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903A - 교통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903A
KR20180087903A KR1020170011886A KR20170011886A KR20180087903A KR 20180087903 A KR20180087903 A KR 20180087903A KR 1020170011886 A KR1020170011886 A KR 1020170011886A KR 20170011886 A KR20170011886 A KR 20170011886A KR 20180087903 A KR20180087903 A KR 2018008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signal
module
occu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성
박수조
강현규
김수인
이정규
김예나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김예나
김수인
이정규
박수조
강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김예나, 김수인, 이정규, 박수조, 강현규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7903A/ko
Publication of KR2018008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교통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부착된 충격 센서 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고 발생 판단부, 차량의 GPS 신호 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고 위치 판단부, 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고 신호 전송부,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 제어 시스템{TRAFF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교통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운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교통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교통량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반면, 이와 같은 교통량을 수용하기 위한 도로와 같은 기본 교통 인프라의 증가 및 확장은 상대적으로 느린 실정이다. 따라서, 교통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능적으로 교통을 통제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그 중 최근 시도되는 기술로서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가 있다. 상기 ITS는 위치발신기를 교차로의 신호등 또는 가로등에 설치하고, 상기 위치발신기는 차량이 상기 위치발신기에 근접하면 상기 차량에 설치된 통신유닛의 신호를 감지하여 중앙센터에 차량통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이 있다. 이후, 상기 중앙센터는 복수의 위치발신기에서 취합된 차량의 통과여부 정보를 근거로 통과시간,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차량이 통과한 도로의 교통상황을 상기 교통상황 정보로 생성한 후 상기 교통상황 정보에 따라 교통 신호등을 통제하여 차량흐름을 지능적으로 조절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비콘을 이용한 교통 정보 취합 방식과 달리, 교통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챠량에 GPS를 장착하여 실시간 교통 정보를 취합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의 경우에도 교통 정보 수집용 차량의 분포와 이동 경로에 따라 수집할 수 있는 실시간 교통정보가 제한되기 때문에 정보의 정확도와 실시간성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최근 각종 차량에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네비게이터가 장착되어 현재의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차량의 최단 경로를 안내해주는 시스템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 방식의 경우에는 실시간 교통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도(Map)에 의해 제공되는 교통망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산출하기 때문에 교통 정체 등의 실시간 상황을 반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네비게이션 기능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TPEG(The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이라는 교통 정보 기술의 표준 규격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TPEG을 적용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기존의 네비게이션 장치에 저장된 지도정보에 목적지까지의 경로만을 고려하여 최단거리로만 안내하는 것을 넘어서, 상기 DMB 데이터 채널로 실시간 수신된 도로의 교통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막히는 길을 피해 최종 목적지까지 최단거리 코스를 안내해주는 기술이다. 즉, 상기 TPEG을 적용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기존 네비게이션 장치와 달리 주행 예정 도로의 교통상황과 소통 속도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자체적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근거로 최단거리의 경로를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기술로서, 교통상황에 따른 가변적인 경로 선택을 통해 운전자의 운전 효율성 및 도로의 교통흐름 제어를 간접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술이다.
그러나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운전자의 전방에 발생한 교통 사고를 실시간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고속도로 등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2차 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으며, 2차 사고는 다중추돌 사고로 발전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교통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부착된 충격 센서 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고 발생 판단부, 차량의 GPS 신호 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고 위치 판단부, 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고 신호 전송부,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표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교통 제어 시스템은 차량이 사고 위치를 피해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경로를 설정하는 회피 경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 발생 판단부는 차량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센싱신호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 발생 판단부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동영상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 위치 판단부는 사고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식별 모듈, 사고 차량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 위치를 특정하는 GPS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 위치 판단부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 차량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 위치 판단부는 GPS 신호 또는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가 발생한 차선을 식별하는 차선 식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피 경로 설정부는 사고가 발생한 차선을 회피하는 차선을 탐색하는 회피 탐색 모듈, 회피 경로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회피 메시지를 전송하는 회피 전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신호 전송부는 차량들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하는 차량을 탐색하는 접근차량 탐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신호 전송부는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를 전송하는 경고 전송 모듈과 사고 지점과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사고 지점과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거리정보 전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표시부는 차량의 전면 유리에 설치된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경고 신호를 표시하는 경고신호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표시부는 회피 경로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회피경로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 제어 시스템은 차량이 속도의 변화 없이 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될 때,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 제어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교통 사고를 감지하고 교통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들에게 위험을 알려서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자율주행 차량에게 사고를 알리고 회피 경로를 제공하여 교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의 경고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의 경고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101)은 사고 발생 판단부(10), 사고 위치 판단부(20), 회피 경로 설정부(30), 경고 신호 전송부(40), 경고 표시부(50), 차량 제어신호 전송부(60)를 포함한다.
