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399A - 사용자 장비, 서빙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및 서빙 기지국의 방법들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 서빙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및 서빙 기지국의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399A
KR20180083399A KR1020187017006A KR20187017006A KR20180083399A KR 20180083399 A KR20180083399 A KR 20180083399A KR 1020187017006 A KR1020187017006 A KR 1020187017006A KR 20187017006 A KR20187017006 A KR 20187017006A KR 20180083399 A KR20180083399 A KR 20180083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erving base
user equipment
transmission
dis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윈 덩
용 리우
동 리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8008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centralized, e.g. when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or equivalent takes part in the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서빙 기지국을 통해 셀룰러 송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의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서빙 기지국의 방법, 사용자 장비, 및 서빙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장비, 서빙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및 서빙 기지국의 방법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비, 서빙 기지국, 및 그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LTE 릴리스 12에서, 근접 서비스들(Proximity Services, ProSe) 직접 발견이 LTE-A에 도입되었고, ProSe는 또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통신 서비스라고도 불리며, 사용자 장비는 D2D 발견 시그널을 1차 셀(즉, PCell)에서 송신할 수 있다. LTE 릴리스 13에서 ProSe 직접 발견은 비-서빙 셀 및/또는 2차 셀에서 발견 송신을 지원하도록 향상될 필요가 있다. 2차 셀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 서빙 셀로서 속할 수 있다.
RAN2#89bis 회의 협정에 따르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다른 캐리어에서 D2D 발견 시그널을 송신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는 것이 허용된다. RRC 시그널링은 비-1차 셀에 대해 타입 1 또는 타입 2 발견 구성을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비-1차 셀에서 발견 송신 리소스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 현재로서는 아직 좋은 해결책이 없다.
또한, 일단 사용자 장비가 비-1차 셀에서 발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면, 사용자 장비는 셀룰러 시그널이 송신되는 동안 발견 시그널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전력을 셀룰러 송신과 D2D 발견 송신 사이에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점도 해결될 필요가 있다.
앞에서 언급한 선행 기술에서의 기술적 문제점의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위의 및 다른 선행 기술에서의 기술적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의 방법 및 서빙 기지국의 방법뿐만 아니라 그것의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및 서빙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을 통해 셀룰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의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리소스가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 또는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를 서빙 기지국이 결정하도록, 요청 메시지 내에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측정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서빙 기지국이 결정하도록, 서빙 기지국에 측정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높은 시그널 품질을 갖는 셀이 주파수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만 서빙 기지국으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사용자 장비가 추가 PLMN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서빙 기지국이 속한 PLMN과는 다른 추가 PLMN의 신원을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셀룰러 송신과 D2D 발견 송신 사이에 전력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셀룰러 송신이 D2D 발견 송신보다 항상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만, 1차 셀 또는 2차 셀에서의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D2D 발견 송신이 1차 셀에서의 셀룰러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지만, 2차 셀에서의 셀룰러 송신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D2D 발견 송신을 위해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이 설정되고, D2D 발견 송신 전력의 실제 전력은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보다 크지 않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의 셀룰러 송신을 서빙하는 서빙 기지국의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표시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요청 메시지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리소스가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 또는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리소스가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 것이 결정되는 경우, 사용자 장비가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도록 측정 구성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요청 메시지가 추가 PLMN의 신원을 포함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이 속한 PLMN과는 다른 추가 PLMN 내의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요청 정보가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추가 PLMN의 주파수들로부터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결정된 비-서빙 기지국에게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비-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할당된 리소스를 사용자 장비에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측정 보고를 비-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 경우에만 표시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을 통해 셀룰러 송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는,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표시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D2D 발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의 셀룰러 송신을 서빙하는 서빙 기지국이 제공된다. 서빙 기지국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표시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비-1차 셀에서 발견 송신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 및 비-1차 셀에서 발견 송신을 지원하기 위한 실현 가능한 전력 할당 메커니즘에 대한 기술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aggregation) 또는 이중 접속 시나리오들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가 셀룰러 서빙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 상의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리소스 할당 프로세스를 실현한다. 