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452A -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 Google Patents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452A
KR20180083452A KR1020170004760A KR20170004760A KR20180083452A KR 20180083452 A KR20180083452 A KR 20180083452A KR 1020170004760 A KR1020170004760 A KR 1020170004760A KR 20170004760 A KR20170004760 A KR 20170004760A KR 20180083452 A KR20180083452 A KR 2018008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ump
heat
storage tank
func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617B1 (ko
Inventor
곽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to KR102017000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6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3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the system uses a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4/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eat pumps
    • F24H4/02Water heaters
    • F24H4/04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fro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70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2Hot 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2Heat recovery pumps, i.e. heat pump based systems or units able to transfer the thermal energy from one area of the premises or part of the facilities to a different one,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용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축열식 히트펌프 시스템을 1개의 리모컨으로 히트펌프의 입수 및 출수 온도제어, 축열조 온도제어, 실내온도제어, 실내의 선택되는 지점의 온도제어가 가능하고, 축열운전/축냉운전/히터운전을 하면서 동시에 부하운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히트펌프 내의 제상운전이 가능하도록 조작하며, 제어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용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면 상단부에 엘시디 화면이 형성되며, 상기 엘시디 화면에는 실내온도 설정부 및 축열조온도 설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온도 설정부의 좌측부에 히트펌프의 운전 및 기능표시부가 형성되며, 축열조온도 설정부의 우측부에 각각의 히트펌프의 호기별 상태표시부가 형성되어, 선택되는 모드에서 활성화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엘시디 화면의 하단부에는 선택, 온도조정 상하, 운전/정지버튼이 형성되며; 전면 하단부에는 상세기능 조작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세기능 조작부에는 좌측부에 증가,감소, 다음, 이전, 확인 버튼을 선택하는 커서부가 형성되며, 우측부에는 냉방/난방, 실내, 축열조,상태, 해제, 외출,TEST,제상, 관리, 부가기능,타이머, 장비번호를 선택하는 버튼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Remote controller for multi heat pump system with thermal storage tank}
본 발명은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용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축열식 히트펌프 시스템을 1개의 리모컨으로 히트펌프의 입수 및 출수 온도제어, 축열조 온도제어, 실내온도제어, 실내의 선택되는 지점의 온도제어가 가능하고, 축열운전/축냉운전/히터운전을 하면서 동시에 부하운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히트펌프 내의 제상운전이 가능하도록 조작하며, 제어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용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동일한 1개의 리모컨으로, 실시간으로 다수개의 히트펌프의 축열조, 실내, 실외, 제상운전조건 및 상황을 파악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작동되도록 조작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트펌프는 초기설치비용이 높으나 운영시의 냉난방비가 매우 저렴하므로 장기적으로는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으므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히트펌프의 구성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등 일반적으로 냉동사이클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의 액화와 기화에 의해 실내와 실외 사이에서 열을 전달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한다.
즉, 냉방시스템으로 동작하는 경우 냉매가 증발기에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응축기를 통해 실외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실내를 냉방시키고, 난방시스템으로 작동하는 경우 냉매가 증발기에서 실외의 열을 흡수하여 응축기를 통해 실내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실내를 난방시킨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사이클 내에 방향전환밸브를 추가시킴으로써 냉매의 순환방향을 정 또는 역방향으로 제어함에 의해 여름철에는 냉방장치로 겨울철에는 난방장치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증발기와 응축기의 역할은 서로 바뀌게 된다.
히트펌프의 에너지원으로서는 공기, 물, 지열 등이 사용되며, 하천수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은 온도가 거의 일정하고 초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부하에 대량의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실용화가 추진되고 있다.
