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261A -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261A
KR20180082261A KR1020170003758A KR20170003758A KR20180082261A KR 20180082261 A KR20180082261 A KR 20180082261A KR 1020170003758 A KR1020170003758 A KR 1020170003758A KR 20170003758 A KR20170003758 A KR 20170003758A KR 20180082261 A KR20180082261 A KR 20180082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band
terminal
resource allocation
coherence band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진
장재선
정재호
전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0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261A/ko
Publication of KR2018008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04W72/082
    • H04W72/0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Abstract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스케줄링 장치가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먼저, 단말과의 사이의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이득을 결정한다. 그 후, 상기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을 코히런스 대역폭 이상 벗어난 이동 대역으로 설정한다. 다음, 상기 이동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COHERENCE BANDWIDTH BASED FREQUENCY SELECTION SCHEDULING METHOD AND APPRATUS THEREOF}
본 발명은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에서 VoLTE(Voice over LTE) 가입자를 위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및 시스템 용량 개선을 위해서는 간섭 및 채널 정보 기반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기법이 필요하다.
LTE 네크워크에서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식은 채널 인지 스케줄링(Channel Aware Scheduling) 방식과 간섭 인지 스케줄링(Interference Aware Scheduling) 방식 2가지로 나뉜다.
채널 인지 스케줄링 방식은 다중 경로 전파 환경 하에 발생하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을 보상하는 방법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이득이 좋은 구간에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이 때 채널 정보 소스는 하향 링크의 경우 CQI(Channel Quality Indicator)가 사용되고, 상향 링크의 경우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 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가 사용된다.
간섭 인지 스케줄링 방식은 셀간 간섭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역에 RB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방식이다.
그런데, 상향 링크에서의 채널 인지 스케줄링 방식에서 채널 정보를 알아 내기 위해서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대역에 별도의 SRS를 할당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SRS를 통한 별도의 자원 할당 없이 간섭뿐만 아니라 채널 이득에 대한 예측으로 상향 링크의 SINR을 개선시켜 시스템 용량 향상에 기여하는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채널 정보를 위한 별도의 리소스 없이 코히런스 대역폭을 활용한 스케줄링 기법을 적용하여 시스템 용량을 개선하는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스케줄링 방법은,
스케줄링 장치가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단말과의 사이의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을 코히런스 대역폭 이상 벗어난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로부터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DM-RS를 사용하여 상기 채널 이득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최대 초과 지연을 사용하여 상기 코히런스 대역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코히런스 대역폭과 자원 할당에 소요되는 대역폭에 의해 이동될 오프셋을 산출하는 단계; 및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오프셋을 벗어난 대역을 상기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히런스 대역폭은 상기 최대 초과 지연의 역수로서 산출된다.
또한, 상기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이동 대역 중에서 최저 간섭을 갖는 대역을 자원 할당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원 할당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최대 초과 지연은 다중 경로 에너지가 최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감쇠될 때의 지연이다.
또한, 상기 채널 이득은 이전 주기의 채널 추정값과 현재 주기의 채널 추정값을 일정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결정된다.
또한, 상기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후에, 자원 할당 결과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원 할당 결과는 자원 지시값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스케줄링 장치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단말과의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의 사이의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이득을 결정하고, 상기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을 코히런스 대역폭 이상 벗어난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이동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케줄링을 통해 결정되는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최대 초과 지연을 사용하여 상기 코히런스 대역폭을 산출하고, 상기 코히런스 대역폭과 자원 할당에 소요되는 대역폭에 의해 이동될 오프셋을 산출하며,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오프셋을 벗어난 대역을 상기 이동 대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대역 중에서 최저 간섭을 갖는 대역을 자원 할당 대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자원 할당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이전 주기의 채널 추정값과 현재 주기의 채널 추정값을 일정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상기 채널 이득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기록 매체는, 스케줄링 장치가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단말과의 사이의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기능; 상기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을 코히런스 대역폭 이상 벗어난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기능; 및 상기 이동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 정보를 위한 별도의 리소스 없이 코히런스 대역폭을 활용한 스케줄링 기법을 적용하여 상향링크의 SINR 개선을 통하여 LTE 시스템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가 감쇠되는 대역을 벗어나서 자원을 재할당하는 방식으로 상향링크 SINR 개선을 통해 시스템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간섭 인지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한 RB 할당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SINR에 따른 RB 할당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LTE 서브프레임 내의 DM-RS 및 SRS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최대 수신 전력에 대해 20dB 감쇠를 겪을 때의 수신 전력일 때의 초과 지연을 최대 초과 지연으로 선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과정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일반적인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간섭 인지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한 RB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간섭이 적은 대역(BW1, BW2)에 RB를 할당하여 SINR 측면에서 이득을 얻고자 하지만, 해당 채널이 깊은 페이딩을 겪을 경우 오히려 SINR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SINR의 저하는 심볼당 전송 할 수 있는 비트수의 저하를 야기하기 때문에 동일 비트를 전송하는 데 많은 RB를 요구하여 시스템 용량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SINR에 따른 RB 할당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2를 참조하면, 단말(UE 2)의 경우 낮은 SINR 환경으로 많은 RB를 차지하고 있으며, 단말(UE 5)의 경우 SINR이 좋아 상대적으로 적은 RB를 점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LTE 서브프레임 내의 DM-RS 및 SRS의 위치를 도시한다.
