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구조는 위생적으로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pull out the agitator from the cleaner head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38598 (Apr. 20, 2014), the cap is turned by using an I-shaped tool and the agitator is hand- I have to grab it. At this time, since the user has to hold the agitator by hand, the structure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is hygienically problematic.

또한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구조는 캡을 열기 위해 I자 형태의 도구를 필요로 하는 점도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나아가 에지테이터의 일 단을 잡고 상기 에지테이터를 인출하다 보면, 에지테이터가 인출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되어 상기 에지테이터에 묻어있던 먼지가 하우징에 묻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lso, the structur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can be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in that an I-shaped tool is required to open the cap. Further, when the edge data is taken out by holding one edge of the edge data, the edge data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pulling out, so that dust adhering to the edge data may be adhered to the housing or fall on the botto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8598호(2015.04.08.)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38598 (Aug.

본 발명은 청소기의 관리 등에 사용자의 위생을 고려한 청소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로부터 일부 부품을 분해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먼지를 손으로 만지지 않고도 부품을 분해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의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pose a cleaner considering the hygiene of the user such as the maintenance of the cleaner.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user can disassemble or detach a part without touching the dust with the hand in disassembling or separating some parts from the cleaner main body.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청소 모듈의 인출 과정에서 청소 모듈에 묻어있는 먼지가 청소 모듈 하우징에 묻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dust on the cleaning module from being stuck o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or falling on the floor during the drawing process of the cleaning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청소 모듈의 인출에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의 청소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having a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tool for withdrawing a cleaning modul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청소기는, 내측에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을 통해 상기 모듈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상기 모듈 장착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모듈 장착부로부터 인출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삽입 또는 인출 시 상기 홀더와 함께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module mounting portion on an inner side thereof; a cleaning module removably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ortion through one sid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Wherein the cleaning module includes: a holder that is linearly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module mounting por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is supported by the holder to be inserted or withdrawn together with the holder when the holder is inserted or withdrawn.

상기 청소기는 상기 모듈 장착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회전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The cleaner includes a rotation driving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dule mounting part, and the cleaning member is rotated by a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rotation driving part.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청소 모듈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청소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청소 부재의 단부에 구동력을 전달한다.The rotation driving unit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an end of the cleaning member to rotate the cleaning member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r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module.

상기 청소기 본체는, 먼지통과 결합되는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는 청소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의 일측을 통해 상기 모듈 장착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모듈 장착부로부터 인출된다.The cleaner main body includes: a main housing coupled to a dust container; And a cleaning module housing coupled to the main housing and protruding from the main housing and having the module mounting part inside, wherein the clean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module mounting part through one sid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은 상기 청소 부재의 일 단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측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청소 부재의 타 단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커버에 대칭인 제2 측면 커버를 구비한다.The cleaning module housing includes a first side cover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one end of the cleaning member, the holder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other end of the cleaning member, And a second side cover.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은 상기 제2 측면 커버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The cleaning module housing is formed to surround the rim of the second side cover.

상기 제2 측면 커버의 테두리에는 실링 부재가 결합된다.A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an edge of the second side cover.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측면 커버에 설치되는 후크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후크 조작부에 인가되는 조작에 의해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다.The holder includes a hook operating part installed on the second side cover, and the cleaning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by an operation applied to the hook operating part.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측면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 조작부에 인가되는 조작에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크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은 상기 제2 측면 커버를 마주보는 위치에 내측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 커버는, 상기 모듈 장착부에 대응되는 청소 모듈 삽입 홀; 및 상기 후크 결합부에 대응되는 후크 결합부 삽입 홀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제2 측면 커버에서 상기 내측 커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청소 모듈이 상기 청소 모듈 삽입 홀을 통과해 상기 모듈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후크 결합부 삽입 홀을 통과하여 상기 내측 커버에 후크 결합된다.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hook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side cover and linearly movable according to an operation applied to the hook operating portion, wherei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includes: Wherein the inner cover comprises: a cleaning module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And a hook coupling portion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hook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hook coupl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second side cover toward the inner cover, and the cleaning module passes through the cleaning module insertion hole, The hook engagement portion is hooked to the inner cover through the hook engagement portion insertion hole.

상기 내측 커버는 돌기 삽입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 커버는, 상기 내측 커버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돌기 삽입 홀에 대응되는 돌기 관통 홀을 구비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 조작부에 인가되는 조작에 의해 선형적으로 이동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후크 조작부와 함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제1 측면 커버에 대응되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 관통 홀을 통과하여 상기 돌기 삽입 홀에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제3 부재를 포함한다.Wherein the inner cover has a projection insertion hole, the second side cover includes a first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ner cover, and having a projection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insertion hole; A second member disposed above or below the first memb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ok engagement portion and linearly moved by an operation applied to the hook operation portion; And an outer tub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hook operating part to form an outer tub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cover, And a third member having a protrusion that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상기 홀더는, 상기 회전 구동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청소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청소 부재의 일 단을 감싸는 지지부; 및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 구동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어 바닥을 청소하도록 이루어진다.The holder includes: a support member disposed to face the rotation drive unit and surrounding one end of the cleaning member to rotatably support the cleaning member; And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nnect the rotation drive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the cleaning member is exposed to a sp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clean the floor .

상기 홀더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connect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third connecting portions extending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청소 부재의 상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장공을 구비한다.The support portion has a slot to allow the cleaning member to move up and down.

상기 모듈 장착부의 내측면은 상기 청소 부재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 부재의 회전 반경 범위 밖에 배치된다.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enclose the cleaning member and is disposed outside a rotation radius range of the cleaning member.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청소 모듈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모듈 장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cleaning member is maintain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cleaning module from the cleaner main body.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또는 청소 모듈 하우징)에 청소 모듈을 장착하거나 청소기 본체로부터 청소 모듈을 분리하는 경우 청소 부재가 홀더에 결합된 상태로 삽입 또는 인출된다. 홀더가 청소기 본체에 선형적으로 삽입되거나 청소기 본체로부터 선형적으로 인출되므로, 청소 부재 또한 홀더를 따라 선형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eaning module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or the cleaning module housing), or when the cleaning module is detach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the cleaning member is inserted or drawn out while being coupled to the holder. Since the holder is linearly inserted into the cleaner body or drawn out linearly from the cleaner body, the cleaning member can also be linearly inserted or drawn along the holder.

