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588A - 써레의 상차 방법 - Google Patents

써레의 상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588A
KR20180083588A KR1020170006050A KR20170006050A KR20180083588A KR 20180083588 A KR20180083588 A KR 20180083588A KR 1020170006050 A KR1020170006050 A KR 1020170006050A KR 20170006050 A KR20170006050 A KR 20170006050A KR 20180083588 A KR20180083588 A KR 20180083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harrow
posts
pos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266B1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17000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2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를 제1 써레 전방의 적어도 2개소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를 제1 써레 후방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하는 단계와; 제1 써레와 동일한 구조의 제2 써레를 제1 써레의 수직방향 상부로 이동시킨 이후, 제1 써레에 이미 설치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에 안착되도록 제2 써레를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수직방향 적층된 제1 써레와 제2 써레를 화물차에 상차하는 단계와; 제1 써레와 제2 써레를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는 상기 제1 써레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써레의 상차 방법{METHOD FOR LOADING HARROW TO FREIGHT VEHICLE}
본 발명은 써레의 상차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렛트(pallet, 화물 운반대)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 완성된 써레를 상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후방에는 3점 링크를 통해 연결되고 피티오(PTO, power take off)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경운 작업을 하는 로터베이터(rotavator)가 설치된다. 이 로터베이터에는 다양한 작업기가 연결 가능한데, 무논의 정지작업을 위한 작업기로서 써레가 연결될 수 있다. 써레는 모내기를 하기 전에 무논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작업기이다.
도 1에는 이러한 써레의 일종이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써레에서 도면부호 10은 써레를 로터베이터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 즉 써레 장착용 브래킷을 지시한다. 도면부호 20은 써레를 상하로 승강작동 하기 위한 실린더를, 도면부호 30은 써레판을 연결하기 위한 로드를, 도면부호 40은 써레판을 지시한다. 도면부호 45는 써레와 로드(30)를 연결하는 써레판 장착용 브래킷을 지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타입의 써레에서 써레판 장착용 브래킷(45)은 힌지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써레판(40)은 로드(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여, 써레판(40)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써레를 운송하는 종래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로부터는 써레를 운송하는 종래의 방법 중의 하나로서 부품의 분해상태에서의 포장 배송 방식을 알 수 있다. 써레는 그 부피가 커서 완성품 상태에서 화물차에 탑재 가능한 수량이 제한적이므로 부품의 분해상태에서 고객에게 배송함으로써 운송비를 줄이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형태로 배송하는 경우에는 운송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객이 배송을 받은 후에 조립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조립을 잘못 수행한 상태에서 써레를 작동시키는 경우 파손의 위험이 있었다. 파손 발생 시 불필요한 AS 수요를 일으키는 문제도 있었다.
다음으로, 도 3으로부터는 파렛트를 사용하여 완성품 써레를 배송하는 종래의 배송 방식을 알 수 있다. 파렛트는 중량의 화물을 운송할 때 사용하는 화물 운반대로서, 완성품 써레의 운반시에도 사용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는 바닥판과 지게차의 지게발이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한다. 화물차에 최대한 많은 수량의 완성품 써레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써레를 적층 식으로 탑재할 수 밖에 없다. 이를 위해서는 파렛트 위에 완성품 써레를 탑재하고, 파렛트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다시 파렛트를 설치한 후 완성품 써레를 탑재하는 방식이 활용 가능하였다. 그런데, 부피가 큰 써레를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파렛트는 써레의 크기에 상응하는 대형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대형인 파렛트는 고가이고 그 중량 또한 상당하다. 완성품 써레의 적층 방식의 탑재를 위해 파렛트를 복수 개 사용하게 되면 파렛트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화물차의 가용 적재용량에 제한이 가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파렛트를 회수하는 데 별도의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도 추가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써레 상차 방법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렛트를 사용하지 않고, 완성품인 써레를 최대한 많은 수량 안정적으로 화물차에 상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를 제1 써레 전방의 적어도 2개소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를 제1 써레 후방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하는 단계와; 제1 써레와 동일한 구조의 제2 써레를 제1 써레의 수직방향 상부로 이동시킨 이후, 제1 써레에 이미 설치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에 안착되도록 제2 써레를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수직방향 적층된 제1 써레와 제2 써레를 화물차에 상차하는 단계와; 제1 써레와 제2 써레를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는 상기 제1 써레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한다.
