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965A -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965A
KR20180085965A KR1020170009719A KR20170009719A KR20180085965A KR 20180085965 A KR20180085965 A KR 20180085965A KR 1020170009719 A KR1020170009719 A KR 1020170009719A KR 20170009719 A KR20170009719 A KR 20170009719A KR 20180085965 A KR20180085965 A KR 20180085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ove
engaged
coupl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황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라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라신
Priority to KR102017000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965A/ko
Publication of KR2018008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2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bar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펼친 상태에서 사용하고 사용후에 휴대, 보관, 운반시엔 접어서 차지하는 용적을 크게 줄인 상태로 활용할 수 있게 이루어진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발받침 부재와 함께 다용도 부재를 설치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좌판프레임을 중심으로 전방 위치엔 다리받침을, 다리좌판프레임의 후방 위치엔 등받이프레임부재를, 등받이프레임부재의 상부 위치엔 머리받침부재를, 그리고 상기 다리좌판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엔 시트부재를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좌판프레임은 고정프레임의 전,후방 양측에 전방 고정지지부재와 후방 고정지지부재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엔 전방 상향결합홈과 전방 하향결합홈, 중앙 전방결합홈과 중앙 전방 상향결합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엔 하향결합홈과 중앙 상향결합홈을 각각 형성하여, 전방 상향 결합홈엔 좌판프레임을, 전방 하향결합홈엔 전방다리프레임을, 중앙 전방결합홈엔 다리받침을, 하향 결합홈엔 후방다리프레임을, 그리고 중앙 상향결합홈엔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의자{Folding type chair}
본 발명은 펼친 상태에서 사용하고 사용후에 휴대, 보관, 운반시엔 접어서 차지하는 용적을 크게 줄인 상태로 활용할 수 있게 이루어진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발받침 부재와 함께 다용도 부재를 설치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접이식 의자는 단지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후엔 접어서 휴대, 보관 또는 운반하기 편리하게 구성이 이루어져 있으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접이식 의자는 구조적인 취약점으로 그 높낮이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기가 어렵고, 접는 과정에서는 골조를 이루게 되는 프레임이 서로 간섭을 받거나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접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다시 결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불편함은 물론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발받침이나 다른 목적의 물품을 별도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구조적으로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대부분 이를 채택하지 못하는 관계로 사용자에겐 불폄함이 발생하고, 설사 무리하여 설치한다 하더라도 분리 결합하기가 쉽지 않고 접어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용적을 줄이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97958호(공고일자: 2014. 05. 27.) 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60494호(공고일자: 2015. 10. 14.) 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89829호(공고일자: 2016. 02. 12.) 4.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80891호(공고일자: 2016. 01. 05.)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접이식 의자에서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극복하여 높낮이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기가 쉽고, 접는 과정에서는 골조를 이루게 되는 프레임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져 단시간내에 접을 수 있고 결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이식 의자에 발받침부재와 함께 다용도 부재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분리하여 접는 경우에는 용적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리좌판프레임을 중심으로 전방 위치엔 다리받침을 결합구성하고 다리좌판프레임의 후방 위치엔 등받이프레임부재를 결합 구성하고 등받이프레임부재의 상부 위치엔 머리받침부재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다리좌판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엔 시트부재를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좌판프레임은 고정프레임의 전,후방 양측에 전방 고정지지부재와 후방 고정지지부재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엔 각각 양측의 전방 상향결합홈과 양측의 전방 하향결합홈, 중앙 전방결합홈과 중앙 전방 상향결합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엔 양측의 하향결합홈과 중앙 상향결합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의 전방 상향 결합홈엔 좌판프레임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의 전방 하향결합홈엔 전방다리프레임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의 중앙 전방결합홈엔 다리받침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의 하향 결합홈엔 후방다리프레임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의 중앙 상향결합홈엔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의 전방 상향 결합홈엔 좌판프레임을 탄성줄과 함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의 전방 하향결합홈엔 전방다리프레임을 탄성줄과 함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의 하향 결합홈엔 탄성줄과 함께 후방다리프레임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의 전방 하향결합홈은 인접하게 복수개를 형성하고 이들 복수개의 전방 하향결합홈 