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309A - Ice maker - Google Patents

Ic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309A
KR20200020309A KR1020180095866A KR20180095866A KR20200020309A KR 20200020309 A KR20200020309 A KR 20200020309A KR 1020180095866 A KR1020180095866 A KR 1020180095866A KR 20180095866 A KR20180095866 A KR 20180095866A KR 20200020309 A KR20200020309 A KR 20200020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air layer
frame
lay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권재
김재만
이현우
김진민
용민철
허성환
이경민
예병효
김청래
최인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0309A/en
Publication of KR2020002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3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45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with the open end pointing downw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25C5/10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using hot refrigerant; using fluid heated by refriger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er can comprise: an evaporation pipe in which a refrigerant flows; an ice generation fram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pipe and having an ice generation space formed therein to generate ice; and a water receiver containing wate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generation frame is submerged for water to become ice to flow into the ice generation space through one opened surface of the ice generation space.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Ice maker {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for making ice.

제빙기는 얼음을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이다.Ice makers make ice and supply it to the user.

이러한 제빙기로, 물받이에 담긴 물에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관에 연결된 침지부재가 잠기어 얼음이 생성되는 침지식 제빙기가 있다.Such an ice maker includes an immersion ice maker in which an immersion member connected to an evaporation tub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is locked to generate ice.

침지식 제빙기는 물에 잠긴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동일한 형상의 얼음이 만들어진다.Since the immersion ice maker produces ice on the immersion member submerged in water, ice of a relatively identical shape is produced.

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 제빙시간을 조절하거나 침지부재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을 만들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도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지는 못하였다.Accordingly, in order to make ice of various shapes, ice was made by adjusting the ice making time or by spraying water on the immersion member, but this method did not produce ice of various shap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demands or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make ice of various shapes.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관에 연결된, 얼음생성공간이 형성된 얼음생성틀이 물받이에 담긴 물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하여, 얼음생성틀의 얼음생성공간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refrigerant evaporation tube flows, the ice making frame is formed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production frame is form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so that the ice is produced in the ice production space of the ice production frame It is.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관;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며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생성공간이 형성된 얼음생성틀; 및 상기 얼음생성틀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물이 담기어, 상기 얼음생성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얼음이 될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물받이; 를 포함할 수 있다.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vaporator tube flowing refrigerant; An ice making fram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and having an ice making space for generating ice; And a drip tray configured to contain wate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ing frame is submerged, so that water to be ice flows into the ice making space through an open surface of the ice making space; It may include.

이 경우, 상기 얼음생성틀에는 상기 얼음생성틀의 둘레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기층형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ce production frame may be provided with an air layer forming member to form an air layer around the ice production frame.

또한, 상기 공기층형성부재는 상기 얼음생성틀의 외부측면 둘레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얼음생성틀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ice frame to form the air layer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ice frame.

그리고, 상기 공기층형성부재는 상기 얼음생성틀의 외부 측면 둘레를 소정 거리 이격되게 감싸도록 상기 얼음생성틀에 구비될 수 있다.The air layer form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ide circumference of the ice making fram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공기층의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도록 상기 공기층형성부재가 상기 얼음생성틀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air layer is closed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그리고, 상기 공기층형성부재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적어도 일부 개방된 다각통이나 원통 또는 타원통 형상이고, 상기 공기층형성부재의 개방된 상부의 부분은 상기 증발관과 얼음생성틀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is a polygonal or cylindrical or elliptical cylinder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t least partially open, respectively,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may be closed by the evaporation tube and the ice production frame. .

또한, 상기 공기층형성부재 외부 측면 둘레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층형성부재는 상기 얼음생성틀의 외부 측면 둘레에 밀착되게 상기 얼음생성틀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layer is forme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ice making frame.

그리고, 상기 공기층형성부재는 외부 측면 둘레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각각 적어도 일부 개방된 다각통이나 원통 또는 타원통 형상이며, 상기 공기층형성부재의 개방된 상부의 부분은 상기 증발관과 얼음생성틀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has a polygonal or cylindrical or elliptic cylindrical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 lower portion is a closed air layer around an outer side surface,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at least partially open, respectively, and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The part of may be closed by the evaporation tube and the ice making frame.