게다가 전력 할당에서 세 가지 시나리오가 고려된다. 세 가지 시나리오에서, 특히 D2D 발견 송신이 서브프레임 내에서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때, 셀룰러 송신과 D2D 발견 송신 사이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수 개의 상이한 옵션이 제안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비-서빙 셀의 주파수 상에서 양호한 D2D 발견 성능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또는 이중 접속 시나리오들을 지원하지 않는 사용자 장비도 고려한다. 이 상황에서, 사용자 장비는 비-1차 셀에서 발견을 수행하기 위한 스케줄링 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위의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이해하기 쉽게 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수 개의 실시예들이 제한적으로가 아닌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셀룰러 송신과 D2D 발견 송신 사이에 상이한 관계들이 있는 시나리오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빙 기지국의 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발견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는 시그널링 상호작용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D2D 발견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는 시그널링 상호작용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빙 기지국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면들에서 도시된 수 개의 실시예들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임의의 방식으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보다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을 더 잘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위에서 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목적들 중 하나는 1차 셀에서 셀룰러 송신을 수행하면서, 인트라-PLMN(intra-PLMN) 또는 인터-PLMN(inter-PLMN) 시나리오들에서 비-1차 셀에서의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문제점들이 해결해야 한다. 하나는 비-1차 셀에서 발견 송신 리소스를 획득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 장비가 셀룰러 및 D2D 발견 송신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문제점들에 대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두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의 방법 및 서빙 기지국의 방법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및 서빙 기지국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를 위한 방법(100)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방법(100)은 무선 통신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 장비는 서빙 기지국을 통해 셀룰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방법(100)은 도 6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사용자 장비(6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은 시작된 후 단계(101)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101)에서, 방법(100)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는 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특정 통신 시나리오들에서, 서빙 기지국을 통해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는 이웃하는 다른 사용자 장비가 그것을 발견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비-서빙 주파수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함으로써, D2D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웃 사용자 장비와의 사이에 D2D 통신 채널을 설립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정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비는 다른 주파수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를 할당받지 않는다. 따라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UE는 주파수 상에서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00)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는, 리소스가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지 또는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지를 서빙 기지국이 결정하도록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요청 메시지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를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요청 메시지로부터 주파수를 획득한 이후, 서빙 기지국은 주파수 상의 리소스가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이 주파수 상에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는 경우, 할당된 리소스를 사용자 장비에 통지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이 주파수 상에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없는 경우, 주파수 리소스를 지배하는 비-서빙 기지국에게 리소스를 할당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00)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는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고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높은 시그널 품질을 갖는 셀이 이 주파수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만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특정 주파수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성을 결정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는 주파수 상에서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고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높은 시그널 품질을 갖는 셀이 검출되면, 사용자 장비는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그것은 적어도 사용자 장비가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맹목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시스템의 리소스들을 절약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미리 결정된 조건은 특정 기술 환경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조건은 3GPP TS 36.304에 따라 적합한 셀을 정의하는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00)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가 서빙 기지국이 속한 PLMN 이외의 다른 PLMN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른 PLMN의 신원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셀룰러 송신과 상이한, 다른 PLMN의 주파수 상에서의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사용자 장비는 요청 메시지를 통해 서빙 기지국에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가 속하는 다른 PLMN의 신원을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요청 메시지의 신원에 기초하여, 리소스가 다른 PLMN 내의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가 요청 메시지 내의 PLMN 신원을 표시하지 않으면,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현재 PLMN 내에서 D2D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다음으로, 방법(100)은 단계(102)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102)에서, 방법(100)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는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표시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빙된 사용자 장비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서빙 기지국은 그에 대응하여, 상이한 상황들에서 상이한 인자들에 의존하여 사용자 장비에 D2D 발견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는 상이한 방식들을 채택할 수 있음이 인정될 수 있다. 