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527A - 퍼터 - Google Patents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527A
KR20180083527A KR1020170005909A KR20170005909A KR20180083527A KR 20180083527 A KR20180083527 A KR 20180083527A KR 1020170005909 A KR1020170005909 A KR 1020170005909A KR 20170005909 A KR20170005909 A KR 20170005909A KR 20180083527 A KR20180083527 A KR 2018008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all
lie angle
bol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진
Original Assignee
임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진 filed Critical 임형진
Priority to KR102017000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3527A/ko
Publication of KR2018008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53/02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3B53/023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 A63B53/025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lie angle only, i.e. relative angular adjustment between the shaft and the club hea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intended line of play when the club is in its normal address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6Heads adjustable
    • A63B53/065Heads adjustable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선 발명 특허 US 06142884호(한국 특허 제10-0584814호)의 퍼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100)와, 샤프트(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헤드(200)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00)는 하단에 회전연결부(110)를 가지고, 상기 헤드(200)는 상기 회전연결부(11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10)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210)에 상기 회전연결부(110)가 축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헤드(200)와 샤프트(100)가 이루는 라이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퍼터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210)은 내측에 수납결합벽(211)을 가지며, 상기 회전연결부(110)는 상기 수납결합벽(211)에 대응하는 회전결합판(111)을 가지고,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이, 선택된 라이각에 따라 합체된 상태에서,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은 동일 위치에 선택된 라이각에 따른 고정결합구멍이 형성되며, 선택된 라이각에 따라 일치된 고정결합구멍에 고정볼트(50)를 끼워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퍼터{Putter}
본 발명은 헤드와 샤프트가 이루는 각(角)인 라이각(lie angle)을 조절할 수 있는 퍼터에 관한 것이다.
골프에 있어서 퍼팅은 점수(Score)에 영향을 끼치는 점에서 보면 그 어떤 샷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퍼팅을 수행케 하는 퍼터는 그 어떤 클럽 보다 그 중요성이 더하게 인식된다.
현재 수많은 골프채 제조사에 의하여 많은 종류의 퍼터가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골퍼들의 체형과 골퍼들의 퍼팅자세는 골퍼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체형과 퍼팅자세에 정확히 맞는 퍼터를 구입하기란 쉽지 않다. 더욱이 자신의 체형과 자세는 세월이 지나면서 바뀌기 때문에 그 때마다 자신에게 맞는 새로운 퍼터를 찾는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퍼터 헤드와 샤프트 연결 각도(라이각)를 조절할 수가 있는 퍼터가 있다면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해 줄 것이다. 특히 라이각 조절이 가능한 퍼터는 사용자가 원할 때에만 라이각이 조절 되어야 하며 미국 골프협회(USGA) 또는 R&A의 인증을 받아야만 공식 경기에 사용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라이각 조절을 위하여 특허 제 US 5542665호에 의하여 제공된 퍼터는 각도 조절 부분이 호셀(퍼터 헤드와 샤프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되었고, 그것이 퍼터 머리부분의 뒷면과 연결된다. 연결되는 부분이 퍼터 헤드의 뒷면에 있으므로 샤프트와 연결되는 부분과 공을 때리는 부분과의 거리가 일반 퍼터들 보다 멀어 퍼터를 끌어당기기보다는 밀어 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 US 4815740호는 퍼터 무게의 중심점을 이상적인 축으로 보고 그 축에 둥근 톱니모양이 달려 있으며 다른 한 세트의 톱니가 호셀 연결부분의 바로 옆 샤프트에 연결되어 이론적으로는 훌륭하지만 스프링과 같은 불필요한 부품 때문에 필요이상 복잡하게 구성되어 양산에 필요한 간단함과 실용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 US 06142884호(한국 특허 제10-0584815호)로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제거한 퍼터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라이각을 조정하여 고정시킨 후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간혹 고정나사가 풀리는 경우가 있다. 라이각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 퍼터에 있어서는 조정이 완료된 퍼터의 라이각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 샤프트와 헤드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완벽하여, 사용 중 퍼터 헤드가 건들거리지 않아야 한다. 특히, 경기 도중에 상기 고정 장치의 고정 나사가 풀려 퍼터 헤드가 건들거리는 경우 고정 나사를 조이는 도구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다면 이는 큰 낭패가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이에서 나아가, 특허 제10-1406532호로,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사용자가 원치 않을 때에는 조정된 라이각이 변치 아니하게 하도록, 회전연결부의 저지턱의 길이를 외측으로 길게 형성시켜 고정나사가 축구멍의 중심으로부터 먼 곳에서 회전연결부의 회전을 저지하여 고정나사가 큰 토크로 회전연결부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하여서 되는 퍼터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비교적 제조가 곤란하여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으며 고정나사의 직경이 작을 수밖에 없어 고정나사를 작동시키기 위한 나사홈이 쉽게 뭉그러지게(마손)되는 결점이 있다.
