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417B1 - 휴대용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417B1
KR101577417B1 KR1020140062610A KR20140062610A KR101577417B1 KR 101577417 B1 KR101577417 B1 KR 101577417B1 KR 1020140062610 A KR1020140062610 A KR 1020140062610A KR 20140062610 A KR20140062610 A KR 20140062610A KR 101577417 B1 KR101577417 B1 KR 101577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beverage
lid
portab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006A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전자
Priority to KR102014006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41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다른 종류의 음료를 따로 담아 저장 및 휴대·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료 용기로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각각의 뚜껑이 구비된 한 쌍의 음료용기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측 방향으로 각각 다른 음료를 음용할 수 있고, 이동이나 보관시 결합수단을 매개로 한 쌍의 음료용기가 각각 따로 사용되거나 결합수단이 펼쳐진 경우 한 쌍의 음료용기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나란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손잡이를 통해 한 쌍의 음료용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성이 매우 용이한 휴대용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음료를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음료 용기에 있어서, 일정량의 음료가 담기도록 상단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제1뚜껑이 구비된 제1측 음료용기와; 일정량의 음료가 담기도록 상단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제2뚜껑이 구비된 제2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를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음료 용기{PORTABLE DRINKING BOTTLE}
본 발명은 휴대용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다른 종류의 음료를 따로 담아 저장 및 휴대·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료 용기로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각각의 뚜껑이 구비된 한 쌍의 음료용기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측 방향으로 각각 다른 음료를 음용할 수 있고, 이동이나 보관시 결합수단을 매개로 한 쌍의 음료용기가 각각 따로 사용되거나 결합수단이 펼쳐진 경우 한 쌍의 음료용기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나란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손잡이를 통해 한 쌍의 음료용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성이 매우 용이한 휴대용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라 함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액체로서, 차·사이다, 콜라·과즙 등을 통칭한다.
이러한, 음료는 별도의 음료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생산, 유통·판매되는 바, 종래의 음료 용기는 몸체부내에 일정량의 음료를 담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나사방식에 의해 뚜껑이 결합되는 주입구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음료 용기는 주로,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PE, PT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료 용기는 몸체부가 단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하나의 용기에 한 종류의 음료만을 담아 저장하게 되며,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음료를 함께 담게 되면, 각각의 음료가 몸체부내에서 혼합되어 전혀 다른 맛의 혼합음료가 만들어지게 되므로, 각각의 음료가 갖는 본연의 맛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용기는 하나의 용기에 한 종류의 음료를 담아 저장하는 구조로서, 다종의 음료를 담아 저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각각에 맞는 용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다수의 용기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용기 구입에 따른 과다한 비용이 소모되는 등의 많은 폐단을 안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3031호(2012.09.19 공개) "휴대용 물병"에서는 제1물병과 제2물병의 내용물이 차단벽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두 개의 물병이 하나의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하나의 물병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동할 때 가방안에 구비되는 물병의 수를 줄여 가방의 무게를 줄이면서 동시에 다양한 음료수를 하나의 물병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물병"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물이나 음료수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10)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제1나선돌기(120)가 구비되는 제1결합부(13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물병(100);과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물이나 음료수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210)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제2나선돌기(220)가 구비되는 제2결합부(23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물병(200);과 일측에는 제1물병(100)의 제1결합부(130)에 구비되는 제1나선돌기(120)가 회전하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제1나선결합부(3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물병(200)의 제2결합부(230)에 구비되는 제2나선돌기(220)가 회전하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제2나선결합부(320)가 형성되며, 제1나선결합부(310)와 제1나선결합부(320) 사이에 차단벽(350)이 구비되는 손잡이부(300);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부(300)의 몸체 일측에 걸고리부(360)를 형성하고, 걸고리부(360)에 휴대용 줄(400)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물병"은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이 손잡이부(300)를 매개로 일체형으로만 결합 또는 사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물병이 나사풀림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나머지 하나의 물병을 상부로 수직하게 세운 상태로 파지한 후, 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반드시 