따라서 청소 부재가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과정에서 기울어짐으로 인해 먼지가 옮겨 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를 삽입하거나 인출하면 청소 부재 또한 삽입되거나 인출되므로, 본 발명은 청소 모듈의 장착 또는 분리 과정에서 청소 부재를 손으로 만지지 않아도 되는 위생상의 장점을 갖는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st from moving due to the tilting of the cleaning member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or drawn out. In addition, when the holder is inserted or withdrawn, the cleaning member is also inserted or withdraw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sanitary condition that the cleaning member is not required to be hand-held in the process of attaching or detaching the cleaning module.

또한 본 발명은, 홀더의 제2 측면 커버에 구비되는 후크 조작부를 손으로 선형 이동시키면 청소 모듈 하우징과 청소 모듈의 후크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는 청소 모듈의 인출에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ok oper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side cover of the holder is linearly moved by hand, the hooks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and the cleaning module are released.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ool for withdrawing the cleaning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의 측면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청소 모듈 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청소 모듈 하우징과 청소 모듈의 단면도다.
도 5는 청소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청소 모듈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다.
도 6은 홀더를 보인 사시도다.
도 7a와 도 7b는 청소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청소 모듈의 결합이 해제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8은 청소 부재를 보인 개념도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eaning module housing separated from the main housing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and cleaning module shown in FIG.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eaning module being inserted or withdrawn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IGS. 7A and 7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onnecting the cleaning module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FIG.
8 is a concept showing a cleaning member.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clean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explana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의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1.

본 도면에서는 청소기의 일 예로,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는 로봇 청소기(100)를 보이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로봇 청소기(1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 업라이트 타입(upright type) 등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this figure, an example of a vacuum cleaner is shown, in which a robot cleaner 100 for suctioning dust on the floor while traveling in a certain area by itself is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robot cleaner 100 but also to general vacuum cleaners such as a canister type and an upright type.

로봇 청소기(100)는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바닥을 걸레질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110) 및 청소 모듈(120)을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1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not only a function of sucking dust on the floor but also a function of mopping the floor. For this purpose, 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cleaner main body 110 and a cleaning module 120.

청소기 본체(110)는 로봇 청소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청소기 본체(110)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각종 부품들이 내장 또는 장착된다.The cleaner main body 110 forms an appearance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10 includes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0.

본 도면에서는, 청소기 본체(110)가 메인 하우징(111)과 청소 모듈 하우징(112)을 포함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112)은 상기 메인 하우징(111)에 돌출된 형태로 결합된다.In this figure, the cleaner main body 110 includes a main housing 111 and a cleaning module housing 112.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is coupled to the main housing 111 in a protruding manner.

메인 하우징(111)에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13, 도 12 참조)이 내장되며, 먼지통(170)이 결합된다. 메인 하우징(111)의 내부에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모터, 후술하게 될 청소 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등이 장착될 수 있다.The main housing 111 includes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113 (see FIG. 12) constituting a control unit, and the dust container 170 is coupled to the main housing 111. Inside the main housing 111, a suction motor for sucking dust,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a cleaning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may be mounted.

청소 모듈 하우징(112)에는 청소 모듈(1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장착부(110a)가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소기 본체(110)는 메인 하우징(111)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듈 장착부(110a)는 메인 하우징(111)에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is formed with a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o which the cleaning module 120 is detachably coupl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leaner main body 110 may be formed only of the main housing 111. In this case,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may be formed in the main housing 111. [

청소기 본체(110)에는 물리적 충돌을 감지하는 범퍼 스위치(112a)가 설치될 수 있다. 범퍼 스위치(112a)는 장애물과의 물리적 충돌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되는 범퍼 부재(112a') 및 상기 범퍼 부재(112a')가 내측으로 이동 시 가압되는 스위치(11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bumper switch 112a for detecting a physical collision. The bumper switch 112a may include a bumper member 112a 'which is moved inward by a physical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 switch 112a "which is pressed when the bumper member 112a' is moved inward.

본 도면에서는, 청소 모듈 하우징(112)에 범퍼 스위치(112a)가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범퍼 스위치(112a)는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전면에 배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면뿐만 아니라 양측면에도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this figure, it is shown that the bumper switch 112a is provided i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The bumper switch 112a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and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as well as on the front surface.

청소기 본체(110)에는 주행을 위한 휠이 구비된다. 휠은 청소기 본체(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휠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는 전후좌우로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The cleaner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wheel for traveling. The wheels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leaner body 110, respectively. The cleaner body 110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left or right, or rotated by the wheel.

일 예로, 로봇 청소기(100)와 같이 자율 주행 기능을 가지는 경우, 휠은 구동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휠(161)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청소기 본체(11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라면, 휠은 통상적인 바닥에 대한 구름 기능만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robot cleaner 100 has an autonomous running function, the wheel may be configured as a driving wheel 161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In another example, if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moved by a user's operation, the wheel may be configured to have only a rolling function for a conventional floor.

