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617A -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617A
KR20180078617A KR1020160183564A KR20160183564A KR20180078617A KR 20180078617 A KR20180078617 A KR 20180078617A KR 1020160183564 A KR1020160183564 A KR 1020160183564A KR 20160183564 A KR20160183564 A KR 20160183564A KR 20180078617 A KR20180078617 A KR 20180078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broadcasting
broadcast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840B1 (ko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최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석 filed Critical 최원석
Priority to KR102016018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840B1/ko
Priority to PCT/KR2017/015729 priority patent/WO2018124811A1/ko
Publication of KR2018007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객체 식별 정보를 갖는 객체를 포함하는 방송프로그램을 방송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방송국 장치;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서 상기 객체 선택 시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객체를 식별하는 객체 식별부, 상기 객체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객체 정보 검색부, 상기 객체 정보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객체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객체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객체 구매사이트로 링크할 수 있도록 객체 구매사이트 주소 링크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객체 구매사이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마케팅 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은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방송출연자나 방송에 노출된 상품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경우 방송프로그램 상에 링크된 구매사이트나 구매 아이콘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생방송의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여 방송출연자로부터 정보를 직접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Online marke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방송출연자나 방송에 노출된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경우 방송프로그램 상에 링크된 구매 사이트나 구매 아이콘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생방송의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여 방송출연자로부터 관련 정보를 직접얻을 수 있는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송프로그램은 방송사업자에 의한 일 방향 송출이어서 시청자가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도중에 방송출연자나 방송에 노출된 상품 등과 관련된 정보를 알고 싶어도 실시간으로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방송에 노출된 상품 관련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시청자가 일일이 인터넷이나 주변 지인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수밖에 없어 상품에 대한 광고 효과가 미미하였다.
이에 방송프로그램을 통하여 직접 상품에 대한 광고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이를 실시간으로 마케팅에 활용하고자 하는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1249호(2013. 03. 05.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방송출연자나 방송에 노출된 상품 관련 정보를 실시간(Real Time)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경우 방송프로그램 상에 링크된 구매 사이트나 구매 아이콘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생방송의 경우 방송출연자와 실시간 채팅도 가능하여 방송출연자로부터 직접 관련 정보를 얻을 수도 있는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객체 식별 정보를 갖는 객체를 포함하는 방송프로그램을 방송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방송국 장치;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서 상기 객체 선택 시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객체를 식별하는 객체 식별부, 상기 객체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객체 정보 검색부, 상기 객체 정보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객체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객체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객체 구매 사이트로 링크할 수 있도록 객체 구매 사이트 주소 링크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객체 구매 사이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마케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마케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방송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경우 방송 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실시간 채팅창은 상기 방송국 장치를 통해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케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에 따라 구매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구매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객체의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구매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다른 마케팅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며 객체 식별 정보를 갖는 객체를 포함하는 방송프로그램에서 상기 객체 선택 시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객체를 식별하는 객체 식별부; 상기 객체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객체 정보 검색부; 상기 객체 정보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객체 정보를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객체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객체 구매 사이트로 링크할 수 있도록 객체 구매 사이트 주소 링크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객체 구매 사이트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방송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실시간 채팅창은 상기 방송국 장치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에 따라 구매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구매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객체의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구매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온라인 마케팅 방법은 방송국 장치가 객체 식별 정보를 갖는 객체를 포함하는 방송프로그램을 방송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 마케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서 상기 객체 선택 시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마케팅 장치가 상기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마케팅 장치가 상기 검색된 객체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마케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객체 구매 사이트로 링크할 수 있도록 객체 구매 사이트 주소 링크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케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방송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을 제공하되, 실시간 채팅창은 상기 방송국 장치를 통해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케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에 따라 구매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구매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객체의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방송출연자나 방송에 노출된 상품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경우 방송프로그램 상에 링크된 구매 사이트나 구매 아이콘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생방송의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으로 채팅도 가능하여 방송출연자로부터 상품 관련 정보를 직접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송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온라인 마케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행례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방송국 장치(200), 데이터베이스(300) 및 마케팅 장치(4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 및 마케팅 장치(400)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 가능하고, 방송국 장치(200) 및 마케팅 장치(400)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tant)·스마트폰·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노트북·태블릿 PC·PMP(Portable Multimedia Player)·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내비게이션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방송국 장치(200)에 접속되고 사용자가 요청한 방송 채널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방송채널 선택 신호를 방송국 장치(200)로 전송한다. 방송국 장치(200)에서 해당 방송채널의 방송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출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해당 방송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시청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 객체를 선택하면 객체 선택 신호가 마케팅 장치(400)로 전송된다. 이때 객체는 방송출연자 혹은 방송출연자의 의/식/주 등의 관련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에는 객체 식별(Object identification)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객체 식별 정보는 객체마다 각각의 고유코드가 포함된 태그(tag)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방송프로그램의 객체 선택 시 객체 선택 신호와 함께 해당 객체의 객체 식별 정보가 마케팅 장치(400)로 전송되어 마케팅 장치(400)가 객체를 식별하도록 한다.
