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053A -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053A
KR20180087053A KR1020170011267A KR20170011267A KR20180087053A KR 20180087053 A KR20180087053 A KR 20180087053A KR 1020170011267 A KR1020170011267 A KR 1020170011267A KR 20170011267 A KR20170011267 A KR 20170011267A KR 20180087053 A KR20180087053 A KR 20180087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yarn
denier
melange
s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정관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스존아이엔씨
이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스존아이엔씨, 이정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스존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01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7053A/ko
Publication of KR2018008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21/08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7Wearing apparel or garment blan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24Polyamides; Polyurethanes
    • D06P3/241Polyamides; Polyurethanes using acid dyes

Abstract

본 발명은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25 데니어, 필라멘트 수 34, 광택도(FD) 18%의 제1나일론 원사와 45 데니어, 필라멘트 수 58, 광택도(FD) 23%의 제2나일론 원사 및 20 데니어, 필라멘트 수 24, 광택도(FD) 33%의 폴리 원사를 준비하는 원사준비단계(S100)와; 상기 원사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3가지 원사를 콘사로 인팅하는 원사인팅단계(S200)와; 40 데니어, 신축성 23% 제1스판과 210 데니어, 신축성 3% 제2스판 및 상기 원사인팅단계를 통해 인팅된 콘사를 빔에 정경하는 빔 정경단계(S300)와; 상기 빔 정경단계를 통해 정경된 제1스판, 제2스판, 콘사로 이루어진 경사를 4BAR TRICOT으로 경편하는 경편기에 공급하여 입상밀도조절 및 사장조절하여 생지를 생산하는 경편단계(S400)와; 상기 경편단계를 통해 생산된 생지를 정련, 표백, 생지의 열에 대한 축소과정을 통해 생지의 파상굴곡을 형성하는 크림프성(Crimp), 섬유굴곡을 통해 부피가 커지도록 하여 회복에 따른 벌키성(Bulky), 신축성이 부여되는 릴렉싱단계(S500)와; 상기 릴렉싱단계를 거친 생지의 특성변화에 의한 터치의 향상을 통해 요구되는 색상의 원단 색상에 따른 산성염료와 1~3%의 완염제, PH 조정제를 투입하여 1:10의 욕비로 순환염색조에서 염색하는 염색단계(S600)와; 상기 염색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건조 및 포장하여 출하하는 제품완료단계(S700);를 통해 멜란지 효과와 면터치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경편 직물 생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Melange, and touch using the synthetic fiber blend side effects warp knitted fabric with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 화운데이션 팬티 뒷부분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헴 기능을 넣은 기능성부분에 나일론원사와 폴리원사의 인팅방식을 통해 원사를 제조염색하여 희긋희긋한 효과와 면터치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화섬 멜란지 효과를 나타내는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섬유업계에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욕구에 대응하여 이색조 효과를 가지는 멜란지 직물이 다량 개발되어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멜란지 소재는 폴리에스테르소재를 중심으로 PCD(Cationic dyeable PET), 원착사와의 태데니아 중심의 복합사가공, 인터레이스 기술, 방사혼섬 기술에 의해 멜란지 특수 복합사용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주로 티셔츠, 바지, 슈트 등의 용도로 사용이 되어지고 있다.
인터레이스 복합사는 국내외적으로 복합제조조건, 설비종류 등에 따라 생산하여 왔으며, 그 주요 기술은 POY와 같은 수축성이 높은 원사와 수축성이 낮은 원사를 교락하여 수축성이 높은 원사에 의한 표면효과를 발휘하도록 복합사를 제조하는 것이 그 목표였다.
