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650A -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650A
KR20180076650A KR1020160181033A KR20160181033A KR20180076650A KR 20180076650 A KR20180076650 A KR 20180076650A KR 1020160181033 A KR1020160181033 A KR 1020160181033A KR 20160181033 A KR20160181033 A KR 20160181033A KR 20180076650 A KR20180076650 A KR 20180076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gas recirculation
recirculation device
vehic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6018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650A/ko
Publication of KR2018007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61Controlling the valve over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41/0007Controlling intake air for control of turbo-charged or super-charg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77Control of the EGR valve or actuator, e.g. duty cycle, closed loop control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49Detecting, diagnosing or indicating an abnormal function of the EG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시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와,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하는 가스제어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의 구동시 실린더에 공기를 과급하여 출력을 높이기 위해 터보차저를 작동시키는 단계(S100), 상기 터보차저의 작동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00),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작동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발견시 실린더의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vehicle of Exhaust Gas Recirculation at malfunction}
본 발명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배기가스를 재순환하는 장치가 고장 또는 이상 발생시 차량을 제어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여러가지의 오염물질이 발생되고 이러한 오염물질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에는 여러가지의 오염방지장치가 구비된다. 그 중에서 질소산화물(NOx)은 대표적인 배기가스 규제물질이고 질소산화물(NOx) 저감을 위해 차량에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EGR; Exhaust Gas Recirculation)가 장착된다.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는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입 혼합기에 포함시켜 연소실로 유입시킴으로써, 혼합기의 자체 공연비는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혼합기의 밀도를 저하시켜 연소 온도를 저하시키는 특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는 터보차저의 작동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가 작동 중 급격히 닫힐 경우 터보차저에 의한 과급압 높아지게되고 연소실에 과도한 산소가 공급되므로 연소실 내에 오버부스트(Over Boost)가 발생되어 엔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는 터보차저의 작동시 급격히 열릴 경우 연소실 내에 비정상적인 연소로 인해 주입된 연료가 정상적으로 연소되지 못하고 빠져나가게 되어 실화(Misfire)가 발생하게 되어 출력이 떨어지고 엔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터보차저 시스템의 작동 중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발생시 엔진의 손상 및 출력저하를 방지하고 정상적인 차량의 운행을 수행하도록 대응가능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을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국등록특허 KR 1316863(2013.10.0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을 감지하여 엔진의 실린더의 불연소가스를 제어하여 엔진의 손상 및 출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주행시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와,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하는 가스제어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의 구동시 실린더에 공기를 과급하여 출력을 높이기 위해 터보차저를 작동시키는 단계(S100), 상기 터보차저의 작동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00),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작동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발견시 실린더의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에서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가 이상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S100단계로 돌아가도록 S350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에서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개폐상태 및 개폐응답성을 통해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에서는 설정시간만큼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가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유지되거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이 설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400~600ms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S400단계에서는 가스제어부에 구비된 연속가변밸브타이밍(CVVT :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시스템을 통해서 밸브 오버랩을 감소 또는 증가시켜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S400단계에서는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전자식 웨이스트게이트밸브(EWGA : waste gate valve)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S400단계에서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밸브를 닫도록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후 도면 등을 통해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을 감지하여 엔진의 실린더의 불연소가스를 제어하여 엔진의 손상 및 출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시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와,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50), 상기 센서부(5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10) 및 상기 제어부(10)의 신호를 전달받아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하는 가스제어부(40)를 포함한다.
차량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이 장착된 엔진부(20)가 구비되고 상기 엔진부(20)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를 과급하여 엔진부(20)에 전달하도록 터보차저가 장착된 터보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엔진부(20)에는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억제시키기 위해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가 장착된다.
이러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는 차량의 배기 매니폴드에서 추출한 배기가스를 흡기 매니폴드와 배기 매니폴드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흡기 매니 폴드로 보내는 방식으로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한편, 터보차저의 작동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가 작동되다가 급격히 닫힐 경우 터보차저에 의해 과급압이 높아지게 되고 연소실에 과도한 산소가 공급되므로 연소실 내에 오버부스트(Over Boost)가 발생되어 엔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는 터보차저의 작동시 급격히 열릴 경우 연소실 내에 비정상적인 연소로 인해 주입된 연료가 정상적으로 연소되지 못하고 빠져나가게 되어 실화(Misfire)가 발생하게 되어 출력이 떨어지고 엔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작동 중 기계적 결함이나 작동신호 처리에 문제를 감지하도록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에는 센서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부(50)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작동에 이상이 발견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유무를 감지하여 가스제어부(40)를 통해 상기 차량의 엔진부(20)에 공급되는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스제어부(40)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와 연속가변밸브타이밍 시스템(80) 및 전자식웨이스트 게이트밸브(90)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시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으로 급격한 개폐 또는 설정시간 동안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유지되거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이 설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연속가변밸브타이밍 시스템(80)은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의 오버랩을 제어하여 엔진부(20)로 가는 공기량을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산소가 공급되거나 산소의 결핍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완전한 연소로 인한 엔진의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보부(30)의 과급압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상기 전자식웨이스트 게이트밸브(90)는 배기 매니폴드에서 과급압이 일정한 압력에 도달되면 터빈을 작동시켜 과급되는 공기를 배출시켜 오버부스트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에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밸브를 닫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속가변밸브타이밍 시스템(80) 및 전자식웨이스트 게이트밸브(90)의 상세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사항으로 세부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주행시 출력을 높이기 위해 실린더에 공기를 과급하는 터보차저를 작동(S100)시키고, 엔진의 온도가 올라가면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기 위해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가 작동(S200)된다. 이때, 터보차저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 보다 먼저 작동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가 먼저 작동되고 터보차저가 작동되는 것도 무관하다.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작동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밸브에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50)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급격한 개폐 또는 설정시간만큼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유지되거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이 설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유무를 판단(S300)한다.
한편, 상기 설정시간 제조사나 차량의 상태에 따라 변화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400ms ~ 600ms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ms인 것이다.
상기 설정된 400ms보다 설정시간이 줄어들게 되면 정상적으로 작동되나 각 장치간의 허용오차의 차이로 조금 늦게 또는 조금 일찍 작동되는 것 또한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어 잦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차량의 원할한 성능을 구현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설정된 600ms보다 설정시간이 늘어나게 되면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유무의 판단이 늦어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므로 오버부스트 또는 실화로 인한 엔진 및 각 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에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는 가스제어부(40)를 통해 엔진부(20)로 공급되는 불연소가스량을 제어(S400)하도록 신호를 보내고, 상기 가스제어부(40)는 불연소가스량을 제어하기 위해,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와 연속가변밸브타이밍 시스템(80) 및 전자식웨이스트 게이트밸브(90)를 컨트롤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급격한 개폐로 인한 산소의 과도한 공급 또는 산소가 희박하여 불완전한 연소로 인한 엔진의 충격 및 출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연속가변밸브타이밍 시스템(80)은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의 오버랩을 제어하여 불연소가스량을 제어(S400)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보부(30)의 과급압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상기 전자식웨이스트 게이트밸브(90)는 배기 매니폴드에서 과급압이 일정한 압력에 도달되면 터빈을 작동시켜 과급되는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오버부스트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가 열린 상태로 지속될 때,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가 닫힘 상태로 변환되도록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와 연속가변밸브타이밍 시스템(80) 및 전자식웨이스트 게이트밸브(90)는 상기 가스제어부(40)에 의해서 상황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나, 필요시 동시에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에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이 발견되지 않으면, 가스제어부(40) 이전과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터보차처를 작동하는 단계(S350)로 다시 돌아가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작동 및 배기가스 재순환장치(70)의 이상이 발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 제어부
20 : 엔진부
30 : 터보부
40 : 가스제어부
50 : 센서부
60 : 전원공급부
70 :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80 : 연속가변밸브타이밍 시스템
90 : 전자식웨이스트 게이트밸브