아래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물병을 회전시켜야하므로 이러한 해체 작업이 매우 번거럽게 될 뿐만 아니라, 제1물병(100) 또는 제2물병(200)이 상기 손잡이부(300)로부터 해체된 상태에서 별도의 뚜껑이나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동중에 음용시 부주의로 인해 내용물이 쉽게 쏟아질 염려가 있는 것이며,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이 손잡이부(300)와 결합된 상태에서 탁자나 평평한 지면 등에 내려놓을 경우 쉽게 넘어질 염려 또한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물병(100) 또는 제2물병(200)이 상기 손잡이부(300)에 완전히 나사결합되지 못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 물병이 유동하며 소정 회전된 경우 음용을 위해 제1물병(100) 또는 제2물병(200)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제1나선결합부(310) 또는 제2나선결합부(320) 내부로 빠져나온 물이 흘러내릴 수 있는 등 누수 방지를 위한 밀폐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양방향으로 사용되는 물병으로써 구조적인 취약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각 다른 종류의 음료를 따로 담아 저장 및 휴대·보관하며 물 또는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각각의 뚜껑이 구비된 한 쌍의 음료용기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측 방향으로 각각 다른 음료를 음용할 수 있으며, 이동이나 보관시 결합수단을 매개로 한 쌍의 음료용기가 각각 따로 사용되거나 결합수단이 펼쳐진 경우 한 쌍의 음료용기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나란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한 휴대용 음료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손잡이를 통해 한 쌍의 음료용기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한 쌍의 음료 용기를 각각 사용 및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뚜껑이 바닥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탠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한 쌍의 음료 각각이 지면에 간편하게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사용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한 휴대용 음료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음료 용기 중 어느 하나의 음료 용기가 스테인레스 재질의 보온병으로 이루어져 물 또는 음료를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음료를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음료 용기에 있어서, 일정량의 음료가 담기도록 상단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제1뚜껑이 구비된 제1측 음료용기와; 일정량의 음료가 담기도록 상단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제2뚜껑이 구비된 제2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를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측 음료용기의 바닥면으로 돌출되는 제1암나사산이 구비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측 음료용기의 바닥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암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제1숫나사산이 구비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암나사산의 외측 방향으로 제2숫나사산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숫나사산의 외측 방향으로 단을 이루며 돌출된 제3숫나사산이 더 구비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의 바닥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숫나사산 및 상기 제2숫나사산 각각이 나사체결되는 한 쌍의 제2암나사산이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는, 각각의 일단부에 움푹한 끼움공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길이방향의 양측에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 각각의 상기 끼움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끼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를 상호간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2암나사산이 하나씩 구비된 제1측부 및 제2측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측부 및 상기 제2측부는, 상호 접철 가능하게 회전되도록 일측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측부 및 상기 제2측부가 상호 접힌 상태에서 서로 걸림 지지되게 하는 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상기 제1뚜껑 및 상기 제2뚜껑은 상기 주입구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부는 외주면을 따라 제3숫나사산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뚜껑 또는 상기 제2뚜껑이 상기 제2숫나사산 또는 제3숫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상기 제1측 음료용기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음료용기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보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가 서로 나란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도록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 서로를 감싸는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움되는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는 외주면을 따라 일주하는 각각의 손잡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손잡이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단면을 이루고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 양측의 상기 손잡이홈에 탄성 끼움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일측으로 수직하게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각각 다른 종류의 음료를 따로 담아 저장 및 휴대·보관하며 물 또는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고, 이동이나 보관시 결합수단을 매개로 한 쌍의 음료용기가 각각 따로 사용되거나 결합수단이 펼쳐진 경우 한 쌍의 음료용기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나란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는 별도의 손잡이를 통해 한 쌍의 음료용기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한 쌍의 음료 용기를 각각 사용 및 휴대할 수 있으며, 각각의 뚜껑이 바닥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탠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한 쌍의 음료 각각이 지면에 간편하게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사용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함은 물론, 한 쌍의 음료 용기 중 어느 하나의 음료 용기가 스테인레스 재질의 보온병으로 이루어져 물 또는 