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172A -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 Google Patents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172A
KR20180086172A KR1020180083770A KR20180083770A KR20180086172A KR 20180086172 A KR20180086172 A KR 20180086172A KR 1020180083770 A KR1020180083770 A KR 1020180083770A KR 20180083770 A KR20180083770 A KR 20180083770A KR 20180086172 A KR20180086172 A KR 2018008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oupled
water
inle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환종
Original Assignee
오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환종 filed Critical 오환종
Priority to KR102018008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172A/ko
Publication of KR2018008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료수 통에 넣어 차를 우리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오픈된 상자 형상으로 물이 든 통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형상의 몸체와, 일단이 상기 몸체의 타단 내부면에 결합되는 지지줄 및, 외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차가 삽입되는 구조체로 일단이 상기 지지줄의 타단에 결합되는 차거름망으로 구성되되, 물이 든 통 입구로 상기 차거름망이 삽입되면서 상기 입구가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 차거름망에 있는 차가 우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00ml~2리터의 생수병과 동일한 크기의 마개에 차거름망이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차를 우려서 마실 수 있다. 즉, 300ml~2리터의 생수병과 동일한 크기의 마개에 차거름망이 결합되어 있어 단순히 마개를 교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차를 우려서 손쉽게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A cap with a tea filter }
본 발명은 물이 담긴 통에 결합되는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살아가면서 물은 없어서는 안되는 물질이다. 이는 가정에서 정수기를 통해 물을 정수하여 먹을 수도 있지만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에서 손쉽게 구입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체로 유통판매되고 있는 생수는 보통 300ml~2리터 등의 페트병에 담겨져 출시되고 있으며, 소비자는 용도에 맞는 생수병을 구입한다.
상기 300ml~2리터의 생수병은 병의 입구 내외경 사이즈가 동일하게 제작되고, 이에 맞게 뚜껑(마개)이 나사체결 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생수 이외에 차 종류를 가공하여 시판되고 있는 제품도 별도로 판매되고 있지만, 자신이 선호하는 녹차, 홍차, 커피 등의 티백을 생수병, 전용 물병 내에 직접 집어넣고 내용물을 우려내어 마시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생수 및 티백 관련 선행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2009호(명칭: 음료용 병에 장착 가능한 여과용 티백, 등록일자: 2005년 11월 17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입구부가 협소한 음료용 병에 쉽게 투입되고 빠져나올 수 있도록 입구부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으로 밑면이 구성된 원뿔이나 원기둥 형태의 여과용 티백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음료용 병에 티백 투입이 용이하고, 티백 여과지부분의 하중에 의해 음료용 병 내부로 연결부 손잡이가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티백 제품의 특성상 연결끈이 매달린 형태로서 물에 담가진 상태에서는 쉽게 티백으로부터 연결끈의 결속부위가 취약하기 때문에 연결끈이 풀리거나 병 입구부로부터 강제적으로 뽑아 내는 경우 쉽게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우려낸 차(茶)를 모두 취하고 난 상태에서 병으로부터 티백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연결끈과 티백이 분리되어 티백을 꺼낼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향후 플라스틱 제품인 병을 분리수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티백을 병에 넣어 음용하는데 있어, 병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물에 잠긴 티백이 병의 입구부를 막아 원활하게 음료가 배출되지 못하는 사례가 있거나, 티백의 실 길이가 짧아 일정한 량의 물을 마신 경우 더 이상 차가 우려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20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거름망이 일률적으로 제작되는 생수 통에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생수를 구입하여 취향에 맞는 차를 우려서 마실 수 있는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음료수 통에 넣어 차를 우리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오픈된 상자 형상으로 물이 든 통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형상의 몸체와, 일단이 상기 몸체의 타단 내부면에 결합되는 지지줄 및, 외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차가 삽입되는 구조체로 일단이 상기 지지줄의 타단에 결합되는 차거름망으로 구성되되, 물이 든 통 입구로 상기 차거름망이 삽입되면서 상기 입구가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 차거름망에 있는 차가 우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를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300ml~2리터의 생수병과 동일한 크기의 마개에 차거름망이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차를 우려서 마실 수 있다. 즉, 300ml~2리터의 생수병과 동일한 크기의 마개에 차거름망이 결합되어 있어 단순히 마개를 교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차를 우려서 손쉽게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무게추가 설치된 차거름망이 실 같은 줄에 매달려 있어 생수병의 밑에서부터 차를 우릴 수 있어 물을 일정량 마셔도 계속해서 차를 진하게 우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섭취시에도 차거름망의 무게때문에 딸려나오지 않아 번거로움 없이 물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차거름망의 분리 상세도이다.
