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906A - 모따기 형성용 흙손 - Google Patents

모따기 형성용 흙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906A
KR20180086906A KR1020170010951A KR20170010951A KR20180086906A KR 20180086906 A KR20180086906 A KR 20180086906A KR 1020170010951 A KR1020170010951 A KR 1020170010951A KR 20170010951 A KR20170010951 A KR 20170010951A KR 20180086906 A KR20180086906 A KR 2018008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in
trowel
concrete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2318B1 (ko
Inventor
최선일
Original Assignee
최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일 filed Critical 최선일
Priority to KR102017001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3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 E04F21/161Trow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따기 형성용 흙손에 관한 것으로, 하면에 평탄작업면을 갖는 판상의 주작업부, 주작업부의 진행방향의 전방에 상향 절곡되어 연접한 부작업부, 주작업부와 부작업부의 진행방향의 양 측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하향 경사각을 두고 절곡된 모따기성형부, 주작업부와 부작업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주작업손잡이와 부작업손잡이, 주작업부의 평탄작업면의 적어도 일부의 진행방향 길이구간에 걸쳐 평탄작업면으로부터 상향 함몰형성되며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작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형성용 흙손이며 이로 인해 추가 재료의 투입이 없이 콘크리트의 모따기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평탄화 작업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따기 형성용 흙손{TROWEL}
모따기 형성용 흙손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할 때는 양생 후 콘크리트 상부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서리 부분의 모따기 작업이 필요하다. 이런 모따기 작업은 콘크리트 타설 전 거푸집 안쪽면에 모따기 형성 면이 있는 삼각기둥 형태의 면기를 부착하고 이 면기의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콘크리트의 모따기 잡업을 위해 주로 목재를 가공하여 제작되는 모따기 형성면을 가진 삼각기둥 형태의 면기는 일회성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거푸집에 부착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따기 작업이 가능한 흙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편리한 흙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모따기 형성용 흙손에 있어서, 하면에 평탄작업면을 갖는 판상의 주작업부, 상기 주작업부의 진행방향의 전방에 상향 절곡되어 연접한 부작업부, 상기 주작업부의 진행방향의 양 측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하향 경사각을 두고 절곡된 모따기성형부, 상기 주작업부와 상기 부작업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주작업손잡이와 부작업손잡이, 상기 주작업부의 평탄작업면의 적어도 일부의 진행방향 길이구간에 걸쳐 상기 평탄작업면으로부터 상향 함몰형성되며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작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형성용 흙손.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따기 형성용 흙손은 면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따기를 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따기 형성용 흙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I선 단면도 이다.
도 3은 도 1의 Ⅲ-a, Ⅲ-b선 단면도 이다.
도 4는 다수개의 분산작용부를 가진 모따기 형성용 흙손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따기 형성용 흙손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따기 형성용 흙손의 사시도이다. 흙손(100)은 하면에 평탄작업면(110)을 갖는 판상의 주작업부(120)와 주작업부(120)의 진행방향의 전방에 상향 절곡되어 연접한 부작업부(130)를 가진다.
부작업부(130)는 주작업부(120)와 연접하여 2도 내지 3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도 내지 1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며, 주작업부(120)와 부작업부(130)의 단면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인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흙손(100)의 사용자는 굴곡진 콘크리트의 평탄화를 위하여 주작업부(120)를 콘크리트 표면에 인접하여 전진운동하게 되고 이때 상향 굴곡진 콘크리트의 일부는 부작업부(130) 하부의 주작업부(120)와 연접한 영역에 쌓이며, 흙손의 전진과 함께 하향 굴곡진 콘크리트 부분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부작업부(130)로 인해 평탄화 작업이 용이해지며 콘크리트가 주작업부(120) 상면에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발생된다.
주작업부(120)와 2도 내지 3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진 부작업부(130)는 그 절곡량이 2도 미만인 경우에는 부작업부(130)의 상향 절곡량이 작기 때문에 평탄화 작업 시 부작업부(130)의 전단부 높이보다 높게 상향 굴곡된 콘크리트의 경우 평탄화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30도가 초과되는 경우에는 진행방향에 따라 부작업부(130) 하부의 주작업부(120)와 연접한 영역에 쌓이게 되는 콘크리트를 하향 굴곡진 콘크리트 영역에 매우는 과정에서 부작업부(130)의 평탄작업면(110)이 콘크리트를 하방으로 눌러주며 분산시키는 힘이 부족해진다.
