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543A -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543A
KR20180074543A KR1020170024661A KR20170024661A KR20180074543A KR 20180074543 A KR20180074543 A KR 20180074543A KR 1020170024661 A KR1020170024661 A KR 1020170024661A KR 20170024661 A KR20170024661 A KR 20170024661A KR 20180074543 A KR20180074543 A KR 20180074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display
cable
display devi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693B1 (ko
Inventor
소광혁
원태연
유재욱
이승호
이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084,382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68022B2/en
Priority to EP17885145.7A priority patent/EP3407597B1/en
Priority to PCT/KR2017/015423 priority patent/WO2018117772A1/ko
Publication of KR2018007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후면에 장착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본체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은폐 하는 스탠드; 및 상기 장착홈을 덮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Stand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본체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은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TV와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본체와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함께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과, 영상 신호, 안테나 신호 등 각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이 외부로부터 접속된다. 이 경우 케이블은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방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주시하는 사용자의 눈에 쉽게 인지될 수 있어 시청을 방해하는 방해물이 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걸어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고정시키는 구조물이 벽으로부터 상당한 길이로 돌출되는 것은 물론 구조적으로 컴팩트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으로부터 심하게 돌출되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사용자에게 불안정하고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본체에 형성되는 단일 스탠드 장착 구조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스탠드들과 호환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고, 스탠드를 통해 케이블을 정리 및 은폐할 수 있어 외관을 복잡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월 마운트 유닛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본체를 벽에 걸어 사용 시 디스플레이 본체가 액자를 걸어 놓은 것과 같이 벽에 밀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안정적인 느낌을 주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후면에 장착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본체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은폐 하는 스탠드; 및 상기 장착홈을 덮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는 원터치 록킹해제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록킹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는 상기 장착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푸시 래치에 록킹되는 복수의 록킹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장착홈 내에서 양측으로 갈라져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홈 형상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덮는 스탠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스탠드를 관통하도록 가이드하는 통로 형상의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탠드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탠드의 바닥을 향해 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부분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제1 개구와, 상기 스탠드의 하단에 제2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후면에 장착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은폐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스탠드; 및 상기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두께가 상기 장착홈의 깊이보다 작거나 같은 월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월 마운트 유닛은, 상기 장착홈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걸이 바를 가지는 제1 링크; 및 양단이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브라켓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 바는 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걸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하단에 연결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부분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제1 개구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제2 개구가 형성된, 스탠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 또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을 덮도록 상기 지지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연장되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구부러진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부분의 하단의 양측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칭 배치되는 한 쌍의 막대부재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부분의 하단이 결합되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복수의 나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후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에 스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가 연결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부분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제1 개구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제2 개구가 형성된, 스탠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지지대의 일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지지대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개구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 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다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다리 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에 고정된 전선을 가리도록 상기 다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본체,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본체의 장착홈에 스탠드의 장착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Ⅳ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장착부재의 걸림돌기가 장착홈의 결합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스탠스 사이에서 케이블이 노출되는 정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스탠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월 마운트 유닛이 디스플레이 본체의 장착홈에 장착되기 전 상태와 장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본체에 장착된 월 마운트 유닛과 벽에 설치된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디스플레이 본체를 벽에 건 상태에서 틸팅 전 및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본체,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스탠드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본체,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본체에 스탠드가 장착되고,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가 디스플레이 본체로부터 분리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스탠드로부터 스탠드 커버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장착홈 내에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구를 스탠드의 장착부재로부터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디스플레이 본체의 장착홈의 구조와 스탠드의 장착부재의 구성을 함께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스탠드를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가 장착홈과 결합하는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본체에 형성되는 단일 스탠드 장착 구조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스탠드들과 호환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속되는 전원 케이블과 각종 신호 케이블을 은폐할 수 있는 스탠드를 구비함에 따라 케이블 정리가 용이하고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월 마운트 유닛을 통해 벽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월 마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때, 장착홈의 깊이가 월 마운트 유닛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정도로 형성되므로, 월 마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월 마운트 유닛을 통해 벽에 걸어서 사용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이 벽과의 간격의 매우 가깝거나 벽에 닿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액자를 걸어 놓은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본체는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디스플레이 본체의 장착홈에 스탠드의 장착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장착부재의 걸림돌기가 장착홈의 결합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스탠스 사이에서 케이블이 노출되는 정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또는 모니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지지하도록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후면(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2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본체(110)는 플랫 형상 또는 커브드 형상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커브드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본체(110)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후면(111)에 디스플레이 본체(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방열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110)는 후면(111)에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규격에 따른 복수의 VESA 구멍(11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110)는 후면(111)에 스탠드(200)의 장착부재(210)가 삽입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120)이 형성된다. 장착홈(120)은 제1 바닥면(121)과, 제1 바닥면(121) 보다 높게 단차진 제2 바닥면(127)이 형성된다.