청소기 본체(110)에는 보조휠(162)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휠(162)은 구동휠(161)과 함께 청소기 본체(110)를 지지하며, 구동휠(161)에 의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leaner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wheel 162. The auxiliary wheel 162 supports the cleaner main body 110 together with the driving wheel 161 and assists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00 by the driving wheel 161.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휠(162)은 메인 하우징(111)과 청소 모듈 하우징(112)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 모듈 하우징(112)이 메인 하우징(111)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의 안정적인 주행을 위하여 상술한 보조휠(162)은 메인 하우징(111)뿐만 아니라 청소 모듈 하우징(112)에도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the auxiliary wheel 162 may be mounted to at least one of the main housing 111 and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For example, whe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is disposed in a protruding form from the main housing 111, the auxiliary wheel 162 described above may be used not only for the main housing 111, And may also be provided i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청소 모듈(120)은 바닥을 청소하도록 이루어진다. 청소 모듈(12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와 이물질은 필터링되어 먼지통(170)에 집진되고, 먼지와 이물질로부터 분리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모듈 장착부(110a)에서 먼지통(170)까지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흡기 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먼지통(170)에서 청소기 본체(110)의 외부까지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배기 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120 is configured to clean the floor.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cleaning module 120 are filtered and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170.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and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n intake passage (not shown) for guiding the flow of air from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o the dust container 170 may be form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 An exhaust passage (not shown) for guiding the flow of air from the dust container 170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may be form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청소 모듈(120)은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청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부재란 아지테이터(agitator), 브러시(brush), 걸레(rag 또는 mop) 등을 가리킨다. 청소 부재의 종류에 따라 청소 모듈(120)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120 may optionally include different types of cleaning members. The cleaning member refers to an agitator, a brush, a rag or a mop. The type of the cleaning module 120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leaning member.

예를 들어, 브러시를 구비하는 청소 모듈(120)은 브러시 모듈로 구분되고, 걸레를 구비하는 청소 모듈(120)은 걸레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브러시 모듈과 걸레 모듈 중 어느 하나가 모듈 장착부(11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청소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청소 부재를 교체하거나 청소 모듈(120)을 교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eaning module 120 having a brush may be divided into a brush module, and the cleaning module 120 having a mop may be divided into a mop module. Either the brush module or the mop modul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For example, the user may replace the cleaning member or replace the cleaning module 120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leaning.

청소 부재의 종류가 브러시나 걸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청소 부재를 갖는 청소 모듈을 일반화하여 제1종 청소 모듈과 제2종 청소 모듈로 명명할 수 있다. 제1 청소 모듈은 제1종 청소 부재를 포함하며, 제1종 청소 부재는 예를 들어 브러시를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종 청소 모듈은 제2종 청소 부재를 포함하며, 제2종 청소 부재는 브러시 외에 걸레 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kind of the clean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brush or the mop. Accordingly, a cleaning module having different types of cleaning members can be generalized to be called a first type cleaning module and a second type cleaning module. The first cleaning module includes a first cleaning member and the first cleaning member may be, for example, a brush. Similarly, the second type cleaning module includes a second type cleaning member, and the second type cleaning member may mean a mop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brush.

먼지통(170)에는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와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또는 사이클론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17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filter and a cyclone for filtering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air.

로봇 청소기(100)는 먼지통(170)을 덮는 먼지통 덮개(18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지통 덮개(180)가 먼지통(17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먼지통 덮개(180)에 의해 먼지통(170)이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case 180 covering the dust container 170. [ The dust container 17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10 by the dust container case 180 when the dust container case 180 is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70. [

도 2를 참조하면 먼지통 덮개(180)가 청소기 본체(11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먼지통 덮개(180)는 먼지통(170) 또는 청소기 본체(110)에 고정되어 먼지통(170)의 상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ust bin cover 180 is hinged to the cleaner body 110 to be rotatable. The dust container cover 180 may be fixed to the dust container 170 or the cleaner body 11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70.

로봇 청소기(100)가 로봇 청소기와 같이 자율 주행 기능을 가지는 경우, 청소기 본체(110)에는 주변 상황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유닛(190)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싱 유닛(190)을 통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지형 지물을 감지하거나, 주행 영역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robot cleaner 100 has an autonomous running function like a robot cleaner, the cleaner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190 for sensing a surrounding situation. The control unit can sense an obstacle, detect a land feature, or generate a map of a running area through the sensing unit 190.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하우징(111)으로부터 청소 모듈 하우징(112)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청소 모듈 하우징(112)과 청소 모듈(120)의 단면도(도 3의 라인 A-A 기준)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separated from the main housing 111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line A-A in Fig. 3)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and the cleaning module 120 shown in Fig.

청소 모듈 하우징(112)은 내측에 모듈 장착부(110a)를 구비한다. 청소 모듈 하우징(112)은 상기 모듈 장착부(110a)에 장착되는 청소 모듈(120)을 보호하도록 상기 청소 모듈(120)을 감싼다.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has a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on the inner side there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surrounds the cleaning module 120 to protect the cleaning module 120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청소 모듈 하우징(112)은 좌우로 연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좌우란 로봇 청소기(10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설정된 방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전방은 범퍼 스위치(112a)가 설치되는 방향을 가리킨다.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may be configured to extend laterally. Here, the left and right indicate a direction set on the basis of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front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mper switch 112a is installed.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적어도 일부는 그 내측에 장착된 청소 모듈(120)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투명한 부재(112b)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청소기 사용자의 시선을 향하는 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모듈 장착부(110a)에 장착된 청소 모듈(120)이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청소 모듈(12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may be formed as a transparent member 112b to visually expose the cleaning module 120 mounted therein. In FIG. 3, the portion of the cleaner facing the user's eyes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ly, the cleaning module 120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is visual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ser can visually grasp the state of the cleaning module 120. [

청소 모듈 하우징(112)에는 연결 유로(112c)가 형성된다. 연결 유로(112c)는 흡입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먼지가 청소 모듈 하우징(112)으로부터 메인 하우징(111)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한다. 연결 유로(112c)는 도 1에서 설명된 메인 하우징(111)의 흡기 유로와 연결된다. 따라서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저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상기 연결 유로(112c)를 통해 흡기 유로로 유동하게 된다.A connection channel 112c is formed i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The connection channel 112c corresponds to a path through which the dust sucked by the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suction motor moves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to the main housing 111. [ The connection passage 112c is connected to the intake passage of the main housing 111 described in FIG. Therefore, the air and the dust sucked through the bottom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flows into the intake passage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12c.