USP 5542665호 USP 4815740호 USP 6142884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84815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06532호
이에 본 발명은, 라이각의 조절이 용이하고, 조절된 라이각이 변하지 아니하게 하는 퍼터를 제공하되 그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하는 퍼터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샤프트(100)와, 샤프트(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헤드(200)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00)는 하단에 회전연결부(110)를 가지고, 상기 헤드(200)는 상기 회전연결부(11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10)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210)에 상기 회전연결부(110)가 축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헤드(200)와 샤프트(100)가 이루는 라이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퍼터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210)은 내측에 수납결합벽(211)을 가지며,
상기 회전연결부(110)는 상기 수납결합벽(211)에 대응하는 회전결합판(111)을 가지고,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이, 선택된 라이각에 따라 합체된 상태에서,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은 동일 위치에 선택된 라이각에 따른 고정결합구멍이 형성되며, 선택된 라이각에 따라 일치된 고정결합구멍에 고정볼트(50)를 끼워 수납결합벽(211)에 회전결합판(111)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터의 라이각을, 고정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정해진 각도에 따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캐스팅 또는 포징(forging)방식으로 양산된 퍼터 헤드에 여러 개의 구망을 뚫고 회전연결부에도 기 설정된 여러 개의 구멍을 뚫음으로써 생산과정을 마무리 할 수 있기 때문에 저 비용의 양산이 가능해진다.
더불어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고정결합구멍에 고정볼트만을 사용하도록 발명 되었으므로 각도 조절 작업이 단순할 뿐 아니라, 이전 발명에 비하여 두꺼운 볼트 사용을 가능케 하고, 특히 두꺼운 연장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볼트 끝 부분이나 렌치 끝 부분(tip)이 뭉그러지는 염려를 해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퍼터의 라이각 설정에 따른 고정결합구멍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은, 샤프트(100)와, 샤프트(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헤드(200)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00)는 하단에 회전연결부(110)를 가지고, 상기 헤드(200)는 상기 회전연결부(11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10)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210)에 상기 회전연결부(110)가 축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헤드(200)와 샤프트(100)가 이루는 라이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퍼터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210)은 내측에 수납결합벽(211)을 가지며,
상기 회전연결부(110)는 상기 수납결합벽(211)에 대응하는 회전결합판(111)을 가지고,
수납결합벽(211)에는 고정하고자하는 두 개 이상의 퍼터 라이에 해당하는 수만큼의 고정결합구멍(212)을 형성하여, 수납결합벽(211)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결합구멍(212)은 고유의 라이각에 해당하는 고정결합구멍(212)으로 할당하고,
회전결합판(111)에는 정해진 라이각에 맞추어 회전결합판을 회전하여 수납결합벽(211)과 합체된 상태에서, 이미 정해진 라이각에 해당하는 수납결합벽(211)에 형성된 고정결합구멍과 동일한 위치에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결합구멍을 형성함으로, 회전결합판(111)에는 수납결합벽(211)에 형성된 고정결합구멍의 개수만큼의 고정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라이각에 따라 일치하는 고정결합구멍(112)에 고정볼트(50)를 끼워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를 제공한다.