객체를 식별한 마케팅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객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 화면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방송채널 시청 중 방송출연자와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다. 실시간 채팅을 통해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직접 문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따라 구매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매가 선택되면 구매 선택 신호가 마케팅 장치(400)로 전송되고 주문 및 결제 안내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출력된다. 결제 모듈이 실행된 후 결제가 완료되면 마케팅 장치(400)로 주문 완료 정보가 전송된다. 혹은 다른 실시례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따라 해당 구매 사이트로 링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국 장치(200)는 방송채널을 통해 생방송 혹은 녹화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이런 방송국 장치(200)는 아프리카 TV·유튜브 등의 기존 방송 플랫폼(21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국 장치(200)에서 송출되는 방송콘텐츠는 방송출연자의 일상(24시간 또는 일부)에 관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방송국 내에는 복수의 방송채널이 있으며, 각 방송채널에서는 출연자별 영상을 생방송 혹은 녹화방송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송콘텐츠는 아프리카 TV·유튜브 등의 기존 방송 플랫폼(210)을 이용하여 송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국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방송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 플랫폼(210), 및 방송 플랫폼(210)에 방송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콘텐츠 제공부(220), 및 방송콘텐츠의 저장 및 송출, 스케줄 편성과 같은 방송관리 및 운영을 수행하여 방송 관련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서비스 제공부(230)를 포함한다.
방송 플랫폼(210)은 케이블 SO(system operator)나 DMC(Digital Media Center) 등 사용자에게 할당된 채널을 이용하여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실린 방송 신호를 송출한다.
방송콘텐츠 제공부(220)는 방송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전송하는데, A/V 프로그램과 연동된 데이터를 함께 방송 플랫폼(2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A/V 프로그램과 연동된 데이터는 상술한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서비스 제공부(230)는 방송 운영에 필요한 기반 시스템 및 솔루션 구축, 방송콘텐츠 제공부(220)로부터의 방송콘텐츠 수신 및 관리, 방송콘텐츠의 스케줄 편성,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를 방송 포맷에 따라 데이터 변환하고 방송 플랫폼(210)으로 송출하며, 실시간성 또는 양방향성 데이터를 실시간 업데이트 및 관리하며, 사용자의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취합 또는 가공하고, 이를 다시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네트워크의 관리 및 운영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방송콘텐츠 제공부(220)의 사업자는 방송서비스 제공부(230)의 사업자로부터 일정 기간 방송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받는 조건으로 일정 금액을 방송서비스 제공부(230)의 사업자에게 지불한다. 또한 방송콘텐츠 제공부(220)의 사업자는 방송 플랫폼(210) 사업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의 채널 사용료를 지불하고, 방송 플랫폼(210) 사업자는 방송콘텐츠 제공부(220)의 사업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의 콘텐츠 사용료를 지불한다.
또 다른 예로 방송서비스 제공부(230)의 사업자는 일정 기간 동안 방송콘텐츠 제공부(220)의 사업자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기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일정 금액의 사용료를 방송콘텐츠 제공부(220)의 사업자에게 지불할 수도 있다. 또한 방송 플랫폼(210) 사업자는 일정 기간 동안 방송서비스 제공부(230)의 사업자가 가진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기타 서비스를 사용하는 조건으로 방송서비스 제공부(230)의 사업자에게 일정 금액을 지불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마케팅 장치(400)와 연동되며, 객체 정보 혹은 마케팅 장치(400)와 연동되는 방송 채널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마케팅 장치(400)는 객체 식별부(410), 객체 정보검색부(420), 객체 정보제공부(430), 객체 구매사이트 연결부(440), 채팅 제공부(450) 및 구매 관리부(460)를 포함하며, 서버(Server)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객체 식별부(4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객체 선택 신호 및 객체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객체 식별 정보에 따라 선택된 객체를 식별한다.