또한, 복수개의 상기 얼음생성틀이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상기 공기층형성부재가 복수개의 상기 얼음생성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ice production frame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a plurality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production frame.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얼음생성틀이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층형성부재에 의해서 복수개의 상기 얼음생성틀 중 적어도 일부의 얼음생성틀 각각의 외부 측면 둘레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ice production frame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may be such that the air layer is formed around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ice production fram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ce production frame.

또한, 상기 얼음생성틀에는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물이 유입되거나 얼음이 상기 얼음생성공간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공기가 출입되도록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연결되는 공기출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 making frame may be formed with an air access hole connected to the ice making space so that air enters the ice making space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ce making space or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

그리고, 상기 공기층형성부재에는 상기 공기출입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공기출입구멍과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공기출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n air access portion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air access hole and the outs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access hole.

또한, 상기 증발관에 빙점보다 온도가 높은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생성공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reezing point flows to the evaporator tube so that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is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그리고, 상기 증발관에 구비되는 히터에 의해서,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생성공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And, by the heater provided in the evaporation tube,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can be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증발관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er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vaporation tube.

그리고, 상기 히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증발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heat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evaporation tub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관에 연결된, 얼음생성공간이 형성된 얼음생성틀이 물받이에 담긴 물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하여, 얼음생성틀의 얼음생성공간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ing frame formed with an ice making spac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s immersed in at least par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so that the ice making space of the ice making frame Allow ice to for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ice of various shape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4 to 6 show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ce mak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ice mak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n ice mak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n ice mak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ice maker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to illustr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in th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have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extension number.

제빙기의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of the ice maker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또한,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to 6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제1실시예는 증발관(200), 얼음생성틀(300), 물받이(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vaporation tube 200, an ice making frame 300, a drip tray 400.

증발관(200)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증발관(200)의 일측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MC)와 플렉시블관(FT)에 의해서 냉동사이클(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는 팽창밸브 또는 모세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증발관(200)의 타측은 연결부재(MC)와 플렉시블관(FT)에 의해서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증발관(200)에 빙점보다 온도가 낮은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관(200)에 빙점보다 온도가 낮은 냉매가 유동하고 얼음생성틀(300)이 물받이(400)에 담긴 물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관(200)에 연결되는 얼음생성틀(300)에 형성되며 물이 유입되는 얼음생성공간(3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A refrigerant may flow in the evaporator 200 as shown in FIGS. 4 to 6. One side of the evaporation tube 200 may be connected to an expansion valve or capillary tube (not shown) included in a refrigeration cycle (not shown) by the connecting member MC and the flexible tube FT as shown in FIG. 1. have.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ion tube 200 may be connected to a compressor (not shown) included in the refrigeration cycle by the connecting member MC and the flexible tube FT. As a result, the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reezing point may flow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200. As such, when the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reezing point flows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200 and the ice making frame 300 is at least partially submerg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400, the evaporation tube 200 as shown in FIG. The ice I may be formed in the ice making frame 300 connected to the ice making space 310 to which water is introduced.

한편, 증발관(200)에는 빙점보다 온도가 높은 냉매도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압축기의 출구나 압축기의 출구에 연결된 연결관(도시되지 않음)과, 팽창밸브나 모세관의 출구나 팽창밸브나 모세관의 출구에 연결된 연결관에 바이패스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관에 개폐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거나 바이패스관과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유로전환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밸브를 개방하거나 유로전환밸브를 조작하여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빙점보다 온도가 높은 냉매가 증발관(200)으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증발관(200)에 빙점보다 온도가 높은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관(200)에 빙점보다 온도가 높은 냉매가 유동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틀(300)의 얼음생성공간(310)에 생성된 소정 크기의 얼음(I)이 얼음생성공간(3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frigerant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reezing point may also flow in the evaporator 200. To this end, a bypass tub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compressor or to the outlet of the compressor, and to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expansion valve or capillary or to the outlet of the expansion valve or capillary. have. In addition, an on / off valv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bypass pipe or a flow path switching valve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bypass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reezing poi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may be flowed into the evaporation tube 200 by opening or closing the valve or operating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As a result, the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reezing point may flow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200. As such, when a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reezing point flows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200, as shown in FIG. 6, ice I having a predetermined siz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31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s formed.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310).

