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257A - 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257A
KR20180076257A KR1020160180505A KR20160180505A KR20180076257A KR 20180076257 A KR20180076257 A KR 20180076257A KR 1020160180505 A KR1020160180505 A KR 1020160180505A KR 20160180505 A KR20160180505 A KR 20160180505A KR 20180076257 A KR20180076257 A KR 20180076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uction
vacuum cleaner
engag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0005B1 (en
Inventor
김호중
박봉균
정해융
고려옥
정연우
안성현
김차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005B1/en
Publication of KR2018007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2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part of a cleaner main body is divided into a suction module, a collection module, a drive unit module, and a handle unit module and specification of each module is selected according to selection of a user and the specification can be modified through attachment and detachment. Further, the drive unit module can be divided into a suction motor module and a battery module, and the battery module of various capacities can be attached and used according to environments of use. In addition, the collection unit module has a dry type collection module and a wet type collection module separately so that the collection unit module can be used for dry type cleaning or wet type cleaning according to a user demand.

Description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0002]

본 발명은 충전식 무선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구성 부분을 모듈화하여 사용 및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hargeable wireless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in which each component is modularized to improve ease of use and maintenance.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acuum cleaner performs a function of sucking and collecting contaminants u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진공 청소기는 수분 이외의 먼지 등을 포집하는 건식 진공 청소기와, 수분을 포함한 이물질 등을 포집하는 습식 진공 청소기로 구분할 수 있다.A vacuum cleaner can be classified into a dry vacuum cleaner for collecting dust other than moisture and a wet vacuum cleaner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including moisture.

건식 진공 청소기와 습식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와 함께 오염물을 흡입하는 구조는 동일하다.The dry vacuum cleaner and the wet vacuum cleaner have the same structure for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motor and sucking the pollutants together with the air.

건식 진공 청소기의 경우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 등의 입자를 걸러내어 포집하는 건식 포집부를 구비한다.In the case of a dry vacuum cleaner, there is provided a dry trapping portion for trapping particles such as dust that are sucked together with air using a filter.

습식 진공 청소기의 경우 수공 분리 구조를 구비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된 수분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습식 포집부를 구비한다.In the case of a wet vacuum cleaner, it is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part for separating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다시 말해, 흡입 모터부는 동일한 사양으로 적용하며, 습식 포집부 또는 건식 포집부를 선택하면 습식 청소 또는 건식 청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uction motor section is applied with the same specifications, and a wet collector or a dry collector can be selected to enable wet cleaning or dry cleaning.

또한, 무선 진공 청소기의 경우 장착되는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서 연속 사용시간이 결정된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the continuous use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battery to be mounted.

그런데, 현재까지는 일반적으로 무선 진공 청소기는 제조자가 정해진 사양에 따라 건식 청소기 또는 습식 청소기로 제조되며, 배터리의 용량 또한 모델별로 동일하게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However, up to now, wireless vacuum cleaner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a dry vacuum cleaner or a we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manufacturer, and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s also manufactured and sold in the same mode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 여건에 따라서 건식/습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연속 사용 시간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는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capable of selecting a dry / wet type according to a user's use condition and selecting and combining a continuous use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건식 청소를 수행하거나, 습식 청소를 수행하도록 조합될 수 있는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that can be combined to perform a dry cleaning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or to perform a wet clean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배터리의 용량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는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capable of selecting and combining a capacity of a battery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excellent in appearance and easy to use.

본 발명은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청소기의 각 구성 부분을 모듈화하여 사용자가 사용환경에 맞게 각 모듈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nd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each component of a vacuum cleaner is modularized so that a user can use each module in accordance with a use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는 흡입구를 구비하는 흡입구 모듈, 흡입 모터와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하는 구동부 모듈, 습식 또는 건식 포집부 모듈 및 손잡이 모듈을 포함하며, 각각의 모듈은 사용자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다.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module having an inlet, a drive module having a suction motor and a rechargeable battery, a wet or dry collector module and a handle module, Do.

구동부 모듈은 다시 흡입 모터 모듈과, 배터리 모듈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 때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배터리 모듈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odule may be divided into a suction motor module and a battery module. The battery module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battery,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battery module as needed.