연결 유로(112c)의 외측면에는 돌기부(112c')가 형성될 수 있다. 청소 모듈 하우징(112)에는 돌기부(112c')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청소 모듈 하우징(112)이 메인 하우징(111)에 결합되면, 연결 유로(112c)는 메인 하우징(111)에 삽입되고, 돌기부(112c')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 결합된다.The protrusion 112c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channel 112c. I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a lock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12c 'is formed. Whe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is coupled to the main housing 111, the connection passage 112c is inserted into the main housing 111, and the protrusion 112c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청소 모듈 하우징(112)은 위치 고정부(112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112d)는 연결 유로(112c)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청소 모듈 하우징(11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11)에는 상기 위치 고정부(112d)에 대응되는 위치 고정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청소 모듈 하우징(112)이 메인 하우징(111)에 결합되면, 상기 위치 고정부(112d)는 상기 위치 고정 홈에 삽입된다.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may have a position fixing portion 112d.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12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ssage 112c and may protrude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 The main housing 111 is formed with a position fixing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12d. Whe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is coupled to the main housing 111,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12d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fixing groove.

도 4를 참조하면, 청소 모듈(120)은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모듈 장착부(110a)에 장착된다. 청소 모듈(120)은 홀더(121)와 청소 부재(12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leaning module 120 is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The cleaning module 120 includes a holder 121 and a cleaning member 122.

홀더(121)는 청소 부재(1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홀더(121)는 청소 부재(122)의 양단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홀더(121)와 청소 부재(122)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holder 121 is configured to rotatably support the cleaning member 122.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holder 121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122, so that the holder 121 and the cleaning member 122 are relatively rotatably coupled.

청소 부재(122)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3과 도 4에서는 청소 부재(122)의 일 예로 아지테이터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The cleaning member 122 is rotatable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S. 3 and 4, an example of the cleaning member 122 is shown in which the agitator is rotatably moun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도면부호 112e는 제1 측면 커버, 121a는 제2 측면 커버, 121b는 후크 조작부를 가리키며, 이들에 대하여는 후술한다.Reference numeral 112e denotes a first side cover, 121a denotes a second side cover, and 121b denotes a hook operating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청소 모듈 하우징(112)으로부터 청소 모듈(120)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eaning module 120 being inserted or withdrawn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FIG.

청소 모듈(120)은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을 통해 모듈 장착부(110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청소 모듈(120)은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일측을 통해 모듈 장착부(110a)에 삽입되거나 상기 모듈 장착부(110a)로부터 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일측이란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좌우 양 단부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킨다.The cleaning module 12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rough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5, the cleaning module 120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rough one sid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As shown in FIG. Here, one sid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refers to one of left and right ends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청소 모듈 하우징(112)은 제1 측면 커버(112e)를 구비하고, 홀더(121)는 제2 측면 커버(121a)를 구비한다. 제1 측면 커버(112e)는 모듈 장착부(110a)에 장착된 청소 부재(122)의 일단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측면 커버(121a)는 홀더(121)에 결합된 청소 부재(122)의 타단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측면 커버(112e)와 제2 측면 커버(121a)는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has a first side cover 112e and the holder 121 has a second side cover 121a. The first side cover 112e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one end of the cleaning member 122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e second side cover 121a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other end of the cleaning member 122 coupled to the holder 121. [ The first side cover 112e and the second side cover 121a may have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청소 모듈(120)이 청소 모듈 하우징(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청소 모듈 하우징(112)은 제2 측면 커버(121a)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 커버(121a)의 테두리에 실링 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청소 모듈 하우징(112)과 제2 측면 커버(121a) 사이로 먼지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다.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rim of the second side cover 121a in a state where the cleaning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 Also, a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rim of the second side cover 121a. This is a structure for preventing dust from leaking betwee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and the second side cover 121a.

청소 모듈(120)은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일측을 통해 모듈 장착부(110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측면 커버(121a)에는 후크 조작부(121b)가 구비되며, 청소 모듈(120)은 상기 후크 조작부(121b)에 인가되는 조작에 의해 청소 모듈 하우징(112)으로부터 분리된다. 청소 모듈(120)과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청소 모듈(120)을 잡아 당기면, 청소 모듈(120)이 모듈 장착부(110a)로부터 인출된다.The cleaning module 12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rough one sid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 The second side cover 121a is provided with a hook operating part 121b and the cleaning module 120 is detached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by an operation applied to the hook operating part 121b. When the cleaning module 120 is pulled out while the cleaning module 120 and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are disengaged, the cleaning module 120 is taken out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청소 모듈(120)이 청소 모듈 하우징(112)으로부터 인출되면, 제2 측면 커버(121a)도 청소 모듈 하우징(112)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측면 커버(121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던 내측 커버(112f)가 노출된다. 내측 커버(112f)에는 모듈 장착부(110a)에 대응되는 청소 모듈 삽입 홀(112g)이 형성되며, 청소 모듈(120)은 상기 청소 모듈 삽입 홀(112g)을 통해 모듈 장착부(110a)에 삽입되거나 모듈 장착부(110a)로부터 인출된다. 제2 측면 커버(121a)와 내측 커버(112f)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 구조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When the cleaning module 120 is pulled out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the second side cover 121a is also detached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and the inner cover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second side cover 121a 112f are exposed. The inner cover 112f is provided with a cleaning module insertion hole 112g corresponding 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and the cleaning module 12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rough the cleaning module insertion hole 112g, And is drawn out from the mounting portion 110a. The second side cover 121a and the inner cover 112f are formed to be mutually engageable, and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홀더(121)는 청소기 본체(110)의 측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모듈 장착부(110a)에 삽입되거나 모듈 장착부(110a)로부터 인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121)가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측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holder 121 is linearly inserted in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or drawn out from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holder 121 is linearly inserted or draw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청소 부재(122)는 홀더(121)의 삽입 또는 인출 시 상기 홀더(121)와 함께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홀더(121)에 의해 지지된다. 다만, 청소 부재(122)는 단순히 홀더(121)에 거치되는 것이 아니라, 홀더(1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청소 부재(122)의 외주면은 홀더(121)로부터 이격되되, 청소 부재(122)의 양 단만 홀더(121)에 의해 지지되면, 청소 부재(122)가 홀더(12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다.The cleaning member 122 is supported by the holder 121 to be inserted or withdrawn together with the holder 121 when the holder 121 is inserted or withdrawn. However, the cleaning member 122 is not simply mounted on the holder 121, bu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lder 12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122 is spaced from the holder 121. When only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122 are supported by the holder 121, the cleaning member 122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holder 121. [