부작업부(130)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면 흙손(100)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흙손(100)은 전진과 후진을 하며 평탄화 작업을 하게되는데, 이때 부작업부(13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흙손(100)의 경우 후진 작업시 부작업부(130)가 주작업부(120)의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즉, 주작업부(120) 측 평탄작업면(110)을 굴곡진 콘크리트에 접하여 소정거리 전진하며 평탄화한 후, 부작업부(130) 측 평탄작업면(110)을 굴곡진 콘크리트와 접하여 소정거리만큼 후진하며 평탄화 작업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후진작업 시 주작업부(120)는 전진작업 시의 부작업부(130)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주작업부(120)와 부작업부(130)는 진행방향의 약 측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콘크리트 타설면을 기준으로 30 내지 45도의 경사각을 두고 절곡된 모따기 성형부(140)를 가진다. 모따기 성형부(140)는 거푸집과 인접한 콘크리트의 모따기 작업을 위해 형성한 것으로, 삼각 형상의 면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따기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런 모따기 성형부(140)는 주작업부(120)에만 형성하거나 주작업부(120)와 부작업부(130)의 양 측연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모따기 성형부(140)가 형성된 흙손(100)은 150 내지 300 mm의 폭을 가진다. 양측연에 모따기 성형부(140)를 가진 흙손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자주 발생 되는 거푸집 간의 거리를 고려 한 150, 200, 250, 300 mm의 폭을 가진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에 거푸집과 콘크리트의 시공오차 범위를 고려했을 때 5 mm정도 폭을 짧게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거푸집 간의 폭에 해당하는 모따기 성형부(140)가 형성된 흙손을 준비하여 보다 효율적인 모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주작업부(120)와 부작업부(130)의 상면에는 주작업손잡이(150)와 부작업손잡이(160)가 형성되어 있다. 두 손잡이는 서로 연결되거나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기둥의 길이와 손잡이의 길이는 주작업부(120)와 부작업부(130)의 절곡량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손잡이가 연결된 흙손(100)의 경우 보통 주작업손잡이(150)의 파지부분과 부작업손잡이(160)의 파지부분은 주작업부(120)와 부작업부(130)의 절곡량과 유사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된다.
주작업부(120)는 평탄작업면(110)의 적어도 일부의 진행방향 길이구간에 걸쳐 평탄작업면(110)으로부터 상향 함몰되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작용부(170)를 가지고 있다. 분산작용부(170)로 인해 굴곡진 콘크리트의 평탄화 작업 시 상향 굴곡진 콘크리트의 일부는 분산작용부(170)의 전방 측, 넓은 폭으로 인해 부피가 넓은 영역 내로 수용되고, 이 콘크리트는 작업방향에 따라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폭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가진 영역으로 수용되며, 줄어든 부피만큼 하부의 평탄작업면(110)으로 퍼져나가게 되며 하향 굴곡진 콘크리트 영역을 채우게 된다. 또한, 평탄화 작업 시작 시 흙손(100)의 평탄작업면(110)을 굴곡진 콘크리트에 접촉시키고 하방으로 가압하며 초기 평탄면을 고르게 되는데 이때 상향 굴곡진 콘크리트의 일부는 평탄작업면(110)을 거쳐 분산작용부(170) 내로 수용되어 초기 평탄화 작업 시작 시 콘크리트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작용부(170)가 형성된 모따기 형성용 흙손(100)은 평탄화 작업에 따른 콘크리트의 저항을 줄일 수 있어 굴곡진 콘크리트를 평탄화 하는데 필요한 힘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산작용부(170)는 부작업부(130)에도 형성가능하며, 이로 인해 전진 평탄화 작업 후 후진 평탄화 작업시 부작업부(130)에서도 분산작용부(170)의 기능을 더할 수 있고, 평탄화 작업의 진행방향 끝 영역의 콘크리트를 부작업부(130)와 부작업부(130)에 형성된 분산작용부(17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평탄화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 된다.
도 3은 도 1의 II-a, II-b선 단면도 이다. II-a는 분산작용부(170)의 전방이고, II-b 선에 해당하는 부분은 분산작용부(170)의 후방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분산작용부(170)의 하단의 폭이 좁아짐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분산작용부(170)의 부피는 감소된다. 따라서, 평탄화 작업시 전방에 수용되는 콘크리트는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에 의해 평탄작업면(110)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분산작용부(170)의 평탄작업면(110)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호 형상이거나 다각형일 수 있다.
도 4는 다수개의 분산작용부(170)를 가진 흙손(2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작용부(170)는 주작업부(120)와 부작업부(130)에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분산작용부(170)를 폭 방향으로 다수개 가질 경우 상향 굴곡된 콘크리트를 보다 작은 압력을 가하며 분산작용부(170) 내에 수용할 수 있으며, 평탄화 작업을 위한 흙손(100)의 전진 시 분산작용부(170) 내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보다 작은 저항을 받으며 하향 굴곡된 콘크리트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콘크리트 평탄작업이 보다 쉽고 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따기 형성용 흙손(100)은 양 측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하향 경사각을 두고 절곡된 모따기 성형부(140)로 인해 모따기 형성면을 가진 삼각기둥의 면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모따기 작업을 할 수 있고, 주작업부(120)의 전방에 절곡되어 연접한 부작업부(130)로 인해 굴곡진 콘크리트의 평탄화 작업이 용이 해지고, 후진 평탄화 작업 시 부작업부(130)는 주작업부(120)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며 효율적인 평탄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주작업부(120)와 부작업부(130)에 형성될 수 있는 분산작용부(170)가 상향 굴곡진 콘크리트의 일부를 수용하여 하향 굴곡진 콘크리트 영역으로 분산시켜 주기 때문에 평탄화 작업에 걸리는 저항을 줄일 수 있다.
100, 200 : 흙손 110 : 평탄작업면
120 : 주작업부 130 : 부작업부
140 : 모따기 성형부 150 : 주작업손잡이
160 : 부작업손잡이 170 : 분산작용부