중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전방다리프레임을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의 하향 결합홈을 인접하게 복수개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후방 하향결합홈 중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후방다리프레임을 결합하여 높낮이와 등받이프레임부재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리받침은 일측이 전방 고정지지부재의 중앙 전방결합홈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고 서로 끼우고 배서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다른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발받침지지고정부재와, 상기 발받침지지고정부재의 하향결합홈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보조다리와, 상기 발받침지지고정부재의 상향결합홈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발받침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발받침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발받침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는 하부가 후방 고정지지부재의 중앙 상향결합홈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고, 상부엔 머리받침부재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며, 중간부엔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를 고정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의 양측 결합홈엔 등받이프레임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의 결합홈에 탄성줄과 함께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의 결합홈과 인접한 위치에 별도의 정렬홈을 마련하여 등받이프레임의 분리시 등받이프레임을 탄성줄과 함께 정렬홈에 끼워 정렬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의 상부에 머리받침부재를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받침부재는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와 끼워 결합되는 머리받침지지부재와, 상기 머리받침지지부재의 양측 결합홈에 각각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지지대와,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머리받침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머리받침지지부재의 양측 결합홈에 탄성줄과 함께 끼워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의 결합홈과 인접한 부위엔 별도의 정렬홈을 마련하여 상기 지지대를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정렬홈에 탄성줄과 함께 끼워 결합하여 정렬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의 중앙 전방상향결합홈엔 다용도 부재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되, 상기 다용도 부재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일측 끝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마련된 결합홈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양측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구와, 그리고 상기 결합구의 결합요부에 각각 끼워 결합되는 다용도체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용도체는 가요성 소재를 이용하여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양단엔 지지로드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지지로드를 각각 결합요부에 끼워 결합하여 상기 본체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결합홈엔 탄성줄과 함께 지지바를 끼워 결합하되, 상기 고정구의 결합홈과 인접한 위치엔 결합프레임과 밀착되게 정렬될 수 있도록 정렬홈을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정렬홈엔 상기 지지바를 분리하는 경우 탄성줄과 함께 상기 지지바를 끼워 결합하여 정렬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접이식 의자에서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극복하여 높낮이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기가 쉽고, 접는 과정에서는 골조를 이루게 되는 프레임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져 단시간내에 접을 수 있고 결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용도 부재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인터넷 전자통신 물품이나 소형테이블 등 수요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분리하여 접는 경우에는 용적을 크게 줄여 휴대나 운반 또는 보관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시트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다용도 부재를 더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다용도 부재 전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다용도 부재를 접는 과정을 예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서 각종 프레임을 접은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고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다리좌판프레임(1)을 중심으로 전방 위치엔 다리받침(2)을 결합구성하고 다리좌판프레임(1)의 후방 위치엔 등받이프레임부재(3)를 결합 구성하고 등받이프레임부재(3)의 상부 위치엔 머리받침부재(4)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다리좌판프레임(1)과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3)엔 시트부재(5)를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좌판프레임(1)은 고정프레임(6)의 전,후방 양측에 전방 고정지지부재(7)와 후방 고정지지부재(8)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엔 각각 양측의 전방 상향결합홈(70)과 양측의 전방 하향결합홈(72), 중앙 전방결합홈(74)과 중앙 전방 상향결합홈(76)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8)엔 양측의 하향결합홈(80)과 중앙 상향결합홈(8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상향 결합홈(70)엔 좌판프레임(10)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하향결합홈(72)엔 전방다리프레임(12)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8)의 중앙 전방결합홈(74)엔 다리받침(2)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8)의 하향 결합홈(80)엔 후방다리프레임(14)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8)의 중앙 상향결합홈(82)엔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3)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상향 