증발관(20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증발관(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evaporator 200 may be U-shaped as shown in FIGS. 1 and 2. However, the shape of the evaporation tube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hape can be used as long as the refrigerant can flow.

얼음생성틀(300)은 증발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얼음생성틀(300), 예컨대 얼음생성틀(300)의 상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관 안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관 안착부(320)는 증발관(20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증발관 안착부(320)는 반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증발관(200)의 일부가 얼음생성틀(300)의 증발관 안착부(320)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생성틀(300)의 증발관 안착부(320)에 안착된 증발관(200)의 일부가 얼음생성틀(300)의 증발관 안착부(320)에 블레이징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생성틀(300)이 증발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얼음생성틀(300)이 증발관(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Ice production fram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200). An evaporation tube seating part 3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300, for example, the ice making frame 300. The evaporation tube seating part 3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evaporation tube 200. For example, the evaporation tube seating part 320 may have a semi-cylindrical shape. As a result, a part of the evaporation tube 200 may be seated on the evaporation tube seating part 32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A portion of the evaporation tube 200 seated on the evaporation tube seating part 32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seating part 32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by blazing or the like. As a result, the ice production fram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200. 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ice making frame 300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configuration may be used.

얼음생성틀(3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얼음생성공간(310)이 형성될 수 있다. 얼음생성틀(300)의 얼음생성공간(31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얼음생성공간(310)은 일면,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생성틀(300)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400)에 담긴 물에 잠기면, 얼음생성공간(310)의 개방된 일면, 예컨대 하면을 통해 물이 얼음생성공간(310)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증발관(200)에 빙점보다 온도가 낮은 냉매가 유동하면, 얼음생성공간(310)에 존재하는 물로부터 증발관(200)을 유동하는 냉매로 열전달이 이루어져서, 얼음생성공간(310)에 존재하는 물이 얼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공간(3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얼음생성공간(310)에 얼음(I)이 생성되기 때문에, 얼음생성공간(310)의 모양을 다양하게 하여, 다양한 형상의 얼음(I)을 만들 수 있다.An ice making space 310 may be formed in the ice making frame 300 as shown in FIG. 3. Ice I may b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31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as shown in FIG. 5. One surface of the ice making space 310 may be open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n, when the ice making frame 300 is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400, as shown in Figure 4, the water through the open one surface,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making space 310, the ice making space 310 Can be introduced. In this state, when a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reezing point flows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200,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water present in the ice making space 310 to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200, thereby creating an ice making space 310. The water in) can freeze. As illustrated in FIG. 5, ice I may b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310. As such, since the ice I is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310, the shape of the ice making space 310 may be varied to form ice I having various shapes.

얼음생성틀(300), 예컨대 얼음생성틀(300)의 상면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출입구멍(HA)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출입구멍(HA)을 통해 공기가 얼음생성공간(310)을 출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공기출입구멍(HA)은 얼음생성공간(3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공간(310)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얼음생성공간(310)에 존재하는 공기가 공기출입구멍(H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얼음생성공간(310)으로의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얼음생성공간(3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출입구멍(HA)을 통해 얼음생성공간(310)으로 유입되어 얼음(I)이 얼음생성공간(310)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An air access hole HA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300, for example, the ice making frame 300, as shown in FIGS. 1 to 3. Air may enter and exit the ice making space 310 through the air access hole HA. To this end, the air access hole HA may be connected to the ice making space 310. And, as shown in Figure 4,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ce making space 310, the air present in the ice making space 3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access hole (HA) to create an ice making space ( 310 may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wat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ice I is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310,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ice making space 310 through the air access hole HA and the ice I ) May b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310).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이 증발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증발관(200)에 연결되는 얼음생성틀(3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그러나, 얼음생성틀(300)은 한 개가 증발관(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ice production fram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200). The number of ice making frames 300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number may be used. However, one ice production fram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or 200.

