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797A - 조립식 의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797A
KR20180077797A KR1020160182494A KR20160182494A KR20180077797A KR 20180077797 A KR20180077797 A KR 20180077797A KR 1020160182494 A KR1020160182494 A KR 1020160182494A KR 20160182494 A KR20160182494 A KR 20160182494A KR 20180077797 A KR20180077797 A KR 20180077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ortion
chair
legs
pai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영근
송완수
Original Assignee
원영근
송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근, 송완수 filed Critical 원영근
Priority to KR102016018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7797A/ko
Publication of KR2018007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제1다리부;와, 상기 받침부 타측으로 연결형성되는 제2다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다리부는 저면으로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 양단으로 형성된 결합홈과, 양측 저면으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각각 안내면이 형성된 한 쌍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다리부는 상면으로, 제1다리부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부 양측으로, 제1다리부의 결합홈와 상호 대응하여 삽입밀착되기 위해 형성된 밀착돌부와, 제1다리부의 한 쌍의 다리에 각각의 안내면과 상호 대응하여 밀착되는 안내면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받침부 양측으로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를 형성하여, 의자의 제2다리부와 다른 의자의 제1다리부가 상호 삽입끼움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장의자가 필요한 장소로 다수개 의자를 이동시킨 후, 각각의 의자를 횡방향으로 배열한 후, 간단히 끼움결합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아주 용이함은 물론, 이동성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의자{Fabricated chair}
본 발명은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의자가 필요한 장소로 간단히 이동하여, 용이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공공장소,병원 또는 휴게실 등에는 여러 사람이 함께 앉을 수 있도록 길게 만들어 놓은 장의자가 설치된다.
기존에는 장의자를 공장에서 조립하여 현장까지 운반한 다음 설치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완성된 장의자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차량으로 운반하는데 많은 제약을 받는 불편함과 적재량이 많아지므로 인해 운반비가 상승하고, 특히 해외수출 시 선적비와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공장에서 제작한 부품을 운반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좌판과 받침간 및 받침다리로 크게 구성된 조립식 의자가 제시되었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의자로, 등록실용신안 20-0266575 "조립식 철제의자"가 소개되었다.
상기 조립식 의자는 다수개의 어댑터나 패킹이 구비하여, 볼트를 사용하여, 각각의 상단봉과 하단봉, 각각의 다리부를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는데 있어서, 작업자가 일일이 볼트를 체결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오래 걸리고, 다른 곳으로 운반할 경우, 조립된 것을 분해하여 운반해야함으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66575 "조립식 철제의자"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가 필요한 곳으로 간단히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고, 착석자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조립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제1다리부;와, 상기 받침부 타측으로 연결형성되는 제2다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다리부는 저면으로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 양단으로 형성된 결합홈과, 양측 저면으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각각 안내면이 형성된 한 쌍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다리부는 상면으로, 제1다리부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부 양측으로, 제1다리부의 결합홈와 상호 대응하여 삽입밀착되기 위해 형성된 밀착돌부와, 제1다리부의 한 쌍의 다리에 각각의 안내면과 상호 대응하여 밀착되는 안내면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 안착홈 일측으로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의 한 쌍의 다리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안내면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호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 상면으로 좌판 및 등받이가 형성된 좌판 등을 결합설치하기 위해 다수개의 결합공을 가진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받침부 양측으로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를 형성하여, 의자의 제2다리부와 다른 의자의 제1다리부가 상호 삽입끼움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장의자가 필요한 장소로 다수개 의자를 이동시킨 후, 각각의 의자를 