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359A - Ice maker - Google Patents
Ice m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5359A KR20180075359A KR1020170075713A KR20170075713A KR20180075359A KR 20180075359 A KR20180075359 A KR 20180075359A KR 1020170075713 A KR1020170075713 A KR 1020170075713A KR 20170075713 A KR20170075713 A KR 20170075713A KR 20180075359 A KR20180075359 A KR 201800753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flow
- inlet
- discharge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7—Articles manipulated as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for making ice.
제빙기는 얼음을 만드는 것이다.The ice maker is making ice.
이러한 제빙기로, 물받이에 담긴 물에,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연결된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함으로써,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침지식 제빙기가 있다. 또한,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빙판의 얼음생성부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얼음생성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분사식 제빙기도 있다. 그리고,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빙판의 얼음생성부에 물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얼음생성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유수식 제빙기도 있다.In this ice-making machine, there is an immersion ice-maker for causing ice to be generated in the immersion member by allowing the immersion member connected to the evaporator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to be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er. There is also a jet type ice maker in which an evaporator through which a coolant flows and water is sprayed to the ice producing portion of the ice making plate on which the ice producing portion is formed generates ice in the ice producing portion. There is also a water-jet type ice maker in which an evaporator in which a coolant flows, and water is caused to flow in an ice producing portion of a ice making plate on which an ice producing portion is formed, thereby generating ice in the ice producing portion.
이외에, 물이 유동하는 제빙공간의 주위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제빙공간의 내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고, 이송스크류가 제빙공간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제빙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얼음을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외부로 배출하는 오거식 제빙기도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nt is allowed to flow around the ice making space in which the water flows, so that ice is generat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ce making space, and the conveying screw is rotated in the ice making space, thereby separating and conveying ice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ce making space, There is also an auger type ice maker.
전술한 바와 같이, 오거식 제빙기에서는 제빙공간에 형성된 얼음을 이송스크류가 제빙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단단한 얼음을 만들지 못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uger type ice-maker, the ice formed in the ice-making space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ce-making space, and is transpor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얼음에 포함된 기포가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에, 투명도가 높은 얼음을 만들지 못하였다.Further, since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ice can not escape,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ice with a high transpare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needs or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오거식 제빙기에서 비교적 단단한 얼음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relatively hard ice in an auger type ice maker.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오거식 제빙기에서 비교적 투명도가 높은 얼음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ce relatively high in the auger type ice maker.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An ice maker relat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제1유입통과부와 제1배출통과부가 형성된 장치본체; 상기 제1유입통과부와 제1배출통과부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는 제1유입구와 제1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유입구와 제1배출구에 연결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부; 및 상기 유동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상기 유동공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배출구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분리이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부는 상기 제1배출구에 연결되며, 얼음이 배출되면서 압축되도록 구성된 압축배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maker comprising: an apparatus main body having a first inlet portion and a first outlet portion; A flow unit having a first inlet and a first outlet that directly or indirectly pass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respectively, and a flow spac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 cooling unit for causing a refrigerant to flow at least in a part around the flow portion to cool the flowing water flowing into the flow space through the first inlet; And a separation conveying part for separating the ice generated in the flow space from the flow space and conveying the ice to the first outlet to discharge the ice. And the flow portion may include a compressed discharge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configured to be compressed while discharging the ice.
이 경우, 상기 압축배출부재에는 상기 제1배출구에 연결되며 얼음이 배출되면서 압축되는 압축배출로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압축배출로는 얼음의 배출방향으로 내경이 감소되도록 단차지거나 경사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pression discharge unit is formed with a compression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outlet and compressed as ice is discharged, and the compression discharge passage may be stepped or inclin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ice.
또한, 상기 압축배출로는 다단으로 단차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ression discharge path may be multi-stepped.
그리고, 상기 압축배출로는 내경이 일정한 일정내경부와 상기 일정내경부에 연결되며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discharge passage may include a constant diameter portion having a constant inner diameter and an inner diameter redu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ixed inner diameter portion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reduced.
또한, 상기 내경감소부는 경사질 수 있다.Further, the inner diameter reducing portion may be inclined.
그리고, 상기 압축배출로는 내경이 감소되도록 경사진 내경감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discharge passage may include an inner diameter reduction portion that is inclined to reduce the inner diameter.
