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538A - 휘도 조절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휘도 조절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538A
KR20180086538A KR1020167023755A KR20167023755A KR20180086538A KR 20180086538 A KR20180086538 A KR 20180086538A KR 1020167023755 A KR1020167023755 A KR 1020167023755A KR 20167023755 A KR20167023755 A KR 20167023755A KR 20180086538 A KR20180086538 A KR 20180086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terminal
preset
lighting device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697B1 (ko
Inventor
웨이구앙 지아
티안 렌
엔싱 호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8008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05B37/021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 H05B47/19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4Electronic books and rea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도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 휘도를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Description

휘도 조절 방법 및 장치{LUMINANCE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본 출원은 출원번호: 201510867032.6이고, 출원일자: 2015년 12월01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반으로 제출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 출원에 도입되어 참조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휘도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 폰, 태블릿 PC의 보편화에 따라, 점점 많은 사용자들이 전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독서를 즐기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독서할 경우, 실내의 광선이 너무 어둡거나 또는 너무 밝으면, 사용자의 시력이 많이 손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휘도 조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휘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의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환경 휘도와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의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환경 휘도와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의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의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 조절 명령과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측에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상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되, 상기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은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휘도 중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단말이 독서 모드에서 퇴장하도록 지시하는 제2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조절 전 상기 단말의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휘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획득 모듈;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
상기 제1획득 모듈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제2획득 모듈이 획득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조절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조절 모듈은,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획득 서브 모듈;
상기 제1획득 서브 모듈이 획득한 현재 환경 휘도와 상기 제1획득 모듈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조절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조절 모듈은,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서브 모듈;
상기 제2 획득 서브 모듈이 획득한 현재 환경 휘도와 상기 제1획득 모듈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조절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조절 모듈은,
상기 제1획득 모듈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서브 모듈;
상기 생성 서브 모듈에서 생성된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서브 모듈은 상기 생성 서브 모듈에서 생성된 휘도 조절 명령과 상기 제2 획득 모듈이 획득한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측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재송신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상태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제1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은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휘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제3 획득 모듈;
상기 제3획득 모듈이 획득한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단말이 독서 모드에서 퇴장하도록 지시하는 제2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조절 전 상기 단말의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4 획득 모듈;
상기 제4 획득 모듈이 획득한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2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휘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며;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하는 바,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독서 소프트웨어 또는 브라우저를 사용시, 이러한 소프트웨어에서 머문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다는 것을 확정할 수 있는 바, 이때, 환경 휘도 조절이 트리거된다. 단말 또는 서버는 독서 모드에서의 사용자의 시력 보호 건강에 유리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 및 당시 실내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고,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그 조명 휘도를 조절하여 현재 환경 휘도가 사전 설정 환경 휘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로써, 환경 휘도와 전자 스크린 휘도의 휘도차를 줄여,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 환경 휘도가 사전 설정 환경 휘도보다 작거나 또는 클 경우, 모두 실내의 광선이 너무 밝거나 어둡지 않도록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독서 과정에서, 실내 조명 휘도와 전자 스크린 휘도의 휘도차를 시종일관 비교적 작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계속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휘도 조절 명령을 통하여 실내의 광선이 너무 밝거나 어둡지 않도록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을 경우, 단말은 또한 단말 자체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예를 들면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휘도 등등을 조절하여, 전자 스크린을 통해 독서 시 사용자의 눈 조절 부담을 덜어 주어,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은 독서 모드 진입 전의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저장하여, 독서 모드에서 퇴장할 경우, 저장된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그전 디스플레이 설정을 복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단말의 기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설명과 뒤에 이어질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을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내포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고,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2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3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4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5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6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7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8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1은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2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3은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4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5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이용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이용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할 것이며, 그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하기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도면 중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디스플레이한다. 