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784A -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및 그 세탁기 - Google Patents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및 그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784A
KR20180074784A KR1020187015444A KR20187015444A KR20180074784A KR 20180074784 A KR20180074784 A KR 20180074784A KR 1020187015444 A KR1020187015444 A KR 1020187015444A KR 20187015444 A KR20187015444 A KR 20187015444A KR 20180074784 A KR20180074784 A KR 20180074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odule
water
washing
tim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징징 장
스룽 하오
이민 리
춘펑 라오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7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6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20Arrangements for water reco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D06F39/004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1Upstream control, i.e. monitoring for predict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및 그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세탁통, 순환수 관로, 배수관로 및 막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막 모듈은 급수구(1), 물 생성구(4) 및 오물 배출구(3)를 구비하고, 상기 막 모듈은 급수구(1) 및 물 생성구(4)를 통해 순환수 관로 상에 연결되고, 상기 막 모듈은 오물 배출구(3)를 통해 배수관로 상에 연결되며, 상기 막 모듈에 물을 유입시켜 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세척구(2)는 세탁기의 급수구(1)와 연통된다.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은 정수장치가 정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정수를 중지하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방안은 기존의 정수 세탁기의 여과막 모듈의 세척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여과막 모듈의 세척 방법을 간소화시키고, 여과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물의 양을 절감하고, 정수 세탁기의 생산단가를 낮춘다.

Description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및 그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및 그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 세탁기의 세탁 시 동작 흐름은 통상적으로 급수, 세탁-탈수-배수, 복수회의 헹굼-탈수-배수 등을 포함하되, 동작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세탁 폐수를 바로 세탁기 외부로 배출한 후 다시 대량의 정수를 유입시켜 복수회 헹구므로, 전체 세탁 과정에서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소모하게 된다.
세탁기 절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여과막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된 세탁수를 정화 순환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헹굼 프로세스 종료 후 배출된 세탁수를 여과한 다음 순환 사용하는 등이다. 하지만, 세탁수를 순환 여과하는 여과막 모듈은 일정한 시간 동안 동작 시 오물에 막혀 여과막 모듈의 안정적인 동작에 영향을 미치므로, 세탁수 여과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여과막 모듈을 제때에 세척하지 않으면 오물이 장기적으로 체류하여 여과막 모듈의 세척이 어려우며, 여과 모듈의 사용 수명을 연장함에 있어서 불리하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여과막 모듈을 세척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출원번호 201310320243.9인 중국 발명 특허는 액체 세제 세척 및 에어워시를 통해 여과막 모듈을 세척 유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해당 방법은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상에 걸러진 오물을 제거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액체 세제를 이용하여 여과막 모듈을 세척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여과막 모듈에 대해 에어워시를 수행함으로써 여과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물 사용량을 절감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하지만, 해당 여과막 모듈 세척방법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해당 세척방법를 적용하는 세탁기는 생산 단가가 높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정수 세탁기가 여과막 모듈을 세척함에 있어서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여과막 모듈의 세척방법을 간소화하여 여과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물 사용량을 절감하고, 정수 세탁기의 생산단가를 낮추는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및 그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른 기본사상은 아래와 같다: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에 있어서, 정수장치가 세척 명령을 수신하여 정수를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 정수장치가 계속 정수를 수행하여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정수를 중지하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막 모듈을 두번 세척하는 기설정된 시간은 정수장치가 동작하는 하나의 주기의 시간과 관련된다.
또한, 정수장치의 정수 시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획득하는 단계;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이 설정값보다 낮으면, 정수장치가 세척 명령을 수신하여 정수를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세탁기 급수구와 막 모듈을 연통시키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기설정된 시간은 제1시간이고,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하는 기설정된 시간은 제2시간이며, 제1시간 및 제2시간은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하는 제3시간을 기초로 설정되되, 제1시간이 제2시간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또한, 제1시간과 제3시간의 관계로서 제3시간이 제1시간의 40배에 해당되고, 제2시간과 제3시간의 관계로서 제3시간이 제2시간의 80배에 해당된다.