결합홈(70)엔 좌판프레임(10)을 탄성줄(10a)과 함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하향결합홈(72)엔 전방다리프레임(12)을 탄성줄(12a)과 함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8)의 하향 결합홈(80)엔 탄성줄(14a)과 함께 후방다리프레임(14)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하향결합홈(72)은 인접하게 복수개를 형성하고 이들 복수개의 전방 하향결합홈(72) 중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전방다리프레임(12)을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8)의 하향 결합홈(80)을 인접하게 복수개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후방 하향결합홈(80) 중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후방다리프레임(14)을 결합하여 높낮이와 등받이프레임부재(3)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리받침(2)은 일측이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중앙 전방결합홈(74)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고 서로 끼우고 배서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다른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발받침지지고정부재(22)와, 상기 발받침지지고정부재(22)의 하향결합홈(22a)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보조다리(24)와, 상기 발받침지지고정부재(22)의 상향결합홈(22b)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발받침프레임(26)과, 그리고 상기 발받침프레임(26)의 상부에 결합되는 발받침(28)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3)는 하부가 후방 고정지지부재(8)의 중앙 상향결합홈(82)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고, 상부엔 머리받침부재(4)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며, 중간부엔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30)를 고정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30)의 양측 결합홈(32)엔 등받이프레임(34)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34)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30)의 결합홈(32)에 탄성줄(36)과 함께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30)의 결합홈(32)과 인접한 위치에 별도의 정렬홈(38)을 마련하여 등받이프레임(34)의 분리시 등받이프레임(34)을 탄성줄(36)과 함께 정렬홈(38)에 끼워 정렬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3)의 상부에 머리받침부재(4)를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받침부재(4)는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3)와 끼워 결합되는 머리받침지지부재(40)와, 상기 머리받침지지부재(40)의 양측 결합홈(42)에 각각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지지대(44)와, 그리고 상기 지지대(44)의 상부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머리받침(46)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44)는 머리받침지지부재(40)의 양측 결합홈(42)에 탄성줄(44a)과 함께 끼워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의 결합홈(42)과 인접한 부위엔 별도의 정렬홈(48)을 마련하여 상기 지지대(44)를 상기 결합홈(42)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정렬홈(42)에 탄성줄(48)과 함께 끼워 결합하여 정렬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중앙 전방상향결합홈(82)엔 다용도 부재(9)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되, 상기 다용도 부재(9)는 결합프레임(90)과, 상기 결합프레임(90)의 일측 끝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92)와, 상기 고정구(92)에 마련된 결합홈(92a)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양측의 지지바(94), 상기 지지바(9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구(96)와, 그리고 상기 결합구(96)의 결합요부(96a)에 각각 끼워 결합되는 다용도체(98)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용도체(98)는 가요성 소재를 이용하여 본체(98a)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98a)의 양단엔 지지로드(98b)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지지로드(98b)를 각각 결합요부(96a)에 끼워 결합하여 상기 본체(98a)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92)의 결합홈(92a)엔 탄성줄(94a)과 함께 지지바(94)를 끼워 결합하되, 상기 고정구(92)의 결합홈(92a)과 인접한 위치엔 결합프레임(90)과 밀착되게 정렬될 수 있도록 정렬홈(92b)을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정렬홈(92b)엔 상기 지지바(94)를 분리하는 경우 탄성줄(94a)과 함께 상기 지지바(94)를 끼워 결합하여 정렬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미설명부호로서 50, 52는 시트부재(5)의 결합봉재부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펼쳐서 사용하는 경우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다리좌판프레임(1)의 경우엔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상향결합홈(70)엔 좌판프레임(10)을 끼워 결합하고,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하향결합홈(72)엔 전방다리프레임(12)를 끼워 결합하여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다음, 다리받침(2)의 경우엔 발받침지지고정부재(22)의 하향결합홈(22a)엔 보조다리(24)를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향결합홈(22b)엔 발받침프레임(26)을 끼워 결합하고, 발받침프레임(26)엔 발받침(28)을 끼워 결합한 후에, 발받침지지고정부재(22)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20)를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중앙전방결합홈(74)에 끼워 결합하여 조립하게 된다.
다음, 등받이프레임부재(3)의 경우엔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30)의 결합홈(32)에 등받이프레임(34)을 탄성줄(36)과 함께 끼워 결합한 후에 등받이프레임부재(3)를 후방고정지지부재(8)의 중앙 상향결합홈(82)에 끼워 결합하여 조립한다.
다음, 머리받침부재(4)의 경우엔 머리받침지지부재(40)의 결합홈(42)에 탄성줄(44a)과 함께 지지대(44)를 끼워 결합하고 지지대(44)의 상부엔 머리받침(46)을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머리받침지지부재(40)와 등받이프레임부재(3)를 서로 결합하여 조립한다.
