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396A -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396A
KR20180082396A KR1020180079803A KR20180079803A KR20180082396A KR 20180082396 A KR20180082396 A KR 20180082396A KR 1020180079803 A KR1020180079803 A KR 1020180079803A KR 20180079803 A KR20180079803 A KR 20180079803A KR 20180082396 A KR20180082396 A KR 20180082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similar
predetermined
job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520B1 (ko
Inventor
박지환
김은정
천선일
Original Assignee
(주)씽크포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9850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14979A/ko
Application filed by (주)씽크포비엘 filed Critical (주)씽크포비엘
Priority to KR102018007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5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lgebra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조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은, 조직에서 수행될 소정 업무에 관한 업무 관련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 입력된 업무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라고 판정되는 업무가 존재하는지를 검색 및 판정하는 유사 업무 검색부; 및 유사 업무 검색부의 검색 결과,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유사 업무 제안부를 포함한다.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는, 유사 업무의 설정 목표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BUSINESS GOAL MANAGEMENT SYSTEM, BUSINESS GOAL MANAGEMENT NETWORK SYSTEM, AND BUSINESS GOAL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업무 목표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직의 각 업무에 대해, 조직 내 또는 조직 외의 종전의 다른 유사한 업무들과 일관성을 갖도록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변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성과 관리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높아져 가고 있다. 성과 관리는 조직과 조직 구성원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일련의 조직화된 관리 활동이라 할 수 있다. 효과적인 성과 관리를 위해서는, 조직 및 조직 구성원이 달성해야 할 목표를 각 조직 구성원의 역할 및 책임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이를 달성하도록 노력한 후 산출된 성과를 평가 및 검토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각 조직 구성원의 역량을 고려하여, 측정 가능하고 도전할 가치가 있는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은 성과 관리에 있어서 기본이 된다 할 것이다.
또한, 어느 조직에서나, 조직 구성원들의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그 조직 발전은 물론 조직 구성원 개인의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조직 구성원들의 의욕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조직 구성원들의 업무 성과를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명확하게 판정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조직 구성원들이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일관성있고 가치있는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노력에 따른 산출물에 대하여 객관적 평가를 내리는 것은 조직 경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하나의 조직 안에서도, 조직 구성원들의 업무에 관한 목표를 설정하는 관리자가 복수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서로 비슷한 업무임에도 각기 설정되는 목표가 관리자의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목표 설정이 동일한 관리자에 의하여 정해지더라도, 관리자가 수 많은 업무에 대해 할당했던 각각의 목표를 기억하기는 곤란하기 때문에, 어떤 업무에 관한 목표를 설정하는 경우 과거 존재했던 유사한 업무에 할당했던 목표와는 크게 다른 목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슷한 업무에 대해 크게 차이가 나는 목표가 각각 설정된다면, 이러한 목표 설정은 조직 구성원들의 이해를 얻기 어렵고 그에 따른 평가는 신뢰를 얻기 어렵다. 그러한 경우, 성과 관리는 각 조직 구성원들의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대신 오히려 조직 생산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60480호에는, 직원 정보와 업무 정보가 새로이 저장 또는 업데이트되면, 직원 각각이 날짜 및 시간 별로 수행해야 할 작업을 안내하는 개인 스케줄을 생성 및 시각화하여 직원 단말 각각을 통해 안내하고, 직원 단말 각각을 통해 직원 각각의 작업 내역을 모니터링하고, 직원 정보, 업무 정보, 및 직원 각각의 작업 내역을 기반으로 직원 각각의 성과 및 소요 비용을 산출 및 안내하며, 직원 정보, 업무 정보, 직원 각각의 성과 및 소요 비용을 기반으로 회사, 업무 및 직원 단위의 작업 현황을 파악 및 안내하는 컴퓨터 기반의 작업 현황 및 성과 관리망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60480호에 의하더라도, 각 업무의 목표는 여전히 관리자의 경험에 기초하여 임의로 설정될 뿐이며, 여전히 조직 구성원들이 모두 납득할 수 있도록 일관성 있게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공개번호 제10-2015-0060480호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조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은, 조직에서 수행될 소정 업무에 관한 업무 관련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 입력된 업무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라고 판정되는 업무가 존재하는지를 검색 및 판정하는 유사 업무 검색부; 및 유사 업무 검색부의 검색 결과,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유사 업무 제안부를 포함한다.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는, 유사 업무의 설정 목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에 포함된 로컬 데이터 저장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외부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별개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업무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 업무에 관한 업무 관련 정보는, 소정 업무의 업무명, 소정 업무와 관련된 다른 업무의 업무명 및 관계, 담당자, 담당자 직급, 및 초기 설정 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 업무 검색부는,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따라, 소정 업무와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 업무 검색부는,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따라, 소정 업무의 업무명과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가진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 업무는 WBS 방식에 의해 관리되어 부모 또는 자식 업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유사 업무 검색부는,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따라, 소정 업무의 부모 또는 자식 업무와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갖거나, 소정 업무의 부모 또는 자식 업무와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갖는 부모 또는 자식 업무를 