이를 위하여 각각의 모듈은 단면 형상이 일정한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각 모듈의 체결 부분이 서로 호환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To this end, each module may have a rod shape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and this shape has the effect that the fastening portions of the respective modules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는 건식 포집모듈과 습식 포집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립 형태에 따라서 건식 청소기 또는 습식 청소기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y collecting module and a wet collecting modul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dry cleaner or a wet cleaner according to the assembly form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 환경에 맞게 배터리 용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battery capacity in accordance with his / her use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는 조립 형태(순서)가 변경되더라도 일정한 길이를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외관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constant length even when the assembly mode (order) is changed, thereby realizing excellent appearance qua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는 고장난 부분 또는 소모되는 부분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In addition, 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only a failed part or a consumed part can be easily replac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가 거치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가 거치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를 모듈 단위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를 모듈 단위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를 모듈 단위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를 모듈 단위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의 습식 청소를 위한 조립 상태와 건식 청소를 위한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진공 청소기와 다른 가전 기기들이 세트화된 제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radle.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 cradle.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in units of modules.
FIG. 4 is a view showing a module-type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vided into modules.
FIG. 5 is a view showing a module-type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vided into modules.
FIG. 6 is a view showing a module-type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vided into modules.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for wet cleaning and an assembled state for dry cleaning of 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suction port portion of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cover of 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10 is a view showing a product in which a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home appliances are set.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shall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가 거치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가 거치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를 모듈 단위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crad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in units of module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100)와 청소기 본체(100)가 장착되는 거치대(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200 on which a cleaner main body 100 and a cleaner main body 100 are mounted.

청소기 본체(100)는 거치대(200)에 탈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하부에 흡입구(115)를 구비하며, 상부에 손잡이부(145)를 구비한다. 내부에는 흡입 모터와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하여, 충전식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흡입 모터를 동작하며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The cleaner main body 10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cradle 200 and has a suction port 115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handle portion 145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uction motor and a rechargeable battery are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a suction motor is operated using a power source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can be used wirelessly.

본 발명은 이러한 청소기 본체(100)의 구성 부분을 모듈화하여, 모듈 단위의 탈부착을 통하여 각 부분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고, 소모된 부분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are modularized so that the respective parts can be selected and assembled by detachment and attachment on a module basis and the consumed parts can be replaced.

거치대(200)는 청소기 본체(100)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과, 청소기 본체(100)가 자립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 역할을 수행한다.The cradle 200 serves to supply power for charging the cleaner main body 100 and serves as a pedestal for allowing the cleaner main body 100 to stand upright.

거치대(200)는 원반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청소기 본체(100)의 흡입구가 삽입되는 거치홈(210)을 구비한다. 거치대(2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청소기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holder 200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nd includes a mounting groove 210 into which the suction port of the cleaner body 100 is inserted. The cradle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supplies power to the cleaner main body 100.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100)는 하부로 부터 흡입구 모듈(110), 포집부 모듈(120), 구동부 모듈(130) 및 손잡이 모듈(140)을 포함한다.3, the cleaner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module 110, a collecting module 120, a driving module 130, and a handle module 140 from a lower portion thereof do.

흡입구 모듈(110)은 하부에 흡입구(115)를 구비하여, 상단에 상단 결합부가 구비된다.The suction port module 11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115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upper end engagement portion at an upper end thereof.

흡입구 모듈(110)의 상단 결합부는 포집부 모듈(120)의 하단 결합부와 결합된다.The top coupling portion of the inlet module 110 is engaged with the bottom coupling portion of the collector module 120.

또한, 흡입구 모듈(110)은 거치대(200)의 거치홈에 삽입되는 부분에 전원공급단자(118)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suction port module 110 has a power supply terminal 118 at a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mount 200.

흡입구 모듈(110)의 전원공급단자(118)는 거치대(200)에 구비된 전원공급단자(218)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흡입구 모듈(110)의 거치대(200)의 거치홈(210)에 장착되면 전원공급단자들(118,218)이 서로 접촉하여 접속된다.The power supply terminal 118 of the suction port module 11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218 of the mount 200 and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groove 210 of the mount 200 of the suction port module 110, The power supply terminals 118 and 218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포집부 모듈(120)은 공기와 함께 흡입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llection module 120 separates and stores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포집부 모듈(120)은 모듈은 하단에 하단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단에 상단 결합부를 구비한다.The collection module 120 includes a lower end coupling portion at the lower end and an upper end coupling portion at the upper end.