음료를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가 결합수단을 통해 일자로 연결된 상태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가 결합수단을 통해 바닥에 세워진 상태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에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의 손잡이부 및 뚜껑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1)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가 결합수단을 통해 일자로 연결된 상태의 사용상태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가 결합수단을 통해 바닥에 세워진 상태의 사용상태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에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1)는, 제1측 음료용기(10), 제2측 음료용기(20),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는 일정량의 음료가 담기도록 상단부에 주입구(10a,20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10a,20a)를 개폐하는 각각의 제1뚜껑(11) 및 제2뚜껑(21)이 구비되어 내부에 물 또는 음료와 같은 내용물이 담기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각 다른 종류의 음료를 따로 담아 저장 및 휴대·보관하며 물 또는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1)는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결합수단(30)은 한 쌍의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각각의 주입구(10a,20a)가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수직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해 일체로 사용되도록 하거나 각각 따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결합수단(30)은 제1 결합부(31), 제2 결합부(32), 연결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3)는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각각의 바닥 부분을 따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 결합부(31)는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의 바닥면으로 돌출되는 제1암나사산(31a)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암나사산(31a)의 외측으로 외주면을 따라 제2숫나사산(31b)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32)는 상기 제1 결합부(31)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의 바닥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암나사산(31a)과 나사 체결되는 제1숫나사산(32a)이 구비되고, 상기 제1숫나사산(32a)과 단을 이루면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3숫나사산(32b)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3)는 상기 제1 결합부(31)의 제2숫나사산(31b)과 상기 제2 결합부(32)의 제3숫나사산(32b)과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부(331) 및 제2측부(3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연결부재(33)는 상방에서 상기 제2숫나사산(31b)이 나사체결되고, 하방에서 상기 제3숫나사산(32b)이 나사체결되는 한 쌍의 제2암나사산(331a,332a)이 상하 양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측부(331) 및 상기 제2측부(332)에 상기 한 쌍의 제2암나사산(331a,332a)이 하나씩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는 상기 연결부재(33)를 매개로 양측에서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를 동시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에 담긴 물 또는 음료를 선택적으로 음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3)는 상기 제1측부(331) 및 상기 제2측부(332)가 상호 접철 가능하게 회전되도록 일측이 힌지(333)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측부(331) 및 상기 제2측부(332)가 상호 접힌 상태에서 서로 걸림 지지되게 하는 고리부(334)가 구비된다.
상기 고리부(334)는 상기 힌지(333)를 통해 상호 회전되는 상기 제1측부(331) 및 상기 제2측부(332) 각각의 일측에서 서로 끼움되는 고리(334a)와 걸림홈(334b)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수직한 상태로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측부(331) 및 상기 제2측부(332)를 상호 접힌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 휴대용 음료 용기(1)는 공원 등 야외에서 휴식을 취하는중에 상기 연결부재(33)의 고리부(334)를 해체시키고 펼친 경우,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지면 또는 탁자 등의 평탄면에 서로 나란하게 세워진 상태로 놓여질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에 각각 담긴 다른 음료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고, 주변으로의 이동시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중 어느 하나의 음료용기를 빼낸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3)의 상기 제1측부(331) 및 상기 제2측부(332)가 상호 접힌 상태로 상기 고리부(334)에 의해 고정된 경우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는 각각의 주입구(10a,20a)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으므로 손안에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며, 레저용 자전거에 별도로 장착될 수 있는 물통케이지 등에 적합한 사이즈로 제작된 경우 레저용 음료 용기로도 적용되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1)는 상기와 같이 휴대할 수 있는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음료용기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보온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또는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보온병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유아를 둔 부모들이 본 발명 휴대용 음료 용기(10)를 베낭 등에 간편히 휴대함으로써 분유를 제조하기 위한 온수와 유아가 음용할 수 있는 보리차, 우유 등의 각각 다른 음료와 물을 동시에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물통 구입과 휴대의 번거러움에 따른 문제가 해소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와 더불어 야외에서의 휴대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온병으로 구성된 경우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안쪽 몸체에만 물 또는 음료가 접촉되게 함으로써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물질이 음식물을 오염시킬 우려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1)는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서로 나란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도록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서로를 