채널 인지 스케줄링 방식은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환경이 좋은 대역에 RB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방식이다. 여기서, 채널 정보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M-RS와 SRS를 통한 채널 추정을 기반으로 얻을 수 있다. 그런데, DM-RS 전송폭은 해당 단말에 스케줄링되는 전송 대역폭과 동일하여 나머지 대역에 대한 채널 추정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SRS의 경우에는 현재 물리 채널이 전송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까지 할당하여 채널 정보를 추정할 수 있으나 그에 따른 자원 할당으로 용량 측면에서 손해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채널 인지 스케줄링 방식에서는 채널 정보를 알아 내기 위해서 스케줄링되지 않은 대역에 별도의 SRS를 할당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SRS를 통한 별도의 자원 할당 없이 간섭뿐만 아니라 채널 이득에 대한 예측으로 상향링크 SINR을 개선시켜 시스템 용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coherent bandwidth)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에서는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단말에 할당된 대역의 깊은 페이딩으로 인해 신호의 감쇠가 큰 경우, 즉 채널 이득이 매우 작아지는 경우, 이전에 할당된 대역(RB10)으로부터 코히런스 대역폭만큼 벗어난 대역 중에서 가장 적은 간섭을 갖는 대역(RB24)의 RB를 할당한다. 여기서, 코히런스 대역폭이란 채널 이득이 일정한 대역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단말에 할당된 대역의 깊은 페이딩으로 인해 신호의 감쇠가 큰 경우 SRS를 통한 별도의 추가적인 자원의 사용 없이 상향링크의 SINR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코히런스 대역폭은 최대 초과 지연(Maximum Exess Delay)에 의해 산출된다. 여기서, 최대 초과 지연이란 다중 경로 에너지가 최대를 기준으로 일정값, 예를 들어 XdB만큼 감쇠될 때의 지연을 의미한다. 따라서, 코히런스 대역폭은 최대 초과 지연의 역수로서 산출된다.
이러한 최대 초과 지연의 예에 대해 수신 전력 대비 초과 지연을 도시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예는 최대 수신 전력에 대해 20dB 감쇠를 겪을 때의 수신 전력일 때의 초과 지연을 최대 초과 지연으로 선정하는 예이다. 이러한 최대 초과 지연은 실질적으로 운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값이며, 설정 값을 기반으로 코히런스 대역폭이 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이득을 결정한다(S100). 이 때,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채널 환경은 순시적으로 급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채널 이득은 이전 주기의 채널 추정값과 현재 주기의 채널 추정값을 함께 사용하여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이전 주기의 채널 추정값과 현재 주기의 채널 추정값을 조합하기 위한 비율이 운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며, 이러한 비율에 따라 이전 주기의 채널 추정값과 현재 주기의 채널 추정값을 조합하여 채널 이득을 결정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이득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은 이전 주기의 채널 추정값이고,
Figure pat00003
은 현재 주기의 채널 추정값이며,
Figure pat00004
는 미리 설정된 조합 비율이다.
그 후, 상기 단계(S100)에서 결정되는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Threshold)보다 큰지가 비교된다(S110).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단말에 할당된 대역의 깊은 페이딩으로 인해 신호의 감쇠가 큰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되며, 운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즉, 상기 단계(S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을 수행할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해당된다.
상기 단계(S100)에서의 비교는 [수학식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5
> Thershold
만약 상기 단계(S110)에서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즉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기존의 방식에 따른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S110)에서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이 수행된다(S120).
그러나, 상기 단계(S110)에서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아닌 이전 주기에서 수행된 스케줄링, 예를 들어, 채널 인지 스케줄링이 수행된다(S130).
그 후, 상기 단계(S120) 또는 상기 단계(S130)에서의 스케줄링의 수행에 의한 자원 할당 결과를 단말에게 전송한다(S140). 여기서, 자원 할당 결과는 자원 지시값(Resource Indication Value)에 의해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단계(S120)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은 도 7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과정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운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최대 초과 지연을 기반으로 코히런스 대역폭을 산출한다(S121). 예를 들어, 코히런스 대역폭은 최대 초과 지연의 역수로서 산출될 수 있다.
그 후, 이전의 RB 할당 대역으로부터 코히런스 대역폭을 벗어난 대역을 이동 대역으로 결정한다(S122). 여기서, 이동 대역은 코히런스 대역폭과 RB를 할당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에 의해 결정된다. 즉, 이동 대역은 코히런스 대역폭과 RB를 할당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의 곱에 의해 산출되는 대역폭만큼 이전의 RB 할당 대역으로부터 이동된 대역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이전의 RB 할당 대역으로부터 이동 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오프셋(offset)은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Figure pat00007
는 최대 수신 전력 대비
Figure pat00008
감쇠를 겪을 때의 초과 지연인 최대 초과 지연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09
은 RB를 할당하는데 필요한 대역을 나타낸다.