객체 정보검색부(420)는 객체 식별부(410)에 의해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한다. 객체 정보는 방송출연자 혹은 방송출연자의 의(衣)/식(食)/주(住) 등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정보로서, 의(衣)의 경우 출연자가 착용하고 있는 옷이나 패션 소품·헤어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식(食)의 경우 출연자가 먹는 음식·식당·패스트푸드·간식·음료·방송에 나오는 요리의 레시피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주(住)의 경우 출연자의 주거지·환경·여행지·호텔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제공부(430)는 객체 정보검색부(420)에 의해 검색된 객체 정보를 방송국 장치(200)로 제공한다. 그러면 방송콘텐츠 제공부(22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객체 정보를 삽입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객체를 자세하게 알리는 광고 효과도 갖는다.
객체 구매사이트 연결부(44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객체 정보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객체 구매사이트로 직접 링크될 수 있도록 방송콘텐츠 제공부(220)로 객체 구매사이트 주소 링크 정보를 제공한다.
채팅 제공부(45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방송출연자의 일상과 같은 생방송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RT) 채팅을 제공한다. 실시간 채팅창은 방송콘텐츠 제공부(220)를 통해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채팅창을 통해 직접 방송출연자에게 방송에 노출된 상품 등을 문의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획득된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객체 구매사이트에 연결하거나 바로 구매를 진행할 수도 있다.
구매 관리부(460)는 사용자가 객체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 의사가 있는 경우 객체 구매사이트 연결 없이 방송프로그램에서 직접 구매 진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객체 정보에 따라 구매 진행을 위한 아이콘이 함께 제공될 수 있는데, 구매 진행을 위한 아이콘이 클릭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마케팅 장치(400)가 연결되며 구매 선택 신호가 마케팅 장치(400)의 구매 관리부(460)로 전송된다. 그리고 구매 관리부(460)는 주문 및 결제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구매 관리부(46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결제 모듈과 연동되어 주문 및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상기의 과정들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마케팅 장치(400)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방송 채널 정보를 토대로 마케팅 장치(400)와 연동되는 방송채널의 해당 프로그램이 송출될 때 해당 마케팅 앱이 사용자 단말기(100)에 자동 실행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마케팅 장치(400)와 연동되는 방송채널의 해당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원하는 경우 마케팅 앱을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만약 객체 상품의 판매를 통한 수익 창출이 존재하는 경우 방송콘텐츠 제공부(220)의 사업자, 방송서비스 제공부(230)의 사업자, 방송 플랫폼(210) 사업자, 구매사이트의 광고주, 마케팅 장치(400)의 사업자 간 별도의 수익 분배 계약에 따라 수익을 나눌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방송 화면을 나타낸다.
도 2의 방송 화면에서 사용자는 헤어 샴푸·화장품·미용실·의류 브랜드· 의류 디자이너 등의 정보를 방송출연자와 실시간으로 채팅하거나 화면의 객체를 선택하여 객체 정보를 송출받아 획득하고, 원하는 경우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광고를 하지 않고서도 방송만을 통한 마케팅이 가능하다.
도 3과 같이 음식이 노출된 방송 화면에서 사용자는 식당 위치(구글 등 위치 정보 연동), 음식 가격 등의 정보를 방송출연자와 실시간으로 채팅하거나 화면의 객체를 선택하여 객체 정보를 송출받아 획득하고, 원하는 경우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의 방송 화면에서 사용자는 방송출연자가 촬영하고 있는 장소, 장소에 노출된 주변 소품 등에 대한 정보를 방송출연자와 실시간으로 채팅하거나 화면의 객체를 선택하여 객체 정보를 송출받아 획득할 수 있다. 장소에 노출된 주변 소품에 대한 정보의 경우 구매 진행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청자들이 방송을 시청하면서 실시간으로 방송출연자의 의/식/주 등과 관련된 것을 따라하고 싶어 하는 욕구를 이용하여, 광고주는 이를 매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을 이용한 마케팅 방법을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미리 마케팅 장치(400)에서 제공하는 앱이 설치되고, 해당하는 방송프로그램 실행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가 방송국 장치(200)에 접속되고 사용자가 요청한 방송채널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방송채널 선택 신호를 방송국 장치(200)로 전송한다(S100).