또한, 제3시간은 정수를 만족하는 전제 하의 막 모듈 투과량 및 세탁기급수량을 기초로 설정된다.
또한, 정수장치가 정수를 수행하기 전에 우선 세탁수의 혼탁도를 검출하여, 혼탁도가 설정값보다 크면 세탁수를 바꾸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혼탁도의 설정값은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하는 과정에서 막 모듈에 두번 이상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확보하기 위한 값이다.
상기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을 적용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통, 순환수 관로, 배수관로 및 막 모듈을 포함하되, 막 모듈은 급수구, 물 생성구 및 오물 배출구를 구비하고, 막 모듈은 급수구 및 물 생성구를 통해 순환수 관로 상에 연결되고, 막 모듈은 오물 배출구를 통해 배수관로 상에 연결되며, 막 모듈에 물을 유입시켜 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가 더 구비되고, 세척구는 세탁기의 급수구와 연통된다.
또한, 막 모듈의 물 생성구에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 모니터링 장치가 장착된다.
또한, 세탁수를 검출하는 혼탁도 검출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되, 제어장치는 막 투과량 데이터와 세탁수의 혼탁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세탁통으로부터 막 모듈로 정수가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에 따르면, 정수장치가 세척 명령을 수신하여 정수를 일시적으로 중지한다;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한다; 1차 세척 종료 후 정수장치가 계속 정수를 수행하여,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정수를 중지하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한다; 여기서, 막 모듈을 두번 세척하는 기설정된 시간은 정수장치가 동작하는 하나의 주기의 시간과 관련된다. 나아가, 정수 과정에서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검출하여, 막 투과량이 설정값으로 감소되면 막 모듈의 여과를 중지시켜 정수를 중지한다. 막 모듈을 세척하는 세척수가 막 모듈 상에 설치된 세척구를 통해 막 모듈로 유입되어 막 모듈의 여과막 상에 걸러진 오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은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하는 과정에서 정수장치의 막 모듈에 대해 두번 세척한다. 여기서,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기설정된 시간이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하는 기설정된 시간보다 길다.
상기 기술방안을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정수 과정에서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검출하여, 막 투과량이 설정값으로 감소 시, 및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이후, 각각 막 모듈에 대해 세척을 수행하므로, 제때에 막 모듈을 세척하여 막 모듈이 한동안 동작한 후 오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막 모듈이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하여, 세탁수 여과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정수 후 오물이 잔존하여 막 모듈의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을 방지한다.
정수장치가 작동되어서부터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동안에, 막 모듈에 의해 여과되는 세탁기 오물이 보다 많으며, 여과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세탁수 중의 오물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기설정된 세척 시간이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막 모듈을 세척하는 기설정된 세척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막 모듈 상의 오물을 충분히 세척 제거하여 막 모듈의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물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막 모듈 세척효과를 달성함과 동시에 보다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막 모듈의 세척구가 특정적으로 설치된 세척구로서 물 생성구와 공용되지 않으므로, 막 모듈의 보다 충분한 세척을 확보하여, 보다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여 보다 우수한 세척효과를 달성하며, 여과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물 사용량을 보다 절감할 수 있다.
막 모듈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에어워시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여과막 모듈의 방법이 복잡해지는 것을 간소화하고, 해당 방법을 적용하는 세탁기의 생산단가가 절감된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구체실시방식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막 모듈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 기술방안 및 이점이 보다 명확해지도록,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결합하여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고 충분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01, 정수장치가 세척 명령를 수신하여 정수를 일시적으로 중지한다;
단계S102,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한다; 막 모듈의 여과를 중지시키고 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의 여과막 상에 걸러진 오물을 제거한다;
단계S103, 정수장치가 계속 정수를 수행하여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정수를 중지하고, 막 모듈이 여과를 중지한 다음, 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재차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함으로써, 막 모듈의 여과막 상에 걸러진 오물을 재차 제거한다.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하는 과정에서, 막 모듈이 세탁수를 여과함에 따라 오물이 막 모듈 상에 많이 누적될수록, 여과 시간이 길어지고 막 모듈이 막힐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유지방법은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막 모듈을 한번 세척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정수 과정에서도 막 모듈을 세척한다. 제때에 막 모듈을 세척하여 정수 과정에서 오물이 막 모듈 상에 과량으로 누적되거나 심지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막 모듈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여기서, 막 모듈을 1차 세척하는 기설정된 제1시간 및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막 모듈을 2차 세척하는 기설정된 제2시간의 길이는 모두 정수장치가 동작하는 하나의 주기인 제3시간의 길이를 기초로 설정된다.