하기 예시적 실시예 중에서 설명되는 실시방식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실시방식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는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와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수단은 단말과 서버에 관한 것으로, 단말 또는 서버가 단말이 처한 환경의 휘도에 따라,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실내 환경의 휘도가 전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의 독서에 보다 적합하도록 조명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좋은 독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해 준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플릿 장치, 의료 장치, 헬스 기구,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 임의의 전자 독서 기능이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 조절 방법은 단말 또는 서버에 이용되고,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1)에서,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고;
단계(S12)에서,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며;
단계(S13)에서,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독서 소프트웨어 또는 브라우저를 이용 시, 이러한 소프트웨어에서 머문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다는 것을 확정할 수 있는 바, 이때, 환경 휘도 조절이 트리거된다. 단말 또는 서버는 독서 모드에서 사용자의 시력 보호 건강에 유리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 및 당시 실내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고,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현재 환경 휘도가 사전 설정 환경 휘도에 도달하도록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한다. 이로써, 환경 휘도와 전자 스크린 휘도의 휘도차를 줄여,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 현재 환경 휘도에 대해 검측을 진행하여,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에 대해 조절 여부를 확정한다. 도2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획득하는 단계(S21);
현재 환경 휘도와 사전 설정 환경 휘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S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환경 휘도가 사전 설정 환경 휘도보다 작거나 클 경우, 실내의 광선이 너무 밝거나 너무 어둡지 않도록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의 독서 모드에서, 주기적으로 실내의 광선 휘도를 기반으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3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하기 단계는,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S31);
현재 환경 휘도 및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S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독서 과정에서, 실내 조명 휘도와 전자 스크린 휘도의 휘도차를 시종일관 비교적 작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계속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또는 서버는WIFI 등 무선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제어에 이용되는 휘도 조절 명령을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도4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41);
휘도 조절 명령을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S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휘도 조절 명령을 통하여 실내의 광선이 너무 밝거나 너무 어둡지 않도록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만약 단말에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하는 경우, 휘도 조절 명령을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휘도 조절 명령 및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측에 송신하여, 네트워크 측을 통해 휘도 조절 명령을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만약 단말을 통하여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휘도 조절을 실현할 경우, 상기 방법은,
단말에서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 길이보다 길거나 동일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제1상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은,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외에, 단말 자체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력을 더 잘 보호해 준다. 도5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제1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되,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은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휘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단계(S51);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S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을 경우, 또한 단말 자체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예를 들면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휘도 등등을 조절하여, 전자 스크린을 통해 독서 시 사용자의 눈 조절 부담을 덜어 주어,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이 독서 모드에서 퇴장할 경우, 단말은 자체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그전 설정으로 복구할 수 있다. 도6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단말이 독서 모드에서 퇴장하도록 지시하는 제2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조절하기 전의 단말의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는 단계(S61);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S62)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독서 모드 진입 전의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저장하여, 독서 모드에서 퇴장할 경우, 저장된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그전 디스플레이 설정을 복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단말의 기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므로,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킨다.
하기에서는 단말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휘도에 대한 제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7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701)에서, 단말은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을 모니터링한다.
단계(S702)에서, 단말은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면, 단계(S703)를 실행하고, 아니오라면, 단계(S701)를 실행한다.
단계(S703)에서, 단말은 제1상태 명령을 생성한다.
단계(S704)에서, 단말은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 및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한다.
단계(S705)에서, 단말은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모니터링한다.
단계(S706)에서, 단말은 현재 환경 휘도와 사전 설정 환경 휘도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면, 단계(S705)를 실행하고, 아니오라면, 단계(S707)를 실행한다.
단계(S707)에서, 단말은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한다.
단계(S708)에서, 단말은 휘도 조절 명령 및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측 서버에 송신한다.
단계(S709)에서, 네트워크 측 서버는 휘도 조절 명령을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재송신한다.
단계(S710)에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는 휘도 조절 명령을 기반으로 조명 휘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독서 모드에서 사용자의 시력 보호 건강에 유리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 및 당시 실내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고,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현재 환경 휘도가 사전 설정 환경 휘도에 도달하도록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한다. 이로써, 환경 휘도와 전자 스크린 휘도의 휘도차를 줄여,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하기에서는 네트워크 측 서버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휘도에 대한 제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801)에서, 단말은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을 모니터링한다.
