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035A - 솜사탕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솜사탕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035A
KR20180088035A KR1020170012562A KR20170012562A KR20180088035A KR 20180088035 A KR20180088035 A KR 20180088035A KR 1020170012562 A KR1020170012562 A KR 1020170012562A KR 20170012562 A KR20170012562 A KR 20170012562A KR 20180088035 A KR20180088035 A KR 20180088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candy
sugar
unit
cotton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800B1 (ko
Inventor
여전화
Original Assignee
와이푸드테크 주식회사
여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푸드테크 주식회사, 여전화 filed Critical 와이푸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8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10Candy-pulling machines ; Processes or apparatus for making cotton candy or candy f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솜사탕 제조장치는 고속으로 회전하며 가열원에 의해 가열된 회전통을 구비한 솜사탕 제조유닛과,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솜사탕 제조를 위한 정량의 설탕을 공급하는 설탕 공급유닛과,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에 의해 제조된 솜사탕을 감을 수 있는 위치와 솜사탕 분리위치로 감김막대를 회동시키는 솜사탕감기유닛과, 상기 솜사탕 감기유닛에 의해 감김막대에 감긴 솜사탕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감김막대로부터 분리된 솜사탕을 성형하는 솜사탕성형유닛과, 성형유닛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솜사탕을 용기에 성형유닛에 의해 성형된 솜사탕을 용기에 삽입하는 솜사탕충전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솜사탕 제조장치{cotton candy producing machine}
본 발명은 솜사탕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사세하게는 솜사탕 제조 및 성형과 포장용기로의 삽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솜사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탕을 원료로 한 솜사탕은 달콤하면서도 부드러운 맛이 있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맛있게 취식을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솜사탕은 대부분 사람들이 만이 모이는 곳에서 단순한 솜사탕 제조기를 이용하여 즉석에서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다. 따라서 솜사탕을 어디서나 쉽게 구매하여 먹을 수 없는 제약이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솜사탕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솜사탕 제조방식은 수동방식으로 제조하고 있으므로 솜사탕의 제조에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고, 제조가 단순하여 작업자마다 제조되는 솜사탕 입자가 불규칙하여 하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2016-0168979호에는 자동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솜사탕 제조장치는 입자 상태로 투입된 설탕을 녹이는 동시에 실 모양으로 원심분사하여 설탕실을 만들고, 상기 설탕실을 포집위치에서 실타래 모양으로 모아 솜사탕을 만드는 솜사탕생성기 및 상기 솜사탕생성기에서 만들어져 포장위치로 옮겨진 상기 솜사탕을 용기에 담는 솜사탕포장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3-0012209호에는 솜사탕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989-0012549호에는 솜사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미합중국 특허 3,930,043호에는 솜사탕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방법은 솜사탕원료(설탕)를 솜사탕섬유토출기의 회전토출헤드에서 용융하여 그 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공을 통해 솜사탕섬유로서 연속적으로 토출하는 공정과, 상기 솜사탕섬유를 상기 솜사탕섬유토출기가 중앙에 설치된 회전팬 내에 수집하는 공정과, 수집된 솜사탕 섬유를 상기 회전팬으로부터 그 측방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상으로 옮겨서 이를 상기 회전팬의 접선방향속도보다 약간 바른 속도로 등속 이송시키는 공정과, 컨베이어벨트 상에 집결된 솜사탕섬유를 컴팩터를 통과시켜 소정크기(두께와 폭)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컴팩터에 의해 성형된 반제품을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두께와 폭 및 길이의 제품을 완성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솜사탕 제조방법에서는 솜사탕섬유토출기를 컨베이어벨트의 측방에 설치된 회전팬의 내부중앙에 설치하여 회전토출헤드에서 토출되는 솜사탕섬유를 회전팬 내에 일단 수집한 다음 상기 회전팬 내에 수집된 솜사탕섬유를 작업자가 갈퀴 등으로 긁어모아서 컨베이어벨트 상으로 옮겨야 하므로 회전팬 마다 작업자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인건비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요인이 될 뿐만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솜사탕 제조장치로서 미합중국 특허 4,526,525호로 알려진 것이 있으며, 이 특허의 장치에서는, 솜사탕원료를 원료탱크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내부에서 용융시키고 이를 그 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공을 통해 솜사탕섬유로서 연속적으로 토출하는 솜사탕섬유토출기의 회전토출헤드를 저면이 개방된 솜사탕섬유집결실내에 설치하여 토출되는 솜사탕 섬유를 상기 집결실내에 집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솜사탕섬유집결실의 하단개구의 하부에 그물망으로 된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며 그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면에 흡입구를 보유하는 흡입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집결실내로 토출된 솜사탕섬유를 상기 흡입수단의 홉입력으로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에 흡착시킨다.