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236B1 -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236B1
KR101350236B1 KR1020120113506A KR20120113506A KR101350236B1 KR 101350236 B1 KR101350236 B1 KR 101350236B1 KR 1020120113506 A KR1020120113506 A KR 1020120113506A KR 20120113506 A KR20120113506 A KR 20120113506A KR 101350236 B1 KR101350236 B1 KR 10135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block
support block
fixing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승
정호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니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니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니올
Priority to KR102012011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52Metal leg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2)와 다리(4)가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를 제공하낟.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지지블록(40)과 고정블록(20)을 구비하여 다리(4)를 시트(2)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종래기술과 달리 시트(2) 방향에서 다리(4)를 지지하는 구성인 지지블록(40)이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다리(4)의 고정을 위한 고정블록(20)의 고정시 볼트가 지지블록(40)을 통해 시트(4)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시트(2) 방향에서 다리(4)를 지지하는 요소{본 발명에서는 지지블록(40)}의 위치변동이 없이 편리하게 다리(4)를 시트(2)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FIXING DEVICE FOR ASSEMBLING CHAIR}
본 발명은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의자의 시트에 다리를 고정함에 있어서 조립의 편의성을 높이고, 굵기가 다른 다리에도 호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의자식이 일반화되면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의자가 선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구의 하나인 의자는 등받이, 시트 및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의자를 이루는 요소인 등받이, 시트 및 다리는 다양한 결합방식을 적용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의자를 조립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74480호 "의자용 연결구", 제20-0243583호 "하이팩 의자의 좌판 결합 구조", 제20-0280822호 "의자용 받침" 및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9-0009877호 "의자 지지판과 캡의 결합구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25428호 "의자 다리용 결착구"는 사람이 걸터앉을 수 있도록 엉덩이를 받쳐주는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는 양측에 상기 결착구를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저면에 볼트체결 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체결공을 갖는 결합 플레이트가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다리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반원형 홈부를 갖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양 측벽에 상기 다리 프레임이 수용된 절개부를 선택적으로 마감하기 위한 연결 돌기를 갖는 지지편을 안내는 가이드 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조립이 어려워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의자 자리용 결착구는 결합 플레이트와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데, 지지편이 다리 프레임에 얹혀지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다리 프레임이 받침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로 보았을 때 지지편은 받침 플레이트와 다리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므로 조립작업시 지지편을 놓은 상태에서 다리 프레임을 놓고 결합 플레이트를 받침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지지편의 이탈이 쉽게 발생되어 결합 플레이트의 고정위치를 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다리 프레임의 직경 차이가 작은 경우에도 별도로 간격유지편을 사용해야 하므로 조립작업은 더욱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의자의 시트에 다리를 고정함에 있어서 조립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의 시트에 다리를 고정함에 있어서 굵기가 다른 다리에도 호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시트(2)와 다리(4)가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면(46)과 하면(43)을 갖고, 상기 상면(46)이 상기 시트(2)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하면(43)의 중심에서 상기 상면(46)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다리(4)가 놓이도록 형성되는 제 1 내면(44)을 갖는 제 1 