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208A -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을 구비한 운동복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을 구비한 운동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208A
KR20180077208A KR1020187014801A KR20187014801A KR20180077208A KR 20180077208 A KR20180077208 A KR 20180077208A KR 1020187014801 A KR1020187014801 A KR 1020187014801A KR 20187014801 A KR20187014801 A KR 20187014801A KR 20180077208 A KR20180077208 A KR 20180077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d temperature
sportswear
webs
fabric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람베르츠보도
Original Assignee
엑스-테크날러지 스위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3458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7720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엑스-테크날러지 스위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엑스-테크날러지 스위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77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41D13/0056Cooled garments using evaporative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41D31/125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through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2400/20
    • A41D2400/60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14.1)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장 구간(15.1)을 통해 국부적으로 주름 형성된 직물 패브릭 구조물(11.1)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10.1)을 가진 운동복에 대한 것이다. 웹들은 패브릭 구조물(11.1) 내측의 착용자의 피부(200)에 접촉하도록 설계되고, 내측 공기채널(13.1)이 웹들 사이에 형성된다. 외측 공기채널(18.1)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주름 형성된 시트 구조물(11.1) 위의 각 웹(14.1)의 후면에 형성된다. 제어된 온도 구간(10.1)에는 횡방향 분리 구간(16.1)들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짧은 웹(14.1)들에 포함된 복수의 개별적인 제어된 온도 요소(12.1)들이 구비된다. 인접한 내측 공기채널(13.1)이 분리 구간(16.1)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고, 분리 구간(16.1)들은 제어된 온도 요소(12.1)들 사이에 서로 횡방향으로 상쇄되므로 제어된 온도 요소(12.1)들은 수직 신체 축(x)의 길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을 구비한 운동복
본 발명은 청구범위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을 가진 운동복에 대한 것이다.
하나의 운동복이 EP 1 476 033B1에 알려져 있다. 이는 두꺼워져서, 피부에 접촉하고 그 후면에서 외측 공기 채널을 형성하는 웹 형상 부분 영역과, 내측 공기 채널을 형성하는 피부와 접촉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한다. 운동복의 내측에서 피부에 접촉하는 웹에서는 땀이 흡수되고, 이어서 웹에 의하여 배출되고, 외측 공기 채널을 통해 증발할 수 있다. 증발에 의하여 국부적인 냉각이 생성된다. 공기는 내측 공기 채널들의 웹들 사이로 흐를 수 있어서, 온도 보충을 야기할 수 있다. 아래로 낙하하는 땀을 포착할 수 있도록, 웹들은 기본적으로 신체 축을 가로질러 정렬된다. 이들 증명된 제어된 온도 구간에 의하여 현저한 땀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어된 온도 구간에서의 공기 순환은 단지 웹들에 평행으로만 가능하다는 결점이 있다. 제어도 온도 구간의 내측에서 신체 축을 따라 데워진 공기가 상승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순환의 면에서 서두에서 설명된 유형의 땀 흡수 및 땀 증발에서 양호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을 가지는 향상된 운동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방안으로서 청구범위 1의 특징을 가진 운동복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된 온도 구간은 서로 평행으로 연속으로 정렬되는 웹들과 공기 채널들을 포함하지 않으며, 오히려 공지된 방식으로 각각 별개로 구성된 여러 분리된 제어된 온도 구간들을 포함하나, 제어된 온도 요소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을 가질 뿐이다. 제어된 온도 요소들은 횡방향(lateral) 분리 구간들에 의하여 수직 신체 축에 대해 가로방향으로(transversely)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분리 구간들은 제어된 온도 요소들에 횡방향으로 인접하거나 또는 두 개의 인접한 제어된 온도 요소들 사이 영역들이다. 제어된 온도 요소들은 또한 이미 종래 기술에 따른 기준과 같이, 가로방향으로 연장하거나 또는 경사된 내측 공기 채널들에 의하여 수직으로, 구체적으로 서로 분리된다. 분리 구간들은 기본적으로 또한 내측 공기 채널들이나, 언어적인 차이는 공기가 위로 흐르고 땀이 배출되는, 이어지는 방향에 대해 본 발명을 더욱 특징지우도록 작용한다.
