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039A - Window screen to shut out fine dust - Google Patents

Window screen to shut out fin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039A
KR20180086039A KR1020170009917A KR20170009917A KR20180086039A KR 20180086039 A KR20180086039 A KR 20180086039A KR 1020170009917 A KR1020170009917 A KR 1020170009917A KR 20170009917 A KR20170009917 A KR 20170009917A KR 20180086039 A KR20180086039 A KR 20180086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fine dust
disposed
sp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70009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039A/en
Publication of KR2018008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0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indow screen capable of preventing fine dust with a size of PM2.5 or l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screen capable of preventing fine dust comprises: a blocking member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predetermined area to block passage of fine dust as well as a bug or a harmful insect; a cover plate spaced apart from the blocking member at an interval to form a stay space for al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member to be stayed; and a support frame to support edge sides of the blocking member and the cover plate. The support frame includes at least one inlet and outlet formed to receive the air of the stay space and discharge the received air to the outside of the cover plate.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Window screen to shut out fine dust}{Window screen to shut out fine dust}

본 발명은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충과 더불어 미세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ct control 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ect control net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which can prevent fine dust from entering the room together with insects.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파리나 모기, 나방과 같은 벌레나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이나 출입문 등에 설치하는 그물을 말한다.In general, the screening net is a net installed on a window or a door to prevent insects such as flies, mosquitoes and moths from entering the room.

이러한 방충망은 나일론과 같은 합성수지, 그라스 화이바(유리섬유),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제조된다.Such insect screens ar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such as nylon, glass fiber (glass fiber), metal and the like.

통상적인 방충망은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와이어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일정 크기의 격자가 형성된 메쉬망으로 형성되며, 메쉬망에 형성된 통공은 벌레나 해충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A typical insect screening network is formed by a mesh network in which wir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a grid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mesh network have such a size that insects or insects do not pass through.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충망은 통공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황사 먼지나 꽃가루, 미세 먼지 등을 차단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다.However, the insect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unsuitable for blocking yellow dust, pollen, fine dust, etc.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황사 먼지와 같은 미세 오염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환경방충망이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cently, an environmental screening network capable of blocking fine pollutants such as dust dust has been proposed.

일례로, 금속망체, 글래스 망체 또는 직물망체에 광촉매 및 발수제가 코팅 또는 함침된 형태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경방충망은 해충의 침입차단에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여전히 PM2.5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For example, there is a form in which a photocatalyst and a water repellent agent are coated or impregnated in a metal netting, a glass netting or a cloth netting. However, such an environmental screening net can exert an effect to block the penetration of insects, but there is still a limit to removing ultrafine dusts of PM2.5 or less.

KRKR 10-2016-011962810-2016-0119628 A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벌레나 해충은 물론 미세먼지, 더 나아가 PM2.5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ect screen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s that can block fine dusts as well as insects and pests, and ultrafine dusts of PM2.5 or l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벌레나 해충은 물론 미세먼지의 통과를 차단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체류하는 체류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재와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커버판; 및 중앙에 관통부를 구비하여,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는 상기 차단부재와 커버판의 테두리측을 지지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차단부재를 통해 여과되어 상기 체류공간에 위치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blocking member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block insects, insects and fine dust from passing therethrough; A cover plate spaced apart from the blocking member such that a retention space in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member stays can be formed; And a supporting frame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at the center and supporting the side of the cover plate and the cover plate disposed on the penetrating portion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 inlet for filtering the air in the retention space and entering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indoor space.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벌레나 해충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제1차단부재와, 상기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차단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차단부재는 메쉬망일 수 있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미세 기공을 갖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형성된 나노섬유웹일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block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o block the inflow of the insect or insect,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attach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member to block the fine dust, . For example, the first blocking member may be a mesh network, and the second blocking member may be a nanofiber web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having fine pores.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 실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서로 대향배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류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는 스페이서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1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frame may include a first frame disposed on the indoor side; A second frame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frame; A spac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to form the retention space, the inlet being disposed in a spacer, and the outlet being disposed in the first frame.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관통부를 연결하는 내측 스페이서; 및 상기 내측 스페이서와 일정 거리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외측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상기 내측 스페이서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spacer includes: an inner spacer connecting the penetrat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an outer spac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pacer by a distance and connecting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the inlet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수용공간 측에는 외기가 상기 체류공간 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는 배치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wing fan may be disposed on the accommodation space side to provide a suction force so that the outside air can smoothly flow into the staying space side. At this time, the second frame may have through-holes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which the blowing fan can be disposed.