또한, 상기 압축배출로는 적어도 일부에 다른 부분보다 거친 표면이 형성될수 있다.Further, at least a part of the compression discharge path may have a rougher surface than the other part.
그리고, 상기 거친 표면은 상기 압축배출로에 포함되는 일정내경부와 내경감소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rough surface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at least one of the fixed inner diameter portion and the inner diameter reduction portion included in the compression discharge path.
또한, 상기 분리이송부는 상기 유동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축부와 상기 유동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축부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스크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transfer part may include a shaft part rotatably provided through the flow part, and a helical screw part formed at least a part of the shaft part located in the flow space.
그리고,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는 물이 상기 축부와 상기 유동부 사이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 portion that prevents water flowing in the flow space from leaking between the shaft portion and the fluid portion.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유동부 외측의 상기 축부의 부분을 회전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 rotation support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a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on the outside of the fluid portion.
그리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축부와, 상기 유동부에 포함되는 유입부재 또는 배출부재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유입부재 또는 배출부재에 구비되는 제1밀봉부재; 및 상기 제1밀봉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상기 유입부재 또는 배출부재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inflow member or the discharge member to seal between the shaft portion and the inflow member or the discharge member included in the fluid portion; And a first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inflow member or the discharge member to cover and suppor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aling member; . ≪ / RTI >
또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축부와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2밀봉부재; 및 상기 제2밀봉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to seal the shaft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member to cover and support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장치본체에는 제2유입통과부와 제2배출통과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유동부에는 상기 제2유입통과부와 제2배출통과부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제2유입구와 제2배출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된 물은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면서 상기 냉각부에 의해서 냉각되어 소정 온도의 냉수로 된 후 상기 제2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econd inflow passage portion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portion. The fluid passage portion directly or indirectly passes through the second inflow passage portion and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low space The water flowing into the flow space through the second inlet is cooled by the cooling unit while being flowed in the flow space to be made cold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또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가 구비되는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에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재; 및 상기 유동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배출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unit may include an inlet member having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 flow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inflow member and forming the flow space; And a discharge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low member and including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 ≪ / RTI >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에는 상기 유동공간과 제1,2배출구를 연결하는 나선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member may be formed with a spiral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luid space and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orts.
또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유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동부와의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을 형성하며 냉매입구와 냉매출구가 연결되는 냉매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unit may include a refrigerant space forming member enclosing at least a part of the flow unit to form a refrigerant flow space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with the fluid unit, and the refrigerant inlet port and the refrigerant outlet p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이 압축배출부재를 통해서 배출되면서 압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can be compressed while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compression discharge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거식 제빙기에서 비교적 단단한 얼음을 만들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ively hard ice can be produced in the auger type ice maker.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거식 제빙기에서 비교적 투명도가 높은 얼음을 만들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ice having comparatively high transparency in the auger type ice make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6은 도4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7은 도4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4와 같은 단면도로, 얼음생성시를 나타낸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3과 같은 단면도로, 냉수생성시를 나타낸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압축배출부재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5와 같은 확대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Fig. 8 is a 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4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ice genera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3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generation of cold water.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ression and discharge member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 ice maker relat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embodiments best suited to underst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 embodiments.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the respective embodiments,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이하, 도1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4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 II-II ".
또한, 도5는 도4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6은 도4의 B부분의 확대도이며, 도7은 도4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4,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4,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그리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4와 같은 단면도로, 얼음생성시를 나타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3과 같은 단면도로, 냉수생성시를 나타낸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ce-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3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ce- , Indicating the generation of cold water.