도 5를 참조하면 청소 부재(122)의 일 예로 회전봉(122a)의 외주면에 아지테이터(122b)가 결합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 만약 회전봉(122a)의 외주면이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면 아지테이터(122b)의 회전 가능 영역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회전봉(122a)은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 an example of the cleaning member 122 is shown in which an agitator 122b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rod 122a. I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bar 122a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e rotatable region of the agitator 122b can not be secured. Therefore, the rotation bar 122a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

아지테이터(122b)가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면 흡입되던 먼지가 모듈 장착부(110a)의 입구에 걸려 흡입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아지테이터(122b)도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봉(122a) 및 아지테이터(122b)가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면,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이 회전봉(122a)과 아지테이터(122b)의 회전 반경 밖에 배치되게 된다.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이 청소 부재(122)의 회전 반경 밖에 배치되면, 아지테이터(122b)에 묻은 먼지가 모듈 장착부(110a)로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agitator 122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e suctioned dust may not be sucked into the entran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from the inner side. When the rotation bar 122a and the agitator 122b are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is positioned outside the rotation radius of the rotation rod 122a and the agitator 122b do. The dust adhered to the agitator 122b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if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is disposed outside the rotation radius of the cleaning member 122. [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이 청소 부재(122)의 회전 반경 범위 밖에 배치되면, 청소 모듈(120)의 인출 과정에서 청소 부재(122)와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홀더(121)는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측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인출되고, 청소 부재(122)는 홀더(121)를 따라서 선형적으로 인출되기 때문이다.When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is disposed outside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cleaning member 122, the inner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122 and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drawing process of the cleaning module 120 do. The holder 121 is linearly draw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and the cleaning member 122 is linearly drawn along the holder 121. [

만일 청소 부재(122)가 홀더(121)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면, 청소 부재(122)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청소 부재(122)의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되고, 청소 부재(122)가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에 닿게 된다. 이에 따라 청소 부재(122)에 묻어있던 먼지가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으로 옮겨 붙거나, 바닥에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따라서 이러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청소 모듈 하우징(112)으로부터 청소 모듈(12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청소 부재(122)가 모듈 장착부(110a)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If the cleaning member 122 is not supported by the holder 121, the cleaning member 122 tilts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cleaning member 122, and the cleaning member 122 is moved 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dust on the cleaning member 122 may be transfer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or may fall on the flo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overcome this concern. This is because the cleaning member 122 maintains a state awa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cleaning module 120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

도면부호 112f1은 돌기 삽입 홀을 가리키고, 112f2와 112f3은 후크 결합부 삽입 홀을 가리키며, 이들에 대하여는 후술한다.Reference numeral 112f1 denotes a projection insertion hole, and reference numerals 112f2 and 112f3 denote hook insertion insertion hol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6은 홀더(121)를 보인 사시도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121.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1)에는 회전 구동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30)는 모듈 장착부(110a)에 장착되는 청소 모듈(12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청소 부재(122)를 회전 시키도록 청소 부재(122)의 단부에 구동력을 전달한다.As shown in FIG. 6, the holder 121 may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130.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rotates the cleaning member 122 around the rotation axis extend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r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module 120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unit 110a And transmits driving force.

회전 구동부(130)가 홀더(121)에 구비되면, 회전 구동부(130)는 홀더(121)와 함께 모듈 장착부(110a)에 삽입되거나 모듈 장착부(110a)로부터 인출된다. 따라서 청소 모듈(120)이 모듈 장착부(110a)에 삽입되기 전에 이미 회전 구동부(130)와 청소 부재(122)가 결합되어 있다.When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is provided in the holder 121,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mounting part 110a together with the holder 121 or drawn out from the module mounting part 110a. Therefore,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and the cleaning member 122 are already coupled before the cleaning module 12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mounting unit 110a.

그러나, 회전 구동부(130)가 반드시 홀더(121)에 구비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 구동부(130)는 도 5에서 설명되었던 제1 측면 커버(112e)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121)가 모듈 장착부(110a)로부터 인출되더라도 회전 구동부(130)는 모듈 장착부(110a)로부터 인출되지 않는다. 또한 청소 부재(122)는 모듈 장착부(110a)에 삽입되어야 비로소 회전 구동부(130)와 결합된다.However,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vided in the holder 121. For example,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side cover 112e described in FIG. In this case, even if the holder 121 is drawn out from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130 is not drawn out from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Further, the cleaning member 122 is inserted in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and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130 only.

다만, 어느 경우건 청소 모듈(120)이 모듈 장착부(110a)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회전 구동부(130)가 모듈 장착부(110a)의 일측에 배치되며, 청소 부재(122)는 회전 구동부(13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In any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120 is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13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and the cleaning member 122 is rotated from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130 And is rotated by the provided driving force.

회전 구동부(130)가 2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회전 구동부는 홀더(121)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회전 구동부는 제1 측면 커버(112e)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회전 구동부(130)는 각각 모듈 장착부(110a)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홀더(121)에 구비되는 회전 구동부는 홀더(121)를 따라 청소 모듈 하우징(1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제1 측면 커버(112e)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 구동부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wo rotation driving units 130. [ For example, one of the rotation driving units may be provided in the holder 121, and the other rotation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side cover 112e. In this case, the two rotation driving units 130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mounting unit 110a, respectively, an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rotation driving part provided in the holder 121 can be separated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along the holder 121 and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driving part provided inside the first side cover 112e can be fixed.

홀더(121)는 지지부(121c)와 연결부(121d1, 121d2, 121d3)를 포함한다.The holder 121 includes a support portion 121c and connection portions 121d1, 121d2, and 121d3.

지지부(121c)는 회전 구동부(130)와 함께 청소 부재(122)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청소 부재(122)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121c)는 회전 구동부(130)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The support portion 121c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leaning member 122 together with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130. [ And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cleaning member 122. Referring to FIG. 6, the support portion 121c is disposed to face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130.

