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570A - 자동차의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570A
KR20180081570A KR1020187016257A KR20187016257A KR20180081570A KR 20180081570 A KR20180081570 A KR 20180081570A KR 1020187016257 A KR1020187016257 A KR 1020187016257A KR 20187016257 A KR20187016257 A KR 20187016257A KR 20180081570 A KR20180081570 A KR 20180081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unctional unit
error
unit
monito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067B1 (ko
Inventor
미햐엘 빌헬름 하스
볼프강 하크
요헨 후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8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2Confirmation of fault detection, e.g. extra checks to confirm that a failure has indeed occur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3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up/down coun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02D41/26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the computer being backed-up or assisted by another circuit, e.g. analogu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 G06F11/0739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utomotive or aircraf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 G06F11/0757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by exceeding a time limit, i.e. time-out, e.g. watchdo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 G06F11/076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by exceeding a count or rate limit, e.g. word- or bit count lim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37Vehicle, car, auto, wheelch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rror detection, to error correction, and to monitoring
    • G06F2201/81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연결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기능 유닛 및 모니터링 유닛을 갖는 자동차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검사의 과정에서 기능 유닛이 에러에 대해 검사되고, 에러 카운터(210a, 210b)가 임계값(220a, 220b)에 도달했을 경우 기능 유닛의 에러가 추론되며, 제1 검사의 과정에서 모니터링 유닛과 기능 유닛이 제1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며, 제1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에러 카운터(210a, 210b)의 포지티브 변경(positive change)이 수행되고, 제1 데이터의 잘못된 교환 시 에러 카운터(210a, 210b)의 네거티브 변경(negative change)이 수행되며, 제2 검사의 과정에서 모니터링 유닛과 기능 유닛이 제2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고, 제2 데이터가 잘못 교환되는 경우, 에러 카운터(210a, 210b)의 네거티브 변경 및 임계값(220a, 220b)의 네거티브 변경이 수행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및 자동차의 제어 장치, 그리고 상기 방법의 수행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가솔린 및 디젤)의 엔진 제어 장치에서 토크 결정식 분사는 계산 유닛으로서의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마이크로컨트롤러는 그 출력 포트를 통해, 특히, 최종단(이른바 분사 최종단 모듈)을 갖는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형태의, 하류에 연결된 제어 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는 다시 분사 밸브(인젝터)를 제어하는데, 즉, 통상 규정된 방식으로 에너지원 또는 전원과 연결된다.
분사 시스템은 안전 개념이 그를 위해 바람직한 안전 관련 시스템에 속한다. 이러한 안전 개념은 예를 들어, 다단계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자동차에서 안전에 중요한 기능 유닛에서, 예를 들어, 전자식 엔진 충전 제어 시스템(EGAS)에서, 예를 들어, 작동되는 제어 장치의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이른바 3-레벨 개념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 장치 내에서 함수 계산기(계산 유닛, CPU)와 별도의 모니터링 모듈(UM 또는 워치독) 간의 상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함수 계산기와 모니터링 모듈은 질의/응답 통신을 통해 통신하며, 에러 발생 시 기능 유닛의 작동을 위해 제공된 제어 장치 내 출력 최종단을 차단할 수 있어서, 자동차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최근의 전자 엔진 충전 제어 시스템에서, 전체 기능- 및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는 DE 44 38 714 A1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을 갖는 자동차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및 자동차 제어 장치,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안된다. 바람직한 구성은 종속항 및 이하의 설명의 대상이다.
제어 장치는 기능 유닛 및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한다. 기능 유닛은 예를 들어 자동차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 또는 함수 계산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 유닛은 특히 기능 유닛의 검사를 위해 그리고 제어 장치의 다른 유닛들의 검사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기능 유닛과 모니터링 유닛은 예를 들어 SPI 연결 또는 MSC 연결을 통해 서로 통신 연결되어 있다.