응축온도가 낮을수록 열을 쉽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냉방시 하천수를 응축열원으로 이용할 경우 하천수의 온도가 여름철 외기온도보다 낮으므로 히트펌프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고, 반대로 증발온도가 높을수록 열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난방시 하천수를 증발열원으로 이용할 경우 하천수의 온도가 겨울철 외기온도보다 높으므로 히프펌프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어서, 하천수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는 수열원과 공기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공기열원을 위한 핀코일 열교환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수열원은 별도의 축열조 또는 축냉조가 설치되어, 난방부하 및 냉방부하에 필요한 열원을 축열조 또는 축냉조에 저장하는 축열식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종래에 히트펌프시스템의 운전상태를 파악하고, 설정된 작동조건이 되도록 제어하여, 조작하는 기능은 중앙관제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 진다.
종래의 중앙관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구축비용이 발생되며, 이를 관리하는 유지 및 고정 인력에 따른 고정비용도 매우 크므로, 사용자는 시스템 유지 및 운전비용등에 경제적인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비용으로 인하여, 소규모 및 중규모의 히트펌프시스템의 사용을 꺼리게 되며, 효율이 낮은 개별 냉난방설비의 구축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해당 기술의 리모컨에 대한 종래기술은 모두 간단한 공기조화기를 조작하는 편의성에 관한 기술이며, 축열조와 연계한 히트펌프의 운전상태를 파악하고, 설정된 실내온도조건, 축열온도조건이 되도록 히트펌프를 조작시키고, 제상이나, 착설등과 같은 부가기능을 조작하는 히트펌프시스템을 위한 리모컨의 개발이 시급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9873 대한민국 특허공보 10-487475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161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다수개로 이루어지는 축열식 히트펌프 시스템을 1개의 리모컨으로 히트펌프의 입수 및 출수 온도제어, 축열조 온도제어, 실내온도제어, 실내의 선택되는 지점의 온도제어가 가능하고, 축열운전/축냉운전/히터운전을 하면서 동시에 부하운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히트펌프내의 제상운전이 가능하도록 조작하며, 제어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용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1개의 리모컨으로, 실시간으로 다수개의 히트펌프의 축열조, 실내, 실외, 제상운전조건 및 상황을 파악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작동되도록 조작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면 상단부에 엘시디 화면이 형성되며, 상기 엘시디 화면에는 실내온도 설정부 및 축열조온도 설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온도 설정부의 좌측부에 히트펌프의 운전 및 기능표시부가 형성되며, 축열조온도 설정부의 우측부에 각각의 히트펌프의 호기별 상태표시부가 형성되어, 선택되는 모드에서 활성화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엘시디 화면의 하단부에는 선택, 온도조정 상하, 운전/정지버튼이 형성되며; 전면 하단부에는 상세기능 조작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세기능 조작부에는 좌측부에 증가,감소, 다음, 이전, 확인 버튼을 선택하는 커서부가 형성되며, 우측부에는 냉방/난방, 실내, 축열조,상태, 해제, 외출,TEST,제상, 관리, 부가기능,타이머, 장비번호를 선택하는 버튼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로 이루어진 히트펌프에 축열조가 연결되어 냉방 및 난방부하에 필요한 부하를 공급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을 1개의 리모컨으로 현재 운전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조건으로 설정되도록 원격 제어가능한 리모컨에 관한것이다,
이는 종래의 중앙통제관리시스템과 같은 고비용의 관리 및 제어시스템이 전혀 필요없이, 1개의 간단한 통상의 리모컨으로 조작 및 제어가 가능하므로, 시스템 구축의 비용이 매우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1개의 간단한 리모컨으로 히트펌프의 입수 및 출수 온도제어, 축열조 온도제어, 실내온도제어, 실내의 선택되는 지점의 온도제어가 가능하고, 축열운전/축냉운전/히터운전을 하면서 동시에 부하운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더 나아가 히트펌프내의 제상운전이 가능하도록 조작하며, 제어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1개의 리모컨으로, 실시간으로 다수개의 히트펌프의 축열조, 실내, 실외, 제상운전조건 및 상황을 파악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작동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에 의하여 조작 및 제어되는 히트펌프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의 제품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시디 화면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부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을 살펴보면,