그 후에, 서빙 기지국은 표시 메시지를 통해, 할당된 리소스를 사용자 장비에 통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서빙 기지국이 결정하도록, 방법(100)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는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측정 구성을 수신할 수 있고, 서빙 기지국에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이 주파수 상에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없음을 발견하는 경우, 비-서빙 기지국에게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구성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측정 구성에 따라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한 다음,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은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주파수 상에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비-1차 셀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한 측정 결과로부터 가장 강한 셀을 알 수 있고, 그 다음으로 서빙 기지국은 비-서빙 기지국에게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비로 비-1차 셀 내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법(100)은 단계(103)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103)에서, 방법(100)을 수행하는 사용 장비는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103)를 완료한 이후, 방법(100)은 종료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비-1차 셀에서 발견 송신 리소스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제1 문제점을 해결한 이후, 사용자 장비의 셀룰러 및 D2D 발견의 동시 송신 사이에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한 제2 문제점을 추가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점에 대한 본 개시내용의 해결책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셀룰러 송신과 D2D 발견 송신 사이에 상이한 관계들이 존재하는 시나리오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번호(201)는 서브프레임 내의 1차 셀 상에서의 셀룰러 송신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들(202-204)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비-1차 셀 주파수 상에서의 D2D 발견 송신을 나타낸다.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셀룰러 송신과 D2D 발견 송신의 발생순서적 관계에 따라, 전력 할당 동안 다음 3 가지 시나리오들이 고려될 수 있다. 제1 시나리오는 이른 D2D 발견 송신을 포함하고, 즉 D2D 발견 송신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셀룰러 송신보다 더 이르다. 제2 시나리오는 동기식(synchronous) D2D 발견 송신을 포함하고, 즉 D2D 발견 송신 및 셀룰러 송신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동기식이다. 제3 시나리오는 늦은 D2D 발견 송신을 포함하고, 즉 D2D 발견 송신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셀룰러 송신보다 늦다.
제1 시나리오에 있어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D2D 발견 송신과 셀룰러 송신 사이의 전력 할당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수 개의 옵션들을 제공한다.
제1 옵션에서, 셀룰러 송신은 D2D 발견 송신보다 항상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제2 옵션에서, D2D 발견 송신이 1차 셀 또는 2차 셀에서의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D2D 발견 송신은 셀룰러 송신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이 옵션은 송신 리소스가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기 때문에, 특히 타입 2 발견에 적용될 수 있고, 사용자 장비가 이 리소스를 활용하지 않으면, 리소스가 낭비될 것이다.
제3 옵션에서, D2D 발견 송신은 1차 셀 상의 셀룰러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지만, 2차 셀 상의 셀룰러 송신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거나, D2D 발견 송신은 사운딩 참조 시그널(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주로, 1차 셀 상의 셀룰러 송신은 RRC 접속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므로, 전력 할당에서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2차 셀 상의 셀룰러 송신에서, 특정 관점에서는 그것이 매우 중요하지는 않다. 그 결과, 사용자 장비가 다른 주파수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D2D 발견을 위한 전력 할당은 2차 셀 상의 셀룰러 송신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제4 옵션에서,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주파수 상에서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해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이 설정될 수 있고, D2D 발견 송신의 실제 전력은 최대 이용가능 송신 전력보다 높지 않다. 사용자 장비가 동시적인 셀룰러 송신 및 발견 송신을 위한 충분한 전력을 갖지 않을 때, D2D 발견 송신은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을 할당받을 수 있고, 셀룰러 송신은 나머지 전력을 할당받을 수 있다. 이 옵션은 주파수에서의 D2D 발견 송신에 대한 양호한 성능을 보증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시나리오에 대하여, 셀룰러 송신은 D2D 발견 송신보다 전력 할당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사용자 장비는 셀룰러 송신을 위해 전력을 먼저 할당하고, 나머지 전력은 D2D 발견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전력 할당은 나머지 전력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불충분한 D2D 발견 성능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가 서빙 기지국이 속한 PLMN에서 셀룰러 시그널을 송신하고 동시에 다른 PLMN에서 발견 메시지를 송신할 때, 사용자 장비는 다른 PLMN이 서빙 기지국이 속한 PLMN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을 발견하는 경우,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전력 할당에 대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게 만드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제안된 전력 할당 메카니즘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인트라-PLMN의 시나리오 또는 인터-PLMN의 시나리오에 속하는 비-1차 셀에서의 D2D 발견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시나리오들의 상이한 옵션들에 대응하여, 방법(100)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는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셀룰러 송신과 D2D 발견 송신 사이에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규칙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송신은 D2D 발견 송신보다 항상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고; D2D 발견 송신이 서브프레임 내에서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D2D 발견 송신은 셀룰러 송신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지만, 1차 셀 또는 2차 셀 상에서 PRACH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고; 서브프레임 내에서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D2D 발견 송신은 1차 셀 상에서 셀룰러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지만, 2차 셀 상에서 셀룰러 송신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고; 서브프레임 내에서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D2D 발견 송신을 위해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이 설정될 수 있고, D2D 발견 송신의 실제 전력은 최대 이용 가능 전력 송신보다 높지 않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빙 기지국에 대한 방법(300)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방법(300)은 무선 통신에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의 셀룰러 송신을 서빙할 수 있다. 