Claims (8)

  1. 차량의 주행시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와,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하는 가스제어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의 구동시 실린더에 공기를 과급하여 출력을 높이기 위해 터보차저를 작동시키는 단계(S100);
    상기 터보차저의 작동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00);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작동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발견시 실린더의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하는 단계(S400);
    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에서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가 이상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S100단계로 돌아가도록 S350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에서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개폐상태 및 개폐응답성을 통해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에서는 설정시간만큼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가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유지되거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이 설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400~600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400단계에서는 가스제어부에 구비된 연속가변밸브타이밍 시스템을 통해서 밸브 오버랩을 감소 또는 증가시켜 불연소 가스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400단계에서는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전자식웨이스트 게이트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400단계에서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밸브를 닫도록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60181033A 2016-12-28 2016-12-28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076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033A KR20180076650A (ko) 2016-12-28 2016-12-28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033A KR20180076650A (ko) 2016-12-28 2016-12-28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650A true KR20180076650A (ko) 2018-07-06

Family

ID=6292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033A KR20180076650A (ko) 2016-12-28 2016-12-28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650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548A (ja) * 2003-06-04 2004-12-2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7100524A (ja) * 2005-09-30 2007-04-19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9137531A (ja) * 2007-12-10 2009-06-25 Toyota Motor Corp 車両の動力出力装置
KR20130130487A (ko) * 2012-05-22 2013-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차량의 eobd 대응방법 및 장치
JP5590234B2 (ja) * 2011-05-19 2014-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150055036A (ko) * 2013-01-31 2015-05-20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을 위한 제어 방법
KR20150132219A (ko) * 2013-03-15 2015-11-25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소형 회전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548A (ja) * 2003-06-04 2004-12-2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7100524A (ja) * 2005-09-30 2007-04-19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9137531A (ja) * 2007-12-10 2009-06-25 Toyota Motor Corp 車両の動力出力装置
JP5590234B2 (ja) * 2011-05-19 2014-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130130487A (ko) * 2012-05-22 2013-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차량의 eobd 대응방법 및 장치
KR20150055036A (ko) * 2013-01-31 2015-05-20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을 위한 제어 방법
KR20150132219A (ko) * 2013-03-15 2015-11-25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소형 회전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5069B2 (ja) 内燃機関の排気還流装置
US65749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regeneration of a particulate filter in a diesel engine
US6868329B2 (en) Control method of EGR system of engine
US6925804B2 (en) Method for responding to sensor failures on EGR/VGT engines
RU241461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наддува воздуха в двигателе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EP1808591A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07315230A (ja) 内燃機関の排気還流装置
KR101951613B1 (ko) 배기 재순환 제어 방법 및 배기 재순환 제어 장치
CN103299050B (zh) 带增压器的内燃机的控制装置
KR20170139926A (ko)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를 구비한 엔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4710666B2 (ja) Egr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egrシステム
JP2008303763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制御装置
US9879595B2 (en) Exhaust control apparatus for engine
JP200505458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WO2008152491A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control method
JP2009264335A (ja) 内燃機関用多段過給システム
JP4635986B2 (ja) 内燃機関の排気再循環装置
KR101427968B1 (ko) 엔진의 제어방법
JP4765966B2 (ja) 内燃機関の排気還流装置
EP3150824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80076650A (ko)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이상시 차량의 제어방법
JP201715567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20160319755A1 (en) Control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1226437A (ja) Egrシステムの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JP2002188522A (ja) ターボチャージャ付きエンジンのegr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