전면 상단부에 엘시디 화면(100)이 형성되며, 상기 엘시디 화면(100)에는 실내온도 설정부(120) 및 축열조온도 설정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온도 설정부(120)의 좌측부에 히트펌프의 운전 및 기능표시부(110)가 형성되며, 축열조온도 설정부(130)의 우측부에 히트펌프의 호기별 상태표시부(140)가 형성되어, 선택되는 모드에서 활성화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엘시디 화면(100)의 하단부에는 선택(210), 온도조정 상하(220), 운전/정지(230) 버튼이 형성되며;
전면 하단부에는 상세기능 조작부(300)가 형성되며, 상기 상세기능 조작부 (300)에는 좌측부에 증가(311),감소(312), 다음(313), 이전(314), 확인(315) 버튼을 선택하는 커서부(310)가 형성되며, 우측부에는 냉방/난방(321), 실내(322), 축열조(323),상태(324), 해제(325), 외출(326),TEST(327),제상(328), 관리(329), 부가기능(330),타이머(331), 장비번호(332)를 선택하는 버튼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온도 설정부(120)는 실내, 입수, 실외, 설정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열조온도 설정부(130)는 축열조, 출수,습도, 설정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택(210)버튼에 의하여, 실내 또는 축열조의 필요한 모드가 선택되고, 온도조정 상하(220) 버튼에 의하여 온도가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상세기능 조작부(300)의 커서부(310)에 의해 필요한 모드가 선택되며, 온도조정이 가능하게 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의 운전 및 기능표시부(110)는 히트펌프의 축열조의 축열운전을 위한 난방아이콘(111), 축냉운전을 위한 냉방아이콘(112), 히트펌프운전을 하면서 난방 또는 냉방부하를 위한 부하운전아이콘(114), 축열조의 내부발열 운전을 위한 히터동작아이콘(115), 외출시 임의 설정온도로 운전하기 위한 외출아이콘(116),히트펌프의 현재 동작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관리아이콘(117)이 선택되어
활성화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세기능 조작부(300)의 커서부(310)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냉방/난방(321)버튼을 누르면 난방운전 아이콘, 냉방운전 아이콘, 부하운전 아이콘, 히터동작 아이콘이 순서적으로 변경되고 확인(315) 및 해제(325)버튼에 의하여 선택 및 해제되도록 ;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의 호기별 상태표시부(140)는 히트펌프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히트펌프 장비 번호,압축1, 압축2, 축열,부하, 제상, 점검, 고압압력값, 저압압력값이 활성화 되도록 형성되어,
해당 히트펌프 장치번호, 1번 압축기, 2번 압축기, 축열펌프, 부하펌프, 제상운전, 점검의 선택적인 활성화에 의하여, 해당 장비에서 운전된다는 의미로 활성화 표시되고, 해당 장비의 냉매사이클의 고압압력값, 저압압력값이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엘시디 화면(100)에는 예약운전을 위한 예약운전기능, 심야운전 제어를 위한 심야전기기능, 원격조작을 위한 와이파이기능, 히트펌프의 핀코일 열교환기의 착설방지제어를 위한 착설방지기능이 형성되어 있는 부가기능(150)이 활성화 형성되도록 ;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엘시디 화면(100)에는 타이머(160)기능 또는 히트펌프의 장비번호(170)가 부가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측면에는 실내온도 측정센서(400)가 형성되어 사용자 위치에서의 실내온도가 측정되고, 후면에는 별도의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구성이 형성되어 설정된 임의 위치의 온도가 측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실내온도 설정부(120)의 입수를 선택하여,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해당 설정입수온도에 도달하도록 히트펌프가 작동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축열조온도 설정부(130)의 출수를 선택하여,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해당출수온도에 도달하도록 히트펌프가 작동되어 제어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에 의하여 조작 및 제어되는 히트펌프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2개의 압축기와 공기열원용 핀코일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히트펌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히트펌프는 축열조에 연결되어, 실내부하에 설정된 열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필요에 의하면, 축열조는 2개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2개의 