물받이(4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틀(300)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물이 담길 수 있다. 예컨대, 수도 등이나, 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에 구비되며 물을 여과하도록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여과부(도시되지 않음)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물받이(400)에 물이 공급되어 물받이(400)에 물이 담길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drip tray 400 may contain wate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s submerged. For example, the drip tray 400 is provid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such as a water filter, a water purifier (not shown), and the like (not shown) including a water filter (not shown) to filter water. Water is supplied to the drip tray 400 may contain water.

물받이(4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받이(400)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빙위치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탈빙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The drip tray 40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410 as shown in FIGS. In addition, the drip tray 400 may rotate between an ice making pos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a defrosting position as shown in FIG. 6.

제빙위치에서 물받이(400)에는 물이 담길 수 있다. 또한, 얼음생성틀(300)의 적어도 일부가 물받이(400)에 담긴 물에 잠기어, 얼음생성틀(300)의 얼음생성공간(310)에 얼음(I)이 될 물이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생성틀(300)이 연결된 증발관(200)에 빙점보다 온도가 낮은 냉매가 유동하면 얼음생성공간(3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In the ice making position, the drip tray 400 may contain water.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s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400, water to be the ice (I) may be introduced into the ice making space 31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n addition, when a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reezing point flows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200 to which the ice production frame 300 is connected, ice I may be generated in the ice generation space 310.

탈빙위치에서 물받이(400)에는 물이 담기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얼음생성틀(300)의 적어도 일부가 물받이(400)에 담긴 물에 잠기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얼음생성틀(300)이 연결된 증발관(200)에 빙점보다 온도가 높은 냉매가 유동하면, 얼음생성틀(300)의 얼음생성공간(310)에 생성된 소정 크기의 얼음(I)이 얼음생성공간(3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drip tray 400 may not contain water in the freezing position. Therefore, at least a part of the ice making frame 300 may not be submerg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400. In this state, when a coolant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reezing point flows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200 to which the ice making frame 300 is connected, the i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31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s formed. ) May be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310.

전술한 바와 같이 물받이(400)가 제빙위치에서 탈빙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도 있으나, 물받이(400)는 제빙위치에서 탈빙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ip tray 400 may rotate between the de-icing position in the ice making position, but the drip tray 400 may move between the de-icing position in the ice making position.

한편, 공기층형성부재(500)가 얼음생성틀(300)의 둘레에 공기층(AL)이 형성되도록 얼음생성틀(3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층형성부재(500)에 의해서 얼음생성틀(300)의 둘레에 공기층(AL)이 형성되도록 하면, 얼음생성틀(300)의 적어도 일부가 물받이(400)에 담긴 물에 잠기어 얼음생성틀(300)의 얼음생성공간(310)에 얼음(I)이 생성될 때, 공기층(AL)이 단열기능을 함으로써 얼음생성틀(300)의 둘레에는 얼음(I)이 생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300 so that the air layer AL is formed around the ice making frame 300. As such, when the air layer AL is formed around the ice making frame 300 by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s submerged in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400. When ice I is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310 of the production frame 300, the air layer AL may be insulated so that the ice I may not be formed around the ice making frame 300. have.

공기층형성부재(500)는 얼음생성틀(300)의 외부 측면 둘레에 공기층(AL)이 형성되도록 얼음생성틀(300)에 구비될 수 있다.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300 so that the air layer AL is forme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ice making frame 300.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층형성부재(500)는 얼음생성틀(300)의 외부 측면 둘레를 소정 거리 이격되게 감싸도록 얼음생성틀(3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생성틀(300)의 외부 측면 둘레의 공기층형성부재(500)와 얼음생성틀(300) 사이에 공기층(AL)이 형성될 수 있다.1 and 3,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300 to surround the outer side circumference of the ice making frame 3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s a result, an air layer AL may be formed betwee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and the ice making frame 300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ice making frame 300.

