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891A -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891A
KR20180079891A KR1020170000619A KR20170000619A KR20180079891A KR 20180079891 A KR20180079891 A KR 20180079891A KR 1020170000619 A KR1020170000619 A KR 1020170000619A KR 20170000619 A KR20170000619 A KR 20170000619A KR 20180079891 A KR20180079891 A KR 20180079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upport
main
floating body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7602B1 (ko
Inventor
김동주
신현경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602B1/ko
Priority to PCT/KR2017/009378 priority patent/WO2018128243A1/ko
Publication of KR2018007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30Commissioning, e.g. inspection, testing or final adjustment before releasing for production
    • F03D13/35Balancing static or dynamic imbal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도록 배치하며, 부력을 가지는 메인부유체, 길이방향 일단이 메인부유체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수중에 고정되는 해상계류와이어, 메인부유체의 상부에 설치하며, 해상에 발생되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 메인부유체의 연직 하방의 수중에 잠김상태로 부유하도록 배치하며, 부력을 가지는 지지부유체, 길이방향 일단이 지지부유체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수중에 고정되는 수중계류와이어, 메인부유체를 지지하도록 지지부유체의 상부에 설치하며, 해상에서 파도나 바람에 의한 메인부유체의 움직임을 흡수하여 메인부유체가 지지부유체 상에 평형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평형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는, 메인부유체가 수중에 배치된 지지부유체를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평형지지수단이 메인부유체의 움직임을 흡수한 후, 다시 메인부유체를 지지부유체 상에서 바로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해상에서 풍력발전기의 풍력을 이용한 발전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Offshore wind power equipment of floating type}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도록 설치하며, 해상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구조물은 해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계류될 수 있는 것으로, 기능, 구조, 계류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해양 구조물은 SEMI(Semi-Submersible), TLP(Tensioned Leg Platform), SPAR,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ding), FSRU 또는 시추용 리그(Rig) 등으로 칭해지는 많은 종류의 해양 구조물이 있다.
최근 들어, 화력발전·원자력 발전 및 해류발전을 대체할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그 이용에 대한 실질적인 장치의 연구 개발을 진행함에 있어, 이렇게 해수면 위에 떠 있는 해양 구조물을 통해 풍력에너지를 동시에 이용하는 해양발전장치에 대한 관심과 개발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는, 해양 구조물의 선체가 좌우로 흔들리는 선수동요(Roll motion)가 발생함으로 인한 평형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서 발전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유식 해상풍력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38708호(2012.04.24)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해상에서 평형상태로 부유되게 하면서 풍력에 의한 발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도록 배치하며, 부력을 가지는 메인부유체,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메인부유체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수중에 고정되는 해상계류와이어, 상기 메인부유체의 상부에 설치하며, 해상에 발생되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 상기 메인부유체의 연직 하방의 수중에 잠김상태로 부유하도록 배치하며, 부력을 가지는 지지부유체,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지지부유체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수중에 고정되는 수중계류와이어, 상기 메인부유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유체의 상부에 설치하며, 상기 해상에서 파도나 바람에 의한 상기 메인부유체의 움직임을 흡수하여 상기 메인부유체가 상기 지지부유체 상에 평형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평형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평형지지수단은, 상기 지지부유체의 상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며, 로드 단부는 상기 메인부유체의 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실린더, 상기 지지실린더와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지지실린더의 로드 단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메인부유체를 지지되게 하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형지지수단은, 상기 메인부유체의 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판, 하단은 상기 지지부유체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자바라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연결링크,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상태로 로드 단부가 상기 연결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를 펼침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펼침실린더, 상기 펼침실린더와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지지실린더의 로드 단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링크를 펼침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메인부유체를 지지되게 하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부유체와 상기 지지부유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부유체연결와이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는, 메인부유체가 수중에 배치된 지지부유체를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평형지지수단이 메인부유체의 움직임을 흡수한 후, 다시 메인부유체를 지지부유체 상에서 바로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해상에서 풍력발전기의 풍력을 이용한 발전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의 구성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는, 메인부유체(100), 해상계류와이어(200), 풍력발전기(300), 지지부유체(400), 수중계류와이어(500), 평형지지수단(6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메인부유체(100)는 이후 설명될 풍력발전기(300)를 해상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게 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상기 메인부유체(100)는 해상에서 부유하도록 부력을 가지는 구조물로서, 도 1에서는 복수의 기둥 구조물이 상호 연결된 구조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외측면 둘레로는 복수의 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되어 수선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상기 메인부유체(100)에 가해지는 조파저항이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해상계류와이어(200)는 상기 메인부유체(100)를 상기 해상의 정해진 위치에서 부유하도록 고정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해상계류와이어(2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하단 일측에 연결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해상계류와이어(2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해저에 배치되게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해상계류와이어(2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앵커나 앵커파일로 상기 해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무게추와 같은 중량체를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해상계류와이어(200)는 상기 메인부유체(100)를 상기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계류할 수 있도록 복수개를 구비한다.