제1 바닥면(121)은 스탠드(200)의 장착부재(210)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2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구멍(123)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4와 같이, 장착부재(210)를 장착홈(120)에 장착하기 위해 장착부재(210)의 복수의 걸림돌기(211)를 복수의 걸림구멍(123)에 삽입하면, 복수의 걸림돌기(211)는 장착홈(211)의 제1 바닥면(211)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착부재(210)를 장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길 경우 복수의 걸림돌기(211)가 제1 바닥면(211)의 후면에 간섭됨으로써 이탈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장착부재(210)를 제1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나사(미도시)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구멍(125)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바닥면(121)은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30)의 복수의 결합돌기(13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구멍(125)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탠드의 장착부재(210)를 장착홈(120)에 장착하는 경우, 제2 바닥면(127)은 스탠드를 구성하는 지지대(230)의 제1 부분(231)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231)의 일면(232)이 제2 바닥면(127)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200)는 장착홈(120)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한 상태로 장착홈(120)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본체(110)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30)는 장착홈(120)의 내측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장착홈(120)을 덮을 수 있게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30)는 외곽이 장착홈(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30)는 장착홈(120)을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결합돌기(133)가 형성된다. 복수의 결합돌기(133)는 제1 바닥면(121)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멍(125)에 각각 압박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각 결합돌기(133)의 외측면에 러버 재질의 캡(미도시)이 씌워지거나 러버 막(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30)는 장착홈(120)을 덮는 경우, 도 1과 같이, 지지대(230)의 제1 부분(231)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31)이 형성된다. 관통구멍(131)은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30)로 장착홈(120)을 덮을 때 지지대(230)의 제1 부분(231)과의 간섭을 없앨 수 있도록 제1 부분(231)의 외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분(231)이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관통구멍(131)이 직선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제1 부분(231)의 외곽이 곡선 또는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면 관통구멍(131)은 제1 부분(231)의 외곽에 대응하도록 곡선 또는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후면에는 각종 케이블의 단자가 접속되는 터미널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터미널부는 터미널 커버(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미널 커버(150)는 케이블(10)이 통과하는 통과구멍(151)을 형성할 수 있다. 통과구멍(151)은 케이블(1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40, 도 6 참조)의 제1 개구(241)와 최대한 가까운 위치(예를 들면, 터미널 커버(15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와 스탠드(200) 간에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10)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본체(110)와 스탠드(200) 간에 노출되는 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터미널 커버(150)의 통과구멍(151)은 경우에 따라 터미널 커버(150)의 하단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스탠드(2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스탠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들이다.
스탠드(200)는 장착홈(120)에 장착되는 장착부재(210)와, 장착부재(210)가 연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230)와, 지지대(230)의 하단에 연결된 베이스(250)를 포함한다.
장착부재(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111)에 형성된 장착홈(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장착홈(120)의 깊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재(210)는 복수의 나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구멍(213)이 형성된다. 장착부재(210)의 복수의 체결구멍(213)은 장착홈(12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구멍(124)과 각각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대(230)는 상단이 장착부재(210)의 후면과 연결된 제1 부분(231)과, 제1 부분(23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디스플레이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부분(2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분(233)이 후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은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베이스(250)와 함께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제2 부분(233)에는 케이블(1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40)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40)은 제2 부분(233)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개구(241)로부터 제2 부분(233)의 하단에 형성된 제2 개구(243)까지 이어진다. 가이드홈(240)은 제2 개구(243)로부터 제2 부분(2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제1 개구(241)와 연결되도록 제2 부분(233)의 일측으로 꺾어지는 구간(242)을 포함한다. 가이드홈(240)은 꺾어지는 구간(242)을 포함함에 따라, 제1 개구(241)의 위치를 터미널 커버(150)의 통과구멍(151)과 최대한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40)에는 케이블(1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245)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245)는 케이블(10)을 클램핑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케이블(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지지대(230)는 가이드홈(240)을 덮을 수 있도록 지지대(230) 후방으로 스탠드 커버(235)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지지대(230)와 스탠드 커버(235) 간의 결합을 위해, 지지대(230)에는 양측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홈(230a)이 형성되고, 스탠드 커버(235)에는 양측의 테두리 내측을 따라 복수의 결합홈(230a)에 스냅 결합되는 복수의 스냅돌기(235a)가 형성된다.