회전 구동부(130)가 2개 구비되는 경우에도 지지부(121c)는 필요하다. 제1 측면 커버(112e)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 구동부(130)는 청소 모듈(120)이 모듈 장착부(110a)에 장착되어야 비로소 청소 부재(122)와 결합되기 때문이다. 만일 지지부(121c)가 없다면 모듈 장착부(110a)에 청소 모듈(120)을 삽입하는 과정 동안 청소 부재(122)가 기울어진 채로 삽입되는 문제가 있다.The support portion 121c is required even when two rotation drive portions 130 are provided.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provided inside the first side cover 112e is engaged with the cleaning member 122 only when the cleaning module 120 is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art 110a. If there is no supporting portion 121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member 122 is inserted while being inclined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leaning module 120 in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지지부(121c)는 청소 부재(1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청소 부재(122)의 일 단을 감싼다. 예를 들어 지지부(121c)는 홀(121c')을 구비하며, 청소 부재(122)의 일 단이 상기 홀(121c')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청소 부재(122)는 지지부(121c)의 홀(121c')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21c surrounds one end of the cleaning member 122 to rotatably support the cleaning member 122. [ For example, the supporting portion 121c has a hole 121c ', and one end of the cleaning member 122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121c'. In this case, the cleaning member 122 may be rotated in a region defined by the hole 121c 'of the supporting portion 121c.

지지부(121c)의 홀(121c')은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1c)가 장공을 구비하면, 상기 지지부(121c)에 결합된 청소 부재(122)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페트 등과 같이 높이가 불균일한 대상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청소 부재(122)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청소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장공은 반드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hole 121c 'of the support portion 121c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When the support portion 121c is provided with a long hole, the cleaning member 122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21c can move up and down. For example, in the case of cleaning a subject having a non-uniform height such as a carpe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leaning member 122 is moved up and down to perform cleaning. The long holes are not necessari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제1 연결부(121d1)와 제2 연결부(121d2)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전 구동부(130)와 지지부(121c)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청소 부재(122)가 홀더(121)에 결합되면, 제1 연결부(121d1)는 청소 부재(122)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2 연결부(121d2)는 청소 부재(122)의 후방에 배치된다. 청소 부재(122)는 상호 이격되게 제1 연결부(121d1)와 제2 연결부(121d2)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어 바닥을 청소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1d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d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nnect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and the support part 121c.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1d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leaning member 12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1d2 is disposed behind the cleaning member 122 when the cleaning member 122 is coupled to the holder 121. [ The cleaning member 122 is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1d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1d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lean the floor.

홀더(12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연결부(121d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121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connection portions 121d3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복수의 제3 연결부(121d3)는 제1 연결부(121d1)와 제2 연결부(121d2)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1 연결부(121d1)와 제2 연결부(121d2)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복수의 제3 연결부(121d3)에 의해 제1 연결부(121d1)와 제2 연결부(121d2) 간의 연결 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청소 부재(122)는 제1 연결부(121d1), 제2 연결부(121d2) 및 제3 연결부(121d3)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 공간으로 노출되어 바닥을 청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ird connection portions 121d3 extend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1d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1d2 and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1d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1d2 .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1d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1d2 can be secured by the plurality of third connection portions 121d3. The cleaning member 122 may be exposed to the lattice space defined by the first connection part 121d1,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1d2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21d3 to clean the floor.

제2 측면 커버(121a)는 복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2 측면 커버(121a)가 3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The second side cover 121a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In Fig. 6, the second side cover 121a is formed of three members.

제1 부재(122a1)는 도 5에 도시된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내측 커버(112f)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부재(122a2)는 제1 부재(122a1)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제2 부재(122a2)가 제1 부재(122a1)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제3 부재(122a3)는 제1 부재(122a1)와 제2 부재(122a2)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3 부재(122a3)는 제1 측면 커버(112e)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측면 커버(112e)에 대응되는 외관을 형성한다. 제1 부재(122a1)와 제2 부재(122a2)도 서로 결합되면 제3 부재(122a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The first member 122a1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ner cover 112f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shown in Fig. And the second member 122a2 is disposed above or below the first member 122a1. In Fig. 6, the second member 122a2 is disposed below the first member 122a1. Finally, the third member 122a3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member 122a1 and the second member 122a2. Since the third member 122a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cover 112e, the third member 122a3 forms an outer appearan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cover 112e. When the first member 122a1 and the second member 122a2 are also coupled to each other, the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rd member 122a3.

제1 부재(122a1)에는 돌기 관통 홀(121a1')이 형성된다. 그리고,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내측 커버(112f)에는 상기 돌기 관통 홀(121a1')에 대응되는 돌기 삽입 홈 또는 돌기 삽입 홀(112f1, 도 5 참조)이 형성된다. 제3 부재(122a3)는 돌기(121a3')를 구비한다. 제1 부재(122a1)와 제3 부재(122a3)가 결합되면, 제3 부재(122a3)의 돌기(121a3')는 제1 부재(122a1)의 돌기 관통 홀(121a1')을 통과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청소 모듈(120)이 청소 모듈 하우징(112)에 결합되면, 제3 부재(122a3)의 돌기(121a3')는 내측 커버(112f)의 돌기 삽입 홈 또는 돌기 삽입 홀(112f1, 도 5 참조)에 삽입된다. 돌기 삽입 구조에 의해 제2 측면 커버(121a)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member 122a1 has a through-hole 121a1 'formed therein. The inner cover 112f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is formed with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or projection insertion hole 112f1 (see FIG. 5)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insertion hole 121a1 '. The third member 122a3 has a projection 121a3 '. When the first member 122a1 and the third member 122a3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rotrusion 121a3 'of the third member 122a3 protrudes through the protrusion through hole 121a1' of the first member 122a1. When the cleaning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the protrusion 121a3 'of the third member 122a3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112f1 (see FIG. 5) of the inner cover 112f, . The position of the second side cover 121a can be fixed by the projection insertion structure.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청소 모듈(120)과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결합 및 결합 해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와 도 7b는 청소 모듈 하우징(112)으로부터 청소 모듈(120)의 결합이 해제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들이다(도 5의 라인 B-B에 대응되는 위치).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B,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upling and disengagement structure of the cleaning module 120 and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FIG. FIGS. 7A and 7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onnecting the cleaning module 120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corresponding to the line B-B in FIG. 5).