제어된 온도 요소들은 직물 패브릭(textile fabrics)에 의하여 수용된다. 공기가 관통하여 순환하는 내측 채널들은 후자들 사이에 형성된다. 제어된 온도 요소들은 피부 위의 땀 방울이 전체 제어된 온도 구간을 통해 상부로부터 아래로 유동할 수 없도록 배치되는 데, 땀들은 각각 하부 배치의 땀 수집 영역, 및 피부 위의 이어지는 웹에 포착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수직 신체 축에 대해 가변 높이에 위치된 제어된 온도 요소들은 서로 횡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요소들은 모두 공통으로 피부에 접촉하는 영역과 피부에 교대로 접촉하지 않거나 서로 상쇄되게 배치되는 식으로, 요소들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어서, 땀방울이 연속으로 하향 낙하하지 못하도록 배치되는 영역을 공유한다. 동시에, 서로 상쇄 제어된 온도 요소들은 단지 상승하는 공기에 대해 약간의 장벽을 제공할 뿐이다. 수직으로 형성된 공기 채널이 그 사이에 분리 구간을 배치한 제어된 온도 요소들에 의하여 개방 유지되므로, 피부 표면의 공기는 여러 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다. 따라서, 데워진 공기는 제어된 온도 구간을 통해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결합된 굴뚝 효과에 의하여 수분 제거 및 따라서 피부 냉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으로 수직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 구간들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 분리 구간을 횡방향으로 상쇄되게 배치함으로써, 하향 낙하하는 땀이 다음 높이에서 아래로 배치된 열에서 각각 포착되도록, 제어된 온도 요소들의 배치 및 형성 동안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가 준수되는 한, 배치는 바람직하게 균일한 패턴일 수 있으나, 또한 불균일할 수 있다. 제어된 온도 요소들을 가지는 제어된 온도 구간들은 이와 같이 운동 활동 동안 특히 심하게 땀을 흘리는 신체 구간에 최적으로 조정된다.
상쇄된 배치는 특히 수직 신체 축에 관련한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으로 운동선수가 본 발명의 운동복을 착용한 때 정렬이 반드시 수직이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공기 흐름 방향을 특징짓는 것으로, 즉, 데워진 공기가 운동 선수의 신체 표면을 따라 상승할 수 있는 방향을 특징짓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공기 흐름 방향은 운동 선수의 통상의 운동 패턴에서 중력 방향에 다소 반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공기 흐름의 정확한 수직 방향만이 아니라, 경사된 공기 흐름 방향이 가능하다. 운동복 위에 또는 운동복의 제어된 온도 구간 내측에 여러 흐름 날개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기 흐름이 외부로 팬에 의하여 인도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 흐름 방향이 종래 기술에서 웹들에 의하여 형성되었던 흐름 경로에 위치하는 장벽들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는 것만이 중요하다.
땀 방울이 배출되는 방향은 공기 흐름 방향에 반대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방향은 땀의 하향 낙하를 저지하기 위하여 다시 중단된다. 제어된 온도 요소들의 횡방향으로의 상쇄된 배치에 의하여 생성된 그러한 장벽은 제어된 온도 요소들의 각 열에 존재할 필요가 없다. 장벽들이 없는 열들의 시퀀스는 또한 서로에 대해 상쇄된 적어도 한 쌍의 열들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으며, 여기서 땀이 포착된다.