상기 풍력발전기(300)는 상기 메인부유체(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해상에서 발생하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이다. 이러한, 상기 풍력발전기(300)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상면 중심에 배치된 상태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인부유체(100)에 연결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풍력발전기(300)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상면에 수직하게 연결 결합되는 타워(310)와, 상기 타워(3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블레이드(330)의 회전력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낫셀(320) 및, 상기 낫셀(3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330)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부유체(400)는 이후 설명될 평형지지수단(600)을 결합 설치함과 더불어 수중에서 상기 메인부유체(100)를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부유체(300)는 이후 설명될 수중계류와이어(500)에 의해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도록 수중에 잠김되게 배치한 상태로 상기 메인부유체(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는 구조물이다. 이같이, 상기 지지부유체(400)는 수중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부유체(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는 판 구조물 또는 내측에 공기가 저장된 통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중에서 부력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부력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중계류와이어(500)는 상기 지지부유체(400)를 상기 수중의 정해진 위치,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연직 하방에 잠김된 위치에서 부유하도록 고정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수중계류와이어(5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지지부유체(400)의 일측에 연결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수중계류와이어(5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해저에 배치되게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수중계류와이어(5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앵커나 앵커파일로 상기 해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무게추와 같은 중량체를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수중계류와이어(500)는 상기 지지부유체(400)를 상기 수중에 잠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계류할 수 있도록 복수개를 구비한다.
상기 평형지지수단(600)은 상기 해상에서 파도나 바람에 의한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움직임을 흡수하면서 상기 메인부유체(100)가 평형상태로 유지되게 하면서, 상기 풍력발전기(300)에 의한 발전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평형지지수단(600)은 상기 메인부유체(100)를 상기 지지부유체(400) 상에 안착 배치되도록 연결하면서,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움직임을 흡수한 후, 바로 상기 메인부유체(100)가 평형상태로 위치를 복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평형지지수단(600)은 상기 지지부유체(400)의 상부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평형지지수단(600)의 상단에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저면을 안착 배치되게 하면서, 상기 메인부유체(100)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평형지지수단(600)은 지지실린더(610), 유압공급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실린더(610)는 상기 지지부유체(400)의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며, 로드 단부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하중이 상기 지지부유체(400)로 전달되게 하면서, 상기 지지부유체(400)의 부력을 통해 상기 메인부유체(100)를 지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실린더(610)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움직임에 따른 하중이 상기 지지부유체(400)로 모두 전달되지 않고 흡수되게 함으로써, 상기 메인부유체(100)가 평형상태로 빠르게 복귀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실린더(610)는 상기 메인부유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유체(400)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실린더(610)의 로드 단부에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지지실린더(610)의 로드 부분이 하방으로 밀림 이동시, 상기 지지실린더(6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패드(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흡수패드는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공급부(620)는 상기 지지실린더(610)에 유압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유압공급부(620)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에 설치된 상태로 공급라인(621)을 통해 상기 지지실린더(610)로 유압을 공급되게 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지지부유체(400)에 설치된 상태로 공급라인(621)을 통해 상기 지지실린더(510)로 유압을 공급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유압공급부(620)는 상기 지지실린더(510)의 로드 단부가 