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46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466A
KR20180081466A KR1020180001746A KR20180001746A KR20180081466A KR 20180081466 A KR20180081466 A KR 20180081466A KR 1020180001746 A KR1020180001746 A KR 1020180001746A KR 20180001746 A KR20180001746 A KR 20180001746A KR 20180081466 A KR20180081466 A KR 20180081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base station
measurement
signal
beam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890B1 (ko
Inventor
코치앙 린
리차드 리치 쿠오
Original Assignee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8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의 관점으로부터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와 연관된 제어 신호를 UE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해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빔 측정을 위해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UE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관련된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7년 1월 6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No. 62/443,29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향유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개시된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 개시는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되며, 그리고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로의 많은 양의 데이터를 그리고 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요청에서의 빠른 상승과 함께, 전통적인 모바일 음성 통신 네트워크들이 인터넷 프로토콜 (IP) 데이터 패킷들을 전달하는 네트워크들에 결부되고 있다. 그런 IP 패킷 통신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들에게 IP를 통한 음성,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및 온-디맨드 통신 서비스들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구조는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E-UTRAN 시스템은 상기 언급된 IP를 토한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실현하기 위해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제공할 수 있다. 차세대 (예를 들면, 5G)를 위한 새로운 라디오 기술은 3GPP 표준 조직에 의해 현재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3GPP 표준의 현재의 본문이 현재 제출되고 있으며 그리고 3GPP 표준을 전개하고 마무리하기 위해 고려된다.
기지국으로부터의 관점인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와 연관된 제어 신호를 UE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UE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면을 보여준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기 시스템 (액세스 네트워크로도 알려짐) 및 수신기 시스템 (사용자 장비 또는 UE로도 또한 알려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프로그램 코드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의 세 가지 예시적인 유형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등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타입을 제공하도록 널리 전개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ode division multipleaccess (CDMA)), 시 분할 다중 액세스 (time division multipleaccess (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access (OFDMA)), 3GPP LTE (3GPP Long Term Evolution) 무선 액세스, 3GPP LTE-A 또는 LTE-Advanced (3GPP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3GPP2 UMB (3GPP2 Ultra Mobile Broadband; 3GPP2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와이맥스 (WiMax), 또는 기타 변조 기술들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원에서 3GPP로 언급되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명명된 컨소시움에 의해 제공된 표준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며, 이 표준들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R2-162366, "Beam Forming Impacts", Nokia and Alcatel-Lucent; R2-163716, "Discussion on terminology of beamforming based high frequency NR", Samsung; R2-162709, "Beam supportin NR", Intel; R2-162762, "Active Mode Mobility in NR: SINR drops in higher frequencies", Ericsson; TS 36.213 v13.2.0, "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4)"; TS 36.101 v14.1.0, "E-UTRA User Equipment (U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lease 14)"; and TS 36.321 v14.0.0,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4)". 상기에서 열거된 표준들 및 문헌들은 그 전체가 본원에 명시적으로 참조로 편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액세스 네트워크 (access network; AN) (100)는, 하나의 안테나 그룹이 참조번호 104 및 106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안테나 그룹이 참조번호 108 및 110을 포함하고, 그리고 추가적인 안테나 그룹이 참조번호 112 및 114를 포함하는, 다수의 안테나 그룹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단지 2개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더 많거나 더 적은 안테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 (access terminal; AT) (116)은 안테나들 (112, 114)과 통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안테나들 (112, 114)은 순방향 링크 (120)를 통해 액세스 단말 (116)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 (118)를 통해 액세스 단말 (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액세스 단말 (AT) (122)은 안테나들 (106, 108)과 통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안테나들 (106, 108)은 순방향 링크 (126)를 통해 액세스 단말 (AT) (122)로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 (124)를 통해 액세스 단말 (AT) (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는, 통신 링크들 (118, 120, 124, 126)이 서로 다른 통신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방향 링크 (120)는 역방향 링크 (118)에 의해 사용된 것과는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 및/또는 안테나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된 구역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섹터로 종종 언급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그룹들 각각은 액세스 네트워크 (100)에 의해 커버되는 구역들의 한 섹터에 있는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순방향 링크들 (120, 126)을 통한 통신에 있어서는, 액세스 네트워크 (100)의 송신 안테나들이 서로 다른 액세스 단말들 (116,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빔포밍 (beamforming)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신의 서비스 커버리지에 걸쳐 무작위로 분산되어 있는 액세스 단말들에 전송하도록 빔포밍을 사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는 단일 안테나를 통해 자신의 액세스 단말들 모두에 전송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보다 적은, 인접 셀들에 있는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간섭을 야기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AN)는 상기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국 또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Node B, 기지국, 확장형 기지국 (enhanced base station), eNB (evolved Node B), 또는 기타의 용어로도 또한 언급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 (AT)은 또한 사용자 장비 (userequipment (U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단말, 액세스 단말 또는 어떤 다른 용어로도 불릴 수 있다.