히트펌프장치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축열식 히트펌프시스템에 1개의 리모컨으로 현재상태를 파악하고, 설정된 입수온도 및 출수온도의 제어값이 되도록 조작되는 원격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면 상단부에는 엘시디 화면(100)이 형성되어, 현재의 실내상태, 히트펌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한 설정값이 되도록 조작될 수 있는 다스플레이 LCD창이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엘시디 화면(100)에는 실내온도 설정부(120) 및 축열조온도 설정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온도 설정부(120)의 좌측부에 히트펌프의 운전 및 기능표시부(110)가 형성되며, 축열조온도 설정부(130)의 우측부에 히트펌프의 호기별 상태표시부(140)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엘시디 화면(100)의 하단부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버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엘시디 화면(100)의 하단부에는 실내 또는 축열조 선택버튼(210), 온도조정 상하 버튼(220), 운전정지버튼(2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전면 하단부에는 상세기능 조작부(300)가 형성되며, 상기 상세기능 조작부(300)에는 좌측부에 증가(311),감소(312), 다음(313), 이전(314), 확인(315) 버튼을 선택하는 커서부(310)가 형성되며, 우측부에는 냉방/난방(321), 실내(322), 축열조(323),상태(324), 해제(325), 외출(326),TEST(327),제상(328), 관리(329), 부가기능(330),타이머(331), 장비번호(332)를 선택하는 버튼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내온도 설정부(120)는 실내, 입수, 실외, 설정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열조온도 설정부(130)는 축열조, 출수,습도, 설정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선택(210)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실내온도 설정부(120) 또는 축열조온도 설정부(130)가 선택되어 활성화되는 것이다. 예컨데, 선택(210)버튼을 누르면, 실내온도 설정부(120)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며, 다시 누르면, 축열조온도 설정부(130)가 선택되어 활성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활성화의 의미는 선택되는 지점이 엘시디 화면상에서 점멸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만약, 실내온도 설정부(120)의 '실내' 또는 '입수' 가 선택되어 활성화되면, 온도조정상하(220)버튼을 눌러서 '실내' 또는 '입수' 의 필요한 온도값이 되어 온도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며, 특정시간 이상 유지 및 확인(315)버튼을 누르면 온도값이 설정되는 것이다.
만약, 축열조온도 설정부(130)의 '축열조' 또는 '출수' 가 선택되어 활성화되면, 온도조정 상하 버튼(220)을 눌러서 '축열조' 또는 '출수' 의 필요한 온도값이 되도록 온도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며, 특정시간 이상 유지 및 확인(315)버튼을 누르면 온도값이 설정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리모컨의 특징으로서, 리모컨으로 실내온도 및 축열조 온도를 설정하면, 도 1에 나타낸 히트펌프가 반응하여, 2개의 압축기로 작동하여, 냉매사이클의 고압 및 저압을 조정하여, 설정된 온도값이 되도록 사이클을 가변시키며, 설정된 온도값이 형성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는 설비비용이 고가인 중앙관리시스템이 없이,간편한 리모컨의 동작으로 등록된 관리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비용이 매우 저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을 위하여, 상기 상세기능 조작부(300)에 형성된 커서부(310)를 이루는 다음(313), 이전(314), 확인(315) 버튼을 선택하여, 실내온도 설정부(120) 또는 축열조온도 설정부(130)가 선택되어 활성화되도록 하며, 증가(311),감소(312)버튼을 눌러서 필요한 온도값을 조정하여, 설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의 운전 및 기능표시부(110)는 히트펌프의 축열조의 축열운전을 위한 난방아이콘(111), 축냉운전을 위한 냉방아이콘(112), 히트펌프운전을 하면서 난방 또는 냉방부하를 위한 부하운전아이콘(114), 축열조의 내부발열 운전을 위한 히터동작아이콘(115), 외출시 임의 설정온도로 운전하기 위한 외출아이콘(116), 히트펌프의 현재 동작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관리아이콘(117)이 선택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를 선택하기 위하여, 냉방/난방(321)버튼을 누르면 난방운전 아이콘, 냉방운전 아이콘, 부하운전 아이콘, 부하운전 아이콘, 히터동작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변경되고 확인(315) 및 해제(325)버튼에 의하여 선택 및 해제되도록 ;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실내(322) 또는 축열조(323)버튼을 누르면, 상기 엘시디 화면(100)의
실내온도 설정부(120) 및 축열조온도 설정부(130)가 선택되어 활성화 되는 것이다.