포집부 모듈(120)의 하단 결합부는 흡입구 모듈(110)의 상단 결합부와 결합되며, 포집부 모듈(120)의 상단 결합부는 구동부 모듈(130)의 하단 결합부와 결합된다.The bottom coupling portion of the collection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top coupling portion of the inlet module 110 and the top coupling portion of the collection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bottom coupling portion of the driving module 130.

포집부 모듈(120)은 먼지 등의 건식 오염물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건식 포집부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물과 함께 혼합된 오염물을 흡입하여 흡입된 물과 이물질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습식 포집부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llecting module 120 may include a dry collecting module for separating and storing dry contaminants such as dust. The collecting module 120 may include a wet collecting unit module for collecting and storing inhaled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

건식 포집부 모듈은 건식 포집부를 구비하는데, 건식 포집부는 싸이클론 방식이나 먼지 봉투를 사용하는 방식, 재사용가능한 필터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The dry trapping section module includes a dry trapping section, and the dry trapping section can be applied to both the cyclone method, the dust bag method, and the reusable filter method.

습식 포집부 모듈의 경우에는 습식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모듈로 내부에 수공 분리 구조를 구비하여, 공기와 함께 혼합된 수분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저수조를 구비하며, 구동부 모듈(130) 측으로는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wet collecting part module, a module for constructing a wet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a water separation structure inside and a water storage tank for separating and storing the water mixed with the air. On the drive module 130 side, To provide a structure that will not allow the

습식 포집부 모듈 또는 건식 포집부 모듈은 일반적인 건식 진공 청소기 또는 습식 진공 청소기에 적용되는 구조가 적용되는 것으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wet collecting module or the dry collecting module is applied to a general dry vacuum cleaner or a wet vacuum cleaner,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구동부 모듈(130)은 내부에 흡입모터와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한다.The driving unit module 130 includes a suction motor and a rechargeable battery.

거치대(200)에 전원이 연결되며, 상기 거치대(200)에 흡입구 모듈(110)이 장착되면 흡입구 모듈(110)은 상기 거치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cradle 200 and the suction module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200 when the suction module 110 is installed in the cradle 200.

흡입구 모듈(110)과 상기 거치대(200)는 접촉에 의한 접속 단자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suction port module 110 and the cradle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by contact.

또한, 흡입구 모듈(110)은 상단에 연결된 구동부 모듈(1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Also, the suction port module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dule 130 connected to the upper end.

구동부 모듈(130) 내부의 충전식 배터리는 거치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한다. 또한 충전식 배터리는 흡입 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rechargeable battery in the driving unit module 130 receives power from the cradle 200 and performs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also supplies power to the suction motor.

구동부 모듈(130)의 상단에는 손잡이 모듈(14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A handle module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driving unit module 130.

구동부 모듈(130)과 손잡이 모듈(140)의 모듈의 탈부착도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e unit module 130 and the module of the handle module 140 are detachable by the user.

구동부 모듈(130)과 손잡이 모듈(140)은 결합시에 전기적으로도 접속된다.The driving unit module 130 and the knob module 140 are also electrically connected at the time of coupling.

손잡이 모듈(140)은 청소기의 조작을 위한 조작스위치(147)를 구비한다.The handle module 140 has an operation switch 147 for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조작스위치(142)는 구동부 모듈(130)의 흡입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operation switch 14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ction motor of the driving unit module 130.

손잡이 모듈(140)은 인입 인출 가능한 손잡이부(145)를 구비한다.The handle module 140 has a handle 145 that can be drawn out.

조작스위치(142)는 인출되는 손잡이부(145)에 배치될 수 있다.The operation switch 142 may be disposed at the handle portion 145 to be drawn out.

손잡이부(145)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형상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외관상 좋지 않을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portion 145 has a shape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by hand. Even if the shape is not used, the handle 145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not be apparently good.

또한, 손잡이부(145)가 인출된 상태가 사용자의 사용시의 길이가 되므로, 미사용시 청소기 전체 길이를 축소하여 외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lled-out state of the grip portion 145 is the length of the user's use, the entire length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reduced to ensure the appearance quality when not in use.

