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639B1 -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3639B1 KR101253639B1 KR1020060032401A KR20060032401A KR101253639B1 KR 101253639 B1 KR101253639 B1 KR 101253639B1 KR 1020060032401 A KR1020060032401 A KR 1020060032401A KR 20060032401 A KR20060032401 A KR 20060032401A KR 101253639 B1 KR101253639 B1 KR 1012536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p
- cleaner body
- cleaner
- dus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8—Arrangements of switches, indicator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먼지를 흡입하는 먼지 흡입구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자동 주행을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퀴;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유닛;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바닥에 구비되는 걸레 장착부; 그리고 상기 걸레 장착부에 구비되어 실내의 바닥면에 묻은 오물을 닦으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 가능한 걸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지 흡입에 의한 청소와 걸레에 의한 청소가 자동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실내의 청소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cleaner body having a dust suction hole formed at a floor thereof to suck dust; Wheels rotatably provided on the cleaner body for the automatic running of the cleaner body;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to drive the wheels; A dust collecting unit which separates and collects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dust inlet; Mop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And provided to the mop mounting portion to wipe the dirt on the floor surface of the room, and provides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mop detachable from the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by the dust suction and the cleaning by the mop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at the same time, the cleaning of the room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conveniently.
로봇 청소기, 먼지 흡입구, 걸레 장착부, 걸레부, 센서유닛 Robot vacuum cleaner, dust suction port, mop mounting part, mop part, sensor uni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의 하부 사시도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하부 프레임에서 걸레 장착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ed mop mounting portion in the lower fram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걸레 장착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op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걸레장착부에 걸레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Figure 6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p portion is coupled to the mop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걸레 장착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op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하부 프레임에 걸레 장착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Figure 8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p mount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lower fram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어 걸레 장착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유닛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nsor unit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ct whether the mop mounting portion is mounted.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센서 유닛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10A and 10B are schematic diagrams for show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로봇 청소기 110: 캐비닛100: robot cleaner 110: cabinet
120: 공기 흡입장치 130: 흡입 유닛120: air suction device 130: suction unit
131: 먼지 흡입구 132: 먼지 안내관131: dust inlet 132: dust guide
140: 집진유닛 150: 좌측 구동 바퀴140: dust collecting unit 150: left driving wheel
160: 우측 구동바퀴: 170: 보조 바퀴160: right driving wheel: 170: auxiliary wheel
180: 제어부 200: 걸레 장착부 180: control unit 200: mop mounting portion
300: 걸레부 400: 센서 유닛300: mop 400: sensor uni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leaner that performs cleaning automatically.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공기 흡입장치의 구동에 의해, 외부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is provided inside the cleaner body to drive the air suc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suction force, and then suctions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outside, and then separates and collects the foreign matter.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수동 진공 청소기,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로 분류된다.Vacuum cleaners that perform the above functions are classified into manual vacuum cleaners that are directly operated by a user, and robot cleaners that perform cleaning by themselves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여기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장치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일정 구역의 청소를 자동으로 수행한다.Here, the robot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by itself in the area to be cleaned. In other words, the robot cleaner automatically cleans a certain area.
이를 위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에는, 청소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의 이동을 위한 좌, 우측 바퀴가 구비된다.To this end, the robot cleaner is provided with a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a distance to an obstacle such as furniture, office supplies, walls, and the like, and left and right wheels for moving the robot cleaner.
여기서, 상기 좌, 우측 바퀴는 각각 좌륜모터와 우륜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좌륜모터와 우륜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가 스스로 방향 전환을 하면서 실내의 청소를 수행한다.Here, the left and right wheels are configured to rotate by the left wheel motor and the right wheel motor, respectively, so that the robot cleaner performs the cleaning of the room by changing the direction by itself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eft wheel motor and the right wheel motor.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는, 바닥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robot cleaner, the suction unit for suck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is provided.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일체로 고정되는 노즐 케이스와 상기 노즐 케이스의 바닥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지테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ction unit includes a nozzle case integrally fixed to the cleaner body, a suction inlet formed at a bottom of the nozzle case, and an edge data rotatably provided at the suction port.