리세스(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리세스(41)의 양측으로 하면(43)으로부터 상면(46)으로 관통되는 제 1 볼트홀(48')이 형성되는 제 1 크레들(42)을 갖는 지지블록(40) 및; 상면(23)과 하면(26)을 갖고, 상기 상면(23)의 중심에서 상기 하면(26)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다리(4)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제 2 내면(24)을 갖는 제 2 리세스(21)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리세스(21)의 양측으로 상기 하면(26)으로부터 상기 상면(23)으로 관통되는 제 2 볼트홀(31)이 형성되는 제 2 크레들(22)을 갖는 고정블록(2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블록(40)에 상기 다리(4)를 놓았을 때 상기 지지블록(40)의 제 1 크레들(42)이 상기 다리(4)의 양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고정블록(20)을 상기 다리(4)와 지지블록(40)상에 놓아 볼트로 상기 시트(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서 상기 지지블록(40)의 제 1 리세스(41)와 상기 고정블록(20)의 제 2 리세스(21), 상기 지지블록(40)의 제 1 크레들(42)과 상기 고정블록(20)의 제 2 크레들(22), 상기 지지블록(40)의 제 1 볼트홀(48')와 상기 고정블록(20)의 제 2 볼트홀(31)의 각 위치는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서 상기 지지블록(40)의 제 1 볼트홀(48')은 상기 하면(43) 방향으로 제 1 볼트홀(48')의 내경이 넓어지게 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확대부(48)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블록(20)은 상기 상면(2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 상면(30)을 갖고, 상기 돌출 상면(30) 방향으로 외경이 좁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볼트홀(48')로 삽입되면서 상기 확대부(48)에 재치되는 돌출부(32)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다리(4)의 외경의 차이에 호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 따르면, 다리(4)를 시트(2)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블록(40)과 고정블록(20)을 적용함에 있어서 다리(4)가 위치되는 양측으로 지지블록(40)의 제 1 크레들(42)이 노출되도록 위치되므로 볼트 등의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고정이 편리하여 조립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로 맞대어지는 제 1 크레들(42)과 제 2 크레들(22)에 형성되는 확대부(48)와 돌출부(32)의 구성을 통해 다리(4)의 외경이 어느 정도 범위에서 커지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굵기가 다른 다리에도 호환성을 유지하여 관리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서 지지블록과 고정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서 지지블록과 고정블록이 분리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서 지지블록과 고정블록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를 사용하여 다리를 시트에 결합시킨 상태의 일례를 보여주는 의자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를 외경이 약간 큰 다리의 고정에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지지블록(40)과 고정블록(20)을 구비하여 다리(4)를 시트(2)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때, 지지블록(4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리(4)가 위치되는 양측으로 제 1 크레들(42)이 노출되도록 위치되어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종래기술과 달리 시트(2) 방향에서 다리(4)를 지지하는 구성인 지지블록(40)이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다리(4)의 고정을 위한 고정블록(20)의 고정시 볼트가 지지블록(40)을 통해 시트(4)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시트(2) 방향에서 다리(4)를 지지하는 요소{본 발명에서는 지지블록(40)}의 위치변동이 없이 편리하게 다리(4)를 시트(2)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볼트는 어느 한정된 부품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리(4)를 시트(2)에 고정시키는데는 일반적으로 스크류나사뿐만아니라 기계나사, 핀 등 다양한 형태의 체결구를 적용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볼트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를 통해 다리(4)를 시트(2)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체결구를 지칭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으로 시트와 다리가 고정결합되어 등받이, 시트 및 다리로 이루어지는 의자와 이 의자의 조립 및 제조방법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서 지지블록과 고정블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서 지지블록과 고정블록이 분리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서 지지블록과 고정블록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를 사용하여 다리를 시트에 결합시킨 상태의 일례롤 보여주는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지지블록(40)과 고정블록(20)을 구비하여 시트(2)와 다리(4)가 고정결합되어 의자를 이루도록 