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578A -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578A
KR20180077578A KR1020160182054A KR20160182054A KR20180077578A KR 20180077578 A KR20180077578 A KR 20180077578A KR 1020160182054 A KR1020160182054 A KR 1020160182054A KR 20160182054 A KR20160182054 A KR 20160182054A KR 20180077578 A KR20180077578 A KR 20180077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on
code
user terminal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284B1 (ko
Inventor
박형호
김영수
이행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온전자
Priority to KR102016018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2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으로,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에 사용자 단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를 통하여 숙박업소, 숙박기간 및 숙박인원수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숙박업소의 객실에 입출입 권한을 부여하는 QR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QR 코드의 유효기간은 상기 숙박기간 이상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accomodation using QR code}
본 발명은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숙박하는 방에 대한 키를 대체하고, 아울러 키를 통한 숙박업소 결재 관리를 동시에 진행하는 숙박 관리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드의 종류에는 1차원 코드, 2차원 코드가 있다.
1차원 코드는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식이고, 2차원 코드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모두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1차원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방식이다. 1차원 코드는 알파벳, 숫자, 제한된 문자만을 데이터로 표현할 수 있는 것에 비해, 2차원 코드는 한글, 한문은 물론, 그림까지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2차원 코드는 데이터의 용량에서도 1차원 코드와 비교가 안되며, 인쇄와 판독에 있어서도 1차원 코드보다 월등한 기능을 보이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코드는 1차원 코드로서, 간단한 정보만 표현할 수 있는 수준이다. 즉, 바코드는 굵기가 서로 다른 흰색 바(bar)와 검은색 바를 조합하여 1차원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원하는 알파벳이나 숫자, 특수 문자 등을 데이터로 표현한다. 이 외에도 1차원 코드로는 UPC(Universal Product Code),
EAN(European Article Numbering), code 39/93/128/11 등이 있다.
2차원 코드로 대표적인 것은 PDF417코드, QR 코드, Data Matrix 등이 있다.
이중 QR 코드는 디코딩이 빠르고 기존 사용하고 있는 코드에 비해 대용량, 고밀도, 오류 정정 기능 등이 있다. 이러한 QR 코드는 일 예로 도서 커버에 책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부착하거나 인쇄하여 배포하고 있으며, 또는 회전 초밥집의 접시에 프린트하거나 거리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QR 코드는 생활 전반에 필요한 정보인 즉, 명함, 전화번호, 문자, 홈페이지 URL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QR 코드 기반 서비스는 QR 코드 하나에 하나의 컨텐츠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편적인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QR 코드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였다 하자, 그럼 이러한 QR 코드를 인식할 시 서버의 연동 없이 바로 QR 코드를 통해 해당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다른 예로, QR 코드에 'URL' 정보를 기록한 경우에는 코드 인식시 서버와 연동하여 즉, URL 정보와 매칭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웹 사이트로부터 관련 컨텐츠를 획득하게 된다.
이처럼, 종래 QR 코드 기반 서비스는 제공할 컨텐츠와 코드간 일대일 매칭으로 단편적인 서비스 제공 방식이어서 서비스 확장에 제한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신분증 등을 대체하고자 하는 시도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7932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숙박 결재 및 도어의 키 기능까지 한꺼번에 부여하는 기술은 아직까지 개시되지 못한 상황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으로,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에 사용자 단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를 통하여 숙박업소, 숙박기간 및 숙박인원수가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숙박업소의 객실에 입출입 권한을 부여하는 QR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QR 코드의 유효기간은 상기 숙박기간 이상의 기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숙박관리방법은, 상기 QR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QR 코드가 타 사용자 단말로 재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전송되는 타 사용자 단말의 수는 상기 숙박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전송은 상기 숙박기간 이내에만 허용되며, 상기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은, 상기 숙박장소에 구비된 QR 리더기를 통하여 상기 QR 코드에 입력된 방 정보가 사용자 단말로 텍스트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QR 코드를 통하여 상기 숙박 장소에서 숙박객이 제공받는 서비스 정보가 센싱되며, 상기 센싱된 서비스 정보는 상기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숙박장소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저장된다.