또한,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압축배출부재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5와 같은 확대단면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ression and discharge member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일실시예는 장치본체(200), 유동부(300), 냉각부(400) 및, 분리이송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An
장치본체(200)에는 제1유입통과부(211)와 제1배출통과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입통과부(211)에는 유동부(300)에 구비되는 후술할 제1유입구(311)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1배출통과부(212)에는 유동부(300)에 구비되는 후술할 제1배출구(331)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The apparatus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제1유입구(311)가 제1유입통과부(211)를 직접 통과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또한, 유동부(300)의 제1배출구(331)에는 후술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배출부재(34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300)의 압축배출부재(340)가 제1배출통과부(212)를 통과하는 것으로, 유동부(300)의 제1배출구(331)가 제1배출통과부(212)를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The
그러나, 유동부(300)의 제1유입구(311)와 제1배출구(331)가 제1유입통과부(211)와 제1배출통과부(212)를 각각 통과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그리고, 제1유입통과부(211)와 제1배출통과부(212)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동부(300)의 제1유입구(311)와 제1배출구(331)가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한편, 전술한 압축배출부재(340)는 도1 내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제1배출통과부재(212)를 덮으며 압축배출부재(340)가 통과하는 덮개부재(212a)에 의해서, 제1배출구(33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1 to 3 and 4, the
장치본체(200)에는 제2유입통과부(213)와 제2배출통과부(2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통과부(213)에는 유동부(300)에 구비되는 후술할 제2유입구(312)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2배출통과부(214)에는 유동부(300)에 구비되는 후술할 제2배출구(332)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The apparatus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제2유입구(312)가 제2유입통과부(213)를 직접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00)의 제2배출구(332)가 제2배출통과부(214)를 직접 통과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그러나, 유동부(300)의 제2유입구(312)와 제2배출구(332)가 제2유입통과부(213)와 제2배출통과부(214)를 각각 통과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그리고, 제2유입통과부(213)와 제2배출통과부(214)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동부(300)의 제2유입구(312)와 제2배출구(332)가 각각 통과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The shapes and configurations of the
장치본체(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상부본체(210)에는 전술한 제1유입통과부(211)와 제2유입통과부(213) 및 제1배출통과부(212)와 제2배출통과부(214)의 일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본체(220)에는 전술한 제2배출통과부(214)의 나머지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The
그러나, 장치본체(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apparatus
장치본체(200)는 회전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2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apparatus
그리고, 회전지지부(230)는 분리이송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이송스크류(510)에 포함되는 축부(511)를 회전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회전지지부(230)가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를 회전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지지부(23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를 회전지지할 수 있는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The
회전지지부(230)는 유동부(300) 외측의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의 부분을 회전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회전지지부(230)가 유동부(300) 외측의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의 양 단부를 각각 회전지지할 수 있다.The
그러나, 회전지지부(230)가 회전지지하는 축부(511)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축부(511)의 어떠한 부분이라도 회전지지할 수 있다.However, the portion of the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를 회전지지하기 위해서, 회전지지부(230)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지지부(23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를 회전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In order to rotatably support the
유동부(300)에는 장치본체(200)의 전술한 제1유입통과부(211)와 제1배출통과부(212)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는 제1유입구(311)와 제1배출구(33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00)에는 장치본체(200)의 전술한 제2유입통과부(213)와 제2배출통과부(214)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는 제2유입구(312)와 제2배출구(3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유동부(300)에는 제1유입구(311)와 제1배출구(331)에 연결되는 유동공간(SC)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공간(SC)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유입구(312)와 제2배출구(332)도 연결될 수 있다.The
얼음생성시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동부(300)의 제1유입구(311)를 통해 유동공간(SC)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물이 유동공간(SC)을 유동하면서 냉각부(400)에 의해서 냉각됨으로써 유동공간(SC)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공간(SC)에 생성된 얼음(I)이 분리이송부(500)에 의해서 분리되고 이송되어 유동부(300)의 제1배출구(33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When ice is generated, water may flow into the flow space SC through the
또한, 냉수생성시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동부(300)의 제2유입구(312)를 통해 유동공간(SC)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물이 유동공간(SC)을 유동하면서 냉각부(400)에 의해서 냉각되어 소정 온도의 냉수로 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는 유동부(300)의 제2배출구(3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9,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low space SC through the
예컨대,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이 분기되어, 제1유입구(311)와 제2유입구(31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의 분기된 부분에는 유로전환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생성시에는 유로전환밸브를 제1유입구(311)로 전환하고 냉수생성시에는 유로전환밸브를 제2유입구(312)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생성시에는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입구(311)로 공급되고, 냉수생성시에는 물공급원의 물이 제2유입구(312)로 공급될 수 있다.For example, a connection pipe (not shown)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such as a storage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may be diverged and connected to the