제어된 온도 구간들은 편직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또한 직물들 또는 다른 직물 위에 요소들을 접착 결합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제어된 온도 요소들의 형상 및 배치는 다른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모든 실시예들은 피부에 접촉하는 영역과 피부 위에 위치하지 않는 영역들을, 땀 방울이 중단되지 않고 하향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신 가능한 신속하게 다시 각각의 땀 방울을 포착하기 위하여 서로 교대로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상쇄되도록 공통으로 공유한다.
수평 돌출부에서, 제어된 온도 요소들은 예컨대, Y, V, X, 이중-Y, 등으로 형상화될 수 있으며, 이들 형상들은 땀 방울을 용이하게 포착하기에 적합하고, 동시에 횡방향으로 통과하는 상승하는 공기에 대한 단지 작은 장벽을 제공할 뿐이다.
피복 위의 제어된 온도 구간들은 다양한 추가적인 이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모든 개별적인 제어된 온도 요소들을 포함하여, 전체 연장부에서 구조가 변할 수 있다. 예컨대, 저명한 굴뚝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신장될 수 있고, 가능한 멀리 아래로부터 셔츠 칼라의 상부 또는 팬티 허리밴드를 향하여 공기를 운반할 수 있고 이어서 여기에 공기가 체류한다.
직물 구조는 바람직하게 제어된 온도 구간을 형성하는 편직 패브릭이며, 이러한 목적으로서 구체적으로 설계되거나 또는 운동복의 베이스 패브릭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신체 축에 관련해서 상승하거나 이하의 도면들에서 보이는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편직 동안 이하의 방안들이 제공될 수 있다:
- 선형 열의 상쇄(offset);
- 개별 메시들의 선형, 균일한 상쇄;
- 개별 메시들의 불균일 상쇄;
- 프레폼을 생성하는 메시 구간들의 교대적인 열의 상쇄;
- 개별 메시들의 교대적인, 균일한 상쇄; 및
- 개별 메시들의 교대적인 불균일한 상쇄.
본 발명의 운동복은 공기 순환의 면에서 서두에서 설명된 유형의 땀 흡수 및 땀 증발에서 양호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을 가지는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제 본 발명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은 구체적으로 이하를 도시한다:
도 1은 운동복의 제어된 온도 구간의 절개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5A는 가변 구조들에서 제어된 온도 요소들을 가진 제어된 온도 구간의 각각의 평면도이며;
도 6은 편직 제어된 온도 구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따른 제어된 온도 구간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직물 패브릭 구조물(11.1)에서 제어된 온도 구간(10.1)을 도시하며, 여기서 이 구조물은 직조되거나 편직된 패브릭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된 온도 구간(10.1)은 운동복 위에 배치되고, 육체적인 운동 동안 특히 상당한 땀이 생성되는 각각의 신체 부위에 형성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된 온도 구간(10.1)은 개별적인 제어된 온도 요소(12.1)의 균일한 배치로 구성된다. 각각의 제어된 온도 요소(12.1)는 그 자체로 직조되거나 편직된 패브릭이 더 짧은 인장 구간(15.1)에 의하여 주름 장식되거나 및/또는 탄성이 작으므로, 착용자의 피부(200)를 향하는 천의 내측에 단면 U 또는 V 형상의 구조를 생성한다. 이로써 직물 패브릭 구조물(11.1) 내측 위에서 소위 웹(14.1)이 생성된다. 땀은 피부(200)에 접하는 웹(14.1)의 말단 영역에서 포착되고, 직물에 의하여 흡수된다. 피부(200)에 접하는 웹(14.1)들 사이에 내측 공기채널(13.1)들이 형성되고, 그를 통해 피부 표면 위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다.
포획된 땀은 부분적으로 직물과, 웹(14.1)의 흡습성 횡방향 벽들을 통해 웹(14.1)에 의하여, 피부 표면(200)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유지되는, 제어된 온도 요소(12.1)의 둘레 영역(17.1)으로 진입하기까지 제어된 온도 구간(12.1)의 상부 면으로 이송된다. 땀이 여기서 특히 잘 증발할 수 있다. 다시 증발 냉각에 의하여 둘레 영역(17.1) 아래 위치하는 내측 공기 채널(13.1)의 공기가 냉각된다.