단계(S802)에서, 단말은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면, 단계(S802)를 실행하고, 아니오라면, 단계(S801)를 실행한다.
단계(S803)에서, 단말은 제1상태 명령을 생성하고, 또한 서버에 송신한다.
단계(S804)에서, 서버는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 및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한다
단계(S805)에서, 단말은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모니터링하고, 또한 주기적으로 서버에 송신한다.
단계(S806)에서, 서버는 현재 환경 휘도와 사전 설정 환경 휘도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예라면, 단계(S805)를 실행하고, 아니오라면, 단계(S807)를 실행한다.
단계(S807)에서, 서버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한다.
단계(S808)에서, 서버는 휘도 조절 명령을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재송신한다.
단계(S809)에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는 휘도 조절 명령을 기반으로 조명 휘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는 독서 모드에서 사용자의 시력 보호 건강에 유리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 및 당시 실내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고,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현재 환경 휘도가 사전 설정 환경 휘도에 도달하도록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한다. 이로써, 환경 휘도와 전자 스크린 휘도의 휘도차를 줄여,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여기서, 단계(S804)에서, 단말은 자체의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서버로 하여금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검측된 상기 환경 속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관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상기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을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로 구현될 수 있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휘도 조절 장치는,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상태 명령를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획득 모듈(91);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92);
제1획득 모듈(91)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제2 획득 모듈(92)이 획득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조절 모듈(9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독서 소프트웨어 또는 브라우저를 이용 시, 이러한 소프트웨어에서 머문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다는 것을 확정할 수 있는 바, 이때, 환경 휘도 조절이 트리거된다. 단말 또는 서버는 독서 모드에서 사용자의 시력 보호 건강에 유리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 및 당시 실내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고,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현재 환경 휘도가 사전 설정 환경 휘도에 도달하도록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한다. 이로써, 환경 휘도와 전자 스크린 휘도의 휘도차를 줄여,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 현재 환경 휘도에 대해 검측을 진행하여,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에 대해 조절 여부를 확정한다. 도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조절 모듈(93)은,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획득 서브 모듈(101);
제1획득 서브 모듈(101)이 획득한 현재 환경 휘도와 제1획득 모듈(91)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조절 서브 모듈(10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환경 휘도가 사전 설정 환경 휘도보다 작거나 또는 클 경우, 모두 실내의 광선이 너무 밝거나 어둡지 않도록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는 동안, 모두 주기적으로 실내의 광선 휘도를 기반으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한다. 도11은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조절 모듈(93)은,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서브 모듈(111);
제2 획득 서브 모듈(111)이 획득한 현재 환경 휘도와 제1획득 모듈(91)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조절 서브 모듈(1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독서 과정에서, 실내 조명 휘도와 전자 스크린 휘도의 휘도차를 시종일관 비교적 작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계속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또는 서버는 WIFI등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제어에 이용되는 휘도 조절 명령을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도12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조절 모듈(93)은,
제1획득 모듈(91)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서브 모듈(121);
생성 서브 모듈(121)에서 생성된 휘도 조절 명령을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송신 서브 모듈(1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휘도 조절 명령을 통하여 실내의 광선이 너무 밝거나 어둡지 않도록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 독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 주고,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만약 단말에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하는 경우, 휘도 조절 명령을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송신 서브 모듈(122)은, 생성 서브 모듈(121)에서 생성된 휘도 조절 명령과 제2 획득 모듈(92)이 획득한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측에 송신하여, 네트워크 측을 통해 휘도 조절 명령을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재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조절 모듈(93)은 상기 제1획득 서브 모듈(101), 제1조절 서브 모듈(102), 제2 획득 서브 모듈(111), 제2 조절 서브 모듈(112), 생성 서브 모듈(121) 및 송신 서브 모듈(122)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만약 단말을 통하여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휘도 조절을 실현할 경우, 도13은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단말에서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 길이보다 길거나 동일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제1상태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94)을 더 포함한다.