특히, 방법(300)은 도 7을 참조하여 이후 설명되는 서빙 기지국(7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300)은 시작된 이후 단계(301)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01)에서, 방법(300)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빙 셀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가 비-서빙 셀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것은 서빙 기지국에 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300)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은 요청 메시지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리소스가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지 또는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요청 메시지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주파수의 서빙 기지국을 명시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로부터 주파수를 획득한 후, 서빙 기지국은 주파수 상의 리소스가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이 주파수 상에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는 경우, 그것은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리소스를 통지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이 주파수 상에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없는 경우, 주파수 리소스를 지배하는 비-서빙 기지국에게 이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비-1차 셀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한 측정 결과로부터 가장 강한 셀을 알 수 있고, 그 다음으로 서빙 기지국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서빙 기지국에게 비-1차 셀에서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해 송신 리소스를 사용자 장비에 할당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리소스가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 것임이 결정되는 경우, 방법(300)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측정 구성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방법(300)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이 자신이 주파수 상에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는 경우, 비-서빙 기지국에게 리소스를 할당할 것을 요청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은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구성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측정 구성에 따라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한 다음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서빙 기지국은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주파수 상에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요청 메시지가 서빙 기지국이 속한 PLMN이 아닌 다른 PLMN의 신원을 포함하는 경우, 방법(300)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은 리소스가 다른 PLMN 내의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셀룰러 송신의 것과는 다른 PLMN의 주파수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장비는 요청 메시지를 통해 D2D 발견 송신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주파수가 속한 다른 PLMN의 신원을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요청 메시지 내의 신원에 기초하여 다른 PLMN 내의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가 요청 메시지에서 PLMN 신원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현재 PLMN 내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위의 실시예들의 추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주파수를 요청 메시지가 포함하지 않는 경우, 방법(300)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은, 다른 PLMN의 주파수들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요청 메시지는 다른 PLMN의 신원을 포함하지만, D2D 발견 송신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주파수를 나타내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다른 PLMN의 주파수 범위로부터 독자적으로 선택한 다음, 다른 PLMN에서의 특정 기지국에게 선택된 주파수에 따른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300)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은 결정된 비-서빙 기지국에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하고, 비-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할당된 리소스를 사용자 장비에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되는지를 결정한 이후, 서빙 기지국은 비-서빙 기지국에게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한 다음, 비-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리소스에 관한 표시를 수신하고, 그 이후에 할당된 리소스를 사용자 장비에 통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서빙 기지국에게 비-1차 셀에서의 D2D 발견 송신에 사용될 사용자 장비에 대한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300)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은 측정 보고를 비-서빙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비-서빙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주파수에 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한 이후, 그것은 주파수 상의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특정 동작에 유리하다.
다음으로, 방법(300)은 단계(302)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방법(300)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은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300)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에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 경우에만 표시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예를 들어 셀룰러 송신이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보장할 필요가 있을 때, 서빙 기지국은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302)가 종료된 이후, 방법(300)은 종료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발견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는 시그널링 상호작용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로서, 도 4는 동일한 PLMN의 시나리오 내에서 셀룰러 시그널이 송신되는 동안 D2D 발견 시그널을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 서빙 기지국, 및 비-서빙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상호작용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그널링 상호작용 프로세스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특정 예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도시된 세부 사항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인정될 것이다.