상기 정수장치가 동작하는 하나의 주기에 대해 설명하면, 정수 세탁기 막 모듈의 고정된 순환 정수 시간을 정수장치가 동작하는 하나의 동작 주기라고 지칭한다. 여기서, 막 모듈의 고정된 순환 정수 시간은 정수 세탁을 만족하는 전제 하의 막 모듈 투과량, 세탁 급수량을 기초로 산출된다.
실시예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은, 정수장치의 정수 시 상기 막 모듈의 막 투과량(membrane flux)를 획득;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이 설정값보다 낮으면 정수장치가 세척 명령을 입력받아 정수를 일시적으로 중지; 단계S106, 세탁기 급수구와 막 모듈을 연통시키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은 아래와 같다:
우선, 정수장치의 정수 시 상기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획득하는 단계104를 수행한다;
다음, 막 투과량이 설정값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05를 수행한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정수장치가 세척 명령을 수신하여 정수를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단계106를 수행한다;
다음, 세탁기 급수구와 상기 막 모듈을 연통시키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107를 수행한다;
낮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정수장치가 계속 정수를 수행하여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정수를 중지하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103를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 1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우선, 정수장치의 정수 시 상기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획득하는 단계104를 수행한다; 다음, 막 투과량이 설정값으로 감소되면 정수장치가 세척 명령을 수신하여 정수를 중지하는 단계108를 수행한다. 다음, 세탁기 급수구와 막 모듈을 연통시키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107를 수행한다; 다음, 정수장치가 계속 정수를 수행하여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정수를 중지하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103를 수행한다.
나아가, 정수장치의 정수 시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자동으로 검출 및 획득하고 사전에 하나의 막 투과량 값을 설정한다. 정수를 수행함에 따라 막 모듈에 걸러지는 오물이 많아지면, 막 투과량이 점차적으로 낮아진다.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이 기설정된 막 투과량 값으로 감소되었음을 자동으로 검출되면, 시점A로 표기한다. 이때, 정수를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한다.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기설정된 시간은 제1시간으로서, 제1시간은 tA로 표시된다. 세척 종료 후, 다시 막 모듈을 작동시켜 정수장치가 계속 정수를 수행한다. 막 모듈이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 시, 시점B로 표기한다. 이때, 정수를 중지하고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한다.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하는 기설정된 시간은 제2시간으로서, 제2시간은 tB로 표시된다. 시점A를 임계로, 막 모듈의 하나의 동작 주기를 두개의 구간으로 나눈다. 여기서, 제1구간의 정수 과정에서 A점의 막 투과량이 가장 낮고, 제2구간의 정수 과정에서 B점의 막 투과량이 가장 낮다. 바람직하게, A점의 막 투과량 값을 B점의 막 투과량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설정하여 막 모듈이 제때에 세척되도록 확보하여, 오물이 잔존함으로 인하여 막 모듈이 막혀 정수장치의 정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상기 방법에 있어서, 정수장치의 정수 시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자동으로 검출 및 획득하고 사전에 하나의 막 투과량 값을 설정하거나, 정수장치의 정수 시 막 모듈 출수단으로부터 물 흐름 속도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사전에 하나의 물 흐름 속도를 설정하여, 물 흐름 속도가 기설정된 물 흐름 속도값으로 감소됨을 자동으로 검출되면 시점A로 표기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때, 순환 여과를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막 모듈을 세척한다.