본 발명은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정보입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숙박업소, 숙박기간 및 숙박인원수를 포함하는 숙박정보가 입력되는 숙박정보입력부; 상기 숙박정보를 상기 숙박업소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숙박정보전송부; 상기 숙박업소의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숙박정보에 대응하는 객실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객실에 대한 입출입 권한을 부여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생성부; 및 상기 QR코드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QR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QR코드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는, 상기 숙박인원수에 대응하는 횟수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타 사용자 단말로 재전송하는 QR코드재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숙박업소의 객실에 대한 도어키, 즉, 입출입 권한을 QR 코드로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따라서 별도의 물리적 키 생성없이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객실일 입출입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분실위험이 높음 카드키에 비하여 보안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지참하는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숙박업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서비스 이용정보를 상기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가 확보하여 이를 서비스 메타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QR 코드를 통하여 객실 이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메타데이터로 확보하는 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관리방법의 단계별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숙박업소의 객실에 대한 도어키, 즉, 입출입 권한을 QR 코드로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QR 코드 생성 및 전송은 숙박업소 예약 및 결재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예약 및 결재서버는 제휴맺고 있는 숙박업소의 관리서버와 연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은,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에 사용자 단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100); 상기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를 통하여 숙박업소, 숙박기간 및 숙박인원수를 포함하는 숙박정보가 결정되는 단계(S200); 상기 결정된 숙박업소의 객실에 대한 입출입 권한을 부여하는 QR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QR 코드의 유효기간은 상기 숙박기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일 수 있는데, 초과하는 기간도 기설정된 기간 이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전송되는 단계(S300)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QR 코드가 타 사용자 단말로 재전송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재전송되는 타 사용자 단말의 수는 상기 숙박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즉, 숙박인원수가 2인인 경우, 2인을 초과하는 횟수(즉, 3회이상)로, 객실 키에 해당하는 QR 코드를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이 타 사용자 단말로 QR 코드를 전송한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가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200)에 입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객실 키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입력받는 디바이스이므로 가능한 모바일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입력은 사용자 단말(100) 이외에 또 다른 단말(예를 들어 퍼스널컴퓨터)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200)에 숙박정보(장소, 기간, 인원수)가 입력되며, 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숙박정보(숙박업소, 기간, 인원수)가 결정되어 입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정된 숙박정보에 따라 상기 숙박업소의 객실정보가 상기 숙박업소의 관리서버(300)에서 결정되고 이 결정된 객실정보가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200)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객실정보가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200)는 숙박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600)를 생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QR 코드(600)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데, 상기 전송된 QR 코드(600)는 상기 객실에 대한 도어키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전송 후에도 상기 숙박업소에 구비된 특정 QR 리더기에서 상기 전송받은 QR 코드를 센싱받아야 상기 전송된 QR 코드가 키로서 기능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숙박장소에 구비된 QR 리더기를 통하여 상기 QR 코드에 입력된 방 정보가 사용자 단말로 텍스트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QR 코드가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마스터로 하여 객실 인원수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타 사용자 단말로 상기 QR 코드를 재전송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따라 QR 코드가 전송된 후, 사용자 단말(100)은 타 2개의 사용자 단말(700, 800)로 QR 코드를 재전송하는데, 현재 투숙인원은 2인이므로, 재전송횟수는 마스터인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된 횟수를 차감한 1회로 제한된다. 따라서 2번의 재전송 중 1회는 재전송이 가능하지만, 2회는 원칙적으로 재전송이 허용되지 않는다. 본 기술구성을 통하여 입력된 인원수를 초과한 인원이 투숙되어 자유로이 객실을 출입하는 것이 금지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상기 전송된 QR 코드를 통하여 객실 이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메타데이터로 확보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QR 코드를 통하여 객실 이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메타데이터로 확보하는 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전송된 QR 코드는 필수적으로 객실정보와 사용자 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QR 코드를 센싱함으로써 호텔과 같은 숙박업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식당 2회 사우나 1회 스포츠시설 3회 등의 서비스 이용횟수가 QR 코드를 통하여 계량될 수 있다.