스탠드 커버(235)는 케이블(1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40)과 고정돌기(245) 등의 지지대(230) 후방의 복잡한 구조를 가려줌으로써 스탠드(200)의 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스탠드 커버(235)는 지지대(230)에 결합 시 제2 개구(243)에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블(10)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구멍(235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10)이 스탠드 커버(235)의 통과구멍(235b)을 통해 스탠드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케이블(10)이 베이스(250)가 안착되어 있는 면(바닥면 또는 데스크의 상면 등)에 위치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주시하고 있는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250)는 한 쌍의 막대부재(251,2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막대부재(251,252)는 각각 일단이 지지대(230)의 하단 양측에 연결되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막대부재(251,252)는 지니대(230)와 함께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전방으로 향해 대략 V자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후면(111)에 스탠드(200)를 장착함으로써 스탠딩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벽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월 마운트 유닛(30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월 마운트 유닛이 디스플레이 본체의 장착홈에 장착되기 전 상태와 장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들이고, 도 10은 디스플레이 본체에 장착된 월 마운트 유닛과 벽에 설치된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디스플레이 본체를 벽에 건 상태에서 틸팅 전 및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월 마운트 유닛(300)은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후면(111)에 형성된 장착홈(1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월 마운트 유닛(300)을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장착 구조를 구비할 필요 없이 스탠드(200)의 장착부재(210)가 장착되는 장착홈(120)을 이용할 수 있다.
월 마운트 유닛(300)은 장착홈(120)에 고정되는 브라켓(310)과, 브라켓(310)에 연결되는 제1 링크(320)와, 브라켓 및 제1 링크를 상호 연결하는 제2 링크(330)와,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40)를 포함한다.
브라켓(310)은 전술한 스탠드(200)의 장착부재(210)의 장착 구조와 동일한 장착 구조를 가진다. 즉, 브라켓(310)은 장착홈(120)에 대향되는 면에 복수의 걸림돌기(311, 도 11 참조)가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나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구멍(313)이 형성된다.
브라켓(310)을 장착홈(120)에 장착하는 경우, 복수의 걸림돌기(311)를 장착홈(120)의 복수의 걸림구멍(123)에 삽입하고, 복수의 나사를 브라켓(310)의 복수의 체결구멍(313)과 장착홈(120)의 복수의 체결구멍(214)에 순차적으로 체결한다.
제1 링크(320)는 하단이 제1 연결축(323, 도 11 참조)을 통해 브라켓(310)의 하단에 힌지 연결된다. 또한, 제1 링크(320)은 고정부재(340)의 후크(341)에 걸수 있도록 제1 링크(320)의 상단에 걸이 바(321)가 형성된다.
제2 링크(330)는 일단이 제2 연결축(331)을 통해 브라켓(31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연결축(333)을 통해 제1 링크(320)에 힌지 연결된다. 이 경우, 제2 연결축(331)은 브라켓(310)에 형성된 가이드 편(313)의 장공(3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본체(110)는 도 12와 같이 벽에 걸어 둔 상태에서 소정 각도 범위(θ) 내에서 틸팅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부재(340)는 벽(20)에 설치되는 별도의 브라켓(30)을 통해 벽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340)는 제1 링크(320)의 걸이 바(321)를 걸어둘 수 있는 후크(341)가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월 마운팅 유닛(300)은 제1 링크(320)를 펼치지 않은 상태로 장착홈(120)에 장착하면, 월 마운팅 유닛(300)의 두께가 장착홈(320)의 깊이보다 작거나 같게 된다. 이에 따라, 월 마운팅 유닛(3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벽에 걸어둘 경우,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후면(111)이 벽(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자를 벽에 걸어둔 것처럼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벽(20)에 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문제 즉, 월 마운팅 유닛이 벽으로부터 상당히 돌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본체가 벽으로부터 큰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많은 공간을 점유하는 문제와 사용자에게 불안정한 느낌을 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본체(110)는 벽에 걸어 사용할 경우 주변 인테리어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도록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110)는 도 12와 같이 디스플레이 본체(110)를 소정 각도 범위(θ) 내에서 틸팅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110)의 틸팅 각도는 제3 링크(330)의 길이에 따라 그 각도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제3 링크(33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록 틸팅 각도 범위가 커질 수 있고, 반대로 제3 링크(330)의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록 틸팅 각도 범위가 작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스탠드(200)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스탠드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스탠드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본체(1100)와, 디스플레이 본체(1110)를 지지하는 스탠드(1200)와, 디스플레이 본체(1110)의 장착홈(1120)을 덮는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본체(110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본체(110)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디스플레이 본체(1110)에 구비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구비된 각 구성의 부재번호와 유사하게 부여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서 미설명 부호 1113은 VESA 구멍을 나타낸다.