채널-형상의 구조는 웹(14.1)의 후면에서 생성되어 외측 공기채널(18.1)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증발이 또한 발생한다.
외측 공기채널(18.1)이 인장 구간(15.1)에 의하여 완전히 닫혀지지 않으므로, 포획된 땀은 또한 제어된 온도 요소(12.1)들에서 열 축적 없이 그들을 통해 증발한다.
제어된 온도 요소(12.1)들은, 구체적으로 직립 자세에서 착용자에 기본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고 공기 흐름 방향에 대응하는 신체 축(x)과, 신체 축에 직각으로 또는 그에 둔각으로 연장하는 공기 흐름 방향의 가로 방향의 두 개의 기본적인 방향들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가로 방향에서, 개별적인 제어된 온도 요소(12.1)는 둘레 영역(17.1)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고, 그 중에서 내측 공기채널(13.1)이 형성된다. 인접한 제어된 온도 요소(12.1)의 웹(14.1)들은 추가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부에서 분리 구간(16.1)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다.
주름 잡힌 직물의 채널에 형성된 외측 공기채널(18.1)들은 또한 분리 구간(16.1)들에서 중단되지만, 이들 분리 구간(16.1)들 아래에서, 제어된 온도 구간(10.1) 내측에서 개별적인 내측 공기채널(13.1)들을 함께 결합하는 가로 연결부가 배치된다. 분리 구간(16.1)과 내측 공기채널(13.1)은 이와 같이 착용자의 신체 측을 향하도록 패브릭 구조물(11.1)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채널 네트웍의 일부이다.
그 결과 달성되는 효과가 이제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제어된 온도 구간(10.2, …, 10.6)들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각각의 평면도에 의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된 온도 구간(10.2)의 절개부를 도시한다. 후자는 직물 패브릭 구조물(11.2)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운동복의 인접 영역들이 또한 형성된다. 제어된 온도 구간(10.2)은 또한 별개로 제작되어, 운동복의 잔류 영역에 연결된다.
도 2는 피부를 향하는 제어된 온도 구간(10.2)의 내측의 도면을 도시한다. 피부에 접촉하도록 어두운 영역이 제공되고, 그들 사이의 밝은 영역은 제어된 온도 구간(10.2)을 가진 운동복이 착용된 때, 피부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한다.
개별적인 각각 Y-형상의 제어된 온도 요소(12.2)들의 여러 열들이 제어된 온도 구간(10.2)에서, 구체적으로 Y-형상의 제어된 온도 요소(12.2)들의 다리들의 하나가 수직 방향으로, 즉, 신체 축(X)에 평행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더욱이, 제어된 온도 요소(12.2)들의 열이 또한 제어된 온도 요소(12.2)들의 인접한 열들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땀을 위한 수집 영역(19.2)이 항상 제어된 온도 요소(12.2)들 사이의 분리 점(16.2)이 겹치는 열에 존재하고, 따라서 그 사이에 내측 공기채널(13.2)이 형성되는 부위에 땀 방울이 항상 존재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수집 영역(19.2)은 Y-형상 제어된 온도 요소(12.2)들의 벌어진 다리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위로 향하는 화살표를 가진 얇은 점선들은 소위 공기 흐름 방향, 즉, 피부를 향하는 직물 패브릭 구조물(11.2)의 내측 위의 피부 위의 데워진 공기(A)에 의하여 취해진 경로를 표시한다.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검은 구간으로 도시된 제어된 온도 요소(12.2)들이 장벽으로서 작용하고, 공기 흐름을 전환시킨다. 상승하는 굴뚝 효과에 의하여, 더운 공기는 장벽을 지나 상부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제거된다.