Claims (3)

  1. 모따기 형성용 흙손에 있어서,
    하면에 평탄작업면을 갖는 판상의 주작업부,
    상기 주작업부의 진행방향의 전방에 상향 절곡되어 연접한 부작업부,
    상기 주작업부와 상기 부작업부의 진행방향의 양 측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하향 경사각을 두고 절곡된 모따기성형부,
    상기 주작업부와 상기 부작업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주작업손잡이와 부작업손잡이,
    상기 주작업부의 평탄작업면의 적어도 일부의 진행방향 길이구간에 걸쳐 상기 평탄작업면으로부터 상향 함몰형성되며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작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형성용 흙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작업부와 상기 부작업부는 2도 내지 3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형성용 흙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작업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기 분산작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형성용 흙손.
KR1020170010951A 2017-01-24 2017-01-24 모따기 형성용 흙손 KR101902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951A KR101902318B1 (ko) 2017-01-24 2017-01-24 모따기 형성용 흙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951A KR101902318B1 (ko) 2017-01-24 2017-01-24 모따기 형성용 흙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906A true KR20180086906A (ko) 2018-08-01
KR101902318B1 KR101902318B1 (ko) 2018-09-28

Family

ID=6322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951A KR101902318B1 (ko) 2017-01-24 2017-01-24 모따기 형성용 흙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1131A (zh) * 2020-05-21 2020-08-21 北京海港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使用的阴角找角工具及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0409S1 (en) 2022-03-21 2024-01-09 Buddy Tools, Llc Double corner trow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3801B2 (ja) * 1998-09-25 2003-01-08 神沢精工株式会社 左官鏝
KR101235347B1 (ko) * 2012-09-27 2013-02-20 (주)칠칠공사 균열부위 보수용 헤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1131A (zh) * 2020-05-21 2020-08-21 北京海港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使用的阴角找角工具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318B1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1681B1 (en) Adhesive spreader
KR101902318B1 (ko) 모따기 형성용 흙손
AU2017220375A1 (en) Tile levelling clip and system
US11661752B2 (en) Ceramic tile leveling bracket, pushing and clamping pliers, and ceramic tile leveling and laying system
US4737097A (en) Concrete slab surface finishing tool
US20210310260A1 (en)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dhesives on plates
US20190127991A1 (en) Grid Plate for Laying Tile on Uneven Surfaces
CN219840405U (zh) 砌筑材料涂抹装置
GB2467793A (en) Hand pointing tool
US6167585B1 (en) Serrated hand tool for plaster application
CN212453716U (zh) 一种砌筑砂浆摊铺装置
US5057002A (en) Bead shaper
US9011040B1 (en) Stair screed and float device
WO2004106665A1 (en) Tile, tiling accessory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dhesive for a tile
CN220167548U (zh) 填充墙灰缝控制模具
US10774548B2 (en) Trowel for finishing cementitious materials
JP2589447Y2 (ja) タイル下地基板
EP2944743B1 (en) Mortar joint spacer
CN211850965U (zh) 可调节大小的建筑墙体铺浆工具
CN214559772U (zh) 一种混凝土砌块开槽装置
US818416A (en) Curbing and sidewalk dressing implement.
CN215212460U (zh) 一种砖墙砌筑铺浆设备
CN210738020U (zh) 一种楼梯板材铺贴干拌砂浆厚度控制装置
TWI672421B (zh) 磁磚整平輔助結構
JPH0721732Y2 (ja) 生コンクリートのならしこ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