상방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해상에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한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움직임이 발생시, 그 움직임을 흡수한 후 바로 원상태로 복귀되게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에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와 상기 지지부유체(400)를 연결하는 복수의 부유체연결와이어(70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유체연결와이어(7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메인부유체(100)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부유체연결와이어(7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지지부유체(400)에 연결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연직 하방 수중에 상기 지지부유체(400)가 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연결와이어(700)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와 상기 지지부유체(4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부유체(100)와 상기 지지부유체(400)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는, 상기 메인부유체(100)는 상기 수중에 배치된 상기 지지부유체(400)를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상기 평형지지수단(600)의 지지실린더(610) 로드 부분이 하방으로 밀림 이동되면서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움직임을 흡수한 후, 다시 상기 유압공급부(62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지지실린더(610)의 로드 부분이 상방으로 다시 복귀하면서 상기 메인부유체(100)는 상기 지지부유체(400) 상에서 바로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상기 해상에서 상기 풍력발전기(300)의 풍력을 이용한 발전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는, 메인부유체(100a), 해상계류와이어(200a), 풍력발전기(300a), 지지부유체(400a), 수중계류와이어(500a), 평형지지수단(600a)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메인부유체(100a), 해상계류와이어(200a), 풍력발전기(300a), 지지부유체(400a), 수중계류와이어(500a)는 앞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평형지지수단(600a)은 상기 해상에서 파도나 바람에 의한 상기 메인부유체(100a)의 움직임을 흡수하면서 상기 메인부유체(100a)가 평형상태로 유지되게 하면서, 상기 풍력발전기(300a)에 의한 발전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평형지지수단(600a)은 상기 메인부유체(100a)를 상기 지지부유체(400a) 상에 안착 배치되도록 연결하면서, 상기 메인부유체(100a)의 움직임을 흡수한 후, 바로 상기 메인부유체(100a)가 평형상태로 위치를 복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평형지지수단(600a)은 상기 지지부유체(400a)의 상부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평형지지수단(600a)의 상단에는 상기 메인부유체(100a)의 저면을 안착 배치되게 하면서, 상기 메인부유체(100a)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평형지지수단(600a)은 지지판(610a), 연결링크(620a), 펼침실린더(630a), 유압공급부(640a)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610a)은 상기 메인부유체(100a)의 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판 형상 구조물이다. 이러한, 상기 지지판(610a)은 연결링크(620a) 및 펼침실린더(630a)에 의한 지지력이 상기 메인부유체(100a)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10a)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부유체(100)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지지판(610a)이 하방으로 밀림 이동시, 상기 지지판(610a)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패드(611a)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흡수패드(611a)는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620a)는 상기 지지판(610a)을 상기 지지부유체(400a) 상부에 연결되게 지지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판(610a)이 상기 지지부유체(400a) 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링크(620a)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유체(400a)의 상면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연결링크(620a)의 상단은 상기 지지판(610a)의 저면에 연결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연결링크(620a)는 상기 지지판(610a)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자바라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620a)는 상기 지지판(610a)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펼침실린더(630a)는 상기 연결링크(620a)를 펼침상태로 유지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판(610a)에 의한 상기 메인부유체(100a)의 지지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펼침실린더(630a)는 상기 지지부유체(400a)의 상면에 결합 설치하며, 로드 단부는 상기 연결링크(620a) 일측에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펼침실린더(630a)는 상기 메인부유체(100a)의 움직임에 따른 하중이 상기 지지부유체(400a)로 모두 전달되지 않고 흡수되게 함으로써, 상기 메인부유체(100a)가 평형상태로 빠르게 복귀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펼침실린더(630a)는 상기 연결링크(620a)에 의한 상기 메인부유체(100a)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유체(400a)의 상면에 복수개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압공급부(640a)는 상기 펼침실린더(630a)에 