또한, 단말은,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외에, 단말 자체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시력을 더 잘 보호해 준다. 도14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제1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바, 여기서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은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휘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제3 획득 모듈(95);
제3 획득 모듈(95)이 획득한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조절 모듈(96)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을 경우, 또한 단말 자체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예를 들면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휘도 등등을 조절하여, 전자 스크린을 통해 독서 시 사용자의 눈 조절 부담을 덜어 주어, 사용자의 시력 건강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이 독서 모드에서 퇴장할 경우, 단말은 단말 자체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그전 설정으로 복구할 수 있다. 도15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단말이 독서 모드에서 퇴장하도록 지시하는 제2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조절 전 단말의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4 획득 모듈(97);
제4 획득 모듈(97)이 획득한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조절 모듈(96)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독서 모드 진입 전의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저장하여, 독서 모드에서 퇴장할 경우, 저장된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그전 디스플레이 설정을 복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단말의 기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휘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며;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도1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이용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상기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장치(1700)는 비디오 카메라, 녹음기기,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플릿 장치, 의료 장치, 헬스 기구,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장치(1700)에는 하기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즉 프로세싱 어셈블리(1702), 메모리(1704), 전원 어셈블리(17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708), 오디오 어셈블리(17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712), 센서 어셈블리(1714) 및 통신 어셈블리(1716)이다.
프로세싱 어셈블리(1702)는 통상적으로 장치(1700)의 전반적인 조작을 제어하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전화 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된 조작 등이다. 프로세싱 어셈블리(1702)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20)가 포함되어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그리고 프로세싱 어셈블리(1702)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포함되어 프로세싱 어셈블리(17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어셈블리(1702)에는 멀티미디어 모듈이 포함되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708)과 프로세싱 어셈블리(1702)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메모리(1704)는 여러 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1700)의 조작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로는 장치(1700) 상에서 조작하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자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7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램(SRAM), 이이프롬(EEPROM), 이프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이다.
전원 어셈블리(1706)는 장치(1700)의 각 어셈블리를 위하여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1706)에는 전원 관리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전원 및 장치(1700)의 전력 생성, 관리와 분배에 관련된 기타 어셈블리가 포함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708)에는 상기 장치(1700)와 사용자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에는 액정디스플레이(LCD)와 터치패널(TP)이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스크린에 터치패널을 포함한다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패널에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가 포함되어 터치, 슬라이딩과 터치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과 관련되는 지속 시간과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708)에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7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또는 초점 거리 및 광학적 주밍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7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710)에는 하나의 마이크(MIC)가 포함되고, 장치(17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에 처할 때, 마이크는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나아가 메모리(1704) 또는 통신 어셈블리(17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어셈블리(1710)는 또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바, 오디오 신호의 출력에 이용된다.
I/ O인터페이스(17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7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에는 홈 버튼, 음량 조절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714)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포함되어, 장치(1700)를 위하여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어셈블리(1714)는 장치(1700)의 열기/닫기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인 포지셔닝을 감지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어셈블리는 장치(17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일 수 있으며, 센서 어셈블리(1714)는 또한 장치(1700) 또는 장치(1700)의 한 어셈블리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장치(1700)의 접촉 여부, 장치(1700) 위치 또는 가속/감속과 장치(170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714)에는 접근 센서를 포함하여, 아무런 물리적 접촉이 없을 때 근처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게 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714)에는 광 센서, 예를 들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가 더 포함되어, 이미징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어셈블리(1714)에는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716)는 장치(1700)와 기타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을 도모할 수 있다. 장치(1700)은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어셈블리(17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어셈블리(1716)에는 근거리 통신(NFC) 모듈이 더 포함되어 근거리 통신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전파 식별(RFID) 기술, 국제 적외선 데이터 통신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과 기타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700)은 적어도 하나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하여 구현되어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1704)를 제공하는 바, 상기 명령은 장치(1700)의 프로세서(17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램(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 데이터 기억 장치 등일 수 있다.
도1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이용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1900)는 하나의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장치(19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922) 및 메모리(1932)를 대표로 하는 메모리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어셈블리(1922)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자원은 프로세싱 어셈블리(192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메모리(1932)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매개마다 한 조의 명령과 일대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싱 어셈블리(1922)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방법을 실행한다.