도 2는 MIMO 시스템 (200) 내에서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로 알려진) 송신기 시스템 (210) 및 (또한, 액세스 단말 (AT) 또는 사용자 장비 (UE)로 알려진) 수신기 시스템(250)의 한 실시예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상기 송신기 시스템 (210)에서, 여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 (212)로부터 전송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데이터 스트림이 각자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부호화 스킴을 기반으로 하여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 부호화, 및 인터리브 (interleave)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부호화된 데이터는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법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pilot)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데이터는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며 상기 수신기 시스템 측에서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데이터 패턴인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된 파일럿 데이터 및 부호화된 데이터는 그 후에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도록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스킴 (예컨대,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M-PSK (m-ary phase shift keying), 또는 M-QAM (m-ary quadratureamplitude modulation)을 기반으로 하여 변조 (즉, 심볼 매핑)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전송 속도, 부호화, 및 변조는 프로세서 (2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어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그 후에, TX MIMO 프로세서 (220)로 제공되는데, 상기 TX MIMO 프로세서 (220)는 (예컨대, OFDM을 위해) 상기 변조 심볼들을 부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TX MIMO 프로세서 (220)는 그 후에, N T 개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 T 개 전송기(TMTR)들 (222a 내지 222t)로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TX MIMO 프로세서 (220)는, 빔포밍 (beamforming) 가중치들을,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상기 심볼이 전송되려는 안테나에 적용한다.
각각의 전송기 (2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개별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고,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하도록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부가적으로 컨디셔닝 (conditioning) (예컨대, 증폭, 필터링, 및 상향 주파수 변환 (up-conversion))한다.전송기들 (222a 내지 222t)로부터의 N T 개 변조 신호들은 그 후에, N T 개 안테나들 (224a 내지 224t)로부터 각각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 (250) 측에서는, 상기 전송된 변조 신호들이 N R 개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252)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신호는 개별 수신기 (RCVR) (254a 내지 254r)로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254)는 개별 수신 신호를 컨디셔닝 (예컨대, 필터링, 증폭 및 하향 주파수 변환 (down-conversion))하고, 샘플들을 제공하도록 상기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그리고 상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상기 샘플들을 부가적으로 처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그 후에, N T 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도록 특정의 수신기 처리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N R 개 수신기들 (254)로부터 N R 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처리한다. 상기 RX 데이터 프로세서 (260)는 그 후에, 각각의 검출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도록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브 (deinterleave) 및 복호화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260)에 의한 처리는 전송기 시스템 (210) 측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 (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는 상보적(complementary)이다.
프로세서 (270)는 어느 사전 부호화 (pre-coding) 매트릭스를 이용해야 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아래에서 설명됨). 프로세서 (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rank)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 메시지를 공식화한다.
상기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그 후에, TX 데이터 프로세서 (238)에 의해 처리되는데, 상기 TX 데이터 프로세서 (238)는 또한 데이터 소스 (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러한 트래픽 데이터는 변조기 (280)에 의해 변조되고, 전송기들 (254a 내지 254r)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그리고 송신기 시스템 (210)으로 다시 전송된다.
전송기 시스템(210) 측에서는, 수신기 시스템 (25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 (2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 (222)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 (240)에 의해 복조되고, 그리고 RX 데이터 프로세서 (242)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상기 수신기 시스템 (2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가 추출되게 한다. 프로세서 (230)는 그 후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느 사전 부호화 매트릭스를 이용해야 할지를 결정한 다음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도 3으로 돌아가면, 이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대안의 간략화된 기능적인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디바이스 (300)는 도 1에 도시된 UE들 (또는 AT들) (116, 122) 또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 (또는 AN)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LTE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 (300)는 입력 디바이스 (302), 출력 디바이스 (304), 제어 회로 (306), 중앙 처리 유닛 (central processing unit(CPU)) (308), 메모리 (310), 프로그램 코드 (312), 및 트랜시버 (transceiver, 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 (306)는 상기 CPU (308)를 통해 상기 메모리 (310) 내의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 디바이스 (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 (300)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 (30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모니터 또는 스피커들과 같은 출력 디바이스 (304)를 통해 이미지들 및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 (314)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 및 전송함으로써, 무선 방식으로, 수신된 신호들을 상기 제어 회로 (306)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 회로 (306)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디바이스 (300)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AN (100)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프로그램 코드 (312)의 간략화된 블록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400), 레이어 3 부분 (402), 및 레이어 2 부분 (404)을 포함하며, 레이어 1 부분 (40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이어 3 부분 (402)은 무선 리소스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레이어 2 부분 (404)은 링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레이어 1 부분(406)은 물리 접속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GPP R2-162366에서 설명된 것처럼, 더 낮은 주파수 대역들에서 (예를 들면, 현재의 LTE 대역들 < 6GHz), 다운링크 공통 채널들을 전송하기 위해 광역 섹터 빔을 형성함으로써 필요한 셀 커버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더 높은 주파수들 (>> 6GHz) 상에서 광역 섹터 빔을 활용하여, 상기 셀 커버리지는 동일한 안테나 이득을 가지면서 축소된다. 그래서,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필요한 셀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증가된 경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더 높은 안테나 이득이 필요하다. 광역 섹터 빔에 걸쳐 안테나 이득을 제공하기 위해서, 높은 이득 빔들을 형성하기 위해 (수십부터 수백까지 범위인 여러 안테나 소자들을 구비한) 더 큰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높은 이득 빔들은 광역 섹터 빔에 비교하면 좁다. 그러므로, 다운링크 공통 채널들을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빔들이 상기 필요한 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필요하다. 액세스 포인트가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의 높은 이득 빔들의 개수는 활용된 트랜시버 구조의 비용 및 복잡성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실제로, 더 높은 주파수들 상에서, 동시의 높은 이득 빔들의 개수는 상기 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필요한 빔들의 전체 개수보다 아주 더 작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어떤 주어진 시각에 빔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셀 영역의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다.