제1 검사의 과정에서 기능 유닛이 에러에 대해 검사된다. 에러 카운터가 임계값에 도달했을 경우 기능 유닛의 에러가 추론된다. 상기 제1 검사의 과정에서 기능 유닛과 모니터링 유닛이 제1 데이터를 서로 교환한다. 제1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에러 카운터의 포지티브 변경(positive change)이 수행된다. 제1 데이터의 잘못된 교환 시, 에러 카운터의 네거티브 변경(negative change)이 수행된다. 에러 카운터는 특히 모니터링 유닛에 저장되며, 특히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변경된다. 주지해야할 사항은, 네거티브와 포지티브는 절대적인 계수(counting)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정성적(qulitative) 계수 방향(네거티브: 임계값을 향하는 방향; 포지티브: 임계값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에러 카운터는 잘못된 데이터 교환이 실시되는 경우, 예를 들어 정해진 값만큼 증가할 수 있다. 올바른 데이터 교환 시, 에러 카운터는 정해진 값, 예를 들어 최소값 0까지 다시 감소할 수도 있다.
제2 검사, 이른바 타당성(plausibility) 검사 과정에서는 모니터링 유닛과 기능 유닛이 제2 데이터를 서로 교환한다. 이러한 제2 검사 또는 타당성 검사 과정에서, 모니터링 유닛은 특히 기능 유닛에 의해 검사된다. 이때, 제2 데이터가 잘못 교환되면, 에러 카운터의 네거티브 변경 및 임계값의 네거티브 변경이 수행된다.
특히, 올바른 에러 반응을 유발하여, 즉, 모니터링 유닛을 통한 에러 카운터의 네거티브 변경을 유발하여 모니터링 유닛을 검사할 수 있도록, 제2 데이터가 제2 검사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잘못 교환된다. 특히, 이 경우에 에러 카운터가 예측대로 변경되지 않을 경우(즉, 네거티브 변경이 아닌 경우), 모니터링 유닛의 에러가 추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도적인 에러에 의해 임계값으로부터의 에러 카운터의 실제 간격을 변경하지 않기 위해, 임계값도 동시에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임계값은 특히 에러 카운터가 제1 검사의 과정에서 네거티브 변경된 경우에만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임계값은 상수값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적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제1 검사뿐만 아니라 제2 검사의 과정에서도 에러 카운터가 변경될 수 있는 점이 보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에러 카운터의 포지티브 변경 및 임계값의 포지티브 변경이 수행되며, 임계값의 포지티브 변경은 바람직하게 임계값이 임계 출력값(예를 들어 3)에 아직 도달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수행된다.
종래의 제어 장치에서는 일정한 임계값이 고정 설정된다. 이러한 일정한 값은 대개, 에러 카운터가 타당성 검사의 과정에서 네거티브하게 변경되어, 기능 유닛의 에러가 잘못 추론될 경우, 에러 카운터가 임계값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높게 선택된다. 다른 경우에는, 에러 카운터가 타당성 검사의 과정에서도 변경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기능 유닛의 에러가 인식될 수 있을 때까지 더 짧게 또는 더 길게 지속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에러 반응 시간들을 야기함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기능 유닛의 에러에 최대한 신속하게 반응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반해, 본원 방법에 의해서는 최대한 신속한 에러 반응 시간이 가능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디바운싱이 구현된다. 이 경우, 기능 유닛의 에러는, 에러 카운터가 타당성 검사에 의해서도 동시에 변경되는지 여부와는 관계없이, 모든 상황에서 똑같이 신속하게 인식될 수 있다.