감싸는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움되는 손잡이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는 외주면을 따라 일주하는 각각의 손잡이홈(10b,20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홈(10b,20b)은 평상시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의 표면에 띠 형태의 홈을 이루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파지가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재(40)는 걸이부(41)와 손잡이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이부(41)는 상기 손잡이홈(10b,20b)에 대응하는 형상의 단면을 이루고,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양측의 상기 손잡이홈(10b,20b)에 탄성 끼움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걸이부(41)의 일측으로 모서리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태의 손잡이부(42)가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서로가 지지된 상태에서 일체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재(40)를 통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서로 나란하게 세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한 쌍의 음료용기를 일체로 휴대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음료를 선택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는, 각각의 음료용기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제1뚜껑(11) 및 상기 제2뚜껑(21)의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뚜껑(11) 및 상기 제2뚜껑(2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10a,10b)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데, 사용자가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또는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중 어느 하나의 음료용기를 휴대하는 중에 물 또는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상기 제1뚜껑(11) 또는 상기 제2뚜껑(21)을 개방시킨 경우 그 뚜껑을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각각의 바닥에 구비된 상기 제2숫나사산(31b)과 상기 제3숫나사산(32b)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의 바닥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뚜껑(11) 및 상기 제2뚜껑(21)은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평평한 지면이나 탁자 등에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뚜껑(11) 및 상기 제2뚜껑(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은 상기 제2숫나사산(31b)과 상기 제3숫나사산(32b)에 대응하는 크기의 암나사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1')를 보다 상세게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의 손잡이부 및 뚜껑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상기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음료용기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보온병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음료용기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제1뚜껑(11) 및 상기 제2뚜껑(21)의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뚜껑(11) 또는 상기 제2뚜껑(21)을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또는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각각의 바닥에 구비된 상기 제2숫나사산(31b)과 상기 제3숫나사산(32b)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뚜껑(11) 및 상기 제2뚜껑(22)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1')는 제1측 음료용기(10) 또는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또는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의 바닥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뚜껑(11) 또는 상기 제2뚜껑(21)과 지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미끄럼방지부(21')는 요철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고무 또는 우레탄과 같은 마찰력이 강한 재질의 부재가 상기 제1뚜껑(11) 및 상기 제2뚜껑(21)의 상면에 부착 또는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1')는, 결합수단(30)이 상기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결합수단(30)과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는 각각의 일단부에 구 형상의 움푹한 끼움공(20c)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와 고정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3')는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 각각의 상기 끼움공(20c)에 끼움되기 위한 한 쌍의 끼움돌기(33a')가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를 상호간에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끼움공(20c)은 상기 결합수단(30')의 상기 제1 결합부(31) 및 제2 결합부(32)를 통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완전하게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 용기(1')는 상기의 일실시예서와 같은 연결부재(33)의 구성없이도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 결합부(31)에 구비된 상기 제1암나사산(31a)과 상기 제2 결합부(32)의 제1숫나사산(32a)이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고정부재(33')를 통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서로 견고하게 지지되어 각각 다른 음료가 담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를 동시에 휴대할 수 있고, 하나의 음료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상기 휴대용 음료 용기(1')는 상기 제1뚜껑(11) 및 상기 제2뚜껑(22)을 통해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가 상호 나란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를 동시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재(40)가 상기의 일실시예서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휴대용 음료 용기(1,1')는 상기 제1측 음료용기(10)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20)를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동시에 한 쌍의 음료용기를 들어올리며 각각 다른 음료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해지게 되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휴대용 음료 용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 휴대용 음료 용기 10 제1측 음료용기