갖는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된 업무 관련 정보는 소정 업무에 관한 초기 설정 목표를 포함하고, 유사 업무 검색부는, 초기 설정 목표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속하는 설정 목표를 갖는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초기 설정 목표는, 금액 또는 담당자 직급 및 시간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 업무 제안부에 의해 제공된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 업무에 관한 설정 목표를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 업무 제안부는,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서 다른 데이터에 오버랩되는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은, 유사 업무 제안부에 의해 제공된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 업무에 관한 설정 목표를 입력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하나 이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으로부터의 업무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각각은, 전술한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조직의 업무 목표를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업무 목표 관리 방법은, 등록 또는 갱신하고자 하는 소정 업무의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 관련 정보는, 소정 업무의 업무명, 소정 업무의 관련 업무명 및 관계, 담당자, 및 담당자 직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입력된 소정 업무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단계;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유사 업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된 유사 업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업무의 설정 목표가 입력 또는 변경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따라, 소정 업무의 업무명과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가진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 업무는 WBS 방식에 의해 관리되어 부모 또는 자식 업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따라, 소정 업무의 부모 또는 자식 업무와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갖거나, 소정 업무의 부모 또는 자식 업무와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갖는 부모 또는 자식 업무를 갖는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각 업무에 대해, 조직 내 또는 조직 외의 종전의 다른 유사한 업무들과 일관성을 갖도록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조직의 각 업무에 대한 목표 설정 시, 관리자 개인의 경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 내 또는 조직 외의 종전의 다른 유사한 업무들에 대한 목표를 참조하여 종전의 다른 유사한 업무들과 일관성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직의 각 업무에 관한 목표 설정 및 그에 따른 평가 등에 대해 조직 구성원들 모두의 이해를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효과적인 성과 관리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업무를 등록하거나 기존의 업무를 갱신하는 관리망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자 서버(102)의 예시적인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업무를 등록하거나 기존의 업무를 갱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록' 또는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블록' 또는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또는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제한 또는 확장하여 해석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의 성과 관리를 위하여 조직 내 새로운 업무를 등록하거나 기존의 업무를 갱신하는 관리망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관리망 시스템(100)은 복수의 관리자 서버(1021-1023), 네트워크(104), 및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1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관리자 서버(1021-1023) 각각은 각 대응하는 조직의 관리자에 의해 사용되는 관리자 서버(1021-102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관리자 서버(1021-1023)에 대응하는 각 조직은, 예컨대 회사, 회사 내 하나의 부서, 부서 내 하나의 팀 등의 조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관리자 서버(1021-1023) 각각은, 해당 조직에서 새로운 업무가 발생하거나 기존의 업무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각 관리자가 이들 새로운 업무의 등록 또는 기존 업무의 갱신을 처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자 서버(1021-1023) 각각은, 새로이 등록되거나 또는 갱신되는 업무에 관한 목표 설정 시, 해당 서버가 스스로 저장하고 있는 해당 조직 내의 종래 다른 업무들에 관한 기록을 참조하거나,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해당 조직 또는 외부의 다른 조직의 종래 다른 업무들에 관한 기록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업무는, 하나 이상의 단위 태스크를 포함하는 대규모의 프로젝트일 수도 있고, 한 명의 담당자에 의해 수행되는 단위 태스크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목표는, 측정 가능한 다양한 값일 수 있으며, 예컨대 해당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금액, 목표 시간 등 다양한 값일 수 있다. 관리자 서버(1021-1023) 각각의 내부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이하 좀 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본 도면에서는, 관리망 시스템(100)이 3개의 관리자 서버(1021-102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망 시스템(100)은 하나 또는 그 외 다른 복수의 관리자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관리자 서버(1021-1023) 각각이 네트워크(104)를 통하여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106)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네트워크(104)는 임의의 통신망일 수 있으며, 예컨대 TCP/IP 통신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네트워크(106)는, 예컨대 WiFi망, LAN망, WAN망, 인터넷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106)는 복수의 관리자 서버((1021-1023) 각각에서 이전에 등록 또는 갱신된 각각의 업무에 관한 정보, 예컨대 각 업무의 업무명, 각 업무의 관련 업무명 및 관계, 담당자, 담당자 직급, 할당된 목표, 달성 성과 등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106)는, 복수의 관리자 서버(1021-1023)와 네트워크(104)를 통해 접속되며, 복수의 관리자 서버(1021-1023) 각각의 요청에 따라 이들 각 서버에서 등록 또는 갱신된 업무에 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106)는 또한, 복수의 관리자 서버(1021-1023) 각각의 요청에 따라 해당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에 저장된 업무 및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위 요청한 관리자 서버로 반환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자 서버(102)의 예시적인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관리자 서버(102)는,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202), 유사 업무 검색부(204), 유사 업무 제안부(206), 로컬 데이터 저장소(208) 