3GPP R2-163716에서 설명된 것처럼, 빔포밍은 방향성 신호 전송/수신을 위해 안테나 어레이들에서 사용된 일반적인 신호 프로세싱 기술이다. 빔포밍을 이용하여, 특별한 각도들에서의 신호들이 보강 간섭을 경험하고 다른 신호들은 상쇄 간섭을 경험하는 방식으로 안테나들의 위상 어레이에서의 소자들을 결합함으로써 빔이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들의 다수의 어레이들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빔들이 활용될 수 있다.
빔포밍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구현으로 카테고리화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 하이브리드 빔포밍, 및 아날로그 빔포밍. 디지털 빔포밍을 위해, 빔은 디지털 도메인 상에서 생성되며, 즉, 각 안테나 소자의 가중치는 기저대역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XRU에 접속됨). 그러므로, 시스템 대역폭을 가로질러 상이하게 각 서브대역의 빔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매우 쉽다. 또한, 때때로 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심볼들 사이에 어떤 스위칭 시간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빔들의 방향들이 전체 커버리지를 커버하는 모든 빔들은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TXRU (transceiver/RF chain) 및 안테나 소자 사이에 (거의) 1 대 1인 매핑을 필요로 하며 그리고 안테나 소자의 개수가 증가하고 시스템 대역폭이 증가하면 매우 복잡하다 (열 문제 또한 존재한다).
아날로그 빔포밍을 위해, 빔은 아날로그 도메인 상에서 생성되며, 즉, 각 안테나 소자의 가중치는 RF (Radio Frequency) 회로 내 진폭/위상 시프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 가중치가 상기 회로에 의해서만 제어되기 때문에, 동일한 빔 방향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 상에 적용될 것이다. 또한, 빔 방향이 변경되어야 한다면, 스위칭 시간이 필요하다. 아날로그 빔 포밍에 의해 동시에 생성된 빔의 개수는 TXRU의 개수에 종속한다. 주어진 크기의 어레이에 애해, TXRU의 증가는 각 빔의 안테나 소자를 줄어들게 할 수 있으며, 그래서, 더 광역의 빔이 생성될 것이다. 간단하게, 아날로그 빔 포밍은 동작에 있어서 더 제한되지만, 디지털 빔포밍의 복잡함 및 열 문제를 피하게 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빔포밍은 아날로그 빔포밍 및 디지털 빔포밍 사이의 절충으로서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아날로그 도메인 및 디지털 도메닝 둘 모두로부터 빔이 올 수 있다. 빔포밍의 이 유형들의 예들은 도 5에 도시된다.
3GPP R2-162709에서, eNB는 (중앙집중화되거나 분산된) 다수의 TRP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각 TRP는 다수의 빔들을 형성할 수 있다. 시간/주파수 도메인에서 빔들의 개수 그리고 동시 빔들의 개수는 RF 및 안테나 어레이 소자들의 개수에 종속한다.
NR을 위한 잠재적인 이동성 유형은 다음과 같이 열거될 수 있다:
o 인트라-TRP 이동성 (Intra-TRP mobility)
o 인터-TRP 이동성 (Inter-TRP mobility)
o 인터-NR eNB 이동성 (Inter-NR eNB mobility)
R2-162762에서, 빔포밍에만 순전히 의존하는 시스템의 신뢰성 그리고 더 높은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것이 경쟁하고 있으며, 이는 커버리지가 시간 변이 및 공간 변이 둘 모두에 대해 더욱 민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좁은 링크의 SINR은 LTE의 경우에서보다 더욱 빨리 탈락될 수 있다.
수백 개 개수의 소자들을 가진 액세스 노드들에서 안테나 어레이들을 사용하여, 노드 당 수십 또는 수백의 후보 빔들을 가진 아주 규칙적인 빔들의 그리드 (grid-of-beams)) 커버리지 패턴들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런 어레이로부터의 개별 빔의 커버리지 영역은 폭에 있어서 약 수십 미터에 이를 정도로 작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서빙 빔 영역 외부의 채널 품질 저하는 LTE에 의해 제공된 광역 커버리지의 경우에서보다 더 빠르다.