동시에, 땀이 도 2의 좌측에 두꺼운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하향 낙하할 수 있다. 인접한 제어된 온도 구간(12.2)들 사이 영역에서 직접 발생하는 땀 방울은 아래의 제어된 온도 요소(12.2) 위로 직접 낙하하고, 이는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제3 및 제5 열의 온도 요소들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상쇄되는 제2 및 제4 열의 제어된 온도 요소(12.2)들에 의하여 달성된다. 흐르는 땀(S)과 상승하는 데워진 공기(A)의 포획 효과는 어디서나 겹치며; 땀(S)과 공기(A)의 경로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서 도면의 별개 영역들에 도 2에서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제어된 온도 구간(10.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또한, 땀(S) 경로들이 좌측에 두꺼운 아래로 향하는 화살표로 표시되고, 공기(A) 경로는 우측에서 얇은, 점선 화살표 및 선으로 표시된다. 신체 축은 다시 수직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봉-형상의 제어된 온도 요소(12.3)들은 제어된 온도 구간(10.3)의 좌측 및 우측 영역에 배치된다. 공기(A)는 다시 한번 제어된 온도 요소(12.3, 12.3')들 사이의 분리 구간 및 내측 공기채널(13.3)을 통해 상승한다. 제어된 온도 구간(12.3)들은 중심 구간에서 V-형상의 형태로 서로들 사이에 배치된다. 땀 수집 영역(19.3)은 아래로 향하는 말단을 가진 제어된 온도 요소(12.3) 내측에 형성된다. 측방향의, 봉-형상의 제어된 온도 요소(12.3')에서 보면, 땀 수집 영역(19.3')의 형성을 생성하는 오프셋은 제어된 온도 요소(12.3, 12.3')들의 열을 횡방향으로 상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봉-형상 제어된 온도 요소(12.3')들의 경사 및 간격은 제어된 온도 요소(12.2')들의 각각의 상단부들에 의하여 유지되는 땀 방울들이 인접한 제어된 온도 요소(12.3')들의 하단부에서 포획되도록 조정되게 배치된다.
원리상, 도 4의 예시는 땀(S)과 공기(A)를 위한 경로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예시들과, 수직 신체 축과 관련해서 제어된 온도 구간(10.4)의 정렬에 대응한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개별적인 봉-형상의 제어된 온도 요소(12.4)들은 세로방향 연장부에서 서로의 후방으로 정렬되고, 좁은 측면에서 분리 구간(16.4)들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다. 제어된 온도 요소(12.4)들의 여러 열들이 서로 겹쳐 배치되고, 신체 축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공기채널(13.4)을 형성하는 열들 사이에 각각의 주변 영역(17.4)들이 존재한다. 제어된 온도 요소(12.4)들의 열들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줄무늬 폭의 절반의 상쇄가 있으므로, 분리 구간(16.4)을 통해 하향 낙하하는 땀 방울은 수집 영역(19.4)에 포착된다. 수집 영역(19.4)은 가로빔과 같이 아래 배치된 열에 위치하는 제어된 온도 요소(12.4)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 5는 제어된 온도 구간(10.5)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땀과 공기의 경로들은 이 경우 도시되지 않는 데, 경로들이 또한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진행하기 때문이다. 도 5에 따른 제어된 온도 구간(10.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제어된 온도 요소(12.5)들은 또한 균일한 줄무늬 없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제어된 온도 요소(12.5)들은 각각 열마다 가변 길이를 가지며, 서로 간에 제어된 온도 요소(12.5)들의 열들 사이의 상쇄는 제어된 온도 요소(12.5)의 길이에 결합된 균일한 수단을 제거한다. 땀 수집 영역(19.5)이 일단 다시 분리 구간 아래 제공되는 것은 단지 기본적인 것으로, 이것이 내측 공기채널(13.5)을 형성한다.