및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202)는, 새로운 업무를 등록하거나 기존의 업무를 갱신할 필요가 있을 경우, 관리자가 해당 업무에 관한 데이터, 예컨대 각 업무의 업무명, 각 업무의 관련 업무명 및 관계, 담당자, 담당자 직급, 설정 목표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무명은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정해진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업무 성격에 따라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무는 WBS(Work Breakdown Structure)에 의해 관리되어 트리 구조로 정리된 것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업무는 해당 업무의 부모 또는 자식에 해당하는 업무와 일정한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업무명은 그러한 해당 업무의 부모 또는 자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정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무의 등록 또는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에서, 관리자는, 임의로 설정한 초기 설정 목표를 입력하고, 이후에 이를 적절히 갱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업무의 등록 또는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에서, 관리자는, 설정 목표 이외의 다른 해당 업무 관련 정보만을 입력하고, 추후 검색된 결과로부터 해당 업무에 관한 설정 목표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자가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202)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새로운 업무에 관한 등록이나 기존의 업무에 관한 갱신을 시작한 후, 유사 업무 검색부(204)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로컬 데이터 저장소(208)로부터 기 등록된 기존의 업무 정보에 관한 검색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유사 업무 검색부(204)의 검색은, 관리자의 명시적인 요청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고, 관리자의 데이터 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 업무 검색부(204)는, 관리자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202)를 통해 입력된 업무의 업무명이나, 해당 업무의 관련 업무명 및 관계나, 담당자 및 담당자 직급이나, 초기 설정 목표 등을 기초로 하여, 로컬 데이터 저장소(208)에 저장된 기존의 업무들에 관한 정보들과 비교를 행하고, 위 새로이 입력되는 업무와 유사한 목표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유사 업무들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 업무 검색부(204)의 검색은, 예컨대 텍스트 유사도 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업무명의 유사도 비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것으로 판정된 업무들을 유사 업무로서 판정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텍스트 유사도 측정을 구현하는 다양한 기술을 알 것이므로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 업무 검색부(204)의 검색은, 주어진 업무의 관련 업무명 및 관계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업무가 WBS에 의해 관리되어 트리 구조로 정리되는 경우 해당 업무의 부모 또는 자식 업무의 업무명 등과 유사한 업무명의 부모 또는 자식 업무를 갖는 업무가 있는지 텍스트 유사도 측정 결과에 따라 유사 업무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 업무 검색부(204)의 검색은, 업무의 등록 또는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에서, 관리자가 해당 업무에 관하여 임의로 설정한 초기 설정 목표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초기 설정 목표가 금액으로 설정되는 경우, 그 초기 설정 목표(예컨대, 20만원)로부터 일정한 범위(예컨대, 90%-110%)에 있는 값을 설정 목표로 갖는 업무들을 유사 업무로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초기 설정 목표가 담당자 직급과 시간 값으로 정의되는 경우, 주어진 업무의 담당자 직급과 일치하는 담당자 직급을 갖고 주어진 업무의 초기 설정 목표의 시간 값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속하는 설정 목표를 갖는 기존의 업무들을 유사 업무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 업무 제안부(206)는, 유사 업무 검색부(204)의 검색 결과, 주어진 업무의 유사 업무라고 판정된 하나 이상의 유사 업무들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유사 업무 제안부(206)는, 검색 결과로서의 유사 업무들의 정보를 오버랩 리스트 형태로 관리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 저장소(208)는, 관리자 서버(102)에 의해 기 등록 또는 갱신된 업무들에 관한 정보, 각 업무의 업무명, 각 업무의 관련 업무명 및 관계, 담당자, 담당자 직급, 할당된 목표, 달성 성과 등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업무의 등록 또는 갱신 시, 유사 업무 검색부(204)는, 로컬 데이터 저장소(208)에 저장된 기 등록 업무들로부터 주어진 업무의 유사 업무들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도면과 관련하여, 유사 업무 검색부(204)에 의한 유사 업무의 검색이, 로컬 데이터 저장소(208)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사 업무 검색부(204)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하여, 도 1의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106)에 액세스하고,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106)에 저장된 업무 정보, 즉 해당 관리자 서버 및/또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접속된 다른 조직의 관리자 서버에 의해 이전에 등록 또는 갱신된 각각의 업무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자 서버(102)는, 로컬 데이터 저장소(208)를 갖지 않으며, 등록 또는 갱신된 업무에 관한 정보를 모두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106)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유사 업무 검색부(204)의 검색이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106)에 대한 검색을 포함하는 경우,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106)에 저장된 정보들에 관한 검색은, 로컬 데이터 저장소(208)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같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업무를 등록하거나 기존의 업무를 갱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단계(302)에서, 관리자는 새로이 등록 또는 갱신하고자 하는 업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업무에 관한 정보에는, 예컨대 업무의 업무명, 업무의 관련 업무명 및 관계, 담당자, 담당자 직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304)에서, 관리자는 해당 업무에 관한 초기 설정 목표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304)의 초기 설정 목표를 입력하는 단계 없이 절차가 진행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관리자에 의해, 업무에 관한 정보 및 초기 설정 목표 등이 입력되고 나면, 단계(306)에서는 기 등록 업무들에 관한 정보 가운데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검색 및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유사 업무의 검색은, 예컨대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기초하여 해당 업무명과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유사한 업무명이 있는지, 해당 업무의 부모 또는 자식 업무의 업무명과 유사한 업무명을 가진 부모 또는 자식 업무를 갖는 업무가 있는지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사 업무의 검색은, 단계(304)에서 입력된 초기 설정 목표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속하는 설정 목표를 갖는 업무가 있는지 검색하는 것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생각할 수 있는 다양한 기준 및 방식에 의해, 새로이 등록 또는 갱신되는 해당 업무와 유사한 업무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단계(306)에서, 유사 업무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308)로 진행하여, 검색된 유사 업무를 오버랩 리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310)에서, 관리자는 제공된 유사 업무 리스트를 확인하고 이를 참조하여 해당 업무에 관한 설정 목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자는, 단계(306)에서 제공된 유사 업무 리스트를 확인한 이후에 비로소 해당 업무에 관한 설정 목표를 입력할 수도 있다.