수직방향 적층이 이루어진 제1 써레와 제2 써레를 화물차에 상차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지게차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써레와 제 2써레를 적층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적층하는 써레의 수량에는 제한이 없으며, 이는 도 4로부터 확인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에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는 제1 써레와 제2 써레의 써레판 연결용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는 제1 써레와 제2 써레의 써레 장착용 브래킷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Y자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는 제1 써레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체결 요소에 의하여 제1 써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요소의 적용에 의하여 써레의 적층 방식의 상차 상태에서 전후 방향의 고정이 실시되어 화물차의 급브레이크 시에도 적층 방식의 상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의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써레를 부품 상태로 운송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지 않고 완성품 상태로 운송할 수 있으므로, 배송받은 소비자가 조립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잘못된 조립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도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완성품인 써레를 배송하는 과정에서 파렛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파렛트 비용이 절감되고, 파렛트 자체의 중량 부담이 저감되므로 물류비가 절감되며, 파렛트의 회수를 위한 비용도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완성품인 써레를 안전하게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해지므로, 동일한 적재 공간에 가능한 많은 수의 써레를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써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써레가 부품 상태로 분해되어 배송을 위하여 포장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파렛트를 사용하여 적층식으로 써레를 탑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수직방향 적층이 이루어진 써레들을 지게차를 활용하여 화물차에 상차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에 사용되는 전방 포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에 사용되는 전방 포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에 사용되는 후방 포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에 따라 복수개의 써레들이 적층식으로 화물차에 탑재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레임의 받침부에 써레가 탑재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에 사용되는 전방 포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의 써레를 참조하면, 써레는 써레판(40)이 그 일단에 위치하고, 다른 쪽 단부에는 써레 장착용 브래킷(10)이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스트를 전방 포스트와 후방 포스트로 구분할 때, "전방"은 써레판(40)이 위치한 방향, "후방"은 써레 장착용 브래킷(10)이 위치한 방향으로 정의된다. 전방이라는 용어와 후방이라는 용어는 모두 상대적인 개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두 가지 종류의 포스트가 써레를 화물차에 상차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두 가지 종류의 포스트 중 써레판(40) 쪽에 가깝게 위치한 포스트가 전방 포스트가 되고, 써레 장착용 브래킷(10) 쪽에 가깝게 위치한 포스트가 후방 포스트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포스트는 기둥부와, 기둥부의 양 단부에 형성된 Y자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써레에는 단면이 원형인 환봉 또는 단면이 사각형인 각봉이 사용되는데, Y자형 구조, 즉 기둥부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되는 말단부를 가지는 구조는 환봉과 각봉을 모두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서 포스트의 단부 형태로 사용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Y자형 접촉부와 상부 Y자형 접촉부의 형상이 서로 다르게 실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전방 포스트와 후방 포스트는 모두 써레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가능할 것이 요구된다. 설치된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회전해버리면 그 위에 써레를 올려 놓은 적층 상태가 유지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기립 상태 유지 기능을 위하여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써레의 구성요소를 파지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이 실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기립 상태 유지 기능의 보다 확실한 보장을 위해 체결 요소가 적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전방 포스트는 써레판 연결용 브래킷에 설치되는데, 써레판은 각도 조절 가능한 상태로 브래킷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힌지 운동을 위한 단면이 원형인 힌지점 형성 바가 필요하다. 전방 포스트의 하부 Y자형 포스트는 이러한 힌지점 형성 바와 접촉한다. 그런데, 만일 단면이 원형인 힌지점 형성 바와만 접촉하며 설치된다면 전방 포스트는 힌지점 형성 바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파지할 것이 요구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원형인 힌지점 형성 바의 상부에 마련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브래킷 상부구조를 추가적으로 파지한다.