여기서, 상기 에지테이터는,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로 쓸어올리는 기능을 한다.Here, the edge data has a function of sweeping up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to the suction port.
그러나,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상기 흡입 유닛에 의한 먼지의 진공 흡입만으로 청소를 수행하므로, 실내 청소를 마무리하기 위해서 걸레에 의한 청소를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performs cleaning only by vacuum suction of dust by the suction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cleaning by the mop must be performed manually in order to finish the indoor cleaning.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먼지 흡입에 의한 청소와 걸레에 의한 청소가 자동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cleaning by dust suction and cleaning by mop.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에 먼지를 흡입하는 먼지 흡입구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자동 주행을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퀴;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유닛;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바닥에 구비되는 걸레 장착부; 그리고 상기 걸레 장착부에 구비되어 실내의 바닥면에 묻은 오물을 닦으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 가능한 걸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dust inlet for sucking dust on the floor; Wheels rotatably provided on the cleaner body for the automatic running of the cleaner body;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to drive the wheels; A dust collecting unit which separates and collects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dust inlet; Mop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And provided to the mop mounting portion to wipe the dirt on the floor surface of the room, and provides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mop detachable from the cleaner body.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First, an embodiment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의 하부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먼지 흡입구(131)가 형성된 청소기 본체(110), 상기 청소기 본체(110) 내부에 제공되는 공기 흡입장 치(120),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자동 주행을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퀴(150, 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3, the
여기서, 상기 먼지 흡입구(131)는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장치(120)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먼지를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먼지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집진유닛(140)에 의해 집진된다.Here, the dust suction port 13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10)는 지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원통형, 다시 말해서, 납작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먼지 흡입구(131)와 연통하는 상기 집진유닛(140)과 상기 공기 흡입장치(120)와 상기 바퀴(150, 160)의 구동을 위한 구동 유닛(151, 161)이 구비된다.Inside the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실내의 벽이나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와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는 범퍼(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150, 160)는 청소기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좌,우측 바퀴를 구성하며, 상기 구동 유닛(151, 161)에 의해 구동된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151, 161)은 좌륜모터(151)와 우륜모터(161)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바퀴(150, 160)는 상기 좌륜모터(151)와 우륜모터(161)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륜모터(151)와 우륜모터(161)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자동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100)가 스스로 방향 전환을 하면서 청소를 수행 한다.Here, the drive unit (151, 161) comprises a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바퀴(170)가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00)와 청소되는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100)를 지지한다.At least one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부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이 배치된 상기 제어부(18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80)의 후방에는 상기 공기 흡입장치(12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90)가 구비된다.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상기 배터리(190)의 후방에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공기 흡입장치(120)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흡입장치(120)의 후방에는 상기 집진유닛(140)을 수용하는 집진유닛 장착부(140a)가 형성되어 상기 집진유닛(140)이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후방에서 탈착된다.The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장치(120)는, 상기 배터리(190)와 상기 집진유닛(14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10)는, 상기 배터리(190)와 공기 흡입장치(120) 등의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111)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먼지 흡입구(131)를 가지는 흡입유닛(130),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111)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여기서, 상기 흡입유닛(130)은 상기 하부 프레임(111)의 후방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유닛(130)의 저면은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유닛(130)에서 흡입된 먼지는 먼지 안내관(132)를 통해 상기 집진유닛(140)으로 안내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112)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2a) 등이 설치된다.The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에 구비되는 걸레 장착부(200)와 상기 걸레 장착부(200)에 구비되는 걸레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 걸레부(300)는, 피청소면,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바닥면에 묻은 먼지 등의 오물을 닦으며,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Here, the