임계값은 특히 기능 유닛 및/또는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능 유닛이 모니터링 유닛의 임계값을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서(예를 들어, 값 3, 4, 5로) 변경 또는 사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모니터링 유닛 내에 각각 저장된 에러 카운터 및 임계값이 특히 SPI 연결 또는 MSC 연결을 통해, 특히 기능 유닛에 의해 판독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기능 유닛 및 모니터링 유닛의 독립적인 상호 모니터링이 구현된다. 두 유닛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유닛의 에러 또는 결함을 인식할 경우, 아직 작동 중인 유닛이 다른 유닛의 결함에 반응하여 상응하는 조치를 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기능 유닛으로 전송되는 제2 데이터의 부분(예를 들어 질의)은,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기능 유닛으로 제1 데이터의 부분으로서 전송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이며, 모니터링 유닛은, 기능 유닛으로부터 모니터링 유닛으로 전송되는 제2 데이터의 부분 전에, 상기 제2 데이터의 부분과 함께, 또는 상기 제2 데이터의 부분 이후에, 기능 유닛으로부터, 임계값을 상응하게 트랙킹하기 위해 제2 데이터의 교환과 관련된 정보를 받거나, 또는 기능 유닛이 데이터 연결을 통해 자체적으로 상기 임계값을 트랙킹한다. 따라서, 기능 유닛은 데이터 교환이 언제 제1 데이터의 교환 또는 제2 데이터의 교환이 되는지를 판단하며, 즉, 제1 및 제2 데이터는 기능 유닛으로부터 모니터링 유닛으로 전송되는 부분을 통해서만 구별된다(올바른/비의도적인 에러 <-> 의도한 에러).
바람직하게는, 모니터링 유닛과 기능 유닛은, 모니터링 유닛이 기능 유닛에 질의를 전달하면 기능 유닛이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 응답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제1 데이터를 서로 교환한다. 제1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특히, 기능 유닛의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기능 유닛은 올바른 시점에 올바른 응답을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데이터의 잘못된 교환 시 기능 유닛은 잘못된 응답을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응답을 잘못된 시점에 전달한다. 잘못된 응답, 또는 올바른 시점에 전송되지 않은 올바른 응답도 기능 유닛의 에러를 가리킨다. 여러번 연속으로 전달된 잘못된 응답 또는 잘못된 시점에 행해진 응답 후에, 에러 카운터는 임계값에 도달하고, 특히 기능 유닛의 에러가 추론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질의가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기능 유닛으로 전달된다. 상기 질의는 바람직하게 제1 데이터의 데이터 교환 과정에서와 동일한 질의이다. 모니터링 유닛을 검사하기 위해, 기능 유닛은 의도적으로 잘못된 응답을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잘못된 시점에 응답을 전달한다. 모니터링 유닛이 올바르게 작동할 경우, 에러 카운터가 네거티브하게 변경된다. 그 다음, 기능 유닛은 에러 카운터가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네거티브하게 변경되었는지를 검사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이는 모니터링 유닛의 에러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제1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에러 카운터의 포지티브 변경에 추가로, 임계값의 포지티브 변경도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계값의 변경은 제2 데이터의 잘못된 교환에 대한 반응으로 다시 취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임계값은 기능 유닛의 모니터링에 대한 통상적인 에러 임계치를 규정하는 사전 설정 가능한 그리고/또는 사전 설정된 한계값까지만 변경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제2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에러 카운터의 포지티브 변경 및 임계값의 포지티브 변경이 수행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유형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 바람직하며, 기능 유닛의 응답(즉, 의도적으로 올바르거나 의도적으로 잘못된 응답)을 통해서만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에러 카운터 및/또는 임계값은 네거티브 변경 또는 포지티브 변경 시에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에러 카운터 및/또는 임계값은 바람직하게는 네거티브 변경 시 하나 이상의 증분(increment)만큼 증가한다. 증분의 횟수에 의해 특히 에러의 심각도가 평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임계값은 데이터가 의도적으로 잘못 송신된 경우에만 증가할 수 있고, 데이터가 올바르게 송신된 경우에는 에러 카운터 변경과는 관계 없이 낮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러 카운터 및/또는 임계값은 포지티브 변경 시 하나 이상의 감소분(decrement)만큼 감소한다. 감소의 횟수에 의해 특히 리셋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에러 카운터는 0보다 작은 값으로 감소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계산 유닛,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제어 장치는 특히 프로그래램 기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특히, 실행중인 제어 장치가 다른 작업을 위해 여전히 사용되고 있어서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데이터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EEPROM, DVD 등과 같은, 특히 자기식, 광학식 및 전기식 메모리이다.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 인트라넷 등)를 통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및 구성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로 도면에 개략 도시되며, 이하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제어 장치의 한 바람직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는 시간에 대해 기입된 에러 카운터 및 임계값의 개략적인 그래프이다.