숙박업소는 상기 계량된 서비스에 따라 해당 객실에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상기 QR 코드로 계량된 서비스 제공 정보를 통하여 해당 숙박업소의 특징을 통계적으로 확보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A 업소의 경우 B 업소에 비하여 식당 이용 횟수가 월등히 많은 경우, A 업소는 타 숙박업소에 비하여 식당이 우수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설명하며, 이를 향후 A 업소의 장점으로 홍보할 수 있다. 즉, QR 코드로 센싱된 서비스 정보는 상기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숙박장소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저장되어 향후 해당 업소에 대한 서비스 평가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관리방법의 단계별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을 통하여 숙박장소에 대한 정보(숙박기간, 인원, 가격범위, 종류)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숙박관리서버(20)는 이를 전송받아 대응하는 조건의 숙박장소를, 연결된 숙박업소의 자체서버(3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검색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입력된 조건에 대응하는 숙박장소가 결정되고, 해당되는 숙박장소에 대한 입출입 권한을 갖는 QR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본 단계에서 상기 QR 코드로는 해당 숙박장소(예를 들어 객식)에에 대한 입출입이 불가능한데, 이는 보안 및 비용 결재 시점을 결정짓기 위함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특정 리더기(40)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QR 코드가 리딩되며, 이에 따라 해당 숙박장소에 대한 도어키로 상기 QR 코드가 기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특정 리더기에 대한 위치 정보 등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전송될 수 있으며, 보안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자체의 정보도 상기 리더기에서 리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입력정보와 상기 QR 코드 일치하여야만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QR 코드가 도어키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입력정보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지문, 홍체 등)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된 사용자 단말 정보가 상기 특정 리더기에 의하여 리딩되는 사용자 단말과 동일하여야 상기 QR 코드는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QR 코드의 복제 등으로 인한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아울러 특정 리더기에 의하여 리딩되는 경우 그 시점으로부터 숙박비용 등이 정산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특정 리더기에 의하여 QR 코드가 리딩되지 않는 경우, 상기 QR 코드는 비활성화되어 도어키로서 기능하기 못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박정보의 텍스트 방식으로의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특정 리더기에 의하여 QR 코드가 리딩되는 경우, 해당 QR 코드에 미리 전송된 숙박정보(에를 들어 객식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정확한 객실정보가 미리 유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숙박장소는 호텔 등의 객실 뿐만 아니라 일정 지역 범위 내에서의 숙박가능한 장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 내에 숙박 가능한 펜션이나, 유스호스텔 등도 상술한 숙박장소가 될 수 있는데, 특정 지역자치단체의 행정구역상에 속하는 주택, 아파트 등과 같은 곳도 본 발명에서의 숙박장소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타인이 주거가능한 주택 등의 소유주는 지역자치단체의 서버 등에 이를 등록하고, 상기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주택 정보를 검색, 선택하고, 선택한 주택에 대한 도어키를 QR 코드를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지역 내에 구비된 특정 리더기(예를 들어 지역자치단체 건물에 구비된 리더기)로 샹기 전송된 QR 코드를 리딩함으로써 해당 숙방장소의 정보(이름, 위치, 해당 객식)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아울러 상기 전송된 QR 코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를 제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는, 사용자 단말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정보입력부(101);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숙박업소, 숙박기간 및 숙박인원수를 포함하는 숙박정보가 입력되는 숙박정보입력부(201); 상기 숙박정보를 상기 숙박업소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숙박정보전송부(301); 상기 숙박업소의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숙박정보에 대응하는 객실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401); 상기 객실에 대한 입출입 권한을 부여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생성부(501); 상기 QR코드생성부(501)에 의하여 생성된 QR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QR코드전송부(601)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시스템)에서의 각 부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는, 상기 숙박인원수에 대응하는 횟수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타 사용자 단말로 재전송하는 QR코드재전송부(7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숙박업소의 객실에 대한 도어키, 즉, 입출입 권한을 QR 코드로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따라서 별도의 물리적 키 생성없이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객실일 입출입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분실위험이 높음 카드키에 비하여 보안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지참하는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숙박업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서비스 이용정보를 상기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가 확보하여 이를 서비스 메타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으로,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에 사용자 단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를 통하여 숙박업소, 숙박기간 및 숙박인원수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숙박업소의 객실에 입출입 권한을 부여하는 QR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QR 코드의 유효기간은 상기 숙박기간 이상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박관리방법은
    상기 QR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QR 코드가 타 사용자 단말로 재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전송되는 타 사용자 단말의 수는 상기 숙박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은 상기 숙박기간 이내에만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은,
    상기 숙박장소에 구비된 QR 리더기를 통하여 상기 QR 코드에 입력된 방 정보가 사용자 단말로 텍스트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를 통하여 상기 숙박 장소에서 숙박객이 제공받는 서비스 정보가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서비스 정보는 상기 숙박예약 및 결재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숙박장소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방법.