이를 위하여, 상기 걸레부(300)는 상기 걸레 장착부(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걸레 장착부(200)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걸레부(3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상기와 달리,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걸레 장착부(200)의 탈착에 의해 상기 걸레부(3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Unlike the above, the
상기와 같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걸레부(3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와 같이, 상기 걸레부(300)와 걸레 장착부(200)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레 장착부(200)와 상기 청소기 본체(110)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따라서, 상기 걸레 장착부(2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걸레부(300)는 상기 걸레 장착부(2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된다.Therefore, the
그리고,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레부(300)만을 상기 걸레 장착부(200)에서 분리하여 상기 걸레부(300)를 세탁하거나 상기 걸레부(300)를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걸레부(3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걸레 장착부(200)에 장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밸크로(Velcro; 201)라고 불리는 부착포에 의해 상기 걸레부(300)가 상기 걸레 장착부(200)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을 제시한다.5 to 7, the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가 주행하면서 피청소면에 형성되는 바퀴자국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걸레부(3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바퀴(150, 16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다시 말해서, 상기 걸레부(300), 상기 좌,우측 바퀴(150, 16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측 바퀴의 자국을 닦아주는 좌,우측 걸레(310, 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상기 좌,우측 걸레(310, 320) 사이로 통과하는 부분을 닦기 위한 중앙 걸레(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상기 좌,우측 걸레(310, 320)와 상기 중앙 걸레(330)는 전체가 하나로 일체화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분할된 형태로 상기 걸레 장착부(200)에 부착될 수도 있다.The left a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걸레 장착부(2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자력에 의해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하여, 상기 걸레 장착부(200)에는 제1자석(250)이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는 상기 제1자석(250)에 대응되는 금속부재 및/또는 제2자석(260)이 구비된다.To this end, the
이에 따라,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에 정위치되면, 상기 제1자석(250)과 상기 금속부재 또는 상기 제1자석(250)과 상기 제2자석(260)에 의해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고정된다.Accordingly, whe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10)와 상기 걸레 장착부(2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일반적인 금속부재 대신 자력을 가지는 제2자석(260)을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of the
그리고, 상기 걸레 장착부(200)를 매개로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상기 걸레부(300)의 좌,우측 걸레(310, 320)는 상기 먼지 흡입구(131)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 걸레(330)는 상기 먼지 흡입구(131)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ft and
이를 위하여, 상기 걸레 장착부(200)는, 상기 먼지 흡입구(131)의 좌, 우측 에 제공되는 좌, 우측 프레임(210, 220)과 상기 먼지 흡입구(131)의 후방에 제공되는 후방 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그리고, 상기 걸레 장착부(200)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210, 220)의 전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먼지 흡입구(131)의 전방에 제공되는 전방 프레임(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상기 걸레 장착부(200)에는 상기 전,후방 프레임(230, 240)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210, 220)에 의해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개구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먼지 흡입구(131)는 상기 개구부(211)를 통해 하방으로 노출된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좌,우측 걸레(310, 320)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210, 220)의 저면에 부착되고, 상기 중앙 걸레(330)는 상기 후방 프레임(230)의 저면에 부착된다.The left and
또한, 상기 걸레 장착부(20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에는 경사면(111a, 111b; 도 3 참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여기서, 상기 경사면(111a, 111b)은 상기 먼지 흡입구(131)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먼지 흡입구(131)의 전방에 형성되는 경사면(111a)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먼지 흡입구(131)의 후방에 형성되는 경사면(111b)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걸레 장착부(200)에도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에 형성되 는 경사면(111a, 111b)에 대응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면(231, 2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슬라이딩면(231, 241)은, 상기 경사면(111a, 111b)에 대응되도록, 상기 개구부(211)의 전방 테두리 및/또는 후방 테두리에 형성된다.The sliding
이에 따라, 상기 걸레 장착부(200)를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바닥(110)에 정확하게 정렬시키지 아니하여도, 상기 경사면(111a, 111b)과 슬라이딩면(231, 241)에 의해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걸레 장착부(20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걸레 장착부(2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측방으로 노출되는 측면 돌출부(2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8,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돌출부(232)는 상기 후방 프레임(230)의 후방부를 구성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외주면 후방부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걸레 장착부(200)를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상기 측면 돌출부(232)의 상면을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하방으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250)은 상기 전방 프레임(24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물론, 상기 후방 프레임(230)에도 