이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층(AL)의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도록 공기층형성부재(500)가 얼음생성틀(3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생성틀(300)의 적어도 일부가 물받이(400)에 담긴 물에 잠긴다고 하더라도, 공기층(AL)에는 물받이(400)의 물이 유입되지 않고 공기층(AL)을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300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air layer AL is closed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As a result, even if at least a part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s submerg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400, the air layer AL may be maintained without the water of the drip tray 400 flowing into the air layer AL.

공기층형성부재(50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적어도 일부 개방된 다각통이나 원통 또는 타원통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공기층형성부재(500)의 개방된 상부의 부분은 증발관(200)과 얼음생성틀(300)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have a shape of a polygonal cylinder, a cylinder, or an elliptical cylinder, each of which is at least partially open at the top and the bottom thereof. In addition,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be closed by the evaporation tube 200 and the ice making frame 300.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층형성부재(500)는 상부의 일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전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공기층형성부재(50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공기층형성부재(500)가 얼음생성틀(300)에 씌워지고 공기층형성부재(500)의 개방된 상부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얼음생성틀(300)에 의해서 폐쇄됨으로써, 얼음생성틀(300)의 외부 측면 둘레에 공기층(AL)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증발관(200)이 얼음생성틀(300)의 증발관 안착부(320)에 안착되어 얼음생성틀(300)이 증발관(200)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공기층형성부재(500)의 개방된 상부의 부분의 나머지가 폐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have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upper part is open and the lower part is entirely open. The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is covered with the ice making frame 300 through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and at least a part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is formed with the ice making frame ( By being closed by 300, an air layer AL may be formed arou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n addition, the evaporation tube 200 is seated on the evaporation tube seating part 320 of the ice production frame 300, the ice production frame 300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200,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The remainder of the portion of the open top can be closed.

공기층형성부재(500)에는 공기출입부(GA)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출입부(GA)는 얼음생성틀(300)의 공기출입구멍(HA)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출입구멍(HA)과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생성틀(300)의 공기출입구멍(HA)에 의한 공기의 얼음생성공간(310)에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An air access part GA may be formed i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The air access part GA may be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access hole HA and the outs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access hole HA of the ice making frame 300. As a result, air may enter and exit the ice making space 310 by the air access hole HA of the ice making frame 300.

복수개의 공기층형성부재(500)가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층형성부재(5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 각각에 구비될 수 있는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그러나, 증발관(200)에 하나의 얼음생성틀(300)이 연결된다면, 공기층형성부재(500)는 이에 대응하여, 한 개일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layer forming members 50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producing frames 300. The number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s 5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number can be used as long as the number can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producing frames 300. However, if one ice making frame 300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200,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correspond to one.

제빙기의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of ice maker

이하,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ce mak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와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이 증발관(200)에 연결되고 공기층형성부재(500)에 의해서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 중 적어도 일부의 얼음생성틀(300) 각각의 외부 측면 둘레에 공기층(AL)이 형성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Her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6 and the plurality of ice production frame 300 is the evaporation tube 200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n air layer AL is formed around an outer side surface of each of the ice making frames 300 of at least some of the ice making frames 300 by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mainly focus on the differentiating configurations,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s can b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제2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이 증발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ce making fram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200.