도 1에는 자동차의 제어 장치(100), 예를 들어 엔진 제어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어 장치(100)는 기능 유닛(110), 예를 들어 이른바 함수 계산기 및 모니터링 유닛(120), 예를 들어 이른바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100)는 특히, 프로그램 기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실행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기능 유닛(110)은 엔진 제어의 과정에서 예를 들어 분사량 및 분사 시점(uvm.)의 결정과 같은 연산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분사 밸브와 같은 연결된 부품들을 상응하게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모니터링 유닛(120)은 기능 유닛(110)에 에러가 있는지를 검사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기능 유닛(110) 및 모니터링 유닛(120)이 예를 들어 MSC 연결(130)을 통해 통신 연결된다.
제1 검사인 기능 유닛(110)의 검사 과정에서, 기능 유닛(110)과 모니터링 유닛(120)이 제1 데이터를 서로 교환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모니터링 유닛(120)이 기능 유닛(110)에 질의를 전달한다. 기능 유닛(110)이 에러 없이 작동할 경우, 기능 유닛은 올바른 시점에 올바른 응답을 모니터링 유닛(120)에 전달한다. 그럼으로써, 기능 유닛(110)과 모니터링 유닛(120)은 제1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을 실행한다.
잘못된 응답의 경우 또는 올바른 응답이더라도 시점이 잘못된 경우, 기능 유닛(110)과 모니터링 유닛(120)은 제1 데이터를 잘못 교환한다. 이 경우, 에러 카운터가 값 1만큼 증가하는 방식으로, 에러 카운터가 모니터링 유닛(120)에 의해 변경된다. 이러한 에러 카운터의 증가는 에러 카운터의 네거티브 변경을 나타낸다.
이어지는 질의에 대해 다시 올바르게 응답되면, 에러 카운터가 값 1만큼 다시 감소한다. 에러 카운터의 이러한 감소는 에러 카운터의 포지티브 변경을 나타낸다.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에러 카운터는 값 0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 값 1만큼씩 감소한다. 에러 카운터는 특히 0 미만의 값으로 세팅될 수 없다.
에러 카운터가 사전 설정된 그리고/또는 외부에서 사전 설정 가능한 임계값, 예를 들어 3에 도달할 경우, 기능 유닛(110)의 에러가 추론된다. 이어서, 예를 들어 모니터링 유닛이 제어 장치 내의 기능 유닛의 출력 최종단을 차단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자동차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임계값으로 기능 유닛을 리셋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제2 검사, 이른바 타당성 검사의 과정에서, 기능 유닛(110)이 모니터링 유닛(120)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능 유닛(110)과 모니터링 유닛(120)이 제2 데이터를 서로 교환한다. 특히, 기능 유닛(110)이 제1 데이터 교환의 범주 내에서 모니터링 유닛(120)의 질의에 대해 의도적으로 잘못된 응답을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잘못된 시점에 응답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데이터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2 데이터의 교환은 기능 유닛(110)이 의도적으로 잘못 응답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잘못된 데이터 교환을 통해 에러 카운터를 하나 이상의 증분만큼 증가시키며, 이러한 증가는 각각 에러와 동일하거나(예를 들어 1) 또는 에러에 좌우될 수 있다(지연된 메시지의 경우 2, 그 밖의 경우 1). 이러한 에러 카운터의 증가는 타당성 검사의 과정에서 예측된다. 그 후, 기능 유닛(110)은 모니터링 유닛(120)이 에러 카운터를 올바르게 증가시키는지를 검사한다. 에러 카운터가 올바르게 증가하지 않으면, 모니터링 유닛(120)의 에러가 추론된다. 이어서, 예를 들어 기능 유닛이 제어 장치 내의 출력 최종단을 차단하여 자동차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추가로, 기능 유닛은 개별적인 에러 발생 시 모니터링 유닛과의 통신을 다시 동기화할 수 있다.