도 6은 편직 패브릭으로 설계된 직물 패브릭 구조물(11.6)에 배치된, 제어된 온도 구간(10.6)의 또 다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 도시의 계단-형상의 구조물은 개별적인 메시를 예시하도록 기능한다. 그들의 후면에 형성된 웹(14.6)들과 외측 공기채널(18.6)들은 10개의 메시 열들로 구성되고, 외측 공기채널(18.6)에 걸치는 장력 구간(15.6)은 단지 3 메시 열의 폭을 가진다. 외측 공기채널(18.6)의 폭은 최대 25개의 메시 열들을 제공함으로써 외측 공기채널(18.6)을 형성하도록 유사한 비율로 증가될 수 있고, 이들 영역을 덮는 장력 구간(15.6)은 단지 약 10개의 메시 열들만을 가지므로, 장식 주름을 형성하는 효과를 발생한다. 외측 공기채널들의 세로방향 연장부들에서 볼 때, 인장 구간(15.6)은 2 내지 7 메시 길이를 가지며, 5 내지 20 메시만큼 서로 이격되고, 외측 공기채널(18.6)을 위한 5 내지 20 메시의 폭을 가진 덮히지 않은 챔버들을 발생한다.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고 외측 공기채널(18.6)들을 포함하는 제어된 온도 요소(12.6)들의 부분들은 4 내지 30 메시 열의 폭을 가지는 내측 공기채널(13.6)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다.
도 7은 피복의 외측에서 사시도로서 3차원 구조를 가진 직물 패브릭 구조물(11.1)의 단일 제어된 온도 요소(12.1)를 도시한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날카로운 에지 영역도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운동복에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단지 도 2 내지 도 6의 개략적인 예시에 그래프로 발생한다.
소위 외측 공기채널(18.1)을 형성하는, 인장 구간(15.1)들과 그 아래로 연장하는 채널-형상의 구조물에 의하여 편직되거나 직조된 직물의 주름 생성이 용이하게 명확하게 도시된다.
10.1 … 10.6: 제어된 온도구간
11.1 … 11.6: 패브릭 구조물(structure)
12.1 … 12.6: 제어된 온도 요소
13.1 … 13.6: 내측 공기채널
14.1 … 14.6: 웹
15.1 … 15.6: 인장 구간
16.1 … 16.6: 분리 구간
7.1 … 17.6: 주변 영역
8.1 … 18.6: 외측 공기채널
9.1 … 19.6: 땀 수집구간
200: 피부
S: 땀
A: 공기

Claims (10)

  1. 인장 구간(15.1, …,15.6) 위로 국부적으로 웹들로 주름 형성 직조된 직물 패브릭 구조물(11.1, … ,11.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10.1, …, 10.6)을 구비한 운동복으로서, 상기 웹(14.1, …, 14.6)들은 패브릭 구조물(11.1, … ,11.6)의 내측면에서 착용자의 피부(20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인접하는 웹(14.1, … ,14.6)들 사이에 내측 공기 채널(13.1, …,13.6)들이 형성되고, 주름이 형성된 패브릭 구조물(11.1, … ,11.6) 위의 웹(14.1, … ,14.6)들의 후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형성되고, 및 외측 공기 채널(18.1, …, 18.6)을 형성하고, 그리고, 여러 웹(14.1, …, 14.6)들이, 상기 제어된 온도 구간(100.1, …, 100.6)에서 서로 중첩하여 배치되는 운동복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온도 구간(100.1, …, 100.6)에는 복수의 분리된 제어된 온도 요소(12.1, …, 12.6)들이 배치되고, 횡방향 분리 구간(16.1, …, 16.6)들에 의하여 서로로부터 분리된 짧은 웹(14.1, …, 14.6)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브릭 구조물(11.1, …, 11.6)의 내측 위의 인접한 내측 공기 채널(13.1, …, 13.6)들은 분리 구간(16.1, …, 16.6)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된 온도 요소(12.1, …, 12.6)들이 수직 신체 축(X)의 세로방향 연장부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제어된 온도 요소(12.1, …, 12.6)들 사이의 분리 구간(16.1, …, 16.6)들은 서로 횡방향으로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10.1, 10.2, 10.3, 10.5, 10.6)에서의 상기 제어된 온도 요소(12.1, 12.2, 12.3, 12.5, 12.6)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고, 120°내지 150°의 둔각을 포함하는 운동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온도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12.1)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제어 구간(10.1)에서 비스듬한 Y와 같이 형상화되는 운동복.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온도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12.2)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제어 구간(10.2)에서 서있는 Y와 같이 형상화되는 운동복.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온도 요소(12.1, 12.3, 12.6)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제어 구간(10.1, 10.3, 10.6)에서 비스듬한 또는 서 있는 V와 같이 형상화되는 운동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온도 요소(12.3, 12.4, 12.5)의 적어도 하나는 봉 형상이고 적어도 하나의 온도제어 구간(10.3, 10.4, 10.5)에서 가로방향으로 또는 신체 축(X)에 일정한 각도에서 연장하는 운동복.