스탠드(1200)는 장착홈(11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1210)와, 장착부재(1210)에 연결된 지지대(1230)와, 지지대(12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1250)를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장착부재(1210)는 전술한 장착부재(21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장착부재(1210)는 제1 바닥면(1121)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구멍(112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돌기(1211)이 형성되고, 복수의 나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구멍(1213)이 형성된다. 장착부재(1210)의 복수의 체결구멍(1213)은 장착홈(112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구멍(1124)과 각각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대(1230)는 장착부재(1210)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1 부분(1231)과, 베이스(1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분(1233)과, 제1 및 제2 부분(1231,1233)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분(1232)을 포함한다.
제1 부분(1231)는 장착부재(1210)를 장착홈(1120)의 제1 바닥면(1121)에 장착할 때 제2 바닥면(1127)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1200)는 장착홈(1120)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한 상태로 장착홈(1120)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본체(1110)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 부분(1233)은 도 16과 같이 하단에 회전축(1235)이 연결된다. 회전축(1235)은 베이스(125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된 결합부(12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지지대(1230)는 베이스(125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로 인해 디스플레이 본체(1110)에 스탠드(1200)가 장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본체(1110)는 좌우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2130)는 장착홈(1120)의 내측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장착홈(1120)을 덮을 수 있게 디스플레이 본체(1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130)는 외곽이 장착홈(1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130)는 장착홈(120)을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결합돌기(1133)가 형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130)는 장착홈(1120)을 덮는 경우, 도 18과 같이, 지지대(1230)의 제1 부분(1231)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131)이 형성된다. 관통구멍(1131)은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1130)로 장착홈(1120)을 덮을 때 지지대(1230)의 제1 부분(1231)과의 간섭을 없앨 수 있도록 제1 부분(1231)의 외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25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1200)는 디스플레이 본체(1110)가 쓰러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본체(1110)의 자중에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스탠드(1200)가 안착되는 면으로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50)는 케이블(1010)이 관통하는 통로(1240)가 베이스(1250)의 일주면으로부터 베이스(1250)의 바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통로(1240)는 일단에 케이블(1010)이 삽입되는 제1 개구(1241)가 형성되고, 타단에 케이블(1010)이 인출되는 제2 개구(1243)가 형성된다.
통로(1240)는 케이블(1010)이 통로(1240)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블(1010)의 지름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개구(1241) 및 제2 개구(1243)에는 각각 케이블(1010)이 유동하지 않도록 케이블(1010)을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캡(1245,1246)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1250) 상에서의 제1 개구(1241)의 위치는 터미널 커버(1150)의 통과구멍(1151)과 최대한 인접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터미널 커버(1150)의 통과구멍(1151)과 제1 개구(1241)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본체(1110)와 스탠드(1200) 사이에서 노출되는 케이블(1010)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스탠드(2200)를 장착하면 대략 이젤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디스플레이 본체(2110)와, 디스플레이 본체(2110)를 지지하는 스탠드(2200)와, 디스플레이 본체(2110)의 장착홈(2120)을 덮는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2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본체(210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본체(110)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디스플레이 본체(2110)에 구비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본체(110)에 구비된 각 구성의 부재번호와 유사하게 부여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에서 미설명 부호 2113은 VESA 구멍을 나타낸다.