그러나, 얼음생성시에 물이 유동부(300)의 제2유입구(312)를 통해 유동공간(SC)에 유입되고, 냉수생성시에 물이 유동부(300)의 제1유입구(311)를 통해 유동공간(SC)에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얼음생성시와 냉수생성시에 모두 물이 제1,2유입구(311,312)를 통해 유동공간(SC)에 유입될 수도 있다.However, when ice is generated, water flows into the flow space SC through the
한편, 유동부(300)의 제2배출구(332)에는 개폐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생성시에만 열리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시에는 닫힐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유동부(300)는 유입부재(310), 유동부재(320) 및, 배출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유입부재(310)에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유입구(311)와 제2유입구(3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유입부재(310)에는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구(313)도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구(313)에는 개폐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구(313)의 개폐밸브가 열리면 유동공간(SC)에 수용된 물이 드레인구(313)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The
유입부재(310)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이송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이송스크류(510)에 포함되는 축부(511)의 일측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유입부재(310)에는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의 일측이 관통되는 관통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유동부재(320)는 일측이 유입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재(320)의 일측이 유입부재(310)에 일부 삽입되어, 유동부재(320)의 일측이 유입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유동부재(320)의 일측이 유입부재(3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One side of the
한편, 유동부재(320)에는 전술한 유동공간(SC)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flow space SC may be formed in the
유동부재(3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유동부재(3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입부재(310)에 연결되고 유동공간(SC)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배출부재(330)는 유동부재(32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재(320)의 타측이 배출부재(330)에 일부 삽입되어 배출부재(330)가 유동부재(32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재(330)가 유동부재(320)의 타측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The
배출부재(330)에는 전술한 제1배출구(331)와 제2배출구(332)가 구비될 수 있다.The
배출부재(330)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이송부(500)의 후술할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의 타측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재(330)에는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의 타측이 관통되는 관통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discharging
배출부재(330)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C)과 제1,2배출구(331,332)를 연결하는 나선형상의 연결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유동부재(320)의 유동공간(SC)에는 분리이송부(500)의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공간(SC)에 위치하는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는 나선형상의 스크류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portion of the
이에 따라, 유동공간(SC)에는 이송스크류(510)의 나선형상의 스크류부(512)에 의하여 나선형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동공간(SC)의 나선형상의 유로는 전술한 배출부재(330)의 나선형상의 연결부(333)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a helical flow passage can be formed in the flow space SC by the
그러므로, 후술할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510)에 의해서 유동공간(SC)으로부터 분리된 얼음(I)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510)에 의해서 유동공간(SC)의 나선형상의 유로와 배출부재(330)의 연결부(333)를 통해 제1배출구(331)로 용이하게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later, the ice I separated from the flow space SC by the conveying
또한, 유동공간(SC)에서 만들어진 소정 온도의 냉수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C)의 나선형상의 유로와 배출부재(330)의 연결부(333)를 통해 제2배출구(332)로 용이하게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9, the cold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flow space SC flows through the spiral passage of the flow space SC and the
유동부(300)는 압축배출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압축배출부재(340)는 전술한 제1배출구(3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배출구(331)로 이송된 얼음(I)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출구(331)와 압축배출부재(3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압축배출부재(340)는 얼음(I)이 배출되면서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얼음(I)이 압축되기 때문에, 압축배출부재(340)로부터 배출되는 얼음(I)은 비교적 단단할 수 있다. 또한, 얼음(I)이 압축되면서 얼음(I)에 포함된 기포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압축배출부재(340)로부터 배출되는 얼음(I)은 비교적 투명도가 높을 수 있다.The
압축배출부재(340)에는 압축배출로(341)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압축배출로(341)는 제1배출구(331)에 연결되며 얼음(I)이 배출되면서 압축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discharge member (340) may be formed with a compression discharge passage (341). The
압축배출로(341)는 얼음(I)의 배출방향으로 내경이 감소되도록 단차질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된 얼음(I)이 압축배출로(341)를 통해 배출되면서 압축될 수 있다.The
압축배출로(341)는, 예컨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단차질 수 있다. 그러나, 압축배출로(341)는 단일하게 단차질 수도 있다.The
이와 같이, 압축배출로(341)가 단차지는 경우, 압축배출로(34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내경부(341a)와 내경감소부(341b)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일정내경부(341a)는 내경이 일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얼음(I)은 일정내경부(341a)를 통과하면서는 압축되지 않는다.The inner diameter of the constant-
내경감소부(341b)는 일정내경부(341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내경감소부(341b)는 내경이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내경감소부(341b)는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얼음(I)은 내경감소부(341b)를 통과하면서 압축될 수 있다.The inner