또한, 상기 송풍팬은 모터를 통해 구동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blowing fan may be driven through a motor, and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driving of the motor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커버판은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late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translucency.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부재가 메쉬망과 나노섬유웹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벌레나 해충은 물론 PM2.5 이하의 초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청청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member is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a mesh net and a nanofiber web, and can block the inflow of ultrafine dust less than PM2.5 as well as insects and pests, thereby keeping indoor air liquefi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의 전,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분리도,
도 3은 도 1에서 A-A 방향 절개도,
도 4는 도 1에서 외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의 전,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분리도,
도 7은 도 5에서 B-B 방향 절개도, 그리고,
도 8은 도 5에서 외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and rear view of an insect screen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cut-away view in the AA direction in Fig. 1,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low direction of ambient air in FIG. 1,
5 is a front and rear view of an insect screen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BB direction in Fig. 5,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 direction of outside air in FIG. 5;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ing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or clar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dd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100,20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10), 커버판(120) 및 지지프레임(130,230)을 포함한다.1 and 5, the insect protection net 100, 200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ing member 110, a cover plate 120, and support frames 130 and 230.

상기 차단부재(110)는 벌레나 해충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부재(11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30,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10)는 제1차단부재(111) 및 제2차단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차단부재(112)가 상기 제1차단부재(111)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110 prevents insects and insects from passing therethrough and also block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from passing therethrough. To this end, the blocking member 110 may be provided in a plate-lik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b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s 130 and 230. The blocking member 110 may include a first blocking member 111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112. The second blocking member 112 may be attach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member 111, Lt; / RTI >

일례로, 상기 제1차단부재(111)는 벌레나 해충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지의 메쉬망일 수 있고, 상기 제2차단부재(112)는 나노섬유웹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locking member 111 may be a known mesh network to prevent insects or insects from passing therethrough, and the second blocking member 112 may be a nanofiber web.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단부재(110)는 벌레나 해충을 차단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메쉬망 형태의 제1차단부재(111)와 더불어 미세 기공을 갖는 나노섬유웹의 형태로 제공되는 제2차단부재(112)가 상기 제1차단부재(111)에 적층 또는 합지됨으로써 종래의 방충망과는 달리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100,200)은 상기 제2차단부재(112)가 미세 기공을 갖는 나노섬유웹으로 형성되더라도 메쉬망 형태의 제1차단부재(111)에 부착되어 형태가 유지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130,230)과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locking member 1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blocking member 111 in the form of a mesh net, which is typically used to block insects or pests,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111 in the form of a nanofiber web having micropores 2 blocking member 112 is laminated or joined to the first blocking member 111,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unlike the conventional insect screening net. In addition, the screening net 100 or 200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attaching to a mesh-type first blocking member 111 even if the second blocking member 112 is formed of a nanofiber web having micropores, The coupling with the support frames 130 and 230 can be enhanc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111)는 복수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복수 개의 통공(111a)이 형성된 격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차단부재(111)의 형태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차단부재(111)의 소재 및 구조는 공지의 방충망에 사용되는 메쉬망의 소재 및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locking member 111 may have a lattic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a. 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blocking member 111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first blocking member 111 can be applied to both the material and the structure of the mesh net used in the known screening net I will reveal.

또한, 상기 제2차단부재(112)는 나노섬유(112a)가 미세 기공(112b)을 갖도록 3차원 네크워크 구조로 형성된 나노섬유웹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과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을 향상시키는 에멀젼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나노섬유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방사를 통해 미세 기공을 갖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섬유웹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모든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The second blocking member 112 may be a nanofiber web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such that the nanofibers 112a have fine pores 112b. In one example, the nanofiber may include a fiber forming component comprising polyacrylonitrile (PAN)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an emulsifying agent to improve the miscibility of the fiber forming componen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anofiber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ll material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s long as they can form a nanofiber web layer having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having fine pores through radiation.