빔 동작 및 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 지원과 함께, 셀은 UE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다수의 선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 데이터를 UE에게 전송하는 TRP로부터 다수의 빔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것은 그 전송을 위해 더 많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다수의 TRP들로부터의 다수의 빔들은 동일 데이터를 UE에게 전송할 수 있다. 처리량을 늘이기 위해서, 단일 TRP가 UE를 위한 상이한 빔들 상에서 상이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TRP들은 UE로의 상이한 빔들 상에서 상이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UE 능력에 종속하여, UE는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때에 협역 빔 (narrow beam)을 또한 생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기지극 빔의 상기 제한을 겪을 수 있으며, 즉, 동시에 생성될 수 있는 UE 빔들의 개수는 제한된다. 다음의 UE 빔은 신호들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때에 UE에 의해 생성된 빔(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는 신호들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때에 기지국이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생성된 빔(들)을 언급하는 것인 기지국 빔이나 네트워크 빔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특별하게 언급되지 않는다면, 다음의 빔은 기지국 빔, UE 및, 또는 둘 모두를 언급하는 것일 수 있다.
통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현재 빔(들) (기지국 빔 및 UE 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을 추적하기 위한 한 방법은 UE 측으로부터 측정을 수행할 것일 수 있다. 기지국은 모든 기지국 빔들 또는 어떤 경우들에서는 기지국 빔들의 일부 상에서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 레퍼런스 신호를 측정한 이후에, UE는 어떤 빔 변화들이나 업데이트가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예를 들면, 현존 빔이 사라지거나 또는 새로운 빔이 나왔다는 것을 탐지할 수 있다. 또한, UE는 기지국에게 빔(들)의 새로운 상태를 통보하기 위해서 기지국에게 빔 측정 결과의 보고를 송신할 수 있다.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는 주기적으로, 비주기적으로, 또는 반-영속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주기적인 빔 레퍼런스 신호를 위해, 상기 기지국은 UE가 측정을 수행할 때에 측정 기회 (measurement occasion)(들)를 위한 적절한 주기성을 설정할 수 있다.
어떤 측정 기회 내에서, UE가 모든 기지국 빔들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모든 기지국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측정 기회는 여러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기지국 빔은 상이한 심블들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반면에, 비주기적인 빔 레퍼런스 신호는 연관된 트리거링 신호가 존재할 때 전송된다. UE가 연관된 트리거링 신호 (예를 들면, 제어 신호, 제어 채널,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할당)를 탐지할 때에, 상기 UE는 연과된 타이밍 기회, 예를 들면, 동일한 슬롯 내 나머지 심볼(들) 또는 다음의 슬롯 내 심볼(들) 내에 빔 레퍼런스 신호가 존재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들을 위해, 주기적인 빔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획득한 정보가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빔들 상에 빔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는 것 대신에, 기지국은 몇몇의 기지국 빔들을, 예를 들면, 상기 UE에 도달할 수 있을 것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기지국 빔(들)은 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기지국 빔(들)과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주기적인 빔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기지국 빔(들)은 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것들보다 더 좁을 수 있다.
다른 예는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기지국 빔(들)의 방향이 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기지국 빔(들)의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기지국 빔(들)의 방향은 주기적 빔 레퍼런스에 비해 약간 조절될 수 있으며, 그래서 그 빔 품질이 개선되고, 정련되고, 또는 정밀-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UE 위치가 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 빔과 동일한 방향 상에 있지 않은 경우). 반-영속적 레퍼런스 신호는 사이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처음에 설정되며, 연관된 신호가 있다면 주기적인 전송을 시작하고 그리고 다른 연관된 신호가 탐지되면 그 전송을 수정하거나 중지할 수 있다).
빔 품질 변화, UE 이동성, UE 회전 또는 빔 정련 (refinement) 또는 조절 (adjustment)이 필요할 때인 어떤 다른 경우를 UE가 탐지한다면, UE가 빔 레퍼런스 신호 (예를 들면,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를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UE는 그런 요청을 제어 요소, 제어 신호, 제어 채널, 또는 프리앰블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물론,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빔 정련 또는 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을 기지국이 탐지한다면, UE로부터의 요청이 없더라도 상기 기지국은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UE는 하나보다 많은 TRP에 의해 서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TRP로부터의 하나 또는 다수의 기지국 빔(들)이 상기 UE에게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서빙 TRP(들)로부터의 하나 또는 다수의 기지국 빔(들)은 상기 UE의 기지국 빔 세트를 형성할 수 있다.