그러나, 내경감소부(341b)는 일정내경부(341a)에 수직할 수도 있다.However, the inner
전술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배출로(341)가 다단으로 단차지는 경우에, 압축배출로(341)는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일정내경부(341a)와, 일정내경부(341a)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개의 내경감소부(341b)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압축배출로(341)가 단일하게 단차지는 경우에, 압축배출로(341)는 하나의 내경감소부(341b)와, 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내경이 서로 다른 2개의 일정내경부(341a)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압축배출로(341)는 내경이 감소되도록 경사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압축배출로(341)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내경감소부(341b)와, 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내경이 서로 다른 2개의 일정내경부(341a)를 포함할 수 있다.The
그러나, 압축배출로(341)가 내경이 감소되도록 경사지는 경우에, 압축배출로(341)는 내경이 감소되도록 경사진 내경감소부(341b)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한편, 압축배출로(341)에는 적어도 일부에 다른 부분보다 거친 표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압축배출로(341)의 적어도 일부에 거친 표면이 형성되면, 압축배출로(341)를 통과하는 얼음(I)에 비교적 큰 마찰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거친 표면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서 압축배출로(341)를 통해 배출되는 얼음(I)이 압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예컨대, 전술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배출로(341)가 일정내경부(341a)와 내경감소부(341b)를 포함하는 경우에, 거친 표면은 일정내경부(341a)와 내경감소부(341b)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5, for example, when the
그러나, 거친 표면이 형성되는 압축배출로(341)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I)이 배출되면서 압축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어떠한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portion of the
유동부(300)는 밀봉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350)는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이 분리이송부(500)의 후술할 이송스크류(510)에 포함되는 축부(511)와 유동부(300) 사이로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moving
밀봉부(350)는 제1밀봉부재(351)와, 제1지지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제1밀봉부재(351)는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밀봉부재(351)에 의해서, 분리이송부(500)의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와,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The
예컨대, 제1밀봉부재(351)에는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가 관통되는 관통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에는 이들에 형성된 관통구멍(H)과 연결되는 제1삽입홈(314,33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밀봉부재(351)가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의 제1삽입홈(314,334)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1밀봉부재(351)가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 경우, 제1밀봉부재(351)의 관통구멍(H)과,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의 관통구멍(H)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가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의 관통구멍(H)과 제1밀봉부재(351)의 관통구멍(H)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밀봉부재(351)에 의해서,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와,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H of the
제1지지부재(352)는 제1밀봉부재(351)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에 연결될 수 있다.The
예컨대, 제1지지부재(352)에는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가 관통되는 관통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352)에는 관통구멍(H)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서 제1끼움돌기(35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에는 전술한 제1삽입홈(314,33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서 제1끼움홈(315,335)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pporting
이러한 구성에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352)의 제1끼움돌기(352a)가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의 제1끼움홈(315,335)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제1지지부재(352)가 제1밀봉부재(351)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유입부재(310) 또는 배출부재(330)에 연결될 수 있다.6 and 7, the first
밀봉부(350)는 제2밀봉부재(353)와, 제2지지부재(3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제2밀봉부재(353)는 전술한 제1지지부재(352)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밀봉부재(353)에 의해서, 분리이송부(500)의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와, 제1지지부재(352)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The
예컨대, 제2밀봉부재(353)에는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가 관통되는 관통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352)에는 이에 형성된 관통구멍(H)과 연결되는 제2삽입홈(35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밀봉부재(353)가 제1지지부재(352)의 제2삽입홈(352b)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2밀봉부재(353)가 제1지지부재(352)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 경우, 제2밀봉부재(353)의 관통구멍(H)과, 제1지지부재(352)의 관통구멍(H)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가 제1지지부재(352)의 관통구멍(H)과 제2밀봉부재(353)의 관통구멍(H)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밀봉부재(353)에 의해서,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와, 제1지지부재(352)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H of the
제2지지부재(354)는 제2밀봉부재(353)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제1지지부재(352)에 연결될 수 있다.The
예컨대, 제2지지부재(354)에는 이송스크류(510)의 축부(511)가 관통되는 관통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354)에는 관통구멍(H)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서 제2끼움돌기(354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352)에는 전술한 제2삽입홈(352b)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서 제2끼움홈(352c)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ing
이러한 구성에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재(354)의 제2끼움돌기(354a)가 제1지지부재(352)의 제2끼움홈(352c)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제2지지부재(354)가 제2밀봉부재(353)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제1지지부재(352)에 연결될 수 있다.