이 특정 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상이한 셀들 내에서의 동시적인 셀룰러 송신 및 D2D 발견 송신을 지원하는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또는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사용자 장비는 1차 셀에 액세스했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RRC 접속을 설립했다. 사용자 장비가 높은 처리량(throughput) 요건을 갖는다면,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2차 셀 또는 2차 셀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제, 사용자 장비는 비-1차 셀에서 D2D 발견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있고, 특정 주파수 F1 상에서의 송신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SidelinkUEInform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서빙 기지국은 셀룰러 서비스가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주파수 F1 상에서의 D2D 발견 송신 및 1차 셀 상에서의 셀룰러 송신(TX/RX)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하고, 사용자 장비가 동시에 두 개의 송신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한다.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빙 기지국은 주파수 F1에서 사용자 장비를 위한 송신 리소스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빙 기지국이 주파수 F1에서 D2D 발견 송신 리소스를 할당할 권한을 가지지 않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다른 비-서빙 기지국들에게 주파수 F1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D2D 발견 송신의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가 어느 셀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장비는 주파수 F1에서 측정을 수행하고 주파수 F1에서 측정 보고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셀 커버리지 범위를 담당하는 비-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D2D 발견 송신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이하의 특정 프로세스에서, 독자적인 리소스 선택 또는 사용자 장비의 스케줄링된 리소스 할당이 적용될 수 있다.
단계(401)에서, 사용자 장비는 주파수 F1에서 D2D 발견 송신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402)에서, 서빙 기지국은 주파수 F1에서 측정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구성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사용자 장비는 주파수 F1에서 수행된 측정의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측정 보고에서, 사용자 장비는 어느 셀의 RSRP/RSRQ가 가장 강한지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404)에서, 서빙 기지국은 현재 셀룰러 서비스가 유지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동시적인 셀룰러 및 D2D 발견 송신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특정 예에서,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동시 송신(즉, 1차 셀 상에서의 셀룰러 송신 및 주파수 F1 내에서의 D2D 발견 송신)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하고,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동시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405)에서, 서빙 기지국은 주파수 F1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D2D 발견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특정 예에서, 비-서빙 기지국이 주파수 F1에서 D2D 발견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담당하는 것이 가정된다(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된 주파수 F1에서의 가장 강한 셀은 비-서빙 기지국에 속하고, 가장 강한 셀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된 가장 높은 RSRP 측정 결과를 갖는 셀을 나타낸다). 서빙 기지국이 주파수 F1에서 D2D 발견 송신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는 경우, 그것은 리소스 할당을 사용자 장비에 직접 나타낼 수 있다. 단계(406)에서, 서빙 기지국은 주파수 F1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D2D 발견 송신 리소스 할당에 대한 요청을 비-서빙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407)에서, 비-서빙 기지국은 주파수 F1에서 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를 사용자 장비에 할당할 수 있다. 단계(408)에서,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게 주파수 F1에서의 D2D 발견 송신 리소스의 표시를 전송할 수 있다.
주파수 F1에서 D2D 발견 송신 리소스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 장비는 주파수 F1에서 D2D 발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셀룰러 시그널이 송신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는 발견 시그널을 송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셀룰러 송신과 D2D 발견 송신 사이에 전력 할당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력 할당 프로세스는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상술한 전력 할당 해결책과 유사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발견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는 시그널링 상호작용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로서, 도 5는 서빙 기지국이 위치된 PLMN이 아닌 다른 PLMN에서 D2D 발견 시그널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 서빙 기지국, 및 비-서빙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상호작용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시그널링 상호작용 프로세스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특정 예일 뿐이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세부 사항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 특정 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다른 PLMN의 비-1차 셀에서 D2D 발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허용된다. 여기서, 사용자 장비는 다른 PLMN의 비-1차 셀에서 발견 메시지를 송신할 권한을 부여 받는다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양태에서, D2D 기능들은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시그널을 송신하도록 허용된 모든 PLMN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권한 부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특정 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1차 셀에 액세스했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RRC 접속을 설립했으며, 1차 셀의 현재 PLMN은 PLMN1이다.