방송국 장치(200)는 해당 방송채널의 방송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출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해당 방송채널의 방송프로그램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S110, S120).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앱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방송채널 정보를 토대로 해당 방송채널의 프로그램이 송출되는 경우에 자동 실행될 수 있다(S130).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 객체를 선택하면 객체 선택 신호 및 객체 식별 정보가 마케팅 장치(400)로 전송된다(S140).
마케팅 장치(400)의 객체 식별부(4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객체 선택 신호 및 객체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객체 식별 정보에 따라 선택된 객체를 식별한다(S150, S160).
객체 정보검색부(420)는 객체 식별부(410)에 의해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한다(S170).
객체 정보제공부(430)는 객체 정보검색부(420)에 의해 검색된 객체 정보를 방송국 장치(200)로 제공한다(S180).
그러면 방송콘텐츠 제공부(22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출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객체 정보를 삽입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10, S220).
이때 객체 구매사이트 연결부(44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객체 구매사이트 주소를 직접 링크할 수 있도록 방송콘텐츠 제공부(220)에 객체 구매사이트 주소 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출력되도록 한다(S190, S210, S220).
또한 구매 관리부(460)는 사용자가 방송프로그램에서 직접 구매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매 아이콘을 생성하고 방송콘텐츠 제공부(220)로 제공하여 객체 정보와 함께 출력되도록 한다(S200, S210, S220).
구매 관리부(460)는 사용자가 구매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한편 채팅 제공부(45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생방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을 제공한다(S230). 실시간 채팅창은 방송콘텐츠 제공부(220)를 통해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채팅창을 통해 직접 방송출연자에게 방송에 노출된 상품 등을 문의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S240). 획득된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객체 구매사이트에 연결하거나 바로 구매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방송출연자나 방송에 노출된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경우 방송프로그램 상에 링크된 구매사이트나 구매 아이콘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생방송의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여 방송출연자로부터 직접 정보를 얻을 수도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례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CD-ROM·DVD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례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방송출연자나 방송에 노출된 상품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경우 방송프로그램 상에 링크된 구매사이트나 구매아이콘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생방송의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여 방송출연자로부터 직접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방송국 장치
210: 방송 플랫폼 220: 방송콘텐츠 제공부
230: 방송서비스 제공부 300: 데이터베이스
400: 마케팅 장치 410: 객체 식별부
420: 객체 정보 검색부 430: 객체 정보 제공부
440: 객체 구매사이트 연결부
450: 채팅 제공부 460: 구매 관리부

Claims (9)

  1. 사용자 단말기;
    객체 식별 정보를 갖는 객체를 포함하는 방송프로그램을 방송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방송국 장치;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서 상기 객체 선택 시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객체를 식별하는 객체 식별부, 상기 객체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객체 정보 검색부, 상기 객체 정보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객체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객체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객체 구매 사이트로 링크할 수 있도록 객체 구매사이트 주소 링크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객체 구매사이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마케팅 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방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실시간 채팅창은 상기 방송국 장치를 통해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도록 하는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에 따라 구매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구매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객체의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구매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4.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며 객체 식별 정보를 갖는 객체를 포함하는 방송프로그램에서 상기 객체 선택 시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객체를 식별하는 객체 식별부;
    상기 객체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객체 정보 검색부;
    상기 객체 정보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객체 정보를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객체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객체 구매사이트로 링크할 수 있도록 객체 구매사이트 주소 링크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객체 구매사이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마케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방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실시간 채팅창은 상기 방송국 장치를 통해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도록 하는 마케팅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에 따라 구매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구매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객체의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구매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마케팅 장치.