또한, 손잡이부(145)는 인출 길이가 조절 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portion 14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ull-out length can be adjusted.

청소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청소기(10)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So that the user who uses the vacuum cleaner 10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vacuum cleaner 10 according to his / her body shape.

손잡이 모듈(140)의 손잡이부(145)는 외부로 노출된 인출버튼(141)를 눌러서 인출할 수 있다.The handle 145 of the handle module 140 can be drawn out by pressing the withdrawing button 141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10)는 포집부 모듈(120)과 구동부 모듈(130)과 손잡이 모듈(140)이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을 가진다.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d shape in which the collecting part module 120, the driving part module 130 and the pull module 140 have a certain cross section.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포집부 모듈(120)과 구동부 모듈(130)과 손잡이 모듈(140)이 원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의 모양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 기둥 또는 육각 기둥과 같이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상을 가질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llector module 120, the drive module 130, and the handle module 140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so that the collector module 120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However,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is, It may have a columnar shape having a polygonal section like a hexagonal column.

한편 각각의 모듈의 상단 결합부와 하단 결합부는 결합시에 서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각 모듈의 전기적인 연결을 통한 전원과 신호의 공급을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connecting portion of each module may have connection terminals (not shown)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time of engagement. This is for the supply of power and signals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each module.

흡입구 모듈(110)이 포집부 모듈(120)에 접속되고, 포집부 모듈(120)이 구동부 모듈(130)에 접속됨으로써, 흡입구 모듈(110)의 전원 공급단자(118)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포집부 모듈(120)에 구비된 충전식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다.The inlet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module 120 and the collector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drive module 130 so that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118 of the inlet module 110 And may be supplied as a rechargeable battery included in the collecting unit module 120.

또한, 손잡이 모듈(140)과 구동부 모듈(130)이 접속되므로, 손잡이 모듈(14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147)를 통해 구동부 모듈(130)에 구비된 구동 모터를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handle module 140 and the drive module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drive motor provided in the drive module 13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operation switch 147 provided in the handle module 140. [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는 구동부 모듈(130)이 흡입 모터 모듈(132)과, 배터리 모듈(134)로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unit module 130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suction motor module 132 and the battery module 134.

충전식 배터리는 흡입 모터에 비하여 사용 수명이 짧다. 또한, 충전식 배터리는 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진다.Rechargeable batteries have a shorter service life than suction motors. In addition, rechargeable batteries vary in size depending on their capacity.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134)과 흡입 모터 모듈(132)을 소비자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이 경과한 경우 배터리 모듈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module 134 and a suction motor module 132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 consumer, thereby enabling the battery module to be easily replaced only when the life of the battery has elapsed.

또한, 사용자의 청소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배터리 모듈의 용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Also, the user can select the capacity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cleaning environment of the user.

물론, 배터리 모듈의 용량이 증가하게 되면, 그에 따라 배터리 모듈(134)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는 흡입구 모듈(110) 위쪽의 구성요소들인 포집부 모듈(120)과, 흡입 모터 모듈(132)과, 배터리 모듈(134)과, 손잡이 모듈(140)이 일정한 모양을 가지는 막대(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모듈(134)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다른 모듈들과의 결합이 가능한 구조이다.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take module 110,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intake module 110, The battery module 134 and the handle module 140 have a shape of a rod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length of the battery module 134 becomes longer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with modules.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한 용량에 따라 배터리 모듈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자의 입장에서는 부품 공용화의 효과를 가져오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진공 청소기 제품을 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Therefore, the battery module can be assembled and used according to the capacity required by the user. Such a structure brings about the effect of commonality of components from the standpoint of the manufacturer and brings about the effect of combining the vacuum cleaner products according to the user's dem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더미 모듈(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ummy module 150.

더미 모듈(150)은 다른 모듈들과 마찬가지로 상단 결합부와 하단 결합부를 구비한다.The dummy module 150, like other modules, has an upper coupling portion and a lower coupling portion.