그러나, 에러 카운터가 제2 데이터의 교환을 통해 임계값에 도달하고, 기능 유닛의 에러가 잘못 가정되거나, 의도적인 에러로 인해 에러 카운터와 임계값 사이의 실제 간격이 총체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임계값이 동적으로 조정되고, 도 2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데이터의 교환에 반응하는 에러 카운터의 변경에 따라 변경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유닛은, 임계값이 사전 설정된 또는 사전 설정 가능한 최소값, 예를 들어 값 3에 도달할 때까지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각각 값 1만큼 임계값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올바른 응답 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간에 차이가 없다.
도 2에는 2개의 그래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도면에서 각각 에러 카운터 및 임계값이 시간(t)에 대해 도시된다. 그래프(210a 및 210b)는 각각 에러 카운터를 나타내고, 그래프(220a 및 220b)는 각각 임계값을 나타낸다. 도 2a에는 모니터링 유닛(120)과 기능 유닛(110)이 에러 없이 작동하는 경우가 도시된다. 도 2b에는 기능 유닛(110)이 에러 없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도시된다.
도 2a에 따른 에러가 없는 경우에서, 시점(t0)에서의 임계값은 값 3이고 에러 카운터는 값 0이다. 질의는 모니터링 유닛(120)으로부터 기능 유닛(110)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기능 유닛은 시점(t0)에서 올바른 시점에 올바른 응답을 모니터링 유닛(120)에 전달한다. 이제 에러 카운터는 원래 값 1만큼 감소할 수도 있는데, 에러 카운터가 이미 0이라서, 이 경우에는 더 이상 감소할 수 없다. 임계값은 원래 값 1만큼 감소할 수도 있으나, 임계값이 이미 3이라서, 이 경우에는 더 이상 감소할 수 없다.
모니터링 유닛(120)의 추가 질의에 대해, 기능 유닛(110)은 타당성 검사의 과정에서 올바른 응답을 전달하나, 의도적으로 너무 이른 시점(t1)에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거짓 응답을) 전달한다. 그러면 에러 카운터가 값 1로 증가한다.
그러나, 기능 유닛(110)은 동시에 잘못된 응답이 의도되었다는 것을 모니터링 유닛(120)에 보고한다. 따라서, 이는 제2 데이터의 교환과 관련된 것으로써, 모니터링 유닛이 임계값을 1만큼 값 4로 증가시킨다. 이로써, 에러 카운터가 변경됨에 따라 변경 전후의 제2 데이터 교환에 대한 반응으로 에러 카운터와 임계값 간의 동일한 간격이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시점(t2)에서, 기능 유닛(110)은 제1 검사의 과정에서 새로운 질의에 대해 다시 올바른 시점에 올바른 응답으로 전달한다. 에러 카운터는 값 1만큼 다시 감소한다. 마찬가지로, 임계값이 값 1만큼 값 3으로 감소한다.
모니터링 유닛(120)의 추가적인 질의에 대해, 기능 유닛(110)은 타당성 검사 과정에서 다시 의도적으로 잘못 응답한다. 예를 들어, 잘못된 응답이 너무 지연된 시점(t3)에 전달된다. 이러한 이중 에러는 에러 카운터가 값 2만큼 값 2로 증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기능 유닛(110)은 잘못된 응답이 의도되었다는 것을 모니터링 유닛(120)에 보고한다. 따라서, 이는 제2 데이터의 교환과 관련된 것으로써, 모니터링 유닛이 임계값을 2만큼 값 5로 증가시킨다.
시점(t4, t5)에서, 기능 유닛(110)은 모니터링 유닛(120)의 응답에 대해 제1 검사 과정에서 다시 올바르게 응답하며, 그 결과로, 시점(t4 및 t5)에서 예측에 따라 에러 카운터 및 임계값이 각각 1만큼 감소한다.