장치(1900)는 또한 장치(1900)의 전원 관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전원 어셈블리(1926); 장치(19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50), 및 하나의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9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1900)는 메모리(1932)에서의 저장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 체제를 조작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Windows ServerTM,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 또는 유사한 것이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이 장치(1700) 또는 장치(19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장치(1700) 또는 장치(1900)로 하여금 상기 휘도 조절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의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환경 휘도와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의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환경 휘도와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의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의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 조절 명령과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측에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상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되, 상기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은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휘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단말이 독서 모드에서 퇴장하도록 지시하는 제2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조절 전 상기 단말의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해당 분야 당업자는 명세서 및 여기에 공개된 내용을 숙지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안을 쉽게 발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자 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고 또한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해당 분야의 일반 상식 또는 관용 기술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 및 도면 중의 정확한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과 변화를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다.

Claims (17)

  1.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 조절 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환경 휘도와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 조절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환경 휘도와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 조절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 조절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 조절 명령과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측에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 조절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상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휘도 조절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은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휘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함 - ; 및
    상기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휘도 조절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독서 모드에서 퇴장하도록 지시하는 제2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조절 전 상기 단말의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휘도 조절 방법.
  9.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획득 모듈;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획득 모듈이 획득한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제2 획득 모듈이 획득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휘도 조절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 모듈은,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제1획득 서브 모듈이 획득한 현재 환경 휘도와 상기 제1획득 모듈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조절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휘도 조절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 모듈은,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현재 환경 휘도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제2 획득 서브 모듈이 획득한 현재 환경 휘도와 상기 제1획득 모듈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조절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휘도 조절 장치.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 모듈은,
    상기 제1획득 모듈이 획득한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휘도 조절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서브 모듈; 및
    상기 생성 서브 모듈에서 생성된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휘도 조절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 모듈은 상기 생성 서브 모듈에서 생성된 휘도 조절 명령과 상기 제2 획득 모듈이 획득한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측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므로,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휘도 조절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에 재송신하도록 하는, 휘도 조절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한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 길이보다 길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상태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휘도 조절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3 획득 모듈 - 상기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은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휘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함 - ; 및
    상기 제3획득 모듈이 획득한 상기 사전 설정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2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휘도 조절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독서 모드에서 퇴장하도록 지시하는 제2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조절 전 상기 단말의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4 획득 모듈 ; 및
    상기 제4 획득 모듈이 획득한 상기 히스토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값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2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휘도 조절 장치.
  17.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이 독서 모드에 있도록 지시하는 제1 상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독서 모드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이 처한 환경의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하며;
    상기 사전 설정 환경 휘도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휘도 조절 장치.
KR1020167023755A 2015-12-01 2016-05-19 휘도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2433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867032.6A CN105528151A (zh) 2015-12-01 2015-12-01 亮度调整方法及装置
CN201510867032.6 2015-12-01
PCT/CN2016/082682 WO2017092246A1 (zh) 2015-12-01 2016-05-19 亮度调整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538A true KR20180086538A (ko) 2018-08-01