  7.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정보입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숙박업소, 숙박기간 및 숙박인원수를 포함하는 숙박정보가 입력되는 숙박정보입력부;
    상기 숙박정보를 상기 숙박업소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숙박정보전송부;
    상기 숙박업소의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숙박정보에 대응하는 객실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객실에 대한 입출입 권한을 부여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생성부; 및
    상기 QR코드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QR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QR코드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는,
    상기 숙박인원수에 대응하는 횟수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타 사용자 단말로 재전송하는 QR코드재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관리용 서버.
KR1020160182054A 2016-12-29 2016-12-29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 KR101879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54A KR101879284B1 (ko) 2016-12-29 2016-12-29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54A KR101879284B1 (ko) 2016-12-29 2016-12-29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578A true KR20180077578A (ko) 2018-07-09
KR101879284B1 KR101879284B1 (ko) 2018-07-26

Family

ID=6291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054A KR101879284B1 (ko) 2016-12-29 2016-12-29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2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423B1 (ko) * 2018-12-11 2019-03-22 주식회사 카티스 모듈형 신분증 이송 기술이 적용된 신분증 보관식 출입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KR20200049037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숙박시설의 객실예약 및 관리시스템
KR20200073769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도어락에 저장된 인증코드를 이용한 숙박시설의 객실관리시스템
KR102342148B1 (ko) * 2020-07-24 2021-12-23 (주)위즈너 키오스크 및 스마트 작업 통합 플랫폼
KR102451177B1 (ko) * 2021-12-27 2022-10-06 (주)루넷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042B1 (ko) 2021-02-02 2021-07-02 주식회사 테마파크를만드는사람들 코인 기반 회원권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240A (ko) * 2011-08-22 2013-03-05 한옥희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140106089A (ko) * 2013-02-25 2014-09-03 공간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숙박 시설 운영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7680A (ko)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이상네트웍스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시회 입장권 발권 및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501013B1 (ko) * 2013-09-24 2015-03-12 한국공항공사 항공기 대기자 정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240A (ko) * 2011-08-22 2013-03-05 한옥희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140106089A (ko) * 2013-02-25 2014-09-03 공간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숙박 시설 운영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7680A (ko)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이상네트웍스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시회 입장권 발권 및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501013B1 (ko) * 2013-09-24 2015-03-12 한국공항공사 항공기 대기자 정보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037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숙박시설의 객실예약 및 관리시스템
KR101961423B1 (ko) * 2018-12-11 2019-03-22 주식회사 카티스 모듈형 신분증 이송 기술이 적용된 신분증 보관식 출입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KR20200073769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도어락에 저장된 인증코드를 이용한 숙박시설의 객실관리시스템
KR102342148B1 (ko) * 2020-07-24 2021-12-23 (주)위즈너 키오스크 및 스마트 작업 통합 플랫폼
KR102451177B1 (ko) * 2021-12-27 2022-10-06 (주)루넷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284B1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284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
US11232670B2 (en) Identification verification system
US826197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venue controlled buy-back and reselling of access privileges and tickets to closed group events
AU2012327235B2 (en) A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places
CN100370390C (zh) 识别系统及方法
US20060097041A1 (en) Identification barcode assigning method, identity verifying method, identification barcode assigning device, identity verify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090294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a Bar-Code
JP692405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07117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a bar-code
US20210302428A1 (en) Secure Immunity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Network
US20100280964A1 (en) Issuance, Conveyance and Management of Endorsements
CN112101934A (zh) 一种基于nfc技术的手机校园一卡通控制系统及其认证方式
US11989271B2 (en)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1154615A (ja) Id管理システム
JP6914064B2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2040724A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35622A (ja) 時刻により表示が変化する表示装置を用いた位置通知システム
JP7142185B1 (ja) 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チェックイ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90082B1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69682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69683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18884A1 (en) Electronic payment system, electronic payment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heong et al. Encrypted Steganography Quick Response Scheme for Unified Hotel Access Control System
JP2018205815A (ja) デジタルチケットシステム
Anjum et al. RFID student navig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