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주행에 의해 솜사탕섬유를 이송시키면서 두께 성형로울러와 폭성형로울러에 의해 소정 두께와 폭을 갖는 연속매트 상 농축솜사탕 반제품으로 성형하고, 이를 계속 이송시키면서 승강식절단 칼날에 의하여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소정크기(두께,폭,길이)의 단위매트상 농축솜사탕 완제품을 완성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솜사탕 제조장치에서는 솜사탕섬유토출기의 회전토출헤드에서 상기 솜사탕섬유집결실 내에 토출된 솜사탕 섬유를 흡입수단의 흡입력에 의하여 그물망으로 된 컨베이어벨트 상에 흡착시켜 컨베이어벨트의 주행에 의해 이송시키는 것이므로 사용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망목이 솜사탕섬유에 의해 폐색되어 상기 집결실의 내부에 작용되는 흡입력이 점차 저하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에의 솜사탕섬유 흡착이 원활치 않게되어 균등한 량의 이송이 곤란하게 되고 결국 완제품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컨베이어벨트의 망목에 끼어들어간 솜사탕섬유를 제거해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생산중단을 초래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망목에 끼여 들어간 솜사탕 섬유를 제거하기란 매우 난해한 것이어서 관리, 유지가 불편하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2016-0168979호 미합중국 특허 4,526,525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과제는 솜사탕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유통시킬 수 있도록 용기에 담긴 솜사탕을 제조할 수 있는 솜사탕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솜사탕의 제조 시 성형 및 포장 작업을 연속처리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솜사탕의 위생적인 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를 제공함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솜사탕 제조장치는 고속으로 회전하며 가열원에 의해 가열된 회전통을 구비한 솜사탕 제조유닛과,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솜사탕 제조를 위한 정량의 설탕을 공급하는 설탕 공급유닛과,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에 의해 제조된 솜사탕을 감을 수 있는 위치와 솜사탕 분리위치로 감김막대를 회동시키는 솜사탕감기유닛과,
상기 솜사탕 감기유닛에 의해 감김막대에 감긴 솜사탕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감김막대로부터 분리된 솜사탕을 성형하는 솜사탕성형유닛과, 성형유닛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솜사탕을 용기에 성형유닛에 의해 성형된 솜사탕을 용기에 삽입하는 솜사탕충전유닛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탕공급유닛은 솜사탕 제조유닛과 인접되게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된 설탕저장호퍼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설탕을 고급하기 위한 공급용기와, 공급용기를 전, 후진시키는 제 1실린더와, 상기 공급용기의 측면에 상기 공급용기의 이동 시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공급용기의 하면에 설치되어 공급용기가 이동을 가이드 하는 설탕공급용기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설탕공급용기가이드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용기로부터 배출된 설탕을 가이드 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된 설탕을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의 회전통에 공급하는 제 2배출관과, 상기 제 2배출관에 의한 설탕의 공급 시 제 2배출관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배출관에 대해 제 2배출관을 전후진 시키는 제 2실린더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솜사탕 감기유닛은 프레임에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에 의해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솜사탕이 감김막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설치된 이송부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이송부재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회동로드와 연결되어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됨 감김막대를 제조되는 솜사탕을 감는 위치와 솜사탕 분리위치로 회동시키는 회전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솜사탕 성형유닛은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 판의 일측에 솜사탕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며 입구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제1,2벨트컨베이어를 구비한 성형부와, 상기 제1,2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성형된 솜사탕을 배출하기 위한 슈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솜사탕 제조장치는 연속하여 솜사탕을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솜사탕을 제조하여 포장용기에 삽입하는 공정이 일괄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므로 솜사탕의 제조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솜사탕 제조장치는 솜사탕을 제조함에 있어서, 설탕의 공급 시 공급노즐관이 열에 의해 공급되는 설탕이 녹아 막히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솜사탕의 성형이 연속하여 이루어지므로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솜사탕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설탕 공급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설탕 공급유닛을 설탕공급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솜사탕 성형유닛과 솜사탕 충진유닛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5는 솜사탕 형성유닛의 측면도,
도 6은 솜사탕 성형유닛의 사시도,
도 7은 성형유닛과 충진유닛의 평면도,
도 8은 성형유닛과 충진유닛의 측면도.