교통 제어 시스템(101)은 서버에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차량들을 제어한다. 교통 제어 시스템(101)은 무선네트 워크로 연결된 자율주행 차량에 경고를 전송하거나 자율주행 차량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사고 발생 판단부(10)는 차량에 부착된 충격 센서 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고 발생 판단부(10)는 센싱신호 분석 모듈(11)과 동영상 분석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신호 분석 모듈(11)은 차량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에는 충격을 감지하는 사물인터넷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물인터넷 센서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로 감지된 센싱 신호를 전송한다. 센싱신호 분석 모듈(11)은 서버로 전달된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동영상 분석 모듈(12)은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동영상 분석 모듈(12)은 촬영된 동영상에서 객체 인식 기술에 기반하여 차량의 이동과 급격한 정지를 식별하고,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분석 모듈(12)은 차량들이 일렬로 늘어서 정지한 경우는 교통 상황에 따라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후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소수의 차량이 정지한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동영상 분석 모듈(12)은 차량의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 정지한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사고 위치 판단부(20)는 차량의 GPS 신호 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된 위치를 특정한다. 사고 위치 판단부(20)는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사고 위치 판단부(20)는 차량 식별 모듈(21), GPS 분석 모듈(22), 위치 분석 모듈(23), 차선 식별 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식별 모듈(21)은 차량의 번호판, GPS 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고 차량을 인식한다. GPS 분석 모듈(22)은 사고 차량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 위치를 특정한다. GPS 분석 모듈(22)은 사고 차량으로 인식된 차량이 위치하는 위도와 경도를 측정한다.
위치 분석 모듈(23)은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 차량의 위치를 식별한다. 위치 분석 모듈(23)은 카메라(120)의 위치와 촬영된 동영상에서 나타난 사고 차량의 위치를 비교하여 실제 사고 차량의 위치를 식별한다. 차선 식별 모듈(24)은 GPS 신호 또는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가 발생한 차선을 식별한다. 차선 식별 모듈(24)은 사고가 직접 발생한 차선뿐만 아니라 사고가 발생하여 진행이 불가능한 차선까지 탐색한다. 차선 식별 모듈(24)은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차선의 사고가 발생한 차선의 식별할 수 있으며, 차량에 설치된 센서 또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선을 식별할 수도 있다.
회피 경로 설정부(30)는 차량이 사고 위치를 피해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경로를 설정한다. 회피 경로 설정부(30)는 사고가 발생한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들(130)이 사고 지점을 회피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회피 경로를 설정한다. 회피 경로 설정부(30)는 사고 차선을 벗어나도록 회피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도로 전체가 막힌 경우에는 해당 도로를 우회하는 회피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회피 경로 설정부(30)는 회피 탐색 모듈(31), 회피 전송 모듈(32)을 포함한다. 회피 탐색 모듈(31)은 사고가 발생한 차선을 회피하는 차선을 탐색하거나, 사고가 발생할 지역을 우회하는 도로를 탐색할 수 있다.
회피 전송 모듈(32)은 회피 경로로 차량(1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회피 메시지를 전송한다. 회피 메시지는 우회 경로에 대한 안내 및 사고가 발생한 차선에서 벗어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고 신호 전송부(40)는 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서버(10)에서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인지된 경우, 경고 신호 전송부(40)는 주변 차량에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 신호 전송부(40)는 접근차량 탐색 모듈(41), 경고 전송 모듈(42), 거리정보 전송 모듈(43)을 포함할 수 있다.
접근차량 탐색 모듈(41)은 차량들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하는 차량을 탐색한다. 접근차량 탐색 모듈(41)은 사고가 발생한 차선과 차량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접근차량을 탐색한다.