6 and 7, the second
냉각부(400)는 유동부(300)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부(300)의 제1유입구(311)를 통해 유동공간(SC)에 유입되어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로부터 냉매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이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될 수 있다.The cooling
또한, 유동부(300)의 제2유입구(312)를 통해 유동공간(SC)에 유입되어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로부터 냉매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이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온도의 냉수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heat can be transferred from the water flowing into the flow space SC through the
냉각부(400)는 냉매공간형성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공간형성부재(410)는 유동부(30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유동부재(320)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매공간형성부재(410)와 유동부(300), 예컨대 유동부(300)의 유동부재(320) 사이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SR)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oling
이에 따라, 냉매와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과의 열교환 경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냉매는 유동부(300)의 유동부재(320)를 통해서만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과 열교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eat exchange path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water flowing in the flow space SC can be minimized. That i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efrigerant can only exchange heat with the water flowing in the flow space SC through the
그러므로,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의 냉매에 의한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냉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by the refrigerant of the water flowing in the flow space SC of the
냉매공간형성부재(410)에는 냉매입구(411)와 냉매출구(4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공간형성부재(410)에는 냉매입구(411)가 연결되는 유입연결구멍(410a)과, 냉매출구(412)가 연결되는 유출연결구멍(410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입구(411)를 통해 냉매유동공간(SR)에 유입되어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한 후 냉매출구(41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냉각부(400)는 밀폐덮개부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덮개부재(420)는 냉매공간형성부재(410)와 유동부(300), 예컨대 유동부(300)의 유동부재(320)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도록 덮어서 냉매공간형성부재(410)와 함께 냉매유동공간(SR)을 형성할 수 있다.The
밀폐덮개부재(420)는,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밀폐덮개부재(4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공간형성부재(410)와 유동부(300), 예컨대 유동부(300)의 유동부재(320)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도록 덮어서 냉매공간형성부재(410)와 함께 냉매유동공간(SR)을 형성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The sealing
분리이송부(500)는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에 생성된 얼음(I)을 유동공간(SC)으로부터 분리하여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 이송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The
분리이송부(500)는 이송스크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스크류(510)는 축부(511)와, 스크류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축부(511)는 유동부(30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부(511)의 일측은 유동부(300)의 유입부재(310)의 관통구멍(H)을 관통하여 회전지지부(230)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축부(511)의 타측은 유동부(300)의 배출부재(330)의 관통구멍(H)을 관통하여 회전지지부(230)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300)의 배출부재(330)를 관통한 축부(511)의 타측은 분리이송모터(도시되지 않음)에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체인(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이송모터에 의해서 축부(511)가 구동, 즉 회전하여 이송스크류(510)가 회전할 수 있다.The
스크류부(512)는 유동공간(SC)에 위치하는 축부(511)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부(512)는 나선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선형상의 스크류부(512)에 의해서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에 나선형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구성에서, 분리이송모터에 의해서 이송스크류(510)가 회전하면, 유동공간(SC)의 내주면에 생성된 얼음(I)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510)의 스크류부(512)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얼음(I)은 이송스크류(510)의 스크류부(512)에 의해서 유동공간(SC)의 나선형상의 유로를 통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제1배출구(331)로 이송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nveying
그리고, 유동부(300)의 제1배출구(331)로 이송된 얼음(I)은 제1배출구(331)와 압축배출부재(340)로부터 배출되어, 얼음(I)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 등에 저장될 수 있다.The ice I conveyed to the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제2유입구(312)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면서 냉각되어 소정 온도의 냉수로 된 후 유동부(300)의 제2배출구(332)로 배출되는 경우에, 이송스크류(51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9,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를 사용하면, 얼음이 압축배출부재를 통해서 배출되면서 압축될 수 있으며, 오거식 제빙기에서 비교적 단단한 얼음을 만들 수 있고, 오거식 제빙기에서 비교적 투명도가 높은 얼음을 만들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ce can be compressed while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compression and discharge member, relatively hard ice can be made in the auger type ice maker, and ice made in the auger type ice- .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ice maker can be applied to a limited rang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 제빙기 200 : 장치본체