단계(306)에서, 유사 업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312)로 진행하여, 단계(306)에서 입력된 초기 설정 목표를 설정 목표로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자는, 단계(312)에 이르러 비로소 해당 업무에 관한 설정 목표를 입력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따른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의 특정한 양태나 부분은 범용 또는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 등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예컨대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장형 하드 디스크와 착탈식 디스크 같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및 CDROM 디스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코드(들)는 어셈블리어나 기계어로 구현될 수 있고, 전기 배선이나 케이블링, 광섬유, 또는 기타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경을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모두 포괄하고자 한다.
102: 관리자 서버
104: 네트워크
106: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
202: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
204: 유사 업무 검색부
206: 유사 업무 제안부
208: 로컬 데이터 저장소
210: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16)

  1. 조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직에서 수행될 소정 업무에 관한 업무 관련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
    상기 입력된 업무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라고 판정되는 업무가 존재하는지를 검색 및 판정하는 유사 업무 검색부; 및
    상기 유사 업무 검색부의 검색 결과, 상기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유사 업무 제안부 - 상기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는, 상기 유사 업무의 설정 목표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에 포함된 로컬 데이터 저장소인,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외부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별개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업무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업무에 관한 업무 관련 정보는, 상기 소정 업무의 업무명, 상기 소정 업무와 관련된 다른 업무의 업무명 및 관계, 담당자, 담당자 직급, 및 초기 설정 목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업무 검색부는,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따라, 상기 소정 업무와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상기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업무 검색부는, 상기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따라, 상기 소정 업무의 업무명과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가진 상기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업무는 WBS 방식에 의해 관리되어 부모 또는 자식 업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상기 유사 업무 검색부는, 상기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따라, 상기 소정 업무의 상기 부모 또는 자식 업무와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갖거나, 상기 소정 업무의 상기 부모 또는 자식 업무와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갖는 부모 또는 자식 업무를 갖는 상기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업무 관련 정보는 상기 소정 업무에 관한 초기 설정 목표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 업무 검색부는, 상기 초기 설정 목표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속하는 설정 목표를 갖는 상기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설정 목표는, 금액 또는 담당자 직급 및 시간 값으로 정의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업무 제안부에 의해 제공된 상기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소정 업무에 관한 설정 목표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업무 제안부는, 상기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서 다른 데이터에 오버랩되는 방식으로 제공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은, 유사 업무 제안부에 의해 제공된 상기 유사 업무에 관한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소정 업무에 관한 설정 목표를 입력 또는 변경하는,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13.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으로부터의 업무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업무 프로세스 스토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각각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인,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14. 조직의 업무 목표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등록 또는 갱신하고자 하는 소정 업무의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소정 업무의 업무명, 상기 소정 업무의 관련 업무명 및 관계, 담당자, 및 담당자 직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입력된 소정 업무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유사 업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유사 업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업무의 설정 목표가 입력 또는 변경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업무 목표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따라, 상기 소정 업무의 업무명과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가진 상기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무 목표 관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업무는 WBS 방식에 의해 관리되어 부모 또는 자식 업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상기 소정 업무의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텍스트 유사도 측정에 따라, 상기 소정 업무의 상기 부모 또는 자식 업무와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갖거나, 상기 소정 업무의 상기 부모 또는 자식 업무와 소정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업무명을 갖는 부모 또는 자식 업무를 갖는 상기 유사 업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무 목표 관리 방법.