그러나 ITY 복합사를 이용한 원단의 결점인 색차의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는데 한계점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즉, 종래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사를 심사로 사용하고 부분 배향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여 단순한 교락가공(Interlace)을 통해 제조된 복합사를 범용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제품이 직편물에 사용될 때의 문제점으로는, 첫번째로 심사로 사용되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사의 수축율이 낮아 효과사와의 이수축 효과가 떨어져 적당한 수준의 벌키감과 탄성 및 드레이프성을 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사용되는 심사와 효과사의 물성차이로 인한 염색성의 차이에 의해 최종 가공지에서 색차가 발생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ITY 복합사의 색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중인 다양한 기술 및 공법 중 가장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기술로서 원료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심사와 효과사의 소재로 사용되는 원사의 폴리머를 개질하여 사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고, 제조공법적인 측면에서는 심사와 효과사를 복합인터레이스하여 열처리하는 방법 및 효과사만 열처리하여 심사와 복합 인터레이스하는 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상기 연구와는 반대로 색차를 이용한 멜란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직편물도 필요하게 되어 오히려 이종사간의 색차를 발현하는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3577호에서는 염색특성이 서로 상이한 2종(種) 이상의 섬유형성 성분으로 구성된 2성분 복합사 또는 섬유형성 성분과 용출성분으로 구성되며 섬유형성 성분의 염색특성이 서로 상이한 2개 이상의 2성분 복합사(초사)가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심사)를 휘감고 있는 형태를 갖는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ATY)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ATY사에 관한 것으로서 인터레이스 반점과 유사한 ATY 반점이 불량으로 드러나는 문제점이 있어 ATY 반점이 드러나지 않는 ITY 복합사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멜란지 특성의 우수한 발현을 위해서는 나일론사와 폴리에스터사의 ITY복합사가 추천되나, 나일론―폴리에스터 ITY복합사로 제조된 멜란지직물의 최대 문제점은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의 신도차와 교락에 의한 인터레이스 반점이 원단 전반에서 규칙적으로 나타나 상품성을 떨어뜨릴 수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일론과 폴리에 의한 멜란지 효과를 나타내는 대부분은 위편성물을 통해 흔하게 표출되어 생산되고 있지만 경편사로 인팅하여 멜란지 효과를 나타낸 부분은 아직까지 소개되거나 개시되지 않아 경편을 통한 멜란지효과와 면터치 효과를 갖는 직물이 요구되어도 이를 적용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3577호, 2003.10.30.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경편사로 인팅하여 나일론과 폴리간의 염색성 차이로 인해 제조된 직물 표면의 멜란지 효과와 경편에 의한 면터치기능을 동시 가질 수 있는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은 25 데니어, 필라멘트 수 34, 광택도(FD) 18%의 제1나일론 원사와 45 데니어, 필라멘트 수 58, 광택도(FD) 23%의 제2나일론 원사 및 20 데니어, 필라멘트 수 24, 광택도(FD) 33%의 폴리 원사를 준비하는 원사준비단계(S100)와; 상기 원사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3가지 원사를 콘사로 인팅하는 원사인팅단계(S200)와; 40 데니어, 신축성 23% 제1스판과 210 데니어, 신축성 3% 제2스판 및 상기 원사인팅단계를 통해 인팅된 콘사를 빔에 정경하는 빔 정경단계(S300)와; 상기 빔 정경단계를 통해 정경된 제1스판, 제2스판, 콘사로 이루어진 경사를 4BAR TRICOT으로 경편하는 경편기에 공급하여 입상밀도조절 및 사장조절하여 생지를 생산하는 경편단계(S400)와; 상기 경편단계를 통해 생산된 생지를 정련, 표백, 생지의 열에 대한 축소과정을 통해 생지의 파상굴곡을 형성하는 크림프성(Crimp), 섬유굴곡을 통해 부피가 커지도록 하여 회복에 따른 벌키성(Bulky), 신축성이 부여되는 릴렉싱단계(S500)와; 상기 릴렉싱단계를 거친 생지의 특성변화에 의한 터치의 향상을 통해 요구되는 색상의 원단 색상에 따른 산성염료와 1~3%의 완염제, PH 조정제를 투입하여 1:10의 욕비로 순환염색조에서 염색하는 염색단계(S600)와; 상기 염색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건조 및 포장하여 출하하는 