UE의 기지국 빔 세트 내 빔들 중에서 다른 빔(들) 또는 다른 TRP(들)을 위해 빔 정련/조절이 필요하지 않지만, UE의 기지국 빔 세트 내 빔들 중에서 몇몇의 빔(들) 또는 몇몇의 TRP(들)을 위해 빔 정련/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을 상기 UE가 탐지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 상황에서 (즉, 몇몇 빔(들)의 빔 방향 또는 몇몇 TRP(들)의 빔 방향만이 변하며 그리고 다른 빔(들)의 빔 방향 또는 다른 TRP(들)의 빔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어느 빔(들)의 또는 어느 TRP(들)의 빔 방향이 변하고/변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서 알지 못하기 때문에, 빔 조절/정련을 위해 빔 레퍼런스 신호를 단순하게 요청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UE의 상기 빔 세트 내 모든 빔들 중 몇몇이 어떤 조절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그 모든 빔들을 정련/조절하기 위해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나의 기지국 빔은 빔 레퍼런스 신호를 (더 좁은 대역 빔으로 또는 여러 상이한 빔 방향들로) 운반하기 위해 여러 전송 기회들을 필요로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상기 UE의 빔 세트 내 모든 빔들에 대해서 정련 또는 조절을 수행하는 것은 빔 레퍼런스 신호를 운반하기 위해 더 많은 리소스들을 필요로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많은 심볼들이나 슬롯들). 또한, 하나의 트리거링 신호와 연관된 기회들의 개수가 제한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상기 UE의 빔 세트 내 모든 빔들에 대해서 정련 또는 조절을 수행하는 것은 빔 레퍼런스 신호의 더 많은 트리거링의 결과를 또한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마찬가지로 제어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기지국의 관점에서, 상기 UE의 기지국 빔 세트 내 빔들 중에서 몇몇의 빔(들) 또는 몇몇의 TRP(들)만이 정련 또는 조절을 필요로 할 것이라는 것을 상기 기지국이 탐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빔(들) 또는 상기 TPR(들) 상에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할 때에, 상기 UE는 빔 조절 또는 정련을 위해서 빔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올바른 UE 빔이 어느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일반적인 개념은 UE가 빔 정련이나 조절을 요청할 때에, 그 UE는 어느 빔(들)이 또는 어느 TPR(들)로부터의 빔(들)이 그 요청과 연관된 빔 정련/조절을 필요로 할 것인가를 표시할 것이라는 점이다. 빔 정련 또는 조절을 요청하는 예는 빔 레퍼런스 신호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일반적인 개념은 기지국이 UE를 위해 빔 정련이나 조절을 트리거할 때에, 상기 기지국은 빔 정련이나 조절이 어느 빔(들) 또는 상기 트리거와 연관된 어느 TRP(들)로부터의 빔(들) 상에서 수행되는가를 표시할 것이라는 점이다. UE를 위한 빔 정련 또는 조절을 트리거하는 예는 빔 레퍼런스 신호를 위한 비주기적 트리거를 상기 UE로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는 빔 레퍼런스 신호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을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요청은 어느 빔(들) 또는 어느 TRP(들)가 빔 레퍼런스 신호(들)를 필요로 할 것인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는 빔 id(들) 또는 TRP id(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요청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 채널 상에서 명시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정보는 상기 요청을 송신하기 위해 어느 리소스가 사용되는가에 따라서 묵시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리소스(들) 그리고 빔 id나 TRP id 사이의 연관은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청은 제어 채널 상으로, 데이터 채널 상으로, 또는 프리앰블을 경유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는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일 수 있다. 상기 UE는 어느 빔(들) 또는 어느 TRP(들)가 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따라서, 채널의 디코딩 실패에 따라, UE 이동성에 따라, UE 회전에 따라, 그리고/또는 UE 위치에 따라서 빔 레퍼런스 신호를 필요로 하는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UE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UE는 상기 요청된 빔(들)이나 요청된 TRP(들)로부터의 빔(들)과 연관된 UE 빔(들)을 이용하여 상기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 상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몇몇의 빔(들)을 위해 또는 몇몇의 TRP(들)를 위해서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들)를 트리거하기 위해 UE로 트리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트리거는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들)가 어느 빔(들) 또는 어느 TRP(들)에 대응하는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빔 id(들) 또는 TRP id(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비주기적 레퍼런스 신호(들)를 트리거하기 위해 사용된 채널 상으로 명시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거는 제어 채널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트리거는 다운링크 할당과 함께 또는 업링크 그랜트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트리거는 데이터 채널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어느 빔(들) 또는 어느 TPR(들)가 상기 UE에 의해 전송된 레퍼런스 신호(들) 상에서의 측정에 따라, 채널의 디코딩 실패에 따라, UE 이동성에 따라, 그리고/또는 UE 위치에 따라 빔 레퍼런스 신호를 필요로 하는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리거에 따라서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들) 상에서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UE는 상기 트리거된 빔(들) 또는 트리거된 TRP(들)로부터의 빔(들)과 연관된 UE 빔(들)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 상에서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비주기 빔 레퍼런스 신호를 운반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심볼들이 사용되는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는 심볼들 그리고 빔(들)이나 어느 TRP(들)로부터의 빔 사이에서의 매핑인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UE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실시에에 따른 흐름도 (600)이다. 단계 605에서, UE는 기지국으로부터 빔 레퍼런스 신호(들)의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신호는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가 요청된 것이 어느 빔(들) 또는 TRP(들)인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UE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기지국으로부터의 빔 레퍼런스 신호(들)의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여기에서 상기 신호는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가 요청된 것이 어느 빔(들) 또는 어느 TRP(들)인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PU (308)는 상기에서 설명된 행동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단계들 또는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할 수 있다.