나아가, 상기 방법에 있어서, 사전에 하나의 세탁수 혼탁도 값을 설정하되, 해당 혼탁도 설정값은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하는 과정에서 막 모듈에 두번 이상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확보하는 값이다. 바람직하게, 해당 혼탁도 설정값은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하는 과정에서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이 두번 이상 A점 막 투과량 값보다 낮지 않도록 확보하는 값으로서, 세탁 완료 후 세탁수의 혼탁도를 검출하여, 혼탁도가 설정값보다 크면 세탁수를 바꾸므로, 상기 방법은 막 모듈이 더더욱 충분히 세척되게 한다.
실시예 2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실시형태의 기초에서 제1시간tA이 제2시간tB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tA와 tB의 관계는: tA=2tB이다. 이는, 시점A 이전의 제1구간의 정수 과정 내에서 막 모듈이 세탁수의 오물을 보다 많이 여과하고, 여과가 수행됨에 따라 세탁수 중의 오물이 점차적으로 여과되어 감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물은 주로 시점A 이전의 제1구간의 정수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막 모듈 상에 축적된다. 따라서, tA의 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하여, 막 모듈 상의 오물을 충분히 깨끗이 세척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막 모듈의 성능을 유지시킨다. 한편, tB의 시간을 보다 짧게 설정하여 물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막 모듈을 깨끗이 세척하는 효과를 달성함과 동시에 보다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한다.
나아가,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되는 제3시간을 t로 표시한다. tA와 tB는 모두 정수장치가 동작하는 하나의 주기인 시간t를 기초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tA 및 tB와 t의 관계는 t=40tA=80tB이다. 상기 시간 관계는 다량의 실험 테스트를 거쳐 최종적으로 얻어진 것이다. 상기 시간 관계는 막 모듈을 세척 유지함에 있어서 가정 적절한 시간 비율로서, 막 모듈을 세척하는 효과를 달성함과 동시에 보다 절수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기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 유지방법를 적용하는 세탁기에 따르면, 세탁통, 순환수 관로, 배수관로 및 막 모듈을 포함하되, 막 모듈은 급수구, 물 생성구 및 오물 배출구를 구비하고, 막 모듈은 급수구 및 물 생성구를 통해 순환수 관로 상에 연결되고, 막 모듈은 오물 배출구를 통해 배수관로 상(미도시)에 연결된다. 여기서, 막 모듈에 물을 유입시켜 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가 더 구비되고, 세척구는 세탁통의 급수구와 연통된다. 막 모듈이 특정적으로 설치된 세척구를 통해 세척되고, 세척구와 물 생성구가 동일한 개구를 공용하지 않으므로, 이런 설치 방식은 막 모듈 세척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나라 막 모듈을 세척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막 모듈 물 생성구에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유량 모니터링 장치(미도시)가 장착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수를 검출하기 위한 혼탁도 검출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세탁수의 혼탁도가 설정값보다 크면 세탁수가 막 모듈을 통과하지 않고 바로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제어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제어장치는 막 투과량 데이터와 세탁수의 혼탁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이 설정값보다 낮으면 정수장치가 정수를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세척수가 세탁통 급수구로부터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정수장치가 정수를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정수장치의 정수 시, 순환수 관로와 연결된 급수구(1)와 물 생성구(4)가 개방되고, 세척구(2)와 오물 배출구(3)가 폐쇄되어, 세탁수가 급수구(1)를 통해 막 모듈로 유입되며, 막 모듈이 세탁수에 대해 여과를 수행한다. 여과된 세탁수는 물 생성구(4)를 통해 세탁통으로 유입된다. 정수장치가 세척 명령를 수신하여 정수를 일시적으로 중지하면, 급수구(1)와 물 생성구(4)가 폐쇄되고, 세척구(2)와 오물 배출구(3)가 개방된다. 세탁기 급수구(1)와 세척구(2)를 연통시키고, 깨끗한 세척수가 막 모듈을 세척하도록 제어하며, 세척된 오물이 배수 관로 상에 연결된 오물 배출구(3)를 통해 배출된다. 막 모듈의 세척 종료 후, 급수구(1)와 물 생성구(4)가 개방되고, 세척구(2)와 오물 배출구(3)가 폐쇄된다.