도 9는 충진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솜사탕 제조장치는 솜사탕을 제조하여 포장용기에 담을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솜사탕 제조장치(10)는 고속으로 회전하며 가열원에 의해 가열된 회전통(21)을 구비한 솜사탕 제조유닛(20)과,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20)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솜사탕 제조를 위한 정량의 설탕을 공급하는 설탕 공급유닛(30)과,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20)에 의해 제조된 솜사탕을 감을 수 있는 위치와 솜사탕 분리위치로 감김막대(59)를 회동시키는 솜사탕감기유닛(50)과, 상기 감김막대(59)로부터 분리된 솜사탕을 포장용기에 삽입될 수 있도록 1차 성형하는 솜사탕성형유닛(7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솜사탕감기유닛(50)과 솜사탕 성형유닛(7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솜사탕감기유닛(40)의 감김막대에 감긴 솜사탕를 분리하여 하는 솜사탕 성형유닛(70)에 공급하는 분리유닛인 매니퓨레이터(3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솜사탕성형유닛(70)의 슈트(71)와 연결되어 1차성형된 솜사탕을 2차 성형하면서 포장용기(200)에 삽입시키는 솜사탕 충진유닛(10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솜사탕 제조장치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솜사탕 제조장치의 솜사탕 제조유닛(20)은 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통(21)의 외주면에 가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망체가 설치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회전통(21)은 이로부터 발생되는 솜사탕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22)가 설치되는데, 상기 커버(22)의 측면에는 회전통(21)에 설탕의 공급 및 감김막대의 인출을 위한 개구가 설치된다.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2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솜사탕 제조유닛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설탕공급유닛(30)은 도 1 및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21)에 정량의 설탕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솜사탕 제조유닛(20)과 인접되게 제1프레임(31)이 설치되고, 제1프레임(31)의 상부측에는 설탕배출구(33)이 구비된 설탕저장호퍼(34)가 설치된다. 그리고 설탕배출구(33)의 하부측에는 설탕공급용기(35)를 가이드 하는 판상의 설탕공급용기이드부재(36)가 설치되는데, 상기 설탕공급용기가이드부재(36)의 단부측에는 설탕투입공(36a)이 설치된다.
상기 설탕공급용기가이드부재(36)를 따라 이동하는 설탕공급용기는 제1프레임(31)에 설치된 제1실린더(37)의 로드와 연결되어 설탕배출구(33)와 설탕투입공(36a)의 사이를 왕복하게 된다. 상기 설탕공급용기(35)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설탕공급용기(35)의 측면에는 설탕공급용기(35)가 설탕배출구(33)으로부터 분리 시 상기 설탕배출구(33)을 차단하는 차단판(38)이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설탕배출구(33)에 설탕의 정량공급을 단속하는 밸브가 설치된 경우, 상기 차단판(38)이 설치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 설탕공급용기가이드부재(36)의 단부에는 상기 설탕투입공(36a)과 연통되는 제 1설탕배출관(39)이 설치되고, 상기 제1설탕배출관(39)에는 공급길이를 늘림과 아울러 설탕의 공급 시 회전통(21)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공급되는 설탕이 녹는 것을 방지하는 위한 제 2설탕배출관(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제2설탕배출관(40)은 제1프레임(31)에 설치된 제 2실린더(41)에 의해 제2설탕배출관(40)의 단부가 회전통(21)의 공급위치와 대기 위치로 전, 후진된다. 상기 제1,2설탕배출관(40)은 설탕의 자중에 의해 회전통(21)에 공급될 수 있도록 충분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솜사탕 감기유닛(50)은 솜사탕제조유닛에 설탕공급유닛(30)에 의해 공급된 설탕에 의해 제조되어지는 솜사탕을 감김막대(59)에 감기 위한 것으로, 솜사탕제조유닛(20)과 인접되게 제 2프레임(51)이 설치되고, 이 제 2프레임(51)에는 베이스플레이트(52)가 힌지축(52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의 상면에는 브라켓(53)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55)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재(55)에는 가이드부재(55)를 따라 전, 후진되는 이송부재(56)가 설치된다. 이 이송부재(56)에는 회전모터(57)가 설치되고, 이 회전모터(75)의 구동축에는 솜사탕이 감기는 감김막대(59)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2)의 상면에는 상기 이송부재(56)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전후진실린더(60)가 브라켓(53)에 설치되고, 이 브라켓(53)에 설치된 전후진실린더(60)의 로드는 상기 이송부재(56)와 연결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52)의 일측에는 힌지축(52a)에 설치된 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회동로드(61)가 설치되고, 이 회동로드(61)는 제2프레임(5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실린더(62)의 로드(62a)의 단부와 힌지연결 된다.