반면, 전방 포스트의 상부 Y자형 접촉부는 단면이 원형인 힌지점 형성 바만 파지하여도 된다. 일단 하부 Y자형 접촉부가 써레의 써레판 연결용 브래킷의 복수개의 구성요소, 즉 힌지점 형성바 및 그 인접 브래킷 상부구조를 동시에 파지함으로써 스스로 기립 상태 유지 가능하므로, 상부 Y자형 접촉부가 그 상부에 적층되는 써레를 파지할 때는 단면이 원형인 힌지점 형성 바만 파지하여도, 전방 포스트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써레가 상호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물론, 도 5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전방 포스트의 상부 및 하부 Y자형 접촉부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이고, 서로 동일한 접촉지점, 예컨대 모두 단면이 원형인 힌지점 형성 바와 단면이 사각형인 브래킷 상부구조를 파지하는 것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에 사용되는 전방 포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도 6의 실시예는 하부 Y자형 접촉부가 써레판 연결용 브래킷의 단면이 사각형인 브래킷 상부구조만을 파지한다. 단면이 원형인 힌지점 형성 바는 파지하지 않고 있다.
또한,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써레로의 설치 상태에서 전방 포스트의 기립 상태 유지 기능의 보다 확실한 보장을 위하여 하부 Y자형 접촉부의 말단 두 갈래 분기부에 체결 요소를 적용하고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의 체결은 하부 Y자형 접촉부의 말단 두 갈래 분기부에 형성된 구멍을 써레판 연결용 브래킷 부위에 형성된 돌출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도 6의 실시예에서의 체결 방식은 전방 포스트가 써레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기립 상태의 유지를 확실히 보장하는 다른 체결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요소를 적용하면 써레를 적층 방식으로 화물차에 상차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견고한 고정을 형성하게 되어 화물차가 급브레이크를 밟더라도 포스트가 넘어지는 현상이 양호하게 방지될 수 있다. 체결 요소를 적용한 전후 방향의 고정은 적어도 2개의 포스트에 대하여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포스트 2개, 후방 포스트 1개를 적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전방 포스트 2개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고정을 실시할 수 있는 체결 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에 사용되는 후방 포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써레의 상차방법에서 포스트는 적어도 3개 지점에 설치되어야 적층 상태를 유지 가능하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전방 포스트가 써레에 2개 제공되는 써레판 연결용 브래킷에 각각 설치되어 2개 지점에 포스트가 이미 설치되었으므로, 후방 포스트는 1개만 설치되어도 적층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 7의 실시예에서는 1개의 후방 포스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후방 포스트는 써레 장착용 브래킷의 중앙에 1개 설치된다.
후방 포스트는 상부와 하부에 Y자형 파지부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기둥부가 형성되는 면에서 전방 포스트와 동일한 구조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써레 장착용 브래킷은 단면이 사각형인 각봉이므로, 후방 포스트의 하부 Y자형 파지부가 각봉인 써레 장착용 브래킷만 파지하여도 스스로 기립 상태 유지 가능하다. 후방 포스트의 상부 Y자형 파지부도 본 실시예에서 써레 장착용 브래킷만 파지하도록 실시된다. 한편, 도 7의 실시예에서, 후방 포스트에는 체결 요소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실시되고 있지만, 도 6의 전방 포스트에 관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립 상태 유지의 확실한 보장을 위하여 후방 포스트에 대해서도 체결 요소가 적용되는 고정 방식이 실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써레의 상차 방법에 따라 복수개의 써레들이 적층식으로 화물차에 탑재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여기에 완성품인 써레를 수직 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본 발명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화물칸 밑바닥에 완성품인 써레를 바로 탑재하지 않고, 별도의 프레임(도 8에서 붉은색 구조물)에 탑재하고 있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레임의 받침부에 써레가 탑재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9에는 프레임에 구비된 받침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부에는 적층될 써레 중 제일 아래 써레의 하부 돌출부가 지지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의 받침부를 포함하므로, 이러한 프레임을 사용하면 써레의 수직 방향 적층을 수평 방향으로 복수 회 실시할 수 있어 원하는 위치에 보다 많은 수량의 써레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프레임을 사용하면 완성품인 써레를 화물차의 원하는 위치, 즉 복수개의 받침부에 의해 정의되는 위치에 탑재하기에 유리하다.