제품완료단계(S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염색단계의 염색방법은 25℃에서 1~3% 완염제 및 염료투입하고,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켜 60℃에 도달하면 매염제를 투입하며, 60℃에서 15분간 PH를 체크하여 산성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98℃까지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키다가 80℃ 구간에서 PH 체크하여 산성상태를 다시 체크하며, 98℃에 도달되면 30분간 유지한 후 60℃까지 15분간 서서히 냉각하다가 50℃까지 급냉하고, 3~5분간 50℃를 유지한 후, 다시 고착제를 투입하여 60℃까지 가열한 후, 냉각한 후, 수세 건조하여 염색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나일론과 폴리를 인팅하고 스판과 함께 경편기를 통해 경편한 후, 염색성 차이로 인한 나일론과 폴리간의 색상 발현을 통한 제조된 직물 표면의 멜란지 효과와 경편사와 같은 특징의 신축성과 면터치기능을 동시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의 인팅된 나일론과 폴리에 스판이 경편된 섬유조직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의 염색단계의 염색과정 도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을 통해 생산된 헴 기능 부분이 나타난 직물지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의 인팅된 나일론과 폴리에 스판이 경편된 섬유조직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의 염색단계의 염색과정 도표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을 통해 생산된 헴 기능 부분이 나타난 직물지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은 종래 멜란지 효과를 나타내고자 제직한 직물은 통상 위편성물로 경편성물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부분을 개선한 것으로, 경편성물을 제조함에 있어 멜란지 효과와 면터치 기능을 동시에 발현하고, 신축성을 향상시켜 여성용 란제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헴 기능 부여를 위한 기능성 부분에 적용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준비단계(S100), 원사인팅단계(S200), 빔 정경단계(S300), 경편단계(S400), 릴렉싱단계(S500), 염색단계(S600), 제품완료단계(S700)을 통해 제직생산된다.
상기 원사준비단계(S100)
경편물로 제조함에 있어 멜란효과와 면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화섬으로 나이론과 폴리 원사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나일론은 제1나일론과 제2나일론의 2가지 나일론을 준비하고, 폴리원사와 함께 총 3가지의 원사를 준비한다. 상기 제1나일론 원사는 25 데니어, 필라멘트 수 34, 광택도(FD) 18%를 준비하고, 제2나일론 원사는 45 데니어, 필라멘트 수 58, 광택도(FD) 23%를 준비하며, 폴리 원사는 20 데니어, 필라멘트 수 24, 광택도(FD) 33%를 준비한다. 통상 3가지의 원사를 준비하는 이유로 염색 과정에서의 화섬의 종류에 따른 염색차이로 인한 멜란효과에서 2가지로 준비되어 규칙적 패턴의 멜란 효과를 표출하기보다는 3가지 원사를 통한 불규칙적인 멜란 효과를 통해 보다 다양한 미감의 표출을 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원사인팅단계 (S200)
상기 원사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제1나일론, 제2나일론, 폴리의 3가지 원사를 콘사(지관에 원추형으로 감은 실)로 인팅(실의 중간중간을 찝어 주어 실이 풀리거나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한다. 즉, 상기 원사인팅단계에서는 3가지 원사를 후술되는 경편단계에서의 스판과 원활하게 경편되도록 하기 위해 3가지 원사가 풀리거나 부풀어오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빔 정경단계 (S300)
제직을 준비 하기 위한 것으로, 정해진 올 수의 경사를 길이 및 장력을 균일하게 일정한 너비가 되도록 배열하여 드럼 또는 빔에 감는 것으로, 설계된 직물의 길이에 따라 각 경사의 길이를 균일하게 하고, 경사의 밀도 또는 너비를 정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경사 또는 다른 색의 경사를 배치하여 제직한다. 이와 같은 정경에는 3가지 종류로 크게 나눈다. 첫째로 실을 감는 공정에서 정경용 목관에 감은 실을 정경용 빔에 감는 빔 정경으로, 주로 면직물에 응용한다. 둘째로 반수공적인 방법으로 연견 직물 등에 쓰이는 볼 정경이다. 셋째로 실을 염색하여 풀먹이기를 한 색실을 배치하면서 정경하는 부분 정경 등이다. 빔 정경 다음에는 풀먹이기 공정이 이어지고 볼 정경 다음에는 정련, 표백, 염색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마지막 부분 정경 후에는 그대로 도투마리에 감아 옮긴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정경의 종류에서 본원 발명은 빔 정경을 통해 정경하는 것으로, 40 데니어, 신축성 23% 제1스판과 210 데니어, 신축성 3% 제2스판 및 상기 원사인팅단계를 통해 인팅된 콘사를 빔에 정경한다.