한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의자(1)에서 착석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시트(2)의 하부에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지지력을 확보하는 다리(4)가 시트(2)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의 사용개수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의자(1)는 등받이(3)을 갖는데, 이 등받이(3)의 유무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상관없는 요소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종래기술과 달리 시트(2) 방향에서 다리(4)를 지지하는 구성인 지지블록(40)이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다리(4)의 고정을 위한 고정블록(20)의 고정시 볼트가 지지블록(40)을 통해 시트(4)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지블록(40)은 상면(46)과 하면(43)을 갖고, 상면(46)이 시트(2)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며, 하면(43)의 중심에서 상면(46) 방향으로 함몰되어 다리(4)가 놓이도록 형성되는 제 1 내면(44)을 갖는 제 1 리세스(41)가 형성되고, 제 1 리세스(41)의 양측으로 하면(43)으로부터 상면(46)으로 관통되는 제 1 볼트홀(48')이 형성되는 제 1 크레들(42)을 갖는다. 그리고, 고정블록(20)은 상면(23)과 하면(26)을 갖고, 상면(23)의 중심에서 하면(26) 방향으로 함몰되어 다리(4)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제 2 내면(24)을 갖는 제 2 리세스(21)가 형성되며, 제 2 리세스(21)의 양측으로 하면(26)으로부터 상면(23)으로 관통되는 제 2 볼트홀(31)이 형성되는 제 2 크레들(22)을 갖는다. 여기서, 고정블록(20)과 지지블록(40)을 시트(2; 도 4 참조)에 결합시키는 볼트를 위해 고정 블록(20)의 제 2 볼트홀(31)은 하면(26) 방향에 확장홀(31')을 형성하여 볼트의 머리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지지블록(40)에 다리(4)를 놓았을 때 지지블록(40)의 제 1 크레들(42)이 다리(4)의 양측으로 위치되어 고정블록(20)을 다리(4)와 지지블록(40)상에 놓아 볼트로 시트(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지지블록(40)의 제 1 리세스(41)와 고정블록(20)의 제 2 리세스(21), 지지블록(40)의 제 1 크레들(42)과 고정블록(20)의 제 2 크레들(22), 지지블록(40)의 제 1 볼트홀(48')와 고정블록(20)의 제 2 볼트홀(31)의 각 위치가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을 통해 조립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블록(40)과 고정블록(20)은 중심축선에 대해 좌우대칭적인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조립시 좌우방향이 바뀌어도 서로 맞춤되어 결합되도록 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서로 맞대어지는 제 1 크레들(42)과 제 2 크레들(22)에 형성되는 확대부(48)와 돌출부(32)의 구성을 통해 다리(4)의 외경이 어느 정도 범위에서 커지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굵기가 다른 다리에도 호환성을 유지하여 관리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지지블록(40)의 제 1 볼트홀(48')은 하면(43) 방향으로 제 1 볼트홀(48')의 내경이 넓어지게 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확대부(48)를 갖는다. 그리고, 고정블록(20)은 상면(2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 상면(30)을 갖고, 돌출 상면(30) 방향으로 외경이 좁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 1 볼트홀(48')로 삽입되면서 확대부(48)에 재치되는 돌출부(32)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다리(4)의 외경의 차이에 호환성을 갖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다리(4)의 외경 차이는 지지블록(40)의 제 1 리세스(41)와 고정블록(20)의 제 2 리세스(21)내에 다리(4)가 위치되고, 지지블록(40)과 고정블록(20)이 사용되는 볼트에 의해 시트(2)에 고정가능한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를 외경이 약간 큰 다리의 고정에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때, 도 5는 시트(2)에 지지블록(4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다리(4)를 위치시킨 상태를 보여주고,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고정블록(20)을 지지블록(40)에 결합시켜 볼트를 고정블록(20)과 지지블록(40)을 통해 시트(2)에 고정시키므로써, 다리(4)가 시트(2)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10)는 다리(4)의 외경이 약간 변동이 있더라도 호환성을 갖는 장점을 갖는다. 이때 다리(4)의 외경은 지지블록(40)의 하면(43)과 고정블록(20)의 상면(23)이 맞닿았을 때 지지블록(40)의 제 1 리세스(41)와 고정블록(20)의 제 2 리세스(21)가 이루는 내경의 크기로부터 지지블록(40)의 제 1 리세스(41)와 고정블록(20)의 제 2 리세스(21)내에 다리(4)가 위치되고, 지지블록(40)과 고정블록(20)이 사용되는 볼트에 의해 시트(2)에 고정가능한 크기내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시트 4 : 다리
10 :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20 : 고정블록 21 : 제 2 리세스
23 : (고정블록) 상면 24 : 제 2 내면
26 : (고정블록) 하면 30 : (돌출부) 상면
31 : 제 2 볼트홀 32 : 돌출부
40 : 지지블록 41 : 제 1 리세스
42 : 제 1 크레들 43 : (지지블록) 하면
44 : 제 1 내면 46 : (지지블록) 상면
48 : 확대부 48' : 제 1 볼트홀

Claims (3)