이때, 상기 나노섬유웹은 미세 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미세 기공(112b)이 상기 통공(111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나노섬유웹의 미세 기공은 평균 공경이 10㎛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미세 기공의 평균 공경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PM2.5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기공 사이즈가 2.5㎛이하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나노섬유웹에 형성되는 미세 기공의 사이즈는 차단이 필요한 미세먼지의 사이즈에 맞게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nanofiber web may be formed such that the micropores 112b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through holes 111a so as to block fine dust. For example, the micropores of the nanofiber web may have an average pore size of 10 microns. However, the average pore diameter of the fine pore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re size may be 2.5 占 퐉 or less so as to block ultrafine dusts of PM2.5 or less. In addition, it is noted that the size of the fine pores formed in the nanofiber web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ne dust that needs to be intercept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차단부재(112)는 단층의 나노섬유웹은 단층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나노섬유웹이 적층된 형태일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2차단부재(112)는 지지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웹이 부착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체 역시 단층의 지지체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지지체가 합지된 형태일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locking member 112 may be a single-layered nanofiber web or a laminated plurality of nanofiber webs. In addition, the second blocking member 11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nanofiber web is atta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support, and the support may be a monolayer support or a plurality of supports.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나노섬유웹을 통과한 외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의 기재일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써, 상기 지지체는 공지의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ay be a porous substrate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nanofiber web can pass therethrough.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support may be any one of known fabrics, knitted fabrics, and nonwoven fabrics.

상기 커버판(120)은 상기 차단부재(110)를 통과한 공기가 곧바로 실내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100,200)이 창문틀이나 문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커버판(120)이 상기 차단부재(110)의 일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차단부재(110)를 통과한 외기가 곧바로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판(12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재(110)의 일측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plate 120 may serve as a blocking plate for prevent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member 110 from directly moving to the indoor space. That is, when the screen inspecting net 100 or 200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indow frame or a door frame, the cover plate 1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locking member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room from being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For this purpose, the cover plate 120 may be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blocking member 110.

이때, 상기 커버판(120)은 상기 차단부재(110)를 통과한 외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면서도 햇빛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판(120)은 공지의 유리판이나 아크릴 판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커버판(120)은 투명, 불투명 및 반투명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plate 12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sunligh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while blocking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member 110 from entering the room. For example, the cover plate 120 may be a known glass plate or an acrylic plate. In addition, the cover plate 120 may be either transparent, opaque or translucent.

한편, 상기 커버판(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110)와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됨으로써 서로 대면하는 커버판(120) 및 차단부재(110) 사이에 소정의 부피를 갖는 체류공간(1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110)를 통해 미세먼지가 걸리진 외기는 상기 커버판(120)을 통해 실내 측으로 곧바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체류공간(136)에 체류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지지프레임(130,230)에 형성된 유입구(134) 및 유출구(135)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3, the cover plate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blocking member 1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plate 120 and has a predetermined volume between the cover plate 120 and the blocking member 110, A retention space 136 may be formed. Accordingly, the outside air, which is dusted with fine dust through the blocking member 110, can stay in the staying space 136 in a state where the air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cover plate 120,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an inlet (134) and an outlet (135) formed in the support frames (130, 230).

상기 지지프레임(130,230)은 상기 차단부재(110) 및 커버판(120)의 테두리측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부재(110) 및 커버판(120)의 테두리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커버판(120)이 차단부재(110)와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support frames 130 and 230 are disposed on the edge sides of the blocking member 110 and the cover plate 120 to support the edge sides of the blocking member 110 and the cover plate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locking member 110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130,230)은 프레임 구조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131) 및 제2프레임(132,2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프레임(131) 및 제2프레임(132,232)의 대향면 상에 스페이서(133)가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s 130 and 230 may include a pair of first frames 131 and second frames 132 and 232 provided as a frame structure and the first frame 131 and the second frames 132 and 232 The spacers 133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spacer 133.

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커버판(120) 및 차단부재(110) 사이의 공간은 상기 스페이서(133)와 협력하여 소정의 부피를 갖는 상기 체류공간(136)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재(110)를 통과한 외기는 상기 커버판(120)을 통해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체류공간(136)에 체류될 수 있다.The space between the cover plate 120 and the blocking member 110 facing each other can constitute the retention space 136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n cooperation with the spacer 133, 110 may be restrained from moving through the cover plate 120 and may be retained in the stay space 136. [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프레임(131), 제2프레임(132,232), 내측 스페이서(133a) 및 외측 스페이서(133b)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내측 스페이서(133a) 및 외측 스페이서(133b)는 상기 제1프레임(131) 및 제2프레임(132,232)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프레임(131) 및 제2프레임(132,232)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131, the second frame 132, 232, the inner spacer 133a, and the outer spacer 133b may be a single member or a plurality of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inner spacer 133a and the outer spacer 133b may be formed as separate members from the first frame 131 and the second frames 132 and 232. The first frame 131 and the second frame 132,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ny one of the protrusions 132 and 232.