제1자석(25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그리고, 상기 제2자석(260)은, 상기 제1자석(250)의 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상기 걸레부(3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유닛(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400) 자력에 의해 작동되며, 그 예로서 상기 센서유닛(400)은 리드 스위치(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유닛(400)은 상기 걸레 장착부(2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걸레부(3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드 스위치(410)는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구비되며, 상기 제1자석(250)이 구비된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됨에 따라 작동되도록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스위치(410)는, 자력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치로서, 한 쌍의 리드(411, 412)와 유리관(4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리관(413)은 일반적으로 비활성 가스로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각 리드(411, 412)는 자성체 재료로 형성되어, 그 일단이 상기 유리관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유리관(413)의 외부에 위치된다.Referring to FIG. 9, the
여기서, 상기 리드들(411, 412)의 일단부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드 스위치(410)가 자기장 속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리드들이 자력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Here, one ends of the
상기 리드 스위치(410)의 동작 원리나 구조는 종래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드 스위치(410)를 로봇 청소기, 특히 걸레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데 적용함에 그 특징이 있다.Since the operation principle or structure of the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를 참조하면,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장착되면, 상기 제1자석(250)에 의해 상기 리드 스위치(410)가 자기장 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리드들(411, 412)이 서로 연결되어 걸레부(300)의 장착이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12a)에 상기 걸레부(300)의 장착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A and 10B, when the
다음으로,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10)에 분리되면, 상기 리드 스위치(410)가 자기장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리드들(411, 412)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걸레부(300)의 탈거가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12a)에는 상기 걸레부(300)의 탈거가 표시될 수 있다.Next, when the
상기와 같이 걸레부(3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로봇 청소기(100)가 카페트 등과 같은 피청소면 상을 청소할 때에는 상기 걸레부(300)가 장착된 상기 걸레 장착부(200)를 분리하고, 걸레질이 필요한 피청소면을 청소하고자 할때는 상기 걸레부(300)가 장착된 상기 걸레 장착부(200)를 장착할 수 있다.By detecting whether the
또한, 상기 걸레부(300)가 구비된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150, 160)의 구동력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그 이유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걸레질에 의한 청소를 수행할 때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와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기 때문이며, 상기 걸레 장착 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바퀴의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son is that when the robot cleaner performs cleaning by mopping,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robot cleaner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increases, and in the state where the
다시 말해서, 상기 걸레 장착부(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구동유닛(151, 161)을 제어하여 상기 바퀴(150, 160)의 구동마력을 증가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한다.In other words, in the state in which the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 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suction uni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의하면, 먼지의 진공 흡입에 의한 청소와 걸레에 의한 청소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청소가 보다 신속하고 깨끗하게 수행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by the vacuum suction of the dust and the cleaning by the mop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cleanly.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의하면, 걸레부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걸레부의 세탁이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onvenience that can separate the mop part separately to perform washing or replacement of the mop part.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의하면, 걸레 장착부의 고정에 자석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걸레 장착부의 탈착이 용이하게 수행된다.Third, according to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of the mop mounting portion is made by a magnet, the mop mounting portion can be easily detached.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의하면, 걸레부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유닛이 구비되어, 피청소면에 따라 상기 걸레부의 장착을 손쉽게 확인하여 피청소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걸레부의 장착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mop part is mounted is provided, it is easy to check the mounting of the mop part according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select whether to mount the mop par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have.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2401A KR101253639B1 (en) | 2006-04-10 | 2006-04-10 | Robot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2401A KR101253639B1 (en) | 2006-04-10 | 2006-04-10 | Robot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1432A KR20070101432A (en) | 2007-10-17 |
KR101253639B1 true KR101253639B1 (en) | 2013-04-10 |
Family