이제, 사용자 장비는 다른 PLMN(예를 들어, PLMN2)의 비-1차 셀에서 D2D 발견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있고, 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도록 서빙 기지국에 SidelinkUEInformation 메시지일 수 있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501)에서, 다른 PLMN 상에서의 D2D 발견 송신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는 서빙 기지국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현재의 SidelinkUEInformation는 다른 PLMN 상에서의 D2D 발견 송신 리소스의 할당 요청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지만, 메시지는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가 다른 PLMN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서빙 기지국이 알 수 있도록, 새로운 정보 요소가 다른 PLMN의 신원을 나타내기 위해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SidelinkUEInformation)에 추가될 수 있다. 도 5의 특정 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요청 메시지에서 PLMN2를 나타낸다. 사용자 장비가 요청 메시지에서 PLMN 신원을 나타내지 않으면,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현재 PLMN(즉, PLMN1)에서 D2D 발견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 장비는 D2D 발견 송신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주파수를 요청 메시지 내에 나타내거나, 요청 메시지 내에 주파수를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요청 메시지 내에 주파수를 나타내지 않으면,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메시지를 송신하기에 적절한 PLMN2의 주파수가 어느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후속하여, 단계(502) 내지 단계(505)는 도 4를 참조하여 서술된 동작 프로세스 내의 대응하는 단계들과 유사할 수 있다. 단계(506)에서, 서빙 기지국은 비-서빙 기지국에 PLMN2의 주파수 F1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D2D 발견 송신 리소스의 할당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주파수 F1에서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 장비는 주파수 F1에서 D2D 발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셀룰러 시그널이 송신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는 D2D 발견 시그널을 송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셀룰러 송신과 D2D 발견 송신 사이에서 전력 할당이 수행되도록 요구된다. 이 양상에서, 도 2에 관하여 설명된 전력 할당 해결책이 사용될 수 있거나, 상이한 PLMN들에서의 동시적인 셀룰러 및 D2D 발견 송신을 처리하기 위해 새로운 옵션이 도입될 수 있다. PLMN 선택에서, 사용자 장비의 비-액세스(NAS) 층은 사용자 장비의 액세스(AS) 층에 대한 각각의 PLMN의 우선 순위를 나타낼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자 장비는 PLMN1과 PLMN2 사이의 우선 순위 순서를 안다. 도 5의 특정 예에서, PLMN2는 PLMN1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이 가정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사용자 장비는 PLMN2 상의 D2D 발견 송신이 PLMN1 상의 셀룰러 송신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가 동시적인 셀룰러 및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충분한 전력을 갖지 않을 때, D2D 발견 송신이 먼저 전력을 할당받을 수 있고, 셀룰러 송신은 나머지 전력을 할당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600)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의 블록도에서, 점선 블록은 선택 유닛 또는 컴포넌트를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600)는 전송 유닛(601), 수신 유닛(602), 및 D2D 발견 송신 유닛(60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용자 장비(600)의 유닛들 또는 컴포넌트들만 도시하며, 실제로 사용자 장비는 그 정상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유닛(601)은 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유닛(602)은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2D 발견 송신 유닛(603)은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리소스가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 또는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를 서빙 기지국이 결정하도록, 전송 유닛(601)은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키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유닛(602)은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측정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서빙 기지국이 결정하도록, 전송 유닛(601)은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유닛(601)은,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시키고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높은 시그널 품질을 갖는 셀이 주파수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만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유닛(601)은, 사용자 장비가 서빙 기지국이 속한 PLMN과 다른 추가 PLMN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추가 PLMN의 신원을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600)는 전력 할당 유닛(6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할당 유닛(604)은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셀룰러 송신과 D2D 발견 송신 사이에 전력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셀룰러 송신이 D2D 발견 송신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항상 갖는 것; 서브프레임 내에서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만, 1차 셀 또는 2차 셀에서의 PRACH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 서브프레임 내에서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D2D 발견 송신이 1차 셀 상에서의 셀룰러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지만, 2차 셀 상에서의 셀룰러 송신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 서브프레임 내에서 D2D 발견 송신이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D2D 발견 송신을 위해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이 설정되고, D2D 발견 송신의 실제 전력은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보다 높지 않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빙 기지국(700)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의 블록도에서, 점선 블록은 임의적(optional) 유닛 또는 컴포넌트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기지국(700)은 수신 유닛(701) 및 전송 유닛(7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서빙 기지국(700)에서의 유닛들 및 컴포넌트들만 도시한다는 것과, 실제로 서빙 기지국(700)은 그것의 정상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기능 유닛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인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유닛(701)은 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요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전송 유닛(702)은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700)은 획득 유닛(7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획득 유닛(703)은 사용자 장비의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요청 메시지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700)은 결정 유닛(7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정 유닛(704)은 획득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리소스가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 또는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유닛(702)은, 결정 유닛(704)이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되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가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장비에 측정 구성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유닛(701)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결정 유닛(704)은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정 유닛(704)은, 요청 메시지가 서빙 기지국이 속한 PLMN과는 다른 추가 PLMN의 신원을 포함하는 경우, 리소스가 추가 PLMN 내의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것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700)은 선택 유닛(7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유닛(705)은,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를 요청 메시지가 포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의 D2D 발견 송신에 대한 주파수를 추가 PLMN의 주파수들로부터 선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결정 유닛(704)은 선택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유닛(702)은 결정된 비-서빙 기지국에게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유닛(701)은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메시지를 비-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송 유닛(702)은 할당된 리소스를 사용자 장비에 나타내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유닛(702)은 측정 보고를 비-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정 유닛(704)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송 유닛(702)은,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장비가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된 경우에만 표시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용어 "포함하는(comprise)" 또는 유사한 표현들은 개방적인 의미, 즉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을 전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에 기초한"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하드웨어 부분은 전용 로직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부분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적절한 명령어 구현 시스템,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전용 설계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장치 및 방법이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및/또는 프로세서 제어 코드에 포함되어 실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런 코드는 프로그래밍가능(programmable) 메모리, 또는 광학 또는 전자 시그널 캐리어와 같은 데이터 캐리어 상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동작들이 도면들에 특정 순서로 도시되지만, 이것은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시퀀스(sequence)로 완료되어야 한다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들은 요구된 결과를 달성하도록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흐름도에 도시된 단계들의 시퀀스는 변경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단계들은 생략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계가 구현될 하나의 단계로 결합되고/결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구현될 복수의 단계로 분할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장치의 2 이상의 특징들 및 기능들이 하나의 장치로 구체화될(embodied)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와 반대로, 위에서 도시된 장치의 하나의 특징 및 기능은 복수의 장치에 의해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수 개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모든 변경들 및 동등한 배열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36)