경고 전송 모듈(42)은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를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에게 전송한다. 경고 전송 모듈(42)은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하는 차량에게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전송 모듈(42)은 차량이 사고 지점으로부터 1km, 500m, 300m 내로 진입할 때, 각각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거리정보 전송 모듈(43)은 사고 지점과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사고 지점과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거리정보 전송 모듈(43)은 차량(130)이 사고사고지점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진입할 때, 사고 지점과 차량(130)과의 거리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 표시부(50)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130)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거나 소리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경고 표시부(50)는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 헤드 업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에 경고를 나타내는 문자,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경고 표시부(50)는 투명 디스플레이(51), 경고신호 표시 모듈(52), 회피경로 표시 모듈(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51)는 유기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의 전면 유리(150)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경고신호 표시 모듈(52)은 투명 디스플레이(51)에 경고 신호,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신호 표시 모듈(52)은 투명 디스플레이(51)에 사고지점과 차량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회피경로 표시 모듈(53)은 차량이 사고가 발생한 차선으로 진행할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51)에 다른 차선으로 이동하도록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신호 전송부(60)는 차량이 속도의 변화 없이 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될 때,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신호를 발생하고, 차량에서 속도를 감소시키는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의 제어부가 운전자의 조작과 상관 없이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차량 제어신호 전송부(60)는 차량이 사고가 발생된 차선으로 계속 진행할 경우, 자율주행 차량이 회피 경로로 이동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속도로 등에서 주행하는 차량에게 사고의 발생을 알리고 사고 지점을 회피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101)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자율주행차량에 적용될 때 매우 유용하다. 운전자가 자율주행 시스템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자율주행 차량이 사고를 늦게 인지하는 경우, 2차 사고의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에서 각 자율주행 차량에 사고의 발생과 회피 경로를 안내하므로 자율주행 차량이 스스로 속도를 감소시키고 회피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제어 방법은 사고 발생 판단 단계(S101), 사고 위치 판단 단계(S102), 회피 경로 설정 단계(S103), 경고 신호 전송 단계(S104), 경고 표시 단계(S105), 차량 제어신호 전송 단계(S1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고 발생 판단 단계(S101)는 차량에 부착된 충격 센서 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고 발생 판단 단계(S101)는 센싱신호 분석 단계와 동영상 분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신호 분석 단계는 차량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에는 충격을 감지하는 사물인터넷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물인터넷 센서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로 감지된 센싱 신호를 전송한다. 센싱신호 분석 단계는 서버로 전달된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동영상 분석 단계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동영상 분석 단계는 촬영된 동영상에서 객체 인식 기술에 기반하여 차량의 이동과 급격한 정지를 식별하고,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 분석 단계는 차량들이 일렬로 늘어서 정지한 경우는 교통 상황에 따라 차량이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후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소수의 차량이 정지한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동영상 분석 단계는 차량의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 정지한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사고 위치 판단 단계(S102)는 차량의 GPS 신호 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된 위치를 특정한다. 사고 위치 판단 단계(S102)는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사고 위치 판단 단계(S102)는 차량 식별 단계, GPS 분석 단계, 위치 분석 단계, 차선 식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식별 단계는 차량의 번호판, GPS 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고 차량을 인식한다. GPS 분석 단계는 사고 차량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 위치를 특정한다. GPS 분석 단계는 사고 차량으로 인식된 차량이 위치하는 위도와 경도를 측정한다.
위치 분석 단계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 차량의 위치를 식별한다. 위치 분석 단계는 카메라의 위치와 촬영된 동영상에서 나타난 사고 차량의 위치를 비교하여 실제 사고 차량의 위치를 식별한다. 차선 식별 단계는 GPS 신호 또는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가 발생한 차선을 식별한다. 차선 식별 단계는 사고가 직접 발생한 차선뿐만 아니라 사고가 발생하여 진행이 불가능한 차선까지 탐색한다. 차선 식별 단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선의 사고가 발생한 차선의 식별할 수 있으며, 차량에 설치된 센서 또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선을 식별할 수도 있다.
회피 경로 설정 단계(S103)는 차량이 사고 위치를 피해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경로를 설정한다. 회피 경로 설정 단계(S103)는 사고가 발생한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들이 사고 지점을 회피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회피 경로를 설정한다. 회피 경로 설정 단계(S103)는 사고 차선을 벗어나도록 회피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도로 전체가 막힌 경우에는 해당 도로를 우회하는 회피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회피 경로 설정 단계(S103)는 회피 탐색 단계, 회피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회피 탐색 단계는 사고가 발생한 차선을 회피하는 차선을 탐색하거나, 사고가 발생할 지역을 우회하는 도로를 탐색할 수 있다.
회피 전송 단계는 회피 경로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회피 메시지를 전송한다. 회피 메시지는 우회 경로에 대한 안내 및 사고가 발생한 차선에서 벗어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고 신호 전송 단계(S104)는 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서버에서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인지된 경우, 경고 신호 전송 단계(S104)는 주변 차량에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 신호 전송 단계(S104)는 접근차량 탐색 단계, 경고 전송 단계, 거리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근차량 탐색 단계는 차량들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하는 차량을 탐색한다. 접근차량 탐색 단계는 사고가 발생한 차선과 차량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접근차량을 탐색한다.