횡방향으로 배열한 후, 간단히 끼움결합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아주 용이함은 물론, 이동성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제1다리부(20);와, 상기 받침부(10) 타측으로 연결형성되는 제2다리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다리부(20)는 저면으로 형성된 안착홈(21)과, 상기 안착홈(21) 양단으로 형성된 결합홈(22)과, 양측 저면으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각각 안내면(23a)이 형성된 한 쌍의 다리(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다리부(30)는 상면으로, 제1다리부(20)의 안착홈(21)에 안착되는 안착부(31)와, 상부 양측으로, 제1다리부(20)의 결합홈(22)와 상호 대응하여 삽입밀착되기 위해 형성된 밀착돌부(32)와, 제1다리부(20)의 한 쌍의 다리(23)에 각각의 안내면(23a)과 상호 대응하여 밀착되는 안내면(33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다리(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립식 의자는 크게, 받침부(10), 제1다리부(20), 제2다리부(30)로 구성되며,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0)는 의자의 좌판부가 안착되어 결합되기 위해, 상기 좌판부와 상호 대응하는 넓이로 형성되되, 정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된 결합부(11) 및 상기 결합부(11) 각각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다리부(20)는 받침부(10)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며, 저면으로 형성된 안착홈(21)과, 상기 안착홈(21) 양단부로 형성된 결합홈(22)과, 양측 저면으로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측면으로 각각 안내면(23a)이 형성된 한 쌍의 다리(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다리부(30)는 상부로 제1다리부(20)의 안착홈(21)에 밀착되는 안착부(31)와, 제1다리부(20)의 결합홈(22)과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2)에 삽입설치되는 밀착돌부(32)와, 제1다리부(20)의 한 쌍의 다리부(23)에 형성된 각각 안내면(23a)에 상호 대응하여 밀착안되는 안내면(33a)이 형성된 한 쌍의 다리(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20) 안착홈(21) 일측으로 걸림부(24)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의자의 제1다리부(20)와 다른 하나의 의자 제2다리부(30)가 결합된 다음,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각각 다리부(20)(30)의 한 쌍의 다리(23)(33)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사이가 벌어지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착석자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다리(23)(33)의 안내면(23a)을 각각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다수개의 의자의 한 쌍의 다리가 상호 밀착고정되되, 각각의 의자가 횡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배열형성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개의 의자를 마련한 다음, 두 개의 의자 중, 하나의 의자 제2다리부(30) 상부로 다른 하나의 의자 제1다리부(20)를 상호 대응하게 위치한 후, 상기 의자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의자의 제1다리부(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다리 안내면(23a)이 다른 의자 제2다리부(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다리 안내면(33a)에 밀착안내되는 작용과 함께, 의자의 제1다리부(20)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21)에 의자의 제2다리부(30)의 안착부(31)가 안착되는 동시에, 의자의 제1다리부(20)의 결합홈(22)에 의자의 제2다리부(30)의 밀착돌부(32)가 삽입안내되어 고정됨으로써, 각각의 의자가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의자의 제1다리부(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다리(23)와 의자의 제2다리부(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다리(33)가 상호 밀착하여 하나의 다리를 형성함으로써, 착석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된 의자를 상호 분리하는데 있어서,
작업자가, 의자의 제1다리부(20) 부분을 상향 가압하게 되면,
의자의 제1다리부(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다리(23)가 의자의 제2다리부(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다리(33) 안내면(33a)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동시에, 의자의 제1다리부(20)의 결합홈(22)에 삽입결합되었던 의자의 제2다리부(30)의 밀착돌부(32)가 해제됨으로, 의자와 의자를 간단히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른 작용을 제공하여, 의자 설치가 필요한 곳으로 쉽게 이동가능함으로, 휴대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큰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받침부
20: 제1다리부
21: 안착홈
22: 결합홈
23,33: 한 쌍의 다리
23a,33a: 안내면
24: 걸림부
30: 제2다리부
31: 밀착돌부
32: 안착부

Claims (5)

  1.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제1다리부(20);와,