그리고, 공기층형성부재(500)에 의해서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 중 적어도 일부의 얼음생성틀(300) 각각의 외부 측면 둘레에 공기층(AL)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layer AL may be formed around the outer side surface of each of the ice making frames 300 of at least some of the ice making frames 300 by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예컨대, 공기층형성부재(500)가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 중 적어도 일부의 외부 측면 둘레를 소정 거리 이격되게 감싸도록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ce generating frames 300 to surround the outer side circumferenc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ce generating frames 3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에 의해서, 공기층형성부재(500)에 의해서, 공기층형성부재(500)와 얼음생성틀(300)의 외부 측면 둘레 사이에 공기층(AL)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얼음생성틀(300)에 의해서 얼음생성틀(300) 사이에 공기층(AL)이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layer AL is formed betwee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and the outer side circumference of the ice making frame 300 by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and the ice is formed by the ice making frame 300. An air layer AL may be formed between the generation frames 300.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증발관(200)의 일측에 연결된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에 한 공기층형성부재(500)가 구비되어 U자형 증발관(200)의 일측에 연결된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 각각의 외부 측면 둘레에 공기층(AL)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U자형 증발관(200)의 타측에 연결된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에 다른 공기층형성부재(500)가 구비되어 U자형 증발관(200)의 타측에 연결된 복수개의 얼음생성틀(300) 각각의 외부 측면 둘레에 공기층(AL)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ice making frames 3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shaped evaporation tube 200, and a plurality of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shaped evaporation tube 200. An air layer AL may be formed around an outer side surface of each of the two ice making frames 3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ice layer forming member 500 i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ice production fram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U-shaped evaporation tube 200, the plurality of ice production fram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U-shaped evaporation tube 200 An air layer AL may be formed around each outer side surface.

제빙기의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of ice maker

이하, 도8과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8 and 9, a third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9는 도8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의 제3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와 공기층형성부재(500) 외부 측면 둘레에 공기층(AL)이 형성되고 공기층형성부재(500)는 얼음생성틀(300)의 외부 측면 둘레에 밀착되게 얼음생성틀(300)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Here, the third embodiment of the ice ma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ir layer AL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is provided in the ice production frame 3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ice production frame 300.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mainly focus on the differentiating configurations,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s can b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층형성부재(500) 외부 측면 둘레에 공기층(AL)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층형성부재(500)는 얼음생성틀(300)의 외부 측면 둘레에 밀착되게 얼음생성틀(300)에 구비될 수 있다.In a third embodiment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an air layer AL may be formed arou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In additio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3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ice making frame 300.

공기층형성부재(500)는 외부 측면 둘레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공기층(AL)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각각 적어도 일부 개방된 다각통이나 원통 또는 타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생성틀(300)의 적어도 일부가 물받이(400)에 담긴 물에 잠긴다고 하더라도, 공기층(AL)에는 물받이(400)의 물이 유입되지 않고 공기층(AL)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층형성부재(500)의 개방된 상부의 부분은 증발관(200)과 얼음생성틀(300)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be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ylinder or a cylinder or ellipse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is opened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closed, and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reof are at least partially open. Accordingly, even if at least a part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s submerg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400, the air layer AL may be maintained without the water of the drip tray 400 flowing into the air layer AL. In addition,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be closed by the evaporation tube 200 and the ice making frame 300.

예컨대, 공기층형성부재(500)는 외부 측면 둘레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공기층(AL)이 형성되고, 상부의 일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전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공기층형성부재(50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공기층형성부재(500)가 얼음생성틀(300)에 씌워지고 얼음생성틀(300)의 외부 측면 둘레에 밀착되게 공기층형성부재(500)가 얼음생성틀(3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증발관(200)이 얼음생성틀(300)의 증발관 안착부(320)에 안착되어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공기층형성부재(500)의 개방된 상부의 부분의 나머지가 폐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have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is opened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closed,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the lower portion is entirely open. The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is covered by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through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and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t may be provided in the ice production frame 300. In addition, the evaporation tube 200 may be seated and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seating part 32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so that the rest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500 may be closed.