그러나 상기 지지프레임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단부재(110)의 형상에 따라 원형, 호형, 다각형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재(110)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가 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둔다.However, the shape of the support fram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arcuate, and polygonal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locking member 110, It is clear that any form of wrapping is acceptable.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30,230)은 상기 차단부재(110) 및 커버판(120)을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체류공간(136)에 존재하는 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s 130 and 230 serve to support the blocking member 110 and the cover plate 120, and serve as a movement path for discharging the air existing in the stay space 136 to the indoor side. hav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100,200)은 상기 커버판(120)을 통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창문의 역할과 함께 상기 차단부재(110)를 통해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 상기 체류공간(136)에 존재하는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creen inspections 100 and 200 capable of blocking the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 as a window for blocking the outside air from entering the room through the cover plate 120, Clean air existing in the stay space 136 may be introduced into the room.

이를 위해, 상기 스페이서(133)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내측 스페이서(133a) 및 외측 스페이서(133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측 스페이서(133a)가 외측 스페이서(133b)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스페이서(133a)의 외측에 외측 스페이서(133b)가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내측 스페이서(133a) 및 외측 스페이서(133b)는 서로 마주하는 제1프레임(131) 및 제2프레임(132,232)의 대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For this, the spacers 133 may include an inner spacer 133a and an outer spacer 133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inner spacer 133a may have a relatively smaller size than the outer spacer 133b And an outer spacer 133b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spacer 133a. In addition, the inner spacer 133a and the outer spacer 133b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frame 131 and the second frame 132, 232 facing each other.

이에 따라, 상기 내측 스페이서(133a) 및 외측 스페이서(133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제1프레임(131) 및 제2프레임(132,232)과 협력하여 소정의 부피를 갖는 수용공간(137)을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spacer 133a and the outer spacer 133b forms a receiving space 137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frame 131 and the second frames 132 and 232 can do.

또한, 상기 내측 스페이서(133a) 측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134)가 관통형성됨으로써 상기 체류공간(136) 및 수용공간(137)이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137)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135)가 상기 제1프레임(131)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inlet 134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in the inner spacer 133a so as to allow the retention space 136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37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outlet 135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rame 131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frame 131.

이로 인해, 상기 차단부재(110)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제거된 외기는 상기 체류공간(136) 측으로 이동한 후 유입구(134), 수용공간(137) 및 유출구(135)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The ambient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blocking member 110 and having fine dust removed moves toward the retention space 136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inflow opening 134, the accommodation space 137, and the outflow opening 135, (See Figs. 3 and 4).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100,200)이 창문틀에 설치되는 경우 미세먼지가 제거된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음으로써 자연 대류 방식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insect control net 100 or 200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clean air from which fine dust is removed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Can be replaced with clean air.

본 발명에서 상기 유출구(135)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하나의 개구부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분산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슬릿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135 may be formed as a single opening having a predetermined area. However, as shown in FIGS. 1 and 5, a plurality of slits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200)은 강제대류 방식을 통해 상기 체류공간(136)에 존재하는 공기가 실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insect-control net 200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existing in the stay space 136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door side through the forced convection mode.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20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40)을 이용한 강제대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to 8, the screening net 200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orced convection mode using a blowing fan 140.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공간(137)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140)이 배치되어 흡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실외에 존재하는 외기가 상기 차단부재(110)를 통과하여 상기 체류공간(136)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At least one blowing fan 140 is disposed on the accommodation space 137 side to provide a suction force so that outside air present in the outdoors flows smoothly toward the staying space 136 through the blocking member 110 .

여기서, 상기 송풍팬(140)은 모터(142)의 구동을 통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142)의 전원공급은 케이블을 통해 외부전원이 직접 공급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프레임(130,230)의 일측에 내장되는 별도의 배터리(미도시)를 통해 공급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프레임(130,230)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146)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모터(142)의 구동이 온/오프될 수 있다.Here, the blowing fan 140 may be rotated by driving the motor 142, and the external power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motor 142 through a cable, Or may be supplied through a separate battery (not shown) built in one side. In addition, a switch 14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14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s 130 and 230 so that the driving of the motor 142 can be turned on / off through the user's operation.