제2 부재(122a2)에는 후크 결합부(121a2', 121a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부재(122a2)와 후크 결합부(121a2', 121a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 결합부(121a2', 121a2")는 제2 부재(122a2)로부터 내측 커버(112f)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청소 모듈 하우징(112)의 내측 커버(112f)에는 후크 결합부(121a2', 121a2")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 결합부 삽입 홀(112f2, 112f3)이 형성된다.The second member 122a2 and the hook engaging portions 121a2 'and 121a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and the hook members 121a2', 121a2" The inner cover 112f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shown in Fig. 5 is provided with a hook engagement portion (a second engagement portion) 121a2 'and 121a2', which project from the second member 122a2 toward the inner cover 112f. Hook insertion hole 112f2, 112f3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21a2 ', 121a2 ".

청소 모듈(120)이 청소 모듈 삽입 홀(112g)을 통과해 모듈 장착부(110a)에 장착되면, 후크 결합부(121a2', 121a2")는 후크 결합부 삽입 홀(112f2, 112f3)을 통과하여 내측 커버(112f)에 후크 결합된다. 제1 부재(122a1)와 제2 부재(122a2)는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측면 커버(121a)가 청소 모듈 하우징(11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후크 결합부(121a2', 121a2")와 제2 부재(122a2)가 제1 부재(122a1)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었다가 원 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내측 커버(112f)에 후크 결합된다. 제2 부재(122a2)의 이동과 복원을 위해 제2 부재(122a2)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cleaning module 120 passes through the cleaning module insertion hole 112g and is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ortion 110a, the hook connecting portions 121a2 'and 121a2' 'pass through the hook connecting portion inserting holes 112f2 and 112f3, The first member 122a1 and the second member 122a2 are 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in the course of coupling the second side cover 121a to the cleaning module housing 112, The hook engagement portions 121a2 'and 121a2' and the second member 122a2 are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122a1 and hooked to the inner cover 112f while being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122a2 for movement and restoration of the second member 122a2.

후크 결합부(121a2', 121a2")의 결합은 후크 조작부(121b)에 인가되는 조작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후크 조작부(121b)는 제3 부재(122a3)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후크 결합부는 상기 후크 조작부(121b)에 인가되는 조작에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후크 조작부(121b)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선형 이동 시키면, 제2 부재(122a2)와 후크 결합부가 제1 부재(122a1)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게 되고, 내측 커버(112f)에 결합되어 있던 후크 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홀더(121)를 잡아당기면 후크 결합부(121a2', 121a2")는 후크 결합부 삽입 홀(112f2, 112f3)을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후크 조작부(121b)의 조작에는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The coupling of the hook engaging portions 121a2 'and 121a2' can be released by an operation applied to the hook operating portion 121b. The hook operating portion 121b is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member 122a3, When the user operates the hook operating portion 121b to linearly move the hook operating portion 121b, the second member 122a2 and the hook engaging portion are moved in a linear manner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21b, The hook engaging portions 121a2 'and 121a2' are pulled out of the hook engaging portions 121a1 'and 121a2' by pulling the holder 121 in this stat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insertion holes 112f2 and 112f3. A tool is not required to operate the hook operating portion 121b.

도 8은 청소 부재(122)를 보인 개념도다.Fig. 8 is a concept showing the cleaning member 122. Fig.

청소 부재(122)의 양단은 홀더(121) 및/또는 회전 구동부(130)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도 7에는 회전봉(122a)과 아지테이터(122b)가 청소 부재(122)의 일 예로 도시되어 있다. 회전봉(122a)의 일 단에는 회전 구동부(130)의 수용홈(131)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122c)가 구비된다. 돌출부(122c)는 수용홈(131)에 형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형합이란 돌출부(122c)와 수용홈(131)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2c)가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수용홈(131)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122 are formed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holder 121 and / or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In FIG. 7, the swinging rod 122a and the agitator 122b are shown as an example of the cleaning member 122. One end of the rotation bar 122a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22c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1 of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 The projecting portion 122c is formed to fit into the receiving groove 131. [ The coupling means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22c and the receiving groove 131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can receive a rotational force. For example, when the projecting portion 122c has a hexagonal section as shown in Fig. 7, the receiving groove 131 also has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수용홈(131)은 다수의 플레이트들(132)이 회전 구동부(13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6개의 플레이트들(132)이 회전 구동부(130)로부터 돌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홈(131)은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돌출부(122c)를 수용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131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plates 132 from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six plates 132 protrude from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Accordingly, the receiving groove 131 can receive the protrusion 122c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돌출부(122c)에는 돌기부(122d)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플레이트(132)에는 상기 돌기부(122d)에 대응되는 구멍(133)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2c)가 수용홈(131)에 삽입됨에 따라 돌기부(122d)가 구멍(133)에 걸림 결합되어 청소 부재(122)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The protrusion 122c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122d and each plate 132 may be formed with a hole 133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2d. The protrusion 122d is engaged with the hole 133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cleaning member 122 as the protrusion 122c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1. [

돌출부(122c)의 반대쪽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은 홀더(121)의 지지부(121c)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마찰력 감소를 통해 더욱 원활한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A bearing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sion 122c. When the bearing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121c of the holder 121,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re smooth rotation 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이상에서 설명된 청소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vacuum cleaner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l or a part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Claims (14)