다음, 상기 단계(S122)에서 결정되는 이동 대역 중에서 최저 간섭을 갖는 대역을 RB 할당 시작 대역으로 결정한다(S123). 일 예로, RB 할당 시작 대역은 이동 대역 중에서 두 번째 코히런스 대역폭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RB를 할당할 수 있는 범위의 대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 후, 결정된 RB 할당 시작 대역 내의 RB를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S12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정보를 위한 별도의 리소스 없이 코히런스 대역폭을 활용한 스케줄링 기법을 적용하여 상향링크의 SINR 개선을 통하여 LTE 시스템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가 감쇠되는 대역을 벗어나서 자원을 재할당하는 방식으로 상향링크 SINR 개선을 통해 시스템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장치(800)는 통신부(810), 메모리(820) 및 프로세서(830)를 포함한다.
통신부(810)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810)는 단말로부터 DM-RS를 수신하고, 단말에게 자원 지시값을 사용하여 자원 할당 결과를 전송한다.
메모리(820)는 통신부(810) 및 프로세서(82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820)는 통신부(810)가 단말과의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820)는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채널 이득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채널 이득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프로세서(830)는 메모리(8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20)는 통신부(810)를 통해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이득을 결정하고, 결정되는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지가 비교하며,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기존의 방식에 따른 스케줄링을 수행하며, 스케줄링의 수행에 의한 자원 할당 결과를 통신부(810)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하는 작업을 실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서(82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2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스케줄링 장치가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과의 사이의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을 코히런스 대역폭 이상 벗어난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로부터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DM-RS를 사용하여 상기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스케줄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최대 초과 지연을 사용하여 상기 코히런스 대역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코히런스 대역폭과 자원 할당에 소요되는 대역폭에 의해 이동될 오프셋을 산출하는 단계; 및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오프셋을 벗어난 대역을 상기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런스 대역폭은 상기 최대 초과 지연의 역수로서 산출되는,
    스케줄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이동 대역 중에서 최저 간섭을 갖는 대역을 자원 할당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원 할당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스케줄링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초과 지연은 다중 경로 에너지가 최대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감쇠될 때의 지연인,
    스케줄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이득은 이전 주기의 채널 추정값과 현재 주기의 채널 추정값을 일정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결정하는,
    스케줄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후에, 자원 할당 결과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원 할당 결과는 자원 지시값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달되는,
    스케줄링 방법.
  9.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단말과의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의 사이의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이득을 결정하고, 상기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을 코히런스 대역폭 이상 벗어난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이동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스케줄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케줄링을 통해 결정되는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스케줄링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최대 초과 지연을 사용하여 상기 코히런스 대역폭을 산출하고, 상기 코히런스 대역폭과 자원 할당에 소요되는 대역폭에 의해 이동될 오프셋을 산출하며,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오프셋을 벗어난 대역을 상기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스케줄링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대역 중에서 최저 간섭을 갖는 대역을 자원 할당 대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자원 할당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스케줄링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이전 주기의 채널 추정값과 현재 주기의 채널 추정값을 일정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상기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스케줄링 장치.
  14. 스케줄링 장치가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단말과의 사이의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이득을 결정하는 기능;
    상기 채널 이득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시작점을 코히런스 대역폭 이상 벗어난 이동 대역으로 설정하는 기능; 및
    상기 이동 대역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003758A 2017-01-10 2017-01-10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82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58A KR20180082261A (ko) 2017-01-10 2017-01-10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58A KR20180082261A (ko) 2017-01-10 2017-01-10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261A true KR20180082261A (ko) 2018-07-18

Family

ID=6304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758A KR20180082261A (ko) 2017-01-10 2017-01-10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2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5451B1 (en) Interference redu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by scheduling and link adaptation
US20170302337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P30638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link adaptation for interference-canceling receivers
US892331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a channel in sai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75594A1 (en) Uplink Power Control in a TDD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02626A1 (en) Communication device
JP200650522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用のチャネル品質予測方法
US9491711B2 (en) Methods and nodes for multiple user MIMO scheduling and power control
EP2870814B1 (en) Methods and nodes for multiple user mimo scheduling
WO20080228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497572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EP2870719B1 (en) Method and node for multiple user mimo scheduling
KR2012008032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90042128A (ko) 상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US20220201505A1 (en) Methods for enabling beam reference signalling, wireless devices and network nodes
KR20140145438A (ko) 빔 분할 다중 접속시스템에서 아날로그 빔 운용장치 및 방법
EP2684414B1 (en) A radio base station and a method therein for scheduling radio resources
US20200229001A1 (en) Terminal,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JP2008193340A (ja) 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チャネルクオリティインジケータ推定方法
JP7126562B2 (ja) アップリンク参照信号の送信
JP5330406B2 (ja) 無線資源の割当を容易にする方法および構成
CN112751657B (zh) 干扰测量方法、基站、通信系统以及存储介质
KR20180082261A (ko) 코히런스 대역폭 기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93447A (ko) 자원의 배타적 할당을 고려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2912B1 (ko)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피드백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