210 : 상부본체 211 : 제1유입통과부
212 : 제1배출통과부 212a : 덮개부재
213 : 제2유입통과부 214 : 제2배출통과부
220 : 하부본체 230 : 회전지지부
300 : 유동부 310 : 유입부재
311 : 제1유입구 312 : 제2유입구
313 : 드레인구 314, 334 : 제1삽입홈
315, 335 : 제1끼움홈 320 : 유동부재
330 : 배출부재 331 : 제1배출구
332 : 제2배출구 333 : 연결부
340 : 압축배출부재 341 : 압축배출로
341a : 일정내경부 341b : 내경감소부
350 : 밀봉부 351 : 제1밀봉부재
352 : 제1지지부재 352a : 제1끼움돌기
352b : 제2삽입홈 352c : 제2끼움홈
353 : 제2밀봉부재 354 : 제2지지부재
354a : 제2끼움돌기 400 : 냉각부
410 : 냉매공간형성부재 410a : 유입연결구멍
410b : 유출연결구멍 411 : 냉매입구
412 : 냉매출구 420 : 밀폐덮개부재
500 : 분리이송부 510 : 이송스크류
511 : 축부 512 : 스크류부
SC : 유동공간 I : 얼음
SR : 냉매유동공간 H : 관통구멍100: Ice-maker 200:
210: upper body 211: first inlet portion
212: first
213: second inlet passage 214: second outlet passage
220: Lower main body 230:
300: moving part 310: inflow member
311: first inlet 312: second inlet
313:
315, 335: first fitting groove 320:
330: discharge member 331: first discharge port
332: second outlet 333: connection
340: compression discharge member 341: compression discharge passage
341a:
350: sealing portion 351: first sealing member
352: first supporting
352b:
353: second sealing member 354: second supporting member
354a: second fitting projection 400: cooling part
410: Refrigerant
410b: Outflow connection hole 411: Refrigerant inlet
412: refrigerant outlet 420: sealing lid member
500: separating transfer part 510: conveying screw
511: shaft portion 512: screw portion
SC: Floating space I: Ice
SR: refrigerant flow space H: through hole
Claims (17)
상기 제1유입통과부와 제1배출통과부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는 제1유입구와 제1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유입구와 제1배출구에 연결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부; 및
상기 유동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상기 유동공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배출구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분리이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부는 상기 제1배출구에 연결되며, 얼음이 배출되면서 압축되도록 구성된 압축배출부재를 포함하는 제빙기.An apparatus main body having a first inlet portion and a first outlet portion;
A flow unit having a first inlet and a first outlet that directly or indirectly pass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respectively, and a flow spac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 cooling unit for causing a refrigerant to flow at least in a part around the flow portion to cool the flowing water flowing into the flow space through the first inlet; And
A separation conveying part for separating the ice generated in the flow space from the flow space and conveying the ice to the first outlet to discharge the ice; / RTI >
And the flow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includes a compression discharge member configured to compress the ice while being discharged.
상기 압축배출로는 얼음의 배출방향으로 내경이 감소되도록 단차지거나 경사지는 제빙기.2. 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ression discharge member is formed with a compression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compressed as ice is discharged,
Wherein the compression discharge passage is stepped or inclined so that an inner diameter of the compression discharge passage decreases in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ice.
상기 축부와, 상기 유동부에 포함되는 유입부재 또는 배출부재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유입부재 또는 배출부재에 구비되는 제1밀봉부재; 및
상기 제1밀봉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상기 유입부재 또는 배출부재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제빙기.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seal
A first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inflow member or the discharge member to seal between the shaft portion and the inflow member or the discharge member included in the fluid portion; And
A first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inflow member or the discharge member to cover and suppor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aling member;
.
상기 축부와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2밀봉부재; 및
상기 제2밀봉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지지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1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ealing portion
A second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to seal between the shaft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member to cover and support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n ice maker.