도 7은 기지국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흐름도 (700)이다. 단계 705에서, 상기 기지국은 빔 레퍼런스 신호(들)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UE로부터 수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신호는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가 요청된 것이 어느 빔(들) 또는 TRP(들)인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기지국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빔 레퍼런스 신호(들)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UE로부터 수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신호는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가 요청된 것이 어느 빔(들) 또는 어느 TRP(들)인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PU (308)는 상기에서 설명된 행동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단계들 또는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된 실시예들의 환경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는 빔 id(들) 또는 TRP id(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E를 위한 빔 정련 또는 조절은 상기 정보에 의해 표시된 빔(들) 또는 TRP(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들)는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빔 레퍼런스 신호(들)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는 프리앰블일 수 있다. 그 프리앰블은 전용의 프리앰블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프로앰블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 프리앰블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앰블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 프리앰블의 리소스와는 상이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앰블은 상기 UE가 유효한 타이밍 어드밴스를 가져야만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빔 레퍼런스 신호(들)을 요청하기 위한 신호는 제어 채널 또는 스케줄링 요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줄링 요청은 업링크 그랜트를 요청하기 위한 스케줄링 요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요청을 송신하도록 설정된 리소스는 업링크 그랜트를 요청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을 송신하도록 설정된 리소스와는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빔 레퍼런스 신호(들)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는 데이터 채널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신호 상에서 운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는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리소스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다수의 리소스들이 설정되며, 그리고 각 리소스는 빔/TRP/빔들의 세트/TRP(들)의 세트와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느 빔(들) 또는 TRP(들)가 상기 정보 내에서 표시되는가의 결정은 레퍼런스 신호(들)의 측정에 기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들)는 주기적인 레퍼런스 신호(들)일 수 있다. 또한, 어느 빔(들) 또는 TRP(들)가 상기 정보 내에서 표시되는가의 결정은 다운링크 채널의 디코딩, UE 이동성, UE 위치, 및/또는 UE 회전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정보 내에 표시된 빔(들) 또는 TRP(들)을 위한 빔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UE는 상기 표시된 빔(들)과 연관된 또는 상기 표시된 TRP와 연관된 UE 빔들을 이용하여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의 기지국 빔 세트 내 빔들 중에서 다른 빔(들) 또는 다른 TRP(들)을 위해 빔 정련 또는 조절이 필요하지 않지만, 상기 UE의 기지국 빔 세트 내 빔들 중에서 몇몇의 빔(들) 또는 몇몇의 TRP(들)을 위해 빔 정련 또는 조절이 필요하다.
도 8은 기지국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800)이다. 단계 805에서, 기지국은 트리거 및 연관된 빔 레퍼런스 신호(들)를 UE로 전송하며, 여기에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들)가 전송된 것이 어느 빔(들) 또는 TRP(들)인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기지국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트리거 및 연관된 빔 레퍼런스 신호(들)를 UE에게 전송하며, 여기에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들)가 전송된 것이 어느 빔(들) 또는 어느 TRP(들)인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PU (308)는 상기에서 설명된 행동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단계들 또는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할 수 있다.
도 9는 UE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900)이다. 단계 905에서, UE는 빔 레퍼런스 신호(들)를 측정할 것을 UE에게 요청하는 트리거를 수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들)가 전송된 것이 어느 빔(들) 또는 TRP(들)인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UE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빔 레퍼런스 신호(들)를 측정할 것을 상기 UE에게 요청하는 트리거를 수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들)가 전송된 것이 어느 빔(들) 또는 어느 TRP(들)인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PU (308)는 상기에서 설명된 행동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단계들 또는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환경인 일 실시예에서, UE는 상기 표시된 빔(들) 또는 상기 표시된 TRP(들)와 연관된 UE 빔(들)을 이용하여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들) 상에서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빔 id(들) 또는 TRP id(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E를 위한 빔 정련 또는 조절은 상기 정보에 의해 표시된 빔(들) 또는 TRP(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빔 레퍼런스 신호(들)는 비주기적 빔 레퍼런스 신호(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거는 제어 채널, 다운링크 할당, 업링크 그랜트, 또는 데이터 채널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트리거 상으로 운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상기 트리거를 운반하기 위해 어느 빔(들)이나 TRP(들)가 사용되는가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느 빔(들) 또는 TRP(들)가 상기 정보 내에서 표시되는가의 결정은 레퍼런스 신호(들)의 측정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신호(들)는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느 빔(들) 또는 TRP(들)가 상기 정보 내에서 표시되는가의 결정은 업링크 채널의 디코딩에, UE 이동성에, UE 위치에, 또는 UE 회전에 기반할 수 있다. UE의 기지국 빔 세트 내 빔들 중에서 다른 빔(들) 또는 다른 TRP(들)을 위해 빔 정련 또는 조절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상기 UE의 기지국 빔 세트 내 빔들 중에서 몇몇의 빔(들) 또는 몇몇의 TRP(들)을 위해 빔 정련 또는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비주기 빔 레퍼런스 신호를 운반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심볼들이 사용되는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는 심볼들 그리고 빔(들)이나 어느 TRP(들)로부터의 빔 사이에에서의 매핑인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기지국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1000)이다. 단계 1005에서, 상기 기지국은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와 연관된 제어 신호를 UE에게 전송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1010에서, 상기 기지국은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UE에게 전송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기지국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i)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와 연관된 제어 채널을 UE에게 전송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해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ii)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UE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CPU (308)는 상기에서 설명된 행동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단계들 또는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1은 UE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1100)이다. 단계 1105에서, 상기 UE는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와 연관된 제어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1110에서, 상기 UE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측정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UE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i)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와 연관된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해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ii)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CPU (308)는 상기에서 설명된 행동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단계들 또는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환경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빔-관련 정보는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가 전송되는 빔을 적어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빔-관련 정보는 제1 빔을 표시하며 그리고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는 그 제1 빔의 적어도 정련된 빔 상에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 채널을 경유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데이터 채널을 경유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운반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심볼들이 사용되는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의 존재를 표시한다. 