다음, 시트부재(5)는 결합봉재부(50,52)를 이용하여 다리좌판프레임(1)의 좌판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부재(3)의 등받이프레임(34)을 끼워 설치하게 되면 좌판과 등받이가 일체로 구성된 형태로 조립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필요시에 다용도부재(9)를 조립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다용도부재(9)의 경우엔 결합프레임(90)의 일측 끝에 고정구(92)를 결합하고, 고정구(92)의 양측 결합홈(92a)엔 지지바(94)를 끼워 결합하고, 지지바(94)의 상부엔 결합구(96)를 설치하고, 결합구(96)의 결합요부(96a)엔 다용도체(98)를 결합 설치하되, 다용도체(98)는 가요성인 본체(98a)의 양단엔 지지로드(98b)를 끼워 결합하고, 지지로드(98b)를 각각 결합요부(96a)에 끼워 결합하여 본체(98a)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이때 고정구(92)의 결합홈(92a)엔 탄성줄(94a)과 함께 지지바(94)를 끼워 결합하되, 이와 같이 조립된 다용도부재(9)를 전방고정지지부재(7)의 중앙 상향결합홈(82)에 끼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시트부재(5)위에 안자 등을 뒤로 기대고, 다리는 다리받침(2) 위에 올려놓고 있게 되면 안락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다용도부재(9)의 경우엔 인터넷기기나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등을 올려놓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받침대 등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된다.
사용한 후에 본 발명인 접이식 의자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휴대 운반에 편리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리좌판프레임(1)에 있어서 전방고정지지부재(7)의 중앙전방결합홈(74)으로부터 다리받침(2)을 분리하고 다리받침(2)은 발받침지지고정부재(22)의 상향결합홈(22b)으로부터 발받침프레임(26)과 발받침(28)을 각각 분리하고 하향결합홈(22a)으로부터 보조다리(24)를 분리하여 발받침프레임(26)과 보조다리(24)를 접어 용적을 최소화시키고 지지대(20)도 축소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시트부재(5)는 결합봉재부(50,52)로부터 다리좌판프레임(1)의 좌판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부재(3)의 등받이프레임(34)을 분리하여 시트부재(5) 자체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리좌판프레임(1)에 있어서 후방고정지지부재(8)의 중앙상향결합홈(82)으로부터 등받이프레임부재(3)를 분리한 후에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30)의 결합홈(32)으로부터 등받이프레임(34)을 탄성줄(36)과 함께 분리하여 정렬홈(38)에 등받이프레임(34)을 끼워 결합하게 되면 축소된 정렬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머리받침부재(4)의 경우엔 지지대(44)로부터 머리받침(46)을 분리한 후에 결합홈(42)으로부터 지지대(44)를 탄성줄(44a)과 함께 분리하여 정렬홈(48)에 끼워 정리하게 되면 축소된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다리좌판프레임(1)에 있어서 전방고정지지부재(7)의 중앙전방상향결합홈으로부터 다용도부재(9)를 분리하고 결합구(96)로부터 다용도체(98)를 분리하고, 결합구(96)가 설치된 지지바(94)는 고정구(92)의 결합홈(92a)로부터 탄성줄(94a)과 함께 분리한 후에 정렬홈(92b)에 끼워 결합하여 축소된 정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다리좌판프레임(1)의 경우엔 전방고정지지부재(7)의 전방상향결합홈(70) 및 전방상향결합홈(72)에 각각 끼워 결합되어 있던 좌판프레임(10) 및 전방다리프레임(12)을 탄성줄(10a)(12a)과 함께 분리하여 접고 후방고정지지부재(8)의 하향결합홈(80)에 끼워 결합되어 있던 후방다리프레임(14)은 탄성줄(14a)과 함께 분리하여 접어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리좌판프레임(1), 다리받침(2), 등받이프레임부재(3), 머리받침부재(4) 및 다용도부재(9)를 분리하여 축소된 상태로 접어서 시트부재(5)를 이용하여 이들을 감싸서 포장하거나 아니면 별도로 준비한 가방에 모두 넣어 보관 또는 휴대 운반하게 되면 용적을 크게 줄인 상태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접이식 의자에서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극복하여 다리좌판프레임(1)의 전,후방고정지지부재(7)(8)에 있어서 전방하향결합홈(72)과 하향결합홈(80)을 복수로 구성하여 전,후방 다리프레임(12)(14)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높낮이나 등받이프레임부재(3)의 각도를 조절하기가 쉽고, 접는 과정에서는 골조를 이루게 되는 각종 프레임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정렬홈(38)(48)(92b)을 이용하여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져 단시간내에 접을 수 있고 결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결합홈(22a,22b)(32)(42)(70,72,74,76,80,82)(92a)을 활용하여 손쉽게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용도 부재(9)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인터넷 전자통신 물품이나 소형테이블 등 수요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분리하여 접는 경우에는 용적을 크게 줄여 휴대나 운반 또는 보관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1: 다리좌판프레임, 2: 다리받침,
3: 등받이프레임부재, 4: 머리받침부재,
5: 시트부재, 6: 고정프레임,
7: 전방고정지지부재, 8: 후방고정지지부재,
9: 다용도부재, 10: 좌판프레임,
12: 전방다리프레임, 14: 후방다리프레임,
20, 44: 지지대, 22: 발받침지지고정부재,