상기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의 각 고정결합구멍(212, 112)은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 상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공간(210)은 상부에 개구부(214)를 가지는 원형 홈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축장치는,
상기 샤프트(100)의 회전연결부(110)의 원형 외주면이 상기 수납공간(21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샤프트(100)가 상기 개구부(214)에 위치되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수납공간(210)의 중심과 회전연결부(110)의 중심에 각각 중심축공(213, 113)을 설치하고 회전연결부의 중심축공(113)을 관통하여 수납공간(210)의 중심축공(213)에 결합되는 축볼트(40)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예컨대, 플레이어가 라이각을 80도로 선택하는 경우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이 라이각이 80도가 되게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의 동일 위치에 80도고정결합구멍(80a, 80b)이 형성되는 퍼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선택 라이각이 80도와 78도로 2개인 상태에 있어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에는, 80도고정결합구멍(80a, 80b) 외에 제2의 선택 라이각인 78도 라이각을 구현할 수 있는 78도고정결합구멍(78a, 78b)이 형성되어져야 한다. 그리하여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의 78도고정결합구멍(78a, 78b)이 서로 일치하도록 회전결합판(111)을 회전시키면, 이러한 퍼터의 라이각은 78도가 된다.
마찬가지로, 선택 라이각이 80도, 78도 및 76도로 3개인 퍼터에 있어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에는, 80도고정결합구멍(80a, 80b), 제2의 선택 라이각인 78도를 구현하는 78도고정결합구멍(78a, 78b) 외에 제3의 선택 라이각을 구현하는 76도고정결합구멍(76a, 76b)이 형성되어져야 한다. 그리하여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의 각 76도고정결합구멍(76a, 76b)이 서로 일치하도록 회전결합판(111)을 회전시키면, 이러한 퍼터의 라이각은 76도가 된다. 상기의 80도고정결합구멍(80a, 80b), 78도고정결합구멍(78a, 78b) 및 76도고정결합구멍(76a, 76b)은 고정결합구멍(212, 112)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결합구멍(212, 112)의 다른 이름이다.
라이각은 미국 골프협회(USGA) 또는 R&A의 규정 상 80도를 초과할 수 없는 바, 그리하여 본 발명은 설정 가능 최대 라이각이 80도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그 이하 2도씩 낮은 라이각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라이각은 적어도 66도 까지 조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자기의 선호에 따른 라이각이 되도록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각도를 조절한 후,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의 각 고정결합구멍 중 가장 가까이 근접하는 고정결합구멍을 일치시키고, 일치된 고정결합구멍에 고정볼트(50)를 끼워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을 고정시키어 선택된 라이각에 따라 헤드와 샤프트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수납결합벽(211)에 회전결합판(111)을 고정볼트(50)로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볼트(50)나 축볼트(40)가 풀어짐을 방지하며, 여러 개의 고정결합구멍에 흙 등의 이물질이 끼이는 일을 방지하도록, 회전결합판(111)의 외측에 커버(300)를 구비하여서 되는 퍼터를 제공한다. 즉, 상기 커버(300)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볼트구멍(310, 320)을 가진다. 상기 커버(300)에 형성된 볼트구멍(310, 320)은 상기 축볼트(40)와 고정볼트(5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축볼트(40) 또는 고정볼트(50)가 제멋대로 회전하여 풀어지는 일이 없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샤프트
110.회전연결부
111. 회전결합판
112. 고정결합구멍
113. 중심축공
200. 헤드
210. 수납공간
211. 수납결합벽
212. 고정결합구멍
213. 중심축공
214. 개구부
300. 커버
310, 320. 볼트구멍
40. 축볼트
50. 고정볼트

Claims (4)

  1. 샤프트(100)와, 샤프트(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헤드(200)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00)는 하단에 회전연결부(110)를 가지고, 상기 헤드(200)는 상기 회전연결부(11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10)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210)에 상기 회전연결부(110)가 축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헤드(200)와 샤프트(100)가 이루는 라이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퍼터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210)은 내측에 수납결합벽(211)을 가지며,
    상기 회전연결부(110)는 상기 수납결합벽(211)에 대응하는 회전결합판(111)을 가지고,
    수납결합벽(211)에는 고정하고자하는 두 개 이상의 퍼터 라이에 해당하는 수만큼의 고정결합구멍을 형성하여, 수납결합벽(211)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결합구멍은 고유의 라이각에 해당하는 고정결합구멍으로 할당하고,