추가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운빈하기 위해 사용된 리소스들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는 상기 빔-관련 정보에 의해 표시된 빔과 연관된 UE 빔(들)을 이용하여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 상에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UE를 위한 빔 정련은 상기 빔-관련 정보에 의해 표시된 빔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모습들이 위에서 설명되었다. 본원의 교시들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원에 개시되어 있는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상기 특정 구조 및 기능 모두가 단지 대표적인 것들이라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본원의 교시들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에 개시된 한 실시형태가 다른 어떤 실시형태들과는 무관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형태들 중 2가지 이상의 실시형태가 여러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에 개시된 다수의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하나의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본원에 기재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에 추가해서나 또는 본원에 기재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과는 다른 구조, 기능성, 또는 구조 및 기능성을 사용하여 그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위의 개념들 중 몇몇 개념들의 일 예로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는, 동시 채널들이 펄스 반복 주파수들을 기반으로 하여 확립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는, 동시 채널들이 펄스 위치 또는 오프셋들을 기반으로 하여 확립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는, 동시 채널들이 타임 호핑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하여 확립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는, 동시 채널들이 펄스 반복 주파수들, 펄스 위치들 또는 오프셋들, 및 시간 호핑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하여 확립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듯이, 정보 및 신호들은 다른 여러 기술 및 기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할 수 있는 데이터, 명령어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 필드 (optical field)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연관하여 설명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예컨대, 소스 부호화 또는 다른 어떤 기술을 사용하여 설계될 수 있는,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상기 2가지의 조합), (편의상 본원에서는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언급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통합 명령어들, 또는 이들 모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호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여러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에 대하여 위에서 전반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든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든 전체 시스템에 강제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위에서 설명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판단들은 본원의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게다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연관하여 설명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집적 회로(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집적 회로 (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IC는, 본원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기기,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전기 구성요소들, 광학 구성요소들, 기계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IC 내부에, 상기 IC 외부에, 또는 상기 IC 내부 및 외부에 상주하는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변형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가 기존의 어떤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기기들,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체, 복수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기타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에 개시된 어떤 프로세스에서의 단계들의 어떠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라도 예시적인 접근 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설계상의 선호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본원의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재배치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수반되는 방법의 청구항들은 예시적인 순서로 여러 단계 요소들을 기재하고 있으며, 상기 청구항들에 기재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한정되도록 의미를 부여한 것은 아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연관지어 설명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들 2가지의 조합으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및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다른 데이터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기타 형태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데이터 메모리에 상주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예컨대,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프로세서 (편의상 "프로세서"로서 본원에 언급될 수 있음)와 같은 기계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합체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해 있을 수 있다. 상기 ASIC는 사용자 장비에 상주해 있을 수 있다. 변형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사용자 장비 내의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상주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몇몇 모습들에서는, 적합한 어떤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이 본원의 개시의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에 관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모습들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패키징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양한 모습들과 연관되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서 추가의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들을 따르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되고 관습적인 실시에 속하는 본 발명 개시로부터의 그런 이탈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 원칙들의 변경들, 이용들 또는 개조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20)

  1. 기지국의 방법으로:
    상기 기지국이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와 연관된 제어 신호를 UE에게 전송하는 단계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UE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관련 정보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가 전송되는 빔을 적어도 표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관련 정보는 제1 빔을 표시하며 그리고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상기 제1 빔의 적어도 정련된 빔 상으로 전송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 채널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운반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심볼들이 사용되는가를 표시하는, 방법.
  7. 사용자 장비 (User Equipment (UE))의 방법으로:
    상기 UE가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와 연관된 제어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단계; 그리고
    상기 UE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관련 정보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가 전송되는 빔을 적어도 표시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관련 정보는 제1 빔을 표시하며 그리고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상기 제1 빔의 적어도 정련된 빔 상으로 전송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빔-관련 정보에 의해 표시된 빔에 적어도 연관된 UE 빔(들)을 이용하여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E를 위한 빔 정련 (beam refinement)은 상기 빔-관련 정보에 의해 표시된 빔에 대해 적어도 수행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 채널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운반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심볼들이 사용되는가를 표시하는, 방법.