더미 모듈(150)은 손잡이 모듈(140)의 하부에 장착되어 청소기 본체(100)의 전체 길이를 신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ummy module 150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module 140 to extend the entire length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서 청소기의 길이가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손잡이부(145)의 인출 길이 가변만으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별도의 더미 모듈(150)을 장착하여 청소기 본체(10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length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may be increased by attaching a separate dummy module 150 if the length of the cleaner is not sufficient to satisfy the length of the handle 145. [ .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의 습식 청소를 위한 조립 상태와 건식 청소를 위한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for wet cleaning and an assembled state for dry cleaning of 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는 포집부 모듈(120-1,120-2)을 2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wo collection module modules 120-1 and 120-2.

다시말해, 하나의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본체(10)가 건식 포집부 모듈(120-1)과 습식 포집부 모듈(120-2)을 모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ther words, on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body 10 is provided with both the dry collector module 120-1 and the wet collector module 120-2.

이러한 구조는 흡입구 모듈(110)과 구동부 모듈(130)의 사이에 어떠한 포집부 모듈(130-1 또는 130-2)을 결합하여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건식 청소기로 사용할 수도 있고, 습식 청소기로 사용할 수도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Such a structure may be used as a dry cleaner depending on whether a collection module 130-1 or 130-2 is used between the suction module 110 and the drive module 130 or may be used as a wet cleaner Lt; / RTI >

도 7을 참조하여 건식 사용을 위한 조립 상태와 습식 사용을 위한 조립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The assembled state for dry use and the assembled state for wet u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를 건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입구 모듈(110)과 구동부 모듈(130)의 사이에 건식 포집부 모듈(120-1)을 장착하고, 습식 포집부 모듈(120-2)은 구동부 모듈(130)과 손잡이 모듈(140)의 사이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건식 포집부 모듈(120-1)만이 구동부에 의하여 동작하게 되며, 습식 포집부 모듈(120-1)은 청소기 본체(100)의 전체 길이를 유지하는 역할만을 수행한다.7, when the vacuum cleaner is used as a dry type, a dry trapping unit module 120-1 is mounted between the suction port module 110 and the drive unit module 130, (120-2) can be mounted between the drive unit module (130) and the handle module (140). In this configuration, only the dry collecting part module 120-1 is operated by the driving part, and the wet collecting part module 120-1 only plays the role of maintaining the entire length of the cleaner body 100. [

건식 포집부 모듈(120-1)을 구동부 모듈(130)과 흡입구 모듈(110)의 사이에 장착하고, 구동부 모듈(130)에 직접 손잡이 모듈(14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dry trapping module 120-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drive module 130 and the suction module 110 and the handle module 140 may be mounted directly on the drive module 130. [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를 습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입구 모듈(110)과 구동부 모듈(130)의 사이에 습식 포집부 모듈(120-2)을 장착하고, 건식 포집부 모듈(120-1)은 구동부 모듈(130)과 손잡이 모듈(140)의 사이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습식 포집부 모듈(120-1)만이 구동부에 의하여 동작하게 되며, 건식 포집부 모듈(120-2)은 청소기 본체(100)의 전체 길이를 유지하는 역할만을 수행한다.7, when the vacuum cleaner is used as a wet type, a wet collecting part module 120-2 is mounted between the suction port module 110 and the driving part module 130, (120-1) can be mounted between the driving unit module (130) and the knob module (140). In this configuration, only the wet collecting part module 120-1 is operated by the driving part, and the dry collecting part module 120-2 only plays the role of maintaining the entire length of the cleaner body 100. [

마찬가지로, 습식 포집부 모듈(120-2)을 구동부 모듈(130)과 흡입구 모듈(110)의 사이에 장착하고, 구동부 모듈(130)에 직접 손잡이 모듈(14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Likewise, the wet trap module 120-2 may be mounted between the drive module 130 and the suction module 110, and the handle module 140 may be mounted directly on the drive module 130. FIG.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충전식 청소기는 사용자가 청소 환경에 따라서, 건식 포집부 모듈(120-1) 또는 습식 포집부 모듈(120-2)의 조립 위치를 변경하여 건식 청소 또는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포집부 모듈은 손잡이 모듈(140)과 구동부 모듈(130)의 사이에 장착할 수 있므로, 어떠한 포집부 모듈을 사용하더라도 청소기(10)의 전체 외관과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modular wirelessly-charge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dry cleaning or a wet cleaning by changing the assembling position of the dry collecting part module 120-1 or the wet collecting part module 120-2 according to the cleaning environment And the unused collecting module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handle module 140 and the driving module 130 so that the overall appearance and length of the vacuum cleaner 10 can be kept constant regardless of which collecting module is used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suction port portion of a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cover of th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흡입구 모듈(110)는 흡입구 커버(110c)를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흡입구의 전방에 회전롤러(117)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suction port module 110 has a structure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the suction port cover 110c, and may include a rotating roller 117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회전롤러(117)는 흡입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바닥면과 마찰하여 바닥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rotating roller 117 rotates by the suction force and frictionally engages with the bottom surface to separate foreign matter from the floor.