    회전결합판(111)에는, 정해진 라이각에 맞추어 회전결합판(111)을 회전하여 수납결합벽(211)과 합체된 상태에서, 이미 정해진 라이각에 해당하는 수납결합벽(211)에 형성된 고정결합구멍과 동일한 위치에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결합구멍을 형성함으로, 회전결합판(111)에는 수납결합벽(211)에 형성된 고정결합구멍의 개수만큼의 고정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라이각에 따라 일치하는 고정결합구멍에 고정볼트(50)를 끼워 수납결합벽(211)과 회전결합판(111)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장치는,
    상기 샤프트(100)의 회전연결부(110)의 원형 외주면이 상기 수납공간(21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하며 샤프트(100)가 상기 개구부(214)에 위치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장치는,
    수납공간(210)의 중심과 회전연결부(110)의 중심에 각각 중심축공(213, 113)을 설치하고, 회전연결부의 중심축공(113)을 관통하여 수납공간(210)의 중심축공(213)에 결합되는 축볼트(40)를 설치하여 되는 것임을 특징을 하는 퍼터.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결합판(111)의 외측에 커버(300)를 구비하되, 상기 커버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상기 커버(300)에 형성된 볼트구멍은 상기 축볼트(40)와 고정볼트(5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고정볼트(50) 또는 축볼트(40)가 제멋대로 회전하여 풀어지는 일이 없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KR1020170005909A 2017-01-13 2017-01-13 퍼터 KR20180083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09A KR20180083527A (ko) 2017-01-13 2017-01-13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09A KR20180083527A (ko) 2017-01-13 2017-01-13 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27A true KR20180083527A (ko) 2018-07-23

Family

ID=6310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909A KR20180083527A (ko) 2017-01-13 2017-01-13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352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5740A (en) 1987-12-16 1989-03-28 Joseph Williams Adjustable golf club
US5542665A (en) 1995-06-16 1996-08-06 Levocz; Reynold J. Adjustable golf putter
US6142884A (en) 1997-12-17 2000-11-07 Yim; Hyung Jin Adjustable golf putter
KR101406532B1 (ko) 2013-09-02 2014-06-27 주식회사 리임코리아 퍼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5740A (en) 1987-12-16 1989-03-28 Joseph Williams Adjustable golf club
US5542665A (en) 1995-06-16 1996-08-06 Levocz; Reynold J. Adjustable golf putter
US6142884A (en) 1997-12-17 2000-11-07 Yim; Hyung Jin Adjustable golf putter
KR100584815B1 (ko) 1997-12-17 2006-05-30 (주)리임코리아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골프 퍼터
KR101406532B1 (ko) 2013-09-02 2014-06-27 주식회사 리임코리아 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310B1 (ko) 골프채
US9782641B2 (en) Releasable and interchangeable connections for golf club heads and shafts
JPH0621504Y2 (ja) パター兼用ゴルフクラブ
US9272193B1 (en) Golf putter
US9050507B2 (en) Releasable and interchangeable connections for golf club heads and shafts
US7993211B2 (en) Golf club with plural alternative impact surfaces
US9522308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including structure to selectively adjust the face and lie angle of the club head
US20070004528A1 (en) Method for Fitting Golf Clubs to a Golfer
KR20000071106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골프 퍼터
US9403066B2 (en) Adjustable golf club system
US8727899B1 (en) Adjustable golf club hosel assembly
US7410423B2 (en) Golf club having an adjustable shaft angle
US20060264264A1 (en) Golf putter with adjustable head and shaft angle
US9636551B1 (en) Adjustable golf club shaft and hosel assembly
US20140024473A1 (en) Golf Club with Adjustable Shaft
US6129637A (en) Golf practice device
US7429218B2 (en) Golf club having an adjustable shaft angle
KR20180083527A (ko) 퍼터
US20200179770A1 (en) Lie Adaptor
KR101406532B1 (ko) 퍼터
JP3134206U (ja) ゴルフクラブ
JP2008518654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角度調節器
KR101197305B1 (ko) 골프 퍼터
US20210400300A1 (en) Affine motion estimation for affine model-based video coding
JP2017525547A (ja) 規制された調節性を有するゴルフパ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