스탠드(2200)는 장착홈(21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2210)와, 장착부재(2210)에 연결된 지지대(2230)와, 지지대(2230)가 연결되는 베이스(2250)를 포함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장착부재(2210)는 전술한 장착부재(21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장착부재(2210)는 제1 바닥면(2121)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구멍(212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돌기(2211)이 형성되고, 복수의 나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구멍(2213)이 형성된다. 장착부재(2210)의 복수의 체결구멍(2213)은 장착홈(212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구멍(2124)과 각각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대(2230)는 상단이 장착부재(2210)의 후면과 연결된 제1 부분(2231)과, 제1 부분(223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디스플레이 본체(2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부분(22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분(2233)이 후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은 디스플레이 본체(2110)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베이스(2250)와 함께 디스플레이 본체(2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제1 부분(2231)의 일면(2232)은 스탠드의 장착부재(2210)를 장착홈(2120)에 장착하는 경우, 장착홈(2120)의 제2 바닥면(2127)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2200)는 장착홈(2120)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한 상태로 장착홈(2120)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본체(2110)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2250)는 지지대(2230)가 결합되는 프레임(2251)과,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다리(2255,2256,2257)를 포함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프레임(2251)은 대략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면 중앙에는 지지대(2230)의 하단이 결합된다. 프레임(2251)은 저면에 케이블(2010)이 삽입되는 연결홈(2254)이 형성된다. 연결홈(2254)은 케이블(2010)을 가이드홈(224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홈(2254)의 입구(2254a)는 도 17과 같이 터미널 커버(2150)의 통과구멍(2151)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홈(2254)은 복수의 다리 중 가운데 배치된 제1 다리(2255)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연결홈(2254)에는 터미널 커버(2150)의 통과구멍(2151)으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2010)이 삽입되며, 케이블(2010)이 연결홈(2254)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복수의 고정돌기(2254a,2254b)가 연결홈(2254) 주변에 형성된다.
복수의 다리(2255,2256,2257)는 상단이 각각 프레임(2251)의 저면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본체(2110)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다리 중 중앙에 배치된 제1 다리(2255)는 지지대(2230)와 동일한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나머지 2개의 제2 및 제3 다리(2256,2257)는 제1 다리(2255)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프레임(2251)의 양측에 배치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다리(2255)는 제1 다리(225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케이블(2010)이 삽입되도록 가이드홈(2258)이 형성된다. 제1 다리(2255)의 상단에는 연결홈(2254)에 인접한 위치에 제1 개구(2258a)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케이블(2010)이 인출되는 제2 개구(2258b)가 형성된다. 이 경우, 가이드홈(2258)은 제2 개구(2258b)로부터 연결홈(2254)의 입구(2254a)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터미널 커버(2150)의 통과구멍(2151)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2010)은 연결홈(2254) 및 가이드홈(2240)에 삽입되어 제1 다리(2255)의 제2 개구(2258b)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가이드홈(2240)의 주변에는 케이블(2010)이 가이드홈(22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복수의 고정돌기(2258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다리(2255)는 가이드홈(2240)을 덮을 수 있도록 제1 다리(2255) 후방으로 스탠드 커버(2259)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다리(2255)와 스탠드 커버(2259) 간의 결합을 위해, 제1 다리(2255)에는 양측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홈(2258d)이 형성되고, 스탠드 커버(2259)에는 양측의 테두리 내측을 따라 복수의 결합홈(2258d)에 스냅 결합되는 복수의 스냅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이 경우, 케이블(2010)이 프레임(2251)과 스탠드 커버(2259)에 의해 은폐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본체에 스탠드가 장착되고,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가 디스플레이 본체로부터 분리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23은 스탠드로부터 스탠드 커버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장착홈 내에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구를 스탠드의 장착부재로부터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디스플레이 본체의 장착홈의 구조와 스탠드의 장착부재의 구성을 함께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스탠드를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디스플레이 본체(3110)와, 디스플레이 본체(3110)의 후면(3111)에 형성된 장착홈(3120)을 덮는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와,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3200)를 포함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본체(3110)는 장착홈(3120) 내에 신호 케이블(3011) 및 전원 케이블(3013)의 각 단자(3012,3014)가 각각 접속되는 터미널부(3112)가 배치된다.
터미널부(3112)에는 상면에 각 단자(3012,3014)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포트(3113)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접속 포트(3113)가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접속 포트(3113)에 각 단자(3012,3014)를 용이하게 접속 및 분리할 수 있다. 터미널부(3112)는 양측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이는 복수의 케이블(3011,3013)이 좁은 장착홈(3120) 내에서 정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다.