유압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유압공급부(640a)는 상기 메인부유체(100a)에 설치된 상태로 공급라인(641a)을 통해 상기 펼침실린더(630a)로 유압을 공급되게 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지지부유체(400a)에 설치된 상태로 공급라인(641a)을 통해 상기 펼침실린더(630a)로 유압을 공급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유압공급부(640a)는 상기 펼침실린더(630a)의 로드 단부가 상방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해상에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한 상기 메인부유체(100a)의 움직임이 발생하면서 상기 연결링크(620a)의 하방으로의 접힘 동작시, 그 움직임을 흡수한 후 바로 상기 연결링크(620a)가 다시 상방으로 펼침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게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에는, 상기 메인부유체(100a)와 상기 지지부유체(400a)를 연결하는 복수의 부유체연결와이어(700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유체연결와이어(700a)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메인부유체(100a)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부유체연결와이어(700a)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지지부유체(400a)에 연결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부유체(100a)의 연직 하방 수중에 상기 지지부유체(400a)가 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여기서, 여기서, 상기 부유체연결와이어(700a)는 상기 메인부유체(100a)와 상기 지지부유체(400a)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부유체(100a)와 상기 지지부유체(400a)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는, 상기 메인부유체(100a)가 상기 수중에 배치된 상기 지지부유체(400a)를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상기 평형지지수단(600a)의 연결링크(620a)가 하방으로 밀림상태로 접힘되면서 상기 메인부유체(100a)의 움직임을 흡수한 후, 다시 상기 유압공급부(640a)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한 상기 펼침실린더(630a) 로드 부분의 상방으로 복귀에 의한 상기 연결링크(620)의 펼침을 통해 상기 메인부유체(100a)는 상기 지지부유체(400a) 상에서 바로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상기 해상에서 상기 풍력발전기(300a)의 풍력을 이용한 발전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a: 메인부유체 200,200a: 해상계류와이어
300,300a: 풍력발전기 400,400a: 지지부유체
500,500a: 수중계류와이어 600,600a: 평형지지수단
700,700a: 부유체연결와이어

Claims (4)

  1. 해상에 부유하도록 배치하며, 부력을 가지는 메인부유체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메인부유체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수중에 고정되는 해상계류와이어와;
    상기 메인부유체의 상부에 설치하며, 해상에 발생되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메인부유체의 연직 하방의 수중에 잠김상태로 부유하도록 배치하며, 부력을 가지는 지지부유체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지지부유체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수중에 고정되는 수중계류와이어; 및
    상기 메인부유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유체의 상부에 설치하며, 상기 해상에서 파도나 바람에 의한 상기 메인부유체의 움직임을 흡수하여 상기 메인부유체가 상기 지지부유체 상에 평형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평형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형지지수단은,
    상기 지지부유체의 상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결합 설치하며, 로드 단부는 상기 메인부유체의 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실린더와,
    상기 지지실린더와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지지실린더의 로드 단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메인부유체를 지지되게 하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형지지수단은,
    상기 메인부유체의 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판과,
    하단은 상기 지지부유체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자바라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연결링크와,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상태로 로드 단부가 상기 연결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를 펼침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펼침실린더, 및
    상기 펼침실린더와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지지실린더의 로드 단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링크를 펼침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메인부유체를 지지되게 하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유체와 상기 지지부유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부유체연결와이어를 더 구비하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KR1020170000619A 2017-01-03 2017-01-03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KR10192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619A KR101927602B1 (ko) 2017-01-03 2017-01-03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PCT/KR2017/009378 WO2018128243A1 (ko) 2017-01-03 2017-08-28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619A KR101927602B1 (ko) 2017-01-03 2017-01-03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91A true KR20180079891A (ko) 2018-07-11