내측에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모듈 장착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을 통해 상기 모듈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상기 모듈 장착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모듈 장착부로부터 인출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삽입 또는 인출 시 상기 홀더와 함께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회전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청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module mounting portion on its inner side;
A rotation driving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dule mounting part; And
And a cleaning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ortion through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The cleaning module includes:
A holder which is linearly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module mounting por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And a cleaning member supported by the holder so a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together with the holder when the holder is inserted or withdrawn, and rotated by a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청소 모듈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청소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청소 부재의 단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on driving unit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an end of the cleaning member so as to rotate the cleaning member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along an insertion direction or a draw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먼지통과 결합되는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는 청소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의 일측을 통해 상기 모듈 장착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모듈 장착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er main body includes:
A main housing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And
And a cleaning module housing coupled to the main housing and projecting from the main housing and having the module mounting portion inside,
Wherein the clean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through one side of the cleaning module housing or is drawn out from the module mount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은 상기 청소 부재의 일 단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측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청소 부재의 타 단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커버에 대칭인 제2 측면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leaning module housing has a first side cover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one end of the cleaning member,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 second side cover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other end of the cleaning member and symmetrical to the first side co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은 상기 제2 측면 커버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is form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second side co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커버의 테두리에는 실링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an edge of the second side co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측면 커버에 설치되는 후크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후크 조작부에 인가되는 조작에 의해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 hook oper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side cover,
Wherein the cleaning module is detached from the cleaning module housing by an operation applied to the hook operat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측면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 조작부에 인가되는 조작에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크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 모듈 하우징은 상기 제2 측면 커버를 마주보는 위치에 내측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 커버는,
상기 모듈 장착부에 대응되는 청소 모듈 삽입 홀; 및
상기 후크 결합부에 대응되는 후크 결합부 삽입 홀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제2 측면 커버에서 상기 내측 커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청소 모듈이 상기 청소 모듈 삽입 홀을 통과해 상기 모듈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후크 결합부 삽입 홀을 통과하여 상기 내측 커버에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hook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side cover and formed to be linearly movable according to an operation applied to the hook operating portion,
Wherein the cleaning module housing has an inner cover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side cover,
The inner cover
A cleaning module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And
And a hook engaging portion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hook engaging portion,
The hook coupl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second side cover toward the inner cover. When the cleaning module is mounted to the module mounting portion through the cleaning module insertion hole, the hook coupl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hook coupling portion insertion hole, And is hooked to the co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는 돌기 삽입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 커버는,
상기 내측 커버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돌기 삽입 홀에 대응되는 돌기 관통 홀을 구비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 조작부에 인가되는 조작에 의해 선형적으로 이동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후크 조작부와 함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제1 측면 커버에 대응되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 관통 홀을 통과하여 상기 돌기 삽입 홀에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ner cover has a projection insertion hole,
The second side cover may include:
A first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ner cover and having a protrusion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A second member disposed above or below the first memb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ok engagement portion and linearly moved by an operation applied to the hook operation portion; And
And a second operating member which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hook operating portion to form an outer tub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cover and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insertion hole through the projection- And a third member having a proj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회전 구동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청소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청소 부재의 일 단을 감싸는 지지부; 및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 구동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어 바닥을 청소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comprises:
A support unit disposed to face the rotation drive unit and surrounding one end of the cleaning member to rotatably support the cleaning member; And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nnect the rotation driv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Wherein the cleaning member is exposed to a sp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o clean the flo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holde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third connect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plurality of third connection portions extend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청소 부재의 상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upport portion has a slot to allow the cleaning member to move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장착부의 내측면은 상기 청소 부재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 부재의 회전 반경 범위 밖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cleaning member and is disposed outside the rotation radius range of the clean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청소 모듈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 부재는 상기 모듈 장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n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ortion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cleaning module from the cleaner main body.
KR1020170013012A 2016-05-20 2017-01-26 Cleaner KR101917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012A KR101917702B1 (en) 2017-01-26 2017-01-26 Cleaner
US15/598,781 US10258212B2 (en) 2016-05-20 2017-05-18 Cleaner
EP17000864.3A EP3245927B1 (en) 2016-05-20 2017-05-19 Cleaner
CN201710357980.4A CN107397506B (en) 2016-05-20 2017-05-19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012A KR101917702B1 (en) 2017-01-26 2017-01-26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219A true KR20180088219A (en) 2018-08-03
KR101917702B1 KR101917702B1 (en) 2018-11-13

Family

ID=6325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012A KR101917702B1 (en) 2016-05-20 2017-01-26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7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50A1 (en) * 2020-01-15 2021-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598A (en) 2012-08-13 2015-04-08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Cleaner hea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589A (en) * 2004-04-28 2005-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Suction tool of vacuum cleaner
KR101476156B1 (en) * 2008-05-22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Suction nozzle assembly usable with vacuum cleaner with hair collecting memb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ng hair by using the same
JP2013220309A (en) * 2012-04-19 2013-10-28 Sharp Corp Suction port body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598A (en) 2012-08-13 2015-04-08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Cleaner he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50A1 (en) * 2020-01-15 2021-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AU2020422027B2 (en) * 2020-01-15 2023-12-14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702B1 (en)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7506B (en) Vacuum cleaner
KR101253639B1 (en) Robot Cleaner
US10413144B2 (en) Vacuum cleaner attachment with floating cleaning element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588061B1 (en) Cleaning robot having double suction device
KR100701177B1 (en) Cabinet mount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having variable type of upright type to canister type
JP3356170B1 (en) Cleaning robot
JP2014023930A (en) Robot cleaning device
KR100485714B1 (en) bagless vacuum cleaner
KR20080028219A (en) Separable robot cleaner
KR101917702B1 (en) Cleaner
JP2009504311A (en) Vacuum cleaner
KR20050034112A (en) A robot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208556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1012943B1 (en) Suction apparatus capable of corner cleaning
JP2013248194A (en) Nozzle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150048490A (en) Cleaning system
JP2007117465A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0407243Y1 (en) A floor-cloth installation structure for automatic vacuum cleaner
WO2008065404A2 (en) Vacuum cleaner filter assembly
JPH0673506B2 (en) Vacuum cleaner
US9999329B2 (en) Aspira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KR0155673B1 (en) Suction brush for floor of vacuum cleaner
KR20110039638A (en) Robot cleaner with absorption guide
WO2012060081A1 (en) Suction device for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using same
KR101208552B1 (en) A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