상기 경편단계 (S400)
인팅된 3가지 원사와 제1스판과 제2스판을 경편물로 제직하는 것으로, 상기 빔 정경단계를 통해 정경된 제1스판, 제2스판, 콘사로 이루어진 경사를 4BAR TRICOT으로 경편하는 경편기에 공급하여 입상밀도조절 및 사장조절하여 생지를 생산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편단계를 통해 제직되는 인팅된 제1나이론, 제2나이론, 폴리의 3가지 원사와 정경된 제1스판, 제2스판과의 섬유 조직도를 살펴보면 후술되는 염색과정에서의 서로 다른 이염성에 의해 멜란효과를 경편물 제직에서도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릴렉싱단계 (S500)
상기 경편단계를 통해 생산된 생지를 정련, 표백, 생지의 열에 대한 축소과정을 통해 생지의 파상굴곡을 형성하는 크림프성(Crimp), 섬유굴곡을 통해 부피가 커지도록 하여 회복에 따른 벌키성(Bulky), 신축성이 부여되도록 한다.
상기 염색단계(S600)
상기 릴렉싱단계를 거친 생지의 특성변화에 의한 터치의 향상을 통해 요구되는 색상의 원단 색상에 따른 산성염료와 1~3%의 완염제, PH 조정제를 투입하여 1:10의 욕비로 순환염색조에서 염색하고 이를 통해 면터치기능과 멜란지 효과를 가진 경편물의 직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염색단계에서의 염색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에서 1~3% 완염제 및 염료투입하고,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켜 60℃에 도달하면 매염제를 투입하며, 60℃에서 15분간 PH를 체크하여 산성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98℃까지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키다가 80℃ 구간에서 PH 체크하여 산성상태를 다시 체크하며, 98℃에 도달되면 30분간 유지한 후 60℃까지 15분간 서서히 냉각하다가 50℃까지 급냉하고, 3~5분간 50℃를 유지한 후, 다시 고착제를 투입하여 60℃까지 가열한 후, 냉각한 후, 수세 건조하여 염색을 완료한다.
상기 제품완료단계(S700)
상기 염색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건조 및 포장하여 출하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속옥과 같은 부분에 면터치 기능을 가지면서 멜란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경편물의 제조를 통해 기존 위편사물로만 표현되었던 멜란지 효과를 확대하여 보다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속옷의 단부 마감처리를 위한 헴(Hem) 부분에도 멜란지 효과의 적용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S100 : 원사준비단계 S200 : 원사인팅단계
S300 : 빔 정경단계 S400 : 경편단계
S500 : 릴렉싱단계 S600 : 염색단계
S700 : 제품완료단계

Claims (2)

  1. 25 데니어, 필라멘트 수 34, 광택도(FD) 18%의 제1나일론 원사와 45 데니어, 필라멘트 수 58, 광택도(FD) 23%의 제2나일론 원사 및 20 데니어, 필라멘트 수 24, 광택도(FD) 33%의 폴리 원사를 준비하는 원사준비단계(S100)와;
    상기 원사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3가지 원사를 콘사로 인팅하는 원사인팅단계(S200)와;
    40 데니어, 신축성 23% 제1스판과 210 데니어, 신축성 3% 제2스판 및 상기 원사인팅단계를 통해 인팅된 콘사를 빔에 정경하는 빔 정경단계(S300)와;
    상기 빔 정경단계를 통해 정경된 제1스판, 제2스판, 콘사로 이루어진 경사를 4BAR TRICOT으로 경편하는 경편기에 공급하여 입상밀도조절 및 사장조절하여 생지를 생산하는 경편단계(S400)와;
    상기 경편단계를 통해 생산된 생지를 정련, 표백, 생지의 열에 대한 축소과정을 통해 생지의 파상굴곡을 형성하는 크림프성(Crimp), 섬유굴곡을 통해 부피가 커지도록 하여 회복에 따른 벌키성(Bulky), 신축성이 부여되는 릴렉싱단계(S500)와;
    상기 릴렉싱단계를 거친 생지의 특성변화에 의한 터치의 향상을 통해 요구되는 색상의 원단 색상에 따른 산성염료와 1~3%의 완염제, PH 조정제를 투입하여 1:10의 욕비로 순환염색조에서 염색하는 염색단계(S600)와;
    상기 염색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건조 및 포장하여 출하하는 제품완료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단계의 염색방법은 25℃에서 1~3% 완염제 및 염료투입하고,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켜 60℃에 도달하면 매염제를 투입하며, 60℃에서 15분간 PH를 체크하여 산성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98℃까지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키다가 80℃ 구간에서 PH 체크하여 산성상태를 다시 체크하며, 98℃에 도달되면 30분간 유지한 후 60℃까지 15분간 서서히 냉각하다가 50℃까지 급냉하고, 3~5분간 50℃를 유지한 후, 다시 고착제를 투입하여 60℃까지 가열한 후, 냉각한 후, 수세 건조하여 염색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