일례로, 상기 송풍팬(140) 및 모터(142)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137)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232) 측에는 상기 송풍팬(140) 및 모터(142)를 수용공간(137) 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는 배치공(138)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프레임(232)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케이스(144)를 통해 외부 노출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기 송풍팬(140) 및 모터(142)가 수용공간(137)에 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lowing fan 140 and the motor 142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7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a placement hole 138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hrough which the blowing fan 140 and the motor 142 can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37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frame 232, The external air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hrough a separate case 144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232 and the air blowing fan 140 and the motor 142 ar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37 Can be maintain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위치(146)를 조작하여 모터(142)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송풍팬(140)은 모터(142)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송풍팬(140)을 통해 생성된 흡입력은 상기 수용공간(137)과 연통된 유입구(134)를 통해 체류공간(136) 측으로 제공되고 상기 차단부재(110) 주위의 외기가 흡입력에 의해 차단부재(110)를 통과하여 미세먼지가 제거되면서 상기 체류공간(136)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체류공간(136)으로 유입된 외기는 유입구(134), 수용공간(137) 및 유출구(13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실내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According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146 to drive the motor 142, the blowing fan 14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motor 142, so that a suction force can be generated. The suction force generated through the blowing fan 140 is supplied to the retention space 136 through the inlet 134 communicated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137 and the ambient air around the blocking member 110 is supplied to the suction force The fine dust may be removed through the blocking member 110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tention space 136 side.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stay space 136 may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oom sequentially through the inlet 134, the accommodation space 137 and the outlet 135 (see FIGS. 7 and 8).

한편, 상기 송풍팬(140) 및 모터(142)가 배치공(138) 및 케이스(144)를 통해 지지프레임(230)과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송풍팬(140) 및 지지프레임(230)의 결합구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설계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송풍팬(140)이 상기 수용공간(137) 측에 배치되어 구동시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라면 무방함을 밝혀둔다.Although the blowing fan 140 and the motor 142 are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30 via the arrangement hole 138 and the case 144, the combination of the blowing fan 140 and the support frame 230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known methods can be applied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structur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lowing fan 14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7 to provide a suction force upon driving.

더불어, 강제 대류 방식으로 모터(142)의 구동을 통해 회전하는 송풍팬(140)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공기흡입기(미도시)를 이용한 석션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although the blowing fan 140 that rotates through the driving of the motor 142 in the forced convection mode is exemplifi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uction system using a known air inhaler (not shown) may be applied.

상술한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100,200)은 문틀이나 창문틀에 설치되어 종래의 창문이나 문을 대체할 수 있으며, 상기 문틀이나 창문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게 문틀이나 창문틀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screen guard 100 or 200 capable of blocking the fine dust may be installed in a door frame or a window frame to replace a conventional window or a door, and may be slidably installed on the door frame or window frame. Accordingly, when the screen inspect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quired to be replaced, the user can directly replace the screen frame or the window frame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200 :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110 : 차단부재 111 : 제1차단부재
111a : 통공 112 : 제2차단부재
112a : 나노섬유 112b : 미세 기공
120 : 커버판 130,230 : 지지프레임
131 : 제1프레임 132,232 : 제2프레임
133 : 스페이서 133a : 내측 스페이서
133b : 외측 스페이서 134 : 유입구
135 : 유출구 136 : 체류공간
137 : 수용공간 138 : 배치공
140 : 송풍팬 142 : 모터
144 : 케이스 146 : 스위치
100,200: insect screen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110: blocking member 111: first blocking member
111a: through hole 112: second blocking member
112a: nanofiber 112b: fine pores
120: cover plate 130, 230: support frame
131: first frame 132, 232: second frame
133: Spacer 133a: Inner spacer
133b: outer spacer 134: inlet
135: Outlet 136: Retention space
137: accommodation space 138: placement space
140: blower fan 142: motor
144: Case 146: Switch