경고 전송 단계는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를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에게 전송한다. 경고 전송 단계는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하는 차량에게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전송 단계는 차량이 사고 지점으로부터 1km, 500m, 300m 내로 진입할 때, 각각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거리정보 전송 단계는 사고 지점과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사고 지점과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거리정보 전송 단계는 차량이 사고사고지점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진입할 때, 사고 지점과 차량과의 거리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 표시 단계(S105)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거나 소리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경고 표시 단계(S105)는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 헤드 업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에 경고를 나타내는 문자,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경고 표시 단계는 경고신호 표시 단계, 회피경로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고신호 표시 단계는 차량의 전면 유리(150)에 부착 설치된 투명 디스플레이에 경고 신호,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신호 표시 단계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사고지점과 차량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회피경로 표시 단계는 차량이 사고가 발생한 차선으로 진행할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에 다른 차선으로 이동하도록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신호 전송 단계(S106)는 차량이 속도의 변화 없이 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될 때,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신호를 발생하고, 차량에서 속도를 감소시키는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의 제어부가 운전자의 조작과 상관 없이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차량 제어신호 전송 단계(S106)는 차량이 사고가 발생된 차선으로 계속 진행할 경우, 자율주행 차량이 회피 경로로 이동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교통 제어 시스템
110: 서버
120: 카메라
130: 차량
10: 사고 발생 판단부
11: 센싱신호 분석 모듈
12: 동영상 분석 모듈
20: 사고 위치판단
21: 차량 식별 모듈
22: GPS 분석 모듈
23: 위치 분석 모듈
24: 차선 식별 모듈
30: 회피 경로 설정부
31: 회피 탐색 모듈
32: 회피 전송 모듈
40: 경고 신호 전송부
41: 접근차량 탐색 모듈
42: 경고 전송 모듈
43: 거리정보 전송 모듈
50: 경고 표시부
51: 투명 디스플레이
52: 경고신호 표시 모듈
53: 회피경로 표시 모듈
60: 차량 제어신호 전송부

Claims (13)

  1. 차량에 부착된 충격 센서 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고 발생 판단부;
    차량의 GPS 신호 또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고 위치 판단부;
    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차량으로 경고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고 신호 전송부;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제어 시스템은 차량이 사고 위치를 피해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경로를 설정하는 회피 경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 판단부는 차량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센싱신호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 판단부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동영상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위치 판단부는 사고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식별 모듈, 사고 차량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 위치를 특정하는 GPS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위치 판단부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 차량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위치 판단부는 GPS 신호 또는 촬영된 동영상에서 사고가 발생한 차선을 식별하는 차선 식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 경로 설정부는 사고가 발생한 차선을 회피하는 차선을 탐색하는 회피 탐색 모듈, 회피 경로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회피 메시지를 전송하는 회피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 전송부는 차량들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하는 차량을 탐색하는 접근차량 탐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 전송부는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를 전송하는 경고 전송 모듈과 사고 지점과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사고 지점과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거리정보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표시부는 차량의 전면 유리에 설치된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경고 신호를 표시하는 경고신호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표시부는 회피 경로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회피경로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제어 시스템은 차량이 속도의 변화 없이 사고 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될 때,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 제어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제어 시스템.
KR1020170011886A 2017-01-25 2017-01-25 교통 제어 시스템 KR20180087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886A KR20180087903A (ko) 2017-01-25 2017-01-25 교통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886A KR20180087903A (ko) 2017-01-25 2017-01-25 교통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903A true KR20180087903A (ko) 2018-08-03

Family

ID=6325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886A KR20180087903A (ko) 2017-01-25 2017-01-25 교통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79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5236B2 (en) Optical receiving apparatus, shield plate, computer product, transit support method, and transit support apparatus
US7990286B2 (en) Vehicle positioning system using location codes in passive tags
JP4713359B2 (ja) 移動端末装置、交通情報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の交通情報抽出方法および交通情報処理方法
US10510249B2 (en) Safety driving assistant system, vehicle, and program
US7429825B2 (en) Headlight beam control system and headlight beam control method
EP1793204B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lane guidance
US7877187B2 (en) Driving support method and device
JP5493780B2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90125795A (ko) 안전운전 지원장치
KR101442702B1 (ko) 차선 변경 차량과 충돌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44142A (ja) 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装置
JP4709099B2 (ja) 評価装置、交通情報システム、車載装置、評価装置の評価方法、交通情報システムの交通情報処理方法、車載装置の車載情報処理方法、評価装置の評価プログラムおよび車載装置の車載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6062443A (ja) 運転支援装置
CN116434604A (zh) 一种智能交通锥桶安全警示系统及控制方法
KR102336776B1 (ko) 차량의 톨-게이트 구간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544854B1 (ko) 차량 주변의 도로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교통 정보 시스템
JP5432331B2 (ja) 車載装置、交通情報システム、車載装置の車載情報処理方法および車載装置の車載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80087902A (ko) 교통 제어 방법
JP2011028770A (ja) 車載装置、交通情報システム、車載装置の車載情報処理方法および車載装置の車載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60064372A (ko) 차량간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102077315B1 (ko) 지능형 교통정보제공장치 및 정보제공방법
JP5523250B2 (ja) 運転支援装置
JP2005025528A (ja) 車両検知方法、車両検知システム、車両検知装置、情報送信装置、情報受信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報知装置、自動車、車両検知用プログラム
JP5354193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KR20040037423A (ko) 디 에스 알 씨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