시점(t6)에서, 타당성 검사의 과정에서 기능 유닛(110)은 올바른 시점에 의도적으로 잘못된 응답으로 응답하고, 그 결과로, 에러 카운터는 1만큼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임계값도 1만큼 증가한다. 시점(t7)에서, 기능 유닛(110)은 다시 올바르게 응답하고, 그 결과, 에러 카운터 및 임계값은 다시 1만큼 감소한다.
도 2b의 경우에 따르면, 기능 유닛(110)은 시점(t10)에서 처음에는 아직 에러 없이 작동한다. 임계값은 시점(t0)과 유사한 시점(t10)에서 값 3을 가지며 에러 카운터는 값 0을 갖는다. 기능 유닛(110)은 모니터링 유닛(120)의 질의에 올바르게 응답한다. 시점(t11)에서, 기능 유닛(110)은 시점(t1)과 유사하게, 의도적으로 너무 이르게 응답한다. 그러면 에러 카운터 및 임계값은 값 1만큼 증가한다.
시점(t12)에서, 기능 유닛(110)의 결함 또는 에러가 발생한다. 기능 유닛(110)은 시점(t12)에서 의도치 않게 잘못된 응답으로 응답한다. 따라서, 기능 유닛(110)도 모니터링 유닛(120)에 잘못된 응답이 의도된 것이라고 보고하지 않는다. 이로써, 에러 카운터는 잘못된 응답에 대해 값 1만큼 증가한다. 그러나 임계값은 변경되지 않고 값 4에 유지된다.
시점(t13)에서 기능 유닛(110)은 모니터링 유닛(120)의 질의에 대해 다시 의도치 않게 잘못된 응답으로 응답한다. 에러 카운터는 다시 1만큼 증가하고 임계값은 4의 값으로 계속 유지된다.
또한, 시점(t14)에서도, 기능 유닛(110)은 질의에 대해 의도치 않게 잘못된 응답으로 응답하고 에러 카운터는 1만큼 증가하며 임계값은 4의 값으로 계속 유지된다. 이제 에러 카운터는 값 4를 가지며, 임계값에 도달하였다. 기능 유닛(110)의 에러가 추론되어 에러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러 반응으로서 이른바 WDA 라인이 활성화되어 토크 관련 최종단이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예를 들어 3개의 연속된 잘못된 응답 후에 기능 유닛(110)의 에러가 인식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일정한 임계값이 빈번하게 선택되는 종래의 제어 장치에서는 이러한 점이 보장될 수 없다. 예를 들어, 기능 유닛(110)에 에러가 있을 경우, 에러 카운터가 그 타당성 검사에 의해 얼마의 값으로 변경되었는지에 따라, 5의 일정한 임계값이 더 빠르게 또는 더 느리게 도달될 수 있다. 기능 유닛(110)의 에러 발생 시, 에러 카운터가 타당성 검사에 의해 예를 들어 값 2가 되면, 이러한 에러는 잘못된 응답이 3번 연속된 후에도 인식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에러 카운터가 값 0이 되면, 이러한 에러는 잘못된 응답이 5번 연속된 후에야 비로소 인식된다. 이에 반해, 본 방법에 의해서는 기능 유닛(110)의 에러를 가능한 한 빨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통신 연결(130)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기능 유닛(110) 및 모니터링 유닛(120)을 갖는 자동차 제어 장치(100)의 작동 방법이며,
    제1 검사의 과정에서 기능 유닛(110)이 에러에 대해 검사되며, 에러 카운터(210a, 210b)가 임계값(220a, 220b)에 도달했을 경우 기능 유닛(110)의 에러가 추론되며, 제1 검사의 과정에서 모니터링 유닛(120)과 기능 유닛(110)이 제1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며, 제1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에러 카운터(210a, 210b)의 포지티브 변경(positive change)이 수행되고, 제1 데이터의 잘못된 교환 시 에러 카운터(210a, 210b)의 네거티브 변경(negative change)이 수행되며,
    제2 검사의 과정에서 모니터링 유닛(120)과 기능 유닛(110)이 제2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며, 제2 데이터가 잘못 교환되는 경우, 에러 카운터(210a, 210b)의 네거티브 변경 및 임계값(220a, 220b)의 네거티브 변경이 수행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데이터의 올바른 교환 시 에러 카운터(210a, 210b)의 포지티브 변경 및 임계값(220a, 220b)의 포지티브 변경이 수행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임계값(220a, 220b)의 포지티브 변경은, 임계값이 임계 출력값에 아직 도달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수행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니터링 유닛(120)과 기능 유닛(110)은, 모니터링 유닛(120)이 기능 유닛(110)에 질의를 전달하면 기능 유닛(110)이 모니터링 유닛(120)에 응답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제1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기능 유닛(110)이 잘못된 응답을 전달할 경우, 그리고/또는 잘못된 시점에 응답을 전달할 경우, 제1 데이터의 교환에 에러가 있는 것이며, 그리고/또는 기능 유닛(110)이 올바른 시점에 올바른 응답을 전달할 경우, 제1 데이터의 교환은 올바른 것인, 제어 장치 작동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니터링 유닛(120)과 기능 유닛(110)은, 모니터링 유닛(120)이 기능 유닛(110)에 질의를 전달하면 기능 유닛(110)이 모니터링 유닛(120)에 응답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제2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기능 유닛(110)이 잘못된 응답을 전달할 경우, 그리고/또는 잘못된 시점에 응답을 전달할 경우, 제2 데이터의 교환에 에러가 있는 것인, 제어 장치 작동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러 카운터(210a, 210b) 및/또는 임계값(220a, 220b)은 포지티브 변경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감소분만큼 감소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러 카운터(210a, 210b) 및/또는 임계값(220a, 220b)은 네거티브 