  1. 시트(2)와 다리(4)가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면(46)과 하면(43)을 갖고, 상기 상면(46)이 상기 시트(2)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하면(43)의 중심에서 상기 상면(46)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다리(4)가 놓이도록 형성되는 제 1 내면(44)을 갖는 제 1 리세스(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리세스(41)의 양측으로 하면(43)으로부터 상면(46)으로 관통되는 제 1 볼트홀(48')이 형성되는 제 1 크레들(42)을 갖는 지지블록(40) 및;
    상면(23)과 하면(26)을 갖고, 상기 상면(23)의 중심에서 상기 하면(26)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다리(4)상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제 2 내면(24)을 갖는 제 2 리세스(21)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리세스(21)의 양측으로 상기 하면(26)으로부터 상기 상면(23)으로 관통되는 제 2 볼트홀(31)이 형성되는 제 2 크레들(22)을 갖는 고정블록(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블록(40)의 제 1 볼트홀(48')은 상기 하면(43) 방향으로 제 1 볼트홀(48')의 내경이 넓어지게 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확대부(48)를 더 구비하되;
    상기 고정블록(20)은 상기 상면(2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 상면(30)을 갖고, 상기 돌출 상면(30) 방향으로 외경이 좁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볼트홀(48')로 삽입되면서 상기 확대부(48)에 재치되는 돌출부(32)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다리(4)의 외경의 차이에 호환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지지블록(40)에 상기 다리(4)를 놓았을 때 상기 지지블록(40)의 제 1 크레들(42)이 상기 다리(4)의 양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고정블록(20)을 상기 다리(4)와 지지블록(40)상에 놓아 볼트로 상기 시트(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40)의 제 1 리세스(41)와 상기 고정블록(20)의 제 2 리세스(21), 상기 지지블록(40)의 제 1 크레들(42)과 상기 고정블록(20)의 제 2 크레들(22), 상기 지지블록(40)의 제 1 볼트홀(48')와 상기 고정블록(20)의 제 2 볼트홀(31)의 각 위치는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3. 삭제
KR1020120113506A 2012-10-12 2012-10-12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KR10135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506A KR101350236B1 (ko) 2012-10-12 2012-10-12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506A KR101350236B1 (ko) 2012-10-12 2012-10-12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236B1 true KR101350236B1 (ko) 2014-01-14

Family

ID=5014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506A KR101350236B1 (ko) 2012-10-12 2012-10-12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282B1 (ko) * 2020-08-27 2021-02-05 주식회사 퍼맥스 프레임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160U (ko) * 1996-08-30 1998-06-05 김정국 조립식 호스 크램프
KR200434798Y1 (ko) * 2006-09-29 2006-12-27 이길남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160U (ko) * 1996-08-30 1998-06-05 김정국 조립식 호스 크램프
KR200434798Y1 (ko) * 2006-09-29 2006-12-27 이길남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282B1 (ko) * 2020-08-27 2021-02-05 주식회사 퍼맥스 프레임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1960B2 (ja) 張材の張設構造
KR101350236B1 (ko) 의자의 조립을 위한 고정기구
US9986834B1 (en) Structure of reception chair
ATE527914T1 (de) Armlehnen-/rückenlehnenstützhalterung für stühle, insbesondere für bürostühle
JP5823818B2 (ja) 椅子
KR100856576B1 (ko) 골반 보호용 의자
AU2013201126A1 (en) Pivot shower door assembly
US9700145B1 (en) Quick assembly armrest connecting device
WO2012165463A1 (ja) 椅子の脚柱へのオプション部材の取付構造
JP2019058551A (ja) ビーム同士の連結構造および什器
TWM614761U (zh) 易組裝的椅扶手
KR100725428B1 (ko) 의자 다리용 결착구
KR101484653B1 (ko) 의자용 팔걸이
JP2013094288A (ja) 椅子
JP2012135373A (ja) カウンターにおけるハイユニットと可動仕切パネルの固定装置
JP6483762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及び椅子
CN107280306B (zh) 可快速组合的扶手连接装置
US20110289677A1 (en) Auxiliary Moving Device
US20030034676A1 (en) Folding chair
KR101207383B1 (ko)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071883B1 (ko) 옷걸이를 구비한 의자
CN212591179U (zh) 椅子
JP2013094289A (ja) 椅子
TW201943974A (zh) 微型線性滑軌及其滑座
JP5823817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