또한, 장착홈(3120) 내에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스탠드(3230)의 장착부재(32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3127)이 형성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결합홈(3127)은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결합부(3128)가 형성된다. 복수의 결합부(3128)에는 장착부재(3210)의 복수의 결합돌기(3211)가 분리 가능하게 압박 결합된다. 결합홈(3127)에 장착부재(3210)를 결합하는 과정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는 장착홈(3120)을 덮어 장착홈(3120) 내부의 복잡한 구조를 은폐한다.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는 외곽이 장착홈(3120)의 외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장착홈(3120)에 결합 시 지지대(3230)의 제1 부분(3231)이 간섭되지 않도록 관통구멍(3131)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의 관통구멍(3131)의 형상은 제1 부분(3231)의 외곽과 장착홈(3120) 내의 더미 블록(3115)의 외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미 블록(3115)은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를 장착홈(3120)에 결합 시 관통구멍(3131)에 결합되어 디자인적으로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와 일체감을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는 장착홈(3120)에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냅 결합구조를 위해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는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냅돌기(3133)가 형성되고, 장착홈(3120) 내에는 복수의 스냅돌기(3133)가 스냅 결할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홈(3125)이 형성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는 하단에 복수의 걸림돌기(도 27의 3135 참조)가 형성된다. 복수의 걸림돌기는 장착홈(3120)에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를 스냅 결합하기 전에 장착홈(3120)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멍(3129)에 삽입시켜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피봇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걸림돌기를 복수의 결합구멍(3129)에 삽입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를 장착홈(3120)을 향해 회전시키면 복수의 스냅돌기(3133)가 장착홈(3120)의 복수의 결합홈(3125)에 손쉽게 스냅 결합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스탠드(3200)는 장착부재(3210)와, 장착부재(3210)에 연결되는 지지대(3230)와, 지지대(3230)가 연결되는 베이스(3250)를 포함한다.
장착부재(3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홈(3120) 내에 형성된 결합홈(312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장착부재(3210)를 장착홈(3120)에 결합하는 경우, 도 26과 같이, 스탠드(3200)를 경사지게 배치한 상태로 장착부재(3210)를 결합홈(3127)에 삽입한다. 이 경우, 장착부재(3210)의 복수의 결합돌기(3211)는 복수의 결합부(3128)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어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스탠드(3200)를 회전시키면 복수의 결합부(3128)에 장착부재(3210)의 복수의 결합돌기(3211)가 압박 상태로 결합된다. 이 경우 장착부재(3210)는 전술한 장착부재(210,1210,2210)들과 달리 나사 체결 없이 간단하게 결합홈(3127)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3230)는 선단이 장착부재(3210)의 후면과 연결된 제1 부분(3231)과, 제1 부분(323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디스플레이 본체(3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부분(32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분(3233)이 후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은 디스플레이 본체(3110)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베이스(3250)와 함께 디스플레이 본체(3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제1 및 제2 부분(3231,3233)에는 케이블(301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240)이 형성된다. 가이드홈(3240)은 제1 부분(3231)의 선단으로부터 제2 부분(3233)의 하단까지 형성된다. 제1 부분(3231)의 선단은 장착홈(3120) 내에 배치되고, 터미널부(3112)가 장착홈(3120) 내에 배치됨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케이블(30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가이드홈(3240)에는 주변을 따라 간격을 두고 케이블(3010)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돌기(324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돌기(3245)는 케이블(3010)을 가이드홈(3240)에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위치한다.
지지대(3230)는 가이드홈(3240)을 덮을 수 있도록 지지대(3230) 후방을 따라 스탠드 커버(3235)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지지대(3230)와 스탠드 커버(3235) 간의 결합을 위해, 지지대(3230)에는 양측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홈(3233a)이 형성되고, 스탠드 커버(3235)에는 양측의 테두리 내측을 따라 복수의 결합홈(3233a)에 스냅 결합되는 복수의 스냅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스탠드 커버(3235)는 상단에 제1 부분(3231)의 가이드홈(3240)을 덮기위한 연장부(3236)가 형성되고, 하단에 케이블(3010)이 가이드홈(324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통과구멍(3237)이 형성된다. 스탠그 커버(3235)는 케이블(301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240)과 고정돌기(3245) 등의 지지대(3230)의 복잡한 구조를 가려줌으로써 스탠드(3200)의 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3250)는 후단부(3251)에 지지대(3230)의 하단이 결합된다. 베이스(3250)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본체(3110)의 하중을 베이스(3250)가 안착되는 면으로 분산시킨다.