제빙기의 제4실시예와 제5실시예4th and 5th embodiment of an ice maker

이하, 도10과 도1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4실시예와 제5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10 and 11, a fourth embodiment and a fifth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4실시예와 제5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1실시예와 증발관(200)에 구비되는 히터(HT)에 의해서 얼음생성틀(300)의 얼음생성공간(310)에 생성된 얼음(I)이 얼음생성공간(3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Here, the fourth embodiment and the fifth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evaporator tube 200 of the ice maker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ice I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31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is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310 by the heater HT.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Therefore, hereinafter, a configuration differentiating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can b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제4실시예와 제5실시예는 증발관(200)에 히터(HT)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HT)는 증발관(200)의 외면에 구비되거나,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HT)의 적어도 일부가 증발관(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HT may be provided in the evaporator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heater HT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vaporator 200,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HT may be provided in the evaporator 200 as illustrated in FIG. 11. Can be.

얼음생성틀(300)의 얼음생성공간(310)에 소정 크기의 얼음(I)이 생성되면, 물받이(400)를 탈빙위치로 회전시킨 후 히터(HT)가 작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이 얼음생성틀(300)의 얼음생성공간(3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ice I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31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the heater HT may be operated after rotating the drip tray 400 to the freezing position. As a result, the ice I may be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31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히터(HT)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증발관(200)의 외면에 구비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증발관(200) 내부에 구비되어 얼음(I)이 얼음생성틀(300)의 얼음생성공간(3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The heater H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heater H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vaporation tube 200 or at least a part thereof is provided inside the evaporation tube 200 so that the ice I is formed in the ice making space 310 of the ice making frame 300. Any known on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separated from.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를 사용하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관에 연결된, 얼음생성공간이 형성된 얼음생성틀이 물받이에 담긴 물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하여, 얼음생성틀의 얼음생성공간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ing frame formed with the ice making space, which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ng tub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s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p tray, thereby making the ice making space of the ice making frame. Ice can be produced at various times, and various shapes of ice can be mad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ce maker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제빙기 200 : 증발관
300 : 얼음생성틀 310 : 얼음생성공간
320 : 증발관 안착부 400 : 물받이
410 : 회전축 500 : 공기층형성부재
I : 얼음 AL : 공기층
HA : 공기출입구멍 GA : 공기출입부
HT : 히터 MC : 연결부재
FT : 플렉시블관
100: ice maker 200: evaporation tube
300: ice making frame 310: ice making space
320: evaporation tube seat 400: drip tray
410: rotation axis 500: air layer forming member
I: Ice AL: Air Layer
HA: Air entry hole GA: Air entry part
HT: Heater MC: Connection member
FT: Flexible tube