    상기 받침부(10) 타측으로 연결형성되는 제2다리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다리부(20)는 저면으로 형성된 안착홈(21)과, 상기 안착홈(21) 양단으로 형성된 결합홈(22)과, 양측 저면으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각각 안내면(23a)이 형성된 한 쌍의 다리(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다리부(30)는 상면으로, 제1다리부(20)의 안착홈(21)에 안착되는 안착부(31)와, 상부 양측으로, 제1다리부(20)의 결합홈(22)와 상호 대응하여 삽입밀착되기 위해 형성된 밀착돌부(32)와, 제1다리부(20)의 한 쌍의 다리(23)에 각각의 안내면(23a)과 상호 대응하여 밀착되는 안내면(33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다리(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20) 안착홈(21) 일측으로 형성된 걸림부(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20)와 제2다리부(30)의 한 쌍의 다리(23)(33)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23)(33)의 안내면(23a)(33a)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호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 상면으로 좌판 및 등받이가 형성된 좌판 등을 결합설치하기 위해 다수개의 결합공을 가진 결합부(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KR1020160182494A 2016-12-29 2016-12-29 조립식 의자 KR20180077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94A KR20180077797A (ko) 2016-12-29 2016-12-29 조립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94A KR20180077797A (ko) 2016-12-29 2016-12-29 조립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797A true KR20180077797A (ko) 2018-07-09

Family

ID=6291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494A KR20180077797A (ko) 2016-12-29 2016-12-29 조립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77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12B1 (ko) * 2019-11-07 2020-07-09 (주) 투템디자인 가로방향으로 연결 가능한 의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5215U (ko) * 1976-11-26 1978-06-23
US4341419A (en) * 1977-12-19 1982-07-27 Harry Sebel Stackable chair with arm rests
JP3054708U (ja) * 1998-06-05 1998-12-18 荘美金 簡易組立イス
WO2008048092A2 (en) * 2006-10-20 2008-04-24 Casala Meubelen Nederland B.V. Chai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EP2368459A2 (de) * 2010-03-26 2011-09-28 Design Ballendat GmbH Verkettbarer Stuhl
EP2460438A1 (de) * 2010-12-02 2012-06-06 Hiller Objektmöbel GmbH & Co. KG Panikverkettungssystem für stühle
EP2912971A1 (de) * 2014-02-27 2015-09-02 Stechert Stahlrohrmöbel GmbH Sitzmöbe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5215U (ko) * 1976-11-26 1978-06-23
US4341419A (en) * 1977-12-19 1982-07-27 Harry Sebel Stackable chair with arm rests
JP3054708U (ja) * 1998-06-05 1998-12-18 荘美金 簡易組立イス
WO2008048092A2 (en) * 2006-10-20 2008-04-24 Casala Meubelen Nederland B.V. Chai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EP2368459A2 (de) * 2010-03-26 2011-09-28 Design Ballendat GmbH Verkettbarer Stuhl
EP2460438A1 (de) * 2010-12-02 2012-06-06 Hiller Objektmöbel GmbH & Co. KG Panikverkettungssystem für stühle
EP2912971A1 (de) * 2014-02-27 2015-09-02 Stechert Stahlrohrmöbel GmbH Sitzmöb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12B1 (ko) * 2019-11-07 2020-07-09 (주) 투템디자인 가로방향으로 연결 가능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1536A (en) Bench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JP6195593B2 (ja) 組合せ式家具
CA2949513C (en) Three dimensional connection system for bed frame
KR20180077797A (ko) 조립식 의자
US20140143953A1 (en) Knock-down furniture
TW200540358A (en) Seismic-protection wheel locational anchorage
CN210540189U (zh) 拆装沙发
KR200482530Y1 (ko) 앵글선반프레임
US2703742A (en) Furniture assembly and fastening device for use therein
KR20200062574A (ko) 조립식 작업대
KR200484808Y1 (ko) 조립식 테이블 결합구조
US8714652B2 (en) Modular furniture utilizing securely stacked frames
KR101608957B1 (ko) 각도고정설치가 용이한 전동식 조립테이블
KR20150002434U (ko) 장부맞춤을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US2850306A (en) Chin bar connection
KR101643359B1 (ko) 조립식 책상
KR101267635B1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170055781A (ko) 다용도 받침대
US2650147A (en) Knockdown table
TWM556758U (zh) 活動式地板用的組裝結構
KR101785905B1 (ko) 프레임 결합 구조
CN210696764U (zh) 一种扶手椅
KR101350236B1 (ko)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MY134257A (en) A rotatable chair base with detachable leg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