KR1020180079803A 2016-08-02 2018-07-10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 KR10242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803A KR102425520B1 (ko) 2016-08-02 2018-07-10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503A KR20180014979A (ko) 2016-08-02 2016-08-02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
KR1020180079803A KR102425520B1 (ko) 2016-08-02 2018-07-10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503A Division KR20180014979A (ko) 2016-08-02 2016-08-02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396A true KR20180082396A (ko) 2018-07-18
KR102425520B1 KR102425520B1 (ko) 2022-07-27

Family

ID=8270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803A KR102425520B1 (ko) 2016-08-02 2018-07-10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358B1 (ko) * 2021-03-17 2022-02-08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마일스톤 정보를 갖는 프로젝트 업무에 대한 관리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협업플랫폼 제공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8386A (ja) * 2009-03-18 2010-09-30 Hitachi Software Eng Co Ltd 業務モデル間のデータマッチング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007302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비즈엠텍 업무 관리 시스템
KR20150060480A (ko) 2013-11-26 2015-06-03 장재규 선풍기에 장착 가능한 냉풍용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8386A (ja) * 2009-03-18 2010-09-30 Hitachi Software Eng Co Ltd 業務モデル間のデータマッチング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007302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비즈엠텍 업무 관리 시스템
KR20150060480A (ko) 2013-11-26 2015-06-03 장재규 선풍기에 장착 가능한 냉풍용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358B1 (ko) * 2021-03-17 2022-02-08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마일스톤 정보를 갖는 프로젝트 업무에 대한 관리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협업플랫폼 제공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520B1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6639A1 (en) Task management method and task management apparatus
US9311056B2 (en) Automated analysis of code developer's profile
US20160267420A1 (en) Process model catalog
US10984360B2 (en) Cognitive learning workflow execution
US20150379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employees and job seekers at an organization
US20190129762A1 (en) Cognitive learning workflow execution
US20140019196A1 (en) Software program that identifies risks on technical development programs
JP2013152618A (ja) エネルギー使用量管理システム
US9600788B2 (en) Crowdsourcing directory system
KR101785972B1 (ko) 컴퓨터 기반의 작업 현황 및 성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713084B2 (en) Cognitive learning workflow execution
US20190129759A1 (en) Cognitive learning workflow execution
US20180096274A1 (en)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managing resources, projects, financials, analytics and dashboard data
US20140173408A1 (en) Identity based automated form filling
JP2006318331A (ja) 作業工数見積および人材割当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方法
KR20190029671A (ko) 분석 소프트웨어 관리 시스템 및 분석 소프트웨어 관리 방법
CN110580293A (zh) 实体关系的存储方法及装置
GB2416882A (en) Project management method assigning business objectives to employees
JP2016048488A (ja) 作業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070661B1 (ko) 전산 자산 정보 자동 분석 장치 및 방법
US201503564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employees to coverage and/or tasks based on schedule and preferences
KR20180082396A (ko)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
KR20070033728A (ko) 지적자산 정보의 핵심특허지수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US20130304547A1 (en) Investment valuation projections in an on-demand system
KR20180014979A (ko) 업무 목표 관리자 시스템, 업무 목표 관리망 시스템, 및 업무 목표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