Claims (16)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관;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며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생성공간이 형성된 얼음생성틀; 및
상기 얼음생성틀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물이 담기어, 상기 얼음생성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얼음이 될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물받이;
를 포함하는 제빙기.
An evaporator tub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n ice making fram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and having an ice making space for generating ice; And
A drip tray configured to contain water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ing frame is submerged, so that water to be ice flows into the ice making space through an open surface of the ice making space;
Ice mak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틀에는 상기 얼음생성틀의 둘레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기층형성부재가 구비되는 제빙기.The ice maker of claim 1, wherein the ice making frame includes an air layer forming member for forming an air layer around the ice making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형성부재는 상기 얼음생성틀의 외부측면 둘레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얼음생성틀에 구비되는 제빙기.The ice making machine of claim 2, wherei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so that the air layer is formed arou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ice making fr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형성부재는 상기 얼음생성틀의 외부 측면 둘레를 소정 거리 이격되게 감싸도록 상기 얼음생성틀에 구비되는 제빙기.The ice maker of claim 3, wherei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ice mold to surrou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ice mol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의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도록 상기 공기층형성부재가 상기 얼음생성틀에 구비되는 제빙기.The ic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air layer is closed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형성부재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적어도 일부 개방된 다각통이나 원통 또는 타원통 형상이고, 상기 공기층형성부재의 개방된 상부의 부분은 상기 증발관과 얼음생성틀에 의해서 폐쇄되는 제빙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is a polygonal or cylindrical or elliptical cylindrica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t least partially open, respectively, wherein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is formed by the evaporation tube and the ice making frame. Ice maker clo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형성부재 외부 측면 둘레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층형성부재는 상기 얼음생성틀의 외부 측면 둘레에 밀착되게 상기 얼음생성틀에 구비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3, The air layer is forme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The ice layer form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ice making fram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ice making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형성부재는 외부 측면 둘레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각각 적어도 일부 개방된 다각통이나 원통 또는 타원통 형상이며, 상기 공기층형성부재의 개방된 상부의 부분은 상기 증발관과 얼음생성틀에 의해서 폐쇄되는 제빙기.8.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has a polygonal cylinder, a cylindrical shape or an elliptic cylinder shape,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opened around the outer sid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layer is formed, and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re at least partially open. The open upper part of the ice maker is closed by the evaporation tube and the ice frame. 제3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얼음생성틀이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상기 공기층형성부재가 복수개의 상기 얼음생성틀에 각각 구비되는 제빙기.The ic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ice producing molds are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and a plurality of air layer forming members ar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ice producing molds,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얼음생성틀이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층형성부재에 의해서 복수개의 상기 얼음생성틀 중 적어도 일부의 얼음생성틀 각각의 외부 측면 둘레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빙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ice production frame is connected to the evaporation tube, and the air layer is formed around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ice production fram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ce production frame by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Ice mak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틀에는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물이 유입되거나 얼음이 상기 얼음생성공간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공기가 출입되도록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연결되는 공기출입구멍이 형성되는 제빙기.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ce making frame has an air inlet hole connected to the ice making space so that air enters the ice making space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ce making space or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Ice maker form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형성부재에는 상기 공기출입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공기출입구멍과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공기출입부가 형성되는 제빙기.12. The ice mak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air layer forming member is formed with an air access portion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air access hole and the outs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access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에 빙점보다 온도가 높은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생성공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빙기.The ice maker of claim 1, wherein a coolant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reezing point flows through the evaporation tube so that ic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is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에 구비되는 히터에 의해서, 상기 얼음생성공간에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생성공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빙기.The ice maker of claim 1, wherein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space is separated from the ice making space by a heater provided in the evaporation tub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증발관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빙기.15. The ice maker of claim 14, wherein the heater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vaporation tub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증발관 내부에 구비되는 제빙기.











15. The ice maker of claim 14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is provided inside the evaporator tube.











KR1020180095866A 2018-08-17 2018-08-17 Ice maker KR202000203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66A KR20200020309A (en) 2018-08-17 2018-08-17 Ic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66A KR20200020309A (en) 2018-08-17 2018-08-17 Ice 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09A true KR20200020309A (en) 2020-02-26

Family

ID=6963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866A KR20200020309A (en) 2018-08-17 2018-08-17 Ic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030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599A (en) 2022-08-31 2024-03-07 코웨이 주식회사 Evaporator for ice ma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599A (en) 2022-08-31 2024-03-07 코웨이 주식회사 Evaporator for ice ma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620B1 (en) Ice maker
KR102538570B1 (en) Evaporator for ice maker
EP2232170A1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102515589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JP2003279214A (en)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ice making device
CN112240658A (en) Ice maker
CN106257169B (en) The method of ice pan and ice making for ice maker
KR20090051942A (en)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00020309A (en) Ice maker
KR101813653B1 (en) one body type Refrigerant induction device of ice making machine
KR102186818B1 (en) Ice maker
KR102544432B1 (en) Ice maker
KR20100110663A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102581580B1 (en) Evaporator for ice maker
KR20200069668A (en) Evaporator for ice making
KR20140144575A (en)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ic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70023277A (en) Ice maker
US9772133B2 (en) Ice making device
KR101957687B1 (en) Ice maker
KR20200082204A (en) Ice making evaporator
CN106257196A (en) Refrigerator and its ice making method
KR20140062847A (en) Evaporator unit for water purifier integral vertical ellipse type
WO2020259546A1 (en) Water filtration and recycling system for ice maker
US20180209711A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clear icemaker
US504986A (en) Ice-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