  1. 서빙 기지국을 통해 셀룰러 송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의 방법으로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가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 또는 비-서빙 기지국(non-serving base station)에 의해 할당될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이 결정하도록,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상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측정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상기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이 결정하도록, 상기 서빙 기지국에 측정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높은 시그널 품질을 갖는 셀이 상기 주파수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서빙 기지국이 속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와는 다른 추가 PLMN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추가 PLMN의 신원을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상기 셀룰러 송신과 상기 D2D 발견 송신 사이에 전력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상기 셀룰러 송신이 상기 D2D 발견 송신보다 항상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이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상기 D2D 발견 송신이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만, 1차 셀 또는 2차 셀에서의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이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상기 D2D 발견 송신이 1차 셀에서의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지만, 2차 셀에서의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이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위해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이 설정되고, 상기 D2D 발견 송신 전력의 실제 전력은 상기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보다 높지 않은 것
    을 포함하는, 방법.
  11. 사용자 장비의 셀룰러 송신을 서빙하는 서빙 기지국의 방법으로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가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표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가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 또는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가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 것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도록 측정 구성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상기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가 상기 서빙 기지국이 속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와는 다른 추가 PLMN의 신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소스가 상기 추가 PLMN 내의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 것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상기 추가 PLMN의 주파수들로부터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상기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결정된 비-서빙 기지국에게 상기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비-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리소스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나타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비-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 경우에만 상기 표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서빙 기지국을 통해 셀룰러 송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로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표시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D2D 발견 유닛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리소스가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 또는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이 결정하도록,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상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키도록 더 구성된, 사용자 장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측정 구성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상기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이 결정하도록, 측정 보고를 상기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시키고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높은 시그널 품질을 갖는 셀이 상기 주파수 상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서빙 기지국이 속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와는 다른 추가 PLMN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추가 PLMN의 신원을 상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24. 제19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셀룰러 송신과 상기 D2D 발견 송신 사이에 전력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전력 할당 유닛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상기 셀룰러 송신이 상기 D2D 발견 송신보다 항상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이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상기 D2D 발견 송신이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지만, 1차 셀 또는 2차 셀에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이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상기 D2D 발견 송신이 1차 셀에서의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지만, 2차 셀에서의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 규칙은,
    상기 D2D 발견 송신이 상기 셀룰러 송신보다 이른 경우,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위해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이 설정되고, 상기 D2D 발견 송신의 실제 전력은 상기 최대 이용 가능 송신 전력보다 높지 않은 것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9. 사용자 장비의 셀룰러 송신을 서빙하는 서빙 기지국으로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발견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가 할당된 리소스 상에서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는 표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로부터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및
    획득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가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 또는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이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상기 리소스가 할당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 측정 구성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상기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서빙 기지국.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요청 메시지가 상기 서빙 기지국이 속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와는 다른 추가 PLMN의 신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소스가 상기 추가 PLMN 내의 상기 비-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 것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서빙 기지국.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주파수를 상기 요청 메시지가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D2D 발견 송신에 대한 주파수를 상기 추가 PLMN의 주파수들로부터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 유닛; 및
    선택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어느 비-서빙 기지국이 상기 리소스를 할당할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결정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34. 제31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결정된 비-서빙 기지국에게 상기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수신 유닛은 할당된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비-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할당된 리소스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나타내도록 더 구성되는, 서빙 기지국.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비-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서빙 기지국.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셀룰러 송신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D2D 발견 송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된 경우에만 상기 표시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서빙 기지국.