22a: 하향결합홈, 22b: 상향결합홈,
24: 보조다리, 26: 발받침프레임,
28: 발받침, 30: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
32, 42, 92a: 결합홈, 34: 등받이프레임,
36, 44a, 94a; 탄성줄, 40: 머리받침지지부재,
48, 92b: 정렬홈, 50, 52: 결합봉재부,
70: 전방상향결합홈, 72: 전방하향결합홈,
74: 중앙전방결합홈, 76: 중앙전방상향결합홈,
80: 하향결합홈, 82: 중앙상향결합홈,
90: 결합프레임, 92: 고정구,
94: 지지바, 96: 결합구,
96a: 결합요부, 98: 다용도체,
98a: 본체, 98b: 지지로드

Claims (11)

  1. 다리좌판프레임(1)을 중심으로 전방 위치엔 다리받침(2)을 결합구성하고 다리좌판프레임(1)의 후방 위치엔 등받이프레임부재(3)를 결합 구성하고 등받이프레임부재(3)의 상부 위치엔 머리받침부재(4)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다리좌판프레임(1)과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3)엔 시트부재(5)를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좌판프레임(1)은 고정프레임(6)의 전,후방 양측에 전방 고정지지부재(7)와 후방 고정지지부재(8)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엔 각각 양측의 전방 상향결합홈(70)과 양측의 전방 하향결합홈(72), 중앙 전방결합홈(74)과 중앙 전방 상향결합홈(76)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8)엔 양측의 하향결합홈(80)과 중앙 상향결합홈(8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상향 결합홈(70)엔 좌판프레임(10)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하향결합홈(72)엔 전방다리프레임(12)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8)의 중앙 전방결합홈(74)엔 다리받침(2)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8)의 하향 결합홈(80)엔 후방다리프레임(14)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8)의 중앙 상향결합홈(82)엔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3)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상향 결합홈(70)엔 좌판프레임(10)을 탄성줄(10a)과 함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하향결합홈(72)엔 전방다리프레임(12)을 탄성줄(12a)과 함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8)의 하향 결합홈(80)엔 탄성줄(14a)과 함께 후방다리프레임(14)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각각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전방 하향결합홈(72)은 인접하게 복수개를 형성하고 이들 복수개의 전방 하향결합홈(72) 중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전방다리프레임(12)을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후방 고정지지부재(8)의 하향 결합홈(80)을 인접하게 복수개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후방 하향결합홈(80) 중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후방다리프레임(14)을 결합하여 높낮이와 등받이프레임부재(3)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침(2)은 일측이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중앙 전방결합홈(74)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고 서로 끼우고 배서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다른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발받침지지고정부재(22)와,
    상기 발받침지지고정부재(22)의 하향결합홈(22a)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보조다리(24)와,
    상기 발받침지지고정부재(22)의 상향결합홈(22b)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발받침프레임(26)과, 그리고
    상기 발받침프레임(26)의 상부에 결합되는 발받침(28)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3)는 하부가 후방 고정지지부재(8)의 중앙 상향결합홈(82)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고,
    상부엔 머리받침부재(4)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며,
    중간부엔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30)를 고정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30)의 양측 결합홈(32)엔 등받이프레임(34)을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34)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30)의 결합홈(32)에 탄성줄(36)과 함께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등받이프레임지지부재(30)의 결합홈(32)과 인접한 위치에 별도의 정렬홈(38)을 마련하여 등받이프레임(34)의 분리시 등받이프레임(34)을 탄성줄(36)과 함께 정렬홈(38)에 끼워 정렬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3)의 상부에 머리받침부재(4)를 끼워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받침부재(4)는 상기 등받이프레임부재(3)와 끼워 결합되는 머리받침지지부재(40)와,
    상기 머리받침지지부재(40)의 양측 결합홈(42)에 각각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지지대(44)와, 그리고