  7.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14.1, …, 14.6)들과 인장 구간(15.1, …, 15.6)들은 분리 제작된 제어된 온도 요소(12.1, …, 12.6)들의 일부이며, 이는 직물 패브릭 구조물(11.1, …, 11.6)에 연결되는 운동복.
  8. 청구항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패브릭 구조물(11.1, …, 11.6)은 직조된 패브릭이고, 상기 웹(14.1, …, 14.6)은 주름 형성된 베이스 직조 패브릭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 구간(15.1, …, 15.6)은 베이스 직조 패브릭에 대해 비교해서 감소된 메시 수를 가지는 운동복.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온도 구간들은 편직에서 직선으로 또는 교대로 상쇄 열들에 기인하여 신체 축(X)에 대해 경사되고 상쇄되어 연장하는 운동복.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온도 요소들은 신체 축(X)에 대해 경사되고 상쇄되어 연장하는 구조들을 가지며, 직선으로 균일하거나 균일하지 않고 상쇄되는 편직 및/또는 교대로 균일하게 상쇄되거나 또는 균일하지 않게 상쇄되는 개별 메시들이 편직에 제공되는 운동복.
KR1020187014801A 2015-11-04 2016-11-04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을 구비한 운동복 KR201800772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8892.9 2015-11-04
DE102015118892.9A DE102015118892A1 (de) 2015-11-04 2015-11-04 Sportbekleidungsstück mit wenigstens einer Klimazone
PCT/EP2016/076680 WO2017077040A1 (de) 2015-11-04 2016-11-04 Sportbekleidung mit wenigstens einer klimaz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208A true KR20180077208A (ko) 2018-07-06

Family

ID=5734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801A KR20180077208A (ko) 2015-11-04 2016-11-04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을 구비한 운동복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80317582A1 (ko)
EP (1) EP3370555B1 (ko)
JP (1) JP6896727B2 (ko)
KR (1) KR20180077208A (ko)
CN (1) CN108289518B (ko)
AU (1) AU2016349411B2 (ko)
CA (1) CA3002310C (ko)
DE (1) DE102015118892A1 (ko)
DK (1) DK3370555T3 (ko)
ES (1) ES2779775T3 (ko)
HK (1) HK1254990A1 (ko)
PL (1) PL3370555T3 (ko)
RU (1) RU2720956C2 (ko)
SI (1) SI3370555T1 (ko)
WO (1) WO2017077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7747A (zh) * 2018-09-13 2019-12-06 秦皇岛金猿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护体服饰及三维量体裁衣方法
US10966477B2 (en) 2018-11-05 2021-04-06 Wolverine Outdoors, Inc. Jacket with graduated temperature reg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1934A (en) * 1981-10-16 1984-06-05 Gioello Debbie A Ribbed ventilating undergarment for protective garments
JPS6056721U (ja) * 1983-09-21 1985-04-20 新栄化染有限会社 シヤツ
IT1306681B1 (it) * 1999-07-06 2001-10-02 Nottington Holding Bv Struttura di capo traspirante da indossare per migliorare il comfortdel corpo umano.