10a,20a 주입구 11 제1뚜껑
20 제2측 음료용기 21 제2뚜껑
30,30' 결합수단 31 제1 결합부
31a 제1암나사산 31b 제2숫나사산
32 제2 결합부 32a 제1숫나사산
32b 제3숫나사산 33 연결부재
331 제1측부 332 제2측부
333 힌지 334 고리부
33' 고정부재 40 손잡이부재

Claims (8)

  1. 음료를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음료 용기에 있어서,
    일정량의 음료가 담기도록 상단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제1뚜껑이 구비된 제1측 음료용기와; 일정량의 음료가 담기도록 상단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제2뚜껑이 구비된 제2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를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의 바닥면이 상부와 하부로 각각 연결되는 제1측부 및 제2측부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측부 및 상기 제2측부가 상호 접철 가능하게 회전되도록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측부 및 상기 제2측부가 상호 접힌 상태에서 서로 걸림 지지되게 하는 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측 음료용기의 바닥면으로 돌출되는 제1암나사산이 구비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측 음료용기의 바닥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암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제1숫나사산이 구비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암나사산의 외측 방향으로 제2숫나사산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숫나사산의 외측 방향으로 단을 이루며 돌출된 제3숫나사산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숫나사산 및 상기 제3숫나사산 각각이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제1측부 및 상기 제2측부에 각각의 제2암나사산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는, 각각의 일단부에 움푹한 끼움공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길이방향의 양측에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 각각의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한 쌍의 끼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를 상호간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 및 상기 제2뚜껑은 상기 주입구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부는 외주면을 따라 제3숫나사산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뚜껑 또는 상기 제2뚜껑이 상기 제2숫나사산 또는 제3숫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음료용기 및 상기 제2측 음료용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음료용기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보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가 서로 나란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도록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 서로를 감싸는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움되는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는 외주면을 따라 일주하는 각각의 손잡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손잡이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단면을 이루고 상기 제1측 음료용기와 상기 제2측 음료용기 양측의 상기 손잡이홈에 탄성 끼움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일측으로 수직하게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KR1020140062610A 2014-05-23 2014-05-23 휴대용 음료 용기 KR10157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610A KR101577417B1 (ko) 2014-05-23 2014-05-23 휴대용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610A KR101577417B1 (ko) 2014-05-23 2014-05-23 휴대용 음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006A KR20150135006A (ko) 2015-12-02
KR101577417B1 true KR101577417B1 (ko) 2015-12-15

Family

ID=5488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610A KR101577417B1 (ko) 2014-05-23 2014-05-23 휴대용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4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28Y1 (ko) * 2002-08-27 2002-11-13 김도승 용기
JP2004141590A (ja) * 2002-10-23 2004-05-20 Kazuyoshi Ryu 携帯型の保温、保冷兼用ポット
KR100496630B1 (ko) 2002-07-09 2005-06-22 김경한 음료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630B1 (ko) 2002-07-09 2005-06-22 김경한 음료 용기
KR200294628Y1 (ko) * 2002-08-27 2002-11-13 김도승 용기
JP2004141590A (ja) * 2002-10-23 2004-05-20 Kazuyoshi Ryu 携帯型の保温、保冷兼用ポ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006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1858B2 (en) Multi-functional modular drink assembly
US6672817B2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container
US20100102086A1 (en) Dispenser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pourable solid product
KR20150074521A (ko) 뚜껑이 일체로 구비된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US20090092711A1 (en) Instant Beverage Product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US20100314399A1 (en) Twist tumbler
KR20090005514U (ko) 휴대용 차 용기
KR101577417B1 (ko) 휴대용 음료 용기
KR101919108B1 (ko) 차 추출용 텀블러
KR101546530B1 (ko) 캡 용기
KR20150045100A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101540622B1 (ko)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KR101628344B1 (ko) 용기 캡
KR200419616Y1 (ko) 차(茶) 용기
JP7133869B2 (ja) ポーションパック及び固定キャップを含む携帯用飲料容器
KR200432667Y1 (ko) 희석식 음료용기
KR200486266Y1 (ko) 컵과 결합 가능한 리드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200455718Y1 (ko) 리필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
KR101956915B1 (ko) 다용도 페트병
KR20100006436U (ko) 액체 저장 용기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