KR1020187017006A 2015-11-20 2016-11-16 사용자 장비, 서빙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및 서빙 기지국의 방법들 KR201800833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810878.6 2015-11-20
CN201510810878.6A CN106792425B (zh) 2015-11-20 2015-11-20 用户设备、服务基站以及用于用户设备和服务基站的方法
PCT/IB2016/001775 WO2017085556A2 (en) 2015-11-20 2016-11-16 User equipment, serving base station, and methods of user equipment and serving base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399A true KR20180083399A (ko) 2018-07-20

Family

ID=5783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006A KR20180083399A (ko) 2015-11-20 2016-11-16 사용자 장비, 서빙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및 서빙 기지국의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6280B2 (ko)
EP (1) EP3378247A2 (ko)
JP (1) JP2018538743A (ko)
KR (1) KR20180083399A (ko)
CN (1) CN106792425B (ko)
WO (1) WO20170855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2706B1 (en) * 2017-07-31 2024-04-10 ZTE Corporation Methods and computing device for carrying out wireless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ing sidelink carrier aggregation
CN109391925A (zh) 2017-08-10 2019-02-26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9140576A1 (zh) 2018-01-17 2019-07-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车联网系统的功率分配方法和装置
US11363520B2 (en) * 2018-11-20 2022-06-14 Qualcomm Incorporated Relay discovery in a wireless network
CN113348713B (zh) * 2019-06-19 2023-09-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设备
WO2021012167A1 (zh) * 2019-07-22 2021-01-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资源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0067B2 (en) * 2008-11-24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of user equipment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CN103037448B (zh) 2011-09-30 2015-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内容发布方法和用户设备
KR20150124298A (ko) 2014-04-28 2015-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6008149A1 (en) * 2014-07-18 2016-01-21 Sony Corporation Title of the invention
EP3270615A4 (en) * 2015-04-10 2019-03-06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TERMINAL AND BAS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96567A1 (en) 2020-09-17
CN106792425A (zh) 2017-05-31
WO2017085556A2 (en) 2017-05-26
US11076280B2 (en) 2021-07-27
WO2017085556A3 (en) 2017-08-03
CN106792425B (zh) 2019-11-19
JP2018538743A (ja) 2018-12-27
EP3378247A2 (en) 201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64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671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6096270B2 (ja) 通信制御方法、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
CN106233780B (zh) 无线终端及其方法
CN105723752B (zh) 信息传输方法、设备和系统
RU2713508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оборудование инфраструктуры, сеть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ы
US10980065B2 (en) Multi-connectivity of terminal device
US9979518B2 (en) Dual connectivity
US11076280B2 (en) User equipment, serving base station, and methods of user equipment and serving base station
RU2693014C1 (ru) Терминал,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US20140120926A1 (en) Method of operating base station and terminal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operating multiple beams
US10609607B2 (en) Enhanced reporting for handover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9942743B2 (en)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for a device to device proximity service
US9144059B2 (en) Super scheduling control channel
MX2008014359A (es) Metodo y arreglo para la entrega o transferencia en una red de acceso por radio.
WO2017020192A1 (zh) 一种负载均衡方法及装置
CN117204014A (zh) 资源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