상기 유동부에는 상기 제2유입통과부와 제2배출통과부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제2유입구와 제2배출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된 물은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면서 상기 냉각부에 의해서 냉각되어 소정 온도의 냉수로 된 후 상기 제2배출구로 배출되는 제빙기.[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pparatus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second inlet portion and a second outlet portion,
The fluid passag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let and a second outlet which are directly or indirectly passed through the second inlet passage and the second outlet passage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the flow space,
Wherein water flowing into the flow space through the second inlet is cooled by the cooling unit while flowing through the flow space, and is made into cold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n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상기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가 구비되는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에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재; 및
상기 유동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배출부재;
를 포함하는 제빙기.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flow portion
An inflow member having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 flow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inflow member and forming the flow space; And
A discharge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low member and including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179327 | 2016-12-26 | ||
KR1020160179327 | 2016-12-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5359A true KR20180075359A (en) | 2018-07-04 |
KR102544432B1 KR102544432B1 (en) | 2023-06-19 |
Family
ID=6291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5713A KR102544432B1 (en) | 2016-12-26 | 2017-06-15 | Ice m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443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9758B1 (en) * | 2018-11-19 | 2019-10-08 | 윤석규 | Evaporating tube structure of auger type ice maker horizontally installed |
CN110329733A (en) * | 2019-07-25 | 2019-10-15 | 北京高能时代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 The cooling dust suppression automation equipment of thermal desorption discharging |
KR102354689B1 (en) * | 2020-07-27 | 2022-02-07 | 주식회사 동패인터내셔널 | Auger type ice mak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9772U (en) * | 1988-07-04 | 1990-01-22 | ||
JPH0527578U (en) * | 1991-09-21 | 1993-04-09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Auger ice machine |
JP2593993Y2 (en) * | 1993-10-07 | 1999-04-19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Bearing structure of auger ice machine |
US6134908A (en) * | 1998-10-08 | 2000-10-24 | Follett Corporation | Ice making apparatus with improved extrusion nozzle |
-
2017
- 2017-06-15 KR KR1020170075713A patent/KR10254443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9772U (en) * | 1988-07-04 | 1990-01-22 | ||
JPH0527578U (en) * | 1991-09-21 | 1993-04-09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Auger ice machine |
JP2593993Y2 (en) * | 1993-10-07 | 1999-04-19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Bearing structure of auger ice machine |
US6134908A (en) * | 1998-10-08 | 2000-10-24 | Follett Corporation | Ice making apparatus with improved extrusion nozzl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9758B1 (en) * | 2018-11-19 | 2019-10-08 | 윤석규 | Evaporating tube structure of auger type ice maker horizontally installed |
CN110329733A (en) * | 2019-07-25 | 2019-10-15 | 北京高能时代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 The cooling dust suppression automation equipment of thermal desorption discharging |
KR102354689B1 (en) * | 2020-07-27 | 2022-02-07 | 주식회사 동패인터내셔널 | Auger type ice mak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4432B1 (en) | 2023-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75359A (en) | Ice maker | |
KR101201101B1 (en) | Cold water tank | |
KR101410754B1 (en) |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101337080B1 (en) | Water purifier and evaporator for ice-making | |
KR102482620B1 (en) | Ice maker | |
CN206940409U (en) | Cistern assembly and Soda water machine | |
KR101813653B1 (en) | one body type Refrigerant induction device of ice making machine | |
US20200399109A1 (en) | Water purifier | |
JP5582071B2 (en) | Ion exchanger | |
KR102247219B1 (en) | Cold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 |
KR101957687B1 (en) | Ice maker | |
KR101644836B1 (en) | Water dispenser equipped | |
JP7137774B2 (en) | steam kettle | |
CN206940408U (en) | Cistern assembly and Soda water machine | |
KR20130013517A (en) | Ice container with improved drainage function | |
JP6362727B1 (en) | Sealing oil supply device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s | |
KR20200020309A (en) | Ice maker | |
KR20180010941A (en) | Ice maker | |
CN206940410U (en) | Cistern assembly and Soda water machine | |
KR102116513B1 (en) | Drink rapid cooling system using double dividing wall | |
WO2023274018A1 (en) | Drain pipe-free clear ice making machine for recycling water for use in making clear ice | |
JP7557760B2 (en) | Ice maker | |
KR101245163B1 (en) | Water supply unit for Refrigerator | |
JP2010014371A (en) |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 |
KR20160089324A (en) | Water dispenser equipp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