한편, 도 24를 참조하면, 케이블(3010)은 가이드홈(3240)에 삽입되는 부분이 한 줄로 형성되며, 장착홈(3120) 내에 위치하는 부분이 신호 케이블(3011)과 전원 케이블(3014)로 분기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3010)은 대략 T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3010)이 분기되는 부분에는 분기 가이드 튜브(3015)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장착홈(3120) 내에서 케이블(3010)을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 고정구(3016)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구(3016)는 장착부재(321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구멍(3210a)에 압박 결합되는 결합돌기(3016a)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블 고정구(3016)는 결합돌기(3016a)가 결합구멍(3210a)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돌기(3016a)의 외주에 복수의 회전방지돌기(3016b)가 형성된다. 복수의 회전방지돌기(3016b)는 결합구멍(3210a)에 연장 형성된 복수의 연장구멍(3210b)에 결합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는 스냅 결합구조를 통해 장착홈(3120)에 결합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27 및 도 28과 같이 원터치 록킹 해제 가능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7은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가 장착홈과 결합하는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본체의 후면(3111)에 형성된 장착홈(3210)에는 푸시 래치(push latch)(3360)가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다.
도 2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a)는 각 푸시 래치(3360)에 록킹되는 복수의 록킹돌기(3133)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a)를 장착홈(3210)에 결합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다. 복수의 걸림돌기(3135)를 장착홈(3120)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멍(3129)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걸림돌기(3135)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a)를 장착홈(3120)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a)를 장착홈(3120)에 밀착될 때까지 밀어주면 복수의 록킹돌기(3133)가 각각 대응하는 푸시 래치(3360)에 록킹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a)를 장착홈(312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3130a)를 디스플레이 본체(3110)의 전방을 향해 누르면 복수의 록킹돌기(3133)는 각 푸시 래치(3360)로부터 록킹 해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본체에 형성되는 단일 스탠드 장착 구조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스탠드들과 호환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고, 스탠드를 통해 케이블을 정리 및 은폐할 수 있어 외관을 복잡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은 월 마운트 유닛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본체를 벽에 걸어 사용 시, 디스플레이 본체가 액자를 걸어 놓은 것과 같이 벽에 밀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주변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1110,2110,3110: 디스플레이 본체
120,1120,2120,3120: 장착홈
130,1130,2130,3130: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
200,1200,2200,3200: 스탠드
210,1210,2210,3210: 장착부재
230,1230,2230,3230: 지지대
235, 2259, 3235: 스탠드 커버
250,1250,2250,3250: 베이스

Claims (27)

  1.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후면에 장착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본체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은폐 하는 스탠드; 및
    상기 장착홈을 덮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스냅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는 원터치 록킹해제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록킹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커버는 상기 장착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푸시 래치에 록킹되는 복수의 록킹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장착홈 내에서 양측으로 갈라져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홈 형상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덮는 스탠드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스탠드를 관통하도록 가이드하는 통로 형상의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탠드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탠드의 바닥을 향해 하방향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부분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제1 개구와, 상기 스탠드의 하단에 제2 개구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후면에 장착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은폐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스탠드; 및
    상기 장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두께가 상기 장착홈의 깊이보다 작거나 같은 월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월 마운트 유닛은
    상기 장착홈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걸이 바를 가지는 제1 링크; 및
    양단이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브라켓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 바는 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걸리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하단에 연결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부분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제1 개구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제2 개구가 형성된, 스탠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 또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곳에 형성된, 스탠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스탠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을 덮도록 상기 지지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연장되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구부러진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스탠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부분의 하단의 양측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칭 배치되는 한 쌍의 막대부재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부분의 하단이 결합되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스탠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복수의 나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체결되는, 스탠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후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에 스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스탠드.
  19.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가 연결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케이블이 인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부분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제1 개구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제2 개구가 형성된, 스탠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는, 스탠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지지대의 일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지지대의 바닥에 형성된, 스탠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구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 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스탠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탠드.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다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스탠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다리 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스탠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 고정된 전선을 가리도록 상기 다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스탠드.