본 발명의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에 따르면, 정수장치가 정수명령을 수신하면 막 모듈을 작동시켜 세탁수를 여과한다. 정수 과정에서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검출하여, 막 투과량이 설정값으로 감소되면, 막 모듈의 여과를 중지시켜 정수를 중지한다. 막 모듈을 세척한 세척수가 막 모듈 상에 설치된 세척구를 통해 막 모듈로 유입되어 막 모듈의 여과막 상에 걸러진 오물을 제거한다. 세척수를 유입시켜 막 모듈을 세척하는 시간은 정수장치가 동작하는 하나의 주기의 시간을 근거로 하여 설정된다. 세척 종료 후, 다시 막 모듈을 작동시켜 세탁수를 여과한다.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막 모듈의 여과를 중지시키고, 다시 세척수를 유입시켜 막 모듈을 세척한다. 세척 시간 역시 정수장치가 동작하는 하나의 주기의 시간을 근거로 하여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및 그 세탁기에 따르면, 정수 세탁기의 여과막 모듈을 제때에 세척함과 동시에 여과막 모듈의 세척방법을 간소화하여, 여과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물 사용량을 줄이고, 정수 세탁기의 생산단가를 낮춘다.
설명이 필요한 부분으로서, 상기 실시예의 실시방안은 추가적으로 조합되거나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계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 급수구 2: 세척구
3: 오물 배출구 4: 물 생성구

Claims (10)

  1. 정수장치가 세척 명령을 수신하여 정수를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
    정수장치가 계속 정수를 수행하여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한 후 정수를 중지하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막 모듈을 두번 세척하는 기설정된 시간은 정수장치가 동작하는 한 주기의 시간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정수장치의 정수 시 상기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획득하는 단계;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이 설정값보다 낮으면, 정수장치가 세척 명령을 수신하여 정수를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세탁기 급수구와 상기 막 모듈을 연통시키고 세척수가 막 모듈로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모듈에 대해 1차 세척을 수행하는 기설정된 시간은 제1시간이고, 상기 막 모듈에 대해 2차 세척을 수행하는 기설정된 시간은 제2시간이며, 상기 제1시간 및 제2시간은 정수장치가 동작하는 하나의 주기인 제3시간을 기초로 설정되되, 상기 제1시간이 상기 제2시간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과 상기 제3시간의 관계는 제3시간이 제1시간의 40배이고, 상기 제2시간과 상기 제3시간의 관계는 제3시간이 제2시간의 8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시간은 정수를 만족하는 전제에서의 막 모듈 투과량 및 세탁기급수량을 기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정수장치가 정수를 수행하기 전에 우선 세탁수의 혼탁도를 검출하여, 상기 혼탁도가 설정값보다 크면 세탁수를 바꾸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혼탁도의 설정값은 정수장치가 하나의 주기 동안 동작하는 과정에서 막 모듈에 두번 이상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확보하기 위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7. 세탁통, 순환수 관로, 배수관로 및 막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막 모듈은 급수구, 물 생성구 및 오물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막 모듈은 급수구 및 물 생성구를 통해 순환수 관로 상에 연결되고, 상기 막 모듈은 오물 배출구를 통해 배수관로 상에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을 적용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막 모듈에 물을 유입시켜 막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세척구는 세탁기의 급수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막 모듈의 물 생성구에 막 모듈의 막 투과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 모니터링 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세탁수를 검출하는 혼탁도 검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막 투과량 데이터와 상기 세탁수의 혼탁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세탁통으로부터 상기 막 모듈로 정수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87015444A 2015-11-03 2016-10-27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및 그 세탁기 KR20180074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736350.9A CN106637827B (zh) 2015-11-03 2015-11-03 一种净水洗衣机净水装置的维护方法及其洗衣机