도3은 도1의 차거름망에 무게추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지지줄이 마개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마개가 물이 담긴 통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과 도7은 본원발명의 마개에 받침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차거름망의 분리 상세도이다.
도3은 도1의 차거름망에 무게추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도1의 지지줄이 마개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마개가 물이 담긴 통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6과 도7은 본원발명의 마개에 받침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료수 통에 넣어 차를 우리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오픈된 상자 형상으로 물이 든 통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형상의 몸체(100)와,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타단 내부면에 결합되는 지지줄(200) 및, 외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차가 삽입되는 구조체로 일단이 상기 지지줄(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차거름망(300)으로 구성되되, 물이 든 통(20) 입구로 상기 차거름망(300)이 삽입되면서 상기 입구가 상기 몸체(100)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 차거름망(300)에 있는 차(30)가 우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몸체(100), 지지줄(200) 및 차거름망(30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생수통의 마개에 차거름망(300)이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생수를 구입하여 원하는 차(30)를 우려서 마실 수 있는 차거름망(300)이 결합된 마개(10)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살아가면서 물은 없어서는 안되는 물질이다. 이는 가정에서 정수기를 통해 물을 정수하여 먹을 수도 있지만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에서 손쉽게 구입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체로 유통판매되고 있는 생수는 보통 300ml~2리터 등의 페트병에 담겨져 출시되고 있으며, 소비자는 용도에 맞는 생수병을 구입한다.
상기 300ml~2리터의 생수병은 병의 입구 내외경 사이즈가 동일하게 제작되고, 이에 맞게 뚜껑(마개)이 나사체결 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생수 이외에 차 종류를 가공하여 시판되고 있는 제품도 별도로 판매되고 있지만, 자신이 선호하는 녹차, 홍차, 커피 등의 티백을 생수병, 전용 물병 내에 직접 집어넣고 내용물을 우려내어 마시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생수 및 티백 관련 선행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2009호(명칭: 음료용 병에 장착 가능한 여과용 티백, 등록일자: 2005년 11월 17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입구부가 협소한 음료용 병에 쉽게 투입되고 빠져나올 수 있도록 입구부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으로 밑면이 구성된 원뿔이나 원기둥 형태의 여과용 티백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음료용 병에 티백 투입이 용이하고, 티백 여과지부분의 하중에 의해 음료용 병 내부로 연결부 손잡이가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티백 제품의 특성상 연결끈이 매달린 형태로서 물에 담가진 상태에서는 쉽게 티백으로부터 연결끈의 결속부위가 취약하기 때문에 연결끈이 풀리거나 병 입구부로부터 강제적으로 뽑아 내는 경우 쉽게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우려낸 차(茶)를 모두 취하고 난 상태에서 병으로부터 티백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연결끈과 티백이 분리되어 티백을 꺼낼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향후 플라스틱 제품인 병을 분리수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티백을 병에 넣어 음용하는데 있어, 병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물에 잠긴 티백이 병의 입구부를 막아 원활하게 음료가 배출되지 못하는 사례가 있거나, 티백의 실 길이가 짧아 일정한 량의 물을 마신 경우 더 이상 차가 우려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거름망이 일률적으로 제작되는 생수통에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생수를 구입하여 취향에 맞는 차를 우려서 마실 수 있는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300ml~2리터의 생수병과 동일한 크기의 마개에 차거름망이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차를 우려서 마실 수 있다. 즉, 300ml~2리터의 생수병과 동일한 크기의 마개에 차거름망이 결합되어 있어 단순히 마개를 교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차를 우려서 손쉽게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추가 설치된 차거름망이 실 같은 줄에 매달려 있어 생수병의 밑에서부터 차를 우릴 수 있어 물을 일정량 마셔도 계속해서 차를 진하게 우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섭취시에도 차거름망의 무게때문에 딸려나오지 않아 번거로움 없이 물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몸체(100)는 일단이 오픈된 상자 형상으로 물이 든 통(20)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형상의 부재이다. 