상기 회전실린더(62)에 대한 베이스플레이트(52)의 회전은 회전통(21)로부터 제조되는 솜사탕을 회수하는 위치와, 감김막대(59)에 솜사탕이 충분히 감긴상태에서 커버의 외측으로 배출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90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스토퍼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솜사탕 감기유닛(50)은 회전모터(57)에 의해 감김막대(59)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전후진실린더에 의해 회전모터(57)에 지지된 감김막대(59)를 전,후진시키며, 회전실린더(62)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52)를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켜 솜사탕이 감김막대(59)에 골고루 감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솜사탕 성형유닛(70)은 솜사탕감기유닛(50)에 의해 감김막대(59)로부터 분리된 솜사탕을 압축하고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제3 프레임(71)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판(72)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 판(72)의 타측에 설치되는 슈트(73)와, 상기 가이드판(72)의 상면에 슈트(73)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설치되어 솜사탕을 성형하는 제 1,2컨베이어(81)(8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컨베이어(86)는 제 1,2지지롤러(82)(83)에 걸리는 제1벨트(84)와, 상기 제 1,2지지롤러(82)(83)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1롤러구동모터(85)를 구비한다. 상기 제1,2지지롤러(82)(83)에 걸리는 제1벨트(84)는 폭방향으로 세워져 구동된다. 제 2컨베이어(86)은 상기 제1컨베이어(8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것으로, 가이드 판(72)에 설치된 제 3,4지지롤러(87)(88)에 걸리는 제2벨트(89)와, 상기 제 3,4지지롤러(87)(88)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1롤러구동모터(90)를 구비한다. 상기 제3,4지지롤러(87)(88)에 걸리는 제2벨트(89)는 제1벨트(84)가 대응될 수 있도록 세워져 회전하게 되는데, 이들의 사이로 유입되는 솜사탕을 성형할 수 있도록 제1,2벨트(83)(89)의 이송속도가 서로 다르게 구동된다.
상기 제1,2컨베이어(81)(86)은 회전 시 벨트에 의해 성형되는 솜사탕에 간섭입 발생되지 않도록 제1,2커버(75)(76)에 의해 대응되는 제 1,2벨트(83)(89)의 영역이 감싸여져 있다. 상기 제 1,2컨베이어(81)(86)의 입구측에는 솜사탕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솜사탕 충전유닛은 상기 슈트(73)을 통하여 배출되는 성형된 솜사탕을 2차 압축하여 포장용기(200)에 삽입할 수 있는 것으로, 제 4프레임(101)에 지지되며, 슈트(73)으로부터 성형되어 배출되는 솜사탕이 유입되는 투입호퍼(102)와, 상기 투입호퍼(102)의 하부측에 투입호퍼(102)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포장용기(200)로 담기는 솜사탕을 2차 성형하기 위한 성형가이드부재(103)을 구비한다.
상기 성형가이드부재(103)의 수직 상부측에는 서포트부재(104)에 의해 지지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실린더(104)와, 상기 승강실린더(104)의 로드에 설치되어 투입포퍼(102)에 호퍼에 공급된 솜사탕을 성형가이드부재(103)로 가압하여 포장용기(200)에 삽입하기 위한 솜사탕가압부재(105)를 구비한다.
솜사탕 충진유닛에 있어서, 성형가이드부재(103)의 승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부재(104)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성형가이드부재(103)가 설치되는 가이드봉(1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110)은 스탭핑 모터(111)에 의해 승강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봉(110)의 일측에는 랙기어(110a)가 형성되고, 상기 스탭핑모터(111)의 구동축에는 상기 랙기어(110a)와 결합되는 피니언(111a)이 설치된다.