도 8과 같은 상태로 복수개의 완성품 써레의 상차가 완료된 이후에 수직방향 결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속은 끈 등의 공지의 결속구를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속이 이루어지면, 화물차가 울퉁불퉁한 길을 지날 때 위에 적층된 써레가 아래 써레로부터 뜨게 되어 적층 상태가 무너지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전방 포스트가 써레판 연결용 브래킷에 설치되고, 후방 포스트가 써레 장착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전방 및 후방 포스트는 각각 써레판 연결용 브래킷 및 써레 장착용 브래킷 외에도 써레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써레판 연결부가 아니더라도 중앙써레판 각관과 써레 장착용 구조물 각관에 포스트를 설치할 수도 있다. 써레를 구성하는 큰 부품이면서 상하 연속성이 있는 부분이면 이외에 다른 부분에도 포스트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방 및 후방 포스트는 철판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목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를 제1 써레 전방의 적어도 2개소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를 제1 써레 후방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하는 단계와,
    제1 써레와 동일한 구조의 제2 써레를 제1 써레의 수직방향 상부로 이동시킨 이후, 제1 써레에 이미 설치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에 안착되도록 제2 써레를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수직방향 적층된 제1 써레와 제2 써레를 화물차에 상차하는 단계와,
    제1 써레와 제2 써레를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는 상기 제1 써레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써레의 상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는 제1 써레와 제2 써레의 써레판 연결용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는 제1 써레와 제2 써레의 써레 장착용 브래킷에 설치되는,
    써레의 상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적어도 1개의 후방 포스트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Y자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구조인,
    써레의 상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방 포스트는 제1 써레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스로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체결 요소에 의하여 제1 써레에 고정되는,
    써레의 상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요소의 적용에 의하여 써레의 적층 방식의 상차 상태에서 전후 방향의 고정이 실시되어 화물차의 급브레이크 시에도 적층 방식의 상차 상태가 유지되는,
    써레의 상차 방법.
KR1020170006050A 2017-01-13 2017-01-13 써레의 상차 방법 KR101895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050A KR101895266B1 (ko) 2017-01-13 2017-01-13 써레의 상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050A KR101895266B1 (ko) 2017-01-13 2017-01-13 써레의 상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88A true KR20180083588A (ko) 2018-07-23
KR101895266B1 KR101895266B1 (ko) 2018-09-05

Family

ID=6310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050A KR101895266B1 (ko) 2017-01-13 2017-01-13 써레의 상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2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322A (ja) * 2002-02-26 2003-09-02 Masami Obo 柱状物固定用木製パレット
CN201726654U (zh) * 2010-05-15 2011-02-02 李学甫 破茬耙压机
KR101560346B1 (ko) * 2014-12-19 2015-10-19 성경애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322A (ja) * 2002-02-26 2003-09-02 Masami Obo 柱状物固定用木製パレット
CN201726654U (zh) * 2010-05-15 2011-02-02 李学甫 破茬耙压机
KR101560346B1 (ko) * 2014-12-19 2015-10-19 성경애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266B1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78326A1 (en) Kits, Components and Stackable Trailers for Transporting Containers
US20090074542A1 (en) Tree Moving Device
US20170023171A1 (en) Engine stand with rear mount support
US105333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fence wire
US8540214B2 (en) Vehicle lift
US6589004B2 (en) All terrain vehicle lift
US9387790B2 (en) Utility terrain vehicle mounted crane
US6572322B2 (en) Mounting system for truck mounted beverage handler
KR101895266B1 (ko) 써레의 상차 방법
US110408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fence wire
US20170120794A1 (en) Dual Axis Tow Lift
US20060251501A1 (en) Big bale loader, retriever, and transporter
US20050079038A1 (en) Tire lift, storage and transporter
US8517647B2 (en) Adjustable support bracket for a header transport wagon
US7566196B2 (en) Cable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spools
US11919751B2 (en) Transport vehicle, method for receiving a load by means of a transport vehicle, and system comprising a transport vehicle and a load
US20220194302A1 (en) Vehicle rack
US5280944A (en) Carrier for transporting fence panels
KR101793119B1 (ko) 써레 하차용 기중장치
KR101904304B1 (ko) 균형유지가 가능한 운반기구
EP2619035B1 (en) Load gate and a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load gate
KR200482738Y1 (ko) 차량 운송용 트레일러
CN213677633U (zh) 花纹板运输工装
US20010033789A1 (en) Pallet for upright transporting of a loader boom and transport method
CN211617551U (zh) 一种车厢用多层载货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