CN100563488C (zh) 2002-02-08 2009-12-02 布兰德工厂瑞士有限责任公司 调节空气的衣服以及使皮肤部位干燥的方法
ITPD20060098A1 (it) * 2006-03-21 2007-09-22 Geox Spa Struttura perfezionata di tessuto particolarmente per capi d'abbigliamento e calzature
US7546853B2 (en) * 2006-05-30 2009-06-16 Mmi-Ipco, Llc Advanced engineered garment
WO2007143980A1 (de) * 2006-06-12 2007-12-21 X-Technology Swiss Gmbh Bekleidungsstück
US8133824B2 (en) * 2006-06-19 2012-03-13 Nike, Inc. Fabrics and articles of apparel including dimensionalized mesh and other fabrics
EP1972217A1 (en) * 2007-03-20 2008-09-24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Cover material, garment provided therewith and a method for cooling skin.
DE202009000367U1 (de) * 2009-01-09 2009-07-02 X-Technology Swiss Gmbh Bekleidungsstück
DE202009005651U1 (de) * 2009-04-17 2009-06-25 X-Technology Swiss Gmbh Bekleidungsstück
KR101227578B1 (ko) * 2011-01-10 2013-01-29 벤텍스 주식회사 두께가 자기제어되는 보온성 원단
CN106132225A (zh) * 2014-03-21 2016-11-16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用于流体管理的集成流体流动网络
EP2937004A1 (en) * 2014-04-24 2015-10-28 W.L. Gore & Associates (UK) Ltd. Garment with air ventilating system
CN104323494B (zh) * 2014-08-21 2016-02-17 厦门市育新工贸有限公司 一种透气防护服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3370555T1 (sl) 2020-07-31
AU2016349411B2 (en) 2021-10-28
EP3370555A1 (de) 2018-09-12
RU2720956C2 (ru) 2020-05-15
CA3002310A1 (en) 2017-05-11
US20180317582A1 (en) 2018-11-08
PL3370555T3 (pl) 2020-08-24
DE102015118892A1 (de) 2017-05-04
ES2779775T3 (es) 2020-08-19
RU2018120355A3 (ko) 2020-02-28
HK1254990A1 (zh) 2019-08-02
RU2018120355A (ru) 2019-12-04
JP6896727B2 (ja) 2021-06-30
JP2018538451A (ja) 2018-12-27
DK3370555T3 (da) 2020-03-30
CN108289518A (zh) 2018-07-17
CN108289518B (zh) 2020-07-31
EP3370555B1 (de) 2020-01-08
WO2017077040A1 (de) 2017-05-11
CA3002310C (en) 2023-10-10
AU2016349411A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5767B2 (ja) 特に衣料品および靴のための布地
KR102228251B1 (ko) 구역화 단열 의복
CN107750130B (zh) 制造具有动态通风缝隙的服装物品的方法
US20110083246A1 (en) Garment with Elastomeric Coating
CN107750131B (zh) 具有动态通风缝隙结构的下半身服装物品
US4195364A (en) Garment for use in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AU2003206656A1 (en) Thermoregulating item of clothing and method for removing humidity from areas of the skin
CN108697188B (zh) 通风和透气的服装结构
KR20180077208A (ko)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온도 구간을 구비한 운동복
DE202006001380U1 (de) Kombinationsbekleidung zur Klimaregulierung
RU2669040C1 (ru) Предмет спортивной одежды
ES2948304T3 (es) Forro para prendas de ropa, calzado o accesorios
US11957196B2 (en) Temperature-regulating garment and air exchange system
CN111757681B (zh) 具有至少一个气候调节区域的服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