몸체(100)는 물이 든 통(20)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형상으로 다양한 통(20)의 담긴 물을 차로 우릴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300ml~2리터의 생수병과 동일한 크기의 뚜껑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줄(200)은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타단 내부면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지지줄(200)은 뒤에서 설명하는 차거름망(300)이 상기 몸체(100)에 매달리도록 하는 부재이다. 지지줄(200)은 차거름망(300)이 몸체(100)에 매달리도록 하는 줄이면 다양한 줄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티백에서 사용되는 실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줄(200)은 300ml~2리터의 생수병 크기에 맞게 충분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차거름망(300)은 외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차(30)가 삽입되는 구조체로 일단이 상기 지지줄(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차거름망(300)은 내부에 차(30)가 삽입되어 있어 몸체가 물이 담긴 통(20)에 결합시 상기 통(20) 안으로 삽입되어 차(30)를 우릴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차거름망(300)은 상기 지지줄(200)에 매달려 차가 우려지는 동안 상기 통(20) 안에 있는 구성이다. 차거름망(300)은 지지줄(200)에 매달려 통(20) 안의 물을 차(30)로 우릴 수 있으면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례로 상부뚜껑(310), 거름망몸체(320) 및 하부뚜껑(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뚜껑(310)은 지지줄(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뚜껑 형상의 부재이다. 상부뚜껑(310)은 상면에 지지줄(200)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거름망몸체(320)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상부뚜껑(310)에 탈착되는 부재이다. 거름망몸체(320)는 내부에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차(30)를 선택하여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뚜껑(310)에 탈착될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차가 상기 거름망몸체(320) 내부의 공간에 삽입된 후 상기 상부뚜껑(310)을 닫고, 상기 차거름망(300)이 물이 든 통(20) 입구로 삽입되어 차가 우려지도록 할 수 있다. 하부뚜껑(330)은 상기 거름망몸체(320)의 타단에 결합되는 뚜껑 형상의 부재이다.
차거름망(3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하부뚜껑(330)에 설치되어 상기 차거름망(300)이 물에 뜨는 것을 방지하는 무게추(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게추(340)는 하부뚜껑(330)에 설치되어 차거름망(300)이 물이 담긴 통(20)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물을 계속 섭취하여도 차거름망(300)이 통(20)의 하부에 위치하여 계속하여 차(30)가 우려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게추(340)는 사용자가 물을 섭취시에도 차거름망(300)이 통(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물 흡입시 차거름망(300)으로 인한 방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차 흡입시 무게추(340)로 인해 차거름망(300)이 통(20) 입구로 오지 않아 사용자가 손쉽게 물을 흡입할 수 있다.
무게추(340)는 소요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 다양한 추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몸체(100), 지지줄(200) 및 차거름망(300)으로 구성된 마개(10)가 물이 든 통(20) 입구로 상기 차거름망(300)이 삽입되면서 상기 입구가 상기 몸체(100)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 통(20)에 담긴 물을 차로 우리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차거름망(300)이 일률적으로 제작되는 생수통에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생수를 구입하여 취향에 맞는 차(30)를 우려서 마실 수 있다. 즉, 300ml~2리터의 생수병과 동일한 크기의 마개에 차거름망(300)이 결합되어 있어 단순히 마개(10)를 교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차(30)를 우려서 손쉽게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추(340)가 있어 물을 일정량 마셔도 계속해서 차(30)를 진하게 우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섭취시에도 무게추(340)의 무게 때문에 딸려 나오지 않아 번거로움 없이 물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타단이 오픈된 상자 형상으로 타단이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받침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400)는 사용자가 마개(10)를 휴대하여 다닐 수 있도록 마개(10)의 몸체(100)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받침부(4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100)와의 결합시 차거름망(300)이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400)는 타단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100)의 일단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 할 수 있다.