  7. 방송국 장치가 객체 식별 정보를 갖는 객체를 포함하는 방송프로그램을 방송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
    마케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서 상기 객체 선택 시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마케팅 장치가 상기 식별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마케팅 장치가 상기 검색된 객체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마케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객체 구매사이트로 링크할 수 있도록 객체 구매사이트 주소 링크 정보를 상기 방송국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에 삽입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마케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방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경우 방송출연자와의 실시간 채팅을 제공하되, 실시간 채팅창은 상기 방송국 장치를 통해 방송프로그램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마케팅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객체 정보에 따라 구매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구매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객체의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마케팅 방법.
KR1020160183564A 2016-12-30 2016-12-30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91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64A KR101914840B1 (ko) 2016-12-30 2016-12-30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7/015729 WO2018124811A1 (ko) 2016-12-30 2017-12-29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64A KR101914840B1 (ko) 2016-12-30 2016-12-30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617A true KR20180078617A (ko) 2018-07-10
KR101914840B1 KR101914840B1 (ko) 2018-11-02

Family

ID=6270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564A KR101914840B1 (ko) 2016-12-30 2016-12-30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4840B1 (ko)
WO (1) WO20181248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920A (ko) * 2021-09-03 2023-03-10 나우사이언스 유한회사 실시간 판매 방송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653416B1 (ko) * 2022-12-02 2024-04-02 권오석 쿡티비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169A (ko) * 2002-01-07 200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tv 프로그램에 연관된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방법 및그 장치
KR20030073330A (ko)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상품구매 및 영상 부가 정보시스템
KR20100099769A (ko) * 2009-03-04 2010-09-15 로데브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화상 홈쇼핑몰 시스템
KR20150124536A (ko) * 2014-04-28 2015-11-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116193A (ko) * 2015-03-26 2016-10-07 주식회사 코어앤모바일 모바일 통합 실시간 쇼핑 방송 및 전자상거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0123A1 (en) * 2005-04-07 2006-10-12 Simmons Bonnie J Online Shopping and Item Selec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169A (ko) * 2002-01-07 200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tv 프로그램에 연관된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방법 및그 장치
KR20030073330A (ko)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상품구매 및 영상 부가 정보시스템
KR20100099769A (ko) * 2009-03-04 2010-09-15 로데브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화상 홈쇼핑몰 시스템
KR20150124536A (ko) * 2014-04-28 2015-11-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116193A (ko) * 2015-03-26 2016-10-07 주식회사 코어앤모바일 모바일 통합 실시간 쇼핑 방송 및 전자상거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920A (ko) * 2021-09-03 2023-03-10 나우사이언스 유한회사 실시간 판매 방송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653416B1 (ko) * 2022-12-02 2024-04-02 권오석 쿡티비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840B1 (ko) 2018-11-02
WO2018124811A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5729B2 (en) Multi-platform network for providing ordering services
KR101539182B1 (ko) 셋톱박스의 id별 시청이력을 이용한 tv 데이터방송 홈쇼핑에서의 상품 추천 방법
CN100588159C (zh) 内容推荐系统和方法以及通信终端装置
US9674576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a supplemental experience based on concurrently viewed content
US7761400B2 (en) Identifying events
CN103443817A (zh) 使用元数据搜索本地库存
US201102188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the purchase of deliverable goods & services
KR10169496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연동형 광고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070124771A1 (en) Providing an item further to a broadcast
KR20120061997A (ko) 콘텐츠 배달 시스템에서 이미지 매칭을 통하여 거래들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00070367A1 (en) Web-based marketing system
JP2011155695A (ja) サーチ結果を提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027970A (ko) 프로그래밍 콘텐츠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을 홍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8141563A (zh) 所连接媒体装置上的数字覆盖报价
WO2014142301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動画表示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14840B1 (ko)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7486A (ko) 광고 제공 장치, 광고 표시 장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표시 방법
US20190340672A1 (en) Online video purchasing platform
US20200111069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a creative over a network
KR101617719B1 (ko) 방송 연동 광고 출력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2242B1 (ko)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방법
KR20150123982A (ko) 사용자 편의 중심의 쇼핑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9022036A1 (ja) データ連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79639A (ko) 지도 정보를 이용한 음원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9161079B1 (en) Television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