또한, 상태(324)버튼을 누르면, 해당 히트펌프장치의 동작상태가 엘시디화면(100)의 히트펌프의 호기별 상태표시부(140)에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제상(328)버튼을 누르면, 난방운전시에 히트펌프내의 핀코일 열교환기에 부착된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히트펌프의 역사이클인 제상사이클이 작동되는 것이며, 이는 난방운전시에만 수동작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히트펌프운전을 하면서 난방 또는 냉방부하를 위한 부하운전아이콘(114)이 선택되면, 히트펌프의 운전과는 별도로 축열조로부터 실내에 공급되는 난방 또는 냉방부하를 위한 제어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축열조의 내부발열 운전을 위하여 히터동작 아이콘(115)이 선택되면, 히트펌프를 작동함에도 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난방공급이 부족한 경우에는 축열조 내부에 장착된 히터를 동작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관리(329)버튼을 누르면 등록된 관리자가 프로그램 설정이나 변경을 위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부가기능(330)버튼을 누르면 상기 엘시디 화면(100)에는 예약운전을 위한 예약운전기능, 심야운전 제어를 위항 심야전기기능, 원격조작을 위한 와이파이기능, 히트펌프의 핀코일 열교환기의 착설방지제어를 위한 착설방지기능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타이머(331)버튼은 현재시간, 경과시간, 잔여시간, 반복, 시작, 종료 시간을 설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장비번호(332)버튼은 해당 히트펌프를 선택하여, 현재의 장치상태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의 호기별 상태표시부(140)는 히트펌프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히트펌프장치 번호,압축1, 압축2, 축열,부하, 제상, 점검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도록 형성되어서, 히트펌프장치번호, 1번 압축기, 2번 압축기, 축열펌프, 부하펌프, 제상운전, 점검이 운전시에 운전된다는 의미로 활성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냉매사이클의 고압압력값, 저압압력값이 활성화되어 표시되며, 이는 1개의 리모컨으로 해당 히트펌프의 고압 및 저압, 제상, 점검, 압축기의 상태를 파악하여, 과도한 고압이거나, 저압인 경우에는 냉매사이클을 제어 및 조작하여, 설정된 값에 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엘시디 화면(100)에는 4개의 기능을 포함하는 부가기능(150)이 부가되어 있으며, 이는 예약운전을 위한 예약운전기능, 심야운전 제어를 위한 심야전기기능, 원격조작을 위한 와이파이기능, 히트펌프장치의 공기핀 열교환기의 착설방지제어를 위한 착설방지기능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심야전기기능은 심야에 전기세가 저렴한 심야전기가 채택되는 조건에서는 선택적으로 심야에 히트펌프장치를 작동시켜서, 축열조에 축열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며,
와이파이 기능은 본 발명의 리코콘으로 원격으로 히트펌프시스템을 구동시키며, 운전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것이며,
착설방지기능은 히트펌프 내에 설치된 핀 코일 열교환기에 부착된 눈을 공기팬에 의하여 노즐을 통하여 고압을 분사시켜서, 눈을 제거시키는 기능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엘시디 화면(100)에는 타이머(160)기능이 부착되어 현재시간, 경과시간, 잔여시간, 반복 기능이 포함되어, 리모컨으로 히트펌프시스템의 구동시간 및 잔여시간, 반복 기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조작 제어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히트펌프의 장비번호(170)가 부가되어, 다수개로 이루어진 히트펌프 중에서 어떤 히트펌프가 작동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측면에는 실내온도 측정센서(400)가 형성되어서 실내의 온도를 파악하고, 후면에는 별도의 온도센서가 장착되어 임의의 설정된 위치에서 온도가 측정되도록 형성되어, 실내의 온도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실내의 입수온도를 설정하면, 설정된 입수온도가 되도록 히트펌프의 고압 및 저압의 냉매사이클이 변경하게 되도록, 압축기 및 전자팽창변이 제어되어서 해당 입수온도에 도달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축열조의 출수온도가 설정되면, 해당 설정온도에 도달되도록, 히트펌프의 냉매사이클이 변경되도록, 압축기 및 전자팽창변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해당 기술분야의 리모컨에 대한 것이므로, 입수온도 및 출수온도가 설정값에 어떻게 도달되도록 히트펌프가 어떻게 작동되는 방법은 여기서 생략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엘시디 화면 110: 히트펌프의 운전 및 기능표시부
111: 난방아이콘 112: 냉방아이콘
114: 부하운전아이콘 115: 히터동작아이콘
116: 외출아이콘 117: 관리아이콘