    상기 지지대(44)의 상부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머리받침(46)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4)는 머리받침지지부재(40)의 양측 결합홈(42)에 탄성줄(44a)과 함께 끼워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의 결합홈(42)과 인접한 부위엔 별도의 정렬홈(48)을 마련하여 상기 지지대(44)를 상기 결합홈(42)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정렬홈(42)에 탄성줄(48)과 함께 끼워 결합하여 정렬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지지부재(7)의 중앙 전방상향결합홈(82)엔 다용도 부재(9)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되,
    상기 다용도 부재(9)는 결합프레임(90)과,
    상기 결합프레임(90)의 일측 끝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92)와,
    상기 고정구(92)에 마련된 결합홈(92a)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는 양측의 지지바(94),
    상기 지지바(9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구(96)와, 그리고
    상기 결합구(96)의 결합요부(96a)에 각각 끼워 결합되는 다용도체(98)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체(98)는 가요성 소재를 이용하여 본체(98a)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98a)의 양단엔 지지로드(98b)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지지로드(98b)를 각각 결합요부(96a)에 끼워 결합하여 상기 본체(98a)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92)의 결합홈(92a)엔 탄성줄(94a)과 함께 지지바(94)를 끼워 결합하되,
    상기 고정구(92)의 결합홈(92a)과 인접한 위치엔 결합프레임(90)과 밀착되게 정렬될 수 있도록 정렬홈(92b)을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정렬홈(92b)엔 상기 지지바(94)를 분리하는 경우 탄성줄(94a)과 함께 상기 지지바(94)를 끼워 결합하여 정렬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KR1020170009719A 2017-01-20 2017-01-20 접이식 의자 KR20180085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719A KR20180085965A (ko) 2017-01-20 2017-01-20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719A KR20180085965A (ko) 2017-01-20 2017-01-20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965A true KR20180085965A (ko) 2018-07-30

Family

ID=6304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719A KR20180085965A (ko) 2017-01-20 2017-01-20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96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58B1 (ko) 2013-09-28 2014-05-27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접이식 의자
KR101560494B1 (ko) 2014-09-19 2015-10-14 김성권 접이식 의자 시트의 굴곡방지장치
KR101580891B1 (ko) 2014-01-02 2016-01-05 김성권 접이식 의자의 팔걸이 결합구조
KR101589829B1 (ko) 2014-10-08 2016-02-12 김성권 소형 접이식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58B1 (ko) 2013-09-28 2014-05-27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접이식 의자
KR101580891B1 (ko) 2014-01-02 2016-01-05 김성권 접이식 의자의 팔걸이 결합구조
KR101560494B1 (ko) 2014-09-19 2015-10-14 김성권 접이식 의자 시트의 굴곡방지장치
KR101589829B1 (ko) 2014-10-08 2016-02-12 김성권 소형 접이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7817B2 (en) Portable, collapsible stadium seat
US6702371B2 (en) Foldable chair with detachable seat arrangement
US20160100688A1 (en) Outdoor recliner with pillow carrier
US7416248B2 (en) Adjustable configuration seating
US10531742B2 (en) Versatile, portable foldable chair
US20180168354A1 (en) Portable Surface for Lounging or Sleeping
KR200485063Y1 (ko) 접이식 의자의 목받침 구조
KR101854574B1 (ko) 좌판이 슬라이딩 되는 접철식 의자
US20130193722A1 (en) Foldable Chair
KR101589829B1 (ko) 소형 접이식 의자
KR20180089634A (ko) 접이식 의자의 등받이 구조
KR20180085965A (ko) 접이식 의자
WO2010059030A1 (en) Removable backrest chair
US11330906B1 (en) Folding chair
JP5343104B2 (ja) 椅子の構造
KR20180085967A (ko) 접이식 의자
US20200275771A1 (en) Folding chair having a side table
KR101366548B1 (ko) 접이식 의자
KR102056887B1 (ko) 접이식 휴대용 의자
KR20110008591U (ko) 벤치
KR101704640B1 (ko) 의자
KR200427740Y1 (ko) 접이식 의자
KR200431465Y1 (ko) 절첩식 의자
KR20100079718A (ko) 높이조절 가능한 탈착식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180085964A (ko) 접이식 바닥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