KR101927602B1 KR101927602B1 (ko) 2018-12-10

Family

ID=6279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619A KR101927602B1 (ko) 2017-01-03 2017-01-03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7602B1 (ko)
WO (1) WO20181282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23B1 (ko) * 2020-03-11 2020-08-12 (주)삼원밀레니어 반잠수식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5176A (zh) * 2018-12-21 2019-04-16 北京汇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伺服电机协调控制的调整装置及系统
CN109515639B (zh) * 2019-01-08 2020-12-11 杭州煜贤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半浸入式海洋风力发电设备用漂浮体
KR102191770B1 (ko) * 2019-06-18 2020-12-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KR102107994B1 (ko) * 2019-08-14 2020-05-07 주식회사 에이스이앤티 해상 풍력발전 부유체
KR102093240B1 (ko) 2019-08-19 2020-03-25 박승균 다중 칼럼으로 구성된 자기 선회식 해상풍력 부선
CN112249252A (zh) * 2020-10-12 2021-01-22 广东海洋大学 一种设有平衡补偿装置的浮式平台
CN113958460B (zh) * 2021-10-04 2023-07-11 江苏海装风电设备有限公司 一种海上风力发电用防撞型固定底座
KR102523952B1 (ko) 2023-02-03 2023-04-20 (주)삼원밀레니어 타워일체형 해상풍력 부유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351A (ja) * 2003-12-19 2005-07-07 Yoshiro Shinoda 水上用風力発電装置
JP2010234965A (ja) * 2009-03-31 2010-10-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緊張係留浮体システム、支援用システム及びこの支援用システムを用いた浮体の曳航方法と設置方法
KR20110053741A (ko) * 2009-11-16 2011-05-24 한국과학기술원 안티모션 파운데이션
KR20110053740A (ko) * 2009-11-16 2011-05-24 한국과학기술원 안티모션 파운데이션
KR20140006521A (ko) * 2012-07-06 2014-01-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평형 유지 기능을 갖는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351A (ja) * 2003-12-19 2005-07-07 Yoshiro Shinoda 水上用風力発電装置
JP2010234965A (ja) * 2009-03-31 2010-10-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緊張係留浮体システム、支援用システム及びこの支援用システムを用いた浮体の曳航方法と設置方法
KR20110053741A (ko) * 2009-11-16 2011-05-24 한국과학기술원 안티모션 파운데이션
KR20110053740A (ko) * 2009-11-16 2011-05-24 한국과학기술원 안티모션 파운데이션
KR20140006521A (ko) * 2012-07-06 2014-01-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평형 유지 기능을 갖는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23B1 (ko) * 2020-03-11 2020-08-12 (주)삼원밀레니어 반잠수식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602B1 (ko) 2018-12-10
WO2018128243A1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602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KR102255985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의 평형 조정장치
JP5244822B2 (ja) 水流からエネルギを生成するためのフローティング装置
Wang et al. Research on floating wind turbines: a literature survey
Roddier et al. WindFloat: A floating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turbines
AU2009272416B2 (en) Wave powered generator
JP5268903B2 (ja) 波力装置及び非常用発電機としてのその装置の使用
US11279452B2 (en) Motion absorbing system and method for a structure
US20150259044A1 (en) Tension-leg floating platform tha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harnessing wind energy
KR102191770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PT2382389E (pt) Turbinas de vento removíveis no alto mar com sistema de amarração pré-instalada
WO2008088368A2 (en) Lever operated pivoting float with generator
KR20190072641A (ko) 부체 구조물
KR20090020545A (ko) 제한된 진동을 갖는 안정화 부유 구조물
EP231870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wing offshore wind turbines
KR101488292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
GB2559996A (en) Flowing water power generating device
Nihei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motion performance of four different FOWT designs in combined wind and wave loads
KR20170113793A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KR101671065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CN106089559A (zh) 海洋波浪能风能综合发电装置
KR101548085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CN103133249A (zh) 漂浮支撑装置和风力发电机组
KR101631761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KR101259089B1 (ko)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