변경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증분만큼 증가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유닛(110)은 언제 제1 데이터가 교환될 지, 그리고 언제 제2 데이터가 교환될지를 결정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니터링 유닛(120)은 수신된 데이터의 시점이 검증되는 고정된 시간 윈도우를 사전 설정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유닛(110)은 임계값(220a, 220b)의 네거티브 변경이 수행되어야 할지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유닛(120)에 제공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유닛(110)은 결정된 임계값을 모니터링 유닛(120)에 제공하는, 제어 장치 작동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계산 유닛(100).
  15. 컴퓨터 프로그램이 계산 유닛(100)에서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계산 유닛(100)을 유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15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87016257A 2015-11-13 2016-11-07 자동차의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561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22427.9 2015-11-13
DE102015222427.9A DE102015222427A1 (de) 2015-11-13 2015-11-13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teuergeräts eines Kraftfahrzeugs
PCT/EP2016/076795 WO2017080942A1 (de) 2015-11-13 2016-11-07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teuergeräts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570A true KR20180081570A (ko) 2018-07-16
KR102561067B1 KR102561067B1 (ko) 2023-07-31

Family

ID=5728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257A KR102561067B1 (ko) 2015-11-13 2016-11-07 자동차의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42259B2 (ko)
KR (1) KR102561067B1 (ko)
CN (1) CN108350823B (ko)
DE (1) DE102015222427A1 (ko)
WO (1) WO2017080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0197A1 (de) * 2016-10-17 2018-04-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Daten für ein automatisiertes Fahrzeug
DE102018106871A1 (de) * 2018-03-22 2019-09-26 Thyssenkrupp Ag Verfahren zur Diagnose einer Funktionalität mit diskreten Werten oder diskreten Klassen von Werten auf der Eingangs- oder Ausgangsseite
FR3097342B1 (fr) * 2019-06-13 2021-05-14 Psa Automobiles Sa Procédé de diagnostic d’un calculateur esclave comportant au moins une sortie commandée par un calculateur maître
US20220032928A1 (en) * 2020-07-31 2022-02-03 Robert Bosch Gmbh Robustness quotient for vehicle diagnostics and monitor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85A (ko) * 1999-06-11 2001-01-05 정몽규 전자제어유닛의 오동작 진단용 아날로그/디지털 스캔장치
DE10018859A1 (de) * 2000-04-14 2001-10-18 Bosch Gmbh Robert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Einrichtung zum Messen, Steuern und Regeln
US20060293831A1 (en) * 2005-06-23 2006-12-28 Denso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system with malfunction monitor
DE102008043648A1 (de) * 2008-11-11 2010-05-12 Robert Bosch Gmbh Verringerung der Reaktionszeit in einem System zur Überwachung eines Funktionsrechners
DE102008043646A1 (de) * 2008-11-11 2010-05-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Steuerung einer Kommunikation zwischen einem Funktionsrechner und einem Überwachungsmodul
KR20170021245A (ko) * 2014-06-20 2017-02-2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차량 제어장치 모니터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4999C2 (de) * 1991-05-08 2001-04-26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es
DE4438714A1 (de) 1994-10-29 1996-05-0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DE10344460B4 (de) * 2003-09-25 2022-03-24 Zf Cv Systems Hannover Gmbh Verfahren zur Fehlerbehandlung bei elektronischen Steuergeräten