KR1020170011267A 2017-01-24 2017-01-24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 KR20180087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67A KR20180087053A (ko) 2017-01-24 2017-01-24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67A KR20180087053A (ko) 2017-01-24 2017-01-24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53A true KR20180087053A (ko) 2018-08-01

Family

ID=6322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67A KR20180087053A (ko) 2017-01-24 2017-01-24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70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1599A (zh) * 2021-10-25 2022-01-28 宁波大千纺织品有限公司 一种抗静电超柔保暖仿羊羔绒针织面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577A (ko) 2002-04-19 2003-10-30 주식회사 코오롱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577A (ko) 2002-04-19 2003-10-30 주식회사 코오롱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1599A (zh) * 2021-10-25 2022-01-28 宁波大千纺织品有限公司 一种抗静电超柔保暖仿羊羔绒针织面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225B1 (ko) 신축성 및 멜란지톤발현이 우수한 에어텍스쳐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1908901B1 (ko) Pet 원착사를 이용한 ity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환편 니트 원단
KR102240789B1 (ko) 카치온 가염형 폴리에스테르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7171B1 (ko) 멜란지효과가 우수한 입체무늬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3262B1 (ko) 멜란지효과 및 입체무늬 효과가 우수한 직물의 제조방법
KR20120055966A (ko) 농담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226839B1 (ko) 투톤 발현이 가능한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직물
KR20180087053A (ko) 화섬 혼방을 이용한 면터치 기능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경편물 제조방법
KR101981757B1 (ko)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367037B1 (ko) 심색성, 신축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편직물
KR101759864B1 (ko) 광택특성이 향상된 자카드 스판직물
CN104975362A (zh) 一种锦纶高收缩复合裂瓣型全拉伸丝及其制备方法
KR102232005B1 (ko) 멜란지톤의 발현이 우수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8306A (ko) 고신율 사염사를 이용한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829A (ja) 合成繊維先染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16918A (ko) 카치온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39881A (ko) 섬세한 멜란지 발현성이 우수한 태세섬도 혼합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2479830B1 (ko) 심초형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4800B1 (ko) 원단의 터치감을 부드럽게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JP2019073807A (ja) 仮撚加工糸および織編物
KR102451544B1 (ko)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2415021B1 (ko) 이색 칼라톤의 발현이 가능한 pet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25776B1 (ko) 소모조 폴리에스테르 복합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2405972B1 (ko) 고강도 폴리에스터사를 포함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복합사로 제조된 경량성 백팩용 원단
KR101928245B1 (ko) 불규칙한 멜란지 효과를 갖는 에어텍스쳐 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의류용 부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