솜사탕 충진유닛의 성형가이드부재(103)의 승강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성형가이드부재(103)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예컨데, 모터를 이용한 잭스크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솜사탕 제조장치에 의해 솜사탕을 제조하고, 이를 포장용기에 저장하기 위한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솜사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솜사탕 제조유닛(20)의 회전통(21)을 가열함과 아울러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실린더(37)를 이용하여 설탕공급용기(35)를 설탕이 저장된 호퍼(34)의 하면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호퍼(34) 내의 설탕이 설탕공급용기(35)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실린더(37)을 작동시켜 설탕공급용기(35)를 설탕공급용기가이드부재(36)을 따라 전신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설탕용기(35)의 측면에는 차단판(3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차단판(38)이 호퍼(34)의 설탕 배출구(33)를 차단하게 되고, 제 2실린더(41)가 작동되어 제 2설탕배출관(40)을 제1설탕배출관(39)으로부터 슬라이딩 시켜 회전통(2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설탕용기(35)가 설탕공급용기가이드부재(36)의 단부에 형성된 설탕투입공(36)에 위치되면 설탕공급용기(35) 내의 설탕은 제1,2설탕배출관(39)(40)을 통하여 회전통(21)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설탕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제 2실린더(41)가 작동되어 제2설탕배출관(40)을 후퇴시켜, 제2설탕배출관(40)이 가열됨으로써 공급되는 설탕이 녹아 막히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같이 회전통(21)에 공급되는 설탕에 의해 솜사탕이 만들어지면, 솜사탕감김유닛(50)의 회전실린더(62)가 작동되어 감김막대(59)을 회전통(21)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회전모터(57)를 이용하여 감김막대(59)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전후진실린더(60)을 작동시켜 회전모터(57)가 설치된 이송부재(56)를 전,후진 시킴으로써 감김막대(59)를 전,후진 시킨다. 이러한 작용을 상기 감김막대(59)에는 솜사탕 제조유닛(20)에 의해 제조된 솜사탕이 감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회전실린더(62)를 이용하여 상기 감김막대(59)를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감김막대(59)에 솜사탕이 다 감기면, 회전실린더(62)를 이용하여 솜사탕이 감긴 감김막대(59)를 회전시켜 커버의 외측으로 인출하고, 매니퓰레이터(300) 또는 로봇을 이용하여 감김막대(59)로부터 솜사탕을 분리한 후, 솜사탕 성형유닛(70)에 공급한다. 상기 솜사탕성형유닛(70)의 제 1,2컨베이어(81)(86)의 사이로 공급된 솜사탕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1,2벨트(84)(89)에 의해 압축 성형된다. 특히 제 1,2벨트(84)(89)는 이송속도가 서로 다르므로 압축되는 솜사탕을 회전시킬 수 있어 압축 및 성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압축된 솜사탕은 슈트(73)을 통하여 투입호퍼(102)로 투입되고, 솜사탕 충진유닛(100)의 승강실린더(103)이 작동되어 솜사탕 가압부재(105)가 하강함으로써 압축된 솜사탕이 성형가이드부재(103)를 통과하면서 이차 성형된 후 포장용기(200)에 담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솜사탕을 제조하는 솜사탕 제조장치는 연속하여 솜사탕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솜사탕의 생산에 따른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고속으로 회전하며 가열원에 의해 가열된 회전통을 구비한 솜사탕 제조유닛과,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솜사탕 제조를 위한 정량의 설탕을 공급하는 설탕 공급유닛과,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에 의해 제조된 솜사탕을 감을 수 있는 위치와 솜사탕 분리위치로 감김막대를 회동시키는 솜사탕감기유닛과,
    상기 솜사탕 감기유닛에 의해 감김막대에 감긴 솜사탕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감김막대로부터 분리된 솜사탕을 성형하는 솜사탕성형유닛과, 성형유닛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솜사탕을 용기에 성형유닛에 의해 성형된 솜사탕을 용기에 삽입하는 솜사탕충전유닛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탕공급유닛은 솜사탕 제조유닛과 인접되게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된 설탕저장호퍼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설탕을 공급하기 위한 설탕공급용기와, 설탕공급용기를 전, 후진시키는 제 1실린더와, 상기 설탕공급용기의 측면에 상기 설탕공급용기의 이동 시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설탕공급용기의 하면에 설치되어 설탕공급용기가 이동을 가이드 하는 설탕공급용기가이드부제를 구비하며,
    상기 설탕공급용기가이드부제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용기로부터 배출된 설탕을 가이드 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된 설탕을 상기 솜사탕 제조유닛의 회전통에 공급하는 제 2배출관과, 상기 제 2배출관에 의한 설탕의 공급 시 제 2배출관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배출관에 대해 제 2배출관을 전후진 시키는 제 2실린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솜사탕 감기유닛은 프레임에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에 의해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솜사탕이 감김막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설치된 이송부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이송부재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회동로드와 연결되어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됨 감김막대를 제조되는 솜사탕을 감는 위치와 솜사탕 분리위치로 회동시키는 회전실린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솜사탕 성형유닛은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 판의 일측에 솜사탕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며 입구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제1,2벨트컨베이어를 구비한 성형부와, 상기 제1,2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성형된 솜사탕을 배출하기 위한 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1,2밸트컨베어의 제1,2밸트를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며, 이송속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5. 제 4 있어서,
    상기 솜사탕 충전유인은 상기 슈트와 연결되며 서포트 부재에 설치되는 가이드 호퍼와, 상기 가이드 호퍼의 하부측의 출구와 연결되며 솜사탕이 담기는 저장용기로 솜사탕을 성형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성형가이드부재와, 상기 성형가이드 부재의 수직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며, 가이드 호퍼에 공급된 솜사탕을 성형가이드부재로 가압하여 포장용기에 삽입하기 위한 솜사탕충진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 제조장치.