WO2007005629A2 (en) * 2005-06-30 2007-01-11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Controller method, apparatus and article suitable for electric drive
DE102005062873A1 (de) * 2005-12-29 2007-07-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teuer- und/oder Regeleinrichtung, vorzugsweise für eine Antriebs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CN102981494B (zh) * 2012-10-22 2014-11-2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mcu健康状态监测诊断方法
DE102013217461B4 (de) * 2013-09-02 2023-10-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wachung einer Komponente in einem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85A (ko) * 1999-06-11 2001-01-05 정몽규 전자제어유닛의 오동작 진단용 아날로그/디지털 스캔장치
DE10018859A1 (de) * 2000-04-14 2001-10-18 Bosch Gmbh Robert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Einrichtung zum Messen, Steuern und Regeln
KR20020092431A (ko) * 2000-04-14 2002-12-1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측정, 제어 및 조절 장치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93831A1 (en) * 2005-06-23 2006-12-28 Denso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system with malfunction monitor
DE102008043648A1 (de) * 2008-11-11 2010-05-12 Robert Bosch Gmbh Verringerung der Reaktionszeit in einem System zur Überwachung eines Funktionsrechners
DE102008043646A1 (de) * 2008-11-11 2010-05-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Steuerung einer Kommunikation zwischen einem Funktionsrechner und einem Überwachungsmodul
KR20170021245A (ko) * 2014-06-20 2017-02-2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차량 제어장치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0942A1 (de) 2017-05-18
US20180321669A1 (en) 2018-11-08
DE102015222427A1 (de) 2017-05-18
US10642259B2 (en) 2020-05-05
CN108350823A (zh) 2018-07-31
CN108350823B (zh) 2021-07-27
KR102561067B1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1570A (ko) 자동차의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US5436837A (en) System for controlling a motor vehicle
CN110594028B (zh) 节气门自学习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控制单元
US201702696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system of a vehicle which provides an at least partially automated driving function
JP5967059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US741831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al processes, especially in a vehicle
US10839619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method for connection authentication
KR101565030B1 (ko)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자동차의 오류 판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547694B (zh) 一种电磁风扇的检测方法、检测装置和检测系统
US8164214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due to delay in activation of other vehicle control apparatus
JP2022521938A (ja) 安全システムおよび安全システムの作動方法
JP3923810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2017202738A (ja) 電子制御装置及び電子制御方法
CN105422290A (zh) 小油门故障识别及处理、发动机和油门信号处理方法
KR101304209B1 (ko) 캔 메시지 타임아웃 에러 체크 방법
JP6443202B2 (ja) 車両の電子制御装置
JP5880885B2 (ja) 負荷駆動装置
US107402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emory and for displaying use i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101606233B1 (ko) 보조제어유닛의 에러를 감지하는 방법 및 감지장치
JP2006195739A (ja) 電子制御装置
CN102981494A (zh) 一种电动汽车mcu健康状态监测诊断方法
CN111078458B (zh) 一种电子控制单元及其软件兼容性检测方法、装置和汽车
KR102192510B1 (ko) 클러치 중점위치 학습 장치 및 방법
JP5713432B2 (ja) 駆動ユニット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8010362A (ja) 電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