120: 실내온도 설정부 130: 축열조온도 설정부
140: 히트펌프의 호기별 상태표시부 150,330: 부가기능
160: 타이머 170: 장비번호
210: 선택 220: 온도조정 상하
230: 운전정지
300: 상세기능 조작부 310: 커서부
311: 증가 312:감소
313: 다음 314: 이전
315: 확인
321: 냉방/난방 322: 실내
323 축열조 324: 상태
325:해제 326: 외출
327: TEST 328: 제상
329: 관리 331: 타이머
332: 장비번호
400: 실내온도 측정센서

Claims (8)

  1. 전면 상단부에 엘시디 화면(100)이 형성되며, 상기 엘시디 화면(100)에는 실내온도 설정부(120) 및 축열조온도 설정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온도 설정부(120)의 좌측부에 히트펌프의 운전 및 기능표시부(110)가 형성되며, 축열조온도 설정부(130)의 우측부에 히트펌프의 호기별 상태표시부(140)가 형성되어, 선택되는 모드에서 활성화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엘시디 화면(100)의 하단부에는 선택(210), 온도조정 상하(220), 운전/정지(230) 버튼이 형성되며;
    전면 하단부에는 상세기능 조작부(300)가 형성되며, 상기 상세기능 조작부 (300)에는 좌측부에 증가(311),감소(312), 다음(313), 이전(314), 확인(315) 버튼을 선택하는 커서부(310)가 형성되며, 우측부에는 냉방/난방(321), 실내(322), 축열조(323),상태(324), 해제(325), 외출(326),TEST(327),제상(328), 관리(329), 부가기능(330),타이머(331), 장비번호(332)를 선택하는 버튼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온도 설정부(120)는 실내, 입수, 실외, 설정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열조온도 설정부(130)는 축열조, 출수,습도, 설정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택(210)버튼에 의하여, 실내 또는 축열조의 필요한 모드가 선택되고, 온도조정 상하(220) 버튼에 의하여 온도가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상세기능 조작부(300)의 커서부(310)에 의해 필요한 모드가 선택되며, 온도조정이 가능하게 되도록;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의 운전 및 기능표시부(110)는 히트펌프의 축열조의 축열운전을 위한 난방아이콘(111), 축냉운전을 위한 냉방아이콘(112), 히트펌프운전을 하면서 난방 또는 냉방부하를 위한 부하운전아이콘(114), 축열조의 내부발열 운전을 위한 히터동작아이콘(115), 외출시 임의 설정온도로 운전하기 위한 외출아이콘(116),히트펌프의 현재 동작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관리아이콘(117)이 선택되어
    활성화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세기능 조작부(300)의 커서부(310)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냉방/난방(321)버튼을 누르면 난방운전 아이콘, 냉방운전 아이콘, 부하운전 아이콘, 히터동작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변경되고 확인(315) 및 해제(325)버튼에 의하여 선택 및 해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의 호기별 상태표시부(140)는 히트펌프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히트펌프 장비 번호,압축1, 압축2, 축열,부하, 제상, 점검, 고압압력값, 저압압력값이 활성화 되도록 형성되어,
    해당 히트펌프 장치번호, 1번 압축기, 2번 압축기, 축열펌프, 부하펌프, 제상운전, 점검의 선택적인 활성화에 의하여, 해당 장비에서 운전된다는 의미로 활성화 표시되고, 해당 장비의 냉매사이클의 고압압력값, 저압압력값이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시디 화면(100)에는 예약운전을 위한 예약운전기능, 심야운전 제어를 위한 심야전기기능, 원격조작을 위한 와이파이기능, 히트펌프의 핀코일 열교환기의 착설방지제어를 위한 착설방지기능이 형성되어 있는 부가기능(150)이 활성화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시디 화면(100)에는 타이머(160)기능 또는 히트펌프의 장비번호(170)가 부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에는 실내온도 측정센서(400)가 형성되어 사용자 위치에서의 실내온도가 측정되고, 후면에는 별도의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구성이 형성되어 설정된 임의 위치의 온도가 측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8. 제7항에 있어서,