  15. 제어 회로;
    그 제어 회로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 그리고
    그 제어 회로 내에 철되며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되어:
    빔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와 연관된 제어 신호를 UE에게 전송하게 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상기 UE에게 전송하게 하는, 기지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빔-관련 정보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가 전송된 빔을 적어도 표시하는, 기지국.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빔-관련 정보는 제1 빔을 표시하며 그리고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상기 제1 빔의 적어도 정련된 빔 상으로 전송되는, 기지국.
  18. 제15항에 있어서,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기지국.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 채널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기지국.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빔 측정을 위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운반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심볼들이 사용되는가를 표시하는, 기지국.
KR1020180001746A 2017-01-06 2018-0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07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3291P 2017-01-06 2017-01-06
US62/443,291 2017-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466A true KR20180081466A (ko) 2018-07-16
KR102107890B1 KR102107890B1 (ko) 2020-05-08

Family

ID=6094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746A KR102107890B1 (ko) 2017-01-06 2018-0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48402B2 (ko)
EP (1) EP3346616B1 (ko)
JP (1) JP6636059B2 (ko)
KR (1) KR102107890B1 (ko)
CN (1) CN108288980B (ko)
ES (1) ES2823197T3 (ko)
TW (1) TWI66285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365A (ko) * 2019-04-03 2020-10-15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r에 있어 idc 문제들을 핸들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93191B2 (en) 2018-12-20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rray antenna and power backoff method for antenna arr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3301A1 (zh) * 2015-12-31 2017-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赋形方法、接收机、发射机及系统
US10863366B2 (en) 2017-06-23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beamforming for serving and neighbor cell measurements
CN109981155B (zh) * 2017-12-27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训练方法及相关设备
CN110636538B (zh) * 2018-06-22 2021-07-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测量方法、网络侧设备、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5334566A (zh) * 2018-09-13 2022-11-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波束测量报告的上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118037B (zh) * 2019-06-21 2022-10-1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波束切换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1162827B (zh) * 2020-03-06 2020-10-3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波束管理方法、装置、网络侧设备、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648A1 (en) *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for receiving and sending a report compri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WO2016187744A1 (zh) * 2015-05-22 2016-12-01 富士通株式会社 参考信号的资源配置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5065B (zh) * 2012-05-11 2017-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上报的方法、网络设备和用户设备
EP3200498B1 (en) 2014-09-23 2020-01-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Beam configur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AU2014414450B2 (en) * 2014-12-17 2019-03-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transmitting mobility signals and related network nodes and wireless devices
CN106412942A (zh) 2015-07-31 2017-02-15 株式会社Ntt都科摩 波束参考信号的发送方法、波束选择方法、基站及用户终端
US10581503B2 (en) 2015-10-21 2020-03-03 Apple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porting beam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US20170289917A1 (en) * 2016-04-01 2017-10-0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9960830B2 (en) * 2016-04-04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eam in beamforming system
US10554284B2 (en) * 2016-08-01 2020-02-04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finement for active and candidate beams
US10505618B2 (en) * 2016-08-1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easurement and management in wireless systems
US11234273B2 (en) * 2016-08-12 2022-01-25 Qualcomm Incorporated RACH conveyance of DL synchronization beam information for various DL-UL correspondence states
US10736010B2 (en) * 2016-10-07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beam for event trigger in mobility mana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648A1 (en) *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for receiving and sending a report compri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WO2016187744A1 (zh) * 2015-05-22 2016-12-01 富士通株式会社 参考信号的资源配置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9514 *
3GPP R1-1612509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3191B2 (en) 2018-12-20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rray antenna and power backoff method for antenna array
KR20200118365A (ko) * 2019-04-03 2020-10-15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r에 있어 idc 문제들을 핸들링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800243A (zh) * 2019-04-03 2020-10-20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处置新无线电装置内共存问题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23197T3 (es) 2021-05-06
JP2018113684A (ja) 2018-07-19
CN108288980A (zh) 2018-07-17
JP6636059B2 (ja) 2020-01-29
CN108288980B (zh) 2021-04-06
EP3346616A1 (en) 2018-07-11
US20180198583A1 (en) 2018-07-12
EP3346616B1 (en) 2020-09-16
TWI662855B (zh) 2019-06-11
US10148402B2 (en) 2018-12-04
TW201826871A (zh) 2018-07-16
KR102107890B1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78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212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상태 정보 보고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632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s for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points (TR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6102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beam deter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45772B1 (ko) 기지국 제어 빔 관리
KR1019818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이용하는 전송 또는 수신 방법 및 장치
US103746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E beamforming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900824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usage in unlicensed spectrum considering beamformed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403571A1 (en) Communication system
US20150099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cell enhanc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161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중 디바이스-대-디바이스 전송을 핸들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670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902579A (zh) 毫米波多波束
US2012024341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log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