KR1020170012562A 2017-01-26 2017-01-26 솜사탕 제조장치 KR101891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62A KR101891800B1 (ko) 2017-01-26 2017-01-26 솜사탕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62A KR101891800B1 (ko) 2017-01-26 2017-01-26 솜사탕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35A true KR20180088035A (ko) 2018-08-03
KR101891800B1 KR101891800B1 (ko) 2018-09-28

Family

ID=6325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562A KR101891800B1 (ko) 2017-01-26 2017-01-26 솜사탕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8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3029A (zh) * 2018-09-28 2019-01-04 杰沃克(广州)游乐设备有限公司 加糖机构及棉花糖售卖机器
KR20210151568A (ko) * 2020-06-05 2021-12-14 원하이테크 주식회사 솜사탕제조장치
KR20220007938A (ko) * 2020-07-13 2022-01-20 임호식 스마트 솜사탕 제조기
KR102607994B1 (ko) * 2022-12-26 2023-11-29 신원규 솜사탕 제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266A (ja) * 2000-05-11 2002-06-04 Handa Kikai Kigu Kk 綿菓子製造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3029A (zh) * 2018-09-28 2019-01-04 杰沃克(广州)游乐设备有限公司 加糖机构及棉花糖售卖机器
KR20210151568A (ko) * 2020-06-05 2021-12-14 원하이테크 주식회사 솜사탕제조장치
KR20220007938A (ko) * 2020-07-13 2022-01-20 임호식 스마트 솜사탕 제조기
KR102607994B1 (ko) * 2022-12-26 2023-11-29 신원규 솜사탕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800B1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800B1 (ko) 솜사탕 제조장치
US3036581A (en) Apparatus for making cigarettes
US2180349A (en) Apparatus for packing foodstuffs
KR20100094563A (ko) 멀티 세그멘트 필터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세그멘트 그룹을 수집하는 방법 및 멀티 세그멘트 필터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세그멘트를 그룹으로 준비하고 수집하기 위한 장치
WO2019140237A1 (en) Automated multi-tamp herbal rod fill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8588908B (zh) 一种羊毛纺纱原料上料方法
CN211771712U (zh) 一种梳理机
US3238825A (en) Method of feeding and cutting filters
US963823A (en) Press for baling fibrous material.
CN207325359U (zh) 一种自动纱管理管机
KR101828738B1 (ko)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CN113440930B (zh) 一种粘胶纤维生产用滤芯裹布捆扎机
KR101790899B1 (ko)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US2576068A (en) Machine for making cotton tipped applicators
CN108265350B (zh) 一种纺织用羊毛上料机构
JPH0319682A (ja) 二本の無端のたばこ連続体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CA2186552A1 (en) Rotating feed apparatus for rod-like articles
EP2364594A1 (fr) Diviseuse volumétrique de pâte en pâtons pour la réalisation de produits de boulangerie ou analogue et procédé de division de pâte en pâtons mis en oeuvre par une telle diviseuse
JPH07213269A (ja) なめこ茸の茎切り機
KR100561934B1 (ko)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의 자동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200329085Y1 (ko)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의 자동 포장장치
CN114176250B (zh) 缠绕可点燃抽吸材料的机器、供给装置及可点燃抽吸产品
CN211997367U (zh) 一种沥水机
CN212233023U (zh) 鲜莲自动剥莲机
CN209957939U (zh) 一种开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