KR1020170024661A 2016-12-23 2017-02-24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84,382 US11068022B2 (en) 2016-12-23 2017-12-26 Display stand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EP17885145.7A EP3407597B1 (en) 2016-12-23 2017-12-26 Display stand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PCT/KR2017/015423 WO2018117772A1 (ko) 2016-12-23 2017-12-26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8775P 2016-12-23 2016-12-23
US62/438,775 2016-12-23
US201662439211P 2016-12-27 2016-12-27
US62/439,211 2016-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543A true KR20180074543A (ko) 2018-07-03
KR102270693B1 KR102270693B1 (ko) 2021-06-30

Family

ID=6291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661A KR102270693B1 (ko) 2016-12-23 2017-02-24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68022B2 (ko)
KR (1) KR1022706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276A (ko) * 2018-08-30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09167A (ko) * 2019-03-12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092532A1 (ko) * 2020-10-26 2022-05-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31060A1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앤라이프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786B1 (ko) * 2016-09-01 2021-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D981407S1 (en) * 2019-08-30 202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USD963641S1 (en) * 2019-08-30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USD924859S1 (en) * 2019-08-30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WO2021107687A1 (ko)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도트힐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CN214037711U (zh) * 2020-08-31 2021-08-2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电子标识牌和壁挂装置
CN114370563B (zh) * 2020-10-15 2024-08-09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屏幕固定装置
CN213982756U (zh) * 2020-10-30 2021-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器理线结构及显示器
CA212784S (en) * 2021-11-23 2023-09-01 Lg Electronics Inc Gaming monitor
KR102535722B1 (ko) * 2022-04-08 2023-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D1043633S1 (en) * 2023-09-01 2024-09-24 Shenzhen Haibi Trading Co., Ltd. TV brack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508A (ko) *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110049206A (ko) * 2009-11-04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55345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139832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365A (ko) * 1996-11-06 1998-08-05 김광호 균형유지가 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00212314B1 (ko) * 1996-11-06 1999-08-02 윤종용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구조
KR200156371Y1 (ko) * 1996-11-15 1999-09-01 윤종용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스위블장치
US7604206B2 (en) 2001-11-19 2009-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improved in a tilting and combining structure
US6816364B2 (en) 2002-09-05 2004-1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units
KR100500234B1 (ko) 2002-11-05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100427820C (zh) 2003-08-29 2008-10-22 株式会社村上开明堂 转动支座
KR100969136B1 (ko) 2004-03-08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a/v커버구조
KR100587308B1 (ko) 2004-07-21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 표시기를 위한 벽걸이 구조
US20060214072A1 (en) 2005-03-16 2006-09-28 Lee Kyung J Flat panel display TV stand
US7514631B2 (en) * 2005-10-17 2009-04-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bles in a display base
KR100776420B1 (ko) 2005-11-14 200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WO2007086002A1 (en) 2006-01-27 2007-08-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and for bearing an apparatus
KR101361297B1 (ko) 2007-08-06 201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스탠드
KR101253565B1 (ko) 2009-09-22 201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405528B (zh) 2010-05-13 2013-08-11 Wistron Corp 支撐架及電子裝置
JP5963280B2 (ja) 2012-07-05 2016-08-03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高さ調整スタンドを備えた表示装置
US9298213B2 (en) * 2013-02-25 2016-03-29 Dell Products Lp Transforming modular display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2341742B1 (ko) 2015-04-08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508A (ko) *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110049206A (ko) * 2009-11-04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55345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139832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276A (ko) * 2018-08-30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3828664A4 (en) * 2018-08-30 2021-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11950383B2 (en) 2018-08-30 2024-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200109167A (ko) * 2019-03-12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092532A1 (ko) * 2020-10-26 2022-05-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31060A1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앤라이프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68022B2 (en) 2021-07-20
KR102270693B1 (ko) 2021-06-30
US20200174515A1 (en)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4543A (ko)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6816364B2 (en) Display units
US20120134519A1 (en) Integrated television Mount and Audio System
US7551432B1 (en) Monitor stand
US20050268394A1 (en) Telescoping expandable shower curtain rod
US20140048667A1 (en) Mounting device for securing electronics equipment in a vehicle
JPH11506522A (ja) 支持用ブラケットに関する改良
EP3407597B1 (en) Display stand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20050152109A1 (en) Monitor
KR20050023576A (ko) 디스플레이장치
US8985534B1 (en) Multi-configurable TV stand with bridging mount structure
US20120134523A1 (en) Integrated television mount and audio system
KR20060036194A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070195206A1 (en) Projection display with front and back jack panel access
KR102451486B1 (ko) 이젤형 tv 거치대
KR100389154B1 (ko) 텔레비젼 걸이장치
JP2003527550A (ja) 保持アームシステム
KR102380631B1 (ko) 벽밀착형 스탠드 및 플로우 스탠드 공용화 tv 거치대
CN217519568U (zh) 显示装置
KR100512749B1 (ko) 모니터장치
JP4261159B2 (ja) テーブル等の脚構造
CN214381292U (zh) 音响组件及显示装置
CN212012858U (zh) 一种后壳安装组件及显示器
CN218895185U (zh) 固定架结构
CN210424422U (zh) 连接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