Claims (9)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벌레나 해충은 물론 미세먼지의 통과를 차단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체류하는 체류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재와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커버판; 및
중앙에 관통부를 구비하여,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는 상기 차단부재와 커버판의 테두리측을 지지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차단부재를 통해 여과되어 상기 체류공간에 위치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A blocking member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blocking the passage of fine dust as well as insects and pests;
A cover plate spaced apart from the blocking member such that a retention space in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member stays can be formed; And
And a support frame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at the center and supporting the side of the cover plate and the cover plate disposed on the penetrating portion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The support frame includes:
An inlet port which is filtered through the blocking member to introduce air in the holding space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indoor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벌레나 해충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제1차단부재와, 상기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차단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block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o block inflow of the insect or insect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attach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member to block the fine dust, Insect screen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는 메쉬망이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미세 기공을 갖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형성된 나노섬유웹인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blocking member is a mesh net, and the second blocking member is a nanofiber web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having fine por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
실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서로 대향배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류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는 스페이서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1프레임에 배치되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disposed on the indoor side;
A second frame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frame;
And a spac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to form the retention space,
Wherein the inlet is disposed in a spacer and the outlet is disposed in the first fram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관통부를 연결하는 내측 스페이서; 및
상기 내측 스페이서와 일정 거리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외측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상기 내측 스페이서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pacer
An inner spacer connecting the penet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And an outer spac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pac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necting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Wherein the inner spacer has the inlet formed there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측에는 외기가 상기 체류공간 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팬이 배치되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lowing fan for providing a suction force for allowing the outside air to flow smoothly into the staying space side is disposed on the accommodation space si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는 배치공이 관통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frame is capable of blocking fine dust through which a placement hol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so that the blowing fan can be dispos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모터를 통해 구동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lowing fan is driven through a motor, and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driving of the moto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plat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translucency and can block fine dust.
KR1020170009917A 2017-01-20 2017-01-20 Window screen to shut out fine dust KR201800860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17A KR20180086039A (en) 2017-01-20 2017-01-20 Window screen to shut out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17A KR20180086039A (en) 2017-01-20 2017-01-20 Window screen to shut out fine du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039A true KR20180086039A (en) 2018-07-30

Family

ID=6304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917A KR20180086039A (en) 2017-01-20 2017-01-20 Window screen to shut out fin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03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204B1 (en) * 2019-06-24 2020-03-31 박종호 Window System For Cutting Off Fine Dusts
KR20210034793A (en) 2019-09-23 2021-03-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a for antibacterial window-screen
KR20240022315A (en) 2022-08-11 2024-02-20 이재현 Window type apparatus of reducing fine dus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628A (en) 2015-04-06 2016-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ratua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ference ti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628A (en) 2015-04-06 2016-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ratua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ference ti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204B1 (en) * 2019-06-24 2020-03-31 박종호 Window System For Cutting Off Fine Dusts
KR20210034793A (en) 2019-09-23 2021-03-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a for antibacterial window-screen
KR20240022315A (en) 2022-08-11 2024-02-20 이재현 Window type apparatus of reducing fine du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469B1 (en) Smart Ventilator Capable of Filtering Fine Particles
JP3281480B2 (en) Air filter assembly
CN204141788U (en) Air flow exchanging device
US6156089A (en) Two-stage air filter with multiple-layer stage and post-filter stage
KR20190031836A (en) Air Cleaning System Capable of Filtering Fine Particles
KR20180086039A (en) Window screen to shut out fine dust
KR101946357B1 (en) A protection against dust and mosquito net for natural ventilation
US20050048899A1 (en) Clean bench for cleaning atmosphere of partitioned space
KR20160104130A (en) A dust filter for windows
JP5156957B2 (en)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quipment
KR20170084864A (en) Fillter
KR20190020498A (en) Nano Mesh Filter for Ultrafine Dust Filtering and its Formation Method
KR102347866B1 (en) Window type air cleaning system
KR20200000231U (en) Filter for air cleaning
KR101976323B1 (en) Insect screen equipped with replacable air filter and a method of exchanging the filter
JP6955879B2 (en) Filters and filter structures
KR101793387B1 (en) Ciliary filter and fil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08407B1 (en) Fine dust inflow prevention screen
KR20190076611A (en) Mesh construct
KR200305712Y1 (en) mosquito net combined with air filter function
KR20180113647A (en) Smart Windows Having Screen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37649B1 (en) Fine dust filt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13047599A (en) Ventilation filter and ventilation fittings
KR102359553B1 (en) Window type air cleaning system
KR102347869B1 (en) Window type air clea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