    실내온도 설정부(120)의 입수를 선택하여,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해당 설정입수온도에 도달하도록 히트펌프가 작동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축열조온도 설정부(130)의 출수를 선택하여,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해당출수온도에 도달하도록 히트펌프가 작동되어 제어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KR1020170004760A 2017-01-12 2017-01-12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KR10191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760A KR101917617B1 (ko) 2017-01-12 2017-01-12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760A KR101917617B1 (ko) 2017-01-12 2017-01-12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452A true KR20180083452A (ko) 2018-07-23
KR101917617B1 KR101917617B1 (ko) 2018-11-19

Family

ID=6310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760A KR101917617B1 (ko) 2017-01-12 2017-01-12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3577A (zh) * 2019-11-29 2020-04-17 星络智能科技有限公司 存储介质、智能面板及热水器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475B1 (ko) 2001-09-07 2005-05-0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의 리모콘
KR20070009873A (ko) 2005-07-14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KR101161203B1 (ko) 2011-09-20 2012-07-02 하이에어공조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리모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8600B2 (ja) * 2007-08-03 2012-11-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給湯装置
JP2012047394A (ja) 2010-08-26 2012-03-08 Sanyo Electric Co Ltd ヒート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475B1 (ko) 2001-09-07 2005-05-0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의 리모콘
KR20070009873A (ko) 2005-07-14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유선리모콘
KR101161203B1 (ko) 2011-09-20 2012-07-02 하이에어공조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리모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3577A (zh) * 2019-11-29 2020-04-17 星络智能科技有限公司 存储介质、智能面板及热水器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617B1 (ko) 201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7306B2 (en) Heat pump system, heat pump uni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functional modes thereof
US8756943B2 (en) Refrigerant charge management in a heat pump water heater
US108234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ee and positive defrost
CN106322768B (zh) 热水器及其控制方法
CN105588335B (zh) 热水器和供应热水的方法
CA2709062A1 (en) Heat pump water heater and associated control system
CN107499088B (zh) 一种汽车空调热泵、汽车和控制方法
US6931871B2 (en) Boosted air source heat pump
WO2006073895A3 (en) Heat exchanger liquid refrigerant defrost system
CA2883799A1 (en) Thermal energ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1098932B2 (en) Method for air-conditioning of environments in the marine field
CN101876475A (zh) 中央空调的控制方法及系统
KR101454756B1 (ko) 이원냉동사이클을 갖는 축열장치 및 그 운전방법
WO2014174792A1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CN101162114B (zh) 热泵装置
CN204902305U (zh) 热回收风冷热泵冷热水机
KR101917617B1 (ko) 축열식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용 리모컨
JP6065606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KR20130005197A (ko) 환경 적응 공조 시스템 및 방법
CN105650872B (zh) 一种热水器
CN101660802A (zh) 与热泵相关联的热水循环系统及其控制方法
JP4478052B2 (ja) 給湯暖房機
CN113237258A (zh) 空调机组及其除霜控制方法
JP3857221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暖房装置
JP2001235248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