KR102433697B1 KR102433697B1 (ko) 2022-08-18

Family

ID=5577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755A KR102433697B1 (ko) 2015-12-01 2016-05-19 휘도 조절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154604A1 (ko)
EP (1) EP3176776B1 (ko)
JP (1) JP6580059B2 (ko)
KR (1) KR102433697B1 (ko)
CN (1) CN105528151A (ko)
RU (1) RU2669208C2 (ko)
WO (1) WO2017092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8151A (zh) * 2015-12-01 2016-04-2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亮度调整方法及装置
CN107562306B (zh) * 2017-08-08 2022-01-1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移动终端显示亮度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装置
CN107770933A (zh) * 2017-10-31 2018-03-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09313459A (zh) * 2018-05-31 2019-02-05 深圳市蚂蚁雄兵物联技术有限公司 光强控制方法、装置、系统、用户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10910814A (zh) * 2018-08-28 2020-03-2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Led模组校正方法、装置、led显示屏及存储介质
CN109543666A (zh) * 2018-11-05 2019-03-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结构光组件控制方法及装置
CN110489028B (zh) * 2019-07-11 2021-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597074A (zh) * 2019-08-12 2019-12-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智能面板
CN112885063A (zh) * 2019-11-30 2021-06-01 南京苏德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对车间照明亮度数据进行实时自动采集的智能终端
CN112399682B (zh) * 2020-10-27 2022-07-08 江汉大学 自动识别环境亮度并调整的光源控制方法及装置
CN112689355B (zh) * 2021-01-07 2022-05-13 杭州恒生数字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物联网组网和数据处理功能的电子班牌
CN113766708B (zh) * 2021-04-30 2023-05-26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照明装置亮度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245092A (zh) * 2022-02-23 2022-03-25 北京灵犀微光科技有限公司 多深度近眼显示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1380A (ja) * 2012-03-13 2013-09-2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16207A1 (en) * 2013-10-31 2015-04-30 Pegatron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cree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392194T3 (pl) * 2009-01-29 2015-08-31 Philips Lighting Holding Bv System sterowania oświetleniem czuły na warunki oświetlenia otoczenia
CN102063809A (zh) * 2010-12-29 2011-05-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阅读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3028569A2 (en) * 2011-08-19 2013-02-28 Apple Inc. Interactive content for digital books
US20130241439A1 (en) * 2012-03-13 2013-09-1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Lighting Control System, Light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445480B2 (en) * 2012-04-12 2016-09-13 Lg Electronics Inc. Lighting system,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method
WO2014024366A1 (ja) * 2012-08-09 2014-0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CN104252327A (zh) * 2013-06-27 2014-12-3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阅读模式启用方法和装置
WO2015104624A1 (en) * 2014-01-08 2015-07-16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s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based on detected lighting change
US10237953B2 (en) * 2014-03-25 2019-03-19 Osram Sylvania Inc. Identifying and controlling light-based communication (LCom)-enabled luminaires
CN104039040B (zh) * 2014-05-26 2017-12-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灯的控制方法及装置
CN104038643B (zh) * 2014-07-02 2016-08-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照明方法及装置
CN104390181A (zh) * 2014-12-18 2015-03-04 南京化工职业技术学院 一种手机蓝牙控制led吸顶灯
CN105050246B (zh) * 2015-06-24 2018-01-02 上海卓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调节灯光亮度的方法和移动终端
CN105528151A (zh) * 2015-12-01 2016-04-2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亮度调整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1380A (ja) * 2012-03-13 2013-09-2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16207A1 (en) * 2013-10-31 2015-04-30 Pegatron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cree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697B1 (ko) 2022-08-18
RU2669208C2 (ru) 2018-10-09
WO2017092246A1 (zh) 2017-06-08
RU2016137531A (ru) 2018-04-02
US20170154604A1 (en) 2017-06-01
CN105528151A (zh) 2016-04-27
JP6580059B2 (ja) 2019-09-25
RU2016137531A3 (ko) 2018-04-02
EP3176776A1 (en) 2017-06-07
EP3176776B1 (en) 2020-12-02
JP2018502412A (ja)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697B1 (ko) 휘도 조절 방법 및 장치
JP6420493B2 (ja) 音量調整方法、装置および端末
KR101814161B1 (ko)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9087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running state of smart housing device
EP31190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ntelligent device
US10291713B2 (en) Smart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P31367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wakening electronic device
EP32495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live videos
EP3136230B1 (en) Method and client terminal for remote assistance
EP2991336B1 (en) Image capturing method and apparatus
EP299641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JP6134870B2 (ja) 説明情報の表示方法、説明情報の表示装置、電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16380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tting working mode of device
KR2017005586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02421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nnouncing voice call
JP2016522636A (ja) 撮影パラメータ設定方法、撮影パラメータ設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322227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8503271A (ja) ネットワーク状態情報ディスプレイ方法および装置
EP31190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a control program
US20170041377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7948876B (zh) 控制音箱设备的方法、装置及介质
CN112911066A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介质
CN112232899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180146496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6910472B (zh) 调整背光的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