청소를 수행하게 되면, 흡입구 모듈(110) 내부에 이물질이 끼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 모듈(110)의 경우 흡입구 커버(110c)를 탈부착 가능하게 흡입구 모듈(1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suction port module 110 can be cleaned so that the inside of the suction port module 110 can be removed so that the suction port cover 110c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module 110. [ .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진공 청소기와 다른 가전 기기들의 세트화된 제품을 나타낸 것이다.Fig. 10 shows a set product of a household vacuum cleaner and other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무선식 충전기는 전체적이 외관이 하단에 거치대가 형성하는 원반 형상과, 청소기 본체가 형성하는 막대(기둥) 형상이 결합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dular wireless typ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outer shape is formed by a disc shape formed at a lower end of a cradle, and a bar (column) shape formed by the cleaner main body.

그런데, 이러한 원반에 기둥이 결합된 형상은 공기청정기, 가습기 등의 가전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shape in which the column is coupled to the disk can be applied to home appliances such as air purifiers and humidifiers.

도시한 도면은 좌측에 진공 청소기(10), 중앙에 공기 청정기(20), 우측에 가습기(30)를 배치하여 세트로 구성한 제품을 나타낸 것이다.The drawing shows a product in which a vacuum cleaner 1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an air purifier 20 is disposed in the center, and a humidifier 3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이러한 제품의 전체 디자인은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 효과를 가져오며, 다양한 가전 기기가 하나의 세트로 통일감을 주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The overall design of these products brings the interior effects of the interior space and brings the effect that various home appliances are unified by one set.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s well as any equivalents thereof,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100 : 청소기 본체
110 : 흡입구 모듈
120 : 포집부 모듈
120-1 : 건식 포집부 모듈
120-2 : 습식 포집부 모듈
130 : 구동부 모듈
132 : 흡입 모터 모듈
134 : 배터리 모듈
140 : 손잡이 모듈
150 : 더미 모듈
200 : 거치대
10: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100:
110: inlet module
120: collection module
120-1: Dry collector module
120-2: Wet collector module
130: Driver module
132: Suction motor module
134: Battery module
140: Handle module
150: dummy module
200: Cradle

Claims (10)

하부에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단에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는 흡입구 모듈;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단 결합부와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흡입 모터와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하는 구동부 모듈;
하단에 하단 결합부와 상단에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며 오염물을 포집하는 포집부 모듈; 및
하단에 하단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단으로 인입출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손잡이부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A suction module having a suction port at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suction portion at an upper end;
A driving unit module having a lower end engaging portion and an upper engaging portion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respectively, and having a suction motor and a rechargeable battery therein;
A collecting part module having a lower end engaging part at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engaging part at an upper end and collecting contaminants; And
And a handle module having a lower engaging portion at a lower end and having a handle capable of being pulled out to an upper end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모듈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단 결합부와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는 흡입 모터 모듈과,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단 결합부와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이 결합된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 unit module
A suction motor module having upper and lower lower engaging portions and upper engag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a battery module having a lower end coupling portion and an upper coupling portion at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듈의 하단 결합부와 상단 결합부는 탈부착 가능한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wer coupling portion and the upper coupling portion of each module are detachab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결합부와 상기 상단 결합부는 서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lower end engaging portion and the upper end engag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 모듈은
건식 포집부 모듈 또는 습식 포집부 모듈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or module
Modular wireless vacuum cleaner with dry collector module or wet collector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모듈의 흡입부가 안착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radle having an engaging groove on which the suction portion of the suction port module is seat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모듈은 상기 거치대와 접속하는 전원 공급단자를 구비하는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uction port module has a power supply terminal connected to the cra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단 결합부와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는 더미 모듈을 구비하는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ummy module having upper and lower lower engagement portions and upper engagement portion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모듈과, 상기 포집부 모듈과, 상기 손잡이부 모듈은 수직 방향의 단면이 일정한 막대형상인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unit module, the collecting part module, and the handle module are bar-shaped in cross s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하부에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단에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는 흡입구 모듈;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단 결합부와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흡입 모터 모듈;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단 결합부와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단 결합부와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건식 포집부를 구비하는 건식 포집부 모듈;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단 결합부와 상단 결합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수공 분리 구조를 구비하는 습식 포집부 모듈; 및
하단에 하단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단으로 인입출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손잡이부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무선 진공 청소기.
A suction module having a suction port at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suction portion at an upper end;
A suction motor module having upper and lower lower engaging portions and upper engag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having a suction motor therein;
A battery module having upper and lower lower engaging portions and upper engag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having a rechargeable battery therein;
A dry trapping module having a lower end engaging portion and an upper end engaging portion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respectively, and having a dry trapping portion therein;
A wet collecting part module having a lower end engaging part and an upper end engaging part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respectively, and having a water separation structure inside; And
And a handle module having a lower engaging portion at a lower end and having a handle capable of being pulled out to an upper end thereof.
KR1020160180505A 2016-12-27 2016-12-27 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KR102630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505A KR102630005B1 (en) 2016-12-27 2016-12-27 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505A KR102630005B1 (en) 2016-12-27 2016-12-27 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57A true KR20180076257A (en) 2018-07-05
KR102630005B1 KR102630005B1 (en) 2024-01-25