CN201510736350.9 2015-11-03
PCT/CN2016/103556 WO2017076218A1 (zh) 2015-11-03 2016-10-27 一种净水洗衣机净水装置的维护方法及其洗衣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784A true KR20180074784A (ko) 2018-07-03

Family

ID=5866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444A KR20180074784A (ko) 2015-11-03 2016-10-27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및 그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313020A1 (ko)
EP (1) EP3372724A4 (ko)
JP (1) JP2018533413A (ko)
KR (1) KR20180074784A (ko)
CN (1) CN106637827B (ko)
WO (1) WO2017076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4058B (zh) * 2018-08-30 2022-08-09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水处理装置自清洁的控制方法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53479A1 (de) * 1976-11-25 1978-06-01 Henkel Kga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aschinellen waschen und reinigen von festen werkstoffen unter verwendung phosphatarmer oder phosphatfreier wasch- und reinigungsmittel
JPH11179093A (ja) * 1997-12-17 1999-07-06 Toshiba Corp 洗濯機
JP2000051576A (ja) * 1998-08-04 2000-02-22 Sharp Corp 洗濯機
KR20000033974A (ko) * 1998-11-26 2000-06-15 윤종용 세탁기의거름망청소시기검출장치및방법
JP2010088650A (ja) * 2008-10-08 2010-04-22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WO2011139097A2 (en) * 2010-05-04 2011-11-10 Lg Electronics Inc. Control technology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104060439B (zh) * 2013-03-18 2017-09-29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洗衣机和洗衣机的控制方法
CN104294530B (zh) * 2013-06-28 2018-06-08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洗衣控制方法和洗衣机
CN104894806B (zh) * 2014-03-05 2017-01-18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对洗衣机循环水过滤系统中的过滤组件清洗的控制方法
KR20160134851A (ko) * 2014-03-27 2016-11-23 하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순환 절수 여과장치 및 그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2724A4 (en) 2018-12-05
EP3372724A1 (en) 2018-09-12
JP2018533413A (ja) 2018-11-15
US20180313020A1 (en) 2018-11-01
CN106637827B (zh) 2020-01-21
CN106637827A (zh) 2017-05-10
WO2017076218A1 (zh)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5095B (zh) 洗衣水循环利用装置及其清洗方法及节水洗衣控制方法
CN104862926B (zh) 洗衣机以及用于洗衣机的控制方法
JP2017502736A (ja) 節水洗濯機および制御方法
WO2015007057A1 (zh) 一种洗衣机循环净水洗涤控制方法及其洗衣机
CN104548747B (zh) 一种智能过滤控制方法
CN103361934A (zh) 洗衣机中水处理装置、处理方法及洗衣机
CN106149280B (zh)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213050110U (zh) 净水系统及设备
US20170306544A1 (en) Self-cleaning method for filter assembly of washing machine
WO2014206314A1 (zh) 洗衣控制方法和洗衣机
CN204000331U (zh) 洗衣机
CN104805651B (zh) 洗衣机
WO2014146403A1 (zh) 洗衣控制方法和洗衣机
KR20180074784A (ko) 정수 세탁기 정수장치의 유지방법 및 그 세탁기
CN105350266A (zh) 洗衣机及对其前置过滤器进行反向冲洗的方法
CN204138955U (zh) 洗衣机
CN205392188U (zh) 一种用于反冲洗净水器的自动反冲洗净水系统
CN104342887B (zh) 洗衣机和洗衣控制方法
CN105506930B (zh) 用于洗衣机的过滤组件及洗衣机
CN105986433B (zh) 洗衣机
CN106830134A (zh) 一种净水、软水处理一体式设备
WO2018224008A1 (zh) 一种洗衣机净水装置及洗衣机
CN215251820U (zh) 配置反冲洗功能的干洗机
CN104342888B (zh) 过滤装置和洗衣机
CN106637806A (zh) 一种净水洗衣机净水装置的维护方法及其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