ID=3881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2401A KR101253639B1 (en) | 2006-04-10 | 2006-04-10 | Robot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363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12602A1 (en) * | 2013-07-24 | 2015-01-29 | 주식회사 모뉴엘 | Wet cloth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eaning |
KR101558509B1 (en) * | 2014-05-20 | 2015-10-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
WO2018143635A1 (en) * | 2017-02-01 | 2018-08-09 | Lg Electronics Inc. | Robot clean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383B1 (en) * | 2008-03-31 | 2010-09-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control method of moving for automatic vacuum cleaner |
WO2012138204A2 (en) * | 2011-04-08 | 2012-10-11 | 주식회사 모뉴엘 | Robot cleaner |
KR101352195B1 (en) | 2012-03-08 | 2014-01-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
CN106016593B (en) * | 2016-05-24 | 2019-06-07 | 苏州格兰斯柯光电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air cleaning facility in automatic spy source |
KR101918228B1 (en) * | 2016-07-14 | 2019-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102359206B1 (en) * | 2017-01-19 | 2022-0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Robot cleaner and a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
KR102014141B1 (en) | 2017-08-07 | 2019-10-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
KR102000068B1 (en) | 2017-08-07 | 2019-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leaner |
KR102033936B1 (en) * | 2017-08-07 | 2019-10-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
KR102021828B1 (en) | 2017-08-07 | 2019-09-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leaner |
KR102014140B1 (en) | 2017-08-07 | 2019-08-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
KR102045003B1 (en) | 2018-01-25 | 2019-1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ling Method of Robot Cleaner |
CN108972506A (en) * | 2018-07-26 | 2018-12-11 | 芜湖市越泽机器人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robot chassis being readily disassembled maintenance |
KR102559985B1 (en) * | 2018-08-23 | 2023-07-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utonomous moving device and docking station thereof |
KR102575206B1 (en) | 2018-11-06 | 2023-09-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102785A2 (en) * | 1982-08-31 | 1984-03-14 | Britax (Dynasafe) Limited | Vehicle seat |
KR200336735Y1 (en) * | 2003-10-02 | 2003-12-18 | 노승환 | steam dustcloth combined use vacuum cleaner |
-
2006
- 2006-04-10 KR KR1020060032401A patent/KR10125363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102785A2 (en) * | 1982-08-31 | 1984-03-14 | Britax (Dynasafe) Limited | Vehicle seat |
KR200336735Y1 (en) * | 2003-10-02 | 2003-12-18 | 노승환 | steam dustcloth combined use vacuum cleaner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12602A1 (en) * | 2013-07-24 | 2015-01-29 | 주식회사 모뉴엘 | Wet cloth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eaning |
KR101558509B1 (en) * | 2014-05-20 | 2015-10-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
WO2018143635A1 (en) * | 2017-02-01 | 2018-08-09 | Lg Electronics Inc. | Robot cleaner |
KR20180089773A (en) * | 2017-02-01 | 2018-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
KR101949278B1 (en) * | 2017-02-01 | 2019-0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
US11219346B2 (en) | 2017-02-01 | 2022-01-11 | Lg Electronics Inc. | Robot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1432A (en) | 2007-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3639B1 (en) | Robot Cleaner | |
KR101925965B1 (en) | a Robot cleaner and a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 |
US7377008B2 (en) |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 |
KR100474081B1 (en) | A vacuum cleaner having a removable main body and one body frame assembly | |
KR100544480B1 (en)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 |
KR100746080B1 (en) | Clean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KR101199358B1 (en) | Dust-Emptying Equipment for Robot Cleaner | |
KR20180079070A (en) | Cleaner | |
EP1921965A1 (en) | Main body mounting structure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 |
EP1921971A1 (en) | Suction hose supporting structure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 |
KR20120103956A (en) | Support for vacuum cleaner | |
US7594297B2 (en) | Angle control apparatus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US20070039125A1 (en) | Filter mount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101108049B1 (en) | Robot Cleaner | |
KR20070016420A (en) | Suction Unit for Cleaner | |
KR102359206B1 (en) | a Robot cleaner and a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 |
KR101917702B1 (en) | Cleaner | |
KR200426129Y1 (en) | Cleaning Robot having Detachable Cleaning Unit | |
US9999329B2 (en) | Aspira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
KR100701175B1 (en) | Vacuum cleaner having variable type of upright type to canister type | |
KR20070016543A (en) | Suction Unit for Cleaner | |
KR20230127687A (en) | Cleaner | |
KR101238928B1 (en) | Vacuum cleaner | |
KR101476623B1 (en) | A suction body which indicates the height thereof and a cleaner having the same | |
KR20090008966U (en) | Suction tools of the vacuum cleaner which the attaches dustclot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