Family

ID=6292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505A KR102630005B1 (en) 2016-12-27 2016-12-27 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00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510B1 (en) * 2020-08-24 2020-12-08 배성구 Universal controller device for motor driven home appliance and motor driven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2237771B1 (en) * 2020-11-18 2021-04-07 배성구 Universal controller device for motor driven home appliance and motor driven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WO2022075721A1 (en) 2020-10-08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dular cleaner
WO2022203186A1 (en) * 2021-03-23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WO2022215836A1 (en) * 2021-04-09 2022-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976A (en) * 2006-07-04 2008-01-09 김종기 Vacuum cleaner with dry filter and water filter
KR20150105136A (en) * 2014-03-07 2015-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member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126451A (en) * 2014-05-02 2015-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WO2016114046A1 (en) * 2015-01-14 2016-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976A (en) * 2006-07-04 2008-01-09 김종기 Vacuum cleaner with dry filter and water filter
KR20150105136A (en) * 2014-03-07 2015-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member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126451A (en) * 2014-05-02 2015-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WO2016114046A1 (en) * 2015-01-14 2016-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510B1 (en) * 2020-08-24 2020-12-08 배성구 Universal controller device for motor driven home appliance and motor driven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WO2022075721A1 (en) 2020-10-08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dular cleaner
KR102237771B1 (en) * 2020-11-18 2021-04-07 배성구 Universal controller device for motor driven home appliance and motor driven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WO2022203186A1 (en) * 2021-03-23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WO2022215836A1 (en) * 2021-04-09 2022-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005B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6257A (en) 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US7377007B2 (en) Vacuum cleaner with detachable vacuum module
KR102642531B1 (en) 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CA2628573C (en) Motor, fan and filter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EP2392244B1 (en) Hand-held and stick vacuum cleaner
JP2001321310A (en) Vacuum cleaner
EP2007262A1 (en) Body of vacuum cleaner and handy type cleaner
JPS61196928A (en) Vacuum cleaner
CN108030440B (en) Handheld charging dust collector
KR20120103956A (en) Support for vacuum cleaner
JP2022125218A (en) vacuum cleaner
US20220369883A1 (en) Power sharing vacuum cleaner assembly
CN109259660A (en) Hand-held cleaning device
JP5999206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108968797B (en) Cleaning device
JP2001212052A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20240108186A1 (en) Charging base and electric vacuum cleaner system
US10758101B2 (e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battery support plate
EP4087460A1 (en) Power sharing vacuum cleaner assembly
JPH0584161A (en) Vacuum cleaner
CN215272419U (en) Hand-held type dust catcher
CN115429148A (en) Cleaning device
KR101143783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CN115486746A (en) Cleaning device
KR950006889B1 (en) Vacuum cleaner for chalk du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