받침부(4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마개 20 : 통
30 : 차
100 : 몸체
200 : 지지줄
300 : 차거름망
310 : 상부뚜껑 320 : 거름망몸체
330 : 하부뚜껑 340 : 무게추
400 : 받침부

Claims (2)

  1. 음료수 통에 넣어 차를 우리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오픈된 상자 형상으로 물이 든 통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형상의 몸체(100);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타단 내부면에 결합되는 지지줄(200);
    상기 지지줄(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상부뚜껑(310)과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상부뚜껑(310)에 탈착되는 거름망몸체(320), 및 상기 거름망몸체(320)의 타단에 결합되며, 차거름망(300)이 물에 뜨는 것을 방지하는 무게추(340)가 설치된 하부뚜껑(330)을 포함하는 차거름망(300);및
    타단이 오픈된 상자 형상으로 타단이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받침부(400);
    를 포함하며,
    차(30)가 상기 거름망몸체(320) 내부의 공간에 삽입된 후 상기 차거름망(300)이 물이 든 통(20) 입구로 삽입되면서 상기 입구가 상기 몸체(100)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 차거름망(300)에 있는 차(30)가 우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타단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체(100)의 일단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받침부(400)가 나사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KR1020180083770A 2018-07-19 2018-07-19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KR20180086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70A KR20180086172A (ko) 2018-07-19 2018-07-19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70A KR20180086172A (ko) 2018-07-19 2018-07-19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710A Division KR20180014448A (ko) 2016-08-01 2016-08-01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172A true KR20180086172A (ko) 2018-07-30

Family

ID=6304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770A KR20180086172A (ko) 2018-07-19 2018-07-19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1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009Y1 (ko) 2005-09-14 2005-11-23 김현곤 음료용 병에 장착 가능한 여과용 티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009Y1 (ko) 2005-09-14 2005-11-23 김현곤 음료용 병에 장착 가능한 여과용 티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88371U (zh) 瓶、便携式容器及用于储存和运输物质的设备
US11357238B2 (en) Method for brewing and chilling a beverage
US9988177B1 (en) Bottle with filter and infusion base
US10791858B2 (en) Multi-functional modular drink assembly
US4250990A (en) Infusion bag with crossbar suspension
US7051648B2 (en) Device for making beverage
US20150329255A1 (en) Jar Lid Including an Accessory
US11154156B2 (en) Portable solvent infuser assembly
US20130256307A1 (en) Loose tea brewing lid
KR200423234Y1 (ko) 휴대용 차(茶) 용기
US20160296058A1 (en) Travel tea keeper and infuser
KR200460121Y1 (ko) 거름망을 구비한 음료용기
KR20180014448A (ko)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KR20180086172A (ko) 차거름망이 결합된 마개
KR101780997B1 (ko) 텀블러
US20220250782A1 (en) Portabl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KR200419616Y1 (ko) 차(茶) 용기
KR200480782Y1 (ko) 생수병용 티백 홀더
US350544A (en) James mckenney
KR101484693B1 (ko) 음료 취수용 용기뚜껑
CN213248169U (zh) 一种便于清洗的拼装式塑胶水壶
KR100806757B1 (ko) 보조출구와 보조손잡이가 설치된 광구 용기
US20230234769A1 (en) Bottle having internal mixing compartment
KR100802646B1 (ko) 젖병용 분유여과장치
KR101577417B1 (ko) 휴대용 음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